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김광연(Kim, Gwang Yeo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류는 우월한 인종으로 선택받고자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욕망을 포기할 수없어 일부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우생학 프로그램을 수행했다. 과거의 우생학은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이 결과로 우생학의 명분은 점점 사 라져 갔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눈부신 활약으로 점점 새로운 우생학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는데, 21세기 생명공학 기술과 손잡고 태어난 것이 바로‘자유주의 우생학’이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간 유전자 개량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우생학은 인간의 신체를 개량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과거의 우생학이 가진 인간 존엄성 훼손과는 다른 윤리적 문제를 낳고 있다. 특히 인간 유 전자를 개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는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을 길들일 수 있다는것 곧 생명정치와 깊이 관여된다. 게다가 유전자 개량은 인간 배아를 실험 도구로 보고 인간 신체개량이라는 점에서 이 실험을 통해 인간 신분이‘이미 정해진’상태 로 태어나는 생명정치 문제와도 연결된다. 우수한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난 인간은 그렇지 못한 인간을 지배하기 때문에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 계급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인간 유전자의 개량은 배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전제되 기 때문에 배아의 존엄성과 인간 복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윤리적 문제점을 시작으로 그것과 생명정치와의 관련성 및 배아복제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생명정치를 통한 계급 발 생에 대한 문제점과 유전자 결정론 및 배아와 인간 존엄성을 살펴보고 익명성으로서의 배아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학적 보편성을 제시할 것이다. Humankind begins to embody eugenics program benefited from some scientists seeking Prometheus’ desire that wanted to be selected as superior race. For a decade, eugenics gradually degraded into a denigrating tool to destroy human dignity and its justification grew vague accordingly. With the emerging of biotechnology, eugenics began to revive in the name of “liberal eugenics” to cope with the 21st bio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is deeply connected with improvement of human gene. Such a eugenics is now causing another ethic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a superior gene by improved body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former eugenics described above. The newly raised issue is also closely referred to bio-politics that claims human race can take its genes by means of bio-technology even before coming into the world. Bio-politics is also related to a ethical issue, so as to speak “predetermined clique.” It causes a serious social hierarchy in that a human with superior gene can rule over the inferior human. Since it requires a intentional experiment of embryo, manipulating of human gene might influence on dignity of embryo and human cloning. Bringing up such a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ome issues like ethical perspective on eugenics and its relation with bio-politics or embryo cloning.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raised some questions asking how we can preserve human dignity against gene determinism and predetermined social status, on which we can suggest a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and advisable understanding of anonymous embryo.

      • KCI등재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김광연 ( Kim Gwang Yeo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플라톤(Platon)의 《국가론》에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과 신분에 따른 역할 분담을 통해 이상 국가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생각한 타고난 본성에 따른 계급 사회는 신분 상승뿐만 아니라 교육의 기회까지 박탈하고 있어서 철저한 계급 사회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보듯, 그 시대 사람들은 자신의 신분이 미리 정해진 삶과 마주쳐야 했고, 당시 이러한 계급사회는 한국 사회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 등장한 수저계급론에서 보았듯이, 이 사회는 소득 격차에 따른 신분 제도와 교육 및 사회적 지위의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 신분 사회는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선별 기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우성 유전자 선별 기술은 새로운 계급 사회 곧 유전자계급 사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저계급론과 신분사회 그리고 유전자 조작의 혜택 여부에 따른 신분 사회의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국가론》에 나타난 계급사회를 시작으로 한국 사회의 수저계급론과 소득의 불평등 그리고 생명공학 기술과의 연결 가능성 살피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공정한 분배와 신분계급 사회에서 예수의 보편적 구원과 사랑에 관한 선교적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A greek philosopher Plato, in his book 「The Republic」 came up with a possibility of a ideal nation state by implementing the inherent humanity and social status of human being. In his understanding, however, social classes classified by the inherent humanity is depriving of moving up chance in social ladder and e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seen in his work 「The Republic」, the contemporary of the age had to face a predetermined life. Such a phenomena is no exception in Korean society as well. Like a spoon-class, which means born with a silver spoon from birth, a status determined by natural birth is another dimension of class conflict throughout the Western society. It came alive in Korea as well, by means of revenue, social status, and educational discrimination. Such a feudal society is coming up as an emerging hot issue in that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GS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manipulation. As a result, dominant DNA screened by PGS test, has more chances to climb up a new feudal society comparing to inferior DNA.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some ethical issues of feudal society in modern age comparing to Platos perspective on social classes described in his masterpiece 「The Republic」, from which will suggest a possibility of bio-political ethics to connect it with bio-technology, spoon-class-theory, income inequality, and a alternative for fair allocation in job opportunity and its revenue accordingly. Finally, I will suggest a missionary task concerning Jesus Universal Salvation of Jesus in the Social Class.

      • KCI등재

        이상국 시에 내재된 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김동명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이 논문에서는 이상국의 시를 대상으로 사회생태주의와 심층생태주의로 논의했다. 먼저 사회생태주의의 양상을 보이는 작품에서는 인간과 인간 간에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인간의 물질화를 상기시켜주고, 이러한 삶의 방식이 결국 자연생태계의 파괴로 전이된다고 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구생태계 내 각 개인은 지배와 종속의 관계에서 벗어나 모두가 평등한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주제가 암시된다. 각 개인이 위계 구조의 틀에서 벗어난 삶을 지향할 때, 지구생태계 내 모든 개체의 자아실현과 함께 지구생태계의 생명 발현 또한 순조로워진다는 것이다. 심층생태주의적 양상의 작품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우주적 생명 공동체로서 서로 관련된 존재라는 것, 그리하여 인간과 동물·식물이 서로 얽혀 순환하는 가운데 생성하고 소멸하고, 죽고 부활한다는 주제가 논의되었다. 이러한 가치관을 통해 파악되는 심층생태주의의 시는 각 개인으로 하여금 지구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추구해야 할 삶의 태도를 제시한다. 인간은 자연이라는 원리를 받아들여야 하며 자연 중심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국 시 전체를 거쳐 도출되는 이러한 두 가지 주제, 즉 심층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적 사유를 드러내는 작품들은 지구생태계 내 인간과 자연이 어울려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향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그 지향하는 바가 서로 일치하고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구생태계 전체는 유기체적이며 전일적인 관계이므로 그 관계의 대상인 모든 인간과 자연은 개별적 존재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deep and social ecologism on Lee Sang-guk’s poems. His poems about social ecologism show a need for new relationships among human beings, reminding the readers of the objectification of man caused by the ruling-the ruled relationships and presenting a topic that all humans are equal beings and should live together after all. All should pursue a direction toward free beings, escaping from the obedience-subordination relationships. The poet emphasizes that moral economy should be realized for their specific realization. The economic polarization creates class polarization, which worsens inequality and, anxiety in individual beings. Another topic represented in His poems about deep ecologism is that all the destructions of communities and environments are attributed to the wrong attitude humans have toward nature. Humans see nature as a mere tool from the human-centric perspective. Thus while science and civilization keep evolving, the ecosystem gets destroyed and the cosmic life community will come to an end. Thus a new topic is proposed that humans should change their fundamental attitude toward nature and accept themselves as part of nature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His works to represent the two topics, namely deep and social ecologism, argue that the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derives from the human-centric perspective in man-nature relationships and man-man relationships. Thus those works of the two topics are in the same vein in that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the cause. In the end, the common direction should be the entire ecosystem that is organic and whole, which means all men and nature, the objects of those relationships, should be respected as individual beings.

      • KCI우수등재

        인간중심철학의 철학적 기초

        선우현(Hyun Sunwoo)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9 No.-

        이 글은 아직 우리 철학계에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그것의 철학적 기초인 ‘인간중심의 세계관’과 ‘사회 역사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여기서 인간중심철학이란,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주인이 되는 인간중심 사회의 건립을 위한 정치철학으로 등장한 주체철학의 ‘두 유형’, 즉 본래의 이념적 지향점에서 벗어나 ‘l인 지배체제’를 정당화하는 ‘통치이데올로기’로 변질된 주체철학과 애초의 인본주의 이념을 고수하면서 인간중심의 사회를 구현하려는 주체철학의 ‘본래적 유형’으로서의 정치철학체계 가운데 후자를 가리킨다. 이같은 인간중심철학은 ‘물질중심적 세계관’으로부터 ‘인간중심의 세계관’으로의 전회에 바탕하여, 철학의 근본문제를 ‘인간과 세계의 상호관계 문제’로 정립하고 이에 대한 해명으로서 ‘인간이 세계에서 주인의 지위를 차지하고 인간의 운명개척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철학의 근본 원리를 제시한다. 이어 물질론과 생명론, 사회적 의식에 대한 새로운 해명을 통해 개인적 존재이자 집단적 존재인 인간의 ‘주동적인 역할’을 논증해 보인다. 아울러 사회 역사관에서는 ‘반계급주의적 인본주의’를 표방하면서, 개인주의적 원리와 집단주의적 원리가 상호 결합된 인간중심적 민주주의 사회를 구현되어야 할 사회로 제시한다. 이러한 인간중심철학은 자생적으로 정립된 창조적이며 독창적인 철학체계로서 간주될 수 있는 바, 맑스주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극복ㆍ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고유한 이론체계를 내놓고 있는 황장엽의 ‘철학함 방식’은 우리 철학계에게 많은 교훈과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영국 ‘문화 비평’ 의 방향전환: 존 러스킨(John Ruskin)의 예술 비평과 사회개혁 사상

        박우룡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5 중앙사론 Vol.0 No.42

        Perhaps the strongest theme in nineteenth-century English literature was criticism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utilitarian and laissez-faire philosophies that went with it. From the Romantic poets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to the aesthetes of the end, literary artists expressed a revulsion from industrial society, its urban blight, its entrepreneurial class and entrepreneurial values. The underlying themes in the tradition were that the new society left little space for art and imagination, that it fragmented both the cohesiveness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the human integrity of its members. Ramond Williams has demonstrated that the imaginative reaction to industrial society and thought in England generated a concept of 'culture' itself. The tradition of 'cultural criticism' originated from this tradition of regarding culture as going against the grain of industrial life and thought. In this tradition artist, or serious writer, or 'genius' was seen as a special kind of person, and often as one who opposed central features of the new society. Their task was to save society from the social sins, the political catastrophes and the moral degradation that industrial life and values carried in their wake. Art, according to Victorian thought, was to be used to redeem society. However, in late-Victorian life some leading literary people were repelled by the continuing expansion of bourgeois mores and styles, and were bewildered by the fracturing of their old audience and by the rise of a new one with which they had no contact and little sympathy. Literary writers also experienced a loss of confidence because of the rise of natural science and the decline of religion. They lost their assurance that they could reach all the politically-effective members of society. For these reasons, they sensed that literature was no longer as central to English culture as it once had been. And the idea of debasement of taste was their rationalization of the predicament. The sense of the debasement of taste and all that it presented was the context which reshaped and redirected the tradition of cultural criticism. The pivotal figure in the redirection of the tradition was John Ruskin, himself an eminently Victorian prophet. In Ruskin's work of which the best was produced between 1843(the first volume of Modern Painters) and 1875(the early parts of Fors Clavigera), there is an ideal of the wholeness of human beings and the coherence of society which reached back to both Shelley and Coleridge. He added to the tradition of cultural criticism the notion that art is the product of the whole ethos of society : great art is the product of morally sound society, bad art is the result of a morally corrupt society. Ruskin thought the hideous ugliness of industrial England reflected the moral ugliness of its makers. And capitalist industrialism delights itself in the defilement and degradation of all the best gifts of its God by its deformed values. Among the worst of its features was the erosion of the full humanity of its workers: by the principle of the division of labour, and by the subordination of men to machines, capitalist industry turned men into machines, capitalist industry turned men into machines. In his broad declaration, "There is no wealth but life," as in his unceasing stress upon the need of good work for all men, Ruskin has laid down as the foundation-stone of social theory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work and lif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J. A. Hobson was deeply smitten by Ruskin's vision of the organic nature of economic society. Hobson, William Morris, and the later tradition of English guild socialism learned from Ruskin that the logical step from aesthetic criticism of English society was more or less extensive social rearran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