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오성훈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속가능경영과 기업이미지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문헌연구들을 통해 그 동안 기업이미지 관련 연구 및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흐름을 파악함과 동시에 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더하여 업종 간 지속가능경영활동에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Triple Bottom Line 모형을 변형하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사례로 분석하여 업종에 따른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더하여 Triple Bottom Line 모형을 사용해 업종별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분석하여 업종에 따른 기업의 지속가능경영활동 차이를 확인해 보았지만 특별한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다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작성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고서의 큰 틀에서 차이가 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보고서의 작성 기준이 GRI에 입각해 작성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성상의 차이로는 제조업은 생산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 시 발생되는 환경물질 감축은 물론 제품 자체에도 환경적인 부분을 신경 쓰고 있는 반면, 서비스업은 직접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물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관계로 환경보전 및 환경을 생각하는 다양한 상품개발 및 활동을 통해 간접적인 환경보호 의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추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시 업종에 맞는 작성양식이 개발되어 분야에 맞게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작성 되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활동의 노력 산물이며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탄소배출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매출액 대비 탄소배출량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과 더불어 배출권거래제 시행 전·후 및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여부에 따른 탄소배출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데 있다. 기후변화 국제체제에 있어 지난 2015년은 매우 중요한 해였다. 1997년의 교토의정서 이후 새로운 국제적 기후 질서인 파리협정이 발효되면서 탄소를 줄여야 한다는 것에 대해 전 세계가 공감함은 물론 각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을 강제화 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 정부는 기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보다 높은 수준인 2030년까지 BAU대비 37%를 감축한다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하여 보다 강화된 기후정책을 예고하였다. 또한 국제협약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국내 기업들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촉진을 위하여 2012년 ‘에너지 및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2015년 1월 12일 동아시아 최초로‘배출권거래제’를 시행 하였다. 이렇듯 기후위험(또는 탄소위험)이 현실화 되면서 기업들은 기후위험에 대응과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의 생존을 위한 경영전략 마련에 대한 압박을 받게 되었다. 또한 기업이 기후변화 위험 관리를 하고 있는가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특히 투자자에게 있어 기후변화 위험 대응력은 상당히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기업의 환경성과와 기업의 재무성과 또는 기업경쟁력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를 보여 주지 못했다. 또한 탄소배출량과 기업의 경영성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고찰한 국내・외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동안 탄소발생량은 지속가능보고서 또는 환경보고서 등에 공개되어 왔었지만 강제성 없이 기업이 자발적으로 공시해 왔기 때문에 기업마다 측정방법과 범위(Scope)가 달라 기업 간의 비교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의 목표관리제 시행에 따라 제출되기 시작한 명세서 상의 탄소배출량은 일관된 측정방법과 범위를 따르기 때문에 기업 간의 비교가 가능해 졌으며, 배출권거래제 시행 이후에도 계속 제출되고 있어 연구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탄소배출량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더불어 배출권거래제 시행 전·후 및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여부가 탄소배출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016년 10월에 고시된 할당대상업체들의 2013~2014년(배출권거래제 시행 전)과 2015~2016년(배출권거래제 시행 이후) 탄소배출량 정보를 바탕으로 기업의 기후변화위험(탄소위험)의 대용치 변수인 매출액 대비 탄소배출량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탄소배출량이 작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탄소배출량 감소에 따른 경영성과의 향상 효과는 배출권거래제 시행 이후가 시행 이전에 비하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매출액 대비 탄소배출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탄소발생량을 줄이면 기업의 경영성과가 증대 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업의 탄소배출량 감축 노력에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소배출량 증가가 기업의 실질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 또한 투자의사결정에 그 정보를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전부터 지속서를 통해서 탄소배출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왔던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탄소위험을 관리하여 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투자자들이 가치 판단에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업의 탄소배출량은 즉, 기후변화위험(또는 환경위험)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이 이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경우 위험 부담을 줄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탄소배출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주요 기후정책인 배출권거래제를 활용한 것은 정책의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제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배출권거래제의 시행 전・후의 탄소배출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배출권거래제의 지속 시행을 학문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으며, 국가적인 강제적 감축 노력이 경제적인 효과를 얼마나 가져오는 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시에 대한 주식시장의 평가

        이지현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도입 확산과 더불어 자본시장에서 사회책임투자가 확산되는 가운데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시가 실제로 자본시장에서 정보 효과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고, 지속가능경영 성과 정보가 주가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생산성본부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유동시가총액 상위 2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여 상위 30%인 기업을 선별하여 지수로 공시하는 DJSI Korea에 편입된 종목 138개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시일 -1일부터 0일까지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유의한 양(+)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속가능경영 성과로서 지속가능성 지수 편입 공시 정보가 주식시장에서 정보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결국, 투자자에게 미래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긍정적 뉴스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확인하는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DJSI Korea 편입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에 따라 주가반응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DJSI Korea의 산업별 일등기업과 그 외 기업의 초과 수익률 및 누적초과수익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시일 기준 -1일부터 0일까지의 산업별 일등기업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유의한 양(+)의 값을 나타낸 반면 그 외 기업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은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속가능경영 성과 수준이 주가 반응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매년 발표되는 DJSI Korea 편입 기업을 추가 표본으로 선정하여 더 정치한 결과를 얻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본시장의 성격에 따라 다른 지역에 대해 동일한 연구를 수행하여 자본시장의 성숙도에 따른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시 정보의 정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인천지역 사회적기업가의 사회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전무수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은 하였으나 경제성과 지속성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천지역 사회적기업 경영자의 사회네트워크와 경영성과에 관한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오늘날 국내 사회적기업은 영세한 자본과 조직, 인력 등 현실 여건상 경영자의 역량에 따라 경영성과가 크게 좌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기업 경영자는 성격이 활달하고 다양한 형태의 단체 가입 등 지역사회 활동을 잘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영자의 사회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는 과연 어느 정도인지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하였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작동되고 있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사회적기업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기업가의 사회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문헌연구, 통계분석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였고, 국내와 인천지역 사회적기업과 사회네트워크의 개념, 요소 등을 개관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지역 138개 사회적 기업의 경영자가 1년간 공식, 비공식 접촉한 학연, 지연, 혈연, 그리고 지역공동체의 관계가치, 접촉 정도와 제품판매를 위해 이들을 얼마나 활용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은 메트릭스 방법, 상관계수 이용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두 행위자간의 관계 패턴이 얼마만큼 유사한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은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 어느 정도 밀접한 관계성을 갖고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관관계 정도는 0에서 ±1사이로 나타나며, 상관관계의 변화 강도는 ±1에 가까울수록 높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사회적기업 경영자가 지역공동체 주민과 함께 하는 친목회, 동호회 등 단체에 가입해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사회네트워크 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는 62.5%의 항목에서 낮은 수준 또는 보통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 번째로, 사회적기업 경영자가 고향사람을 만나 관계를 유지하는 등 사회네트워크 접촉과 경영성과의 관계는 56.3%의 항목에서 낮은 수준 또는 보통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세 번째로, 사회적기업 경영자가 평소 잘 알고 있는 친구와 동문, 형제 등에게 물품 구매 등 도움을 요청하는 관계활용과 경영성과의 관계는 62.5%가 낮은 수준 또는 보통수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네 번째로, 사회적기업 경영자가 사회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제품을 판매해서 매출로 연결된 경우, 경영성과와의 관계는 모든 항목에서 낮은 수준 또는 보통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기업을 경영하는 경영자의 평소 사회네트워크 활동과 학연, 지연, 혈연, 지역(지역공동체) 등 접촉, 그리고 관계 활용(도움 요청)과 매출연결 등 사회적기업 경영자의 사회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는 68.1%가 낮은 수준 또는 보통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익구조가 열악하여 경제성과 지속성에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사회적기업가는 지역사회 공동체 가입 등 사회네트워크 활동을 좀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이 유의미하게 나온 결과는 앞으로 사회적기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창업 준비자와 현재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경영자에게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공개가 이해관계자 만족도 및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이 추진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공개함으로써 이해관계자가 이를 지각하고 이해관계자 만족도와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속가능경영 중에서 경제적 활동에 해당되는 성장성 지표, 수익성 지표와 더불어 지배구조, 리스크 관리 등에 대한 지각과 환경적 활동에 해당되는 환경경영,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제품, 친환경 물류 등에 대한 지각, 마지막으로 사회적 활동에 해당되는 사회공헌, 인권보호, 소비자 정보보호,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 등에 대한 지각 정도를 파악하여 만족도와 신뢰도의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소비재 기업인 LG생활건강의 임직원, 협력회사, 기관투자자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Google doc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3개 항목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1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수행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사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통계 방법은 회귀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분산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개가 이해관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트리플 바텀라인인 경제, 환경, 사회적 책임활동의 모든 요인들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환경적 책임에 대한 성과의 지각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에 있어 높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개가 이해관계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트리플 바텀라인인 경제, 환경, 사회적 책임활동의 모든 요인들이 이해관계자 신뢰도에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성과의 지각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에 있어 높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해관계자 유형에 따른 지속가능경영 성과 지각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임직원의 경우 지속가능경영 성과의 지각이 다른 이해관계자들보다 높기 때문에 이에 따른 만족도나 신뢰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해관계자 그룹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주주 및 기관투자자에서 만족도가 더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기업을 분석, 평가하여 투자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들에게 있어 지속가능경영 성과의 공개가 더욱 필요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생각되어 진다. 넷째, 지속가능경영 성과 공개 자료는 제 3자 검증과 신뢰도의 관계에서는 매우 유의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환경 및 사회 관련 자료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외부로 공개되는 기업의 환경 및 사회공헌에 대한 보고서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내용도 해당 조직의 홍보 자료 수준인 반면 제 3자 검증을 받아 발간하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대해 더 신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과 성과지각에 따른 이해관계자 만족도와 신뢰도 관계에서는 지속가능경영에 관심이 높은 그룹과 관심이 낮은 그룹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지속가능경영의 성과 지각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지속가능경영 관심이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경영의 성과 지각(경제, 환경, 사회적 책임)이 이해관계자 만족도와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는 있으나, 지속가능경영의 관심이 이해관계자 만족도 및 신뢰도에 미치는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것은 지속가능경영에 관심이 있는 집단은 사전 인지된 성과로 인해 만족도나 신뢰수준이 이미 높아져 있는 상태로 지각 후의 결과에 대해 상대적인 만족을 얻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한 목표관리제 대응방안 : 인하대학교 사례

        백우종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11년에 공표된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제도와 2010년 3월부터 부터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제42조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를 비교하고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목표관리제를 이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목표관리업체와 ISO 50001 도입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두 제도의 특징과 ISO 50001에서 요구하는 에너지검토 방법론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목표관리제 정부 보고양식(명세서, 이행계획서) 항목과 비교·분석하고 이를 관리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인하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ISO 50001과 목표관리제 정부보고 양식을 분석한 결과 ISO 50001에서 요구하는 항목을 수행한다면 목표관리제 이행을 위한 기반 및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다. 목표관리제 정부 보고 양식은 조직 내 전사가 참여하여 작성해야 하는 양식과 단지 에너지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배출활동/배출시설, 그 이하 단위의 설비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작성해야 하는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의 목표 이행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내부 심사, 전사적인 프로젝트 추진 등 조직적인 운영 측면을 강조하며 설비 교체, 설비 관리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능력, 캠페인, 교육 등의 활동 추진을 강요한다. 이는 조직 내 에너지관리부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전사 시스템적인 활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SO 50001의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목표관리제의 에너지성과와 개선활동을 기획 할 수 있다. 목표관리제의 경우 정부와 협상한 배출허용량과 에너지소비허용량에 대하여 준수해야 하므로 에너지검토를 통하여 과거, 현재 에너지사용량과 관계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예상 에너지 사용량을 도출하고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 차이의 원인과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선활동을 기획 할 수 있다. 에너지검토 방법론을 통하여 인하대학교의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목표관리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인하대학교의 에너지검토를 수행하여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사용량을 산정하고 각 건물별 운영 형태와 배출시설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배출시설과 계측기가 부착된 설비를 중심으로 건물/설비 단위로 에너지맵을 세분화하였으며 전체 설비 중 LNG 사용량의 6% 이상, 전력사용량의 5%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로 선정된 에너지사용량을 종합하여 중요에너지 이용으로 파악하였다. 에너지종합관리대상은 관리 등급과 사용량을 고려하여 LNG 사용량의 1% 이상 사용하는 설비를 대상으로 중점관리대상 설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중요에너지 사용 설비 선정에 있어서 건물 면적 외 건물단위별 수업 횟수, 강의실 면적에 대한 영향 인자에 대해 정확히 상관관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수업용 외 건물, 실험 장비가 있는 공대, 이학 건물에 대해서는 실험과 에너지사용량 상관관계 분석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건물단위 이하 전기설비 또한 에너지 검토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는 대학교 온실가스 배출량을 다룬 선행연구에서도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 내 에너지 및 온실가스 영향인자에 대하여 건물/설비단위로 분석하고 대학 내 에너지사용량을 절감하는 아이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공공조달의 지속가능성 기준과 지속가능경영 노력이 참여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재의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공공조달의 지속가능성 기준과 지속가능경영 노력이 참여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속가능경영MBA 홍 재 의 지 도 교 수 김 종 대 OECD에 따르면 전략적 공공조달(Strategic public procurement)은 재화, 작업 및 서비스에 대한 정부 지출 규모를 고려할 때 공공 조달은 경제 성장을 달성하고 사회 경제적 변화를 촉진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책 도구가 될 수 있다. 공공 조달의 주요 목표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적정한 시기에 투명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지만 최근 몇 년 동안 LAC 국가는 보조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조달을 사용해 왔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공공조달정책이 참여 기업들에게 지속가능한 경영을 유인할 수 있는 좋은 정책적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시각에서 본 연구는 시작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조달에 참여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공공조달의 지속가능성 기준(지속가능성 항목)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지속가능경영 노력에 영향을 주고 이런 영향은 지속가능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아울러, 공공조달의 지속가능성 기준에 대한 인식과 노력으로 공공조달 참여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성과와 참여기업의 영업성과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지표를 발췌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대상은 나라장터(조달청)에 등록된 2,985,922개 기업체 중에서 2004년부터 2015년까지 등록된 유효한 업체(폐업, 휴업, 영업정지 등 제외)와 종업원 5명이상 3,000명 이하인 기업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대상은 기업체 대표 이메일이며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기타로 구분하지 않고 연도별로 추출하여 발송하였다. 설문 조사기간은 2018.6.16.(토)부터 2018.6.20.(수)일까지 5일간 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는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과 노력이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과 노력 변수를 독립변수, 재무적⋅비재무적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요인과 지속가능경영성과 변수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매개변수로 분석모형에 투입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Amos v.24.0를 이용한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 및 노력,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기업 경영성과와의 관계는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에 대한 인식 노력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음을 보여주고(가설1 지지),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 및 노력이 지속가능경영 성과 측정 노력 중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세 가지 요인 모두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 및 이해 노력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을 위한 다양한 측면의 노력을 많이 한다는 결과로(가설 2) 지지한다.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을 위한 노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노력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환경적 노력은 5% 수준에서 유의한 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을 위한 경제적, 사회적 노력 수준이 높아져도 기업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환경적 노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으로 (가설 3)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 4>에서는 공공조달 지속가능성 기준 인식 및 이해를 위한 기업의 노력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에 대한 기업의 노력을 향상시켜 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영향인지를 검증결과,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0.058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본 연구의 <가설 4>는 기각되었다. 둘째,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요인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별 경로분석 결과는 앞의 결과와 유사하게 본 연구의 <가설 1>과 <가설 2>를 지지하나, 경제적, 사회적 노력 요인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환경적 노력 요인은 5% 수준에서 경영성과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셋째,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지속가능경영성과, 기업의 경영성과와의 관계는 경제적 노력 요인과 사회적 노력 요인은 지속가능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환경적 노력 요인은 지속가능경영성과에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답자들이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에 대한 환경적 노력이 지속가능경영성과를 향상시킨다고 믿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요인들의 매개효과 효과는 지속가능경영성과는 경제적, 사회적 지속가능경영 성과측정 노력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못하는 반면, 환경적 요인과 기업의 경영성과의 관계는 1% 수준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환경적 노력이 기업의 경영성과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데, 지속가능성과가 향상되는 기업일수록 그 효과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제어 : 지속가능한 공공조달(Sustainable Public Procurement),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TBL(Triple Bottom Line). <Abstract> Effects of Sustainability-based Public Procurement Standards and The Efforts of Participating Companies on Management Performances Hong Jea-Ui According to the OECD, strategic public procurement can be a very useful policy tool to achieve economic growth and promote socio-economic change, given the size of government spending on goods, work and services. The main goal of procurement is to provide the goods and services needed to achieve government objectives in a timely, transparent and efficient manner. In recent years, however, LAC countries have used public procurement to meet supplementary policy objectives. As can be seen he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view that public procurement policy can be a good policy tool to attract sustainable management to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s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sustainability items) on public procurement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efforts. It is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and participating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on the public procurement participant's awareness and efforts toward a sustainability standard of public procurement. In order to measure this, data was gathered by extracting measurement indices and conducting surveys based on the results of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mong the 2,985,922 enterprises registered in the National Marketplace (PPS), those surveyed were valid companies registered from 2004 to 2015 (excluding closure, closed, and suspension) and were companies with 5 or more employees and 3,000 or fewer employees. The surveyed had corporate e-mail addresses, extracted and contacted on a year on year basis, without being distinguished as large, medium-sized, or small businesses. The survey was undertaken three times over 5 days from June 16, 2018 (Sat) to June 20, 2018 (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recognition and efforts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mos v.24.0. 〈Hypothesis 1〉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and efforts toward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Efforts to measure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show that firms with higher levels of awareness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have higher performance The impact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recognition and efforts on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ffort to measure sustainability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 value at 1% level for all three factors. 〈Hypothesis 2〉There is a tendency for companies that are aware of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to make a lot of effort to underst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 The impact of efforts to measure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on firm performa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rm performance, but the environmental eff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t a level of 5%. There is a tendency for a company tha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economical performance toward (Hypothesis 3) in part. <Hypothesis 4> of this study suggests whether corporate effort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tandard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company's performance. As a result, the indirect effect of the effort to measure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was 0.058,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Therefore, Hypothesis 4 of this study was rejected. Second,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by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efforts to measure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are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s, tending toward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However, economic and social effort factors have no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hile environmental effort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at the 5% level. It is a tendency for <Hypothesis 3> in par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performance measurement efforts, sustainability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rporation indicates that economic and social efforts do not affect sustainability performance, showing a positive (+) value at the 1% level. This confirms that respondents believe that environmental efforts to measure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ustainability performance measurement effort factors are not mediating the effects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o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sustainability performance measurement effort factors. Meanwhile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business management is shown to mediate at the 1% level. This implies that the environmental effort significantly reduce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y, and the effect of the sustainability improvement is smaller. Keyword : Sustainable Public Procurement, Sustainability, Sustainable Management, CSR,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TBL(Triple Bottom Line).

      • 중소기업 현장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안광복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기업을 둘러싼 기업환경이 과거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 경영 환경 속에 중소기업의 중요성과 역할은 크게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가 기업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창업 초기·성장 단계에는 창업주의 아이디어와 추진력이 결정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여 경영활동에 참여하고 있어 문제가 없으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기업성장을 추구하는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우수 인력자원의 확보와 활용 및 조직의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기업들은 대부분 이 단계에서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를 합리적으로 체계화 하는데 실패하게 되며, 또한 인사 관행에 의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현장 기술자의 숙련형성, 경영과 제안을 통해 참여기회 가능, 기술숙련자의 축적된 기술공유와 근무분위기를 통해 현장기술자의 환경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들은 현장 기술자들에 의해 경영성과를 창출해 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안정적 성장단계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들이 활성화되고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일이야 말로 우리나라 경제를 위해 더없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초기 성장단계에 있는 모든 중소기업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에 디딤돌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 충청 및 경상도,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는 주로 금속·분말야금 업종에 초점을 두었으며 동시에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가설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조직 특성에 따라 직무계층별로 경영의 성과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의 접근을 관리직과 현장 기술직을 차별화하여 전략적으로 중·장기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기업의 관리직과 현장 기술직 간 직무계층별 인적자원관리는 현장 기술자의 참여기회와 현장 기술자의 환경에 의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인적자원관리 중에서 현장의 숙련 기술자의 환경은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의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는 사업장내에 현장 기술자의 환경에 의해 경영성과가 역으로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현장 기술자의 핵심역량이 기술자의 환경으로 인해 기술이 축적(Know-how)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과 중소기업 현장 기술자의 인적자원관리가 일종의 학습효과나 현장 기술자 환경의 선순환이 형성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정밀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 경영에는 개인적 숙련 즉 임파워먼트(empowerment)가 육성될 수 있는 현장 기술자의 환경(environment) 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 企業特性이 經營革新 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윤명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혁신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기업의 특성과 경영혁신간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기업의 특성과 경영혁신간의 인과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경영혁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업특성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경영혁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0년 1월 이전 경영혁신을 실시하였거나 추진 중인 경영혁신 추진팀의 구성원 2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진의 지원과 조직구성원들의 근로의욕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업무환경이나 경쟁우위 간에는 인적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조는 근로의욕과 영향관계가 발견되었고 조직문화는 경영혁신성과변수인 근로의욕, 업무환경 그리고 경쟁우위와 영향관계가 발견되었다. 조직문화 특성요인 중에서도 혁신성과 개방성은 일관되게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어 조직문화요인 중에서도 개방성과 혁신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정보처리기술은 근로의욕과는 영향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업무환경의 변화나 경쟁우위하고는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전략은 경영혁신성과변수인 근로의욕, 업무환경 그리고 경쟁우위와 영향관계가 발견되었다. 경영전략 특성요인 중에서도 안정방어형과 혁신추구형은 일관되게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어 경영전략요인 중에서도 안정방어형과 혁신추구형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혁신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과 조직구성원의 호응이 있어야 하고, 조직구조가 수평적 조직구조이어야 하며, 조직문화는 혁신적 그리고 개방적 조직문화를 가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기술수준이 높아야 하고, 경영전략은 안정적방어형이나 혁신적선도형이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요인들과 경영혁신성과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경영혁신의 개념체계 또는 방법 등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 실증적 연구를 고찰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 함으로써 혁신영향요인들이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성공적인 경영혁신 실시를 위한 영향관계를 모색해 봄으로써 경영혁신의 성공적 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 업체 선정기준 시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으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조사대상 기업의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사대상 업체 선정 시 동일한 경영혁신기법을 적용하고 있는 기업별로 조사가 이루어져서 그 특성을 비교할 필요성을 갖는다. 셋째, 경영혁신 성과변수를 정성적자료를 이용하였으나 정량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할 필요성을 갖는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Chracteristics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Performance - Yoon Myung Chool Management &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In Ha University, Incheo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tion between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innovation, with a focus o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management innovation of compani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through which the outcomes of management innovation are maximized, and to explore efficient approaches to management innovation by examining the causation between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innov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objectives, the study uses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analysis through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90 members of task force teams for management innovation that had implemented management innovation prior to January 2010, or which were currently implementing management innov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personal factors are importa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in term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with the ex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by management and the will to work. Second, organizational structure has been foun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will to work,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foun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will to work, working environ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 which are outcome variables in management innovation. Of the trait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veness and openness consistently show significantly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all groups, which indicates that of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openness and innovativeness are also important.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skills to process information do not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will to work, but have a clos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change in the working environment or competitive advantage. Business strategy has been foun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will to work, working environ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 which are outcome variables in management innovation. Of the trait factors of business strategy, stable defense type and innovation pursuit type consistently show significantly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all groups, which indicates that of the factors of business strategy, the stable defense type and innovation pursuit type are also importa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requires the CEO's proactive support and the members' response to it, a horizont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n innovative and open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level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be high, and for the business strategy to be a stable defense type or innovative leading type. The usefulnes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xamin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t factors of companies and the outcomes of management innovation, which affect innovation in Korean companies. In other words,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on management innovation by investigating prev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at address the conceptual framework or methodologies of management innovation, and then setting and empirically analyzing hypotheses. As such, this study has developed a basis for the empirical study of successful models of management innovation by exploring influential relationship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cessful management innovation.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thodological problems or limitations: First, the selection of companies for the survey was limited to those that are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mpanies surveyed to companies located across the country. Second, when selecting companies to be surveye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companies that apply the same techniques of management innovation in order to compare their respective traits. Third,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for the outcome variables of management innovation, but it is necessary to use quantitativ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