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유연성과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의 이중매개효과

        이지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34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9세 이상의 국내 직장인 29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10명을 제외한 성인 남녀 28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척도로는 사회불안 척도(LSAS),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 인지적 유연성 척도(CFQ),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 척도(IPES),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절하 척도(DPSOS), 긍정적 사건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DPES)를 사용하였다. 분석과 검증에 SPSS 26.0,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의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유연성,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 사회불안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두 번째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은 각각 매개효과를 보였다. 세 번째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긍정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편향의 순차적인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인 변인을 변화시켜 상담적 개입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se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negative intetpretation bias of posi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291 adults aged 19 or older at office workers in Korea, and the survey finally used data from 281 sincere respondents, excluding 10 unfaithful respondents.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LSA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s (PSPS-K), Cognitive Flexibility Questionnaire(CFQ),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IPES),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DPSOS) and Discounting of Positive Events Scale(DPES) were used as measures, and the SPSS26.0, AMOS 23.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cognitive flexibility, negative intetpretation bias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cognitive flexibility and negative intetpretation bias of positive evaluation showed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we found that the sequentially double-mediated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negative intetpretation bias of posi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ere significant.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unseling intervention in that the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can lead to adaptive consequences for cognitive variables such as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

      • 물질주의와 상대의 수단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 효과 검증

        김택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99

        일찍이, 개인이 무엇인가를 소유하려 할수록 타인을 생명이 있는 주체가 아닌 생명이 없는 물건과 같이 인식할 수 있음이 주장되어왔다(Stirner, 1973; Fromm, 1976). 그러나 물질주의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는 물질주의적인 개인이 타인이나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와 같은 역동적인 관점보다는 주로 물질주의가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와 같은 수동적인 관점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그렇다 보니 물질주의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어떠한 인지적 기제가 작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만약 물질주의가 특정한 인지적 기제를 통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러한 기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할 만한 조건을 탐색하고 검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물질주의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인지적 기제가 작용하는지, 만약 물질주의가 특정한 인지적 기제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러한 영향을 다르게 할 만한 조건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의 목적은 물질주의적인 개인이 어떠한 인지적 기제를 통해 타인과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게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간관계 경향성을 다르게 할 수 있을 만한 조건을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질주의적인 개인은 상대를 자신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여길 것이다. 둘째, 물질주의적인 개인이 스스로가 타인(예, 부모, 친구, 낯선 사람)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낄 때, 상대를 자신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여기는 경향성은 약화될 것이다.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진행됐다. 실험 참여자는 물질주의 가치 척도를 포함한 3개의 척도에 응답하고, 세 조건의 글쓰기 중 한 조건의 글쓰기를 하고, 시나리오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지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인구 통계 문항에 응답함으로써 실험을 마쳤다. 총 113명의 참여자가 실험에 참여했고, 저자는 그중 글쓰기 조건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25명과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극단값으로 나타난 2명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86명의 응답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최종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는 같다. 첫째, 개인의 물질주의 수준은 상대를 자신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여기는 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이 타인(예, 부모, 친구, 낯선 사람)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은 자신의 물질주의 수준이 상대의 수단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했다. 연구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이 물질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주로 자신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 여겨지는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둘째, 물질주의적인 개인이 다른 누군가(예, 부모, 친구, 낯선 사람)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낄 때, 개인은 이익이 될 것이라 여겨지지 않는 타인과도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논의,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했다. It has been said that Materialism can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there have not been explanations of what cognition mechanism can affect it. And there has not been which condition can adjust this relationship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and find a way this relationship can be changed. By means of correlational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tested hypotheses that Materialism affects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and Social connectedness moderates associations between Materialism and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with stronger materialistic values reported more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As expected, Social connectedness moderated between Materialism and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Implications of the possibility Materialism affects Instrumentality to the other in a different way and the method for the study of Social connectedness are discussed.

      •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에 대한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이재신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38

        관용어는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한 가지의 언어현상이기도 하며,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한 가지의 언어 표현방식이기도 한다. 이중에서 사람의 신체부위 특히 '손'과 관련된 관용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필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행동을 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일을 할 때에 거의 다 신체부위 ‘손’에 의존해서 실현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모두 기본 구조가 똑같은 신체부위 '손'을 가지기 때문에 한·중 양국 언어 중의 '손' 관련 관용어가 여러 방면에 유사성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한·중 양국은 문화, 역사 그리고 생활방식이 오래 세월을 거쳐 차이가 생겼기 때문에 양국 언어 가운데의 '손' 관련 관용어가 표현방식이나 의미 측면에서 다름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한·중 양국 관용어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대조·연구한다는 것은 양국 언어 간의 의사소통의 교류 장벽을 유효하게 모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의 사고방식 측면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점과 같은 점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양국의 역사 문화와 양 민족의 공통성과 개별성을 인식하고 양국 간의 문화 교류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최근 몇 십년간에 한국과 중국의 언어학계에서 관용어에 대해 이미 전면적인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그 연구 성과들을 보면 양국 학자들이 대부분 형태론, 의미론 그리도 화용론적인 각도에서 관용어에 대해 대조·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에 한·중 양국에서 인지 은유의 시각 하에 관용어를 연구하는 논문이 점차 나타나고 있지만 한·중 관용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은유의 대조 연구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빈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지 은유의 시각에서 하는 한·중 '손' 관련 관용어에 대한 대조 연구는 더욱 적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사람의 신체부위 ‘손’ 관련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기존에 있었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지언어학의 시각 하에 Lakoff.G. & Johnson.M.(1980)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참조·인용하며, 또한 기본적인 의미 대조의 연구 방식을 기초로 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관용어에 관한 인지적 기제에 대해 분석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중 양국 언어 중의 관용어의 은유적인 차원에서 비슷한 점과 상이한 점을 찾아내어 양국 언어의 문화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인지·이해할 수 있길 기원한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나누어 논의를 하였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 부분이다. 본 장에서 주로 연구의 목적과 의의, 한·중 양국 관용어에 대한 선행연구 현황 그리고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제시를 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먼저 개념적 은유 이론을 정의와 분류로 나누어 설명하고 살펴보았다. 이어서는 한·중 관용어의 개념을 제시한 다음에 그들의 특성을 의미、구조、기능, 그리고 화용 4가지의 측면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3장은 본고의 중심을 두는 부분으로서 먼저 사람의 신체부위 ‘손’에 대한 의미를 정리한 다음에 주로 한·중 ‘손’ 관련 관용어를 다음과 같은 4단계로 나누어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①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② 한·중 근원영역이 같지만 목표영역이 다른 관용어의 경우; ③ 한·중 근원영역이 다르지만 목표영역이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④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다른 관용어의 경우; ㄱ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ㄴ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그 다음에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삼은 ‘손’ 관련 관용어를 그들과 대응되는 인지적 개념에 따라 나열·분류하고 나서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제4장은 결론을 내린 부분으로서 주로 위에 제시된 내용에 대해 개괄과 마무리를 진행하였다. 惯用语是中·韩两国语言中普遍存在的一种语言现象,也是人们日常生活中常用的一种语言表达方式。其中与身体部位有关的,尤其与‘手’有关的惯用语所占的比例较大,这是因为人们行动和日常生活做事都需要通过手的使用来实现。由于人的手部构造基本一致,因此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在许多方面会存在着一定的相似性表现。但由于中·韩两国的文化、历史以及生活方式等方面经过长时间的历史演变毕竟存在着一定的差异,因而也会在表达方式或者意义上有所不同。对比两国惯用语之间的联系与差异,对于有效避免语言交流中的沟通障碍,了解并掌握两国思维方式的异同之处,认识中·韩两国历史文化及民族的共性与个性,以及促进两国之间的文化交流,是非常有意义的。 这几十年来,中·韩两国语学界学者对惯用语的研究,已经取得了比较全面的研究成果。纵观其间惯用语的对比研究,两国学者大都从结构、语义、语用等角度来进行对比分析研究。虽然近几年在中·韩两国之间渐渐出现了从认知隐喻的角度来分析惯用语的研究,但是对于中·韩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对比研究,目前还十分缺乏。特别是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研究,更是极为少见。 本文以中·韩两国语言中与人的身体部位‘手’有关的惯用语为研究对象,在先行研究的成果基础上,从认知语言学的角度参考并运用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在基本语义对比的基础上,以全新的视角对惯用语的认知机制进行对比分析,并且找出中·韩语言中此类惯用语隐喻意义的异同点,从而加深对中·韩两国语言文化的认知与理解。 本文共分为四章,具体内容如下: 第一章,介绍了本研究的目的和意义,中·韩两国惯用语研究的现状以及本文的研究范围和方法。 第二章,首先介绍了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详细的叙述了概念隐喻的定义与分类情况。接着主要对中·韩两国惯用语的概念以及各自的特征进行了阐述。概念部分主要介绍了中·韩权威字典中的释义以及两国学者们所下的定义。特征部分本文将从语义、结构、功能、语用四个方面来对中·韩惯用语进行分析与总结。 第三章,作为本文的重点章节首先通过参照中·韩权威字典对于人的身体部位‘手’的意义进行了简单的梳理,其次以第二章的内容为理论基础采取对比语言学的方法,对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从下面4个方面进行了认知隐喻上的对比分析: ①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② 中·韩根源域相同,目标域不同的惯用语的情况; ③ 中·韩根源域不同,目标域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④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不同的惯用语的情况; a 只在韩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b 只在汉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接着对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按照其各自对应的隐喻概念进行了分类整理,并找出其共同点与差异点。 第四章是结语,主要对前述的内容进行了概括与总结。

      • 개념적 혼성을 활용한 한국어 혼성어 분석 연구 : 신어를 중심으로

        오원식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223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recognitive mechanism of formation process for blending word and to devise how to apply the mechanism we fooun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word book published by national Korean institute we classify 284 blending words and formularize those words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 research blending word which were able to blendas 8 types. Accord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the 8 types, so we identify AD type blending words show prominent features. Many researchers consider AD type blending words the original forms. we try to explain the reason why AD type blending words can be identified prominently by Aitchison’s bathtub effect. However we found that Aitchison’s bathtub effect is not appropriate to explain morphorological features definitely. So to explain morphorological features we use iconicity and mophorogical economical efficiency recognitive efficiency and the like complex cognitive process like tendency to maintain the number of the syllable accompanies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process for the blending word. Hence, blending words are not blend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words. the conceptualization for two words affect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process for the blending word. So, to review conceptualization and recognitive mechanism which construct meanings is so important. we analyze blending words by conceptual blending theory the results are like these. firstly, blending words show semantic constructions appear in the 3 types of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secondly, Blending words which have splinter affixes shows recognitive efficiency in conceptually united connection network. Thirdly, blending words are affected by the subjective recognitive mechanism. if it is impossible to guess the meanings of blending words, conceptually united connections are complicated, same native language users cannot guess the meaning correctly. fourthly, when conceptually united connections consist of meaning, selective projection is applied importantly. Hence we identify Providing the way blending words construct meanings by conceptualization and selective projection with Korean language learners is beneficial for the acquisition of couture and the language. This research suggests recently used blending words are not in the existing category discovers the recognitive reason wh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an not be explained. In addition. the main achievement of this research is that we used Conceptual blending theory which is the influential recognitive process to review the meanings of blending words.

      • 지리교육에서 개념의 의미론적 설명과 의미진단에 대한 연구

        고덕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33967

        This study aims to analyze learner‘s misconception by diagnosing the meaning of objective concept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which learner understands, based on the semantic explanation of concept. Why this research purpose was set is it's been revealed by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studies on misconception that learner's misconcep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language. Also, it was judged that the existing misconception studies lack logical validity, since they only mentioned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re not based on a clear operational definition of concept. Founded on this crit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defined a concept as a meaning of language that leaner uses and analyzed learner's misconce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 usage of language. Moreover, this study extracted and arranged a geography educational implication regarding this.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cept could be defined as a cognitive meaning category according to philosophical, linguistic,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literature research on it. Concept is what human conceptualizes his or her experience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 of categorization and is to express the optimal cognitive construct which learner understands and gives a meaning to, in language. Therefore, cognitive construct which expresses learner's thoughts about a geographic concept in words in a certain cognitive situ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meaning that learner understood and defined as learner's personal conception about geography. Second, misconception that represents learner's personal concept, could be also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meaning that learner understood, since concept was defined as a cognitive meaning category. In other words, as a cognitive meaning category which is formed by understanding learner's objective concept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based on his or her past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nd putting a meaning into it, misconcep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meaning that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understands and means a state that learner doesn't completely understand the objective concept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Thus, learner's misconception can be regarded as a ‘false meaning'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is using. These facts were verifi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misconception's epistemological definition in the previous studies of science and geography subjects. Third, misconception could be diagnosed, from the perspective of semantic component and semantic domain of semantics, as learner's misconception about the objective concept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was defined as 'a false meaning', from the viewpoint of meaning used by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In other words, learner's semantic component and semantic domain about the objective concept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which are in discord with those used by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was defined as a 'false meaning' and considered as a misconception. These facts were verified through the meaning diagnosis of misconception in the existing social studies. In this process, also, it was found that leaner's misconception was formed by ordinary meaning of availability heuristic, embodied meaning that is based on hands-on experience, prototypical meaning of default reasoning, partial understanding of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and concerted understanding of metonymic conceptualization. This implies learner's misconception is created in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using the meanings of language expressions. Fourth, the fact that learner's misconception results from metonymic conceptualization and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was also shown in the result of learner's meaning diagnosis of 'region' and 'place'. When diagnosing the meanings understood by learners(39 third-grade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from the perspective of semantic component and semantic domain, most of them had incomplete meaning and incomplete understanding of 'region' and 'place'. The types of incomplete understanding of students were sorted into 'partial understanding', 'ambiguous understanding' and 'converted understanding', and all of these did not completely accord with the meaning understood by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Therefore, they were judged to be a misconception. As a misconception about metonymic conceptualization, 'partial understanding' was when students understood the meanings of 'region' and 'place' narrowly due to underrating generalization. As a misconception about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converted understanding' was that students understood the meanings of 'region' and 'place' wrong by converting the meanings into different semantic domains. 'Ambiguous understanding' was a misconception no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since students used the meanings of 'region' and 'place' ambiguously without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m. Fifth, students' incomplete understanding, as a misconception about 'region' and 'place',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or discordance with the meanings understood by the group of experts(teachers), and this was defined as a gradation of misconception. Moreover, a geography educational implication was extracted that learner's incomplete understanding of 'region' and 'place' could be used as the starting point of diagnostic teaching for meaning change and as basic data for meaningful learning. Teacher can succeed in meaning change and meaningful learning by remedying learner's insufficient semantic component and changing the wrong semantic domain, when students have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region' and 'place'.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of this result,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is study result has a limitation. This study considered learner's incomplete understanding of 'region' and 'place' as a misconception, from the viewpoint of semantic component and semantic domain and claimed that learner's misconception could be changed by redeeming and changing this through diagnostic teaching of educational dialogue. However, this study did not expla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specific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is based on diagnostic teaching and correcting learner's misconception. If this process was successfully describe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of this research would be enhanced by integrating with learner's conception diagnosis research and conceptual chang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