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혼외관계를 경험한 기혼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과 행동

        공미혜 ( Mee Hae K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7 No.2

        A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xual experiences among married women who involved in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is research depended on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The data from 16 married women who involved (and are involving) in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his article, I analyzed married women`s sexual experiences with relevance to premarital, marital, and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se women tended to be conservative in their premarital sexuality, although they indicated relatively radical sexual perceptions about it now. In addition, their marital sexuality seemed to internalize sexual double standards. That is, their sexuality in marital relations was likely to be passive and obligatory, focusing on the sexual desire of their husbands. However, most of them referred to positive aspects of extramarital sexuality. This is partly due to the oppressive marriage system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 후 삶과 도전

        공미혜(Kong, Mee-Hae)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자립 후 경험한 삶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료는 여성가족부의 주거지원사업에서 제공하는 부산지역 주거공간에 입주하고 있는 총 10명의 여성의 심층면접으로부터 도출되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자립 후 경험한 삶에 관한 주제묶음은 ‘정서적 안정’, ‘자녀안정’, ‘떳떳함’, ‘감사하는 삶’, ‘인식전환’, ‘일-가정양립의 어려움’, ‘자녀에 대한 미안함’, ‘주거불안’, ‘소외’ 등 총 9가지로 분류되었다. 이 여성들은 자립 후에도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런 어려움은 이들 삶에 도전이 된다. 이들이 밝힌 도전은 ‘미래준비’, ‘자기개발’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은 자립 후 자녀양육과 경제활동의 이중고 외에도 다양한 어려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자립에는 자녀양육과 경제활동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와 직업훈련이 무엇보다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해결되지 않는 한 이들 여성의 미래는 ‘답이 없는 생활’을 반복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앞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지는 주체의식은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자신감을 부여하므로 반드시 여성주의 프로그램을 통해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nature of their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life and challenges on women who we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fter independenc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 residents of ‘Housing Support Program’ provid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using in-depth interview. Nine themes of their lif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emotional stability, children safety, pride, thankful life, changing perception, difficulties in work-home compatibility, sorry about children, housing instability, segregation. The challenges they faced after independence were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to develope self-empowerment. In this way, women who we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ere presented with various problems of child rearing and economic activity even after independence. Therefore, social support and vocational training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child care and economic activity at the same time are essential to their independence. Unless this is resolved, the future of these women is likely to repeat the ‘life without answers’. Before that, the subjectivity of being responsible for their own life gives self-confidence to cope with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so it must be strengthened through the feminist programs.

      • 대학생의 성경험과 성폭력의 실태 및 영향요인

        공미혜(Kong, Mee-Hae)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0 젠더와 사회 Vol.21 No.-

        이 연구는 부산.경남지역 남녀대학생들의 성경험과 성폭력 경험, 그 영향요인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이들이 올바른 성의식과 가치관을 가지도록 돕는 성교육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7년 11월에서 12월까지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1000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이들 중 총 954명의 자료가 SPSS 17.0을 통해 통계처리되었다. 여기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성경험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키스였으며 다음은 애무, 성관계 순으로 나타났고 거의 모든 경험에서 성별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은 경험을 보고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대학생들의 성폭력 피해경험은 전체 11.4%로 여학생들에게 약간 더 높게, 가해경험은 2.6%로 남학생들에게 더 높게 나타났다. 성폭력 경험의 유형으로는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모두 노골적인 신체접촉과 성적인 언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경험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은 성별, 성의식, 연령, 음란물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의 경우 모든 독립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종교(기독교와 천주교)가 성경험의 억제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성별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은 성폭력 피해경험, 남학생은 성폭력 가해경험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과 더불어 성폭력 예방을 위해 정규교육과정에 성교육을 제도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exual experiences &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effective institutionalization of sex education as a regular curriculum. The data were collected by 1000 college students in Busan & Kyungnam area, using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ata indicated that the most frequent sexual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kissing, petting, and sexual intercourse in order. Also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sexual experiences. 2. 11.4%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reported victimize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2.6% assaulting experiences.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victimize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On the contrary,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experiences of sexual assault. The data indicated 'explicit physical contact' and 'using sexual words' as most frequent patterns of sexual violence, regardless of victimized or assaulting experiences. 3. Th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xual experiences were gender, sexual perceptions, age, and experience of watching pornography. For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liberal perceptions of sexuality, who were older, who had experiences of watching pornography tended to report more sexual experiences. 4.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was gender. That is, female students had more possibility to be victims of sexual violence, while male students had more possibility to be assaulte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data were suggested. Given the potential risks of some of sexual violence, recommendations to further explore and address sex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ere mentioned.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여성의 데이트 인식과 행동

        공미혜(Mee-Hae Kong)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3

        이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들의 데이트에 관한 인식과 행동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미혼 장애여성 23명중에서 반수에 달하는 11명은 데이트에 긍정적인 인식을, 12명은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이들의 데이트 인식과 연관된 요인은 장애에 대한 극복여부와 부모의 지지 여부, 결혼에 대한 기대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데이트 행동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되었는데 비장애인과의 데이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비교적 자신의 상황을 수용하고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데이트를 지속하는 사례는 매우 적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에 대한 포기와 더불어 데이트에 관심과 흥미를 상실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이들 장애여성에게 보다 폭넓은 만남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들은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데이트를 경험할 수 있고 나아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저항하는 세력화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da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in Busan and Kyungsangnamdo areas. Twenty three unmarried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disability and the positive response to disability of family were critical in establishing positive dating perceptions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These women were likely to date with a man without disability as a partner and to end their relationships unsuccessfully due to their disability, If women with disability do have various opportunities of dating, they are able to get interpersonal skills and achieve a new stage of personal growth. Also they are able to get stable subjectivity as a woman in terms of transcending societal assumptions of disability-related inferiority by their collective activism.

      • KCI등재

        혼외관계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공미혜(Kong Mee-Hae),구명숙(Koo Myung-Sook) 한국여성학회 2001 한국여성학 Vol.17 No.2

        이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기혼여성들의 혼외관계의 시작과 지속과정, 결과 등에 관해 분석하고 이러한 현상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을 여성학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여러 경로를 통해 알게 된 16명의 혼외경험이 있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면접으로 수집된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중산층의 고졸 이상으로 30대와 40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혼기간은 3년에서 25년까지로 나타났다. 여성들에게 취업과 사회활동, 여가활동 등이 확대되면서 이성과 만남의 기회도 증진되고 있다. 부부간 애정의 기능이 강조되는 결혼생활이 남편의 부재나 정서적 거리감으로 금이 가면서 이들 기혼여성은 자신을 인정하고 여성으로 사랑해주는 ‘그 남자’에게 호감과 강한 매력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정서적 교감은 이들의 성적 만족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성으로서 행복감을 부여한다. 이들 기혼여성들의 혼외관계는 친한 친구들에게는 거의 다 알려진 상태이고 이를 부정하지도 않으나 가족구성원들에게는 비밀로 묻혀있다. 이들이 혼외관계를 종결하는 이유는 죄책감과 자녀에 대한 책임, 배우자에 의한 발각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혼여성들에게 혼외관계는 ‘빈 둥지’ 증후군과 남편에 대한 실망이나 분노를 벗어나도록 해주는 비밀의 문이 되는 듯이 보이지만 이 또한 이들이 집착했던 낭만적 사랑의 굴레에 빠지게 하고 있다. 이들에게 사랑은 공적인 영역에서 자신의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여성이 수동적으로, 그리고 우회적으로 발전시킨 내면화된 정치학일 뿐이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기혼여성이 남편 이외의 남성과 어떤 형태로든 관계를 맺는 것은 ‘그 남자’와의 관계에서 통제권을 부여하지도 못하고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꾀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자아정체성의 발견이나 잠재력의 개발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가부장제에서 주체성을 상실한 여성의 모습은 불꽃같은 사랑으로 자신의 삶 전체를 대신하려는 허위의식 또는 수동적 나르시시즘의 반영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줄 뿐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extramarital relations among married women and their problems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6 women who involved (and are involving) extramarital relations,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These women belong to the age of 30s - 40s and the middle class with at least high school education. With the increase of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women have more opportunity to meet men. Women in unhappy marriage make a marital arrangement by attaching 'the other man' who can provides emotional support. In addition, their relationship appears more egalitarian because there is less chance for conflict over the day-to-day power structure. Such a relationship gives women both sexu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y are likely to discuss their love affairs with their close friends, however, keep secrets within their families. Ending the relationship is due to guilty,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and disclosure. Extramarital affairs help married women keep the marriage steady but distant by ignoring anger or disappointment about their husbands. However, women again depends on the other man's love and affection. Love becomes women's internalized politics to express their lost power. They thus encapsulate the marital deficiency without solving the problems. If they can control their marriage life, they would neither attach extramarital relations, nor feel the vanity of life with maintaining dissatisfied marriage. Under patriarchal society, women who get involved with 'the other man' lose control. Their relationship does not provide women's new identities or empowerment, and eventually ends up benefiting men. Most of these women get emotionally attached to 'the other man'. But once they are emotionally involved, their relationships can not improve the quality of women's life and dissatisfied marriage life.

      • KCI등재

        침묵화된 성

        공미혜(Kong Mee-Hae)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1

        이 연구는 부산ㆍ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여성을 대상으로 성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미혼 장애여성 23명 중에서 과반수에 달하는 11명의 여성은 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보수성을 보였으며 5명은 성교육 부재에 의한 성적 무관심과 무지를 보여 주고 있어서 이들이 생활 속에서 직면하고 있는 성적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자유롭지 못한 신체에 대한 부담감 외에도 가족, 특히 어머니의 보수적인 성교육과 억압적인 태도는 장애여성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부추긴다. 사회활동이 활발하거나 자연스러운 이성관계를 경험한 장애여성은 생활 속에서 성에 관한 많은 정보와 지식을 접하기도 하고 자유로운 성적 표현을 할 기회도 갖는다. 장애여성의 제한된 성경험은 이성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의 부족에서 비롯된다. 이들은 자신의 불편한 신체조건과 부모의 과잉보호, 신체감각의 상실등에 의해 이성관계와 성행위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여성으로서 자신감을 상실하고 있다. 성에 관한 활발한 논의는 장애여성의 성에 관한 무관심이나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성관계 증진을 위한 좀더 구체적인 성교육이 장애여성에게 주어진다면, 그리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장애인들의 만남을 촉진하는 다양한 행사가 열리게 된다면 이들에게 성은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exual perceptions, feelings and experiences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in Busan and Kyungsangnamdo areas. Twenty three unmarried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indicated negative and conservative feelings to sex, and low levels of sexual experiences. This meant that sexuality was not an integral part of the lives of women with disability. It was clear that knowledge about sexuality was not provided, there was limited discussion about sexuality, negative perceptions and feelings established in relation to sexuality, and there were low levels of expression of sexuality among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미혜(Kong Mee-Hae),오세자(Oh Se-Ja,) 한국가족학회 2010 가족과 문화 Vol.22 No.2

        이 연구는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어 가족의 안정성을 항샹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2009 년 4월부터 10월까지 부산지역에서 베트남과 필리핀 여성과 결혼한 한국남성 부부 60씹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되었으며 여기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태도는 평등 쪽에 약간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으며 아내보다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약간 더 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경우는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가 약간 높았고 아내의 경우는 친구 및 자조집단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에 가까운 값을 보이고 있으며 남편의 경우에 만족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국제결혼 부부 전체의 결혼만족도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교육수준, 소득 순으로 나타나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가족의 안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셋째, 남편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평등할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도 높게 나와 시사점을 준다. 넷째 아내의 경우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안정성과 복지를 항샹시키는 방안과 연구의 한계접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ocial suppor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in Bus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60 couples (30 from Vietnamese woman-Korean man couples and 30 from Filipino woman-Korean man couples)from April to October 2009, using questionnaires written by Korean, English, Tagalog, and Vietname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indicated that gender role attitudes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seemed to be egalitarian and husbands tended to be more egalitarian. Husbands got more social supports from his family and wives from friends and self-reliance groups. Both husbands and wives showed overall marital satisfaction. Second, marital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couples was affected by social supports from their husband's family, education, and income. Social supports from their husband's family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maintain a stable family life among couples. Third, gender role attitudes and educational levels were two significant variables that had impacts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at is, husbands with more egalitarian and higher education tended to show more marital satisfaction. Fourth, income and social supports from their husband's family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wives with higher income and more social support from their husband's family indicated more marital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data were suggested.

      • KCI등재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개 및 전망

        공미혜(Kong, Mee-Hae)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3

        이 글은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이 지역의 사회문화적 분위기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와 그에 따른 문제점 및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여성주의 지식은 여성주의에 입각하여 여성 또는 여성문제를 보는 관점으로 넓게 규정한다. 따라서 이 글은 부산지역 대학 부설연구소와 여성학과, 여성관련 연구원, 여성관련 단체 등이 개최한 각종 토론회, 심포지엄, 연구물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추론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주의 지식생산은 여성운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분위기와 맥락을 같이 한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이후 부산지역의 두 대학에서 여성관련 연구소가 설립되자 전문적인 여성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여성주의 지식의 전문화도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학원 과정의 여성학 전공자는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신자유주의의 확대로 인한 ‘시장화된 가부장제’에 의한 것으로 여성주의 지식의 확산을 저해하고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여성학을 접한 활동가들은 부산지역에서 여성주의에 입각한 여성단체를 설립하여 대중에게 여성주의를 널리 유포하는 기회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성운동의 제도화는 조직의 안정과 운동성의 감소라는 내부적 모순에 빠지게 하였다.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은 전체 한국사회 및 부산지역의 구조적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지만 여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동시에 보전하지 못하는 특성 또한 보이고 있다. 이는 특히 여성주의라는 새로운 지식을 중앙을 통해 수용하였던 지역의 종속성과 보수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그 태동과 확장은 수도권보다 느리고 쇠퇴는 빠르게 진행되는 자원의 부족과 조직의 불안전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망은 여성관련 단체의 자율성에 달려 있는데 자율성은 여성주의의 대중화와 지역특성의 가치를 동시에 유지, 발전시킬 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and prospects along with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e Busan area. Feminist knowledge is broadly defined as a feminist perspective of reviewing women’s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from materials of various seminars, symposiums, and research projects that centers for women’s studies and various women’s organizations have held.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is closely related to women’s movement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the 1980s, actual feminist research had been implemented and triggered after centers for women’s studies were established at two universities in Busan. However, the expansion of neo-liberalism produced a crisis in the discourse of women’s studies since the middle of the 2000s. Although women activists played a critical role in diffusing feminist knowledge to the mass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movement creates a dilemma between need for the stabil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utonomy in activism. The diffusion of feminist knowledge in Busan was affected b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collaboration between feminism and localism often led to a loss of identity among women’s organizations. Therefore the prospects for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in the future are dependent on the ways in which both popularization of feminist knowledge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maintained and developed. These efforts are essential for the autonomy of women’s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