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 연구

        김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18

        본 논문은 <달래나 보지>․<오누이 힘내기>․<여우누이>를 ‘남매관계 설화’로 묶어 설화 속에서 남매관계가 형상화되는 양상을 육체·감정·맥락·무의식이라는 시각에서 새롭게 논의했다. 육체와 관련하여, <달래>에서는 누이의 육체 일부가 감각의 대상으로 형상화되고 폐쇄적․일방향적으로 인식되면서 은폐된 남매관계가 나타난다. <힘내기>에서는 누이의 육체가 완력을 중심으로 형상화되는데 ‘성쌓기형’에서 누이의 힘은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굴절되며 ‘옷짓기형’에서 누나의 육체가 갖는 영향력은 대폭 축소된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의 괴물화된 육체가 집중적으로 형상화되고 오빠들과 여우누이는 극단적으로 이질화되면서 파괴적 관계를 구축한다. 감정 이론에 따라 남매관계 설화를 살피면 <달래>에서는 오빠/남동생의 성욕과 죄책감, 누이의 슬픔이 주목된다. 이야기판에서는 오빠/남동생에 대한 혐오 혹은 음담적 흥미가 드러나지만 ‘연민’의 감정은 찾기 어려웠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에는 패배한 누이에 대한 제한적 공감과 지배 질서에 대한 두려움이 함께 나타나지만 ‘옷짓기형’의 감정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여우>에서는 여우누이로부터 유발되는 공포, 그 공포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흥미와 파괴적․윤리적 쾌감이 함께 드러난다. 남매관계 설화의 공간적․사회적 맥락을 읽으면 <달래>의 경우 남매의 문제에 공간은 무의미하며 남매 외의 가족·지역·국가 등의 관계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바 이는 남매관계의 고립성과 경계성의 지표이다. <힘내기>의 경우 ‘성쌓기형’과 ‘옷짓기형’에서 공히 남매는 대조적 공간을 구축하며, 가부장제․국가 권력 등 지배 질서와의 갈등 속에서 여성과 장사에 대한 배제와 제거를 실현한다. <여우>에서는 남매 갈등의 심화에 따라 공간이 분산되는데 이는 가족의 해체에 대응된다. 남매관계 설화의 형상화에 드러나는 이러한 육체와 감정, 그리고 맥락의 함의는 무엇인가? 먼저 오빠/남동생의 존재가 분열되고 대상화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의 경우 오빠/남동생의 자살은 신체의 자기분열, 감정적 자기혐오를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화자와 청중의 희화적 시선도 나타난다. 이러한 파편성은 <힘내기>에서도 유사한데 ‘옷짓기형’의 경우 역사적 인물인 남동생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지만 그런 속성이 없다면 정체성이 취약해지는바 비극적 인물은 후대의 권력 유지, 공동체 결속과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대상화되는 측면이 있다. 다음으로 누이의 불확정적 정체성에 주목해야 한다. <달래>에는 누이에 대한 불완전한 성적 대상화가 나타난다. 누이의 탄식은 오빠/남동생의 성욕에 대한 구체적 예측이나 가정을 동반하지 않기에 ‘달래나 보지’라는 탄식은 성욕의 표현이 아니라 욕망의 한정을 의미한다. <힘내기>나 <여우>에는 누이의 ‘혼성성’이 두드러진다. <힘내기>의 누이에게는 ‘유사 모성’, ‘여성 젠더에게 기대되지 않는 힘의 소유자’,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남성성’ 등 모순적이고 혼종적인 속성이 부여되고, <여우>의 여우누이에게는 인간으로 보려는 시선과 괴물로 보려는 시선이 동시에 투영된다. 남매관계 설화에 함의된 오빠/남동생의 분열성, 누이의 불확정성은 알면서도 모르는 듯 대하는 무의식의 기제인 ‘부인(否認, disavowal)’을 통해 해명할 수 있다. <달래>의 오빠/남동생은 ‘도덕적 나’에 대한 욕망과 누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성기에 죄를 집중시킴으로써 성욕을 부인한다. <여우>에는 집안을 망치는 딸은 원치 않지만 동시에 부모의 결핍을 채워주는 ‘여우같은 딸’은 원하기 때문에 괴물 누이를 용인하는 부인이 나타난다. <힘내기>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부장제·국가 권력과의 관계에까지 부인이 확장됨으로써 누이의 힘에 대한 이중의 부인이 나타난다. 이는 국가 권력을 무서워하면서도 욕망하고, 누이나 역사인물의 힘을 선망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전승주체의 부인과 관련이 있다. 남매관계 설화의 전승사적 맥락은 유관 설화인 <홍수와 남매혼>․<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의 비교를 통해 분명해진다. <홍수>는 남매에서 비롯된 인류의 존재를 긍정하기에 남매간 ‘금지’에 대해 무관심한 서사, ‘부인’이 발생하기 전에 남매가 문제를 극복하기에 부인이 부재하는 서사, 즉 ‘탈남매관계화’한 서사이다. <해와달> 역시 남매간의 성욕에 대한 부인이 이미 완료·소멸되었고, 남매간 ‘금지’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 ‘탈남매관계화’한 설화이다. 그 결과 이들 설화는 전승력이 약화되거나 전승주체의 변화가 발생한다. 남매관계는, 남매관계 설화를 현재까지 밀고 온 동력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by combining <You would have asked for(달래나 보지 Dallae-na-bo-ji, Dallae for below)>,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오누이 힘내기Onui-himnaegi, Himnaegi for below)>, and <Fox sister(여우누이Yeo-u-nui, Fox for below)> tales. The main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the issue of ‘body’, ‘emotion’, ‘context’, and ‘unconscious’. In regard of the issue of ‘body’, in Dallae only a limited part of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f sensualization, and due to the closed, one-way perception regarding the sister,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s concealingly constructed. In Himnaegi, the sister's body is represented around her physical strength. In the ‘castle-building type’, the sister's strength is not fully approved and is refracted. The influence of her body in the ‘clothing type’ is greatly reduced. In Fox, the image of the fox sister is focused on revealing a monstrous body, while the heterogeneity among the brothers and the fox sister is maximized, establishing a destructive relationship. From emotion theories’ perspective, Dallae’s narration focuses on the brother’s sexual desire, his sense of guilt and the sister’s grief. Tellers and audience may reveal both hate/disgust and interest toward the brother,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 presence of ‘compassion’. In Himnaegi, the ‘castle-building type’ shows limited empathy toward the defeated sister and a fear for the ruling power. The ‘clothing type’ shows a relatively low density of emotions. Fox represents the horror of the monstrous fox sister while it is also possible for tellers and audience to have destructive and ethical pleasure as the brother's fear is consumed as entertainment. In terms of spatial and social aspects, the space in Dallae is a space of emptiness, and the family,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seldom appear, which leads to isolation and liminality. In Himnaegi, the brother and sister construct contrasting spaces both in ‘castle-building type’ and ‘clothing type’. The exclusion and removal of women and strength are realized through the conflicts with the patriarchy and state power. In Fox, dispersive spatial changes are responding to that brother-sister conflict and the family’s disorganiz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meaning of brother and sister will be examined. The brother shows the self-division and objectification. In Dallae, his suicide is a ‘self-division of his body’ as well as self-hatred while tellers and audience may show views of ridicule toward the brother. Himnaegi also shares the fragmentary presence of the brother. Although the younger brother-historical person's influen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lothing type’, his identity becomes vulnerable without the attributes of historical figures, whose heroism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power and community solidarity of the present time with selective objectification. The sister’s identity is constructed with uncertainness. Dallae reveals incomplete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sister; her sigh does not accompany specific predictions or assumptions about her brother nor about his sexual desire. The sigh, ‘Dallae-na-bo-ji(You would have asked for…)’ would eventually limit the existence of the brother’s sexual desires. In Himnaegi and Fox, the sister’s hybridity appears. In particular, the sister in Himnaegi consequently owns hybrid characteristics ― quasi-motherhood, ‘inappropriate’ strength of the female gender, and temporarily performed masculinity. In Fox, expectations for both humans and monster are projected onto the fox sister. The self-division of the brother and the ambivalence of the sister can be clarified through the conception of unconscious ‘disavowal’, which originates from the psychoanalytic approach. In Dallae, the brother’s desire for a ‘moral self’ and a fear for his sister drive him to concentrate on the ‘sin of the penis’ disavowing his sexual desire. In Fox, disavowal appears when we call for ‘daughter like a fox’ who is necessary to satisfy the parents’ deficiency, which leads to the continual appearance of monstrous fox sister. In Himnaegi, disavowal extends to the relationship through patriarchal system and state power, resulting in a double disavowal of the sister’s strength. Therefore we can also find out disavowal from transmitters who have ‘fear and desire for state power’ and ‘envy and fear for the strength of the sister and the brother(historical hero)’. The research expands to related tales such as <The Flood and Brother-Sister Marriage(Flood for below)> and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Sun and Moon(Sun&Moon for below)> to explore the transmission historical context of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tales. Flood is a relatively indifferent narrative about incest ban, because it affirms the existence of mankind that has prospered from the brother and sister’s marriage. Flood also does not carry disavowal of sexual desire, because the brother and sister overcome the problem and move toward a common goal before the disavowal happens. Therefore, Flood can be concluded as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In the currently existing Sun&Moon the disavowal of sexual desire has already been completed and has disappeared in Korea's Sun&Moon, and the incest ban is also not surfaced at all. Therefore, the current Sun&Moon is also a tale that deviated from the brother-sister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transmission is drastically weakened or the subject of transmission has changed. Brother-sister relationship itself has been the engine of transmission so far.

      •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다층적 읽기

        한수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18

        본 논문은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 드러나는 내러티브 상의 두 가지 충동(impulse)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하나는 표면적 층위에서 내러티브의 단일한 상승지향의 움직임을 추동하는 충동이고, 다른 하나는 상승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분열시키는 진동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충동이다. 이 완결의 충동과 분열의 충동을 함께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다층적 읽기를 통하여 가능하다. 전자의 상승지향적 충동이 Ⅱ장의 논의가 된다. 표면적 층위에서 『젊은 예술가의 초상』은 주인공 스티븐이 그를 둘러싼 물리적 환경과 공적 담론 등과의 치열한 접촉을 거치면서 자신만의 이상적인 초월적 실재를 지향해 가는 비상의 이야기이다. 예술가 소설이라는 형식적 틀 속에서 상승지향적 충동은 표면적 층위에서 감지되는 '일차적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면서 전면적인 수위를 장악한다. 그리고 이 예술가 소설에 서술자를 주인공과 동일시하는 서술기법상의 경향이 나타나면서, 일차적 내러티브에 상승작용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는 일차적 내러티브에 일면적으로 함몰된 표층적 수위의 읽기이다. Ⅲ장에서는 텍스트에 이면적 층위가 있음을 논의한다. 이면적 층위에는 일차적 내러티브의 단일한 목소리를 교란하고 분열시키는 담론들이 존재한다. 텍스트에 일차적 내러티브와 이 담론들이 동시에 공존함을 인식하기 위해서 필자는 다층적 읽기를 제안한다. 이면적 층위에서 여러가지 정치적 종교적 낭만적 미학적 담론들 이 텍스트에 다른 목소리들의 소요를 통해 드러나고, 스티븐의 인식체계에 내면화 된 '낭만적 내러티브'에도 침투하여 있음이 발견된다. 이들은 내러티브가 단일한 목적지향적 이야기로 발전해가려는 충동을 방해하고 분열시킨다. Ⅳ장에서는 이면적 층위의 텍스트 분석을 한층 내적인 방향으로 이끌고자 한다. 일차적 내러티브 자체에서 완결과 정점을 지향하는 단선적 움직임은 실현되지 못한다. 내러티브는 상승과 하강의 순환적 곡선을 되풀이한다. 이는 내러티브의 자기분열성이다. 또한 텍스트의 마지막 형식인 일기에서 스티븐 자신의 목소리에 다성성이 나타나는 것을 분석할 것이다. This essay expounds the two impulses of the narrative in James Joyce's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One is the impulse to drive a single ascent-oriented movement from the narrative on the surface level, and the other is the impulse to make an oscillating space, where this ascent-oriented movement is disturbed and disrupted. A multileveled reading of A Portrait makes it possible for a reader to read both of these impulses of completion and of disruption at the same time. The former ascent-oriented impulse is the main topic of Chapter II. A Portrait on the surface level is a story of flight, where Stephen Dedalus, the protagonist, pursues his own ideal transcendental reality and is expected to become a great artist. This ascent-oriented impulse, the driving force of Kunstlerroman, produces the linear narrative and this dominates the entire text on the surface level. However, this is one-sided reading excessively indulging only in the linear narrative. Chapter III discusses another level in the text. On this level the reader perceives that the text has not only aspects of a linear narrative but also other discourses, which interrupt and disrupt the single voice of the linear narrative. I suggest a multileveled reading in order to recognize that both a linear narrative and these discourses coexist. Some discourses, political, religious, Romantic, and aesthetic, are exposed through disturbances of other voices in the text and are also discovered to permeate the 'Romantic narrative', which has been internalized in Stephen's way of thinking. They interrupt the impulse of completion and ascent-orientation to the disruption of the linear narrative. Chapter IV still focuses on this other level but has as its task analyzing the dialogue among the inner voices of the protagonist. The single movement toward completion and climax cannot be realized in the linear narrative itself. The narrative rehearses the circular movement of ascent and descent. This is the self-disruption of the narrative. I will, also, analyze how polyphony appears in the voice of Stephen himself at the end of the text.

      • 김춘수와 이승훈 시론 비교 연구

        권다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0

        Kim Chun-su and Lee Seung-hoon, two representative modernists of post-liberation Korean poetry who continued to actively create poetry and write poetry theories, shared a common denial of their times, and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their compositions and poetic attitudes. This paper examines the continuities and divergences in Kim Chun-soo and Lee Seung-hoon's poetics throughout their careers, and traces the ways in which their poetic perceptions changed over time, driving their formal orient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how the unique poetics of the two poets have continued the change under the inevitability of their own poetics. In particular, it will focus on the anti-representation orientation of their famous poetics. According to Rancière, a system of representation is a causally and reliably presupposed order between the representational arrangement of themes and genres and the forms of emotional reception. And it is the aesthetic regime that breaks away from this mimetic hierarchy and introduces the effectiveness of 'inconsistency' to produce new corresponding modes of perception. Kim Chun-soo and Lee Seung-hoon, who were mostly concerned with the aesthetic conservatism of the reproduction system, developed theories of meaningless poetry and nonobjective poetry in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it, and in this process, the dialectic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ecame a key strategy to begin with. Above all, they established and supplemented their poetic theories to elucidate their own poetic consciousness and creatively integrated the aspects of the middle period to return to their initial poetic orientation. In addition, both poetic theories aimed at the self-liberation of the creative subject and drew on psychoanalysis to uncover the unconscious and inner inevitability of poetic motivation. In the case of Kim Chun-soo, from his biography, he categorizes poetic attitudes into two types and establishes an exemplary poetic form based on the classicist attitude. Underlying this poetic consciousness was the different orientations of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finite and the pursuit of the infinite,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contradictory poetic forms corresponding to each. Specifically, if the early years were characterized by an orientation toward logical form poetry, Kim immersed himself in experimenting with the theory of meaningless poetry as a deviation from the model poetry prescribed by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 creation of meaningless poetry actually reinforces the subject's subjectivity while requesting a double censorship, and therefore, he could not reach the 'state of vigilance' that he pointed out as the limit of Lee Sang. At the same time, however, it was also a basis for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classicist attitude. In his later years, after a continuous dialectical elimination of the polarized consciousness of Jesus and Judas, Kim Chun-soo arrives at the establishment of the ideal poet as the Grand Inquisitor, while re-emphasizing the separation of subject and object and the status of the creative subject.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cessing and the rejection of direct statements constitute the continuity of Kim's poetic theory. On the other hand, Lee demonstrates the radical shift in poetic orientation over time in response to the transformation of self-perception and language. As an extension of the esoteric poetry debate, Lee develops his own poetic theory to defend the poetic tendencies of contemporary poets and to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times. For the most part, however, his poetic theory is a pursuit of the extremes of automatism, and the grounds for justifying such compositions change from period to period. The various formal experiments of the middle period, attempted as a critique of poetic practice, were also unrelated to the internal logical organization of language and, contrary to his own intentions, ended up contributing to the strengthening of the system of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quite remarkable that the 'Non-Object', which was the core concept of his early poetics, was not finalized but redefined from time to time, indicating that his poetics of all periods was pursued as an extension of a single project. The posthumous composition of 'Non-Objec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continues even after his return to a realist view of language in the later period, and ultimately 'Non-Object' extends to the concept of Zen, a posthumous confirmation of his motivation for creating Zen poetr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Kim Chun-soo and Lee Seung-hoon emphasized the task of tracing the genealogy of modernist poetry and giving it its proper status in addition to writing poetry theories. This is because examining how their genealogical origins are re-contextualized throughout the period suggests a great deal about the ultimate orientation of their poetics. At the root of desire to position his poetics in an avant-garde position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was a desire to preempt modernity, which was also a reflection of a consciousness to provide legitimacy for radical formal experimentation and transformation. 해방 이후 한국시사의 대표적인 모더니스트로서 활발한 시 창작과 시론 집필을 이어나간 김춘수와 이승훈은 공통적으로 시대에 대한 부정정신을 표방하고 있었으며, 작법이나 시적 태도 면에서 적지 않은 유사점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김춘수와 이승훈의 전 시기 시론의 연속성과 분절점을 조망하는 한편, 시기별 시적 인식의 변모가 형식적 지향을 추동해나간 양상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두 시론가의 독자적인 시론이 어떠한 필연성 아래서 변화의 운동을 지속해왔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특별히 본고에서는 이들의 대표 시론이 보이는 반(反)―재현 지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재현 체제란 주제 및 장르의 표상 배치와 감성적 수용 형태 간 인과적‧안정적으로 전제된 질서를 말한다. 이러한 모방 위계로부터 단절하고 인식의 새로운 상응 양태를 산출하기 위해 ‘불일치’의 실효성을 도입하는 것이 미적 체제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시기에 재현 체제의 미적 보수성을 문제시한 김춘수와 이승훈은 이를 탈피하기 위한 시도에서 무의미시론과 비대상시론을 전개해나갔으며, 이 과정에서 의식과 무의식의 변증법이 시작(詩作)의 핵심 전략이 되었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자신의 시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 시론을 성립하고 보완해 나갔으며 중기의 양상들을 창조적으로 통합하여 초기의 시적 지향으로 다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두 시론 모두 창작 주체의 실존 해방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며, 정신분석에 천착하여 시적 동기의 무의식과 내적 필연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김춘수의 경우 전기에서부터 시적 태도를 두 유형으로 대별하고 고전주의적 태도에 입각하여 모범적인 시 형태를 정립해나간다. 이러한 시 의식의 기저에는 유한자의 한계 인식과 무한에의 추구라는 상이한 지향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이는 각각에 해당하는 모순된 시 양식을 발달시키게 된 원인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초기에 논리적 형태시에 대한 지향이 두드러졌다면 중기 김춘수는 이전 시기에 규정한 모범적 시 양태의 일탈이자 ‘반동’으로서 무의미시론 실험에 몰두하게 된다. 그러나 무의미시 창작은 실상 이중의 검열 작용을 요청하면서 오히려 주체의 주관을 강화하는 것이었고, 그렇기에 그가 이상(李箱)의 한계로 지적했던 ‘방심상태’에 그 또한 도달할 수 없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는 고전주의적 태도의 당위성을 여전히 확보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했다. 예수와 유다로 양극화된 의식의 지속적인 변증법적 지양을 거친 뒤 후기에 김춘수는 대심문관이라는 이상적인 시인으로서의 주체 정립에 이르는 한편, 주객 분리와 창작 주체의 위상을 다시금 강조한다. 지적 가공 추구와 직서적 진술의 거부는 김춘수 시론의 연속성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반면 이승훈은 자아 인식과 언어관의 변모에 따라 시기별 시적 지향의 급진적인 전향을 보여준다. 이승훈은 난해시 논쟁의 연장선에서 현대시 동인의 시적 경향을 변호하고 시대적 의의를 해명하고자 독자적인 시론을 발전시켜 나간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기에 그의 시론은 자동기술의 극한을 추구한 것이었으며, 그러한 작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근거만을 매 시기 변경해 나간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적 관행 비판으로서 시도된 중기의 다양한 형식 실험 또한 언어의 내적 논리 조직과 무관한 것이었으며, 본래 의도와는 달리 오히려 재현 체제의 강화에 일조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초기 시론의 핵심 개념이었던 ‘비대상’이 완결되지 않고 수시로 재정립되는 모습은 상당히 주목할 만한데, 이를 통해 그의 전 시기 시론이 단일한 기획의 연장으로서 추동되어간 것임을 알 수 있다. 전 시기에 걸쳐 이어진 ‘비대상’의 사후 구성 작업은 후기에 실재론적 언어관으로 회귀한 이후에도 이어지는데, 궁극적으로 ‘비대상’은 선(禪)의 개념으로까지 확장되며 선시 창작의 동기를 사후적으로 확증한다. 또한 김춘수와 이승훈에게 시론 집필과 더불어 모더니즘 시사의 계보를 추적하고 적절한 위상을 부여하는 작업이 강조되었음은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이들이 표방한 계보적 원류가 전 시기에 걸쳐 어떻게 재맥락화되는지를 살피는 일은 각 시론의 궁극적 지향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바를 시사하기 때문이다. 이상(李箱)을 계보의 필두에 두고서 자신의 시론을 해방 이후 시사의 전위적 위치에 자리매김하고자 한 근원에는 현대성 선취에 대한 욕망이 자리하고 있었는데, 이는 또한 급진적 형식 실험 및 전향 양상에 대한 당위의 마련이 되기도 했다.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화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권리와 요구, 의견, 느낌 등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그대로 솔직하게 상대방에게 나타내면서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려 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정신분열병을 않고 있는 사람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병하여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의 이상을 초래하게 되어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행동에 위축이 오며 사람들로부터 점점 멀어져 친구나 가족까지도 소원해지는 대인관계상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대인관계 증진을 도모하고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주장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자기주장훈련을 실시하여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의 Y정신병원에서 입원한 환자 중 연구 대상자를 편의 추출하여 임의 할당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9명이며, 연구 도구는 자기주장척도, 주장행동관찰평가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은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한 프로그램과, 홍경자(1988)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정신질환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연구대상자를 선정한 후, 2003년 5월 2일부터 2003년 6월 9일 까지 매주 3회, 70분씩, 16회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실험 처치 전·후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자기주장행동, 주장행동관찰평가와 대인관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8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고 연구대상자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동질성검정은 카이(χ^(2))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설 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전보다 훈련 후 자기주장이 강해졌으며, 주장행동 관찰평가 점수도 높아졌다. (자기주장 t=-26.41, p= .000, 주장행동관찰평가 t= 10.63, p= 000). 2.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보다 자기주장이 강해졌고 주장행동관찰평가 점수도 높아졌다. (자기주장 t=201 p= 050, 주장행동관찰평가 t= 5.29, p= .000). 3.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 전과 후에 대인관계 점수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t= .11, p= .910). 4.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와 대인관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t=-1.35, p= .180). 연구결과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자신의 주장행동이 향상되고, 훈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보다도 더 주장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후 대인관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후 대인관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의 효과는 있으므로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 재 적응을 돕고 정신간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Human beings want to show their rights, demand, opinions, and feelings straightforwardly to others while trying to avoid infringing on others' rights. Howeve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impair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not only by severe deficits on cognition, perception, affect, behavior and social skill but also by persistent isolation from a society, families, and rela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training which was designed to help schizophrenic patients improve their relationship and express their opinions more assertively on self asser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 39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 Y psychiatric hospital in a Y city in Kyungi Province were randomly assigned with a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control group of 19. Outcome assessment was rated by using self assertiveness scale,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scale and measure of change in relationship. The sel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adapted to be suitable for the mental illness based on the program revised by Chang-jin Byeon and Seong-hwe Kim according to Korean circumstances and a program developed by Kyoung -ja Hong,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patients with sel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participated in a total of 16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seventy minutes at a time, from May 2, 2003, to June 9, 2003. Self assertiveness,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and change in relationship were used to assess program effects on a pre-post basis. Data was analyzed with SPSS 80 and differences in proportion of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sessed by a Chi square test. Research hypotheses were also verified with paired t-test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produced for the internal-consistenc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ing 1. Schizophrenic patients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showed greater improvement on the self-assertiveness and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in comparison with pre-training. (self-assertiveness t= -26.41, p= 000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 10.63. p= .000) 2. Schizophrenic patients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revealed higher scores on the self-assertiveness and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han those who had no training program. (self-assertiveness: t=2 01 p= .050.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 5.29. p= .000) 3 There was no change on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mong schizophrenia who were trained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pre-training. ( t= 11, p= 910) 4. Th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chizophrenia who were trained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ose who were not trained. ( t= -1.35, p= .180) Research results show that patients receiving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revealed greater improvement in assertive behavior compare to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a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as showed.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icacy of self-assertive training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Therefore self-assertive training program will be used as an mental health care intervention for helping social adap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개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형남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9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특유의 증상과 만성적인 경과로 인해 다양한 영역에서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다. 삶의 질에 대한 정신의학적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더 오래 더 충만한 삶을 살도록 노력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었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삶의 질 연구에 있어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이나 간접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과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대상에 따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 개념은 '자아 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요소로 정의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가족의 지지, 친구 및 이웃의 지지, 전문가 지지로 세분화하여 평가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정신보건 센터와 사회복귀시설에서 만성정신분열증 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 개념이 긍정적일 수록 삶의 질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 및 이웃의 지지가, 자기 개념에서는 자기 효능감이 삶에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 개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은 친구 및 이웃의 지지, 전문가 지지, 가족의 지지 순서로 나타났다.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lowered due to their unique symptoms and chronic problems. The psychiatric study on quality of life of them tried to make patients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 live more longer and valuable. It emphasized on importance of the matter. Current study is based on study examined contributing factors that affect on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However, in actually,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for testing mediating effect wa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was required further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of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in accordance with who rendered social support and process of self-concept by variable factors. Self concept was defined as self esteem and self efficacy, by subordinate variables. Also, social suppor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family's, friend's and expert's and estimated. This study is based on collected materials from 143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in mental health center and social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executed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is study confirmed several critical results. First,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More higher social support, and More positive of self concept, showed high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jor factors affects on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support of friend' and neighborhood' out of social support self esteem among self concept. Second, it turned out when social support affects on quality of life, self concept works by mediator variable. Third, the power of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of schizophrenia patient's in accordance with who rendered social support showed their friends' and neighborhood', expert', family' in order.

      • 김승옥과 '고백'의 문학

        송태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32317

        이 논문에서는 1960년대에 발표된 김승옥의 소설을 ‘고백’이라는 형식에 주목하여 읽었다. 근대문학이 개인의 내면 탐구를 그 특징으로 한다면, 근대의 모든 소설은 일종의 ‘고백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김승옥의 소설을 고백의 형식으로 본 것은, 소설 속의 인물(화자)이 다른 인물이나 독자에게 직접 자신의 내면을 드러낼 때 고백하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해서다. 즉 고백하는 인물(화자)은 단순히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시종 자기반성과 회오의 시선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고백을 하면서 청자(聽者)를 지나치게 의식한 결과다. 다시 말해 자신의 이야기가 어떻게 해석될지 끊임없이 의심하면서 초조해하는 것이야말로 고백하는 자의 태도인 것이다. 게다가 청자의 가혹한 비판을 직접 소설 속에 끌어들임으로써 독자의 이해에 간섭하는 태도 또한 그러한 의심과 초조함의 산물이다. 예컨대 액자를 마련하여 화자의 고백을 다시 논평한다거나(『환상수첩』, 『力士』,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의 고백 사이에 자신의 이야기를 끼워 넣는 방식(『생명연습』), 과거를 고통스럽게 회고하면서 자기 반성적이고 절망적인 제스처를 보이는 것(『무진기행』) 등이 고백의 형식임을 말해주는 근거들이다. 그래서 김승옥의 작품들은 보통 어느 한쪽으 로 일방적으로 해석될 수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오히려 다양한 읽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것은 고백을 하면서도 자신의 고백이 오해될지도 모른다는 생각, 이해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강박적으로 따라다닌 결과다. 애초에 고백은 일종의 모험이기 때문이다. 김승옥의 소설에서 고백은 직접 독자를 향하는 경우도 있지만, 작품 안의 특정한 청자(聽者)를 향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의 청자는 다른 인물이거나 액자 밖의 화자인데, 이들은 고백을 들어주는 자의 위치보다는 해석자의 입장에서 화자와 독자 사이에 끼여든다. 그러므로 독자는 해석자의 평가라는 필터를 거쳐 화자의 고백을 듣게 된다. 그리고 특정한 청자가 없는 경우에는 화자의 고백이 직접 독자에게 전달되지만, 이때의 고백은 주로 자신의 먼 과거의 일이고 또 화자가 반성적 자세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과거를 객관화하기 때문에 독자로서는 고백하고 있는 현재의 화자에게 심리적으로 포섭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액자식 구성, 수기 형식, 과거의 기억 등 고백의 장치를 들어 설명했다. 그런데 이 고백의 장치는 화자의 고백을 간접화하거나 이중적인 것으로 만든다. 즉 독자로 하여금 화자와 거리를 두게 하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고백한다는 사실을 숨기거나 다른 사람의 고백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한편 김승옥 소설의 인물들이 고백하기 위해서는 전제 조건이 필요한데, 그것은 그들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이나 내면의 분열이다. 우선 입신출세주의와 전락의 공포가 지배하는 급속한 근대화의 과정에서, 상경한 시골 출신의 유학생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자기상의 분열이 무언가를 고백하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들이 겪는 자기상의 분열은 속물이 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과 출세 혹은 서울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에서 기인한다. 그래서 설령 서울에 정착한 인물들이라 하더라도 그들의 내면은 분열되어 있다. 그것은 배제와 전락의 공포에 의해 추동되는 현실의 논리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자기상의 부상(浮上) 때문이다. 그런데 그렇게 새롭게 부상하는 자기상은 그 자신이 부정적 이라고 판단했던 모습이기 때문에 비로소 의식상에 떠오를 수 있었으며, 고백은 그 분열된 자기상을 수습하기 위해 나온 방도였다. 예컨대 『무진기행』의 윤희중이 그 대표적 인물인 데, 출세한 서울 사람으로서의 새로운 자기상을 뒤흔들어 의식상에 떠오르게 한 것은 무진에서의 어두운 기억이었다. 그것은 아직도 그가 완전히 서울에 정착하지 못했음을 알리는 징표이자 분열의 근원이었다. 그래서 윤희중은 분열의 근원을 찾아 기억의 장소 무진을 찾았고, 거기에서 마주친 어두운 기억들을 하나하나 더듬어가며 고백한다. 고백을 통해 그 기억들은 과거라는 시간 속에 정리된다. 고백은 헝클어진 시간과 절망의 기억들을 과거라는 공간에 유폐시키는 과정이었던 셈이다. 떠나온 고향 혹은 어린 시절을 호출하는 일 역시 자기상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이다. 왜냐하면 고백은 고백된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을 분리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이고, 또 과거의 일을 언어화한다는 점에서 질서화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한편 자본주의 사회, 도시는 자의식이 강한 인간을 양산한다. 고백의 전제 조건이 분열된 자기상이라면, 자기상의 분열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자의식이 강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바로 그들이 무언가를 고백하는 사람들이다. 즉 자기 자신의 눈에 비친 자기, 그리고 타인의 눈에 비친 자기의 모습에 대해 대단히 의식적이라는 사실이 그들로 하여금 자기상의 분열을 감지하게 한다. 그러므로 그들이 고백을 통해 분열을 수습하는 데는 타인들의 이해가 필수적이고, 그런 점에서 고백은 결국 고백하는 자신의 심경이나 상황을 세상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그런데 김승옥 소설의 경우 고백하는 사람은 자신의 유년 시절의 기억을 비롯한 과거의 아픈 기억들을 되새기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드러낸다. 독자가 접하는 정보 대부분은 고백하는 인물의 그러한 내면이고 또 그가 다른 인물에 의해서 가혹하게 비판당하기 때문에, 독자는 고백하는 사람에게 동정적인 시선을 보내게 된다. 이것은 독자가 고백하는 사람과 고백을 들어주는 사람으로 구성된 고백의 구조 안에 놓이게 되었음을, 그리고 거기에서 작동하는 고백의 메커니즘에 의해 기꺼이 용서자의 역할을 맡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김승옥의 인물들은 분열된 자신의 모습을 고백한다. 현실에 편입하는 데 실패했거나 유예하고 있는 인물들, 아니면 전락의 공포에 시달리는 인물들이 자신의 분열된 내면을 기록한 것이다. 그런데 그들은 자신의 모습에 대해 판단할 만한 객관적인 가치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고백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고백에서 반성이나 후회를 기대하기란 힘들고 또 그들의 미래가 고백한 내용에 따라 변화될 것이라는 예측도 할 수 없다. 애초에 고백이란 고백된 내용이 아니라 고백의 과정에 의해 진실을 보장받는 의식이고, 그래서 고백한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인물들로 하여금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 고백하게 함으로써, 작자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인지는 읽어낼 수 있다. 그것은 대체로 『환상수 첩』에서 임수영이 말하듯 ‘살아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무진기행』의 윤희중이 무진을 떠나 서울로 복귀하는 것, 『力士』의 액자 안의 화자가 양옥집으로 이사하는 것, 『생명연습』이나 『乾』에서의 ‘극기’ 등은 모두, 살아내야 하는 것이 미덕이라고까지는못해 도 중요한 일임을 은밀하게 고백한 것이다. 소설 속의 작자가 인물의 고백이라는 형식을 취한 것, 그리고 여러 가지 고백의 장치를 통해 애써 숨기려고 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생각에서였다. 本論文においては、1960年代に發表されたキムスンオク(金承鈺)の小說を「告白」という形式に注目して讀んでみた。近代文學が個人の內面への探求をその特徵とするのなら、近代の全ての小說は一種の「告白的要素」を持っていると言えるだろう。だが、ここでキム·スンオクの小說を告白小說と見たのは、小說のなかの人物(語り手)が他の人物や讀者に直接自分の內面をあらわにするとき、告白するという姿勢を保っていると判斷してのことだ。すなわち告白を行う人物(語り手)は、たんに自分の心境を吐露するのではなく、終始自己反省と悔悟の視線を保つことになるのだが、そのような態度は告白を行いながら聞き手をあまりに意識した結果としてである。もう一度言うと、自分の話がどう解釋されるのかを絶えず疑いながら,焦燥感に襲われていることこそ告白を行うものの態度だということだ。さらに聞き手の過酷な批判を直接小說のなかに引き·むことで、讀者の理解に干涉するという態度もまた、そのような疑いと焦燥感の産物である。 例えば入れ子型を用い、語り手の告白を再度論評するとか(『幻想手帖』,『力士』,『姉を理解するために[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他の人物の告白の中に自分の話を挾み·むやり方(『生命練習』)、過去を苦しみつつ回顧しながら、自己反省的で絶像的なジェスチャ·を見せているもの(『霧津紀行』)などが告白形式であることの根據である。そのため、キム·スンオクの諸作品は普通どちらかに一方的に解釋することのできない構造を持っており、かえって多樣な讀みを可能としている。それは告白を行いながらも、自分の告白が誤解されるかもしれないという考えが强迫觀念のようにしてついて回った結果である。もともと告白は一種の冒險であるからだ。 キム·スンオクの小說で告白は直接讀者に向けられている場合もあるが、作品のなかの特定の聞き手に向けられているのが普通である。その時の聞き手は他の人物であったり、入れ子構造の外にある語り手であるが、これらは告白を聞いてくれるものの位置よりは、解釋するものの立場から語り手と讀み手の間に割り·んで行く。であるから、讀者は解釋するものの評價というフィルタ·を經て話し手の告白を聞くこととなる。また、特定の聞き手が不在の場合は、話し手の告白が直接讀者に傳えられるのだが、そのときの告白は主に自分の遠く隔たった過去の事であり、また話し手が反省的な姿勢を保ちながら、自分の過去を客觀化しているため、讀者としては告白している現在の話し手に心理的に包み·まれてしまう可能性が高い。本論文においては、これを入れ子的構成、手記樣式、過去の記憶等、告白の仕組みをあげて說明した。ところでこの告白の仕組みは話し手の告白を間接化したり、二重的なものとしている。すなわち讀者をして、話し手と距離を置くようにさせる仕組みとしての役割を行わせることで、告白するという事實を覆い隱したり、他の人物の告白へと轉じさせる·きをしているわけだ。 他方、キム·スンオクの小說の人物たちが告白するためには、前提條件が必要なのだが、それは彼らが經驗する正體性の混亂とか、內面の分裂である。まず、立身出世主義と轉落への恐怖が支配している急激な近代化の過程で、上京した地方出身の遊學生が經驗する正體性の混亂と自己像の分裂が何かを告白させているわけだ。具體的には彼らが經驗している自己像の分裂は、俗物にはなってはならないということと、出世し、あるいはソウルで生き殘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二律背反的な狀況に起因する。であるから、たとえソウルに定着した人物であっても、彼らの內面は分裂してしまっている。それは排除と轉落への恐怖により突き動かされている現實的な論理を受け入れているものとして捉えられた自己像の浮上のためである。ところでそのように新たに浮上していく自己像は、彼ら自信が否定的なものとして判斷していた姿であるからこそ、はじめて意識に上ってくることができ、告白はその分裂した自己像を收拾するために出てきた方策だった。例えば、『霧津紀行』のユン·ヒジュン(윤희중)はその代表的な人物であるが、出世したソウルの人としての新たな自己像を搖るがし意識にのぼらせたのは霧津での暗い記憶だった。それは、未だに彼が完全にソウルに定着できていないことを知らせる表象であり、分裂の根源であった。であるから、ユン·ヒジュンは分裂の根源を探し、記憶の場である霧津を訪れた。そこで出くわした暗い記憶を一つ一つを整理しながら告白する。告白を通じてその記憶を過去という時間の中に納められる。告白は亂れた時間と絶望の記憶とを過去という空間に幽閉する過程だったことになる。去ってきた故鄕、あるいは幼少時代を呼び起こすことも、やはり自己像を打ち立てるための努力なのだ。なぜなら告白は告白された過去の自分と現在の自分とを分離しようとする欲望の表現であり、また過去の事を言語化するという點で、秩序化の過程だからである。 他方、資本主義社會、都市は自意識の强い人間を量産する。告白の前提條件が分裂した自己像であるなら、自己像の分裂を經驗する人·は自意識が强い人·である。そしてまさに彼らこそ何かを告白する人·なのである。すなわち自分自身の目に映った事實が彼らをして、自己像の分裂を感知させるのだ。であるから、彼らが告白を通じて分裂を收拾するには他人の理解が必須であり、そのような點から告白は自分の心境や狀況を世の中の人·に認めてもらうための努力の一環であるわけだ。 ところでキム·スンオクの小說の場合、告白する人·は自分の幼少時代の記憶をはじめ、過去の辛かった記憶を反芻しながら自分自身に對する反省的な考えを示している。讀者が接する情報の大半は告白している人物のそのような內面であり、また彼が他の人物により手ひどく批判されるため、讀者は告白する人物に同情的な視線を送ることとなる。それは告白する人物と告白を聞く人によって構成された告白構造のなかに置かれていることを、また過去から·きかけてくる告白のメカニズムにより、喜んで許すものとしての役割を擔うことになることを意味している。 キム·スンオクの人物たちは分裂した自分の姿を告白する。現實に編入することに失敗したり、それを猶豫している人物、でなければ轉落の恐怖に苛まされる人物たちが自分の分裂した內面を記錄していたのだった。ところで彼らは自分の姿に對して判斷を下すに足る客觀的な價値基準を持っていないことを告白する。であるから、彼らの告白から反省や後悔を期待することは難しく、また彼らの未來が告白した內容によって變化するであろうという豫測もできない。もともと告白とは告白された內容ではなく、告白の過程によって眞實を保證されるという意識であり、だから告白するという事實自體が重要だからである。だが、彼の人物たちをして、何が何だか分からないと告白させることで、作家が言おうとしていることが何であるかを讀み取ることができる。それはおおむね『幻想手帖』でイム·スヨン(任壽永)が言うように「生きぬかねばならないこと」が大事だという考えである。·霧津紀行』のユン·ヒジュン(윤희중)が霧津を去り、ソウルへと復歸すること、·力士』の入れ子內の話し手が洋館へと引っ越すこと,『生命練習』や『乾』での「克己」などは全て、生きぬか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が、美德とまでは言えなくても重要なことであることをそれとなく告白しているのだ。小說內の作者が人物の告白という形をとったこと、そして樣·なしかけを通して努めて隱そうとしたこともまさにそのような考えであった

      •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불안, 자기효능감 및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배경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03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사회나 가정에서 겪는 심각한 문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인데, 이는 불안, 자기효능감의 부족 등과 같은 내적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불안, 자기효능감 및 주장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정신분열병환자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불안척도, 자기효능감척도, 자기주장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은 2004년 8월 4일부터 2004년 9월 25일 까지 매주 2회, 70분씩, 총 14회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주장행동에 대한 이해, 주장행동, 불안관리, 주장기술 등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동질성 검정을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에 대한 가설검정은 비모수 2표본 검정방법인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안 점수가 더 감소하였지만,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U=46.00, P=.075). 2)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더 증가하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17.00, P=.006). 3)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주장행동 점수가 더 증가하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U=24.50, P=.027).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은 정신분열병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주장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안으로서 임상에서 활용가능하다고 사료된다. There is the relationship of between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 and internal state like anxiety and attitude about themselves of schizophrenic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hich affects anxiety, self-efficacy and assertive behavior of schizophrenic patients. The subjects were 20 admitted patients in N Hospital composed of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0 patient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ere evaluated by state-anxiety inventory, modified Self-efficacy and assertiveness scale.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Oct. 4th, 2004 to Sept. 29th, 2004 and every 70 minutes per session , second sessions per week, totally 14 session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the assertive behavior, the control of anxiety, and the assertive skill training etc.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statistical package. The analysis was made of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may b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bout State-anxiety inventory, bu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decresed than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U=46.00, P=.07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bout Modified Self-efficacy(U=17.00, P=.006).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bout Assertiveness scale(U=24.50, P=.027). In conclusion, the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may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efficacy and the assertive behaviors, and could be use in clinical setting.

      • 오감자극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해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02

        본 연구는 오감자극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자기 효능감과 병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은 대구시 달서구 신당동에 위치한 대구재활센터에서 정신분열병환자 중에 대조군 10명, 실시군 10명으로 2006년 3월6일부터 2006년 6월 26일까지 주 1회 총 17회기에 걸쳐 오감자극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오감자극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시각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선명한 색의 꽃과 식물을 사용하였다. 촉각자극을 위해서는 각종 과일, 꽃잎과 식물의 잎, 여러 종류의 가지와 씨앗 등을 사용하였고 자연에서 나는 바람소리, 물소리, 나뭇잎 흔들리는 소리 등을 들을 수 있도록 청각자극을 유도하였다. 후각자극을 위해서는 과일과 허브, 꽃을 사용하였고, 감정조절에 영향을 주는 미각자극을 위해서는 식욕을 돋우는 주황색 계열의 여러 가지 과일과 꽃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감을 자극하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뇌의 취약성 요인인 뇌의 구조적이상,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기능이상에 영향을 주고 뇌의 지적 창조적 영역을 자극하였고 감정조절을 하게하므로 정신사회적 기능과 증상의 개선, 자기효능감 향상과 병식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병식평가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원예치료사와 담당 복지사의 주관적인 관찰일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고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 자기효능감, 병식의 조사결과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기존 치료도 병행하였다. 오감자극 원예치료의 정신사회적기능 평가결과 대조군의 경우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시군은 일상생활수행기능 항목에서 사전 2.93점에서 사후 3.55점으로 .62점이 높아졌고 .05수준의 유의차가 있었다.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기능항목에서는 사전 2.52점에서 사후 3.21점으로 .69점이 높아졌으며 전체적으로는 사전 2.73점에서 사후 3.83점으로 1.10점이 높아져서 .001수준의 고도의 유의차를 보여서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로의 복귀에 중요한 요인인 정신사회적 기능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사회적증상 평가결과에서 대조군은 충동 및 탐닉, 총 증상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검사에서 증상 점수가 높아져서 오히려 증상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군의 경우는 우울 및 불안, 충동 및 탐닉행동, 정신병적 증상, 모든 하위항목에서 점수가 낮아졌고 특히 우울 및 불안항목은 .01수준의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신사회적 전체증상과 특히 우울 및 불안항목의 증상호전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평가결과에서 대조군과 실시군 모두 일반적인 효능감과 구체적인 효능감에서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군의 대상자별 결과로 보면 두 개의 하위항목에서 각각 8명의 점수가 높아졌고 전체에서는 9명이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회로의 복귀에 중요한 요인인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높아졌지만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개인과 개인 간의 하위항목의 항목별 차이가 큰 변수로 생각되었고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오감자극 원예치료 실시후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평가결과는 대조군과 실시군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서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치료를 통한 오감자극으로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증상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대구재활센터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정신분열병환자의 재활에 병식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고 병식의 개선이 매우 어려운 부분이라고도 하였다. 따라서 정신분열병환자의 병식개선을 위해서는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원예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서 단계적으로 장기 적용하는 것이 앞으로 원예치료사들이 추구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과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원예치료에 참가한 회원 중 80%가 시설내의 보호 작업실에서 보수를 받고 일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분열병환자들에게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처음시도를 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점이 많았다. 특히 청각에서는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는 정도에 그쳤다. 따라서 청각을 비롯한 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을 자극 할 수 있는 식물소재의 개발과 함께 좀 더 자극을 줄 수 있는 오감자극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오감을 효과적으로 자극해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재활에 영향을 주는 정신사회적 기능과 병식개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오감자극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사회로의 복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following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five senses stimulating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mental social dysfunction abilities, self-esteem, and self-awareness of disease on schizophrenic patients. Horticultural Therapy took place in Daegu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Shin dang-dong.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nine adult males and one adult female, while seven adult males and three adult females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rom March 6, 2006 until June 26, 2006. To this day, hospitals place their main focus on decreasing symptoms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order to reduce mental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prescribing medications may not be the only approach. Society has the responsibility to help these patients adjust to society and prevent any social inequalities from hindering their return to society. The data were measured and investig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Insight Scale. Observations and opinions by horticultural therapists were also contributed to the result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Paired-t-test through comparison of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During horticultural therapy, flowering plants of various colors were used to stimulate vision. Patients were told to feel different types of soil and rocks to stimulate their sense of touch. Through outdoor activities, the sound of nature such as wind, water and foliage were encountered to stimulate their sense of hearing. Plants with odors such as herbs, flowers, and fruits were manipulated to stimulate their sense of smell. Furthermore, patients tasted tomatoes, pepper, and fruits like kiwi, pear, orange and apple that they planted themselves in the garden to stimulate their sense of taste. After performing the five senses stimulating horticultural therapy,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much of a difference when resul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variation of .001 in the mental social abilities category for depression and instability. Also, there was a variation of .01 in the self-efficacy scale. Mean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Insight Scale. From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five senses stimulating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mental abilities and relieving mental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indoor garden that was setup in front of the Rehabilitation Center helped improving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We believe that this has also improved their social skill. Currently, 80% of members being treated by horticulture therapy are getting paid for working in protective environments. Such programs suggest hop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will soon be able to return to society.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creating a very well organized five sense stimulating therapy will have a long-term effect on improving the mental social dysfunc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나유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86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들이 경험하는 불안성과 충동성의 경감은 물론 모든 생활상황에서 잘 적응하도록 자기 통제력을 길러주는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H 정신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한 환자들로 DSM-IV에 근거하여 정신과 전문의가 정신분열증으로 진단을 내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대부분은 지속적인 관리를 요하는 만성적인 정신 분열증 환자들로서 불안성과 충동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대상자 50명중에서 불안성, 충동성, 자기 통제성의 T점수가 30점미만이거나 70점 이상인 환자들 6명은 표준편차 범위에서 극단 하위, 극단 상위점수로서 선발기준에서 제외 시켰다. 이들을 제외한 실험집단 22명과 통제집단 22명중에서 퇴원7명과 연구기간 중 증상악화로 사후검사를 받지 못한 5명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실험집단 평균 40.26세와 통제집단 평균 42.00세, 유병기간은 실험집단 평균 13.7년과 통제집단 평균 13.7년이었다. 연구를 위한 기간은 2002년 2월부터 5월까지 4회의 사전검사와 4회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40분 세션으로 진행하였으며, 질적인 접근을 위해 실험집단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각각 20회 실시하였다.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4개 척도로 구성된 다요인 인성검사(김정규, 염태호 저)를 사용하였으며, 14개척도 가운데 충동성 척도, 불안성 척도, 자기통제성 척도를 평가하여 그 검사결과를 t-test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음악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이 음악치료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충동성과 불안성에 감소를 보였으며, 자기 통제성은 증가하여 음악치료의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들이 경험하는 불안성과 충동성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주며, 따라서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의 자기 통제력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겠다. This research tried to find whether the music therapy affects improvement of self-control power not only to reduce the psychotic symptom- a sense of anxiety and a sense of impulsiveness but also to raise the self-control that helps schizophrenia patients adjust to all life conditions. The research object is the schizophrenia patients(Treatment group 15 persons, Control group 17 persons) being hospitalized in H mental asylum and its selection standard is more than 30 points and less than 70 points in a sense of anxiety, a sense of impulsiveness, and a sense of self-control grades respectively. If T grade which is measurement grading is lower than 30 points, it presents the extreme low of each characteristics and if T grade upper than 70 points, extreme high of them. Accordingly, the both cases were regarded as an insincere reply and an non- credible execution of the test and excluded from the selection standard. The age was the average 40.26 old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e average 42.00 old of the Control group. the illness period was the average 13.7 years of the Treatment group and the average 13.7 years of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term was from February to May and practiced four times proactive tests and reactive tests respectively. The music therapy programme was executed twenty times and two times a week(a 40 minute session) to th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In order to find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on the self-control power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sense of passion and self-control measurements that try to find a sense of anxiety and a sense of impulsiveness were execut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mong 14 measurement types of Multi Factors Personality Test (written by Kim Jeong-Gyu, Yeom Tae Ho) and its test result was measured by a t-tes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which the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a music therapy has a reduction of the sense of impulsiveness and the sense of anxiety and an increase of the sense of self-contr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out a music therapy. Conclusionally, that implies the music therapy has an effect on the psychotic behavior, the sense of anxiety, and the sense of impulsiveness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with a good guide that the music therapy can have influences on the increase of self-control power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가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최지욱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32271

        배경 Stroop 작업 동안 선택적 주의력은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부위의 기능과 정신분열병에서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와의 관계는 아직까지 불분명하였다.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수행 작업의 이마앞 피질 부담이 상대적으로 많고 적음에 따른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 관련 뇌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정신분열병 환자 10명과 신체 및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단기/장기 지연 Stroop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다.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각각에서 뒤가쪽 이마앞 피질 및 앞쪽 띠이랑의 활성을 정신분열병 집단과 정상 대조집단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모두에서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같은 위치가 유의미하게 덜 활성화 되었다. 하저만 앞쪽 띠이랑의 경우 정신분열병 집단에서 활성화가 덜 되는 부위가 단기와 장기 지연 조건에 따라 달랐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피하는 앞쪽 띠이랑 보다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가 정신분열병의 전반적 인지 기능 자하와 관련 있음을 암시한다. Backgrounds Deficits in the anterior cingulate (ACC)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troop task in schizophrenia patients in previous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ACC and DLPFC during performing selective attention in schizophrenia. Materials and methods T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en healthy control subjects receiv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uring a Short/Long-term latency Stroop task. This task consisted of two conditions having same Stroop load but different, low or high, prefrontal load. The changes in the neural activity in the DLPFC and ACC were determined and the correctness and response time of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Stroop conditions were compared. Results Compared with the healthy control subjects, the schizophrenia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ess activation in the same site of the left DLPFC in both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conditions but did less activation in different sites of the ACC according to the condi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al correlates of the impaired attention processing in schizophrenia is a dysfunction of the DLPFC, and deficits in the ACC arc determined by both the prefrontal load of the task and the subject's prefrontal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