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도조르기 기술에 의한 온목동맥 차단이 심박수, 안면 혈류변화 및 인지ㆍ협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인호,박정배,김석규,전승훈,정현택,김창근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조인호, 박정배, 김석규, 전승훈, 정현택, 김창근 유도조르기 기술에 의한 온목동맥 차단이 심박수, 안면 혈류변화 및 인지ㆍ협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99-406, 2003. 유도의 조르기 기술은 (choking technique)은 올림픽 종목 중 연습이나 시합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상대방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조르기 동작이 유일하게 인정되는 종목의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유도 연습이나 시합 상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조르기 기술의 잠재적인 위험요인들을 구명하기 위하여 유도선수 6명을 대상으로 조르기 시 안면온도의 변화 및 실신 전, 후의 인지능력과 협응성 능력의 변화정도를 관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실신 때 까지의 조르기 시간은 평균 17.5±2.2초 였으며 심박수가 안정 시 수준으로 회복될 때 까지의 시간은 45.1±11.0초, 그리고 실신 시 안면온도는 안정시보다 약 0.8℃ 감소되었다. 한편 실신 후 심박수가 안정 시로 되돌아온 직 후 측정한 인지능력은 유의하게(p<.05) 감소하였으며 협응성 능력 역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다면 조르기 기술은 성장기의 어린선수들에게 더 큰 인지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선수들뿐만 아니라 현장의 지도자들 역시 조르기 기술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잠재적인 대뇌의 손상에 대하여 심각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o, I.H., Park, J.B., Kim, S.K, Jeon, S.H., Chung, H.T., Kim, C.K. The effect of occulusion of carotid artery by choking technique on heart rate, facial temperature, recognition and coordination in judoka. Exercise Science, 12(3): 399-406, 2003. Choking technique in judo is an unique technique to possibly threaten to other life among olympic sports events. But choking is widely used in the situation of judo training and competition. To investigate potential risks of choking technique, judokas(3-4dan)who experienced choking were choked by Okuri-Eri-Jime. We observed facial thermography, recognition test and coordination test in before and after unconscious time. The choking time till unconsciousness was at average 17.5±2.2sec, and the recovery time of heart rate was 45.1±11.0sec, and facial thermography on unconsciousness was decreased about 0.8℃ . By recognition test and coordination test immediately after heart rate recovery,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lso coordination had a tendency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e assume that choking technique might be caused more damage of recognition to the younger judoka. Therefore not only players but also coaches have need to seriously recognize the potential risk to brain damage induced by choking technique.

      • KCI등재

        운동 시 제 1형 당뇨쥐의 골격근 및 간 조직내 Pro- & Macroglycogen 동원의 차이

        조인호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2

        조인호. 운동 시 제 1형 당뇨주의 골격근 및 간 조직내 Pro- & macroglycogen 동원의 차이. 운동과학, 제13권 2호, 201-210,2004. 이 연구는 장시간의 운동 시 제 1형 당뇨 쥐의 간과 가자미근 내(총 글리코겐, proglycogen, macroglycogen)의 동원 양상 차이를 규명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 글리코겐은 분자의 크기에 따라 명백하게 두 가지의 형태 즉 proglycogen(PG, ~400kDa, 산에 용해안됨)과 macroglycogen(MG, 10,000kDa 산에 용해 됨)이 존재하며 대사적으로 다르게 조절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G와 MG가 운동 시 당뇨조직에서 어떻게 조절되는 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32마리의 쥐(Sprague Dawley)를 이용하여, 통제군(CON, n=16)과 streptozotocin 투여로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군(DM, n=16)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통제군, 당뇨군)은 다시 비운동군(REST, n=8)과 운동군(EXE, n=8)으로 세분하였다. 운동군의 쥐는 총 3시간(30분 수영, 5분 휴식× 6회)의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간과 하지근의 가자미근육을 적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안정 시 및 운동 후 혈장 글루코스 농도는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안정 시 간의 총 글리코겐 농도는 두 그룹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흥미롭게도, 안정시 당뇨군의 근육 내 총 글리코겐과 PG의 농도는 통제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운동 후, 통제군에 있어서 간내 글리코겐의 농도는 유의한 감소를 보인데 비해 당뇨군은 그 감소폭이 적어 유의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근육 내 PG의 동원 형태는 두 그룹 모두 총 글리코겐의 형태외 비슷한 양상을 보여, 장시간의 운동 후 두 그룹의 총 글리코겐과 PG농도의 유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안정 시 MG의 농도는 그룹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운동 후 당뇨집단에 있어서 MG의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과적으로 운동 후 당뇨군의 간내 총 글리코겐은 유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근육 내 총 글리코겐과 PG의 변화양상은 각 그룹에 있어서 비슷한 형태를 보였으나 운동 후 MG의 농도는 당뇨군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다면 장시간의 운동에 따라 당뇨조직(간 및 근육)내 글리코겐(총, PG, MG)의 동원에는 대사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ho, I.H. The dfference of pro- & macroglycogen depletion in type Ⅰ diabetic rat liver and skletal muscle during exercise. Exercise Science, 13(2): 201-210, 2004,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longed exercise on glycogen(total, proglycogen and macroglycogen) mobiization in liver and soleus muscle from type Ⅰ diabetic rat.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glycogen exists in two distinguish forms, prolycogen, (PG, acid-insolude, ~4oo kDa) and macroglycogen (MG, acid-soluble, ~10,000 KDa), and they are regulated differently during exercise in normal skeletal muscl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physiological and the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orms of glycogen in diabetic muscles. For this study, thirty two rats were used and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conditions: either control (CON) o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DM). Animals in each condi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sacrificed at resting condition without exercise (REST), sacrificed immediately after exercise(EXE). All animals in exercising groups swam for 3hr (30min, 5min rest x 6 bouts), then liver and soleus muscle was dissected out and freezed for further analysis.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at r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M than CON (p<.05). Liver total glycogen contents at re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but exercise induced a significantly reduction in CON(p<.05) but not in DM. Interestingly, muscle total and PG content in DM at rest was higher than in CON. The patterns of muscle PG depletion during exercise was mostly same as total glycogen at both groups. Prolonged exercise resulted in no significant decrease in muscle total and PG contents in both groups. MG content at res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MG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M immediately after exercise(p<.05).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of liver total glycogen in DM after exercise. Muscle total and PG showed similar pattern in both groups respectively,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G content between normal and diabetic liver and skeletal muscle during rest and exercise.

      • SCIESCOPUSKCI등재

        염증성 치은조직과 치주인대세포에서 Cytokine에 의해 유도되는 열충격단백 발현에 관한 연구

        조인호,김덕규,김은철,유형근,신형식,Cho, In-Ho,Kim, Doek-Kyu,Kim, Eun-Cheol,You, Hyung-Keun,Shink, Hyung-Shin 대한치주과학회 1998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8 No.1

        Prokaryotic and eukaryotic cells respond to heat stress and other environmental abuses by synthesizing a small set of stress proteins and by inhibiting post-transcription synthesis of normal protei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ocument the stress response produced by inflamed gingival tissue in vivo, and cytokine induct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uman PDL cells were exposed to TNF-$\alpha$(1ng/ml), INF-$\gamma$(200 U/ml), LPS(100ug/ml), combination of cytokine, and SDS-PAGE gels running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was done. In vivo studies, the healthy gingival tissusse of a control group and inflamed gingival tissue of adult periodontitis were studi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hist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SP 47 was distributed on basal layer in healthy gingiva, but stronger stained in basal, suprabasal, and spinous layer of inflamed gingiva. 2. HSP 47 was rare on endothelial cells and mononuclear cells in healthy gingiva, but stronger expressed in inflamed gingiva. 3. HSP 70 expression was rare on epihelium and inflammatory cells hi both healthy & inflamed gingiva. 4. HSP 70 was actively expressed on endothelial cells and inflammatory cells of capillary lumen in moderately & mild inflamend gingiva. 5. PDL cells showed low level of HSP 47 protein expression which was significantly induced by cytokine stimulation (LSP only and combination). 6. Maximum HSP 70 protein induction was seen with stimulation by a combination of the cytokine, Combination of TNF-$\alpha$, INF-$\gamma$, LPS have been shown to synergistically effects of HSP 70 expression. On the above findings, HSP Is influenced by cytokine and chronic inflammation in vivo, and may be involved in protection of tissue during periodontal inflammatio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의 고미술품(古美術品) 거래에 관련된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조인호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1 No.3

        Currently, the market of Korea‘s old fine art pieces is on the verge of collapse. This appears to be contradictory to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considerations to develop cultural industry. Also, this is not helpful for achieving Korea's objective to become a culturally influential nation. On the basis of realizing this serious situation concerning trading of Korea's old fine art piec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Korea's old fine art pieces have gained internationally renowned fame and value. These Korea's old fine art pieces include celadons and Boonchung ceramics, paintings, and calligraphy. Second, this article points out a few problems related to transactions of Korea's old fine art pieces. These problems include repetitive fake scandals, deficiency of trustworthy appraisal institutions, and the lack of statutory provisions on regulating distribution order with respect to trading of old fine art pieces. Third, this article makes a few suggestions to fix these problems. These suggestions include, among other things, establishing trustworthy appraisal institutions, providing for statutory provisions on regulating distribution order with respect to trading of old fine art pieces, and reinforcing education of Korean people about the precious value of Korea's old fine art pieces. 현재 우리나라의 고미술품 시장은 거의 붕괴된 실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세계적인 위상과 예술적 가치를 지닌 고미술품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앞으로 문화산업을 진흥하고 문화강국으로 도약하는데 있어서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본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슈를 다루었다. 첫째, 우리나라 고미술품이 누려왔던 세계적 위상과 가치를 되짚어 보았다. 이것은 우리의 고미술품이 결코 현재처럼 푸대접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자기로서 고려청자와 분청사기를 살펴보았고, 그림으로서는 고려불화와몽유도원도를 보았다. 글씨로서는 안평대군과 추사 김정희를 살펴보았고, 서적으로는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본과 동시대이거나 앞선 우리나라 조선시대 초기 금속 활자본들을 일별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고미술품이 푸대접 받고 그 시장이 붕괴상태에 이르게된 현상의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는 우리나라의 고미술품 거래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찾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반복되는 가짜시비, 공신력 있는 고미술품 감정 기구의 결여, 고미술품 유통질서의 정비를 위한 법규의미비 등을 지적하였다. 셋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및 제도적 방안들을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에 대한 통합된 조사·등록 및 data base 의 구축, 과학적 감정기법의 개발 및 공신력 있는 감정기구의 설립, 고미술품 유통질서의 정비를 위한 입법론, 우리나라 고미술품 가치의 국민적자각을 위한 교육의 강화 등을 다루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고미술품이 누려왔던 세계적 위상과 예술적 가치를 환기해볼 때, 우리의 고미술품이 결코 현재처럼 푸대접 받아서는 안된다는 점을 우리는 깊이 깨우쳐야 할 것이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위한 합리적 방안을 시급히 마련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 SCIEKCI등재

        식물조직계(植物組織系)의 유효성분에 관한 연구 [Ⅰ] : 내염성(耐鹽性) 식물의 Proline 축적 및 질소대사(窒素代謝) Nitrogen Metabolism and Proline Accumulation in Halophytes

        조인호 한국농화학회 197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0 No.2

        Contents of proline and chloride in halophytes were 80-1700 ㎍/gfw and 0.13-0.45 mM/gfw respectively. The content of prolin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at of chloride. Rhizomes of Phragmites communis Trin, a halophyte, were grown in non-saline medium and then taken to saline treatment for one or two weeks. Growth of P. communis was inhibited when salinized with 0.25M NaCl. Total nitrogen decreased and alcohol soluble nitrogen and proline increased when growth was retarded. The quantity of Fraction I protein decreased at 0.25M NaCl treatment. The accumulation of proline at high concentration in P. communis suggested that it might play a role in osmotic adjust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Pyranonaphthoquinone계 항생제 Nanaomycin A의 합성

        趙仁鎬,魯永釗,柳東辰 全北大學校 1989 論文集 Vol.31 No.-

        An efficient synthesis of 8-benzyloxy-6-phenylsulfonyl-3-octen-2-one(48), the Michael acceptor necessary to prepare nanaomhycin A(la) was accomplished via seven step reaction sequence using ethylacrylate(53) as the starting material. Thus, a Michael reaction of thiophenoxide with ethylacrylate gave 3-(phenylthio) propionate(54), which was reduced to propanol 55, and then converted to 3-(acetoxy) propylphenylsulfide(56). Oxidation of the sulfide 56 with mCPBA as an oxidizing agent gave sulfone 57. Anion of the sulfone 57 generated by using LDA was treated with chloroacetalde-hydedimethylacetal to provide dimethoxypenthanol 58. Benzylation of the alcohol 58, followed by acid catalyzed hydrolysis of the dimethoxy function gave pentanal 59. Wittig reaction of the pentanal 59 with triphenyphosphoranylidene-2-propanone purnish 3-octen-2 on 4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