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세포기 생쥐 배아의 동결보존 전의 평형온도와 시간이 동결보존 후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고희은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3

        목 적: 최근 인간 배아의 동결 및 해빙이 동결보존액으로 1,2-propanediol(PROH)를 사용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배아를PROH에 노출 시 평형온도 조절의 중요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실험은 2-세포기 생쥐 배아를 PROH에 노출 시 평형온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생쥐 배아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2-세포기 생쥐 배아의 동결 전에 동결보존액에서의 적정 노출 온도와 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5-6주령의 ICR계통의 암컷 생쥐로부터 2-세포기 배아를 획득하여 15 M PROH를 포함하는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37℃, 상온(22-24℃), 4℃에서 각각 0분(대조군), 10분, 30분씩 노출시킨 후 1, 0.5, 0 M PROH를 포함하는 PBS에 각 실험군의 배아를 순서대로 각각 5분씩 두어 PROH를 완전히 제거한 후 0.4%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이 포함된 Ham's F-10에서 배양하여 배아의 발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상온과 4℃에서 15 M PROH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액에 2-세포기 생쥐배아를 각각 10분씩 노출시킨 후 동결-해빙 하여 배아의 발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37℃ PROH에서의 노출군은 대조군에 비해 배아 발생률이 유의하게 저해되었고(0분:54.8%, 10분 8.3%, 30분. 54%, p=0.047, 0.038), 상온 노출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배아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0분:47.2%, 10분 28.3% 30분: 23.7%). 한편 상온과 4℃에서 각각 동결보존 전에 PROH에 노출 후 동결-해빙 하였을 때 배아의 발생률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대조군: 57.1%, 상온: 25.7%, 4℃ : 30.8%) 4℃ 노출군이 상온 노출군에 비해 배아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2-세포기 생쥐 배아를 PROH에 노출할 때 평형온도와 시간에 좌우되어 발생률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상온과 4℃에서 2-세포기 생쥐 배아를 PROH에 10분간 노출시킨 후 동결-해빙하였을 때 배아의 발생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One-cell human zygotes have been successfully frozen and thawed using l,2-propanediol(PROH) during freezing and thaw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equilibr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cryopreservation of 2-cell mouse embryos by investigating the equilibration temperature and time during initial PROH exposure prior to cryopreserv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late 2-cell mouse embryos were obtained from 5-6 week old ICR mice and were exposed to 1.5 M PROH in phosphate-buffered saline(PROH-PBS) at 37℃, room temperature(22-24℃), and 4℃ for 30 min The PROH was washed off the 2-cell mouse embyos by incubating them for 5 min each in 1, 0.5, and 0 M PROH-PBS in the order named. The 2-cell mouse embryos were subsequently cultured in Ham's F-10 medium and embryo development was assessed at 24, 48, and 96 hours. Results: Incubation of 2-cell mouse embryos at 37℃ for 30 min significantly impaired embryo development to blastocysts. Embryo development after exposure to PROH at 37℃ for 10 min was 8.3%(P=0.047) and embryo development for 30 min was 5.4%(P=0.038). Incubation of 2-cell mouse embryos at room temperature or 4℃ for up to 30 min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embryo development. Cryosurvival of 2-cell mouse embryos exposed to PROH at room temperature or 4℃ was simila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onanediol is toxic to 2-cell mouse embryos in a temperature- and time-dependent fashion. Cryopreservation of 2-cell mouse embryos after exposure at 4℃ appears to be no better than after exposure at room temperature

      •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 정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동해방지제와 희석액의 효과

        이윤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6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는 가자미목(Pleuronectida) 가자미속(Pleuronectidae) 돌가자미과(Kareius)에 속하는 저서 어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대만, 중국 연안에 널리 분포하며 최근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돌가자미 양식 기술은 개발단계로 종자 생산 시 모두 자연산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얻고 있다. 이 경우 자연산 어미는 어획 과정과 어획 후 갇힌 사육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로 성숙이 잘 진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 중 하나가 돌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기술이며, 이 기술을 통해 종자생산의 시·공간적 제약과 자연산 어미의 성숙 억제로 인한 문제점들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가자미의 인공 종자생산 시 활용할 수 있는 정자의 동결보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동결보존의 성공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적정 동해방지제(cryoprotective agent, CPA), 희석액, 평형시간 및 희석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돌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에 적합한 동해방지제를 찾기 위하여 5∼30% 농도의 dimethyl sulfoxide (DMSO), glycerol, methanol, ethylene glycole의 동결보존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후 동해방지제와 함께 사용할 희석액의 적정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100∼400 mM농도의 glucose와 sucrose 용액에 대한 동결보존 효과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적합한 동해방지제와 희석액으로 선정된 DMSO와 sucrose를 사용하여 평형시간과 희석비율이 동결보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돌가자미 정자의 동결보존 시 적정 동해방지제는 DMSO였으며 희석액의 조건에 따라 적정 농도는 차이가 있었다. 희석액으로 300 mM glucose를 사용한 경우 DMSO는 7.5%가 적정 농도였으며, 300 mM sucrose 희석액에서는 15%가 적정 농도였다. 따라서 동해방지제는 각 어류에 특이적인 효과가 있고 희석액의 조성에 따라서도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형시간은 150초 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희석 비율에 따른 돌가자미 정자의 해동 후 운동성은 정액 : 동해방지제+희석액의 비율 1:10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s a demersal fish in the family Kareius, the genus Pleuronectidae, and the order Pleuronectida. The species is extensively distributed in coastal wate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apan, Taiwan and China and has recently received the attention as a new aquaculture species. The aquaculture technique for the stone flounder is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with the seedling production fully relying on wild-caught adults. Stress resulting from being caught and being subsequently contained in captivity disturbs the fish maturation. To overcome this obstacle, sperm cryopreservation of stone flounder was suggested, which was proved to effectively resolve the temporal and spacial limitations in the hatchery production and the disrupted maturation in the wild stone flounder.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perm cryopreservation technique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artificial hatchery production of the stone flounder and it is particularly aimed to find desirable cryoprotective agents (CPAs), diluents, equilibration time, dilution ratios etc. We first obtained the desirable CPA for the cryopreservation of stone flounder sperm by investigating the cryopreservation effects of 4 different types of CPAs: dimethyl sulfoxide (DMSO), glycerol, methanol, and ethylene glycol, all in concentrations ranging 5∼30%. We then investigated the cryopreservation effects of diluent glucose and sucrose in concentrations ranging 100∼400 mM to find desirable concentrations of diluents that will be mixed with the CPA. From the above two experiments, DMSO and sucrose were selected as the desirable CPA and diluent, respectively, and then were used in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equilibration time and dilution ratios on the cryopreservation. Combined results of all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desirable CPA for the cryopreservation of stone flounder sperm was DMSO with its optimum concentration depending on types of diluents that are mixed with it. With 300 mM glucose as a diluent, the desirable concentration of DMSO was 7.5% while with 300 mM sucrose, it was 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CPA has fish-specific effects which are varying depending on types of diluen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equilibration time less than 150 second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yopreservation effect and the post-thawing sperm mo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f ratios of sperm to CPA mixed with diluent are less than 1:10.

      • Filling Time을 고려한 평형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강재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0

        In this study, the model based on the equation of the calculating travel time and DEM(digital elevation modeling) data was developed. The equation of the calculating travel time was derived by Manning's equation. It was calculated that the time to equilibrium and travel time from the divided element of a watershed to outlet under equilibrium conditions in constant rainfall intensity. The time-area histogram was made by the calculated travel time and the area of divided elements in a watershed. Runoff hydrograph is simulated based on the time-area histogram of a watershed under equilibrium conditions in real rainfall. The simulated runoff hydrograph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in the real precipitation phenomenon.

      • 12주간의 자가근막이완이 프로 풋살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양홍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0

        이 연구는 12주간의 자가근막이완이 프로 풋살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한국풋살연맹에 등록된 S시 소재 S 프로 풋살구단에 소속된 18명의 성인 남성 프로 풋살선수를 대상으로 단순 무작위로 운동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이다. 운동집단 대상자들은 12주의 기간 동안 주 3회, 1회당 30분의 자가근막이완 처치를 하였고, 통제집단 대상자들은 같은 기간 동안 참여 전과 동일한 일반적인 훈련만을 유지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속도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값 차이에서는 운동집단은 속도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2. 민첩성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값 차이에서는 운동집단의 민첩성이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3. 순발력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값 차이에서는 운동집단의 순발력이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4. 동적 평형성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값 차이에서는 운동집단의 동적 평형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5. 능동적 관절가동범위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값 차이에서는 운동집단의 능동적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6. 반응시간의 변화에서 집단 간 측정시기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값 차이에서 운동집단의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제집단은 감소하였다. 주요어 : 프로 풋살선수, 자가근막이완, 경기력, 속도, 민첩성,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반응시간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12주간의 자가근막이완은 프로 풋살선수들의 경기수행능력 향상에 있어 모든 변인에서 좋은 효과를 만들었다. 특히 동정 평형성과 능동적 관절가동범위의 변인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그리고 집단 간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is to reseach the effect of 12 weeks of self-myofascial release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ofessional futsal play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adult professional futsal players who belonged to the S city-based professional futsal club registered with the Korean Futsal Federation, 9 in a simple randomized exercise group and 9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received the same self-myofascial release treatment 3 times a 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only the same training as before participation for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but in the mean value difference, the speed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in the change of agility, but the agility of the exercise group improved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in the mean value differenc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in the change of quickness. In the mean value difference, the quickness of the exercise group decrease and the reflexes of the exercise group decrease.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in the change of dynamic balance. At the mean difference, the dynamic balance of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in the change of the active range of motion. In the mean difference, the active range of motion in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in the change of reaction time, but the reaction time of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ean value difference,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Taken together, all results suggest that self-myofascial release over 12 weeks has a good effect on the variable in improving game performance in professional futsal players. In particular,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between groups in the variables of dynamic balance and active range of motion.

      • Anomaly detec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of superconducting cable systems via cross time-frequency analysis

        이건석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32249

        Background and Objective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HTS) cable can transmit large capacities even at low voltages; therefore, the use of HTS cables is desirable for reducing the size of new electric power facilities in urban areas where the underground infrastructure is already dense. HTS cables are expected to be mainly installed in cable tunnels that are already constructed in urban districts.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normal joint boxes is inevitabl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agnostic methodology that considers both the existence of the joints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HTS cables. In order to be competitive against conventional power cables, reliable operation and cost-effectiveness must be ensured. Thus, this dissertation provides new anomaly detec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methodologies for HTS cable systems. Methods First, to enhance the accuracy of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the HTS cable’s faults, a reflectometry methodology for analyzing incident signals composed of up-chirp and down-chirp signals is presented. Second, the time-frequency based anomaly detection and monitoring methodology is proposed. The methodology includes five indices that are obtained via TF cross-correlation and instantaneous frequency estimation, cross Wigner-Ville distribution, chirplet transform and scattering parameter. Lastly, owing to multiple reflections, distinguishing multiple joint boxes especially using reflectometry is a challenging problem. To overcome the challenge of distinguishing and monitoring different joint boxes, temporal sliding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are appli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been demonstrated for an AC 22.9 kV HTS cable system and an AC 154 kV HTS cable system which are connected to the real power grid network. During the cooling process and the current imbalance failure, the dielectric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HTS cable systems are monitored via the proposed methodology. Along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HTS cable systems, the proposed anomaly detection and monitoring methodology will improve the utilization of HTS cable systems in urban areas where power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operation of HTS cable systems, electrical characteristic monitoring will enable maintenance and ensure operational stability.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수요 및 냉난방 전력 소비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전력수급 운영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고온초전도 케이블은 기존 구리 전선보다 낮은 전압으로 대용량의 전력 송전이 가능하며 전력 케이블의 굵기도 줄일 수 있어 미래 에너지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도심의 전력 케이블은 상당 부분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고, 기존의 케이블을 초전도케이블로 대체할 경우 기존의 공간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더 많은 양의 전력을 송전할 수 있어 전력수요가 늘어나도 수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의 전력망을 활용할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접속함의 설치 및 물리적 변형이 불가피하며 초전도케이블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물리적 특성, 포설 환경, 초전도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진단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은 초전도케이블의 고장상황을 감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첫째로, 초전도케이블의 고장점 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증가하는(up-chirp) 시간-주파수영역 반사파 계측신호와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감소하는(down-chirp) 계측신호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로, 시간-주파수영역 기반 고장감지 및 모니터링 기술을 제안한다. 이는 크게 다섯가지 지표로 구성되며, 산출방식에 따라 각각 시간-주파수 기반 상호상관함수(time-frequency cross-correlation), 순시주파수 추정(instantaneous frequency estimation), 상호 위그너-빌 분포함수(cross Wigner-Ville distribution)를 활용한 위상 정보, chirplet transform을 활용한 위상 정보, 및 산란 계수(scattering parameter)로 구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사파 계측법이 갖고 있는 도전적인 과제 중 하나는 다중반사와 실제 반사파를 구별하는 것이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신호의 시간적 간격에 따라 입력 값을 달리하여 장단기 메모리(long short-term memory)의 forget gate의 성능이 향상된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시간-주파수영역 기반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반사파 계측법이 갖고 있는 한계점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한국전력공사가 운영하는 이천변전소에 설치된 410 m 길이의 AC 22.9 kV 50 MVA 초전도케이블 및 제주 초전도센터에 설치된 1 km 길이의 AC 154 kV 600 MVA 초전도케이블을 활용하였다. AC 22.9 kV 초전도케이블을 대상으로는 상온에서부터 운영온도인 70 K까지 냉각하는 과정과 전류 불평형 현상을 유도하는 과정을 모두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기술이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초전도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이 변하는 것을 계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류 불평형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불평형이 발생하는 위치 및 케이블의 종류를 검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AC 154 kV 초전도케이블을 대상으로 실험할 때에는 냉각과정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2개의 접속함 및 단말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통해 냉각과정 동안의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변화를 계측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고온초전도케이블의 상용화와 함께, 제안된 고장 검출 및 모니터링 방법론은 전력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도심 지역에서 초전도케이블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초전도케이블의 운영에 있어서, 본 학위논문이 제안하는 전기적 특성 모니터링 기술은 초전도케이블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고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자동평형장치의 진동해석

        박준민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199519

        자동평형장치는 자동차, 공작기계, 세탁기, 인공위성과 같이 가변적인 질량 불평형이 진동의 주된 원인이 되는 회전체에 대해 편심을 자동적으로 줄이는 장치이다. 편심량이 운전조건에 대해 일정한 회전체는 l 회의 밸런싱을 하면 되지만, 편심량이 사용조건에 따라 변하는 회전체에 대해서는 1 회의 밸런싱으로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가변적인 편심량을 갖는 회전체의 밸런싱을 위하여 자동평형장치의 동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자동평형장치의 넓은 응용분야에도 불구하고 작동원리, 동적해석 및 설계방향 제시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동평형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론정립, (2) 자동평형장치의 동특성 규명, 그리고 (3) 자동평형장치의 설계기준 확립에 있다. 기존의 직교좌표계를 이용하는 방법 대신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얻어진 운동방정식을 무차원화시키고, 섭동법을 적용하여 평형위치와 평형위치 부근에서 선형화된 운동방정식을 구한다. 그리고 고유치 문제에 의해 각 평형위치에서 동적 안정성을 검증하며, 명시적 시간적분법을 이용하여 비선형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자동평형장치의 시간응답을 구해 동적거동을 분석한다. An automatic ball balancer is a device to reduce eccentricity of rotors whose variable imbalance is a main source of vibration; e.g., automobiles, machine tools, washing machines, satellites. Only one balancing is necessary for a rotor with constant eccentricity; however, one balancing is not sufficient for a rotor which has variable eccentricity dependent on running conditions. Therefore, to eliminate imbalance of a rotor with variable eccentricity, it is needed to study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utomatic ball balancer. In spite of its wide application,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mechanism, dynamics analysis, or design guide line of the automatic balanc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stablish a theory for its dynamic behaviors, (2) to analyze it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3) to provide its design guide line.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by using the polar coordinate system instead of th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which was previously used in other researches. After non-dimensionalization of the equations, the perturbation method is applied to locate the equilibrium positions and to obtain the linearized equations of motion around the equilibrium positions. The Eigenvalue Problem is used to verify the dynamic stability around the equilibrium positions. On the other hand, the time responses are computed form the nonlinear equations of motion by using a time integration method.

      • Dynamic analysis of pendulum-type balancers for radial vibration reduction of rotating system : 회전체의 횡진동 감소를 위한 펜들럼 자동평형장치의 동특성 해석

        이진우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3 국내석사

        RANK : 183119

        자동평형장치(Automatic Dynamic Balancer)는 가변적인 질량 불평형이 진동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할 때, 질량 편심을 줄여주는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볼 대신 펜들럼을 사용한 자동평형장치를 고안하였다. 펜들럼 자동평형장치의 동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우선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비선형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 운동방정식에서 평형위치 부근에서 선형화된 섭동방정식을 구하고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안정성 해석은 자동평형장치를 설계할 때 밸런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약 조건과 설계 기준을 제시한다. 그리고 시간응답을 통하여 회전체의 반경 방향의 거리와 펜들럼의 위치를 계산하고, 평형위치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안정성 해석과 시간응답을 통하여, 볼 자동평형장치가 한계 속도 이상에서는 질량 편심을 줄이는데 펜들럼 자동평형장치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한계속도 이하에서, 볼 자동평형치의 경우 밸런싱이 되지 않는 위험속도가 존재하는 반면, 펜들럼 자동평형장치는 회전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질량 편심을 줄여 주었다. 이론적 해석을 검증하기 위해 펜들럼 자동평형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펜들럼 자동평형장치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An automatic dynamic balancer is a device to reduce the vibration from unbalanced mass of rotors. Instead of considering prevailing ball automatic dynamic balancer, a pendulum automatic dynamic balancer is subject to dynamic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dynamic stability and behavior, the nonlinear equations of motion for a system are derived with respect to polar coordinate by the Lagrange's equations. The perturbation method is appli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system around the equilibrium position. Based on the linearized equations,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system around the equilibrium positions is investigated by the eigenvalue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ability analysis provides the design requirements for a pendulum automatic dynamic balancer to achieve a balancing of the system. The efficiency of a ball automatic dynamic balancer, for reducing the total vibration of the system, is better than a pendulum automatic balancer, if the rotating speed is above critical speed, i.e. ω~>1. However, a pendulum automatic dynamic balancer can achieve balancing even if the rotating speed is below critical speed, especially ω~<0.6. The time response analysis demonstrates the stability analysis from computing the radial displacement of the rotating system and the positions of pendulums. Furthermore, in order to confirm the theoretical analysis, various experiments are made on a pendulum automatic dynamic bal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