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종사원 CSR신념의 불일치성이 카지노 접점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강시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은 전 세계적으로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많은 이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윈-윈' 경영전략으로써 대부분 수행하고 있다. 때문에 기업의 CSR 활동이 순수한 선행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동시에 지속되고 있다. 이를 통해 발생하는 CSR 회의주의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카지노 조직과 종사원의 CSR 신념의 불일치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실증 연구함으로써 카지노 산업의 인적관리 전략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검토를 통해 조직과 종사원 간의 CSR 신념 일치성 그리고 조직 동일시와 종사원의 행동인 조직시민행동과 심리적 웰빙에 관한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에 연구하지 않았던 조직과 종사원 간의 CSR 신념의 불일치성에 따른 영향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객 접점 부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카지노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수집된 자료 290개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적합도를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종사원 간 CSR 신념 불일치성은 조직 동일시에 직접적이며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시민행동과 심리적 웰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조직 동일시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과 심리적 웰빙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 동일시가 조직-종사원 간 CSR신념의 불일치성과 조직시민행동, 심리적 웰빙에 있어 매개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카지노 종사원 개인의 CSR신념을 측정하여, 조직과 종사원 간의 CSR 신념의 불일치성을 종사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접목시켜 인적자원 관리 분야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를 통해 CSR신념 일치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조직과 종사원 간의 CSR신념의 일치성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become a global concern, and companies are mostly implementing it as a "win-win" management strategy that can generate a lot of profits. Therefore, the debate over whether a company's CSR activities are carried out as pure good deeds continues at the same time. CSR skepticism arising from this can negatively affect not only consumers but also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impact of inconsistency between casino organizations and employees' CSR belief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useful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human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casino industry by empirically study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ummarized the concept of CSR belief consistency betwee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are employee behaviors, and studied the impact of the inconsistency of CSR beliefs betwee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that were not previously studi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asino employees currently working in the customer contact department, and 290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suitability to derive the results. First, organization-employee CSR belief inconsistency directly and nega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inconsistency of CSR beliefs betwee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field by measuring the CSR beliefs of individual casino employees and grafting the inconsistency of CSR belief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to the effect on employee behavior.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show the importance of consistency of CSR beliefs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consistency of CSR beliefs betwee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 프랜차이즈CSR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 역할

        이경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행위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태도도 급격히 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화의 급진전, 환경문제의 심각성 등으로 현대의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를 넘어서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책임의 수행을 요구받고 있다. 프랜차이즈 산업이 성장하고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프랜차이즈 기업의 투명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지만 아직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부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을 접목해 프랜차이즈 기업 성과의 핵심조건인 본부 종업원의 직무태도와 조직유효성에 필요한 변수들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프랜차이즈 CSR이 실질적인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경제적․법적․윤리적․박애주의적 CSR의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한 뒤 각각의 요인들이 종업원의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구성하는 다양한 차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CSR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은 조직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R의 네 가지 차원 중에서 경제적․윤리적․박애주의적 CSR이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박애주의적 CSR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법적 CSR은 상대적으로 관련도가 낮아 기각되었다. CSR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윤리적 CSR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경제적․법적․박애주의적 CSR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CSR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아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된 것으로 보이며, 회귀분석에서는 CSR의 네 가지 요소 중 법적 CSR만 제외하고 경제적․윤리적․박애주의적 CSR과 긍정적인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랜차이즈 CSR은 조직신뢰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며, 조직신뢰는 직무만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CSR은 조직신뢰를 통해서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업원의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이타적 행동, 공익성, 정당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종업원의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의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차원 중 정당한 행위와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으며, 이타적 행동, 공익성이 다음으로 연관성이 높았다. 셋째, 프랜차이즈 CSR은 기업의 규모나 역사, 가맹점 숫자 및 종업원 수, 브랜드 명성에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종업원의 조직신뢰, 직무만족 등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걸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규모에 무관하게 모든 프랜차이즈 기업에서 CSR의 적극적인 실행이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The Impact of CSR-Related ISO Standards on China’s Trade Activities: A Comparative Study on ISO 9001 and ISO 14001

        Yanting, Yin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been traditionally seen as a socially valuable firm activity that is not required by law. CSR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business, and the economy. In recent years, being a socially responsible company is much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Rexhepi et al., 2013). With the increase of attention to CSR, scholars have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CSR standards. CSR standards are wid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imed at advancing the social, ethic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De Colle et al. 2014). Despite CSR standards also increasingly appearing in the public eye,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CSR standards. According to De Colle et al. (2014), CSR standards mainly include nine international standards: namely ISO 14001, ISO 9000, SA 8000, AA 1000, Ethical Trading Initiative (ETI), UN Global Compact, Responsible Care, and GRI Guidelines. However, only three of these standards are tested in the form of certification schemes: ISO 9000, ISO 14001, and SA 8000. To fill the gap for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ISO standards, this study mainly explores the role of social responsibility-related standards in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ISO standar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30 countries from 2018 to 2020. We take China as a home country and employed informal institutional distances as a moderating variable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CSR-related ISO standards on trade activ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l institutional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 standards and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hypotheses were tes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A 17.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ISO 9001 has a greater impact on China-based trade activities than ISO 14001, and informal institutional distance positive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ISO 9001 and China’s trade activities. Additionally, to make the empirical results more comprehensive, we also compiled trade data from various countries and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As a result, we confirm that CSR-related standards have impacts on trade activities, but for different countries, the criteria for impact are different. We believe that our research contributes to future academic research and the operation of international business. In academics, our research not only promotes CSR research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business but also fills the gap in empirical studies on CSR- ISO standard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distance in our research also provide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on institutional theory or institutional distance. In practice, our study also provides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CSR-related ISO standards can be viewed as an implicit institutional standard between countries, a factor that cannot be ignored for MNEs. This is also a crucial signal for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operations. An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our research also implies that cultural factors cannot be ignored, which can serve as a reminder of international management.

      • 기업의 CSR활동과 고객의 소비경험이 고객의 기업태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CSR 활동과 고객의 소비경험이 고객의 기업태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CSR 활동의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고객들의 소비경험 요인을 추출하여 고객의 태도와 재구매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기업에서 계획하고 있는 CSR 활동과 소비경험 관리에 일정한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의 CSR 활동은 기업의 태도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를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는 CSR 활동의 어떠한 성과 요인이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본다. 둘째, 소비자의 소비경험은 기업의 태도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를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경험 중 어떠한 요인들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째, 이러한 소비경험과 CSR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소비자의 태도가 재구매 의도에 어떻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theImpact of Consumption Experiences and Company CSR on Customer Company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 Next, this study is supposed to show which factors are affecting the consumer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by the CSR and Consumption experience. 1st, Company CSR is positive affecting the consumer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2nd, Consumption Experienc is positive affecting the onsumer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Key Word: CSR, Consum Experience, Repurchase intention, Attitude

      • 기업의 CSR 활동 여부와 적합성이 공중의 위기 상황 귀인 및 책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식품기업의 위기상황에서

        김지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위기 발생 시 기업이 행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과 위기의 관련성 여부가 기업의 위기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얼마나 상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먹거리 기업인 ‘롯데리아’의 햄버거 내 이물질 발견 이라는 위기 상황을 제시한 후 CSR 활동을 위기 관련성 높은 경우와 위기 관련성 낮은 경우의 두 가지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남녀 비율과 연령 분포를 고려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자 성인 20~40대 일반인 231명을 대상으로 3월 22일부터 4월 3일 중 3차례 11세션으로 나누어 실시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대상자 231명은 세 그룹으로 나뉘어 그룹에 따라 CSR 활동 無*위기상황(식품 내 이물질), 위기와 관련성 높은 CSR 활동 有*위기상황(식품 내 이물질), 위기와 관련성 낮은 CSR 활동 有*위기상황(식품 내 이물질)의 세 가지 버전 중 하나의 기사를 읽고, 위기 귀인 인식에 대한 문항(지속/일시 여부, 통제 가능 여부, 소재 내/외부, 책임성 유무), 기업태도 (호감/신뢰/구매의사), CSR 빈도, 신뢰 정도에 관한 문항과 CSR 활동 적합성(전문성 유무, 연관성 유무, 순수성 여부) 에 관한 문항에 응답하였고, 그 결과, 위기와 관련성 높은 CSR 활동을 하는 경우가 위기와 관련성이 낮은 CSR 활동을 하는 경우에 비해, 그리고 CSR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위기발생 시 통제귀인 및 기업 책임 귀인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위기 발생 시 기업 귀인을 낮추기 위해서는 위기와 관련성 낮은 CSR 활동 보다는 위기와 관련성이 높은 CSR 활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위기와 관련성 높은 CSR을 하는 경우가 위기와 관련성이 낮은 CSR을 하는 경우에 비해, 그리고 CSR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위기발생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위기 발생 시 기업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CSR 활동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기와 관련성이 높은 CSR 활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effects of CSR which is handled for offsetting the crisis impacts on company and the effects of CSR which is fitted for the crisis offsetting. For the results, I analyze two types of CSR which is associated with crisis. First type of CSR is very low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Then, the second type of CSR is very high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The crisis was about the consumer claim of impurity in chicken burger of Lotteria. I do the survey from 22nd March to 1st April with 231 adults. I divided 231 adults into 3 groups. First group read the news paper which is written just about the crisis, and the second group read the news paper which is written about the crisis and the lower level of CSR of the company. Lastly, the third one read the news paper which is written about the crisis and the higher level of CSR of the company. Each group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the attribution, attitudes to company, and other questions. As a result, the second type of CSR which is very high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effects more off-setting the bad effects especially in case of controllability, responsibility parts to company than the first type of CSR which is very low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In addition, the second type of CSR which is very high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effects to have off-setting negative attitude to company than the first type of CSR which is very low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So, company needs to do the CSR which is very high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than do the CSR which is the lowly associated with the crisis.

      • CSR유형이 악한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이주영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CSR유형이 악한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농산물과 주류를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며 CSR활동은 기업의 필수적인 활동으로 여겨졌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비용을 더 지불하더라도 CSR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을 구입할 것을 밝혔다. 이는 기업이 CSR의 마케팅적 효과를 인식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CSR의 유형과 판매기업의 제품성격에 초점을 두고 CSR유형이 악한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연구결과, CSR유형에 따라 악한제품, 선한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악한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후원활동 보다는 소비자가 참여할 수 있는 대의연계마케팅이 더 기업의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반대로 선한제품의 경우 대의연예마케팅 보다 후원활동이 더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 Strategic CSR and its applicability in practice : a perception from institutional isomorphism

        김소영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diverse global problems on the rise, the role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has been highlighted. Various area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ve been explored. The attempt to manage CSR in a strategic way has been discussed thus bringing out ‘strategic CSR’. However, the reality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Rather there shows a sign of homogenization of CSR. It is dealt as a separate issue aside from the operation of business. This thesis focuses on explaining the converging and homogenization phenomenon through an institutional framework. Star Alliance has been used to explain how convergence of CSR occurs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Legitimacy’, ‘implicit external forces’ and ‘uncertainty’ is examined in the environment Star Alliance is laid in as those are the factors that arouses institutional isomorphism. Lastly, this thesis searches for possible ways for distinction in the case of the aviation industry. The case of Betapharm is introduced, where CSR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create value for the firm have been introduced. This is followed by the situation the aviation industry is laid in. Keeping in mind the value creation Betapharm has accomplished, this thesis concludes that the aviation industry can use the two environment related situations 1) Other transportation methods emit less Carbon Dioxide and 2) Most of the cause for plain flights are business reasons. Airline that uses these given situations in a strategic way have a chance of freeing themselves from the isomorphism of CSR practices. Keyword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Strategic CSR, Institutional Isomorphism, Aviation Industry

      • 호텔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지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종업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현상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호텔기업에서 실시하는 CSR활동 중 종업원 참여 활동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일관적인 검증결과를 보이지 못한 CSR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호텔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 동일시를 매개로 하는지 살펴보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의 전략적 CSR활동과 이를 인적자원관리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5년 10월 21일 – 11월 9일까지 약 3주에 걸쳐 배포된 설문지는 CSR활동 참여 여부, 정도, 조직 동일시, 조직몰입 등에 대한 문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배포한 설문지 300부 중 24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호텔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조직 동일시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CSR활동에 대한 종업원 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조직 동일시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을 보자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 첫째, 기존의 연구들이 기업의 CSR활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서 종업원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CSR활동 참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이론적 관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 종업원의 참여에 대한 연구들도 그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다시 한 번 CSR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참여가 조직몰입과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둔다. 셋째, 본 연구는 CSR활동의 효과 측정을 넘어, CSR활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접근법과 이데 따른 효율성을 논해야 할 시점으로 보고, CSR활동의 한 유형으로 종업원의 참여를 통한 활동에 주목하여 이것이 기업과 종업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차원의 논의를 이끌어 낸 것에 의미를 둔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종업원의 CSR참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호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전략 수립 시 종업원의 참여를 체계적으로 유도하여 시행할 경우 누릴 수 있는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CSR활동 참여를 통해 종업원의 조직몰입을 강화시킴으로 기업의 이미지 뿐 아니라 내부이해관계자인 종업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더욱 의미 있는 기업의 투자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셋째,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시되는 호텔 산업 군에서 종업원의 CSR활동 참여를 분석하여, 종업원의 참여와 이에 따른 영향을 이해할 수 있게 기여하였다. Upon observation of the phenomena that many corporate entities actively involve employees in their CSR activities,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ies of employee participation on CSR activities along with previous studies. As previous studies are showing inconsistent results on the effect of employee participated CSR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confirm this effect. Als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participation in CSR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nalys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on strategical CSR activiti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increased return on CSR investment upon expected results to show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 commitment.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48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s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long with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employee participation on CSR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loyee participation on CSR activities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 identification. It also shows that organization identification e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in a positive way, and that organization identific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participated CSR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are meaningful because unlike previous CSR studies that focus on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itself, the current study focus on employee participation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lso, considering the inconsistent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employee participation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is study reconfirms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lso organization identification. This study can also enrich the existing studies by providing a lead to a positive discussion on employee particip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hospitality corporate entities can strategically use CSR activities to increase employe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ximize the return from CSR investments. Last, this study will also help comprehend employee participation in CSR activities and it’s effect focused on the hospitality industry wher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especially important.

      •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SR활동에 대한 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HUIYIY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과 사회 모두에 기여하는 중요한 활동으로서 대두되어 왔다. 때문에 학계를 비롯한 사회 각계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CSR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행위 수행이 기업의 장단기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같은 거시적 수준에서 진행되었으며, 미시적 수준인 “CSR이 중요한 이해관계자인 종업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CSR 귀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또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체성 이론 및 귀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 연구를 통해, 종업원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종업원의 태도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를 식별하려 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조직 동일시, 그리고 CSR 귀인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여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제시했다. 통계 분석 도구로는 SPSS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은 조직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조직 동일시 간의 영향 관계에서 CSR의 이타적 귀인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기적 귀인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이타적 귀인 수준을 함께 향상시킴으로써 종업원의 조직 동일시를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관리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수준을 높이고 CSR의 이타적 목적을 강화하며, 동시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홍보와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중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lays a vital role in both the enterprise itself and the society. Therefore, how to push enterprises carry 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one of the most prominent concepts in the literature and indicates the positive impacts of businesses. Previous studies discuss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on the long-term and short-term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and the impact on consumers from the macro level, however, are often unaware of the impact from the micro level, especially for employees. Meanwhile, i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how CSR perception influence CSR attribution and how CSR perception of affects employee’s attitude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attribution theory,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es perceived influence work attitude. And it identifies how the moderating variable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employee attitudes.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SR attribution related literature,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oretical hypotheses were made. SPSS 23.0 was used as a data processing tool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the main research conclusions are: (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identity. (2) The moderating role of CSR altruistic attribution regulates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following management suggestions are proposed: managers should improve the level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trengthen the altruistic purpose of behavior which can enhance employe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level and recognize the altruistic purpos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cultivat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의 CSR활동 추진동기 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적 접근

        백세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의 CSR활동 추진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관계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점점 각박해지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CSR, CSV, 사회적 가치 경영 등을 적극 수용하고 있으나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를 올리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구성원이 인식하는 CSR활동 추진동기요인에 따라 직무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고, 이와 함께 CSR활동 추진동기 인식과 직무성과 사이에 관계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CSR활동 추진동기는 ‘가치지향적 동기’,‘이해관계자지향적 동기’,‘전략적 동기’,‘자기본위적 동기’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고, 사회자본은 미시적 차원의 연구인 본 연구의 성격에 맞추어 ‘관계적 자본’을 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조직시민행동은 ‘이타적 행동’과 ‘신사적 행동’으로 나누어 구성원이 인식하는 CSR활동 추진동기와 직무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4개의 연구가설과 19개의 하위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모두 300명의 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R활동 추진동기 인식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가치지향적 동기, 이해관계자지향적 동기, 전략적 동기는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본위적 동기는 유의한 결과를 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미시적 차원의 개인단위 연구로서 조직단위 연구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외부적 CSR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CSR활동 추진동기 인식은 사회자본의 한 요소인 관계적 자본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자본은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CSR활동 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CSR과 사회자본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셋째, 기업의 CSR활동 추진동기 인식과 직무성과 간에 관계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CSR활동의 성과에 관계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인 기여점으로, 구성원의 CSR활동 동기 인식에 따른 요인별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CSR활동 인식 요인과 관계적 자본의 연관성을 확인한 것이 기존 연구와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관계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CSR활동 성과에 매개효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기업이 인적자원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적 CSR활동을 우선시하여 구성원의 신뢰를 확보해야 하며, 조직구성원에게 회사가 진정성 있는 CSR활동을 한다는 것을 인식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CSR활동 추진동기 인식은 관계적 자본 및 조직시민행동과도 상호연관성이 있으므로 규정된 직무교육 이외에 다양한 교류 활동의 장을 적극 마련하여 조직과 구성원 간 신뢰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조직 활동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