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 활용도, 임상 결과 및 사용자 경험 평가

        조정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Background: Accurate and complete retrieval of a patient's medication history at transitions of care in healthcare settings, such as at the time of an emergency department visit or hospitaliza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timely care planning. However, the process of collecting medication history by manually querying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and requesting the pharmacy department to identify medications is a complex process that often delays prompt history check due to time and manpower constraints. Therefore, to enable healthcare professionals to collect patients’ medication history quickly and completely,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established a medication history program within the homegrown health information system (HI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allow patients to retrieve all medications prescribed by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in the past year, and was designed to access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database by referring to technical support for personal medication history services. Purpose: The medication history program was introduced to enable timely and complete retrieval of patient medication history based on nationwide databa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impact on the clinical outcome to see if it can provide better services to patients and medical staff in the real-world by enabling healthcare professionals to quickly and completely check patients' medication history, and to investigate the end-user experience of physicians and pharmacists using the program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it.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medication history inquiry program on the medication use by physicia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rom two perspectives: clinical and humanistic. First, we compared the time it took to check the medication brought by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e also compared the procedure start time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underwent urg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ccording to whether the physician used the medication check program or not. Data on both clinical aspects were extracted electronically from the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earson’s chi-squared test and Student's t-tes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usage status of doctors and pharmacists over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rogram by collecting the program inquiry logs, and further check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drug identification tasks, which is the task of checking the patient's brought medicine, after the change in usage status. Segmented regression was used as an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drug identification tasks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Second, on the humanistic side, we analyzed the user experience of physicians and pharmacists using medication history checking programs.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updated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updated DMISM), we organized the survey into five survey domains: three quality domains (information, service, and system),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and the related survey items were collected from past studies and validated for content validity, totaling 22 items. A total of 14 survey items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value was deriv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validity.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physicians and pharmacists in the hospital as an online survey using a 5-point Likert scale for two week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tructural fit between the five domains into which the survey items were grouped. The data analysis tool used for the survey analysis was the SPSS program, and the data analysis tool used for the SEM was AMOS 25 software (IBM Corp., version 25.0). Results: The medication history program provided an easy way for healthcare providers to collect medication history of patients, especially those who were pres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D clinicians newly accessed “Patient’s In-home Medications at a Glance” to identify the medication history of 788 patients during the three-month post- intervention perio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Since clinicians’ access to patients’ medication use history was improved through a one-click within health information system, they could check an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prescription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nd rapidly. Compared to a multi-step process of referrals for pill identification or to collect medications manually from the patients or caregivers in pre-intervention, accessibility and timeline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at most inquiries using the program were checked in a timely manner (776 patients, 98.5% of total inquiries in ED). And the number of medication checks completed between visits decreased significantly (1.24±0.93 vs. 0.13±0.18 days, p < 0.001). Secondly,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program’s impact, consisting of clinical outcomes and end-user experiences as humanistic outcomes. We elaborately planned both clinical and humanistic outcomes of 2-year use, which allowed the program to stabilize, after its implementation in the HIS [22]. The clinical outcomes, focusing on the time required for urgent PCI initiation, were improved in the patient group whose physicians utilized the program and experienced expedited urgent PCI initiation by approximately 7 minutes. Thus, the use of the program could help identify whether patients are taking an antiplatelet agent or an anticoagulant agent when they are unconscious or are unable to identify their medications. Regarding humanistic outcomes, the survey was developed and showed high scores overall, especially for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In that the usage trend of the "Patient’s In-home Medications at a Glance” program has continuously increased by physicians and pharmacist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the HIS based on a positive end-user experience. SEM analysis based on the DMISM framework revealed that inform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user satisfaction, and ultimately, us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reuse. Conclusion: Timely and complete med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sing a medication history retrieval program improved clinical outcomes at care transitions, especial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helping to expedite critical therapeutic decision-making, and user experience analysis showed overall high satisfaction, confirming its contribution to value-based healthcare delivery in real-world healthcare settings. Long-term assessment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sustained impact of the program, further optimizing patient outcomes. 배경: 의료기관에서의 응급실 방문 또는 입원 시점에 환자의 투약이력을 정확하고 완전하게 확인하는 것은 시의 적절한 치료계획 수립에 중요한 요소이다. 약제부서를 통한 투약 이력 정보 수집 과정은 진료부서가 발행하는 약품식별요청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정보원을 수기로 수집하여 타 여러 의료기관의 처방 기록 조회를 요청하거나, 환자 또는 보호자 인터뷰를 하는 등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치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으로 시간적, 인력적 제약으로 인해 신속한 확인이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한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내가 먹는 약! 한눈에>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서비스는 환자 동의 또는 응급 조회로 최근 1년 간 환자가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 및 조제 받은 모든 약물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였다.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병원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되지 않는 별도의 심평원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고 조회 절차가 복잡하며 사용자 편의기능이 부족한 등의 많은 제약점이 있어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심평원의 <내가 먹는 약! 한눈에>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개인투약이력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병원 의료정보시스템 내 환자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구축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의료정보시스템의 도입, 유지 및 개발은 의료기관에서는 일종의 비용과 자원, 그리고 인력 측면의 투자이므로,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의 개발 목표에 부합하는 성능과 가치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였다. 목적: 본 연구는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병원의료정보시스템 내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한 효과를 세 가지 영역에서 평가하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환자의 복용 중인 약물을 신속하고 완전하게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후 평가는 프로그램 활용도, 임상적 효과, 그리고 프로그램의 최종 사용자인 의사와 약사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세 가지 측면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의료정보시스템 내에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약사는 전반적인 프로그램 기획, 개발 과정 및 테스트, 배포 및 교육을 주관하였다. 개발자와 협업하여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 심평원이 구축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분석 및 적용하여 심평원 개인투약이력 데이터베이스 중 처방약물 관련 데이터를 수집 및 구조 설계에 적용하였고, 조회된 의약품에 대한 약품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약학정보원의 약품정보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허가사항, 낱알식별 이미지 및 기호, 약품효능군 등을 추가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후 프로그램 컨셉 스케치, 데이터 항목 배치 및 조회 기준 수립을 통하여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디자인을 기획하여 개발을 진행하였고, 완성된 프로그램의 내부 테스트, 파일럿 테스트를 통하여 최종 확인 및 검증을 완료하였다.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병원의료정보시스템에 신설 적용한 후에는 사용자 교육 및 홍보를 시행하고 실제 운영 테스트와 유지보수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이후, 프로그램을 이용한 환자 처방약물 이력조회에 대하여, 활용도, 임상적 효과, 사용자 경험의 세 가지 측면에서 평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활용도 지표 첫번째로, 프로그램의 사용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신설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의사와 약사의 프로그램 조회 로그를 수집하였다. 활용도 지표 두번째로 프로그램 적용 전후 응급실 내원 환자의 복용 중 약물, 즉 지참약 확인 소요시간(일)을 수집하고 24시간 내 확인완료율(%)을 산출하여 Student’s t-test와 Pearson’s chi-squared 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활용도 지표 세번째로, 프로그램 신설 전후 약제부서에서 수행 중인 약품식별의뢰 건수(건)를 수집하여 Student’s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두번째, 임상적 효과로 의사의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 사용 여부에 따라 응급실에 처음 내원하여 긴급한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받은 환자의 응급실 입실 후 긴급 PCI 시술 개시까지 소요되는 시간(분)을 Student’s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활용도, 임상적 효과 평가를 위한 데이터는 의료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적 측면에서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의 최종 사용자인 의사와 약사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The updated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updated DMISM)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총 5가지 설문 도메인, 즉 3개의 품질(quality) 도메인(정보, 시스템, 서비스)과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 재사용 의지(intention to reuse)로 구성하여 과거 유사 연구에서 관련한 설문 항목을 수집한 후 내용 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최종 14개의 설문 항목을 구축하였다.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s α 값을 도출하고 convergent 및 discriminant 타당도 분석을 수행하여 타당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5점 만점 척도를 사용한 온라인 설문으로, 원내 의사와 약사 직종을 대상으로 2주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만족도와 재사용 의지에 대한 품질 도메인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문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 분석 도구는 SPSS (version 22.0, Chicago, IL, USA), SEM에 사용한 데이터 분석 도구는 AMOS 25 software (IBM Corp., IBM Corp., version 25.0) 이었다. 결과: 한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내원 환자의 투약이력을 의료진이 손쉽게 수집하여 빠른 시간 내 복용 중인 약물을 파악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병원의료정보시스템 내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최근 1년 간 환자가 국내 의료기관에서 처방 받은 모든 약물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개인투약이력 서비스 관련 기술지원을 참고하여, 심평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도록 설계되었다. 조회된 투약이력에 포함된 약품정보를 의료진에게 보다 상세하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약학정보원의 약품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효능, 항혈전제 여부, 약품이미지 등을 추가 매핑하여 제공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이상적인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디자인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은 의료정보시스템 내에서 접근 가능한 형태로 신설되어, 보통의 수동적 방법으로 약품 또는 처방전을 확인하거나 인터뷰에 의존한 복용 중인 약물 파악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의료진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환자의 투약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세 가지 영역, 즉 활용도, 임상적 효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활용도 영역의 첫번째 지표로 프로그램 사용횟수 확인 결과 프로그램 신설 초기 3개월 동안 응급실 내원 환자 788명(5.7%)에 대해 의사가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회하였고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프로그램 신설 후 약 2년간 의사와 약사 직종에서 총 160,071건의 조회가 이루어졌다. 활용도 영역의 두번째 지표로 응급실 내원 환자의 복용 중 약물 확인 소요시간을 확인한 결과, 24시간 이내에 완료한 환자가 약품식별의뢰를 통한 프로그램 신설 전에는 26명(56.6%)에서 프로그램 사용을 통한 신설 후 776명(98.5%)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내원 이후 복용 중인 약물 확인 완료 소요시간(일)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24±0.93일 vs. 0.13±0.18일, p<0.001). 활용도 영역의 세번째 지표로 약품식별 의뢰건수 확인 결과 프로그램 사용 전 일평균 16.2±1.4건에서 프로그램 사용 후 일평균 7.8±1.2건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임상적 영역의 효과 평가연구 결과로, 응급실 내원한 긴급 PCI 시술 환자의 응급실 입실부터 PCI 시술 개시 소요시간(분)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신설 후 2년간 내원한 162명의 대상환자 중 긴급 PCI 시술 전 의사가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으로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한 환자군의 시술 소요시간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 대비 약 7분 단축되었다(17.2±12.4분 vs. 10.3±11.0분, p=0.037). 마지막으로,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경험 분석을 위한 설문 시행 결과 총 112명의 의사와 약사가 참여하였다. 설문 응답 결과 중, ‘재사용 의지’도메인이 가장 높은 점수인 4.77±0.37점, 이어‘사용자 만족도’도메인이 4.56±0.49점으로 확인되었으며, 반면 ‘서비스 품질’도메인이 가장 낮은 3.87±0.79점으로 확인되었다. SEM 분석 결과, ‘정보 품질’은‘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사용자 만족도’는 ‘재사용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처방약물 이력조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이후, 세 가지 영역에서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활용도 영역에서 지속적인 사용횟수 증가, 의사의 약물 확인 소요시간 감소, 약제부의 약품식별 의뢰건수 감소의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상적 효과 영역에서 응급 시술인 PCI 시술 소요시간을 개선함으로써, 중요한 치료적 의사 결정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의료진을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경험 영역에서 최종 사용자인 의사와 약사의 경험 분석 결과 종합적으로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재사용 의지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실제 의료 환경에서 가치 기반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외국의 처방전 리필 제도 비교 연구

        강현하 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에서는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만성질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특정 약물요법을 통해 증상이 장기간 안정하게 조절되고 있는 만성질환 환자는 동일한 약물요법을 유지하게 되어 반복 처방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처방전 리필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외국의 경우, 보건의료체계의 차이가 처방전 리필 제도 도입의 배경 및 운영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보건의료체계가 다른 미국, 영국, 대만의 처방전 리필 제도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미국은 민간보험이 의료보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의료진의 불필요한 의료행위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높은 의료비 부담이나 낮은 의료기관 접근성 문제로 인해 환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해 처방전 리필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영국은 NHS 방식의 의료보장체계 하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방안 중 하나로 반복조제(repeat dispensing)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대만은 불필요한 외래 이용을 견제하여 의료비 비출 절감 및 환자 편의성 증대를 위해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리필처방’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미국, 영국, 대만은 공통적으로 마약류 및 오남용 우려 의약품에 대해서는 처방전 리필을 제한하는 등 규제하고 있었으며, 처방전 리필이 가능한 처방전의 유효기간 및 리필 횟수도 미국은 규제 의약품으로서 Schedule 3, 4는 6개월 내 5회, 영국은 리필 가능 의약품에 대해 1년간 처방의의 판단에 따라 리필이 가능하며 대만은 3개월간 최대 2회 리필이 가능하다. 대만은 특징적으로 규정된 만성질환 범위 내에서 진단 받은 경우 처방전 리필이 가능하다. 처방전 리필 시 안정기 만성질환 환자가 장기간 동일 약물요법을 받더라도 환자 상태의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므로, 영국의 경우처럼 환자의 약물요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는 처방의사와 조제 약사간 교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처방전 리필 환자에 특화된 복약상담이 필요하므로, 약사를 대상으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국에서는 약사 뿐만 아니라 PCT 단위에서 1차 의료진의 지역 워크숍 참여를 장려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대만의 경우 리필 조제 시 약제비 본인부담금을 면제하여 처방전 리필을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의료기관 이용을 견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장기처방에 대한 제한이 없어 종합병원에서는 만성질환 환자에 대해 장기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장기보관으로 인한 의약품 변질 등의 문제로 분할조제 개념의 처방전 리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온 바 있다.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과도한 내원에 대해 불필요한 의료 이용을 견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처방전 리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처방전 리필은 불필요한 의료기관 이용을 억제한다는 측면에서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만성질환은 정기적인 의료진의 개입이 중요하므로 처방전 리필이 가능한 환자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임상적인 근거에 기반한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쳐 처방전 리필 제도의 국내 도입 시 리필이 가능한 질환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로 환자가 처방전 리필에 의해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고 있는지 담당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지역별 시범운영 또는 점차적인 처방전 리필 가능 범위 확대 등 단계적인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비교 대상 국가들의 보건의료체계가 다르므로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현실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기에는 보다 심도 있는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 자궁경부암으로 수술받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computerized clinical pathway의 개발

        최윤석 계명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rder selecting method for developing the computerized system to present a prototype of clinical pathway from electric medical record database of a hospital. I extract the lists and frequencies of orders from electric medical record database of cervic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ration at the hospital. To compare frequencies of orders, I used the F-value (percentage of the frequency of an order divided by the number of patients at the day of the order) to reflect the relative frequency of an order. A total of 545 patients presumed by comput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operative day to postoperative seventh day, a total of 2639 lists of orders were extracted by computerized query. The appropriate cutoff of F-value was 11.9 to include the 38 actual orders. Using this cutoff of F-valu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select the 38 actual orders were 100% and 93.8%, respectively. I could obtain the prototype of clinical pathway for cerv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I could obtain the list of orders for the prototype of clinical pathway through relative frequency of the each order from the electric medical record database. (초 록) 본 연구에서는 전산 처방 전달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궁경부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처방 목록을 모델로 주 임상경로의 원형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 개발을 위한 처방 목록 선별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전자 의무기록 및 처방 전달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를 추출하여 수술 일자를 기준으로 처방의 목록 및 발생 빈도를 추출하였다. 각 처방들의 발생 빈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특정일에 발생한 처방의 빈도를 그 날에 추정된 재원 환자 수로 나눈 값의 백분율(F-value)을 구하여 처방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하였다. 추출한 처방 목록을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선별 추출하고 실제 그 병원의 처방과 대조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별하고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F-value의 값을 정하였다. 수술일에 처방이 발생한 환자의 수는 545명으로 추정되었으며, 수술일부터 수술 후 7일째까지 총 2639 종의 처방 목록이 추출되었다. 38 종의 ‘실제 처방’ 목록을 선별해내는 적절한 F-value의 cutoff value는 11.9 이상일 때 민감도 100%, 특이도 93.8%의 정확도로 ‘실제 처방’ 목록을 선별할 수 있었다. 이런 처방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주 임상경로의 원형을 재구성할 수 있었으며 통상적인 자궁경부암 수술 치료를 받는 환자에 처방되는 것에 합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산 처방 전달 시스템의 자료를 이용하여 특정 일자의 처방의 빈도 값을 처방 발생 환자 수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상위 빈도를 보이는 처방 목록을 선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주 임상경로의 원형을 작성할 수 있다.

      • 少陽人 新定處方의 形成過程에 對한 考察

        서웅 又石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少陽人處方의 形成過程 및 形成原理에 대한 考察을 통해 四象處方의 方劑精神과 治療精神을 이해할 目的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살펴보았다. 1) 少陽人 病證 分類에 따라 少陽人 新定處方과 少陽人病證 經驗設方 中 『傷寒論』處方, 元明時代處方을 연계하여 考察하였다. 2) 1)에서 나온 分類 중 『傷寒論』에 나온 少陽人病證 經驗設方의 使用條文을 조사하여 그 病理的 特性을 綜合하고 少陽人 病證의 原理와 關聯性을 조사하여 少陽人新定處方의 토대가 되는 處方들이 少陽人 病證原理에 따라 선택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3) 『傷寒論』과 元明時代의 少陽人病證 經驗設方과 少陽人 新定處方의 處方構成을 조사하여 이 處方들 사이의 關聯性을 조사하였다. 4) 『東醫壽世保元』의 醫案을 중심으로한 文獻調査를 통해 직접 少陽人 新定處方의 形成過程을 시사하고 있은 부분들을 整理 분석하였다. 5) 少陽人 病證의 輕重 變化에 따른 少陽人 新定處方의 內容 變化를 조사하여 少陽人 處方의 形成過程 및 形成原理에 관하여 보다 立體的인 方法으로 考察하였다.

      • 한약 처방 탐색을 통한 황금과 황련의 혼합추출물이 3T3-L1 preadipocyte의 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65종 한약처방 중 항비만 효능이 있는 처방의 탐색 및 구성 약재인 황금(Scutellaria Radix, SR)과 황련(Coptidis Rhizoma, CR)의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최적 비육의 항비만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찾는것이었다. 65종 한약처방은 대한약전(KP)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KHP)에서 선정됐다. 3T3-L1 지방 전구세포에 8일 동안 지방 세포로 분화하며 65종 한약처방을 처리하였다. 세포내 생성된 지방에 대하여 Oil Red O 염색으로 측정되었다. 65종 한약 처방 중 지방 생성 억제에 효과가 있는 처방은 반하사심탕과 삼황사심탕이 최종 유효한약처방으로 전정되었다. 또한 반하사심탕과 삼황사심탕 한약처방의 공통구성 약재는 황금(SR)과 황련(CR)이었으며,이들 비율별 SR과 CR의 항비만 효능 연구도 수행하였다. 비율별 SR과 CR의 복합 추출물과 혼합 추출물(1:1/3:1 SR:CR Decoction, Mixture)에서 baicalin, coptisine, palmatine, berberine, baicalein, wogonin의 6종의 지표성분을 HPLC-ESI-MS 기기를 사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또한 지표성분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한 결과,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였다. 특히, Coptisine, Berberine, Baicalin 처리는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매개인자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 생성 유전자(PPAR-γ, CEBP/α)를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1:1 SR:CR 혼합 추출물(1:1 Mixture)에서 지방 분화 및 지방 생성을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1:1 Mixture에서 다량의 3가지 유효 성분(Coptisine, Berberine, Baicalin)이 측정되었다. 1:1 Mixture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생성과 지방 생성 유전자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이들 추출물에 대한 최종 후보 조성물의 선정은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처방에 대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약처방에서 유래한 새로운 혼합 추출물의 항비만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e efficacy of 65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and each components of these prescriptions in 3T3-L1 preadipocyt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Scutellaria Radix and Coptidis Rhizoma on lipid accumulation and fat cell differentiation in adipocytes, which are overlapping components of these prescriptions, were also studied. Meanwhile, 65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were selected in Korean pharmacopoeia (KP)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KHP). Preferentially,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65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during differentiation for 8 days.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mong the 65 kinds of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that been shown to be effective against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ere selected. Also, Scutellaria Radix (SR) and Coptidis Rhizoma (CR) are common components of Banhasasim-tang and Samhwangsasim-tang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In the present study, we did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fficacy of anti-obesity by varying ratio of SR and CR ((1:1/3:1) Decoction, Mixture). Using HPLC-ESI-MS, we worked the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6 major compounds, namely Baicalin, Coptisine, Palmatine, Berberine, Baicalein and Wogonin in mixing extract varying ratio of SR and CR. As a result, these 6 compounds inhibited differentiation from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Especially, treatment with coptisine, berberine and baicalin of among them regulate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adipocyte lipid metabolism, decreasing the adipogenic gene (PPAR-γ, CEBP/α). In summary, SR:CR (1:1) mixture was markedly decreased adipogenesis. In addition, large amount of 3 effective compounds (coptisine, berberine and baicalin) were found in this mixture. The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preadipocytes and formation of adipogenic gene without cell toxicities by MTT. This medical approa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pplication of prescription for the obesity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they a new mixture derived from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and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ti-obesity materials.

      • 외래처방에서의 효능군중복주의 정보제공에 따른 호흡기관용약의 처방양상 및 중복처방 약제비용의 변화

        이혜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DUR 정보 중 하나인 효능군중복주의 정보란 약리기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능군 내에서 중복 투여될 경우, 추가적인 약효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의약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 유효성분 정보를 말하며, 부작용 발생 위험 증가 및 추가적인 치료 효과 부재로 인한 의료자원의 낭비 및 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정보 중 호흡기관용약에 초점을 맞추어 DUR 정보제공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는 4년(2012년~2015년)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체환자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의료기관을 외래로 방문하여 1회 이상 효능군중복주의 호흡기관용약으로 공고된 의약품을 처방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대상 의약품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약제급여목록표를 참고하여, 전체 74개의 유효성분 중 65개의 유효성분에 대한 의약품들을 선정하였다. 중복처방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DUR 점검시스템에서 실제로 DUR 알림창을 제공하는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성별, 연령 등에 따른 각 계열별 전체 처방 및 중복처방에 대한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정보제공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한 후, 이를 활용하여 시계열적 변화양상과 상대증감율 등 산출 및 대응집단 평균차이검정을 수행하였다. 호흡기관용약 계열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중복처방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근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대 이하와 71세 이상 환자들에서 주로 중복처방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체적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중복처방비율이 높았으며, 다빈도 진료과목으로는 가정의학과, 안과, 이비인후과, 내과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중복처방에 대한 DUR 정보제공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처방전 내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양상이 감소하였으나 이 중 베타수용체 효능제만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반면, 처방전 간의 경우에는 6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복처방으로 인한 약제비용의 규모에 대한 DUR 정보제공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처방전 내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약제비용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3개의 계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반면, 처방전 간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약제비용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4개의 계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표본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효능군중복주의 정보제공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살펴본 결과, 중복처방 양상이나 중복처방으로 인한 약제비용의 규모 모두 통계적으로 감소한 계열보다 증가한 계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방전 내보다 처방전 간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흡한 영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복처방비율과 관련된 특정 연령대, 의료기관, 진료과목 그리고 다빈도 중복처방 성분 등에 대하여 처방 모니터링을 강화하거나 DUR 점검시스템 상에서 알림창을 제공하는 조건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RSA 暗號시스템에 基盤한 實用的인 匿名 電子處方箋 設計에 관한 硏究

        정찬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내 처방전달 시스템은 초기 대학교 부설 및 대형 병원 중심으로 도입된 이후현재 개인병원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처방한 내용을 처방전달 시스템에 입력하면 종이 처방전이 출력되어 환자에게 전달된다. 환자는 의사가 처방한 종이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 방문하면, 약사는 의사가 처방한 종이 처방전의 내용에 따라 환자가 복용할 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전달한다. 종이 처방전에는 환자 정보, 의사정보, 처방내용, 처방의약품, 투약방법, 용법, 처방전의 유효기간, 의료보험정보 등이 적혀있다. 이런 정보는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노출시킬 수 있는 위험과 의사정보의 노출로 인한 제약사 리베이트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익명 전자처방전 시스템이다. 전자처방전에 익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호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암호 기술은 이산대수 또는 타원곡선상의 이산대수 문제를 기반으로 제안되고 있다. 국내․외 대부분의 공개키 기반구조가 소인수 분해 문제에 기반을 두고 RSA 암호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소인수 분해 문제에 기반한 RSA 암호시스템을 활용한 실용적인 익명 전자처방전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익명 전자처방전은 위임 서명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위임한 의사가 부정직하게 위임 서명을 위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서명자 위조 방지 전자처방전의 경우 이산대수 문제에 기반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개키 기반구조의 기반 환경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강보험기관이 약이 조제되기 전 단계에서 처방된 약품을 알 수 있어 처방전의 내용이 조제되기 전에 노출되는 문제점과 처방전을 작성한 의사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익명 전자처방전은 처방전에 따라 약이 조제되어 판매된 이후에 건강보험기관이 전자처방전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처방전 노출의 범위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소인수분해 문제에 기반한 RSA 암호시스템을 활용하기 때문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개기 기반구조를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처방전을 건강보험기관이 실시간 관리함으로서 처방전의 이중 사용에 따른 약물 남용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병원 및 약국에서 건강보험료의 이중 청구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용적인 익명 전자처방전이 국내 건강보험관리체계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관리공단에서 필요한 처방정보에 대한 표준화 및 각 의료기관에서 처방시 필요한 의약품 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화 등이 필요하며, 이런 것들이 반영되어 운영된다면 국민의료 건강보험에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주제어 : 전자처방전, 익명성, 프라이버시, 공개키기반구조, 전자서명 Domestic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is expanded to the private hospital since it was introduced a large hospital at the University. After doctors examine patient, prescription is entered into the system and printed paper prescription is delivered to the patient. Patients visit the pharmacy with this paper prescriptions, the pharmacist made medicines following the prescriptions. Paper prescription contains patient information, physician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prescription drug, route of administration, usage, the expiry date of the prescription, and insurance information, etc. These information have risks that may expose the patient's privacy issues or doctors information which pharmaceutical rebates. Anonymous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such information. Cryptographic techniques is key feature to provide anonymity to electronic prescriptions. Most of cryptographic techniques which provides the anonymity are based on the discrete logarithm and elliptic curve discrete logarithm problem. This is impractical in view of facts, most of the domestic and foreign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s) are based on prime factorization problem, using the RSA crypto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anonymous electronic prescriptions using the RSA cryptosystem based on prime factorization problem which used in most of the country. Previous proposed electronic prescriptions scheme use delegate signature. But this method is vulnerable on the forge signatures. Improved anti-counterfeiting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which based on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need to change on currently used public key infrastructure-based environment. Also there are information exposure problems health insurance agencies chance to know prescription medicine before made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onymous electronic prescriptions achieve a goal minimizes the exposure of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to do health insurance agency to know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prescription after it is provided. This system based on RSA cryptosystem, can be applied currently operating infrastructure without change. In addition, electronic prescriptions solve the problem of overdose with the real-time prescription management at the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also prevent double-charges from the hospitals and pharmacies. Keywords: E-Prescription, Anonymous, Privacy, PKI, Digital Signature

      • 원외처방전 전달을 위한 XML Schema 설계에 관한 연구

        황준오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약분업 시행이후 병원의 원외처방전은 환자 처방정보 및 병원정보 등을 기재하여 발행되어 약국으로 전달되며 요양급여비용 심사청구서 작성의 기초 자료로 변환된다. 보험청구를 위해 처방내역, 조제내역 등의 실적은 EDI로 건강보험관리공단으로 전송된다. 기존의 정보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는 HTML은 정보의 구조적 표현이 불가능하고 정적인 정보 모델을 사용한 프로그램 언어는 정보 전달과 변환의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EDI는 고비용의 전용선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XML Schema는 문서의 구조와 내용 그리고 의미 체계를 정의하는 수단으로 DTD와 같은 문서 구조 정의 언어가 표현하지 못하던 입력 규칙 정의 및 데이터 타입을 정의 할 수 있어 구조표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약국, 환자 및 건강보험관리공단 등이 교환하여야할 원외처방전 정보를 구조화된 XML로 작성하기 위한 XML Schema를 설계하였다. 원외처방전의 구조는 보건복지부에서 공시한 양식을 바탕으로 XML Schema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XML 문서로 작성하고 웹상에 표현하기 위해 XSL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존 구축되어진 병원 정보 시스템에서의 XML Schema 작성 방법과 XML 이용 방안을 제시하고 WebService 기술을 사용하여 처방 전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XML Schema를 이용하면 구조화된 형태로 처방 정보를 상호 교환 가능하게 되며 처방정보가 사용되어지는 병원, 약국, 건강보험관리공단 등의 각 업무와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정보의 활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XML 기술은 변화하는 보건사회에 따른 다양한 정보 처리와 교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fter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prescription of hospital is published and is passed to pharmacy recording prescription information of patient and hospital information etc. It is changed to basis data of review bill about medical treatment allowance expense. For insurance claim, the results such a s details of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etc. is transmit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through EDI. HTML that is used to transmit information in the current is impossible to express structure of information and program language that use static information model is limited t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version. Also EDI has problem is expensive because it use private line. XML Schema which is means to define structure and contents of document and meaning system makes up for limitation of structure expression and is able to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but DTD which is to define document type is impossible define is impossible to express definition of input rule and data type. Therefore, in this paper, XML Schema is designed to draw up and communicate prescription information that hospital, pharmacy, patient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have to exchange each other to structured XML. Structure of prescription that is based on the prescription form which is published in the Ministry of Health-Welfare is expressed hierarchically using XML Schema and use XSL to make document and to express this. Also, this paper suggest method to create XML Schema and way to use XML in information system of current hospital, and embody prescrip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WebService technology. When embodied XML Schema is used, exchanging prescription information is possible a s structured form, and it can be applied easily in the business and application of system such as hospital, pharmac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where prescription information is used. This XML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process various data and to exchange them with the change health system of the times.

      • 한약처방이 인체소장상피세포주(Caco-2) 모델에서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

        임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민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칼슘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국민에게 가장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인 것으로 나타나 칼슘 섭취량 뿐 아니라 흡수 및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식품 내에 존재하는 식이섬유소, phytate, 탄닌 등의 성분은 구리, 철, 아연, 칼슘과 같은 무기질의 장내 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나, 다량의 섬유소를 포함하고 있는 한약재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치료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한약처방이 칼슘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인체 소장상피세포주모델인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소장의 brush border membrane을 통한 uptake 그리고 basolateral membrane을 통과하여 혈액으로 이동하는 net transport의 두 단계로 칼슘 흡수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한약처방제는 SD, SM, KB, YH 및 JY의 다섯가지로 각 처방을 추출·여과하여 동결 건조한 후 사용하였다. 소장상피의 세포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Caco-2 세포를 분주 후 4, 8, 16, 24일간 배양하면서 융모막의 marker enzyme 활성을 측정한 결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각각 17.7±1.2, 41.6±6.1, 55.3±1.6, 81.4±8.7 mU·mg protein^(-1) (p<0.001)이었고, γ-glutamyl transferase 활성은 각각 10.3±0.4, 16.9±0.5, 18.8±0.3, 19.0±0.4 μmol·mg protein·hr^(-1) (p<0.001)이었으며, sucrase 활성 역시 0.74±0.05, 1.43±0.06, 1.63±0.05, 1.70±0.01 μmol·mg protein·hr^(-1) (p<0.001)로 분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효소 활성이 증가하여 분화가 계속됨을 알 수 있었다. Caco-2 세포를 분주 후 4, 8, 16, 24일간 배양하면서 칼슘 uptake를 측정한 결과, 각기 1.13±0.04, 1.19±0.02, 1.94±0.03, 2.40±0.12 nmole·mg protein^(-1)·30min^(-1)으로 분화가 진행될수록 칼슘 uptake 활성이 증가하였다. 분주 후 16일이 경과된 Caco-2 세포에 한약처방을 50㎍/㎖농도로 일정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칼슘 uptake를 측정한 결과, 한약처방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세포 (2.34±0.10 nmole·mg protein^(-1)·30min^(-1))에 비해 KB 및 YH로 24시간 전처리 시 칼슘 uptake가 12% 및 30% 증가하였고, JY, SD 및 SM로 6시간 전처리 시 칼슘 uptake가 29%, 21% 및 18% 증가하였다. Caco-2 세포에 5∼100㎍/㎖까지 한약처방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6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칼슘 uptake를 측정한 결과, 대조세포와 비교시 JY 및 SM는 칼슘 uptake 활성을 50㎍/㎖농도에서 각각 28% 및 19% 증가시켰고, YH는 100㎍/㎖농도에서 23% 증가시켰으며, 그리고 KB 및 SD는 5㎍/㎖ 농도에서 칼슘 uptake를 3% 및 16%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약처방이 한약처방의 종류에 따라 일정농도와 전처리 시간에서 장내 칼슘 uptake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칼슘의 net transport는 confluent한 상태의 Caco-2 세포를 collagen이 처리된 transwell membrane filter에 3.5×10^(5)개씩 분주하고 16일간 배양한 후 upper chamber에 첨가된 칼슘이 세포를 통과해 lower chamber로 빠져 나온 속도로 측정하였다. 세포내 tight-junction의 permeability를 측정하기 위해 epithelial voltohmmeter를 사용하여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를 측정한 결과, 분주 후 18일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한약처방의 효과가 최대화되는 전처리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Caco-2 세포에 YH (50㎍/㎖)를 0, 1, 3, 6,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칼슘 net transport를 측정한 결과, 각각 7.76±0.28, 6.58±0.04, 7.17±0.16, 8.92±0.18, 8.90±0.4 nmole·mg protein^(-1)·h^(-1)으로 나타나 6시간 전처리시 칼슘 net transport가 가장 높았다. Caco-2 세포에 다섯가지 한약처방을 50㎍/㎖ 농도로 6시간 동안 전처리한 결과 칼슘 net transport가 각기 YH; 8.48±0.14, JY; 7.31±0.12, KB; 7.65±0.03, SM; 7.96±0.34 및 SD; 8.01±0.42 nmole·mg protein^(-1)·h^(-1)으로 나타나 대조세포 (7.33±0.12 nmole·mg protein^(-1)·h^(-1))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약처방의 농도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Caco-2 세포에 5∼100㎍/㎖까지 농도를 달리하면서 다섯가지 한약처방을 6시간 동안 전처리한 결과, 대조세포와 비교시 YH 및 SD로 전처리한 경우 100㎍/㎖농도에서 칼슘 net transport 활성이 각각 14.5% 및 13% 증가하였고, KB 및 SM로 전처리한 경우에는 50㎍/㎖농도에서 4.3% 및 9.5% 증가하였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한편, JY는 농도의존적으로 칼슘 net transport 활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세포와 비교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섯가지 한약처방이 칼슘 net transport 활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칼슘의 장내 흡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사려된다. It is needed to study calcium bioavailability, which is susceptible to deficient among the Koreans by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It was reported that dietary fiber, phytate and tannin hindered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inorganic compounds (Cu, Fe, Zn). Herbal medicine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prevent chronic disease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M. although, up to dat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Ca absorption were not studied at all. Thus, we evaluated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We used Caco-2 cell line to study calcium uptake and transport in intestinal brush border membrane and basolateral membrane, respectively. As the Caco-2 cell line was incubated for 4, 8, 16 and 24 days post seeding,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marker enzymes (alkaline phosphatase, γ-glutamyl transferase and sucrase) were kept increased (p<0.001), suggesting that cell differentiation of Caco-2 was continued until 24 days post seeding. As the Caco-2 cell line was incubated for 4, 8, 16 and 24 days post seeding, activities of Ca uptake were increased 1.13±0.04, 1.19±0.02, 1.94±0.03, 2.40±0.12 nmole·mg protein^(-1)·30min^(-1), respectively. Pretreatment of confluent Caco-2 cells for varying periods from 1 to 24h with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t a concentration of 50 ㎍/㎖, KB and YH for 24h pretreatment resulted in 12 and 30% increased Ca uptake, while JY, SD and SM for 6h pretreatment resulted in 29, 21 and 18% increased Ca uptake compared to the value for control cells (2.34±0.10 nmole·mg protein^(-1)·30min^(-1)), respectively. Wh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herbal medicine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100㎍/㎖), 28 and 19% increases in Ca uptake were observed with 50㎍/㎖ of JY and SM, while 23% increases in Ca uptake were observed with 100㎍/㎖ of YH, respectively.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Caco-2 cell monolayer grown on permeable membrane filter support was measured using a voltohmmeter.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d as the cells in the monolayer reached full differentiation over 18 days in culture. Pretreatment of confluent Caco-2 cells for 6h with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t a concentration of 50 ㎍/㎖, YH (8.48±0.14), JY (7.31±0.12), KB (7.65±0.03), SM (7.96±0.34) and SD (8.01±0.42) in Ca net transpor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value for control cells (7.33±0.12 nmole·mg protein^(-1)·h-1), respectively. When cells were pretreated for 6h with herbal medicine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100㎍/㎖), 14.5 and 13% increases in Ca net transport were observed with 100㎍/㎖of YH and SD, while 4.3 and 9.5% increases in Ca net transport were observed with 50㎍/㎖of KB and SM,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do not exert significantly adverse effect on intestinal Ca absorption. Maximal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intestinal Ca absorption varied depending on the sorts of the herbal medicine and periods, concentrations of pretreatment of herbal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