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PA 분석에 따른 고령친화공원 개선을 위한 실증연구: 오솔길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나아가는 가운데, 고령친화공원의 계획 방향성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고령친화공원의 조성방안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지만, ‘유일한 고령친화공원인 서울시 양천구 오솔길근린공원의 고령 이용자가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만족하고 있는지’와 ‘만족하지 못한다면, 고령자의 어떤 특성과 공간계획요소를 우선으로 개선해야 하는지’에 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오솔길근린공원 고령 이용자를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중요도ㆍ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중요도ㆍ만족도를 분석하여 집중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오솔길근린공원의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외 고령친화공원 사례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고령자를 우선으로 배려하며 모든 연령이 이용 가능한 공원’이라는 연구관점하에 ‘공원 전체가 세대통합형 공간’ 유형인 양천구 오솔길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의 빈도분석과 고령층 1차 인터뷰를 통해 고령친화공원 공간계획요소를 도출하여, 오솔길근린공원 고령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간계획요소 중요도ㆍ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 81부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라 고령친화공원 공간계획요인의 중요도ㆍ만족도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고령친화공원 공간계획요인의 중요도ㆍ만족도 차이가 있는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령친화공원 공간계획요인과 공간계획요소의 중요도ㆍ만족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고령층 2차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솔길근린공원의 고령 이용자는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층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요소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오솔길근린공원은 고령 이용자의 사회적 교류를 위한 요소를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셋째, SOS 벨과 CCTV 요소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고령 이용자의 위급상황을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넷째, 고령 이용자의 주된 방문 목적인 편안한 산책과 보행을 위한 요소를 중점적으로 유지 및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여가 공간을 여성과 남성 고령 이용자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개선해야 한다. 이 연구는 고령친화공원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고령층을 우선으로 배려하는 공간이자 모든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공원’이라는 관점으로 고령친화공원을 연구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추후 고령친화공원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The study was begun to find the direction of planning for the age-friendly park as it progressed into an post-aged society.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how to create an age-friendly park, but practical and specific studies on ‘whether elderly users of the only age-friendly park are satisfi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k’ and ‘if they are not satisfied, what characteristics and spatial planning factors of the elderly should be improved firs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elderly users of the Osol-Gil neighborhood park to answer the question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nd deriving factor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I tried to present practical improvement plans for the Osol-Gil neighborhood park. Analysis methods for developing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ree types of age-friendly parks were divided into domestic and overseas based on prior research. Under the research perspective of ‘Parks that care about the elderly first and can be used by all ag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nearby Osol-Gil neighborhood park in Yangcheon-gu, a type of ‘the entire park is integrated spac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the first interview with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planning elements for elderly users of the Osol-Gil neighborhood park. Based on the 81st part of the survey respons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nalyzed for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age-friendly parks depending on gender. In addition, one-way ANOVA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planning factors for age-friendly parks depending on age. Finally,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atial planning factors and spatial planning elements was conducted, and the second interview with the elderly was conducted to gather experience and opinions on spatial planning elem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users of the Osol-Gil neighborhood park were found to have low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ark's physi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spatial planning factor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econd, Osol-Gil neighborhood park should intensively improve the factors for social exchange of elderly users. Third, the importance of SOS bells and CCTV components has been shown to be low, but they must be installed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the emergency situations of older users. Fourth, the main purpose of visits for elderly users shall be to maintain and improve elements for comfortable walking and walking. Finally, it should be improved to a caring space for both female and male elderly users. This study suggests a lot by studying age-friendly parks in terms of "a space that cares for the elderly first and a park where all generations can hang out" in the face of insufficient research on age-friendly park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lanning an age-friendly park in the future.

      • 아동발달센터 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윤태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아동발달센터 이용자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통해 아동발달센터의 서비스 품질개선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창원, 김해, 제주 지역에 위치하고 특수체육이 포함된 아동발달센터 총 5곳의 이용자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dow Versio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설문지의 신뢰도 검정을 위해 Cronbach’s ⍺값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IPA 기법으로 아동발달센터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단순 산점도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발달센터 서비스 품질의 요인 간 중요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발달센터 서비스 품질의 문항 간 중요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발달센터 서비스 품질의 IPA 매트릭스는 문항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발달센터 이용자들은 제공받는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이용자가 만족하는 항목은 교사의 단정한 용모, 현대적인 시설용품, 시간 내 서비스제공, 정해진 서비스 제공 순으로 나타났으며 만족하지 않는 항목은 편리한 주차, 안전한 시설, 쾌적한 공간, 교육비의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아동발달센터 운영자는 이용자의 이익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고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것이며, 교육비에 대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개선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of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68 users of five child development centers located in Busan, Changwon, Gimhae, and Jeju, including special sports, and the SPSS Window Version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ronbach's ⍺ value was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Finally, a simple scatterplot graph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using the IPA techniq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at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questions and satisfaction between children's development center service quality. Third, the IPA matrix of service quality at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was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question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users of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ervices provided. Among them, the items that users were satisfied with were in the order of neat appearance of teachers, modern facility supplies, in-time service provision, and designated service provision. In addition, the items that were not satisfied were in the order of convenient parking, safe facilities, pleasant spaces,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costs. As a result of the IPA matrix analysis, it was found that operators of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should ensure safety and secure parking spaces in consideration of users' interests, and seek ways to improve them so that they do not feel burdened by education costs.

      • 농업인 농작물재해보험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윤원찬 전북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4

        This study aim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system efficiency of crop insurance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crop insurance, which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management stability of farms producing crops. Factors for each process are extracted from insurance subscription to insurance paymen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extracted fact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farmers who actually grow crops can directly contain the voices of farmers, so i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establishing a crop insurance system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farmers. There are 23 factors extracted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Accident Insurance Act, and a total of 5 attributes are classified.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adrant were found to be 4 out of 23 factors. Items in the second quadrant are factor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ese factors need to be improved by focusing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crop insurance did not correspond to either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surve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crop insuranc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farmers wished to continue using it. This means that farmers who use crop insurance a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ystem, but want to continue using the system for stabilization of agricultural management. Second, the factors that ne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in the second quadrant are mostly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attributes that determine whether or not insurance is paid or not.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adrant(focus area) are ‘confirmation of whether an accident is compensated’, ‘convenience of objection of evaluation result’, ‘convenience of evaluation result confirmation’, and ‘information on insurance payment dat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satisfaction factors, it is necessary to focus resources and capabilities on developing a system for user convenience by continuously collecting the opinions of field farmers. The rapidly changing global market economy and increasingly unpredictable weather changes are approaching not only the farmers who grow crops but also the national crisis in terms of food security. Crop insurance is a good system tha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stability of farmhouse management. While complaint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crop insurance system are high, there are also high voices ab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rop insurance. By continuously listening to the voices of farmers, interest and support are needed so that crop insurance can continuously contribute to agricultural management and national food security.

      • IPA 기법을 활용한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항만물류서비스 중요도-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남상효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2

        Currently, 10 out of 16 ferries operated in Korea are operated a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nd the volume of fer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s gradually increasing. As of 2021, 494,666 TEUs were processed, increasing by 14.0% compared to 433,907 TEUs in 2017. Prior to June 2020,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divided into Terminal 1 (Inna Port) and Terminal 2 (Yanan Port). Incheon Port Corporation invested an astronomical amount of money to open the curren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n June to improve efficiency by minimizing passenger inconvenience, revitalizing cruise docks, and integrating and operating the Korea-China ferry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There was a study predic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future operating factors before the integrated opening of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survey of port logistics service users, providers, and indirect stakeholders during the terminal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factors by collecting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data related to Korean-Chinese Car-ferry. The major factors were network, facility, cost, operation, service, and marketing. Port accessibility, ship frequency, route diversity, feeder port proximity, equipment area, maximum water depth and safety wall length, rear logistics complex activation, rent level, loading cost, storage cost, various incentives, port labor productivity, port operation professionalism, port accessibility, port and reliability, were selected as detail factors. This study used an appropriate IPA technique to survey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port logistics service a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s for the analysis method, a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quadrant I (maintenance strengthening area - KEEP UP THE GOOD WORK), 'port accessibility', 'ship port frequency', 'maximum water depth and wall length', 'labor stability', 'productivity', 'process', 'property', 'complex linked transportation convenience', 'safety and security' and 'service factor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quadrant II (preferably corrective effort - CONCENTRATE HERE), factors such as 'device area', 'loading equipment input number', 'background complex activation', 'rent', 'loading cost', 'storage cost', 'incentive', 'free device period', and 'relevant agency cooperation'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the quadrant Ⅲ (gradual improvement area - LOW PRIORITY), factors such as 'feeder port proximity', 'port awareness', and 'sale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the quadrant Ⅳ (present-day maintenance area - POSSIBLE OVERKILL), 'path diversity' and 'information provision' factors were calcula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quadrant (maintenance strengthening area), factors such as "port accessibility", "ship port frequency", "maximum water depth and safety wall length", "productivity", "process", "manpower expertise", "reliability", "complex linked transportation convenience", "safety and security service", and "information service" were calculated. Incheo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ncluding pre-ship/shipper, loading station, and indirect stakeholders, has been newly opened, but since the terminal operators' old work and abundant KNOW-HOW are now provided, the shipping /shipper, and indirect stakeholders have been able to safely load the mile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cond quadrant (first of all corrective efforts), factors such as 'device area', 'loading equipment input number', 'background complex activation', 'rent', 'loading cost', 'storage cost', 'incentive', 'free device period', and 'relevant agency cooperation' were calculated. It suggests that factors such as shipping/shippers, stevedoring company/indirect stakeholders, etc. have been calculated and distributed similarly, bu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in each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hipping/shippers, shipping/shippers have become large in terms of port service users in the past, and shipping/shippers have preoccupied an advantageous position in rate negotiations. However, as port logistics service providers have a relative advantage in determining loading rates, it is believed that it has been reflected as an improvement in terms of service user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emphasized the need for cooperation from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Port Authority and the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gency, such as expanding the provision of incentives and motivation to attract port volume.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hat the improvement in cost factors such as unloading costs and storage costs is the realization of unloading rates and the calculation of conflicting results that want to receive high-quality unloading services at appropriate cost, not low-cost high-quality unloading services. Third, in the third quadrant (gradual improvement area), factors such as 'feeder port proximity', 'port awareness', and 'sale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shipping/shippers and indirect stakeholder groups, the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newly opened after June 20, but 13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ort was opened in 1893. As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as a logistics center in Northeast Asia since its opening, it is believed that the operation and external recognition of adjacent ports are recognized as the second highest port in Korea after Busan Por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evedoring company group it is believed that aggressive marketing and sales were emphasized to increase transshipment cargo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neighboring ports an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goods to surrounding ports such as Pyeongtaek and Dangjin ports. Fourth, in the fourth quadrant (the current maintenance area), the factors of 'route diversity' and 'information provision' were calculated. There are 16 ferries in Korea and China, and they are operated with 10 routes to Incheon Port, 5 ports to Pyeongtaek and Dangjin Port, and 1 route to Gunsan Port. In light of the operational status of other ports, it is judged that it shows high satisfaction in terms of users as it provides wide information to shipping companies/shippers by applying IT technology with relatively much route d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being limited to Korea-China ferry container cargo. Passenger transportati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due to the nature of the ferry, so I think it is a limitation that research to measur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customers. In addi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Incheon Port among Korea-China ferries,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rt industr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s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ports operating Korea-China ferries such as Pyeongtaek, Dangjin, and Gunsan ports.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중 카페리 항로는 전체 16개 중 10개 항로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한·중 카페리 물동량도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2021년 기준 494,666TEU를 처리하여 2017년 433,907TEU 대비 14.0% 증가하였다. 2020년 6월 이전까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은 1터미널(내항), 2터미널(연안항)으로 이원화되어 나뉘어져 운영이 되었다. 여객터미널 이용객 불편 최소화, 크루즈부두 활성화, 한·중 카페리 국제여객터미널의 통합 일원화 운영 등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인천항만공사에서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여 현재의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2020년 6월 개장하였다.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통합 개장 이전 추후 통합 운영될 경우 향후 운영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있었으나 실제 개장 이후 터미널 운영 중 항만물류서비스 이용자, 제공자, 간접적 이해관계자의 중요도-만족도 조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최근 개장된 컨테이너터미널인 만큼 타 항만 대비 높은 하역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문제점을 발굴하고 향상시켜 물동량 증대 및 터미널 활성화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더 나아가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규 컨테이너 물동량 확보를 통한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카페리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들을 취합하여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대요인으로는 네트워크, 시설, 비용, 운영, 서비스, 마케팅 6개로 구성하였다. 세부요인으로는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항로다양성, 피더항 근접성,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배후물류단지 활성화 여부, 임대료 수준, 하역비용, 보관비용,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항만노동의 안정성, 하역장비 생산성, 화물처리 프로세스,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 선박 접안 스케쥴의 신뢰성, 무료장치기간, 복합연계운송의 편리, 항만안전 및 보안서비스, 항만정보시스템 활용수준, 항만인지도 및 평판, 항만세일즈, 홈페이지 정보제공 서비스, 항만관련 유관기관의 협력 및 조화 총 25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항만물류서비스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위해 적합한 IPA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Ⅰ사분면(유지 강화 영역 - KEEP UP THE GOOD WORK)의 경우에는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노동안정성’, ‘생산성’, ‘프로세스’, ‘인력전문성’, ‘신뢰성’, ‘복합연계운송편리’, ‘안전 및 보안서비스’, ‘정보서비스’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Ⅱ사분면(우선 시정노력 - CONCENTRATE HERE)의 경우에는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배후단지 활성화’, ‘임대료’, ‘하역비’, ‘보관비’, ‘인센티브’, ‘무료장치기간’, ‘유관기관협력’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Ⅲ사분면(점진적 개선 영역 - LOW PRIORITY)의 경우에는 ‘피더항 근접성’, ‘항만인지도’, ‘세일즈’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Ⅳ사분면(현상 유지 영역 - POSSIBLE OVERKILL)의 경우에는 ‘항로다양성’, ‘정보제공’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사분면(유지 강화 영역) 분석결과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노동안정성’, ‘생산성’, ‘프로세스’, ‘인력전문성’, ‘신뢰성’, ‘복합연계운송편리’, ‘안전 및 보안서비스’, ‘정보서비스’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이는 선사/화주, 하역사, 기타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신규 개장하였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터미널 운영사들의 오래된 업력과 풍부한 KNOW-HOW가 현재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선사/화주,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이 하역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 선박이 부두에 안정적으로 접안하는 순간부터 정시성을 가지고 숙련노동자에 의해 안정적인 작업이 완료되고 있으며, 하역서비스의 완료 이후 라스트마일(Last mile) 서비스가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2사분면(우선 시정노력) 분석결과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배후단지 활성화’, ‘임대료’, ‘하역비’, ‘보관비’, ‘인센티브’, ‘무료장치기간’, ‘유관기관협력’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선사/화주, 하역사,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 대동소이하게 요인들이 산출되어 분포되었지만 각자의 상황에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사/화주 입장에선 과거 항만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 선사/화주의 대형화가 되어 요율 협상에서 선사/화주들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였다. 하지만 하역요율 요금 결정에서 항만물류서비스 공급자가 상대적 우위를 점유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 개선 사항으로 반영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항만공사 및 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기관들의 인센티브 제공 확대, 항만물동량 유치를 위한 동기부여 등 유관기관의 협조가 필요함을 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하역사 입장에서는 하역비, 보관비 등 비용측면 요인의 개선사항은 하역요율의 현실화, 저비용 고품질 하역서비스가 아닌 적정한 비용의 지불에 따른 고품질 하역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상호 상반된 결과의 요인 산출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3사분면(점진적 개선영역)은 ‘피더항 근접성’, ‘항만인지도’, ‘세일즈’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선사/화주, 간접적 이해관계자 그룹의 경우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이 2020년 6월 이후 신규 개장하였지만, 인천항은 1883년 개항 이후 135년의 세월이 지났다. 개항 후 그동안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온 만큼 주변 인접 항만의 환적항으로의 운영, 대외 인지도는 우리나라에서 부산항 다음으로 높은 항만으로 인식된다고 판단된다. 반면, 하역사 그룹의 경우 물동량 창출을 위해 인접항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환적화물을 늘리고, 평택·당진항 등 주변 항으로의 물동량 분산을 막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과 세일즈를 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4사분면(현상 유지 영역)은 ‘항로다양성’, ‘정보제공’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우리나라의 한·중 카페리 16개 항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인천항 10개, 평택·당진항 5개, 군산항 1개 항로로 운영되고 있다. 다른 항만에 운영현황을 비추어 봤을 때 비교적 많은 항로다양성을 가지고 IT 기술을 접목하여 선사/화주에게 폭 넓은 정보제공을 하고 있어 이용자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중 카페리 컨테이너 물동량 화물에 국한되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페리 특성상 여객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여객을 이용하는 외부고객 입장에서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함에 있어 중요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별도로 진행되지 못한 점은 한계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중 카페리 중 인천항에만 국한되어 평택·당진항, 군산항 등 한·중 카페리를 운영하는 타 항만과의 비교 분석도 진행되지 못해 추후 비교 분석을 통한 항만산업 발전방향의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미세먼지로 인한 야외활동 위험인식 변화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자전거 이용객을 대상으로

        김보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1

        The level of Particulate Matter Risk Perception (PMRP), which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s a lifestyle health risk, is serious. The government's action guidelines for PM risk concentration are recommended, and as media reports accumulate, the anxiety associated with Outdoor Activities (OA) and its direct impact on health is increasing. Despite these PM issues, the public desire for OA, such as play, physical education, and outdoor recreations, is increasing.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obtain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egarding the PMRP and the public’s OA, thereby, adding to the conf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PMRP, reflecting social demands, formation of PMRP concerning the PM concentration, public opinion, and policy. It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RP and Outdoor Activity Satisfaction (OA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OAS between bikers and non-biker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PMRP and its effects on the OAS. To identify the change in PMRP,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a bicycle on-line community and were transformed through pre-processing and cleaning. Finall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applied. Additionally, the PM concentration, public opinion, and policies affecting the change of PMRP were identified,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PMRP w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RP and OAS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s Model (SEM), and the differences in OAS were analyzed using the SEM and revise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 The mai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SNA, perceived PM in the bicycle community was found to change negatively. Besides, as the PMRP increased, OA was determined by PM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environmental factors (e.g. rain or cold). Because indoor cycling was more monotonous than outdoor cycling, some bikers turned to other indoor exercises(e.g. yoga or weight training).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MRP was influenced by inaccurate PM concentration, distrust in government policies, and unverified excessiv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nges in the PMRP, the changes in PM concentration, the number of media reports, and government polic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people have felt PMRP in PM figures felt during OA, rat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r daily-average figures presented by the WHO. Longer the generation time of PM 2.5 and more PM that was visually and cognitively experienced, more the public's PMRP increased. The number of media reports related to PM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PM posts and influenced PMRP the most. Since controversies act as a trigger for PMRP, we suggested risk communication among the public and shareholders. The PM policies delivered by the government can be highly associated with the public’s PMRP,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This means that the spread of information or ripple effect can be very large because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guidelines or regulations by the government. However, the government considered the process of forming PM policies only after the winter season because of severe PM concentration and negative feedback from the public. In the future, PM policies should establish policy goals in stages rather than as a vicious circle formed and extinguished by public controversy or media influence. Based on the social needs and scientific solutions, rational PM manage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among stakeholders should be discussed. Third, PMRP is higher when people have no interest or trust in Public Opinion and Policies (POP) related to PM; the health risk perception increased while OAS decreased. More the interest of people in forming the POP, higher is the OAS. In other words, lower the environmental impact, higher the person’s interest level that positively affects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which consequently has a positive effect on OAS. Fourth, OAS had more negative effects on the non-bikers than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ntire sample. For non-bikers, the most enjoyable OA in the presence of the PM effect was found to be social satisfaction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When the PM level was unsafe, they were meaningless to OA. Fifth, for the bikers, the PM health risk perception negatively affected the OAS; however, it was rejected because the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re was a PM effect, items in OAS of bikers were more varied than non-bikers. It is interpreted that it is insensitive to health risks due to various preexisting satisfactions and plays a role of self-defense for outdoor cycling, even though the PM level is unsafe. Considering the abov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PM health risks experienced by the bikers with high outdoor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re must be a risk communication process or promotion process that helps recognize the PM; social consensus through step-by-step discussion is also requir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is study, research on OA type or various occupation groups exposed to PM should be conducted. Particularly, if continuous long-term studies through time-series data accumulation are combined, the changes in PMRP and OA can be studied more comprehensively. 최근 생활형 건강위험으로 논란이 되는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의 미세먼지 위험농도에 따른 행동지침이 권고되고, 언론보도가 누적되면서 건강과 직결된 야외활동의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이슈에도 불구하고 놀이, 체육, 야외교육 등 야외활동을 갈망하는 대중들의 욕구 또한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위험인식이나 야외활동만족에 관한 종합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미세먼지 위험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도출된 미세먼지 농도수치, 여론, 정책과의 관계에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가 야외활동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계를 규명하고, 야외활동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여 건강위해성과 야외활동만족도간 딜레마를 겪고 있는 자전거 이용객들의 사회적 보호방안과 관련 정책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형성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야외활동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는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을 벗어나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수집하고자 자전거 커뮤니티 내 게시글인 카페글과 댓글을 수집하고, 빅데이터 사전정제작업을 거친 후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는 미세먼지 농도수치, 여론, 정책 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미세먼지 위험인식에 관여하는지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위험인식과 야외활동만족도 관계규명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고, 야외활동 유형별 차이는 구조방정식을 통한 인과관계 검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야외활동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네트워크분석결과 자전거 커뮤니티 내에서 체감하는 국내 미세먼지 인식은 시기별로 부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또한 미세먼지 위험인식 글이 증가하면서 비나 추위보다 미세먼지 애플리케이션이나 언론에서 제공되는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야외활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원들의 일부가 실내 자전거운동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야외보다 단조로운 운동특성상 요가나 헬스와 같은 다른 유형의 실내운동으로 전환되는 움직임도 파악되었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 농도수치의 부정확성이나 정부나 정책의 불신, 미검증된 언론의 과도한 정보로 인한 논란으로 미세먼지 위험인식이 가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와 시기별 미세먼지 농도, 언론의 미세먼지 보도건수, 정부의 미세먼지관련 정책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미세먼지 위험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 미세먼지 농도수치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간이 길어질수록, 시각적·인식적으로 체험되는 미세먼지가 많아질수록 논란이 심화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세먼지관련 언론보도건수는 미세먼지 게시글과 가장 유사하게 상승, 하락하는 패턴으로 나타났고, 미세먼지 위험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가장 큰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미세먼지 위험인식의 기폭제로 작용하여 논란이 확산될 수 있기에 언론의 주요 역할과 대중과의 사회위험 소통을 위한 위험커뮤니케이션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부의 미세먼지관련 정책은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한 겨울철과 여론의 질타가 집중된 다음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여론에 반응성을 높인 단기 전략의 정책은 형성과 소멸의 악순환을 반복하며 미세먼지 위험인식 형성에 관여될 수 있다. 실제 정부 혹은 지자체의 지침이나 규제를 통한 정보전달은 확산력이나 파급력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요구와 과학적 해법에 근거한 합리적인 미세먼지 관리정책 및 규제방안이 논의되어져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 결과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에 관심이 적을수록,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을 신뢰할수록 건강위험인식은 높아지지만 이렇게 형성된 건강위험인식은 야외활동만족도에 부적(-) 상관관계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미세먼지 여론이나 정책에 관심이 많을수록 야외활동만족도에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세먼지에 대한 본인의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주변영향을 적게 받을수록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이는 결국 긍정적인 야외활동만족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자전거 비이용객의 구조방정식 결과는 전체 표본의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보다 야외활동만족도에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미세먼지 영향이 있을 때 충족되는 야외활동만족도의 대부분은 사회적 교류를 통한 사회적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세먼지 수치가 안전하지 않을 때 야외활동 그 자체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반면 자전거 이용객의 경우 미세먼지 건강위험인식이 야외활동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은 미치나 신뢰수준이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수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자전거 이용객의 경우 미세먼지 영향이 있더라도 충족되는 야외활동만족도 항목이 비이용객에 비해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형성된 다양한 만족도로 인해 건강위험인식이 둔감해지고, 미세먼지 영향이 있더라도 자전거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자기방어기제가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와 고찰을 통해 주목할 것은 미세먼지 취약계층뿐 아니라 야외활동만족도가 높은 계층의 눈높이에서 체감되는 미세먼지의 위험을 인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야외활동 유형에 따라 체계적으로 연구된 건강상의 위해성 정보나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총체적·유기적으로 미세먼지를 인식하도록 돕는 정부나 언론의 위험커뮤니케이션 과정이나 홍보가 선행된 후 단계별 토의를 통한 사회적 합의가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전거활동뿐 아니라 다양한 야외활동 유형별 또는 미세먼지 노출로 우려되는 직업군에 대한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시계열적 자료축척을 통한 지속적인 장기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미세먼지 위험인식 변화나 야외활동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요건강결정 요인과 건강도시사업 분석평가에 관한 연구 : 건강도시 진주를 중심으로

        박진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0

        도시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국내외 도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시화를 통해 야기되는 문제들은 현재의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문제들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보다 나은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시작된 것이 건강도시사업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강도시사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사업의 영역과 사업안에 대해서 분석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강도시를 시행하는 지자체별 특성에 맞춘 건강도시사업의 영역과 사업안을 도출하고 도시정책에 있어 수요계층인 시민, 공급계층 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환경에 대한 평가와 가중치를 조사하였다. 또한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통해서 지역의 건강도시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기존의 도시정책 및 도시환경에 있어 물리적 환경과 자연환경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경제적 환경, 보건의료서비스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진주시 건강도시사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반영되어야 할 부분을 나타났다. 이는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영역을 개인행태와 삶의 양식에 치중하는 경향이 설문결과에 반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즉, 건강도시를 도시 정책의 전반에 반영되는 사업이라기보다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건강도시사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기획관련 부서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정책의 수립과 진행 과정에 있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국내외 건강도시 사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건강도시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건강도시 지표의 설정, 조직체계의 구성 등이 필요하다. 이는 무엇보다 지자체장의 강력한 의지와 리더십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하며 각부서와 지역 그룹의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별 건강도시사업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건강도시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협력체계구축을 통해 건강도시사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평가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설문조사의 설문지가 동일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지가 않아 시민, 공무원, 진주시 건강도시 실무위원회 각각의 그룹별 인식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유사한 항목에 대한 조사로 의미가 유사하여, 이를 해석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가중치 도출과정의 비교대상이었던 사업안에 대한 개념적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통계적인 검증을 수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연구를 위해 설정된 건강결정영역 및 사업안에 대한 조사를 위해 문헌적 연구와 논리적 고찰이 이루어져 내용적인 타당성은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각 영역 및 사업안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각 항목에 대한 독립적이고, 분명한 개념들을 밝혀야 하는 것이 가중치 산정에 앞서 선행 작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Population growth in urban areas is a world-wide phenomenon, and Korea is no exception.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urbanization has been rapid in the past two decades, and such rapid urbaniz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coming years. While urbanization has provided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education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it has also brought about a number of adverse health problems. These urban health problems are caused by different factors called health determinants. These are related, to a certain extent, to the adequacy of medical and health services, but perhaps more so to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s of the urban areas, as well as people's lifestyles and behavior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 number of Healthy City projects were initiated in industrialized countr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Australia, Japan and New Zealand joined this movement. The Healthy Cities initiatives address priority urban health determinants, many of which are no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medical and health services. Solutions to urban health problems require the effective involvement of non-health sectors (e.g. industry, commerce/trade, municipal utilities and services, urban planning, etc.), as well a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private sector, and the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officers' opinions for the evaluation items and important factor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focus of governance based on private-public partnership should be based on diverse participating efforts of experts and agencies for promoting 'Healthy City Project'. In addition, we found that organization of stable and permanent governance network would be the most critical factor. Also,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s well as visions and passions of participants, vulnerable groups should be included in critical factors for efficient governance. Consequentl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suggesting some criteria to be applied to Korean 'Healthy Cities' for the future. As a result, experiences from cities demonstrated that strong political support is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and substantiality of a Healthy Cities Project. Without this, projects have little chance of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change, cooperation across sectors and re-allocation of resources which is essential to bring about differences in the ways health and environmental issues are tackled in cities.

      •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활용한 일식레스토랑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손정민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일식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1개 품질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일식 레스토랑 품질 속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일식 레스토랑 산업에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과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2월 중순부터 2013년 1월 까지 일식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30부를 배포하고 2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한 차이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 표본 집단의 전체 응답자 총205명 중 여성이 52.68%로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있어서는 30대와 40대의 비율이 높았다. 거주지는 부산 해운대구 16.58%, 부산 수영구 15.12%, 부산 남구 14.63%, 서울이 13.6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들의 일식 레스토랑 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식 레스토랑의 선호이유로는 분위기가 좋아서 57.1%, 음식의 신선도 37.6%, 맛이 있어서 24.9%, 직원의 서비스 수준 19.5%이며 분위기가 좋아서 57.1%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음식의 신선도 37.6%, 맛이 있어서 24.9%로 뒤를 이었다. 일식 레스토랑의 이용 이유에는 모임이유 36%가 가장 높았으며 데이트 32.2%, 가족외식 29.8%이 뒤를 이었다. 이 결과는 일식 레스토랑의 고급스럽고 깨끗한 환경으로 고객들의 선호도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편안한 대화와 맛있는 식사를 동시에 즐기기 위해 일식 레스토랑을 주로 이용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을 고려한 Cronbach's ⍺계수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일식 레스토랑 음식, 메뉴, 종업원,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중요도에 대한 21개 항목의 신뢰도 계수가 0.911, 중요도 요인의 신뢰도계수는 0.887(음식), 0.796(메뉴),0.851(종업원), 0.815(서비스), 0.730(물리적 환경)으로 나타났으며, 일식 레스토랑 음식, 메뉴, 종업원,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만족도에 대한 21개 항목의 신뢰도계수가 0.927, 다섯가지 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0.876(음식), 0.860(메뉴), 0.880(종업원), 0.851(서비스), 0.730(물리적 환경)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는 모두 0.7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항목 간 내적일관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 한 결과 중요도-만족도와 관련된 품질 속성 각 21문항이 대체로 타당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일식 레스토랑 품질 속성 21개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계산정확, 예약, 지식, 공간, 분위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대부분 만족도에 비해 중요도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중요도에서 신선, 위생, 식재료, 화장실, 음식, 서비스 질, 예의의 순서별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의 평균에서는 예의, 용모, 지식, 위생, 마인드, 서비스질, 신선의 순위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 평균의 차이를 보면 식재료, 신선, 음식, 화장실, 위생, 시각, 신속 순으로 평균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식 레스토랑 품질 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사분면에 속하는 항목들은 식재료, 신선, 서비스 질, 예의, 마인드, 위생, 화장실, 주차였으며, 1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의 좋은 성과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만족도를 유지하기 위한 대비책 또한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사분면에 위치한 평가항목들은 음식, 신속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일식 레스토랑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2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의 중점적 관리 및 개선이 필요함을 나타내며, 음식, 신속 모두 중요도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이기 때문에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3사분면에 위치한 평가항목들은 시각, 다양, 구성, 요구반영, 음악이다. 특히 음악, 다양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요구반영은 3사분면에 위치하는 것에 비해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중요도나 만족도를 조절하거나 진행하고 있는 노력을 통해 2사분면으로의 진입을 시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4사분면에 위치한 평가항목들은 계산정확, 예약, 용모, 지식, 공간, 분위기 이다. 따라서 향후 국내 일식 레스토랑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4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에 현재 진행하고 있는 노력을 2사분면에 투입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한 청년활동 정책방안 연구 : 충청남도 홍성군 사례

        안중원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현재 초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지방소멸의 위기감이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상황에서 지역에 청년들을 유치시키기 위해 여러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청년 활동 지원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의 청년 유입은 지역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 문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지역활동 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활동지원방안 요소의 중요도-만족도(IPA)분석을 통하여 지역청년의 활동 지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략적인 방향에 대한 제시하고자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20년 10월 14일(수)부터 10월 28일(수) 까지 14일간 지역 청년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0부의 설문 조사 중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6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11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SPSS를 이용하여 중요도-만족도(IPA)분석을 실시하여 IPA 매트릭스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지역 청년 활동 지원의 IPA 분석을 통해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높은 중요도 낮은 만족도로 집중개선이 필요한 영역인 ‘제 2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직장 내 문제해결 지원’,‘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여가관련 전문인력 양성’ 등 3가지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로 지속적인 관리, 점진적 개선이 필요한 영역인 ‘제 1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청년 임대주택 조성’, ‘주거비 지원’, ‘대출 지원’, ‘여가활동을 위한 휴가보장’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청년 활동 지원요소를 근거로 지역 청년 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 첫째, 지역 청년의 고용 안정,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대한 노력, 둘째, 지역청년의 주거 여건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 셋째, 지역 청년이 다양한 여가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등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 IPA를 활용한 MICE 개최지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 인천 송도컨벤시아를 중심으로

        박성오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중요도-만족도 분석(IPA)기법을 활용하여 송도컨벤시아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송도컨벤시아가 MICE 개최지로 선택될 수 있도록 송도컨벤시아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 송도컨벤시아의 MICE 개최지 선택 속성에 대한 종합 IPA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로 나타난 개최지 선택속성은 “임대료, 전시 및 회의 등 공간 활용도, 커뮤니케이션(통역․IT 등) 시설, 방음․조명․ 음향 시설, 컨벤션 운영능력, 컨벤션 브랜드, 컨벤션 홍보, 컨벤션 서비스, 공항․항만의 접근성, 호텔 시설․수용성 규모, 호텔 서비스, 호텔 숙박․식음료 비용” 총 12개 개최지 선택속성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선택속성은 현재와 같은 노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난 개최지 선택속성은 “전시장․회의장 면적 등 규모, 부대시설 이용가능성, 컨벤션 지하철․버스 접근성, 연관시설과의 거리, 컨벤션 이용 다양한 교통수단, 교통비용” 총 6개 개최지 선택속성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선택속성은 우선적으로 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낮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로 나타난 개최지 선택속성은 “문화․유적 등 볼거리, 지역 향토성 및 먹거리, 여흥․오락, 쇼핑, 지역주민의 환대성, 기후조건(쾌적성), 개최지 역사․문화성 등 이미지, 개최지 물가․환율, 해외기업 및 기관․외국인 거주 수” 9개 개최지 선택속성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선택속성은 추가적인 보완 또는 개선의 노력에 대하여 현재 이상의 노력이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낮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로 나타난 개최지 선택속성은 “안전성(범죄율), 친환경도시 이미지, 대기질․수질 등 자연환경의 질, 친환경 인증(녹색건물인증), 녹색기후기금 유치 도시의 상징성” 5개 개최지 선택속성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선택속성은 투입된 노력을 다른 개최지 선택속성의 개선 또는 보완에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의 일반사항 분석결과 송도컨벤시아 MICE 개최 관람자의 48.2%가 MICE 종사자로 나타났고, 재방문 의사가 98.1%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높은 재방문의사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고객관리와 함께 보다 더 많은 일반시민, 학생 등의 참여가 필요하다. 특히 설문조사결과 가장 참여율이 낮은 30세 이하와 50세 이상의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송도컨벤시아를 중심을 “국제회의복합지구”지정과 함께 주변시설을 “국제회의집적시설”로의 지정을 통한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이 필요하다. 송도컨벤시아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종합 결과를 살펴보면 송도컨벤시아의 다양한 교통수단 등 접근성과 주변 연관시설과의 거리 등 주변 환경을 시급하게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15조의2(국제회의복합지구의 지정 등) 및 제15조의3(국제회의집적시설의 지정 등)에 따라 “국제회의복합지구”, “국제회의집적시설”로 지정을 받아 국제회의복합지구의 국제회의시설 및 국제회의집적시설에 대한 부담금 감면 같은 인센티브 제공, 종합적인 계획 수립 및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녹색기후기금 유치 도시의 상징성” 즉 “UN 도시, 송도컨벤시아”를 인천 MICE 개최지 활성화를 위한 대표 브랜드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MICE 개최지 선택의 권한을 가진 전시주최(부스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송도컨벤시아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결과에서 만족도 순위는 1위 “컨벤션 서비스”, 2위 “녹색기후기금 유치의 상징성”으로 나타났다. “녹색기후기금 유치의 상징성”은 인천만이 가진 고유한 가치이다. 인천만이 가진 “국제기구 도시 송도컨벤시아”는 전시주최자 들에게 다른 도시와 차별화된 인천만의 브랜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녹색기후기금 유치 도시의 상징성” 즉 “UN 도시, 송도컨벤시아”를 대표 브랜드로 육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섯째, 인천 MICE 개최지 현황 및 여건 분석 결과 “머무는 인천”과 “100개 이상의 MICE 사업체 육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 인천 “대한민국 관광의 출발지이나 인천에 머물지 않는다.”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입국하는 외래 관광객은 2015년 외래 관광객 전체의 61.9%인 8.197,254명이 입국 한다. 하지만 인천을 관광하는 외래 관광객은 2015년 899,752명(인천공항, 인천항 입국자 기준 10.9%)만이 인천을 관광한다. 인천의 “MICE 사업체 수(18개 업체, 전체의 1.7%)는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서울의 경우 767개 업체가 활동하고 있다. 인천은 서울의 2.3% 수준의 MICE 사업체가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 또한 인천의 MICE 인프라를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인천이 MICE 개최지로 선택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를 정보를 제공해 주는 관련 업체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100개 이상의 인천 MICE 사업체 육성 및 지원”이 필요한 것이다. 인천은 이들을 통해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ICE industry is a high value added and knowledge based industry which can generate the consistent effect on the society, economy and the culture. Every country in the world aggressively competes to host MICE. In this fierce situation, competitive strategies for meeting destination should be need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important attributes in selecting MICE destinations and to evaluate how well Incheon Songdo Convensia performs in providing the important attributes. To achieve this purpose, an empirical study based on a survey was conducted. A self reported survey measured the importance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destination’s performance on each of those attributes of meeting planners(hosts) and spectators, who have held MICE in Incheon Songdo Convensia.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llowing the previous literature.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cost to rent an Incheon Songdo Convensia, space of exhibition and conference utilization, communication facilities(interpreter, IT, etc.), sound insulation, lighting and acoustics facilities, convention operational ability, convention brands, promoting the convention, convention service, accessibility of airports and ports, hotel facilities and the acceptance scale, hotel services, hotel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 were placed on the right top area, implying that we need to keep up the good work for them. Exhibition place and the size of the meeting place, the convention facilities availability, subway and bus accessibility, distance with associated facilities,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costs were placed on the left top area, which need more efforts for improvement. The result showed that meeting planners and hosts perceived attributes related to MICE services as important attributes in selecting MICE destinations. Incheon Songdo Convensia was perceived to have a major weakness of attributes related to subway and bus accessibility, accessibility and distance with associated facilities,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service as a MICE destination site. To compete against other destination in the MICE industry and to maintain its competitiveness, Incheon Songdo Convensia should reposition its activities toward the right target market. Key Word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Competitiveness, MICE(Meetings, Incentives Travel, Conventions, Exhibitions/Events), MICE venue, Incheon Songdo Convensia

      • 장애인고용 촉진 지원정책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상해시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왕여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중국 상해시에 있는 장애인 고용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향후 장애인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현행 지원정책을 평가하여 현재 가장 중요하고 또 만족하고 있는 정책은 무엇이며, 더욱 중요한 정책은 무엇인 지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정부에서 지원된 정책의 상대적 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며, 장애인고용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만족도(ISA)분석을 토대로 전체 근로자의 25%가 장애인 근로자들로 구성되고 채용 시 장애인을 10명 이상 고용하는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정부 지원정책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설문조사하며 실증분석을 하였다. 현재 실행하고 있는 정책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 정책의 순위와 가장 만족하다고 생각된 정책에 순위를 살펴보며, 모든 정책들이 지속유지, 과잉노력지향, 저순위와 노력집중화지향 4분면으로 구분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원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선택 이유를 알아보며, 더 바람직한 정책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SA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제 1사분면에 위치함으로써 현재상태의 유지가 필요한 항목은, 세제지원, 사회보험지원, 인건비지원, 대출우대지원이었으며, 제 2사분면에 속한 과잉 항목은 장려금지원, 기업역량개발지원, 민주적 관리지원, 제도적 보장지원으로 나타났다. 제 3사분면에 속한 저순위 항목으로는 네트워크지원, 인증범위확대지원이 도출되었으며 제 4사분면에 나타나는 노력집중 항목은 교육훈련지원, 제품보호지원, 시설비지원이었다. 분석결과, 항목별 중요도 평균을 비교해 보면, 세제지원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사회보험지원, 인건비지원, 시설비지원, 대출우대지원순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지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항목별 만족도 평균 비교 결과, 세제지원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사회보험지원, 인건비지원, 대출우대지원순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제품보호지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시사점은 첫째, 사회적 기업의 고용부담감 감소 및 사업의 경영난 문제를 해결해 주는 데 이바지하는 지원정책의 폭을 향상시키거나 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잉노력 속성에 속한 지원정책들에 대해 높은 만족도가 적은 투입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라면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해 줄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가 아니면 여기 투입된 재원들을 감소시키고 노력집중화 속성에 투입해야 된다. 셋째, 저순위 속성에 속한 지원정책들이 재원이 부족한 경우 정부에서 상황에 따라서 추가적인 자원을 배분할 지 결정하고, 재원의 가용여부에 따라 지원 유지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넷째, 정부에서 제공된 지원정책들은 충분히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들의 요구를 고려하고 그들의 특성에 맞게 지원해 줘야 하며, 제공된 지원정책 등에 관한 홍보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기업들이 정부에서 제공된 정보들을 최대한 빨리 알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상해시 뿐이고 다른 지역의 경우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표본크기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관한 사회적 기업 역할 및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편이고,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장애인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연구결과로 제시한 기존 연구과 달리 본 연구는 기존 장애인고용 창출을 높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통해서 현재 사회적 기업에 지원되는 현 정책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기반으로 정책을 평가하고 또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by evaluating the support policy which is implemented in the Social Enterprises of Shanghai. The study aims to analysis which one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support policy. And it also be required to find which one is the most satisfied. And this study also aims to find the current deficiency and the necessary changes in support policy, so as to find the way of policy improvement. It means by determining the effect of the support policy, it may be a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difficult on obtain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This study focus on the Social Enterprises in Shanghai which hired the disable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analysis.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it was be introduced in this study such as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s, the support policy implemented in the Social Enterprises and the model of Importance - Satisfaction Analysis. By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Importance - Satisfaction Analysis and it also try to discover which kind of factors influence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but also th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policy which are both felt important and satisfy are need to continue even to increase the inputs. Second, the support policy which are thought not important but satisfy are need to maintain as them or to decrease the inputs. Third, the support policy which are thought not important and also not satisfy are not priority if there are some intractable problems in the others support policy. At las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policy which felt important but not satisfy are priority and they are need to be improved as quickly as possibl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used empirical analysis to analyze Social Enterprises and it try to make contribu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China. However, this study only focus on the Social Enterprises in Shanghai and it only analyzed samples less than 100.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can analyze more samples and the other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