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에서 한국인 가치관의 실증적 규명에 관한 연구

        홍기정 ( Hong Ki-ju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에서 가치관은 중요한 항목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자주 거론되어 온 하나의 문제가 있다. 그것은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련 교재들과 연구물들에서는, 집단주의 가족주의 권위주의 같은 것들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다뤄 왔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전 세대의 인접학문 학자들에 의해 포착된 한국인의 성격적 특징들로서, 매우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가치관으로서 제시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것은 특정한 학문적 관심이 바탕에 깔린 연구의 결과이므로, 외국인에게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소개하고 가르치는 목적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거론되는 것들 상당수가 연구자 개인의 인생 경험에 기초한 경험적 직관에 따라 선택된 것이라는 점도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을 지적하고, 대안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와 <세계 가치관 조사>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인 방식으로 한국인의 가치관 규명을 시도한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And valu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one problem with the value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values of Koreans. So far, several things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as Korean values: collectivism, familyism, and authoritarianism etc. It is something that sociologists have pointed to in the past as a social feature of Koreans. The question is, does it reflect the values of Koreans today? Another problem is whether it meets the purpose of educating foreigners. This is because it is the result of research originating from specific academic interests. It is also a problem that the values of the Koreans mentioned are not based on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This paper points out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n alternative. It is to use two surveys in value education, ‘Korean Sense & Value Survey’ and ‘World Value Survey(WVS)’. This paper explains how Korean value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 KCI등재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oung-hee),송리라(Song, Ri-ra)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민주주의 의식, 성역할 태도, 낙태, 이혼, 동성애, 혼전 성관계를 지표로 하는 성적 권리 관용에 대한 태도의 차이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유형을 찾아내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젠더 의식이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6차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의 2010~2014년 웨이브 자료 중 2010년에 실시한 1,200명의 한국 표본이며, 군집 분석과 군집 유형의 주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민주주의의 필수요건으로 부의 재분배, 복지제공, 양성평등권, 자유선거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진보에 가까운 태도를 나타낸다. 양육의 여성책임, 정치, 교육, 관리직 진출에 대해서도 진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낙태, 동성애, 이혼을 포함하는 성적 권리에 대한 관용도는 무척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에서 이혼의 증가, 불법임에도 광범하게 행해지는 낙태, 혼전 성관계의 확산과 모순되며, 규범의 불안정성과 이중성을 의미한다. 셋째,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네 가지 조합 유형은 세 가지 의식이 모두 진보적인 집단(29.67%), 성역할 태도와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91%),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역할 태도와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03%), 세 가지 의식 모두 보수적인 집단(21.39%)이다. 마지막으로, 의식의 유형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남성들의 보수적 의식에는 연령을 제외하고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남성이라는 사회적 지위이자 정체성이 가진 보수성이 그대로 보수적인 젠더 의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들의 의식 유형에는 결혼 상태와 고용 지위 등 구체적인 삶의 조건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ttitudinal patterns of democracy and gender and variables related to those pattern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0 to 2014 wave of the World Value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attitudes toward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about abortion, premarital sex, divorce, and homosexuality. Cluster analysis produces four patterns: the largest cluster containing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of sex-related rights;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role but low level of sex-related tolerance; cluster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 and sex-related tolerance but progress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one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s and sex-related tolerance. For male samples, only age appears to have a greater effect on conservative attitudes about democracy and gender. On the other hand, for women,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have a greater effect on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 KCI등재

        가족가치관 변화의 연령-기간-세대 효과 - 부모의 기대충족과 전통적 성역할관을 중심으로 -

        정선영(Jung, Sun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가족가치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기간, 세대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계가치관 조사를 분석하였다. 가족가치관을 측정하는 문항 중 기간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1990년대부터 2018년까지 측정된 두 문항 – 부모의 기대충족, 전통적 성역할관-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각 개인은 기간과 세대라는 두 가지 집단에 동시에 소속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교차분류임의 효과 모형(HAPC-CCREM)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 수준은 2010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낮아지고 있으며, 전통적 성역할관 동의수준은 2010년 급격히 낮아진 후 2018년 현재 약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다른 요인을 통제한 HAPC-CCREM 분석 결과, 기간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다른 기간에 비해 1996년이 유의하게 낮았고, 전통적 성역할관의 경우 1996년, 2001년, 2005년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2010년, 2018년은 유의하게 낮았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수준은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지며, 전통적 성역할관은 연령이 높을수록 동의수준이 높았다. HAPC-CCREM 분석 결과는 이러한 연령효과는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한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전통적 성역할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셋째, 두 가치관 모두 세대별로 보이는 변화의 양상은 일관된 패턴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HAPC-CCREM 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ge-period-cohort effects on the changes in the family value using the Korean data from World Values Survey. Among items measuring family values, it selected two items collected over 5 waves: Meeting Parent’s Expectations[MPE] and Traditional Gender Roles[TGR]. Considering that individuals belong to both ‘period’ and ‘cohort’ groups at the same time, it adopted Hierarchical Age-Period-Cohort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 [HAPC-CCREM].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MPE got lower after the highest peak in 2010; those of TGR got higher after the sharp decrease in 2010. The findings from the HAPC-CCREM show that the perio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s of MPE were lower in 1996 compared to other waves. In the case of the levels of TGR,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996, 2001, 2005, but lower in 2018. Second, the levels of MPE amd TGR got greater with the age. However, the HAPC-CCREM finding shows that the ag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MPE. Third, no cohort pattern was found in the levels of MPE and TGR; it was also supported in the HAPC-CCREM finding.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family valu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 주류가치관과의 불일치가 이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계가치관 조사의 22개국을 중심으로

        정선영 ( Sun Young Ju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관과 주류사회 가치관의 불일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민지 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차년도 세계가치관 조사에 수집된 22개국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이민지위를 선주민, 이민 1세대, 이민 2세대로 나누고 가치관의 측정은 Schwartz의 10가지 가치유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력과 자극에 부여한 중요도는 이민 2세대가, 박애, 보편주의, 동조, 전통에 부여한 중요도는 이민 1세대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이민 2세대는 안전과 동조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선주민은 두 이민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자기주도, 쾌락주의, 박애의 수준이 높을수록 선주민과 이민 1세대 집단의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이민 2세대는 성취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권력에 부여하는 중요도는 세 집단 모두의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적으로 각 가치유형에 주류사회의 평균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이민 2세대는 권력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주류사회의 수준에 비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안전과 성취에 중요도를 높이 부여할 때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민 1세대의 경우, 동조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주류사회의 수준에 비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ifferences of values between mainstream society and immigrants on life satisfaction across three immigrant status groups - natives, first- and second-generation immigrants. For this, it used data from the 6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placed higher importance on the values of power and stimulation an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on the values of benevolence, universalism, conformity, and tradition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second-generation placed lower importance on the values of security and conformity compared with other groups. Native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Second, while the higher levels on the importance on the values of self-direction, hedonism, and benevol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of natives an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it was the levels of importance on the value of achievement that explai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The importance on the value of power was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cross three groups. Third, placing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the values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hile the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power of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lowered life satisfaction, that on conformity of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lowere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엄승범 ( Eum Seung-bum ),김재우 ( Kim Jae-wo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1 한국사회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를 설명할 수 있는 연결고리로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초점을 맞춰 각각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 7차 한국 자료의 전체 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행복은 사회계층적 위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좌우되지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교육, 취업, 직장에서의 승진 승급, 정규직화에 있어서 더 공평한 기회가 주어져 있다고 평가하며 그 결과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둘째, 자유로운 경쟁 속에서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가치관을 가질수록 사회계층에 따른 기회 불평등 인식의 격차가 완화되며 지각된 공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정적 관계 역시 약화된다. 셋째, 소득이 노력한 만큼 차등적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강하거나 또는 생계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중시하면서 국가에 의한 소득 재분배를 부정적으로 볼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기회공정성 인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행복 불평등을 부분적으로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다. 나아가 본 연구는 경쟁과 노력의 미래 가치가 보장받지 못한다면 사회계층을 따라 기회공정성 인식은 물론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가 심화될 수 있으며, 생계의 책임을 개인에 두지 않고 소득 재분배를 지향하는 경우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만족이 기회공정성을 둘러싼 평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것이라는 시사점을 남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s a link that can explai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oeconomic value systems in search for intervening conditions. To this end, we estimat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7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for a representative national sample of Korean adults. First, we found that the happiness of Koreans is directly affected by their social class position, and a part of SES-based subjective wellbeing is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cross education,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transition of fixed-term to full-time workers. Second,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is les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happiness is weaker among those who tend to believe that competition is good and hard work, not luck or connections, brings a better life. Third, subjective wellbeing is more vulnerable to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among people who follow the equity principle or oppose income redistribution by the state in favor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pursuing the overall equality of opportunities in Korean society seems to be one of ways in which happiness inequality across socioeconomic strata can be partially weakened.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if rewards for hard work and fair competition are not guaranteed, the gaps not only in 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 but also in subjective wellbeing may deepen between high and low SES groups. Furthermore, more egalitarian social values may mak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s free from the evaluation of equality in opportunities.

      • KCI등재

        영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세계가치관조사(WVS)자료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이종화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WB) using data taken from the World Value Survey, wave 7 survey results.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s to what extent SWB is driven by personal spirituality. Spirituality itself is not directly observable but rather a latent concept and summarizing term for various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spirituality are identified with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ith orthogonal varimax rotation of 12 variables taken from the WVS wave 7 and considered to cover the most important religiosity characteristics. The rotated component matrix of the PCA identifies three components with eigenvalues larger than 1 explaining 67% of the total variance and a KMO value of 0.89. These three components were named spirituality, eternality, and religious tolerance and were found to exert positive influences on both SWB and happiness.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magnitude of the coefficients of these three components, they are influencing more positive effects on happiness than the number of children or employment status enhances happiness, and similar effects on happiness as marital status increases happiness. 영성이 깊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행복한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답하고자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 wave 7 자료를 이용하여 영성(spirituality) 혹은 종교성(religiosity)이 주관적 행복(SWB)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영성을 추출한 실증연구는 찾기 어려운편이므로 이 결함을 메우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영성은 직접관측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을 가진 잠재된(latent) 개념이다. 이 잠재된 요인을 밝혀내고자 WVS wave 7의 종교성을 측정하는 문항 12개를 모두 망라하여 주성분분석의 직교회전(orthogonal varimax rotation)을 통해, 총분산의 67%를 설명하는, 고유값(eigenvalue) 1을 넘는 세 개의 주요 성분, 즉 영성, 영원성, 종교적 관용으로 추출하였다. 회귀분석에서 이들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결과, 세 변수 모두 SWB와 행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아울러 이 세 변수는 회귀계수의 크기로 가늠할 경우 자녀나 고용이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을 능가하며, 혼인이 행복도에 주는 영향과 비견될 만하다.

      • KCI등재

        참여자들의 특성을 통해 본 2016~2017년 촛불항쟁 성격의 재검토: 세계가치관조사 분석 결과

        조영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2

        Focusing on attitud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6–2017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this study reconsiders the nature of the Candlelight Protest identifi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alyzing the 7th World Values Survey, the study produced four empirical results. First of all, the Candlelight Protest was not revolutionary, but it reflected public demand for socioeconomic reforms. Second, if the Candlelight Protest had a democratic nature, it was associated with liberalism. Third, the Candlelight Protest showed moderate political cleavages in comparison with the 2008 Mad Cow Candlelight Protest, but it was not a people’s movement beyond those political cleavages. Finally, this study fails to find evidence supportive of the Candlelight Protest as a movement of post-materialist value change. These results ascertain the long-term tasks and directions of Korean politics and indicate that representative democracy would become stable when Korean politics focuses on these two remaining missions. 이 연구는 7차 세계가치관조사를 활용하여 2016~2017년 촛불항쟁 참여자들의태도와 특성을 분석하여 선행연구들이 규정한 촛불항쟁의 성격을 재검토하였고, 결과는 네 가지였다. 첫째, 촛불항쟁은 체제변혁적 운동이 아닌 사회경제적 개혁의 요구를 반영한다. 둘째, 촛불항쟁이 민주적 성격을 가진다면, 그 내용은 자유주의적 속성을 가진다. 셋째, 촛불항쟁은 과거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에 비해정파적 특성이 완화되었을지라도 이를 정치적 균열을 넘어선 국민운동으로 간주하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촛불항쟁을 탈물질주의적 및 탈근대적 가치운동으로규정할 근거는 발견하지는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촛불항쟁 이후 한국정치가장기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특정하고, 한국정치가 이에 대응하였을때 대의민주주의가 안정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