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Soluble DDB Derivative : 수용성 DDB 유도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함태진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7 국내석사

        RANK : 2575

        DDB는 한방에서 널리 쓰이는 오미자의 유효 성분인 Schisandrin C의 합성 중간 물질로서, 만성 간염 환자의 간 기능을 회복시킨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 임상적으로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DDB는 물에 매우 난용성이므로 경구 투여시 위장관으로부터의 흡수가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수용성 DDB 유도체(DDB_S)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DB_S 물리 화학적 특성과 생리 활성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DDB_S의 (1) 간 보호 효과, (2) LD_(50), (3) 물에 대한 용해도, (4) 수용액에서의 안정성, (5) 알콜 투여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DDB_S는 사염화탄소로 간 장애를 유발시킨 흰 쥐의 AST, ALT치를 유의성있게 저하시켜 (51.3%, 62.1%),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DDB_S의 LD_(50)는 954㎎/㎏로서 주사제로 사용하기에 매우 안전함을 확인 하였다. 한편, DDB_S의 물에 대한 용해도 (20℃)는 39㎎/ml로서 DDB에 비해 월등하게 용해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양한 PH의 수용액에서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DDB_S의 수용액 중의 분해는 1차분해반응 이었으며, 알칼리성보다는 pH 2-6의 산성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함을 알 수 있었고, pH 5에서 가장 안정하였다. 장기적으로 (8주) 알콜을 투여한 흰쥐에 대해 DDB_S를 매일 경구 투여한 실험에서는, DDB_S 투여군 흰쥐의 혈청 중의 triglyceride 와 alkaline phosphatase치가 유의성있게 저하되었으며. 생존률이나 체중 변화 둥에도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 DDB_S가 알콜로 인한 간 장애에도 보호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버들여뀌(Persicaria hydropiper)의 水溶性 成分抽出과 殺충效果

        송봉준 忠南大學校 1984 국내박사

        RANK : 2571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experiment the insecticidal effects of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of Persicaria hydropiper; presenting the optimum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mponents can be extracted to great quantities through technical devices; thus making some contributions to academic development in this field by contriving a theory for extracting soluble components and by purity separation of the insecticidal components. 1.The mechanism designed for the extraction of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from Persicaria hydropiper was in conformity with the diffusion model of the sample, and the diffusibility was observed to increase in logarithmic proportion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T,20~70℃) with the resulting value of 0.7 to 2.65 x 10^-7 cm/min. 2.The water soluble components extracted from Persicaria hydropiper inflicted no harms on human body;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when applied to files and ants, the components made them dull and deadened in their motioned, and in the case of parasites like aphis, the application if the annihilation within two minutes under the concentration of 10000ppm, and within 30 minutes under that of 1250ppm. 3.As a result of purity separation of the insecticidal components from the water soluble Persicaria hyrdopiper, a new crystallized insecticide of non-peppery, light brown colored components could be obtained with the value of Rf 0.24 in addition to TLC Rf value 0.68 and 0.64. This material had not been known and its insecticidal effect wer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by this study. 4.The extracted quantity of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of Persicaria hydropiper increased in proportion of φ^0.25 to the extraction time <μ,0 ~ 12hr> within the effect range of extraction variants ; to T^1-25 under extraction temperature of T, 10-70℃, to V^3.3 under solvent volume V; 0-2, to S^a2 under agitation seed (S,50~500rpm). 5.The tested optimum conditions under which soluble components from 40/60 mesh dried, powered Presicaria hydropiper were extracted in any great quantity are as follows ; solvent volume of 500ml per 10gr sample ; extraction temperature of 70℃, 4 hours extraction time with agitation speed of 300rpm. It is noted that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some 2wt% of insecticidal components could be extra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