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살심리 개선을 위한 재구조화에 기초한 목회상담 방법론 연구

        전성호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한민국은 17년 연속 OECD 자살률 1위 국가다. 매년 최소 만 명 이상이 자살로 죽고 있지만, 오래 지속된 자살률로 인해 이러한 현실은 사회적으로 무덤덤하게 여겨지는 듯하다. 그럼에도 자살과 관련된 고민은 가벼울 수 없다. 교인도 이러한 고민에 예외는 아니다.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 자살은 구원과 반대되기에 신앙인의 자살은 안타까운 개인만의 현상을 넘어, 신앙 정체성(믿음)의 상실을 걱정케 한다. 한국 사회에 지속된 자살현상을 야기하는 역동이 신앙인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신앙인의 믿음체계 또한 약화시키고 있다면, 자살과 관련된 사회현상은 이를 촉발하는 구조이거나, 구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20년을 바라보는 지속된 자살현상 앞에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자살심리에 관한 근본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사회적 구조의 폐해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다만, 정신분석의 이론을 주창한 프로이트로 돌아가 인간의 심리구조를 통해 자살심리를 다룬다. 자살과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우울심리에 관한 프로이트의 분석에서 출발하여 자살 심리의 메커니즘과 구조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자살에 이르는 우울이 초자아의 억압에 따른 자아의 심리라는 사실을 정리한다. 자살 심리를 야기하는 초자아의 변화를 위해, 목회상담적 대안으로 초자아 재구조화를 제안하려 한다. 제안된 초자아 재구조화의 신학적/목회상담적 함의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초자아 재구조화를 적용한 자살심리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후 이론과 사례분석에 기반한 자살심리 개선을 위한 목회상담 방법론을 제안하며, 결론에서 요약과 논문의 기여점 및 제언을 알린다.

      • 자살심리의 실험적 분석 : 작품「End of And」

        장영주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자살자의 개인적인 외형적인 상황이 때로 자살을 결심하게 되는 진정한 원인이라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경우는 드물며, 또한 사회의 자살률은 설명할 수는 없다. 개인적인 상황은 기복이 심한데 비해 한 개인의 자살의 직접적인 조건을 결정하는 상황들의 서로 다른 결합은 대체로 같은 상대적 빈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개인의 조건이 자살 행위의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다. 사회적 자살률이란 사회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다. 각 사회 그룹은 진실로 자살행위에 대한 고유의 집합적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집합적 경향은 권태로운 우울증, 적극적인 자기부정, 과장된 좌절등과 같은 경향으로 표현되는 각 사회의 흐름인 이기주의, 이타주의 및 아노미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전체 사회의 경향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살의 원인이 되고 만다. 이러한 관념을 자살의 문제에 적응시켜 보면 이기주의건, 이타주의건, 어떤 종류의 아노미이건, 어떠한 도덕적 관념도 그것이 속한 사회와 관련되지 않는 것은 없다. 왜냐하면 사회생활은 개인의 특정한 인성을 갖는 것과 동시에 그룹이 요구하면 버릴 수도 있다는 것, 개인은 어느 정도 진보의 관념에 대하여 민감하다.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특성, 개인들이 결합되는 양식(사회조직의 성격), 사회의 해부학적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국가위기나 경제위기 같은 사건들이다. 그런데 개인의 특질은 모든 사람에게 존재할 때에만 그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불면증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박현숙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suicidal ideation.. Four hundred seven adults over the age of 21 (180 male (44.2%) and 227 female(55.8%)) from Seoul, Gyeonggi, Dea-Jeon, Busan and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verage age was 33.48.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Insomnia Severity Scale(ISI),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AAQ-II),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SSI) were carried out.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Insomnia, Psychological Acceptance, Suicidal Ideation. Insomnia was positive significantly correlated Suicidal Ideation. In contrast,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negative significantly correlate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se result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Insomnia an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irdly, Psychological Acceptance interacted with Insomnia such that it played a more prominent role in protecting against Suicidal Ideation during higher Insomnia than during lower Insomni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불면증과 자살사고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불면증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부산, 충청북도 및 충청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19세 이상의 성인 530명을 대상으로 불면증 심각도 척도(ISI), 수용-전념척도(AAQ-16), 자살사고 척도(SSI), 우울척도(BDI)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면증과 자살사고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수용과 자살사고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면증과 자살사고에서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불면증과 자살사고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불면증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심리적 수용은 낮은 수준의 불면증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높은 수준의 불면증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서울시 심리지원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김창원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9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민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공공서비스로서 “서울형 심리지원센터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 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살공화국’이라는 부끄러운 별칭을 얻을 정도로 한국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자살을 줄이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가운데 주목한 것은 '예방성'이다. 사후대처와 함께 자살률이 늘어나는 원인을 살피고 대처방안을 연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살사건이 발생하기 전 스트레스 지수나 스트레스 발병 요인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한데, 예방차원의 대응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정신건강을 위한 대응의 초점이 중증정신질환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제한적으로만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일반인의 중증질환자들 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보다는 일반인을 위한 개인별 맞춤형 심리 상담의 개입이 효과적이다. 정부 차원에서는 개인적인 트라우마(Trauma) 뿐 아니라 사회적인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 ‘스마일센터’를 개소하여 대처하고 있으나, 이 센터는 강력범죄피해로 인한 심리적 후유증의 치료, 연구, 교육 등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인면서 광역시도단위로 설치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찾아와서 상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매우 제한적인 서비스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타 도시보다 스트레스가 높은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심리지원센터의 필요성 및 방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넓게는 자살을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외국의 경우 자살률을 어떻게 낮추었는지 살펴보았으며, 서울시민의 스트레스 지수가 어떤지, 서울형 심리지원센터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하여 웹 서베이 조사와 초점집단심층 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현재 서울시에서 시범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심리지원센터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사례연구와 국내외 심리지원 현황을 알아보았고, 서울시민의 스트레스 지수, 우울 등을 통해 서울형 심리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서울시민 서베이, 초점집단심층면접을 실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정책제언을 정리하면, 심리지원의 대상을 확장할 필요성과 심리지원서비스 지향점의 변화를 제시했고, 세부목표로 심리지원의 접근성, 예방성, 전문성, 지속성, 상호성,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심리지원서비스, 자살, 트라우마, 스트레스 Abstract A Study of Basic Operation Model for Consultation Support Service in Seoul KIM, Chang Wo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ahmyook Univers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Seoul Type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as a preventative public facility to reduce the suicide rate of the seoul citizens. South Korea’s suicide rate is high enough to have another disgraceful name, ‘Republic of Suicide’ and the rate is still growing. Diverse efforts are required to reduce the rate. Among them, the main focus is on ‘prevention.’ Along with posterior measures,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out why the suicide rate is rising and to come up with solutions. It is indeed necessary to discover stress index or cause of stress before a suicide occurs. Since a maneuver for mental health only focuses on a mental patient with an advanced illness, however, it is judged that maneuvers restrictively attempted. However, personalized psychological consultation for the general public is way more effective than targeting people with severe illnesses. Currently, the government is responding to the problem through the ‘Smile Center’ and others to cure individual trauma as well as social trauma. The Center is a professional institution to carry out a psychological aftereffect damaged by violent crime, research and education. however, its limit location only at metropolitan city caused the uneasy access for citizens who are in need of care. This study considers the necessity of the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for the citizen of Seoul, the most stressed-out city in South Korea, and its direction. In a broader study, we looked at what caused the suicides and what are the solutions in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stress index level of people in Seoul, whether the city is required to have a psychological center, and we will set its direction. if requir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 with focus groups. Moreover,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current conditions of operation of the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a pilot project. The Second Chapter presents the case studies to reduce the suicide rate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psychology, the result of research to build a Seoul Type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with the stress and depression index of Seoul shown in the preceding studi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cus groups. The Final Chapter includes the necessity to widen the target and to change intention point for the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 through the argument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 it proposes accessibility. prevention, professionalism, durability, reciprocally and connectivity of psychological support as detailed targets. keyword :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 Suicide, Trauma, Stress

      •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은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research has its object in examining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suicidal ideation. For this, change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nge in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were examined. Finally, th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b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research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nge in environment are as follow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depending on gender an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chance of having suicidal ideation. Also, depending on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were shown.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depending on school classes.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interest in death and thoughts of dying of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grades,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reason for dying in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grades. Subjects who ranked lower in class showed higher reasons for dying than those who ranked middle in class.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depending on economic level or religion. Significance was shown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whether subjec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owed higher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an those who had not. Also, reason for dying and thoughts for dying, which are parts of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have higher reason for dying and thoughts for dying than those who had not. Second,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are as follow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hig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ower the suicidal ideation.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self-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and interest for dying of suicidal ideation, and this signifies that self-effectiveness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the reason and interest for death. The hope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this signified that hope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of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orce of restitution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was shown, and this signifies that the force of restitution can act as a positive role in lowering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The optimism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this signified that optimism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of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Lastly, the results of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uicidal ideation are as follow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and it was shown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effective in lowering the suicidal ideation. Also, the optimism and the force of restitution significantly correlated negatively to reason for dying, and they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the interest and thoughts of suicide. In lowering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of dying, optimism and force of restitution were shown significantly effective.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 보았으며,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에 따라 자살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음에 대한 관심과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적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이 하위권인 이들은 성적이 중위권인 이들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제 수준과 종교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이들이 학교폭력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와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이들이 학교폭력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와 죽고 싶은 생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을 낮추는데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희망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희망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복원력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복원력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낙관성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낮추는데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과 복원력은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의 복원력과 낙관성은 자살생각의 죽음에 대한 관심과 죽고 싶은 생각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낙관성과 복원력은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였다.

      • 노인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권순만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8

        Abstract Impact of Old People’s Depression on Their Suicidal Int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nior Welfare Major Kwon, Soon-man Advisor Professor: Ko, Jea-ug South Korea has seen its population of old people growing at the most rapid rate among the OECD countries, and is just 10 years away from entering into a super-aged society in 2026. The suicide rate of old people in Korea, however, is the highest (28.7%) among the OECD countries, which is a disgraceful recor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high suicide rate of old people is attributable to depression, and lack of family ties and positive social relations (Lee, 2017). To prevent old people from committing suicid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impact of depression in old people on their suicidal intent, (2) the impa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ld people on their suicidal intent. (3) the impact of depression in old people on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4)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in old people and their suicidal int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800 old people, who were aged 65, in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s and senior citizens’ community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do, and Gangwon-do, from March 2 to 24, 2017. Those that had multiple missing values (54 responses)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746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coding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 19.0.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of old people, the higher their suicidal int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depression, depression from others was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impact on the suicidal intent of old people, followed by that from environments, and that from themselv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ld people had a partial impact on their suicidal int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ir hope and optimism, the lower their suicidal intent. However, their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not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ir suicidal intent. Third, depression was analyzed to have a partial impa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ld people. The higher their depression level from themselves and environments, the lower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owever, their depression level from others did not show any impact on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ld peopl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in old people and their suicidal intent. In term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from themselves on their suicidal intent, hope, optimism, resilience and self-efficacy were verifi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and in term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from environments on their suicidal intent,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optimism, resilience and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erms of the impact of depression from others on their suicidal intent, hope, optimism, resilience and self-efficacy were also verifi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caused by depress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depression in old people was re-verified as a variable that has an impact on their suicidal intent, it is necessary to screen those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regard them as a high suicide risk, and to offer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ervices in practical fields of welfare for senior citizens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committing suicide. Second, those in the high suicide risk group should be effectively identified. It is required to specifically assess not only their depression level, of which impact was verified in this study, but also their suicidal int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background, marriage status, life style, an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recognize mental health problem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old people as social issues that should be addressed from a national perspective, and establish systems and policies for intervention for depression in old people in order to prevent their depression from leading to suicide in advice. To boost their effectiveness, the nationwide awareness of the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of senior citizens needs to be raised through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ternet, social networking services, etc. Fourth, it is also important to use public intervention to increase contact between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nd their neighbors, and strengthen their personal contacts. Sinc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tend to spend most of the time without personal relations, personal contacts with neighbors or friends can reduce their feelings of isolation, and restore relational care. This will result in the recovery of their sense of belonging which has been discouraged, and effectively reduce the suicide rate of elderly people. Fifth, depression in old people and their suicide case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age groups, and,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risk intervention processes and program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Since senior citizens hardly visit suicide prevention facilities on their own, it is important for each local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 to visit senior citizens who are exposed to suicidal risk factors in each community in person and manage them for suicide prevention. Lastly, sinc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ld peop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 it will be also necessary to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grams that can reduce and address their suicidal intent by establishing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both in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and particularly in the health and welfare fields. Key words: Depression in old people, Suicidal int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홍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32302

        청소년의 자살행위가 지난 몇십년동안 놀라운 증가율을 이고 있다. 사망원인중 두번째를 차지할 정도로 자살은 청소년기의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자살행위는 자살생각부터 자살시도에 이르는 연속적인 범위로써 개념화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자살생각은 자살시도의 위험이 있는 개인에게 있다고 가정하였고 일부 경험적 연구들은 심각한 자살생각을 경험한 대상이 그렇지 않은 대상보다 자살시도를 하기 쉬운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렇게 자살생각은 논리적으로 자살시도나 자살행위에 앞서므로 자살생각의 예측인자를 확인하는 것은 자살위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며 자살위협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은 자살생각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를 선별하여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자살생각에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천에 있는 남자 고등학교 3개반 116명, 여자 고등학교 2개반 108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12부(남 107. 여 105)였으며 SPSS/WIN PC를 이용하여 Cronbach's α,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조사대상자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살생각을 조사한 결과, 우울과 스트레스는 남녀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더 높은 우울과 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남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살생각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자살생각의 점수를 보고하였다. 둘째, 부모구성에 따른 조사대상자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살생각을 조사한 결과, 사회적 지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계부모와 함께 사는 대상자들이 계부모. 친부모의 경우보다 높은 우울과 스트레스를 보고하였다. 반면 편부모와 함께 사는 대상자들이 계부모, 친부모의 경우보다 적은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고 있었고, 높은 자살생각을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은 부모구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살생각,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각각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모두 유의도 .000수준에서 유의미 하였다. 넷째,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가족, 친구, 교사의 지지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자살생각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우울 가족 지지, 스트레스 순으로 큰 영향력을 가졌다. 다섯째, 자살생각에 영항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남녀로 구별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즉 남자의 경우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졌으며 여자의 경우, 우울과 가족지지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단일한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것이다. 특히 우울, 스트레스, 낮은 자아존중감, 가족, 친구. 교사의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우울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가장 공통되게 연관되어 있는 심리적 증후라는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가족 기능의 위기로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자살생각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일으키는 우울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들이 느끼는 좌절을 공감적으로 이해하며, 스트레스를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고 사회적 지지 관계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회복시켜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 가족의 사회적 환경을 향상시키는 일이 요구된다 부모가 지지적 환경안에서 감정을 표현하도록 촉진하며, 가족안에서 구조를 재정의할지라도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인생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자살의 고려를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자와 여자에 따라 자살생각에 미치는 요인이 다르므로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고 개입하는데 있어 남녀의 구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has received much recent attention given the alarming increase In prevalence rates the last few decades. Suicide is the second most frequent cause of death among adolescents Suicidal behavior has been conceptualized as a contiuum ranging from suicidal ideation to attempts. Investigators have assumed that suicidal ideation places individuals at risk for suicide attempts. Some empirical evidance indicates that adolescents experiencing sever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re more likely to attempt suicide than are adolescents experiencing lower levels of suidial ideation Because suicidal ideation logically precedes suicidal acts , the identification of true predictors of ideation would permit abetter understanding of suicidal risk. Therfore present study focused on selected suicide-related factor frequntly reported in literlature. those variables that are prominet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The purpose of present s t u d 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 depression, self-esteem, stress, social support. Also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social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were studied. A sample of 212 high school studesnts (l07 male, 105 female) completed a personal information form. a suicidal ideation questionaire. Zung depression Inventory.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y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ation. Liner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PC.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stress. Females reported greater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than male. 2. There was a significant parental status differences In only social support. But adolescent live with step-parent reported greater depression. stress. Whereas adolescent live with single-parent reported greater suicidal ideation, low social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parental stat us in self-esteem. 3. Depression, self-esteem, stress, socoal support were related to suicidal ideaton.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regression analysis with suicidal ideation as the dependant variablewas performed. The analysis identified depression as the best predictorAnd low family support, stress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Ideation . 4.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uicidal ideation formale and female samples separately that depression, self-esteem. stress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male wheras,depression. family support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ideation in female.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su99est that suicidal ideation is afunction of depression, self-esteem sress, social support. In odor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t is ofutmost importance to take into account all aspects of the individual'sworld and to strengthen the adolescent's social support networks andresources to cope with stress and to address the significance of familyrelation. Encouraging parents to provide a flexible though clearlydefined structure within the family, and to facilitate open expression offeelings within a supportive enviroment may ameliorate an adolescent'sserious considpration of suicide as a viable solution to life's difficulties. Additonaly becaus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werediffernt in gender intcrvention approach would be Prevention programsdesigned to discriminantly.

      •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현적 자기애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극통,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강보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00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overt narcissism on suicidal ide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psychache and self-criticism. A research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covert narcissism, self-criticism, psychache, and suicidal ideation scales was administered on 300 high school freshmen and sophomores from two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275 responses (96 male students and 179 female students) were included in statistical analy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nd Mplus 7.0 programs. First, the rang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of the scor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variables, and then the variables were subject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llowing a two-step approach from Anderson and Gerbing (1988), the measurement model was tested first, and subsequently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elf-criticism, psychache,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vealed that self-criticism and psychach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uicidal ideation. Bootstrapping results showed that psychache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self-criticism and psychache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path fro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o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a sequential effect of self-criticism and psychache. These findings, which specify th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provide a useful foundation for developing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alleviate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내현적 자기애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심리적 극통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2개 고등학교, 경기도 소재의 1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내현적 자기애 척도, 자기비난 척도, 심리적 극통 척도, 자살사고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75명(남학생 96명, 여학생 179명)의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및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의 기술통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응답점수의 범위,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수치 추정방법으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 절차로 2단계 접근(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 검증을 먼저 실시하였으며, 그 다음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레핑(Boostrapping)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비난, 심리적 극통, 자살사고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과 심리적 극통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비난과 심리적 극통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시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심리적 극통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내현적 자기애가 자기비난, 심리적 극통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 심리적 극통을 연속적으로 거쳐 자살사고로 이행되는 경로 또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의 예측변인들을 명세화하고 이들간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자살사고를 완화하기 위해 상담 및 교육적인 개입을 고안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박명실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대학생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생활위협 문제들과 그 심각도에 의해 자살생각 혹은 충동을 어느 정도로 느끼는지를 살피고, 그것에 기초하여 자살위험 집단을 유형별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자살위험 집단 유형들간에 자살관련 변인(정신건강, 자기도피, 자살생각)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자살위험 집단 유형 분류가 타당한지를 검토하였고, 마지막으로 가장 자살위험이 높은 집단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집단 상담을 적용함으로써 자살생각 혹은 충동이 감소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일반 대학생(n=304)을 대상으로 49개의 생활위협 문제들이 자살생각이나 충동을 느끼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에 대한 지각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여 네 개의 유의한 요인들(학업 및 진로 문제, 무망감, 관계문제, 행동문제)을 추출하였다. 이들 네 개 요인에 유의하게 적재된 24개의 문제들에 대해 차원과 집단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다차원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다차원 분석 결과, 두개의 차원(통제차원과 관찰차원)과 네 개의 유형(제 I 유형에서 제 IV 유형까지)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분류된 집단유형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또 다른 3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살위험 문제 평가 질문지를 실시하여 각 자살위험 집단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들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한 가지 집단 유형이 추가되었는데, 이 집단(제 V 유형)은 생활위협 문제를 경험하지 않고 있는 건강한 대학생들이었다. 이렇게 분류된 5가지 집단유형에 대해 자살관련 측정치(BHQ-14, 자기도피 척도, 자살생각 질문지)를 수집하고, 집단유형 간에 이들 자살관련 측정치에서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제 II 유형과 제 III 유형의 집단이 가장 자살위험이 높은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제 II 유형은 통제가 어렵고, 관찰 또한 어려운 문제들을 심각한 정도로 경험하고 있는 집단으로 가장 낮은 정신건강 수준을 보여주었고, 자기도피와 자살생각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제 III 유형은 그 다음으로 위험한 집단으로 나타났는데, 이 두 유형의 공통점은 관찰이 어려운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통제 차원보다는 관찰 차원이 자살위험과 더욱 더 연합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연구 3에서는 BHQ-14를 통해 정신건강을 측정하는 도구가 정신건강은 물론 자살위험도가 높은 대학생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일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BHQ-14를 통해 측정되는 전체 정신건강, 웰빙, 증상, 생활기능화, 우울 및 불안이 자기도피와 자살생각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를 통해 BHQ-14가 자살위험이 높은 대학생을 평정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가장 자살위험이 높은 집단 유형으로 분류된 45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원하는 대학생 1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생들은 통제집단으로 하여 실험집단에게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적용한 후, 통제집단과 자살관련 측정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8회기에 걸쳐 진행된 집단상담은 모든 자살관련 측정치에서 유의한 감소를 일으켰으며,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서도 나타났듯이, 실험집단이 상담 초기에 보여주었던 부정적 자기지각, 폐쇄성, 부정적 정서 등이 회기 후반기에 이르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점에서 통계분석 결과를 뒷받침해 주는 결과로 고려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대학교내 학생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에서 대학생의 자살예방과 치료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자살위험이 높은 대학생들이 건전하고 건강한 정신건강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생 자살관련 상담 운영을 위한 면접접수 양식(Intake Form)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