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약회사 기업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상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특수성과 구매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제약회사를 대상으로 기업이미지의 구성요인에 대한 규명과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있다. 먼저 제약회사의 기업이미지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12개 기업이미지 항목을 조사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제품관련요인, 사회공헌요인, 기업 우수성요인의 3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과 제품 비관련 기업이미지요인이 전체 기업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다. <가설 2> 제품 비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보다 제품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제품관여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제품관여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보다 비제품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클 것이다. <가설 4> 약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신뢰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보다 제품 관련 기업이미지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클 것이다. 조사를 위해 4개의 제약회사와 두통약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의 4가지 가설은 모두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대기업과 내구재 중심의 기존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것으로 제품과 구매프로세스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제약회사들이 어떤 상황에서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할 때 기업이미지의 어떤 요소를 중점적으로 알려야 하며 어떤 사람들을 목표고객으로 삼아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building corporate image and their influencing power affecting purchasing intention. Pharmaceutical compani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expected of which the corporate image influence much on purchasing intention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product and of the purchasing process. First, In order to explicate actual factors and their influential power on corporate imag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12 factor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groups: 1) Product-related factors 2) Social contribution factors 3) Corporate superiority factors. I have proposed a number of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es 1> Product-related factors and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preference of overall corporate image. <hypotheses 2>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than product-related factors. <hypotheses 3> Product-un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under high involvement group than low involvement group <hypotheses 4> Product-related factors have more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under low trust in pharmacists group than high trust in pharmacists group Four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specific migraine medicin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st, all of 4 hypotheses were verified by experiment. These findings are against the result of existing studies that dealt with conglomerate or durable goods. We can define that is caused by peculiarity of the product and of the purchasing process. This study implies what factor should be promoted and who should be targeted when a pharmaceutical company implements marketing programs to enhance its image

      • 경찰홍보활동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박기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는 국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하고 사회공공의 질서를 유지하는 막중한 업무를 맡고 있는 경찰에 관한 국민들의 의식 및 경찰홍보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국민 홍보활동의 효과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알아 본 우리나라 경찰의 홍보활동은 주로 일시적이며 폐쇄적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경찰홍보 활동은 언론사 기자들을 상대로 한 대언론 활동이었으며, 방송 프로그램이나 신문 투고, 경찰 간행물 등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홍보는 소극적인 수준에서 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민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경찰 악대나 자율경찰대 등의 활동과 PC 통신과 같은 새로운 매체를 이용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의 영역도 차츰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진외국의 경찰 홍보활동으로 알아본 두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 선진 외국의 경우에는 경찰 홍보활동이 오랜 시간동안 시민들의 신뢰와 사랑을 받기 위한 노력을 토대로 이루어져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거의 압제적이고 위압적인 이미지를 벗어버린 일본경찰이나 일찍이 민주적 체제의 바탕에서 시작된 미국경찰, 시민들에게 친근하고 가까운 이웃의 이미지로 다가서 있는 영국경찰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경찰도 앞으로 계속해서 오랜 시간을 투자하여 이미지를 변화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대한민국 경찰상을 만들어 국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찰과 경찰홍보활동에 대한 경찰과 일반시민들의 의견을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알아 본 세 번째 연구결과, 경찰 이미지는 과거보다 많이 향상된 면이 없지 않으나 아직도 젊은 층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사회계층별, 특히 경찰과 일반시민간에 경찰 이미지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경찰 홍보에 관한 대국민적 인식은 일반시민들에게는 아직 요원한 일인 경우가 많으며, 경찰 관련 정보의 공개나 협조체제의 미흡으로 대국민 만족도는 아직 부족한 면이 상당히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성이나 젊은층이 경찰에 관한 이미지 등에 있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는 이들 계층을 위한 경찰 홍보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PC 통신이나 인터넷과 같이 젊은층이 많이 애용하는 매체를 이용하거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기존의 단선적이고 일방향적인 홍보활동에 수정을 가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편 경찰홍보에 관한 일반시민의 관심과 기대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경찰 홍보활동이 앞으로 더욱 중요도를 갖게 될 것이며 따라서 홍보활동에 관한 지원이 현재 보다 한층 더 강화되고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조사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미래의 경찰 홍보전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선 경찰의식의 전향적인 변화와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러한 의식과 제도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 미래지향적인 홍보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홍보·공보란 전문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므로 홍보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둘째로 경찰활동에 관한 조사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경찰에 대해 국민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국민여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파악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실질적인 홍보정책은 만들어 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여론조사나 모니터링을 좀더 과학화, 활성화하고 결과가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로는 대중매체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활용을 들 수 있다. 실증적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의 경찰 홍보가 한정된 매체를 이용해 일방향적이며 일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경찰 홍보물에 관한 인지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소극적인 홍보에서 벗어나, TV나 영화, 컴퓨터, 인터넷 같은 대중매체와 첨단 멀티미디어를 홍보수단으로 적극 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다양화하고 이러한 채널들을 항상 유지,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넷째, 경찰 정보센터의 운용으로 정보의 왜곡을 미연에 방지하고 일반시민들에게 경찰 관련 정보수집을 용이하게 하여 경찰 이미지 개선과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로 목적과 소구대상에 맞는 홍보전략을 수립하고 홍보업무 의 평가분석 및 피드백(feedback) 실시로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치경찰 시대의 경찰은 지역 주민과의 유대감 강화를 위해 지역경찰 차원의 대민봉사 및 지역발전을 위한 활동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경찰 개개인이 경찰을 대표한다는 의식과 이를 바탕으로 한 대인 활동을 통해 점차적인 이미지 제고를 꾀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Koreans' understanding toward the Korean police and of the Korean police's public relations toward the public. Additionally,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above status, this study seek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the public relations.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tracks the development of polic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 Korea. Most of them have been conducted in closed and ad hoc ways, focusing on reporters of big press companies. Also, to some extent, T. V. programs, newspaper ombudsmen sections and police periodicals have been used so far. However, more aggressive operations with police band, self-patrol groups, and new media including PC communications are being introduced little by little. The second chapter demonstrates how polic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have evolve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These countries have enthusiastically made their own models to enhance confidence of and friendship with their citizens for a long time, which are fully recognized now. For example, Japanese police have made conscious effort to remove their past regressive image, American police have built up more democratic structure rooted in ideal democracy, and England police have made their presence be more friendly to citizens. These findings lead Korean police to make their own paths to earn confid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with citizens through long-term and consistent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a substantive case study, describing how Korean police are really regarded by their citizens. Actually, their image has improved drastically on the whole, but there still remain negative images among the young and different ones among social strata. In particular, the big difference lies between the citizen and the police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despite years of their public relations toward the public, few citizens recognize it. Because of an insufficient cooperation infrastructure providing police-related information, the level of the public's satisfaction with police service is low. The fact showing negative images among women and youth promotes police public relations to target them. To that end, the public relations should be executed not in a uniform, traditional way but multiple, reactive ways via their favorite media such as the Internet, PC communications, etc.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e result presents that the public have high expectation and interest in police public relations, which implies that this area will gain more importance in the future. Accordingly, more intensive and comprehensive support will be granted to th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fueled by various effective methods. Reflecting the abov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the future strategy of police public relations should not be drawn up until the police's public-oriented attitude and police system for the public's convenience and security are secured. The concrete strategy consists of six parts, which are not arranged in a specific order of consequence. First, since public relations is a very specialized area, there should be substantial work force devoted to only police public relations. Second, plethora of survey, research, study regarding police operations should be conducted. Moreover, those tasks should employ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concerning opinion survey and monitoring job. That makes it possible to set up the practical strategy based on real public opinion. Third, make most of existing mass media and advanced multimedia, including TV, movies, computers, the Internet and etc. From the above analysis, the public's low-degree recognition of the police results from limited utilization of mass media. Therefore, it become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ources providing police-related information, develop more contact points accessible to the public, and maintain them at the same time. Forth, establish what we call a public information center and run it well. This would be of great help to prevent information distorting the police image from spreading around, improve the image, and step up the public relations. Fifth, maximize the effectiveness and minimize the cost of public relations by drawing up a relevant public relations strategy corresponding to its target and objective. In addition, an accurate effect access and analysis of public relations and feedback process should be followed. Finally, activate a high quality civil service and development plan centering each region in oder to intensify the bonding ties with citizens in each district and to cope with increasing demands in a self-adminstration police era. However,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thing is that each policeman should regar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lice and make every effort to serve the public in person, which will contribute to gradual improvement of the police image.

      • 일본인 관광객이 인식하는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신뢰 그리고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정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943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effects of Japanese tourists' perceptions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on creating company's image, reliance and customer loyal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 it attempts to know whether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such as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that are perceived by Japanese touris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ompany's image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Second,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perceived company's image attributes such as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ompany's reliance. Third,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direct effect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reating company's reliance. Fourth,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percieved company's relia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Fifth, it attempts to know whether the direct effect of company's image attribu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Lastly, it attempts to know whether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To design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relevant items relating to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and firms' image, reliance, and customer loyalty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respondents who had visited to Lotte Hotel & Resort from August, 15 to September, 14 in 2008. A total of 52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es. Among them, 3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had visited to Lotte Duty Free for the purpose of purchasing some products and the rest of them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had visited to hotels and restaurants in Lotte Hotel & Resort.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interaction as well as the casual relationship of constructs within the research model. Using the metho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it concluded that two of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reliability' and 'experti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ng the entire firms' image including 'social responsibility',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However, 'attractiveness', the other Hallyu celebrities' attribute, did not influenc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on creating firms' image. Second, it reveale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one of firms' image attributes had significan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while 'investor confidence' and 'marketing activities' did not show any influences. Third,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reli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It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creating firms' reliance while 'social responsibility' work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m. Fourth, it revealed that the firms' reli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rating customer loyalty. Fifth, it reveale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one of firm's image attributes had a great influence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hile company's reliance worked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m. Moreover, investor confidence had statistically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ith inclusion of mediating variable as company's reliance. Lastly, the 'reliability' and the 'expertise' defined as Hallyu celebrities' advertising attributes showed the direc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they had statistically indirect effects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with the inclusion of mediating variable as company's image. 본 연구는 일본인 관광객이 인식하는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의 신뢰도 그리고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스타의 광고모델 속성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 등이 광고모델로 활용한 기업의 이미지 속성인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기업의 이미지 속성인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과 매개변수인 기업의 신뢰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는 앞에서 제시한 광고모델의 속성과 기업의 신뢰도에 대한 직접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네 번째는 기업의 신뢰도는 종속변수인 고객 충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섯 번째는 기업이미지의 속성들과 고객 충성도와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광고모델의 속성들과 고객의 충성도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사 설계로서 설문지는 본 연구의 내용에 맞게 대중스타의 모델속성, 기업의 이미지, 기업의 신뢰도, 마지막으로 고객 충성도에 대한 이론을 근거로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Lotte Hotel & Resort를 대상으로 했으며, 해당호텔의 이용을 마쳤거나 이용 중에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15일부터 9월 14일 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실시하였다. 한편, 설문지의 배분에는 설문의 대상이 일본인 관광객인 점과 장소가 호텔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설문의 71%인 370부는 면세점 이용객을 대상으로 했으며 나머지 150부는 호텔 레스토랑과 객실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다수의 변수들 간에 존재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구성개념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구성개념들 간의 상호관계를 검증하고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속성의 신뢰성과 전문성은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 마케팅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력성은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 투자의 확실성과 마케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이미지와 기업의 신뢰도간의 영향관계에서는 기업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이 기업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이미지의 투자의 확실성과 마케팅은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속성과 기업의 신뢰도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세 번째 분석에서는 모델속성의 신뢰성은 기업의 신뢰도에 직접,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의 신뢰도는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류스타를 광고에 활용한 기업 이미지의 사회적 책임감은 기업의 신뢰도와 같은 매개변수를 거쳐 고객 충성도에 높은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이미지인 투자의 확실성도 기업의 신뢰도를 매개로 고객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한류스타 모델 속성인 신뢰성과 전문성은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으며 또한 ‘Lotte hotel & Resort’의 기업이미지와 기업 신뢰도를 매개로 고객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의미적으로 보강된 비지도 학습 기반의 이미지 캡셔닝

        김지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이미지 캡셔닝(Image Captioning)이란 머신러닝 분야의 한 과제로, 이미지로 입력이 주어졌을 경우 이미지에 대한 묘사를 자연어의 형태로 생성해내는 과제이다. 이는 컴퓨터비전 분야의 전통적인 연구인 동시에 자연어처리라는 머신러닝 연구의 또 다른 갈래와 교차점을 이룬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해당 과제는 딥러닝 모델들의 발달에 따라 제한된 상황에선 인간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와 캡션이 쌍을 이루지 않는 비지도 학습 상황에서의 이미지 캡셔닝은 매우 적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에 따라 성능상의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특히, 이미지와 전혀 무관한 캡션을 생성하는 심각한 현상이 기존 모델에서 자주 관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비지도 학습 기반의 이미지 캡셔닝 모델을 바탕으로, 캡션 생성기의 학습을 담당하는 강화학습 부분의 보상이 반영되는 방식을 개선하여 이미지의 의미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이미지 캡셔닝 평가방법을 기반으로 한 실험에서 , 본 연구는 최신의 비지도 학습 기반 모델에 준하는 성능을 보였으며 의미와 관련된 척도(metric)나 다양성 부분에서는 더 좋은 결과를 보임을 확인했다. Image captioning is a task in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When image input is given, it is a task to generate a description of an image in the form of natural language. This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traditional research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at the same time crosses with another branch of the machine learning research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e task shows human-level performance in limited situations as deep learning models evolve.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mage captioning in unsupervised learning situations where images and captions are not paired, and therefore have many performance limitations. Particularly, critical phenomena that produces captions that are completely independent of images are frequently observed in existing mode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minimizes the loss of semantic information of images by improving the method of reflecting the reward of the reinforcement learning that is responsible for learning the caption generator based on the existing unsupervised learning-based image capturing model. In the experiments based on the existing image captioning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shows better results in terms of metric related to the semantic and diversity than the state-of-the-art unsupervised model.

      • 한국 정치지도자의 휴먼이미지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분석 : 대선 후보 패션·뷰티를 통한 메시지 강화 전략을 중심으로

        김미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인물 위주의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선 후보자의 홍보물은 ‘정치인은 이런 모습이어야 한다’라는 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어 후보자의 모습을 기호화한다.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기호화된 정치지도자의 모습은 다양했다. 이런 다양성은 후보자마다 수용자들로부터 선택을 받기 위한 치열한 이미지 마케팅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선 후보자의 휴먼이미지 구축과 메시지 강화를 위한 기호학적 접근으로 한국 정치지도자의 이미지 체계를 분석하여 비언어적 표현 요소인 패션·뷰티의 감성 이미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후보자를 디자인하는 과정은 유권자의 기대에 부응하여 그들의 기억 속에 저장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지로 암호화시키는 작업이므로 설정된 콘셉트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정치지도자 이미지 체계와 패션·뷰티의 표현을 투사하기 위한 과정으로 후보자 홍보물을 시대별로 나누어 휴먼이미지 전략에 따른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과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적 표현에서 광고에 투영된 후보자는 유권자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사회적 요구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로 후보자는 이미지 요소가 몇 개의 한정된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즉 정지지도자 이미지는 상징적 정체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유권자의 선택에 가치를 지닌 논리적 근거가 되는 이미지 범위의 틀로서 정치문화적 이데올로기를 고찰하고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여 비언어적 표현의 패션·뷰티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비언어적 표현을 위한 1980년부터 2010년대까지 정치문화적 패션·뷰티의 도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확인해 본 결과 후보자는 보편적으로는 정중함과 다소 화려하지 않은 절제된 이미지를 연출한 경향을 보이며 후보자의 의복의 색채는 높은 비율로 무채색 또는 어두운 톤에 근접한 유채색의 의상을 선정한 현대적인, 중후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한 후보자 이미지의 다양성은 2000년대 이후로 파격적 복식을 착용하는 이미지 표현 사례로 캐주얼, 베스트, 니트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표현의 증가는 이제는 개성을 추구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전통적인 정치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의 균형을 지닌 다채로운 표현의 시도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한국 정치지도자의 휴먼이미지 분류를 위해 대통령 선거 정치 광고에 투영된 자화상을 묘사한 상위의 설득 메시지를 수집하여 ‘생성’된 표현, 즉 한국의 정치문화적 이데올로기에 준거한 범위 내에서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데올로기는 후보자 표현을 정당화하는 정치문화적 준거 틀로 정치지도자들이 추구하는 정치적 지향점을 분석하여 이데올로기에 따른 정치지도자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정치 광고에 투영된 정치지도자 이미지 유형은 민주정치 이데올로기, 탈권위 이데올로기, 경륜과 인품 이데올로기로 나타났다. 후보자 이미지는 민주정치의 정의, 평등, 변화·혁신, 소통·화합으로 나타났으며 탈권위는 서민, 일꾼, 섬김·공손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륜과 치적의 전문 정치인, 경제 전문가, 전문 법조인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인품의 청렴·정직, 원칙·소신, 봉사·나눔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치지도자의 이미지 유형 분류는 정치지도자의 가시적 표현을 정당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정치문화의 범주 안에서 다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패션·뷰티는 후보자 표현의 트렌드 분석에 따라 클래식(Classic), 모던(Modern), 액티브(Active), 엘레강스(Elegance), 내추럴(Natural), 에스닉(Ethnic), 로맨틱(Romantic)을 선정하였다. 또한 패션·뷰티 이미지는 분류된 정치지도자 이미지 유형에 따라 Osgood(1957)의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을 사용하였으며 의미화된 이미지를 보고 패션·뷰티 이미지를 이항대립구조로 나열하여 연상(반복) 또는 분산(생략) 되는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분석된 종합적 결과에 따라 메시지 강화·약화를 위한 휴먼이미지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의 활용 도구를 제시하였다. 넷째, 이미지 활용을 위한 도구는 경험적인 검증이 가능한 변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먼이미지 변화 요인에 따라 시대정신(Time), 후보자의 표현 환경(Place), 정치, 사회, 문화, 이슈(Occasion)의 상관성과 변화 추이를 파악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이미지는 주변 세계를 정확하게 묘사하거나 혹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결국 언어와 시각적 재현의 체계는 이미 존재하는 실재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사실과 감정, 느낌에 대한 이해를 절충하고 재구성하는 수단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정치지도자 이미지의 관계성을 밝혀 수용자의 표면적 수용과 내면적 수용의 비언어적 휴먼이미지 비주얼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향후 국내 정치인의 이미지메이킹 수립 및 예측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ublicity materials of presidential candidates full of person-oriented advertisements 'symbolize' the appearance of the candidate reflecting the social demand that “Politicians should be like this. From the 1980s to the 2010s, the symbolized appearance of political leaders was diverse. This diversity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fierce image marketing efforts that candidates have made to be selected by the voters who accept such a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motional images such as fashion and beauty, which are non-verbal expression elements of candidates by analyzing the image system of Korean political leaders as a semiotic approach to build a human image of presidential candidates and strengthen messages. Since the process of designing a candidate is a work of encrypting it into an imag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voters and make them easier to store in their memory, it may strengthen the image of the candidate to be conveyed according to the set concep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ity materials were divided into eras, and expressions and trends according to verbal and non-verbal human image strategies were analyzed as a process to project the image system of Korean political leaders and the expression of fashion and beau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andidate projected in the advertisement in the linguistic expression is an image 'created' according to social needs to induce voters’ choice and has a limited range of image elemen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a political leader had a symbolic identity. These analysis results allow us to consider political and cultural ideology as a frame of image range that is a logical basis for voter selection, and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non-verbal expression visual communication, such as fashion and beauty, by classifying image typ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expressions such as political and cultural fashion and beauty tools from the 1980s to the 2010s were investigated classified as universality and diversity. It was found that candidates generally showed a tendency to produce a moderated image of politeness and moderateness, and the color of the clothes of the candidates was found to produce a modern and dignified image with a high rate of selection of achromatic colors or chromatic colors close to dark tones. As for the diversity of candidate images, casual clothes, vests, and knits have appeared since 2000s as examples of expressing images wearing unconventional costumes. The increase in non-traditional expressions shows the new trent that it is possible to attempt colorful expressions with a balance of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political image in the era of pursuing individuality. Second, to classify the human image of Korean political leaders, the image type was classified within the scope of ‘generated’ expression, that is, based on Korea’s political and cultural ideology, by collecting the top persuasive messages depicting self-portraits projected in political advertisements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An ideology is a political and cultural frame of reference that justifies the expression of candidates. Therefore, by analyz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pursued by political leaders, the types of images of political lead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deology. The types of images of political leaders projected in political advertisements appeared as ideology of democracy, ideology of post-authority, and ideology of economy and character. The image of candidates appeared as justice, equality, change/innovation, and communication/harmony of democracy. The image of de-authority appeared as common people, servants, and service/respect. In addition, they were seen as a professional politician, an economist, or a professional lawyer with experience and achievements. Lastly, personalities were symbolized as integrity, honesty, principles/commitment, and service/shar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image type is a very important task to justify the political leader's visual expression and can be reused within the category of political culture. Third, for fashion and beauty, Classic, Modern, Active, Elegance, Natural, Ethnic, and Romantic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end analysis of candidate expressions. In addition, to classify fashion and beauty images of political leaders, Semantic Differential Scale by Osgood(1957) was use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olitical leader image type. In addition, the meaningful fashion and beauty images were arranged in a binary opposition structure to evaluate whether they were associated (repeated) or dispersed (omit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human image visual communication tools to strengthen or weaken such messages were present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of the times (Time), the candidate's expression environment (Place),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issues (Occasion) and the trend of change were identified and presented in a table according to the human image change factors since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a tool for using images with variables that can be empirically verified. Images are created to accurately depict the world around us or to express abstract concepts or emotions. After all, the system of language and visual representation not only reflects the existing reality, but also serves as a means of reconciling and reconstructing the understanding of facts, emotions, and feelings.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leader image and the social change and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non-verbal human image visual communication strategy of surface acceptance and internal acceptance of the audienc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and predicting the image making of domestic politicians in the future.

      •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 어울림에 관한 연구

        이재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글과 그림이라는 두 개의 표현 매체에서 각기 발전된 문학과 시각예술의 역사는 우리의 문화사(文化史)에 있어서 두 개의 대등한 흐름을 이루어 왔다. 문학과 시각예술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립과 화해의 양극단을 오가며, 경쟁과 공생(共生)의 관계를 반복해 왔는데, 그러한 이유로 인하여 글과 그림의 문제는 인문학적으로나 예술과 관련된 논의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오늘날 우리가 논의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글과 그림, 더 멀게는 문학과 예술이 근원적으로 내포하는 문제상황들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될 수 있다. 왜냐하면, 문학과 예술이 텍스트와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두 장르에 있어서의 예술인식의 단위 또한 결국 텍스트와 이미지로 환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미지와 텍스트는 상이한 속성을 지니는 매체이다. 그러한 이유로 이미지와 텍스트를 근간으로 하는 문학과 시각예술 또한 여러 측면에서 서로 상반되는 양상을 보인다. 독일의 비평가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이 지적하였듯이 시(詩)는 시간적(temporal)인 예술인 반면에 회화는 공간적(spatial)인 예술이다. 또한, 시가 자의적인 기호를 사용하는 반면, 회화는 자연적인 기호를 사용하고, 시(詩)가 선형적(linear), 순차적(sequential), 연속적인 속성을 지니는 반면, 회화는 동시적(simultaneous), 포괄적, 병렬적인 속성을 지닌다. 이처럼 문학과 예술의 표현방식이 다른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 두 장르를 구성하는 단위인 이미지와 텍스트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초래되는 것이다. 이미지와 텍스트 각각은 커뮤니케이션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매체만을 고집할 경우 표현에 있어서의 한계에 부딪히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시간성이나 인과율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데에는 언어, 즉 텍스트가 탁월하지만, 세부적인 상황을 묘사할 경우에는 언어만으로 표현하기 힘든 부분이 존재하고, 이 경우 시각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것이 그것이다. 이렇듯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요소는 서술능력의 한계에 부딪히게 마련이므로, 여기서 두 요소간의 연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컨대 문학과 예술, 이미지와 텍스트는 그 이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상호보완적인 관계구조를 이룸으로써 두 영역간의 연대를 필요로 하게 된다 하겠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는 매우 단순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전통적인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이미지와 텍스트가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두 요소가 모두 필요한 경우, 둘 간에 지배와 종속의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 그리고 그것의 정반대의 경우로서 이미지와 텍스트가 동일한 의미를 반복해서 전달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 세 경우 모두가 매체간의 단순한 '봉합(suturing)'에 그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한계점을 안고 있는 바, 여기서는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상호작용의 측면이 보이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근래에 이미지의 시대를 논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지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필요성을 전제로 하여, 필자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관계 구조'를 이미지와 텍스트의 새로운 관계에 있어서의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곧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이한 속성으로 인해 생겨나는 각각의 장점을 추출하여 활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그 동안 편재(遍在)해 온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에 있어서의 고정된 시각이 아니라, 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환기시킴으로써, 이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초기 구상 단계에서 필자의 이러한 시도에 실마리를 제공한 것은 다름 아닌 르네 마그리트 (Rene' Magritte)의 그림, 「이미지의 배반(Betrayal of the Image)」이었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Betrayal of Image) [그림1 참조]에 나타난 이미지와 텍스트는 기존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미 몇몇 저서에서 이 독특한 관계에 대한논의가 이루어진 바 있다.^(1)) 푸코도 마그리트의 그림에 나타난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일종의 상호 부정 또는 배제, 회피, 역설 등으로 풀이함으로써 두 요소간의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암시한 바 있듯이, 필자는 기존의 몇 가지 기본적인 관계의 반복을 탈피하여,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보다 더 다양한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모색의 일환으로, 필자는 앞서 제시한 마그리트의 그림에서도 추출 가능한,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메워 주는 매개항으로서의 '비주얼 리터러쳐(Visual Literature)'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두 매체 사이에 놓여있는 본질적인 간극을 줄이는 하나의 시도로서의 '비주얼 리터러쳐(Visual Literature)'란 두 매체를 같아지게 하는, 차이점의 소멸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두 매체의 지양(止揚)을 통한 변증법적인 통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앞서 말한 바 있는, 각 매체의 장점 추출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극대화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비주얼 리터러쳐(Visual Literature)'와 관련된 자료의 부족으로 이 용어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필자는 '비주얼 리터러쳐(Visual Literature)'에 대한 연구를 차후의 과제로 돌리고, 이 논문에서는 그 근저에 살아 숨쉬고 있는 원리로서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인 어울림'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필자는 먼저 <1장>에서 필자가 규정하려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전제로서 음악 용어인 '대위법'이 갖는 원리와 그 이론적인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후, <2장>에서 이 용어와 '어울림' 개념과의 연계를 시도하여 두 단어를 조합함으로써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개념을 전제하고자 한다. 그런 연후에 필자가 전제한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의미를 규정하기 위한 시도로서 이와 유사한 맥락에 놓여 있어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개념을 세우기 위한 단서가 되는 '몽타주 이론', '다양함 속의 통일성', '이코노텍스트', '복합예술', '상호 매체성 등의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그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원리가 과연 무엇인지를 귀납적으로 추론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그러한 원리가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에 어떻게 적응될 수 있는지를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제시하기로 한다. 이 연구가 가능한 이유는 필자가 논의하려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가 그 안에 대위법적인 속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대위법적인 어울림'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문학과 디자인의 학제적 연계 가능성을 음악 이론 속에서 찾고자 한다. Literature and visual arts have been recognized as the two main streams in our cultural history, which are based on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literature on writings and visual arts on pictures. Throughout the history those two different streams were sometimes in conflicts and sometimes in harmony, and such harmonious and competitive situations were in repetition. In the humanities and in issues related to arts, writings and pictures have been taking important positions. An issue of image and text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writings and pictures, or in extension in terms of literature and arts, because literature and arts are not only composed of text and image, but also ultimate artistic unit of each two genre has its origin in text and image. As we know, image and text are distinguished forms of expression. Literature and visual arts based on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conflict each other in many perspectives. As famous German critic, Gotthold Ephraim Lessing, asserted, a poetry is temporal arts while painting is spatial arts. He also adds that a poetry uses arbitrary signs while painting uses natural signs. Lastly, poetry is recognized as linear, sequential and continuous while painting as simultaneous, comprehensive and parallel. Such differences in literature and visual arts depend on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unit as mentioned above; literature composes of texts while visual art composes of images. Since text and image each is playing a different role, one would confront a limit in expression if one sticks to a specific method of expression. For example, a tex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express sequence of time and causality while an image would have its advantage in describing details of a situation, which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words. As mentioned above, sole use of either of both methods of expression - text or image - would see a limit in description and, as a result, a need for connection of two elements has been seriously raised as an issue. In short, literature and visual arts, image and text, can create a new joint area based on their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spite of their different natures.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is recognized as a very simple relationship in a traditional meaning. The traditional relations between image and text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Firstly, there is 'complementary relations', which requires both image and text together to perceive the whole meaning of a thing. Secondly, there is 'subordinate relations' between the two and lastly, in reverse, there is 'redundant relations' in which text and image deliver same meanings. However, all those three relations are just at the stage of 'suturing' and none of them has shown 'mutual relations' that will be researched in this thesis. Recently, in a discussion of an image period, not only an image itself is being profoundly studied, but also relations between image and text is seen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such new perspective, I would like to introduce a 'contrapuntal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as a new type of relations in this thesis. This type of relations is a new challenge to maximize effects of communication based on advantages, created by distinguished characters of text and image. I would exclude traditional ideas based on dichotomy and would rather adopt a new perspective to think of a new possible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Betrayal of the Image, , a painting by Rene Magritte, brought me the idea to think of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in a new perspective. 'Betrayal of Image' expresses an unique relations, different from traditional relations, as discussed in some writings. Referring to the painting of Magritte, Foucault has once described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as a denial, exclusion, avoidance and paradox, which is a new assertion on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I would like to avoid basic relations and introduce new possibilities in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In order to do this,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idea of 'Visual Literature' to cover the gap between text and image, which can be also noticed in the painting of Magritte. Such an attempt is not introduced to eliminate differences of text and image, rather to unify in a dialectic method. This means to maximize effects of communication by extracting advantages of each method of expression. In this thesis I would be focusing on 'contrapuntal oullim relations' between image and text and leave research on exact definition of 'Visual Literature' as a next step of study due to limited sources and research materials on it. In the first chapter, this thesis would study the theory of 'counterpoint' and it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chapter, I would define the concept of 'contrapuntal oullim' by combining two words; counterpoint and oullim. Then, the thesis would expand its study on 'Montage Theory', 'Multiple Unity', 'Iconotext', 'Composite Arts', and 'Intermediality' to conclude principles of 'contrapuntal oullim' in an inductive way. In the third chapter, the thesis would cover some specific examples to show how such principles of 'contrapuntal oullim' are applied to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Contrapuntal characteristic enables the study of relations between text and image. After all, my research would like to find a new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s in a musical theory by applying the theory of 'contrapuntal oullim'.

      • 상표이미지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영환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상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와 상표선호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녹차상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미지가 상품의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녹차제품에 대한 상표이미지와 제품간의 관계를 조사해 보고 선택된 녹차의 상표이미지와 소비자들의 자아이미지간의 일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고, 총 220매를 배포하여 212매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부실한 23매를 제외한 189매를 실증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는 상표이미지 구성요소별 평가와 전체적 이미지와의 관계분석은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상표이미지와 구매의사 결정과의 관계분석은 T-test 분석을 활용하고, 선택된 제품의 상표이미지와 자아이미지의 측정은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채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표이미지와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상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은 자기의 실제적 자아와 합치하는 상표이미지를 가진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은 자기의 이상적 자아와 합치하는 상표이미지를 가진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자사제품이 어떻게 지각되고 있는가를 파악하여야 한다. 둘째, 시장을 세분화하는데 있어 상품의 기능적 이미지뿐 아니라 상징적 이미지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셋째, 자아이미지와 상표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은 소비자에게는 더욱더 구매욕구를 강화시킬 수 있는 마케팅 촉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즉, 표적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들의 자아이미지와 제품의 상징적 이미지간에 긍정적 자아일치를 확보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상표 충성도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We can see from a recent tendency that the image of a trademark has been hardly considered significantly in marketing activities as well as in practical business adminstration.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a trademark, however, has no less effect upon customers, consumers and business surroundings than the superiority of products and effective marketing means. This study purports to manifest i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trademark image affect the integral image. If so, how the image of a subjectively taken trademark has an influence upon the integral image. An attempt is made to find if the image of a trademark is consistent with a self-image, and to obtain fundamental data needed for elaborating marketing strategies of a business by mean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ant findings and availability of them to market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 1. The constituent elements representing the physical attributes of trademark image really affect the integral image, and it has an the effect upon the choice of products. 2. It seems recommendable to plan promotion strategies by which consumers can grasp the self-image attributes, thereby imprint the image of a trademark on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ose image attributes in as much as consumers are very sensitive to the image of a trademark, i.e., to symbolical attributes. 3. A specific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elaborated for those customers who have a high level of conformity between self-image and trademark image so that strong purchase needs could be given rise to from within themselves. It seems that demand can be increased through developing new items that can satisfy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trademark, sales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advertisement which integrate the image of products and a self-image into one, together with proper application of the image of a trademark to marketing strategies. This research has several limitations on sample selection and analysis of data. Therefore further well-developed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overcome recognized limitations.

      •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방안 연구

        이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l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ability of poetry creation and to enjoy literature in an authentic manner. To this end, this study digged into the image which is the essence of poetry and the ‘Image Network’ was used to find out how to teach poetry. Poetry is a way of communicating and understanding life. At this time, the image is the principle that drives the appreciation and creation of poetry and the mediu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Regarding images as the result of imagination, they are a good way to approach poetry, especially for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maginative and think freely. However, in the discourses of education, the image has been somewhat neglected, and the teaching method of poetry writing mainly focused on rhetorical figures and poetry forms. Starting from such problem recognition, this study finds the solution in ‘Image Network’. Images in poetry a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a unified semantic system through interaction. Therefore, the method of poetry creation that connects images of the object and pays attention to their relations helps students to construct the stories they want to tell through poetry more easily an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images was named as an ‘Image network'. Poetry creation using image network has three main significants: ‘expansion of ability to compose a poem text based on image', ‘developing imagination and integrative thinking skills’,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expanding awareness through connection and reinterpretation of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the method of poetry using the image network and applied it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s of five stages: ‘meet with poetry', ‘create an image', ‘form an image network', ‘express as a poem' and ‘complete and share'. First, the stage of meeting with poetr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mage in poetry creation by grasping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image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mage. Creating an image involves exploring the object and shaping the image and students practice creating their own original image through various strategies. The next step is to form an image network to learn how to organize poetry and write poems based on it. The expressing as a poem i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image network into text and trimming it according to the poetic expression and form. Lastly, the completion and sharing is a step in which the works are exchanged with friends through mutual checks, completed by their feedback and shared through poetry readings, exhibitions, and gallery walking.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use of the image network for poetry creation raises positive percep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aising interest and confidence in poetry creation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oetry creation. Second, the method of poetry creation using the image network enhances the ability of image formation for students. Various strategies and activities suggested to help create and structure images have been a catalyst to stimulate students'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imagination, and the image network has helped students to convert images into texts more easily. Third, it help students to develop insights into their inner side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m through creative activities that shape diverse and specific images and connect them in meaningful contexts. Students could expand their horizons by looking deeply into their inner side and outer worlds and defamilarization to create an image of the object. Also,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creating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objects or images that are commonly encountered in daily life, students can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a holistic insight into their lives. Overall,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ts in that it aims to develop students' creative imagination and literary cognitive ability through poetry writing using image network, and to develop insights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in the process of spontaneous self-express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자의 시 창작 능력을 길러주고, 진정한 문학의 향유를 가능하게 하는 시 창작 지도 방법의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의 본질인 이미지를 천착하고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방법을 모색하였다. 시는 삶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하나의 소통 방식이다. 이때 이미지는 시의 감상과 창작을 추동하는 원리이자 작가와 독자 사이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이다. 이러한 이미지가 상상력의 작용을 통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미지는 특히 사고가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시에 접근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된다. 그러나 그동안 이루어진 시 창작 교육의 담론에서 이미지는 다소 소홀히 다루어져 왔으며, 언어적 표현이나 시의 형식을 중심으로 한 창작 지도가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그 해결 방안을 이미지 관계망에서 찾는다. 시에서 이미지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통일된 의미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에 대한 이미지들을 연결 짓고 그 관계성에 주목하는 시 창작 방법은 학습자가 시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보다 쉽고 개연성 있게 구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이미지 간의 연결 양상을 ‘이미지 관계망’으로 보았다.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창작은 ‘이미지 기반의 시 텍스트 구성 능력 신장’, ‘상상력 및 통합적 사고 능력 신장’, ‘시의 형상화 과정 및 특성 이해’ 그리고 ‘경험의 연계 및 재해석을 통한 인식의 확대’의 차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은 ‘시와 만나기’, ‘이미지 생성하기’, ‘이미지 관계망 형성하기’, ‘시로 표현하기’, ‘완성 및 공유하기’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와 만나기 단계는 작품 속 이미지들을 통해 시와 이미지 사이의 불가분 관계를 파악하고, 이미지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시 창작에서 이미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미지 생성하기 단계는 대상을 탐색하여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단계로 다양한 전략을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습을 한다. 다음은 이미지 관계망을 형성하는 단계로 시의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을 익히고 이를 토대로 시 쓰기를 수행하게 된다. 시로 표현하기 단계는 앞서 형성한 이미지 관계망을 텍스트로 전환하여 시적 표현과 형식에 맞게 다듬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완성 및 공유하기는 작품을 친구들과 상호 점검을 통해 피드백을 주고받은 뒤, 이를 토대로 작품을 퇴고하여 완성하고 시 낭송회와 전시, 갤러리 워킹 등을 통해 공유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시 창작을 위한 이미지 관계망의 활용은 초등학교 학습자로 하여금 시 창작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길러주고 시 창작의 필요성을 인지하는 등 긍정적 인식을 제고시킨다.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하고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미지의 조직화를 통해 시의 내용과 맥락을 구성해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흥미를 느꼈으며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특히 각 단계별 세부 활동이 마련된 과정 중심의 구체적인 시 창작 방법과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활동 내용의 구성이 시 창작 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연스럽게 창작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켜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방안은 학습자의 이미지 형상화 능력을 증진시킨다. 이미지 생성과 구조화를 돕기 위해 제시된 다양한 전략과 활동들은 학생들의 확산적 사고와 창조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촉진제가 되었으며, 이미지 관계망은 학습자들이 보다 수월하게 이미지를 시 텍스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왔다. 셋째, 다양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이를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연결 짓는 창작 활동을 통해 자아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준다. 학습자들은 대상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자신의 내면이나 외부 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익숙한 것들을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이나 이미지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해석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삶에 대한 총체적인 통찰력을 기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는 이미지 관계망을 활용한 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들의 창조적 상상력과 문학적 인식능력을 길러주고, 자발적인 자기표현의 과정에서 자아와 세계를 인식하는 통찰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시 창작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서울랜드마크 포지셔닝연구 : 방한 외국인관광객을 중심으로

        오은지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Cities are increasingly using landmark to improve their image and stimulate attract visitors. Seoul is the most famous tourism destination in Korea, so over 80% foreign travelers are visiting to Seoul. For this reason, making good destination image of Seoul can be the key to successful Korea tourism. Landmark plays an important part of destination image and inflowing of many foreign travelers. It is deplorable that Seoul doesn't have special landmark which represent characteristic and variety of Seoul. Moreover, in the part of Korea tourism, the study about landmark rarely have done so the subject demands close invest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ositioning of five Seoul landmarks with landmark attributes and to find the most suitable landmark with Seoul image. The main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a positioning strategy for Japanese, Chinese, Australian & American travelers who visited more than three seoul landmarks. A total of 240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and 210 of them a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was selected to analysi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main method for this study wa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frequency analysis, Correspondences analysis were used. As a first result, foreign visitor recognized Gyeong-Bok Gung, National of museum and COEX 63building as a similar group, but in case of N tower was recognized differently. Second, result of positioning depending on attribute, N tower included most attributes which are visibility, comparison, symbolism, representability. So foreign traveler recognized N tower as competitive landmark among the five landmarks. But it doesn't mean that N tower is the most suitable landmark for Seoul image. Over all, the landmark which correspond with Seoul image doesn't exist so Seoul city council tourism developers should try to develop the landmark that can represent Seoul image.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방문객의 80%가 서울에서 체류 및 방문을 함으로 하나의 관문이자 한나라의 수도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해, 그리고 관광객들을 더 유입하기 위해, 현재 존재하는 우리나라 랜드마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랜드마크를 좀 더 개선하여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파리의 에펠탑과 같이 그 나라의 특색을 갖춘 도시공간을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EH한 차기 랜드마크 구상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SPSS15.0의 MDS(Multidimensional Scaling)분석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랜드마크 유사성 자료를 근거로 하여 ALSCAL을 통하여 각 랜드마크간의 지 각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 랜드마크와 랜드마크의 속성과 연관시키기 위해 다차원확장(PRERSCAL: Preference Sca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서울 도시 및 랜드마크 이미지 평가를 위해 ALSCAL 및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을 랜드마크 선호도에 대응시킨 대응일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객들은 경복궁과 국립중앙박물관이 비슷하게 인지하고 있고, 코엑스와 63빌딩을 유사한 랜드마크로 인지하고 있으며, 남산타워의 경우 다른 랜드마크와비교하여 경쟁적 우위에 있어 차별화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랜드마크 속성별 5가지 랜드마크를 포지셔닝한 결과 남산타워가 가시성, 대비성, 상징성, 대표성의 랜드마크 속성을 갖는 랜드마크로 가장 많은 속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이미지와 부합하는 랜드마크를 분석한 결과 사실상 서울시이미지와 부합하는 랜드마크는 부재하며 서울시에서 이러한 랜드마크 개발에 힘써야한다는 시사점을 보이고 있다. 서울방문횟수, 연령, 국가별 서울 랜드마크 선호도간의 대응일치분석 결과 좀 더 한국만이 갖을 수 있는 요소와 동시에 관광객유입을 위해 눈에 띄고 대비성이 있는 랜드마크 개발을 해야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자연이미지의 조합을 통한 내면세계의 표현 연구

        고자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943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자연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자아와 외부 세계에 대한 주관적 시각을 표현해 온 연구자의 미술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석사학위 과정 이후 현재까지 진행해 온 십여 년간의 작품에서 형성된 소재와 주제, 표현방식 사이의 연관 관계를 고찰하고 변화의 흐름과 배경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주 소재가 되는 자연은 자아의 투사와 세계에 대한 은유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다양한 시점에 따라서 단편적인 이미지로 포착된 자연 풍경은 화면상에서 재조합되고 대위와 병렬, 연작 형식을 통해서 우의적인 주제를 전달하게 된다.‘조합’은 관찰자의 시점과 동선을 통해서 의식의 흐름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회화 매체는 자연의 외적 세계와 그 내부의 생성원리를 모방하는 가상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그림은 하나의 틀(frame)로서 존재하며, 내부의 공간이 독자적인 완결성을 추구하는 닫힌 구조를 지닌다. 캔버스와 안료로 이루어진 매체 자체의 물질적 속성과 그림틀 내부의 가상적 구성이 공존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이러한 물성과 가상성이‘조합’을 통해서 서로 어우러지는 효과이다. 여기서의 조합은 상이한 이미지들 사이의 조화와 상충 작용이 반복적으로 변주되는‘대위’방식으로 확장된다. 보는 행위란 이미 그 속에 추상화(抽象化)의 과정이 포함된 창조적인 활동이며 그 과정에서 보는 주체에 의한 시각적 연상과 투사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소재를 촬영한 사진을 화면으로 옮겨서 조합하는 과정에서 감정과 정서가 생겨나고 투영되게 마련이다. 연구자의 작업에서는 일차적으로 사진 매체의 지각 방식을 의도적으로 차용하여 단편적, 분절적인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이미 무의식적으로 연구자의 내면세계가 투사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투영된 정서는 스스로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외부 세계와 자아 사이의 불일치를 드러내게 된다. 보는 주체와 보이는 객체, 자아와 세계 사이의 불일치는 곧 관계의 결여이자 결핍의 상태이며, 그 결과로 상실감과 우울이 야기된다. 연구자는 이러한 자아 결핍과 불일치의 상황을 우의적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하고자 했다. 우의(알레고리)에는 표의와 표상 사이의 미묘한 불일치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세 가지 개념으로 조합을 보고 있다. ‘물성과 가상성의 조합으로서 그림’,‘표의와 표상의 조합으로서 이미지’,‘조형 형식으로서 조합’이다. 조형으로서의 조합에서 연결을 통한 조합을‘병렬’로 보았으며 충돌을 통한 조합을‘대위’라고 보았다. 우의적 이미지와 대위, 병렬 형식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는 비애와 상실감, 그리고 그 너머에 자리 잡고 있는 조화에 대한 지향성이다. 외부 세계에 대한 공허함과 무상감, 그리고 삶에 대한 애착이라고 하는 양가적인 감정이 한 축을 이루며, 내적인 갈등과 고통을 포장하고 외적으로 밝게 보이려고 하는 모순된 태도가 다른 한 축을 이룬다. 연구자가 추구하는 아름다움은 상충하는 요소들 간의 화해와 공존이다. 이러한 미 개념은 동, 서양미술의 다양한 자연관으로부터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은 결과인 동시에, 자연을 소재로 작업을 해 오는 과정에서 구축된 개인적인 경험과 인식의 소산이다. 시기별로 작품을 고찰할 때 자연의 대상물과 범주, 자연에 대한 관점과 태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볼 수 있는데, 먼저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중반까지의 작업에서는 인위성이나 꾸밈이 없이 일상에 존재하는 자연을 소재로 삼았던 반면에, 2000년대 후반의 <한택소요>연작에서는 동양의 전통 산수화에서 표현된 사유의 공간으로 자연 풍경을 나타내려 했다. 이 시기는 특히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동양적 자연관에 심취했던 기간이다. <한택소요>의 자연 풍경은 개인이 사색할 수 있는 장소이자 내면과 외면을 연결하는 관문이다. 최근의 <사계> 작업에서 자연은 보다 추상화된 대상으로서 우주적 질서의 표상이자 인간 삶의 교훈이 되는 궁극적인 지향점이다. 여기서의 풍경 이미지에 묘사된 계절의 순환은 인생의 순환에 대한 은유이자 세계상이다. 풍경은 인간에 의해서 재현된 자연이자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규정하는 격자이기도 하다. 특히 연구자의 작품들에서 재조합된 풍경은 자연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뿐 아니라 화면의 틀을 통해서 내면의 주관적 세계와 외부의 현실 세계를 연결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조합’은 대상에 대해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유동적인 시선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시도되었다. 콜라주 기법, 몽타주 기법과 같은 이미지의 조합, 동양 산수화의 다시점 공간, 두루마리와 같은 횡적인 화면, 병풍과 같은 입체적 구조물, 여러 개의 캔버스로 구성된 연작 등은 분절되거나 끊임없이 이어지는 화면들 사이의 관계망을 통해서 의식의 흐름을 표현하고자 하는 수단들이다. 주요어: 자연이미지, 조합, 투사, 우의, 대위, 내면세계, 풍경 학번: 2006-30317 고자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