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문화 복원 과정에 나타난 정절이데올로기 변모양상에 관한 연구 : 밀양 ‘아랑제’ 를 중심으로

        성지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전통문화 복원과정에서 보이는 정절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섹슈얼리티와 성문화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기에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며 언제나 형성과정에 놓여 있다. 정절의 개념 역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그 시대의 맥락에서는 당연한 듯 통용되었던 조선시대 정절에 대해,현대 여성들은 전통문화 복원에서 보여지는 순결과 정절에 대한 숭상을 어떻게 연결지어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정부의 주도하에 조선의 유교적인 이념을 그대로 옮기려는 전통문화 복원은 남성중심적인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복원되는 여성 역시 남성의 요구에 맞춰 가시화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절이데올로기 또한 재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문화의 재현 형식을 취하는 밀양 ‘아랑축제’를 중심으로 축제를 주관하는 주최측과 아랑규수선발대회에 참가한 아랑규수들, 그리고 지역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랑의 정순 정신을 기리기 위한 축제에는 주최측의 의도와 달리 상업화된 아랑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아랑규수선발 과정이 정숙하고 순종적인 전통여성에 억지로 끼워맞추기를 고집하여 시대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아랑규수들의 참가동기는 아랑의 정순정신과 무관했으며, 전통 여성상의 지나친 강조에 거부반응을 보였다. 반면 아랑규수들의 가장 큰 관심은 부상으로 주어지는 상금과 외국여행의 기회였고, 가시적인 아랑규수와 실체인 자신과의 괴리속에 부담스러워하기도 했다. 아랑의 죽음에 대한 해석에서 순결을 목숨과 동격화시키는 시대적 구조에 관한 비판과 아울러 아랑의 죽음을 성적 주체로서 여성의 행위성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였다. 재해석이 배제된 전통여성의 상업화된 이미지는 또 다른 여성의 내면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청소녀들 역시 아랑축제를 아랑의 정순정신과는 연관짓지 않았으며, 축제로 인한 어른들의 무관심을 틈타 축제 속에서 즐기고자 할 뿐이다. 이와같이 아랑의 정순정신을 기린다는 축제는 정순이라는 단어조차도 요원하며, 상품화되고 이질화된 전통여성의 복원만이 존재할 따름이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할 것은 아랑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해석에 관한 조심스러운 요구이다.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아닌 좀 더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아랑으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ed to deal with the change of Jeong Juel Ideology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sexuality and gender culture are consisted socially, these things are not to be fixed but to be flexible. Moreover these are always going on progress. The concept of Jeong Juel is not also to be fixed and it has been changing it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oday's needs. The study said that modern women think of the way they connect virgin with the worship of Jeong Juel. Korea government's effort to remake idea of Yi Dynasty has started in the situation which was focused on male-dominated society. Rebuilt women were visualized by men of need and the Jeong Juel Ideology was remade too.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Miss Arang Contest, one of Miryang Cultural Festivals, reviv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t was done by taking the depth interviews with sponsors, attendants, and local girl students. Unfortunately, there was the commercialized Arang in the festival, not liking the purpose of sponsorship. Arang festival didn't reflect the current of today, because its contest was too focused on only woman who had some kind of personalities; feminine modesty and obedient. Arang contest attendants had different motives from the essential meaning of Arang, "Jung Shon" and should express negative reponses about the emphasis on traditional woman as a ideal type. Arang contest attendants were only interested in prize money and opportunity abroad, but they had sense of alienation between essential Arang and individual human being. The study said that the analysis about Arang's death had two points of view of it; the criticism of social structure, regarding Chastity as her life, and the idea that makes it be recognized as Arang's autonomy. The commercialized image of the traditional women made feminism distorted one and another concept of being a woman. Teenagers didn't connected Arang festival with Arang's Jeong Shon and they enjoyed themselves it in festival for adults. The aim of Arang festival to celebrate Arang's Jeong Shon was not founded in its festival and there was only commercialized and distorted Arang.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should make a new study of Arang in contrast to past. We suggest that Arang becomes more kind and lovely woman instead of being object with fear and scare.

      • 문화재 복원 개념을 적용한 전통미술문화 지도법 연구

        김은영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79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raditional Fine Arts Applying the Concept of Art Restoration for Cultural Heritage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fine arts has set its objective on cultivating fundament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al heritage of Korea. Nevertheles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or various reasons it is hard to find cultural heritage conserved intact in the original form.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tries to explore the ways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art restor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teaching classes of traditional fine arts. The teaching method with this restoration concept aims to stimulate students to re-imagine the original forms of ruined historic sites and damaged cultural monuments and to include drawing 'restoration designs' or constructing 'restoration models' as main class activitie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f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fine arts, this research indicates the relevance of its new teaching method to the current trend of fine arts education and suggests its pedagogical directions in detail.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various textbooks of traditional fine arts this paper makes a thorough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cords of selected cultural heritage.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exemplary curricula of combining fine art education and restoration activities in the rang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includingsculptures, paintings, stupas, and templ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 applying the concept of art restoration for cultural heritage can be described in three respects. First, it instructs a more enhanced understanding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restoration process. Secondly, it demonstrates more efficient pedagogical skills in traditional fine art education. Last but not least, it stimulates a more enlightened awareness upon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of Korea. Hopefully, this research paper might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fine arts and be received as a useful case-study.

      • VR/AR 기술을 활용한 중국 전통 촌락의 디지털 복원의 가능성 연구 : 호베이성의 상펑촌을 중심으로 : Take Shangfeng village in Hubei Province as the center

        천타오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4191

        전통 촌락은 대량의 전통 건축과 주거 환경 특색을 지닌 역사와 문화의 보고(寶庫)이다. 그러나 자연재해, 인위적 파괴와 기술 낙후 등의 영향으로 고대 촌락은 사라질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문화유산의 보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VR/AR 디지털 기술은 오락과 교육 등 측면에서 이미 풍부한 연구 성과가 있으나 현재 중국 전통 촌락의 디지털 활성화 보호 이론과 실천 연구 측면은 아직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VR/AR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 촌락을 체계적으로 기록, 보전, 커뮤니케이션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해 전통 촌락의 보호와 갱신을 실현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자와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VR/AR 기술의 전통 촌락에 대한 디지털 활성화 복원 및 이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해 전통 촌락의 역사 건축, 풍속 문화, 향토 경관 등은 촌락이 보유한 우세 자원이며, VR/AR 기술의 진실성, 인터렉션과 재미 등의 우위를 통해 전통 촌락의 문화유산 보호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구축하고, 촌락의 지속적인 발전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실천, 비교 분석, 실지 조사, 문헌 분석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1장은 서론이며, 본 연구의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 방법과 이론 근거, 그리고 선행 연구와 논문의 연구 구성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활성화 기술과 제도 문제를 서술하고, VR/AR 기술을 통한 문화유산 보호 분야의 지원 기술과 변화, 융합 및 창의적인 응용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중국 호베이성 대야시(大冶市) 상펑촌의 전통 촌락 디지털 활성화 보호 실천을 통해 VR/AR 기술을 이용한 촌락 문화유산 보호, 계승,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채널 구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외국과 중국 문화유산 보호의 우수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VR/AR 기술의 발전과 해당 기술이 전통 촌락의 문화유산 보호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고, 이 분야의 미래 발전 추세를 탐구하였다. 또한 진일보한 연구를 통해 VR/AR 기술의 정확한 기록, 파괴에 대한 복원, 인터렉티브 체험과 영원한 계승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전통 촌락 보호와 발전의 창의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 결론에서 문화유산 복원과 관련한 오락/교육 문제의 차이 분석 결과를 통해 VR/AR 기술은 과학 가치를 기반으로 문화유산 복원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도구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결론에서 이는 전통 촌락의 보호 형식을 확대하고, 고대 촌락 문화유산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 제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甫吉島 尹善道 園林의 保全 評價에 관한 硏究

        유광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4159

        전통조경유산은 시간에 따라 건축물의 증축과 소실이 반복되고, 식물의 쇠퇴와 자연적인 천이, 간섭에 의한 고사 등으로 식생경관이 바뀌면서 공간이 변화한다. 이러한 전통조경유산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전통조경유산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전통조경공간의 보전하는 데 있어 어떠한 원칙들이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보전과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고, 국제헌장들과 문화재청의 보전원칙을 살펴본 뒤 이 중 보전평가를 위한 보전원칙을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보전원칙들을 조경의 측면에서 재해석하여 전통조경 공간 보전 원칙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조경 보전 평가 기준을 선정하여, 이 평가 기준에 따라 보길도 윤선도 원림의 보전을 평가하였다. 전통조경공간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지형의 보전이 필요하다. 또한 전통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경관 역시 항상 보존되어야 하며, 만약 지형 및 주변경관이 훼손되었을 경우에는 복원되어야 한다. 건조물 및 자연지물은 먼저 배치계획이 확인되어야 하며, 보전의 근거를 통해서 원형이 유추가 되어야 한다. 또한 건축물 및 전통경관에 나타나는 시대적 양식들은 존중되어야 하며, 모든 부재는 교체를 인정하고, 재료는 전체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발굴된 유구는 노출시키는 방법과 복토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하여 보존한다. 식물 역시 배치계획이 중요하며, 식생 경관을 복원하는데 있어서는 전통조경공간에서 식물의 역할 또는 천이에 의한 식생경관이 보호되는 쪽으로 보전되어야 한다. 낙서재 영역은 복원이 진행중인 곳으로 현재 공사로 인해 주변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따라서 낙서재 영역에 식재될 수목은 다른 사대부 원림에 주로 심겨진 수목 종을 중심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낙서재 주변 식생은 소사나무 군락이기 때문에 주변 식생을 고려하여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윤선도가 기거했던 당시의 낙서재는 소은병 바로 아래 위치한 잡목으로 지어진 초가지붕의 건물이었다. 현재 복원중인 낙서재는 윤선도의 후손인 이관이 지었던 건물이며, 동와는 윤선도가 처음 낙서재를 지을 때 같이 조성된 건물이고, 사당은 1748년 이후에 조성된 건물이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시대에 조성된 건물이 한 공간에 복원되어 공존하고 있다. 곡수당 영역은 건축물 및 건조물의 복원이 끝났지만 주변 식생경관에 대한 복원이 미흡하다. 곡수당 주변 역시 대부분 소사나무 군락으로 주변경관 복원계획시 이를 바탕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곡수당 주변의 수목은 「보길도지」를 통해 수종과 대략의 배치계획을 알 수 있어 식재 계획시 반영되어야 한다. 세연정 일대의 전체적인 지형은 훼손되지 않았으나 주변 경관이 세연지 서쪽에 위치한 보길초등학교로 인해 훼손되었다. 「보길도지」에서 언급된 나무 수종들과 세연지 주변의 식생인 현재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과 소사나무 군락을 모델로 세연지 일대의 식재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처음 윤선도에 의해 지어졌던 세연정의 조성 시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만약 세연정이 낙서재와 함께 1637년에 지어졌다면, 초가지붕의 정자로 지어졌을 것이지만, 정확한 조성 시기를 알 수 없다. 세연정은 1653년 이후에 1칸의 방에 사방 툇간이 달린 정자로 증축되었으며, 이후 다시 3×3칸의 정자로 증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동천석실의 주변경관은 수목들이 제거되어 훼손되어 있다. 동천석실 주변 산림은 대부분 소나무-구실잣밤나무 군락으로 이를 모델로 주변 식생 복원 계획이 이루어져 주변경관이 복원되어야 한다. 동천석실은 확인 가능한 보전근거를 바탕으로 복원계획이 수립되었으며, 복원은 이 계획에 따라 실행되었다. 동천석실 주변건물은 처음 발굴되었을 때 2×1칸의 건물지로 조사되었으며, 아궁이 및 부엌시설이 같이 있던 고설식 건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동천석실 주변건물은 확인된 보전근거가 반영되지 않은 채 1×1칸의 건물로 복원되었다. 우리의 전통공간에 대한 정확한 보전근거가 남아 있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보전계획 수립 과정에서 보전시점 설정이 가장 큰 문제점이 된다. 전통조경의 복원은 가장 우선적으로 정확하게 복원하려고 하는 모습과 복원시점이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전통공간의 보전과정에서 공사와 관리의 편의를 위해 문화재가 훼손된 경우가 생기고 있다. 그리고 아직 전통공간을 보전하는 과정에서 조경 및 경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기록이 미흡하다. 이는 우리의 역사문화자원의 분류에 조경에 대한 구체적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통조경공간의 진정한 보전을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역사유산의 분류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태안 자염(煮鹽)의 복원과 활용

        정지수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51391

        자염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되는 소금으로, 국가가 보호해야 할 귀중한 문화유산의 하나이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천일염에 의해서 쇠퇴하다가 1960년대부터는 이 제염의 전통이 완전히 끊겼다. 이 단절된 전통을 잇기 위해서 태안문화원과 지역 사람들이 힘을 합쳐서 2001년 태안지역에서 가까스로 복원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화유산의 복원과정을 살피고 그것을 이후에도 보존하는 방안을 강구하려는 연구이다. 자염의 문화는 태안지역만의 특수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쌀과 더불어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중요한 전통적인 생활문화였다. 태안의 자염은 특히, 지역경제와 주민생계의 수단으로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전통음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또한 갯벌이라는 자연환경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지역문화의 핵심요소이다. 또한 태안지역에서 전해지는 자염을 만드는 ‘통조금’ 방식은 전통적인 제염방식 가운데에서 탁월하다. 이렇게 지역문화의 중요한 자산이며 기술적으로 훌륭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자염을 국내에서 최초로 복원했다는 점에서, 또한 태안에서만 자염을 만들 수 있는 갯벌이 유일하게 살아 있다는 점에서, 이 복원과정은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에 돋보이는 사례이다. 이렇게 어렵게 복원된 자염을 이후에도 계속 전승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화재로 지정되어 최소한의 법적 행정적인 지원을 얻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로 제대로 된 전승이 어렵고 무엇보다도 지역문화였다는 점에서 지역주민과 관계당국의 자발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발굴하여 교육과 관광 등에 활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흥미와 동기를 높여야 한다. 또한 이것이 무형문화재임을 고려하여 이것이 자연스럽게 전승되기 위해서는 자염축제와 같은 행사를 통해 복원된 제염과정을 자주 재현하는 행사를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A type of salt produced in a traditional method, jayeom is a valuable cultural asset that needs to be protected by the government. It started declining due to sun-dried salt int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tradition of producing this salt has completely ended since the 1960s. To continue this tradition, the Taean Cultural Center and local people worked together and managed to succeed in restoring the traditional method in 200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cultural asset and seek measures to preserve the tradition. Jayeom is not a unique culture of Taean but one of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parts of traditional Korean society, along with rice. Jayeom in Taean, in particular, was not only an essential means for the local economy and residents’ livelihoods but also a key factor of the local culture in that jayeom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al local food and was made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mud flats. Moreover, the method of producing jayeom in Taean, “Tongjogeum,” is an outstanding technique among other traditional salt production methods. Considering that jayeom, which is a precious asset of the local culture and made with such a technologically excellent method, was resto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at only Taean has mud flats that can produce jayeom, this restoration process is a superior case for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rder to continue jayeom, a tradition restored with much effort, designating it as a cultural asset and receiving at least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the top priority. However, since such effort is not enough for proper preservation and, most of all, it was a part of the local cultur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est from local residents and relevant authorities is requir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ocal residents’ interest and motives by discovering various contents and using them for education and tourism.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is i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and frequently hold events such as the Jayeom Festival where the restoration process is demonstrated so as to promote natural transmission.

      • 전통제조법으로 복원한 아교의 내후성 연구 : 현재 사용중인 단청용 전색제와 비교를 중심으로

        이승렬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51359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목조건축물은 주변 환경변화로부터 쉽게 풍화된다. 단청은 이러한 풍화로부터 바탕재인 목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지만, 풍화시간이 길어질수록 목재의 갈라짐과 안료의 박락, 색변화 등이 발생하게 되며,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 경주대학교 부설 문화재연구원에서는 2007년 국립중앙과학관 R&D과제인「전통 석채원료의 특성연구를 통한 고기능성 뇌록안료 개발」과 더불어 2008년 같은 기관에서 「전통무기안료인 석간주의 특성과 채색기술응용 연구」를 통하여 과거 우리 선조들이 단청 시에 가칠로 사용된 전통무기안료인 뇌록과 석간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같은 해 국립문화재연구소의 「궁궐채색기술의 현대적 활용연구」과제를 통하여 궁궐에 사용되는 단청의 채색기법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바탕재인 목재와 안료를 보호하고, 목재표면에 안료를 접착시켜주는 전색제로서 아교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단청 공사를 실시하면서 안료와 함께 쓰이는 전색제는 아교가 아닌 인공합성재료인 포리졸506(수성 아크릴에멀젼)이나 시판용 아교 혹은 검증되지 않은 분말아교 등으로, 전통단청의 색상과는 어울리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을 참조하여 전통제조법으로 아교를 복원하여 보고, 이것을 현재 사용중인 시판용 전색제들의 내후성에 대해 여러 가지 시험을 통해 비교하여 봄으로 목조건축물 단청 시공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내구성, 색차변화, 내자외선, 내수성에 대하여 진행되었으며, 시험결과 내구성은 모든 시편에서 포리졸506과 포리졸 850이 우수한 반면에 색차변화에서는 석간주안료에서는 제작아교가 뛰어났고 나머지는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물아교의 경우 장단안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백화현상을 촉진시켰다. 내자외선에 대하여서는 석간주안료의 경우 제작아교가 가장 뛰어났으며, 나머지는 비슷하였다. 내수성은 포리졸 506과 포리졸850이 가장 뛰어났다. 여러 시험 결과 석간주안료에서 색차변화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에서 포리졸 506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교의 사용은 발색면이나 색상유지에 있어서는 아주 효과적이지만, 제조방법자체가 까다롭고, 동일한 품질의 아교의 생산이 매우 힘든 실정이며,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전통단청의 복원을 위해서는 아교가 가지는 장점이 매우 필요하기 때문에 아교가 가지는 장점에 포리졸과 같은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교착재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 전통생태지식을 활용한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 : 해남 땅끝 난대림 복원;보전사업의 생태문화복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일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69503

        Current studies on ecological restoration of Warm Temperature Forest(WTF) have recognized WTF as a natural ecosystem rather than a cultural o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rrelation between WTF and humans in the process of degradation and restoration of WTF were not considered, and the goal of WTF restoration was limited to the restoration of individual species. Future-oriented studies on WTF restoration that overcome reductionist limits need to recognize WTF as a cultural ecosystem and to be performed from anti-reductionist point of view to attain the authentic nature of ecological restoration: Holism. This study discussed 'Eco-Socio' Problematic as a basis for future-oriented WTF restoration, that is to say holistic restoration, presented an overview of ecological and cultural restoration program as practice of holistic restoration, and examined possibilities and limits of holistic restoration by reviewing "WTF Restoration Project for Ending-Point of Korea Peninsula in Haenam" which had utilized 'Reference Ecosystem' and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TEK)'. First of all, 'Eco-Socio' Problematic that comprehends complex cor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from its anti-determinism and anti-reductionism was discussed as an appropriate frame for holistic restoration of WTF in that 'Eco-Socio' Problematic enables to presuppose the object of holistic restoration as complex eco-socio correlation between WTF and indigenous people rather than as a mere sum of individual species. In addition, combination structure of ecological-cultural restoration program was proposed as a distinguished style of comprehensive practice of holistic restoration of WTF based on 'Eco-Socio' Problematic. The case of holistic restoration with ecological-cultural restoration program based on 'Eco-Socio' Problematic was "WTF restoration Project for ending-point of Korea Peninsula in Haenam" by which degraded windbreak forest and hillside forest on Galsanli were restored referring to eco-culture of Dongwhado during 2006. Jan. 1 ~ 2006. Dec. 31.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Dongwhado(Reference Ecosystem) and Galsanli(Restoration Site) was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Dongwhado was divided into four sections: ①seashore windbreak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②seashore forest of Castanopsis sieboldii(DongwhadoSP1) ③successional area from Pinus thunbergii to WTF(DongwhadoSP2) ④climax stage of WTF conserved as a sacred grove of Castanopsis sieboldii(DongwhadoSP3). And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Galsanli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①seashore windbreak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②hillside1(GalsanliSP1) ③hillside2(GalsanliSP2) ④ hillside3(GalsanliSP3) ⑤hillside4(GalsanliSP4). Referring to the survey results of Dongwhado, ecological restorations for seashore windbreak forest and hillside sections in Galsanli were designed as follow. ①Design and Practice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seashore windbreak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 Referring to the survey results of seashore windbreak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in Dongwhado, plant 1031 of Machilus thunbergii and 1366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Camellia Japonica, Litsea japonica, Cinnamomum japonicum), evergreen broad-leaved shrub(Ligustrum japonicum), and evergreen broad-leaved vine(Hedera rhombea, Kadsura japonica). ②Design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hillside sections : Considering successional forest vegetation structure from Pinus thunbergii to WTF of four hillside sections in Galsanli(GalsanliSP1,SP2,SP3,SP4), DongwhadoSP2's successional vegetation can function as a reference ecosystem of hillside sections in Galsanli. However, due to infertile soil condition, the final goal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which is Restoration(recovery of natural landscape), should be attained by way of Rehabilitation(recovery of semi-natural landscape) as follows. Plant Machilus thunbergii seedlings as Front Species, the vigorous grower on infertile soil of hillside sections -> As soon as the seedlings grow up to 2m(W), plant WTF species other than Machilus thunbergii such as Castanopsis sieboldii, Camellia Japonica, Litsea japonica, Cinnamomum japonicum surveyed on DongwhadoSP2 so as to induce natural succession from Machilus thunbergii to Castanopsis sieboldii, which is the dominance of climax stage of WTF in DongwhadoSP3. For the cultural restoration program,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TEK) in various forms such as folk beliefs/myths/historical events/anecdotes related to the shrines surrounded by sacred groves in Dongwhado and Galsanli were collected through fieldwork. Especially, due to its complex attribute as 'scared grove+windbreak forest+ideal fengshui site', degraded windbreak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in Galsanli demanded not only vegetational restoration but also cultural restoration symbolically represented by the restoration of its shrine. Therefore, the shrine inside windbreak forest in Galsanli that had been abandoned since 1960's was restored based on residents' oral statements.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ongwhado's and Galsanli's TEK related to the sacred groves were as follow. ①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EK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sense of place' was discussed to apprehend TEK as Heidegger's 'Sparing' or Chuang-Tzu(莊子)'s 'Wuwei(無爲)' in which the existence of humans' 'doing nothing' is meaningfully appreciated as active behavior to attain harmonious coexistence with nature, not as passive mechanism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potential of 'place' to become a confluence point of TEK and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of fengshui as Korean TEK to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placelessness' of modern society were discussed respectively. ② It was presented that Dongwhado's insular isolation has been promoting the integrity of WTF and accelerating the deterioration of TEK simultaneously on account of high interdependency between indigenous community and TEK as a collective memory. Therefore, it came to conclude that a reference TEK for a cultural restoration program need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integrity of forest culture community, the matrix of TEK, while a reference ecosystem for an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 need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integrity of forest ecosystem. ③ 'Transition Zone Theory' proposed by Jung, Suntae based on his insight in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 Peninsula was discussed as the alternative eco-cultural theory that meets the need of future-oriented studies on WTF restoration, for it overcomes immanent limits of 'Lucidophyllus Forest Culture Theory' that excludes eco-cultural diversity within WTF belt; moreover, it enables to recognize the unique attributes of WTF constructed within peninsular eco-cultural environment and to restore the uniqueness of WTF holistically. 현행 난대림 생태복원 연구는 난대림을 문화적 생태체계가 아닌 자연적 생태체계로 인식하고 있기에, 난대림의 훼손과 복원에 있어 난대림과 인간 사이의 상호관계가 갖는 의미와 역할이 고찰되지 못하였으며 생태복원의 대상은 개별 난대수종의 복원으로 한정되었다. 현행 난대림 생태복원 연구의 환원주의적 한계를 극복하는 미래지향적 난대림 복원연구는, 난대림을 문화적 생태계로 인식하는 한편 생태복원 본래의 전일성을 추구하는 비환원주의적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 미래지향적인 난대림 복원방식인 ‘전일적 복원’을 위한 문제틀로서 ‘생태-사회적’ 문제틀을 논함과 동시에 2) ‘생태-사회적’ 문제틀에 입각한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의 실천방식으로서 생태문화복원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3) ‘참고생태계’와 ‘전통생태지식’을 활용하여 난대림의 복원을 수행한 바 있는 ‘해남 땅끝 난대림 복원/보전사업’을 대상으로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무엇보다 먼저, 자연과 인간을 그 비결정론적이고 비환원론적인 복잡한 상호관련 속에서 파악하는 방식인 생태-사회적 문제틀은, 난대림 복원의 대상을 개별 난대수종들이 아닌 난대림과 난대지역 주민들 사이에 놓인 복잡한 생태-사회적 상호관계로 상정할 수 있도록 하기에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에 적합한 문제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더불어, 생태-사회적 문제틀에 입각한 종합적 실행방안으로서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에 적용될 수 있는 생태문화복원프로그램이 ‘참고생태계’, ‘조엽수림문화론’ 그리고 ‘전통생태지식’을 중심으로 개괄되었다. 생태-사회적 문제틀에 입각한 생태문화복원프로그램을 적용시킨 난대림의 전일적 복원사례는 2006. 1. 1 ~ 2006. 12. 31에 수행된 ‘해남 땅끝 난대림 복원/보전사업’으로서, 해남군 송지면 갈산리의 후박나무방풍림과 그 배후산지 일대가 완도군 동화도의 난대림을 참고생태계로 삼아 복원되었다. 생태복원프로그램을 위한 산림식생구조의 현지기초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참고생태계인 동화도의 산림식생구조는 크게 1)후박나무방풍림 2)해안 구실잣밤나무림(동화도SP1) 3)해송림에서 난대림으로 천이중인 지역(동화도SP2) 4)당숲으로 보전된 난대수종의 극상림 상태인 구실잣밤나무림(동화도SP3)의 네 지역으로 분리되었으며, 복원대상지인 갈산리의 산림식생구조는 크게 1)후박나무방풍림, 2)배후산지1(갈산리SP1), 3)배후산지2(갈산리SP2), 4)배후산지3(갈산리 SP3), 5)배후산지4(갈산리SP4)의 총 다섯 구역으로 분리되었다. 복원대상지의 구역별 생태복원설계에 있어, 갈산리 후박나무방풍림은 동화도 후박나무방풍림을 참조하여 생태복원설계를 한 뒤, 그 설계에 따라 후박나무를 단위면적 10m×10m당 성목은 9본의 밀도로, 치목은 16본의 밀도로, 총 1,031본을 복원식재하였으며, 상록활엽교목(동백나무 5본, 까마귀쪽나무 5본, 생달나무 4본), 상록활엽관목(광나무 5본), 상록활엽덩굴류(송악 3본, 남오미자 3본)의 밀도로 총 1,366본을 식재하였다. 갈산리 배후산지의 산림식생구조는 네 구역 모두 해송림으로부터 난대림으로 천이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기에, 이와 유사한 식생구조를 지닌 동화도SP2의 식생조사결과를 참조하여 복원설계를 하였다. 갈산리 배후산지의 척박한 토양상태를 고려하여, 배후산지 생태복원의 최종 목표인 자연경관으로의 회복을 위해서 척박한 토양환경에서 잘 자라는 후박나무를 재회생을 위한 선도수종으로 식재하여 수관 폭이 2m 정도 자라게 한 뒤, 동화도SP2에서 발견된 후박나무 이외의 난대수종들인 잣밤나무, 동백나무, 감탕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를 식재하여 최종적으로는 잣밤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자연 천이되도록 하는, ‘2등급 재회생 성공 뒤 1등급 복원’의 전략을 바탕으로 복원설계를 실시하였다. 문화복원프로그램에 있어, 동화도와 갈산리에 위치한 당숲/당집과 관련된 속신/신화/역사적 사건/직간접적인 경험담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전통생태지식을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특히 ‘당숲+방풍림+명당’라는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문화적 생태계라 할 수 있는 갈산리 후박나무방풍림복원은 식생복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당집’으로 상징되는 난대림 문화의 복원까지가 수반되어야 하는 상황이었기에, 1960년대에 허물어진 이후 후박나무방풍림 내에 방치되었던 당집을 갈산리 주민들의 구술을 바탕으로 복원하였다. 동화도와 갈산리의 난대림 관련 전통생태지식의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통생태지식을 ‘환경보호의 수동적 기제’로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데거적 ‘아낌(Sparing)’이나 장자(莊子)적 ‘무위(無爲)’로서, 즉 인간들의 ‘하지 않음’의 존재를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생관계에 도달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로서 의미 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전통생태지식을 ‘장소/장소감’의 차원에서 고찰해야 함을 논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통생태지식과 서구과학의 합류지점으로 ‘장소’개념의 역할 가능성과, 현대사회의 ‘장소상실’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대안으로 한국의 전통생태지식인 ‘풍수사상’의 역할 가능성을 각각 논하였다. 2) 동화도 난대림이 원형에 가깝게 보전될 수 있었던 섬이라는 지리적 고립성이 난대림 관련 전통생태지식의 훼손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서 작용하였음을 밝혔고, 이는 집합기억으로서의 전통생태지식과 공동체 사이의 높은 상호의존성으로부터 기인함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복원프로그램을 위한 참고생태계는 산림생태계의 건전성을 기준으로 선정되어야 하나, 문화복원프로그램을 위한 참고전통생태지식은 전통생태지식의 모태인 산림문화공동체의 건전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3) 난대림대에 분포해 있는 개별 민족들과 국가들의 생태문화적 다양성을 배제하고 있는 조엽수림문화론의 내재적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반도의 생태문화적 특수성 안에서 구성된 난대림의 정체성이 전일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 난대림 복원연구를 위한 대안적인 생태문화이론으로서, 한반도의 점이지대(漸移地帶)적 특수성에 대한 통찰을 기반으로 정순태에 의해 제창된 바 있는 ‘점이지대문화론’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