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윤미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01

        이 연구는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교수-학습 모형과, 그에 바탕을 둔 논술 쓰기의 절차 및 전략을 구안하여 논술 지도의 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교육은 미래의 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고등 사고 능력을 키워 줄 의무가 있고, 논술이 그러한 고등 사고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논술 교육은 중요하다. 논술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당면한 문제를 깊고 넓게 바라보고, 그 문제에 대한 자신의 성찰 결과를 사고의 순서에 따라서 논리적 방식으로 표현해 내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논술 교육은 문제 해결 과정 중심,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논술의 본질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술에 관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으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논술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논술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논술의 본질과 논술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과정 중심·대화 중심·장르 중심 쓰기 지도 이론, 학습자 중심·과정 중심 읽기 지도 이론, 그리고 독서와 작문의 통합 지도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논술 지도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고, 구안된 논술 지도 모형을 적용한 학습 지도 과정과 지도 방법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 연구의 효과와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제Ⅴ장에서는 이 연구의 연구 과정을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전통적인 결과 위주의 논술 지도에 비해 학습자의 논술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수준별로는 상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중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에게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학생들의 논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구안되고 적용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모형과 활동들이 논술 지도의 목적과 운영에 적절하고, 흥미 있고 유익하다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과 결과를 분석해 볼 때, 이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독서와 작문의 통합을 논술문이라는 텍스트 유형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독서와 작문을 통합하여 지도해야 한다는 통합 언어 교육의 관점을 수용하여 소설 텍스트 읽기와 논술문 쓰기의 통합을 논의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지도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논술 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논술 교육의 방법적 개선과 논술 지도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through the explor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s which make use of novel texts and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writing essay based on them.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has the responsibility for enhancing students' higher thinking ability in the future and informed society so there exists the significance of writing essay for which could reinforce superior thinking power. The instruction of writing essay aims to build up students' capability to recognize problems at hand with profound and extensive point of view and manifest the product of their thought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inking with logic.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eaching on writing essays should be practiced toward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and learners. This thesis makes an attempt to offer a teaching technique which is taking advantage of novel texts as a more practical and concrete method considering the essence of writing essay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questions set for this goal are the following: first, does the teaching program using novel texts in relation to writing essay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writing skills? second, does the program mentioned above affect students' writing attitude desirabl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the essence of writing essay and its advisable direction and examines such teaching theories, which would become the matrix of this study, as process, dialogue and genre-centered theory, learner and process-centered theory and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third chapter shows a model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and its procedure and describes teaching process and methods in which the argued teaching model on writing essay is applied in detail. The fourth chapter corroborates the effect of this study and its educational usefulnes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 from before and after-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ble one. Last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whole process of studying and propos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generated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teaching method which is exercised with novel text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essay skill than traditional method which mainly put the weight on result. According to a general standard the method is more helpful for middle and low-level students than high-level ones. Second, students' attitude on writing essay has effectively changed into positive way due to the teaching method which is using novel texts. In addition, learners' reponses that teaching models and activities which are examined and applied in this study including using novel texts are right for the purpose and management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interesting and beneficial could be approved. Followed the analysis of the procedure and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has meanings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of writing essay like the following: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essay is argued with focused on text type. This study embraces the view of unified language education, discusses the integration of reading novel texts and writing essays and offers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velops teaching model which takes advantage of novel texts and that this study provides concrete materials so that they could be applied in actual teaching on writing essa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of writing essay on educational spot and reconsideration of expertise on teaching on writing essay by showing the possibility of teaching which adopts novel text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Korean Language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총서 <<불멸의 력사>>의 인물 위계구조 분석 : "항일혁명투쟁시기편" 중 『1932년』을 중심으로

        최강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834

        이 논문은 총서《불멸의 력사》의 서사 분석을 통해 이 텍스트가 소설로 읽혀질 때 발생하는 이론적인 문제들을 구체화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기초적인 시도로서1932년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이 텍스트가 총서《불멸의 력사》의 첫 출간물로서 이 총서 전반에 나타나는 위계구조의 초기 형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1932년의 인물 위계구조 분석을 통해 총서《불멸의 력사》의 전반적인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 총서 전체를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고자한다. 북한에서 제작된 총서《불멸의 력사》는 문학에서의 “수령형상화” 작업을 위해 별도로 조직된 작가집단인 “4.15문학창작단”에 의해 제작되었다. 20여 권이 넘는 장편소설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이 총서는 “항일혁명투쟁시기편”과 “해방후편”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항일혁명투쟁시기편”은 “해방후편”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며 좀더 완결된 제작 형태를 보여준다. “항일혁명투쟁시기편”은 1930년대의 만주를 배경으로 수령이 15세였을 때부터 30세 때까지를 다루고 있다. 이에 속하는 장편소설들은 1970년대 초반부터 1980년대 후반에 걸쳐 제작되었다. 각 소설이 제작된 순서는 소설 속 배경이 되는 시기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으며 작가도 각각 다르다. “김일성 수령”의 “혁명 력사”를 형상화했다는 총서《불멸의 력사》에는 그동안 북한에서 소설 창작에 관련해 논의되었던 모든 모범적인 사례들이 집약적으로 활용되었다.본고의 대상 범위로 정한 “항일혁명투쟁시기편”은 총 15권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서사에는 수령을 정점으로 하여 인물들이 위계화되어 있다. 정점을 향해 위계화 된 구조의 각 단계는 성격적인 특징에 따라 수직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는 각 장편소설마다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어 있다. 서사의 진행 과정에서 수령과 수령 가계 인물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의 위계구조 내 위치는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다. 특히 긍정인물들은 처음 점하고 있던 위치보다 상위 단계로 이동하며 이는 성격의 발전 혹은 성장을 의미한다.1932년은 이 구조에 따른 인물 유형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후속으로 출간된 장편소설들의 인물은 각각 다양한 형태의 변이를 보여주지만 이 기본 틀만은 늘 그대로 유지된다. 이 위계구조에 소속되는 인물들은 전형으로 제시되는 동시에 도덕적인 모범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하는 “위계구조” 혹은 “서열”의 개념은 루카치의 용어와 다르다. 위계구조 내에서 최고의 서열을 차지하는 인물은 수령으로서 수령은 가장 모범적이지만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유일한 정점으로 존재한다.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모범은 수령 이하 긍정인물들로서 이들은 각 계급의 전형으로 표방된다. 서열은 인물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데, 서열이 지정되는 데 가장 결정적인 기준은 수령과의 거리이다. 인물들은 서사의 모든 요소들이 정렬되어 있는 방식을 가시적(可視的)으로 드러내 준다.서사의 모든 요소들은 위계구조 내에 소속되어 그 영역이 뚜렷이 구분되고 서열화되어 있다. 공간은 전방이 후방보다 상위 서열을 차지하며 시간은 미래가 현재보다, 현재가 미래보다 상위를 차지한다. 긍정인물 영역 내부의 가장 선명한 분할은 수령과 긍정인물이며 수령은 긍정인물보다 상위에 있다. 서사 요소들의 위계화된 정렬방식은 지식인들이 회의(會議)를 진행하는 동안 비지식인들이 엄호(掩護)하는 구도로 상징될 수도 있다. 이 회의-엄호의 구도는 서사 전반에 걸쳐 확대되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된다.긍정인물과 부정인물은 민족적 구획과 계급적 구획을 기준으로 분리되는데 민족적 구획은 계급적 구획보다 더 강력하다. 혈통은 이 두 구획의 핵심적인 기준으로서 서사 전반에 걸쳐 일상적으로 전제되어 있으며 인물의 소속과 성격적인 성장 가능성을 선천적인 문제로 만든다. 민족적 구획은 예외가 없지만 계급적 구획은 수령과의 좀더 긴밀한 관계가 설정되면 상쇄되기도 한다.서사에서 수령은 모든 문제의 해결사이고 긍정인물은 수령을 통해서만 자기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수령 가계인물은 수령과 긍정인물을 이어주는 완충 역할을 한다. 수령은 도달할 수 없는 정점으로서 근대 이전 서사시의 영웅적 주인공을 닮아있다. 긍정인물은 수령과의 직접적인 관련성만 제외한다면 시련을 통해 결함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근대 이후 소설의 주인공에 근접해 있다. 이처럼 이 서사에는 근대 이전과 이후의 서사적 영웅상이 혼재되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혼재 양상은 이 텍스트의 장르 문제를 고민하게 하는 요인의 하나가 된다. 그밖에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서사적 특성들은 이후 “항일혁명투쟁시기편”에 속하는 다른 텍스트들과의 연속선상에서 유형별로 살펴보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총서《불멸의 력사》는 북한에서 소설의 모범으로 평가되는 서사인 만큼 이 서사 전체를 분석하는 것은 북한소설 전반의 특징을 추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이 다른 사회주의 소설과 갖는 관련성을 고찰하는 데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Bulmyuley-yuksa(The History of Immortality)' is group of novels about Kim Ilsung''s revolutionary history from 1930''s till now. “Bulmyuley-yuksa” is extended to over 20 volumes till now. The best example of writing novels in Republic of North Korea is found in “Bulmyuley-yuksa”. “The year of 1932”(published in 1972) is the first volume of “Bulmyuley-yuksa”. Of 15 novels of “Bulmyuley-yuksa” including “The year of 1932”, Kim Ilsung is the leader of struggle with Japanese colonialism. “The year of 1932” shows the basic pattern of major characters of “Bulmyuley-yuksa”.In “The year of 1932” there are a number of positive characters and their leader, Kim Ilsung. Kim is the only leader of all fighters against Japanese colonialists. Positive characters organize a pyramidal class structure. In my study ‘hierarchical structure’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hat of G. Lukacs. Kim Ilsung holds the highest status in the structure and there is ‘Styx’ between him and other positive characters. That is to say any positive characters cannot compete with the one and only leader, Kim. With presence of Kim, they cannot but worship and submit to him although they have their own personalities. Kim is a man of great virtue and supreme wisdom and people are willing to ardent admirers of him in the novel. In the class structure class ranking is laid down by how far they are from Kim. The closest people to Kim take the highest status in th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small group of negative characters cannot proceed in positive characters'' group. Bourgeoisie including all Japanese colonialists(even though they are proletariat) consist of group of negative characters.In “The year of 1932” Kim settles every problem and people reach a solution with the strong support of him. Kim''s families introduce people to ask him for help. The one and only head, Kim is similar to a hero in epic but other people are similar to heros of modern novel. The ambiguity in characters makes the genre of “Bulmyuley-yuksa”( including “The year of 1932”) puzzling- heroic epic or historical narrative.

      • 고소설 전문(全文) 읽기 교육 방법 연구

        이은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15561

        본 논문은 고소설 교육에서 작품 부분 수록 방식, 부분 중심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문 읽기의 필요성을 확인했으며 고소설 전문을 읽는 수업 방식을 고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고등학교 현장의 고소설 교육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2011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Ⅰ, 국어Ⅱ, 문학 교과서의 고소설 작품 수록 방식을 검토했다. 그리고 현장의 고소설 교육 실제를 확인할 방법으로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의 고소설 수업은 전체가 아닌, 작품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장에서는 부분 중심 교육의 다양한 한계와 문제점을 검토했으며 부분만을 학습하는 것이 작품에 대한 이해를 저해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부분 수록된 교과서 수업을 한 학생들의 고소설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작품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불가능함을 확인했다. 결국 현행 방식의 문제로 인해 전문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전문 읽기 수업을 설계했다. 정규 수업과 보충 수업으로 나누어 설계 및 실행하였으며 수업 후 학생들의 작품 비평문을 수집하여 이해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전문을 읽은 학습자의 작품 이해가 부분을 읽은 학습자보다 뛰어남을 확인하고 전문 교육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학교 수업에서 고소설 전문 읽기는 불가능한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실제적이고 현장중심의 구체적 수업 방안을 설계한 것이 이 연구의 방향이다.

      • 텍스트 임베딩 및 장르 취향 벡터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웹소설 추천시스템

        차연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99483

        This paper deals with a hybrid web novel recommendation system that uses both text embedding and genre preference vector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Web novel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genre literature and web media, so understanding the genre is essential for web novel recommendation. Accordingly, a text embedding vector was created so that the genre and plot of each novel could be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result, and a genre preference vector was created and utilized to reflect the preference of users who consume web novels. In this process, among TF-IDF, Doc2Vec, and SBERT, we explored which embedding method is most suitable for the web novel recommendation model and a hybrid method was also tested to improve recommendation result. Therefore, we proposed a hybrid model that calculates the final predicted ratings through the weighted average between the two ratings of different recommedation model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 the text embedding method, Doc2Vec showed superior performance and was selected as the final embedd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bas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ext embedding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but when a hybrid between the two recommendation model was attempted,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For this reason,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using text embedding can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aseline recommendation system rather than being used as a single model. Next, in the cas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genre preference vector, it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mod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re preference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Finally, the final hybrid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a single model and showed that the hybrid method combining text embedding and genre preference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eb novel recommendation model. 본 논문은 웹소설의 장르소설적 특성을 반영하고자 작품 설명 텍스트 임베딩과 장르 취향 벡터를 함께 활용한 하이브리드 웹소설 추천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웹소설은 장르문학과 웹 미디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장르의 중요성이 큰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각 소설의 장르 및 줄거리를 추천 결과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작품 설명 텍스트 임베딩 벡터를 생성하였으며 웹소설을 소비하는 사용자들의 취향 또한 반영하기 위해 장르 취향 벡터를 만들어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TF-IDF, Doc2Vec, SBERT 중 웹소설 작품 설명 텍스트에 가장 적합한 임베딩 방식은 무엇인지 탐구하였으며, 추천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사도 단계와 예측 평점 단계에서 가중평균을 통한 모델 간의 결합을 시행하여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 방식을 실험하였다. 따라서 아이템 간 유사도 기반 추천시스템과 사용자 간 유사도 기반 추천시스템에서 각각 예측 평점을 구하고 두 평점 간의 가중평균을 통해 최종 예측 평점을 산출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텍스트 임베딩 방식으로는 Doc2Vec이 다소 우세한 성능을 보여 최종 임베딩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한편, 텍스트 임베딩을 활용한 콘텐츠 기반 추천시스템은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보다 낮은 성능을 보였으나 두 추천시스템 간의 하이브리드를 시도하자 성능이 개선되었다. 이로 인해 텍스트 임베딩을 활용하는 방식은 단일 모델로 활용되기 보다는 베이스라인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어서 장르 취향 벡터를 활용한 추천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단일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면서 장르 취향이 각 사용자의 주요 특성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종 하이브리드 모델이 단일 모델 등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면서 텍스트 임베딩과 장르 취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웹소설 추천 모델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이해조 문학 연구 : 근대 출판 인쇄 매체와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배정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967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소설의 형성 과정에서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던 작가 이해조의 문학 세계를 근대 출판ㆍ인쇄 매체와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해조의 작품들은 다수의 신소설을 중심으로, 한문현토소설, 번역소설, 토론체 소설, 판소리 산정(刪正), 한시, 역사소설, 가곡집 편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채로운 문학적 편폭을 보여준다. 또한 이해조의 문학 활동은 신문ㆍ잡지ㆍ단행본 등 새롭게 형성된 근대 출판ㆍ인쇄 매체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문ㆍ잡지ㆍ단행본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에 수록된 이해조 문학이 각 매체의 특성과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해조는 잡지 ??少年韓半島??에 한문현토소설 ?岑上苔?를 연재하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岑上苔?는 ??少年韓半島??가 목표로 한 ‘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삼아 매체의 담론을 소설이라는 양식으로 재현하고자 했다. ??帝國新聞??으로 자리를 옮긴 이해조는 ?고목화?, ?빈상셜?, ?원앙도?, ?구마검?, ?홍도화?, ?만월??, ?쌍옥??, ?모란병?까지 총 8편의 작품을 연재하였다. 이들 작품은 1907년 5월 ??帝國新聞??의 체제 변화 및 지면 배치와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이루어졌다. 이해조는 ‘연극’ㆍ‘정치’ㆍ‘가정’ㆍ‘정탐’ 등 표제 선택을 통해 적극적인 소설 실험을 시도했으며, 가정에서의 ‘풍속개량’에 주력했다. 또한 다양한 층위의 독자를 유인하고, 이를 새로운 소설 독자로 견인하고자 하였다. 이후 이해조는 ‘대한협회’의 기관지 ??大韓民報??에 ?顯微鏡?, ?萬人傘?, ?薄情花?를 연재하였다. 이들 작품 역시 ??大韓民報??의 특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데, 현실 세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주를 이루며, 등장인물이 지닌 내부적 욕망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단행본으로 출판된 ??華盛頓傳??, ??鐵世界??, ??自由鐘??은 이해조의 교육ㆍ계몽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더욱 직접적인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10년 8월 한일병합 직후 이해조는 총독부 기관지 ??每日申報??에서 지속적인 작품 연재를 시작하였다. 1912년 이전에 연재된 ?花世界?, ?月下佳人?, ?花의血?, ?九疑山?, ?昭陽亭?은 모두 남성 중심의 보수적 가치의 재현에 치중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작품은 기존 작품과는 달리 의고적(擬古的)이며 효(孝), 충(忠), 우애, 정절과 같은 유교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5호 활자의 개발과 1912년의 체제 변화는 이해조 소설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1912년 1월부터 1면에는 판소리 명창의 구술을 ‘산정(刪正)’한 ?獄中花?, ?江上蓮?, ?燕의脚?, ?兎의肝?이, 4면에는 신소설 ?春外春?, ?彈琴臺?, ?巢鶴嶺?, ?鳳仙花?, ?琵琶聲?, ?雨中行人?이 차례로 연재되었다. 판소리 산정의 경우 구극 개량과 관련이 있으며, 전통적인 구술 텍스트를 근대적인 독서물로 변환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신소설의 경우 삽화를 도입하여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였으며, 식민주체의 담론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포하려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식민주체의 담론과 충돌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서사 내적 균열과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每日申報??를 퇴사한 이해조는 주로 고향인 포천에 머물며 몇 편의 단행본을 출간하였다. 서양추리소설을 번역한 ??누구의 죄??, 전통 가곡을 정리한 ??(精選)朝鮮歌曲??, ‘역사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洪將軍傳??과 ??韓氏報應錄??, 기생의 자살이라는 당대적 이슈를 소설화한 ??(女의鬼)康明花實記??와 ??(女의鬼)康明花傳??이 그것이다. 이들 단행본은 모두 신소설이 아니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며, 작가의 다양한 문학적 관심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결국 본 연구는 근대 초기 가장 왕성한 문학 활동을 했던 작가 이해조라는 개인의 삶과 문학 활동을 근대 출판ㆍ인쇄 매체와의 관련 속에서 살피고자 했다. 이는 해석 주체가 지닌 과도한 규정력을 경계하고,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작업을 통해 이해조 문학의 자리를 있는 그대로 복원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단순히 한 작가에 대한 작가론적 탐색 자체에 머물지 않으며, 문제적인 한 개인의 삶과 작품 세계를 통해 근대 소설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피기 위한 일이 되었다.

      • 서사 텍스트를 활용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조영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601

        본 연구는 ‘치료’의 의도를 가지고 교사가 학습자를 돕기 위해서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독서치료 과정에 적용하여 서사 텍스트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여 독서치료의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서사 텍스트에서 서사(敍事)의 본질과 핵심은 인간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독서치료는 서사 텍스트를 통해 다양한 등장인물을 만나고 ‘나’의 서사를 점검함으로써 건강한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을 읽는 것은 우리의 뇌가 활기차게 운동을 하는 과정이며 반복된 읽기는 심적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학습자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국내 독서치료 연구는 2000년을 시작으로 문헌정보학, 아동학, 교육학 순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발달적, 예방적 독서치료 유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학문 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독서치료와 관련한 학위논문은 간호학과, 아동학과, 문헌정보학과, 교육대학의 상담심리학과에서 소수 배출되고 있는 정황이다. 최근에는 독서의 효용성이 위기 상황을 극복해야 하는 새로운 시대적 요청과 맞물려 의학적 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1인 미디어 시대에 텍스트의 기능이 상실한 것처럼 보이지만 독서의 의미를 치료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현실을 파악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독서치료와 연계하고 나아가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수업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체 텍스트 내에서 치료 요소에 해당하는 부분들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이론과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Ⅱ장에서는 Gilles Fauconnier와 Mark Turner가 개발한 개념적 혼성 이론의 기본 요소와 본질 및 구성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개념적 혼성은 강력한 인지 과정을 이용해 언어의 의미구성 방식을 다루는 인지언어학의 한 가지 방법론이다. 먼저 개념적 혼성은 입력공간 구축, 공간횡단 사상, 투사로 이루어지며 이때 입력 공간들 사이에서 부분적 공간횡단 사상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다시 입력공간에 공통된 총칭공간에 의해 한정된다. 그 다음에는 입력공간의 요소들이 혼성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사되어 새로운 발현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를 개념적 통합 연결망이라 하며 이러한 발현구조는 의미구성의 실마리가 되어 입력공간, 총칭공간, 혼성공간이라는 하나의 망을 형성한다. 그리고 독서치료의 인지적 기반 이론인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으로, 주관성의 개념을 객관성과 관련해 설명하고, 주관화 모형을 제시하여 독서치료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주관화에 이르는 후기모형은 ‘초기 객관적인 형상➝약화1➝약화2➝주관화’ 과정으로 나아가며 초기 학습자의 태도나 변화에 주목할 때 내면의 ‘갈등’은 점차 약화의 과정을 거쳐 초점화자는 ‘나’에 도달한다. 직접 범위 안에서 개념화자가 빠져나왔을 때 치유의 효과가 있다. 다음 장에서 연구자는 전체 텍스트 내에서 치료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을 적접범위로 정하여 학습자의 상황과 일치시켜 볼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텍스트를 상상력 확장을 위한 전래동화,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동화, 인성교육을 위한 성장소설까지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치료적기능과 치료과정을 전개하였다. ‘전래동화’ 두 편은 개념적 혼성이론에 적용하고 치료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족동화의 대표 텍스트, ‘너도 하늘 말나리야’와 성장소설의 대표 텍스트, ‘자전거 도둑’은 래내커의 주관화 모형에 대입시켜 보았다. 그 결과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의 독서치료 원리가 통합의 단계에 이르고 결국 학습자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켜 문제해결능력까지 기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들이 초기형상에서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왜, 나만 이렇게 힘든 걸까’라고 자기의 당면 상황을 객관적으로만 해석하던 학습자는 적극적인 심적 활동 과정에 참여하면서 갈등요소가 약화되어 주관화의 단계에 도달한다. 제Ⅳ장에서는 Ⅱ장에서 논의한 독서치료의 원리와 독서치료에 적합한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학습자에게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을 촉진하는 발문을 구성하였다. 적절한 발문은 치료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체계적인 발문은 학습자의 반응을 쉽게 이끌어낼 수 있다. 발문유형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발문 유형,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에 기초한 발문 유형, 심리역동에 기초한 발문 유형까지 책을 읽음으로써 느낌과 깨달음으로 이어져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제Ⅴ장은, 독서치료적 관점이 학교 현장에서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는 사례들을 마련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독서치료는 교사와 학습자가 일대일 관계로 만났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일대일로 만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에 독서치료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적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 내기 위해서는 일대다(1:多)의 수업형태에서도 치유적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텍스트를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reading therapy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narrative texts applying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o the reading therapy process for teachers to help learners with the intention of ‘treatment’. In the narrative text, the essence and core of the narrative is the human relationship. Therefore, reading therapy can be said to restore healthy human relationships by meeting various characters through narrative texts and examining the narrative of ‘I’. Reading a book is a process in which our brains exercise vigorously, and repeated reading can change the learner's life by affecting mental changes as well. The study of reading therapy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in the ord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ldren's studies, and education since 2000, and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reading therapy types have been the main focus. However, in Korea, the link between disciplines is not well established, so the dissertations related to reading therapy are being produced in small number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Children's Stud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Recently, the utility of reading has been highlighted as a medical value in line with the demands of a new era to overcome crisis situations. Although it seems that the function of text has been lost in the era of single-person media, studies that approach the meaning of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eatment are constantly in progress. By grasping the reality of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linking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with reading therapy, and furthermore, suggesting a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In the whole text,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therapeutic elements were focused on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In Chapter II, the basic elements, essence,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of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developed by Gilles Fauconnier and Mark Turner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Conceptual hybridization is a methodology in cognitive linguistics that deals with the way in which language constructs meaning using powerful cognitive processes. First, conceptual hybridization consists of input space construction, trans-space mapping, and projection. At this time, partial trans-space mapping is made between input spaces, which is again limited by the generic space common to the input space. After that, the elements of the input space are selectively added to the hybrid space to form a new expression structure, which is called a conceptual integrated network. This expression structure serves as a clue to construct meaning and becomes a single network of input space, generic space, and hybrid space to form. Then, the concept of subjectivity was explained in relation to objectivity with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which is the cognitive-based theory of reading therapy, and the process of reading therapy was explained by presenting a subjectivization model. The late model leading to subjectivization proceeds to the process of 'initial objective form➝weak1➝ weak2➝subjectivity'. There is a healing effect when the conceptualizer comes out of direct scope. In the next chapter, the researcher will se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element within the entire text as the direct range and try to match it with the learner's situation. In Chapter III, each type of text for reading therapy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fairy tales for imagination expansion, family fairy tales for relationship recovery, and growth novel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each therapeutic function and treatment process was developed. Part 2 of 'Traditional Fairy Tales' was applied to the conceptual hybrid theory and set the treatment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representative text of a family fairy tale, 'You're the sky, too' and the representative text of a growth novel, 'Bicycle Thief', were substituted into Laneker's subjectiviza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les of reading therapy of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reached the stage of integration, and eventually evoked empathy in the learner to develop problem-solving ability. Learners who objectively interpret their immediate situation, such as 'why, only me,' and 'why, is it so difficult for me' in the initial form reach this stage. In Chapter IV, the principles of reading therapy discussed in Chapter II and guidance methods suitable for reading therapy were devised, and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to promote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in learners. Appropriate questioning has a therapeutic effect, and systematic questioning can easily elicit the learner's response.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type was to show a therapeutic effect by leading to feelings and realization by reading a book, from the questionnaire type based on psychological dynamics, the question type centered on the text, and the question type based on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text and the learner. Chapter V prepares cases in which the reading therapy perspective can be applied meaningfully in the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reading therapy can be most effective when teachers and learners meet in a one-to-one relationship,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eachers and learners cannot meet one-on-one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n order to devise a reading therapy teaching-learning method by applying the reading therapy perspective to school education, we need to find a widely applicable and flexible text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healing function even in a one-to-many (1:many) class format

      • 근대계몽기 국어 의향법 연구

        신효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69

        본 연구는 근대계몽기에 저작?출간된 논설, 잡보, 문학적 서사에서 의향법을 실현하는 어미의 빈도를 조사하여 텍스트 장르(사용역)와 의향법 실현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 시기의 의향법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근대계몽기의 의향법의 실현 양상을 살피는 데 있어서, 대한매일신보의 순한글판과 국한문판의 논설과 잡보, 신소설, 역사전기소설을 입력한 전자화된 텍스트(각 약 2만 어절, 총 약 13만 어절)를 대상으로 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택하고 있다. 2장에서는 의향법의 실현 양상에 대한 논의를 하기에 앞서 의향법과 상대높임법 범주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 6장까지는 의향법을 서술법?의문법?명령법?청유법으로 구분하여 각 장에서 해당되는 의향법을 나타내는 어미의 목록과 빈도, 비율, 점유율을 제시하고, 실제 용례를 통하여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정리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