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제음주자를 위한 해결중심 집단 상담의 효과성 연구

        이경욱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문제음주자에 대한 새로운 단기개입의 하나로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지역사회 문제음주자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해결중심 접근에 따라 문제음주자를 강점과 자원을 가진 유능한 존재로 보고 문제음주자가 해결하기 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이를 성취하도록 돕는 집단상담 과정이 문제음주자의 음주패턴을 궁극적인 방향으로 유지 혹은 변화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단주자와 조절음주자를 포함한 6명의 집단을 구성하여 8회에 걸처 해결중심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집단 상담 결과 공동목표인 마음의 여유 찾기에 대한 척도 점수는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또 한 단주자는 단주생활을 계속하고 있으며, 조절음주자의 음주 문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조절음주자의 경우에는 음주조절의 성공여부에 따라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단주자의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집단성원의 이러한 변화에는 해결중심 집단 상담에서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 작고 구체적인 변화를 중시하는 것과 과제 부과, 칭찬기법을 사용한 것이 많은 도움울 준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결과로 볼�� 음주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음주자에 대한 단기개입으로 해결중심 모델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역사회 문제음주자가 당면한 문제를 그의 다양한 욕구와 강점과 자원 등을 고려하여 해결하도록 돕는 해결중심 집단상담은 음주문제의 악화를 예방하고, 문제음주자의 재활 및 회복을 돕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know what effects the solution-focused group therapy might have on the change of the problem drinkers in the community as a new brief therapy, According to the solution-focused approach, I regard a problem drinker as a competent being with forces and resources, helping him set goals he want to obtain and gathering excep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em. In doing so, I try to know how the group therapy that strengthens the experience of success might affect the pattem of drinking of the problem drinker in a positive way. To do this study, I made a group of six people including abstinent and controlled drinkers, giving them eight sessions of solution-focused group therapy, As a result, the scale score of peace of mind, one of its common goals, has increased in general. Abstinent drinkers go on with their abstinent drinking, controlled ones reducing many of their drinking problems. For the former, the sense of self-efficacy was high when the abstinence was successful or low when it was not, while for the latter the self-efficacy was reduced in general. These positive results of the solution-focused group therapy are partly indebted to such techniques as setting a goal for the members as they want it, having a high opinion of small and specific changes, giving assignments to the members, using words of praise for the progress. Though it is hard to generalize from a singular case, 1 would argue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ost of the solution-focused model as a brief therapy for the problem drinkers in the community who suffer from drinking, The solution-focused approach turns out to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gainst aggravation of drinking problems and for the recovery of problem drinkers by settling their problems through their various desire, forces and resources.

      • 부모의 문제음주정도가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응집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제음주는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의 신체적·심리적·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가족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문제음주는 가족응집성을 낮춰 가정 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문제음주를 경험하고 있는 부모는 일관성이 없고, 적절한 부모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져 전반적으로 긍정적 가족환경이 저해된다. 이러한 가족환경은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응집성을 매개로 하여 그 자녀인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문제음주정도가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하고, 부모의 문제음주정도가 가족응집성을 매개하는 지를 밝혀내고자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4~6학년이며, 총 228부 중 181부(79.4%)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181부 중 문항에 끝까지 응답하지 못한 2부를 제외한 총 179부(98.9%)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 ANOVA, Scheffé의 사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매개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주요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요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과 가족응집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남자 51.4%, 여자 48.6%이며, 학년은 4학년 36.9%, 5학년 30.7%, 6학년 32.4%로 나타났다. 성적은 상위권 22.3%, 중위권 59.8%, 하위권 14.5%이며, 부모 학력 중 아버지는 고졸(중퇴) 이하 30.2%, 전문대학졸(중퇴) 이상 69.8%, 어머니는 고졸(중퇴) 이하 37.2%, 전문대학졸(중퇴) 이상 62.8%로 나타났다. 부모 문제음주정도는 전체 평균 4.88점이었으며, 연구 대상자 중 문제음주자의 자녀가 38%였다. 가족응집성의 전체 평균은 3.62점으로 비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이 3.72점, 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이 3.44점이었다. 일상적 스트레스의 전체 평균은 2.1점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낮았고, 비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이 1.95점이며, 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은 2.28점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전체 평균은 0.46점으로 비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이 0.40점, 문제음주자의 자녀 평균이 0.57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문제음주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 등 심리적인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가족응집성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 스트레스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이 높고 성적이 낮은 하위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우울의 경우 여학생이고 성적이 하위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는 성별과 학년, 성적, 아버지 학력, 부모의 문제음주정도, 가족응집성이 영향을 미쳤다. 학년,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는 정적 영향을 미쳤고, 성적, 아버지 학력, 가족응집성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우울의 경우 부모의 문제음주정도, 가족응집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는 정적 영향을, 가족응집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는 부모의 문제음주정도와 가족응집성뿐만 아니라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의미를 설명하였으며, 우울은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는 부모의 문제음주정도와 가족응집성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응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문제음주정도가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문제음주가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족응집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문제음주는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응집성은 다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우울에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뿐만 아니라 가족응집성도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문제음주자가 있는 가정의 부모 및 자녀에 대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Problematic drinking negatively affect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of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the entire family and is also called 'family disease.' Problematic drinking can be predicted to reduce the cohesion of the family and lead to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family. Parents suffering from drinking problem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verall positive family environment as it is inconsistent and difficult to perform proper parenting roles. This family environment affects the solidarity of the family, and can negatively affect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age children through family solidarity.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to analyze the direct impact of parents' problematic drinking levels on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age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parents' problematic drinking is mediated by family cohesion. The data was gathered from 179 students in the 4th~6th grade who use local children's center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earch of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tendency of major variable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relative impact of the major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whether the family cohesion had a mediated effect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general trend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population, 51.4% of man and 48.6% of female were gender, while 36.9% of fourth graders, 30.7% of fifth graders and 32.4% of sixth graders were school years. The grade are 22.3% in the top, 59.8% in the middle and 14.5% in the bottom. Among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fathers had 30.2% of high school graduates (dropout) less than, 69.8% of junior college graduates (dropout) more than, 37.2% of mothers had high school graduates (dropout) less than, and 62.8% of junior college graduates (dropout) more than. The average score for parents' problematic drinking was 4.88points, with 38% of children of problematic drinkers. The overall average of family cohesion was 3.62points, with the average of children of non-problematic drinkers standing at 3.72points and 3.44points for problematic drinkers. The overall average of daily stress was 2.1points, lower than the median score of 3points, the average of children of non-problematic drinkers was 1.95points, and the average of children of problematic drinkers was 2.28points. The overall average for depression was 0.46points, with the average for children of non-problematic drinkers at 0.40points and 0.57points for children of problematic drinker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drinking level of parents,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on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their children.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main variable us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Social demography by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Drinking problem of the parents tha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family cohesion. In the case of daily stress, In the case of daily stres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tress levels than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grades and lower grades,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 In the case of depression,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with lower grades has a higher depression. Third, we looked at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daily stress and depression. Gender, school year, grades a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parental drinking, and family cohesion have affected children's daily stresses. The school year, level of drink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parents' problems, and the grad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cohesion of the family had negative influences. In terms of gender, girls were more daily stressed out than boys. In the case of depression, the level of problematic drinking and family cohesion of parents ar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the level of parental drinking had positive influences and family cohesion had negative influences. Through this, the daily stress of school-age children influenced the drinking problems and family cohesion of parents as well as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a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s of parents' drinking problems and family cohesion rather tha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Fourth,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of family cohesion showed that the level of problematic drinking by parents partially mediated with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children. These results are that the parent's problematic drinking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age children, but also affects family cohesion, and family cohes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drinking we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children, as well as family cohesion. Based on the research and their results established by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family cohesion in the impact of daily stress and depression in school-age children can be emphasized by revealing indirect influence through family cohesion, although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of parents affects the daily stress and depression of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sought ways to intervene in parents and children in families with problematic drinkers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 실업자의 구직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 준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 실천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조현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 실업자의 구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다시 말하면 지역사회복지관의 제너럴리스트 실천가들이 영구임대단지내의 음주문제를 가진 저소득실업자를 대상으로 직업준비를 이슈로 집단을 형성하고 구직행동의 장애요인인 실업과 빈곤에 대한 부정적 심리 정서적 문제의 완화(우울 및 불안의 해소, 불신감 해소, 등), 음주문제의 완화를 꾀하고 구직동기 및 구직기술 증대를 목표로 개입함으로서 장기 실업자가 되는 것을 방지 하고 적극적 대처행동을 늘리는 "구직 효율성 증진을 위한 직업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 (Design & development model )에 근거하여 진행되었다. 1단계인 문제분석과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저소득층 문제음주자의 문제를 빈곤 및 실업이 그 원인이며 그로인한 영향으로 첫째,부정적 정서문제를 야기시키며, 둘째 실업 및 일상생활에 대한 소극적 대처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음주문제가 심화되어지고 직업에 대한 무기력 상태에 있다고 분석되었다. 2단계는 정보수집과 통합의 단계로서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첫째, 대상자의 문제를 대하는 관점과 방법의 규명을 위해 제너럴리스트실천의 개입필요성을 명확히 하고 개입 수준에 따른 개입 촛점, 역할과 기술을 정의하였으며 둘째, 대상자에 대한 현재까지 의 실업 및 음주 관련 개입동향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개입단계에 활용될 이론 및 모델을 선택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요한 모니터링틀을 마련키 위해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종합하였다 3단계는 초기모델 디자인 단계로서 프로그램의 목적 및 세부목표, 프로그램수행을 위한 전제조건 및 프로그램 개관 및 세부 메뉴얼과 지침을 만들었다. 집단 활동을 전제로 하여 크게 직업관련, 심리정서관련, 음주관련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나 개인의 개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미시,거시 수준의 개입을 함께 하도록 디자인하였다. 4단계는 초기 모델의 테스트 단계로서 목표대비 효과와의 상관관계추적, 집단의 상호 작용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프로그램의 효과 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탐색등을 시도 하였다. 5단계는 수정모델의 개발 단계로서 초기 개발 테스트 자료를 기본으로 자료를 통합하여 최종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과성의 검증을 위한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정 개발된 모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모델은 저소득층 실업자의 음주문제 및 실업문제를 각각의 해결 과제로 본 반면 테스트 결과 구직 기술과 구직 동기 의 변화태도를 보인 참여자는 음주문제 완화도 함께 이뤄지는 것을 밝히고 수정 모델에서는 구직 효율성 증진에 초점을 둔 JOB-club 운영으로 그 기능을 규정하였다. 음주문제를 별도의 문제로 보지 않고 실업 상황에 대한 소극적 대처 행동의 현상으로 보고 적극적 구직 행동을 늘려 줌으로서 자연히 감소되도록 수정하였다. 둘째, 인지 기법의 활용인데 이론의 기본적 개념은 초기 모델의 그것과 동일하나, 대상의 호응도를 고려하여 활용 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활동과 활동 후 소감나누기 형식으로 개편하였다.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자존감 늘리기, 자기 존경심 키우기 등을 연계하였으며, 부업나들이와 여가활동을 통한 조직 내의 인간관계 익히기, 자기 주장하기, 고급문화 경험하기등 사회기술훈련을 연계하도록 수정하였다. 셋째, 초기모델의 개입영역은 집단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주영역, 직업영역, 심리정서적영역에 국한하였으나 수정모델은 구직활동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의 다양한 접근을 위해 집단프로그램 이외에 개인 및 가족의 자문, 교육, 중개와 지역사회에 대한 지역개발, 옹호, 지역조직, 네트워킹 등의 기술을 활용하도록 개입체계 및 기술을 확대하였다. 넷째, 효과 평가와 과정평가의 절차가 실무적용에 있어서 현실적이지 못한 면을 고려하여, 초기 모델의 요소를 담고 있는 구직효율성 검사와 문제음주 진단 검사NAST 만으로 평가토록 하였다. 다섯째, 기타 초기모델에서는 예측치 못했던 요인들을 발견하여 프로그램 운영지침으로 활용하였다. 초기프로그램모델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참가자의 부정적정서의 완화, 음주문제의 완화, 직업태도 및 구직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직업준비프로그램의 참여와 음주문제의 완화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문제음주행동의 개선에 관하여 NAST, 음주일지, 목표 성취율, 기타 리코딩을 통해 분석한 결과 참여자 11명 중 중도 탈락자 3명을 제외하고 7명이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부정적 정서의 완화는 리코딩 내용분석, BDI검사, 자기기입소감문 등에서 볼 때 8명이 변화를 가져왔다. 직업태도의 변화8명, 취업 및 부업상태진입 7명으로 분석되었다. NAST 및 음주일지내용으로 살펴 본 문제음주 행동 감소는 6명에게서 나타났다. 특히 부업나들이, 직업준비프로그램의 참여율이 높을수록 음주문제행동의 감소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는 유용시간의 단축으로 음주 기회가 감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직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구직동기는 전반적으로 모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구직기술에 있어 2명 취업, 1명 창업, 3명 공동작업장 참여의 취업 결과를 낳을 만큼 전체적으로 향상을 보였다. 특히 구직관련 지지체계의 발전과 큰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진행자 요인 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의 보편적 특징을 살펴보면 어릴때부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여 왔으며 직업 교육의 기회가 적고 구직 및 직업 유지에 대한 반복 되는 실패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어떻게 이 프로그램까지 오게 되었는지를 말하고 싶어 하며, 경쟁적 관계인 직장으로 진입 하기전, 우선 지지적 관계를 얻고 싶어 한다.부끄럽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사례회의 및 진행자 토론과 대상자들에게서 받은 질문내용을 종합한 결과 가장 중요했던 요인은 주 진행을 맡았던 워커의 가치와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워커의 진실함과 다른 사람과 달리 차별 없이 대해주는 태도, 포기하지 않는 끈질긴 근성과 추진력이 단연 참여율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사회복지사의 가치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다음은 중재자와 의뢰자의 역할에 대한 신뢰감을 주는 것으로 다양한 정보를 해결대안으로 함께 시도함으로써 이전에 하지 못했던 적극적 대처방식을 습득하는데 유효했다. 특이한 것은 워커의 성격 요인 중 유연성요인이 중요변수로 나타났는데 클라이언트의 상황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해체되지 않고 집단응집력을 형성하게 하였다. 또 한 가지 변수는 워커가 종사하는 직장 내에서의 인정정도와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관련 지식이나 전문치료기법에 대한 수준은 필요하기는 하나 전문성과 꼭 비례한다고 보긴 어려웠다 오히려 제너럴리스트 사회사업 실천모델에 대한 사전오리엔테이션 여부는 자원과의 연계,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태도면에서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었다. ②프로그램 구조 및 내용요인 음주문제만을 분리해서 개입하면 자신들이 라벨링 당하는 것에 대한 불안과, 주변 환경체계로부터 들어오던 걱정과 잔소리로 동일시하여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거부반응이 가장 컸으며 직업준비클럽활동을 중심으로 일관성을 갖는 것이 호응도가 컸다. 직업준비를 위한 과거의 자신의 경험을 회고토록 하면서 자연스럽게 직업의 재 진입을 위한 장애요인을 다루는 과정에 음주의 문제와 자신의 소극적 문제해결 패턴을 인식을 하게 되고 그에 대처하기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되어져야 함이 발견되었다. 운영방법에서도 강의실 내에서의 토론식 프로그램 참여를 가장 힘들어하였으며 활동중심의 프로그램 구성이 주요했다. 모임횟수나 시간은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하겠으나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활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추후의 직업을 가졌을 때를 대비하고 음주기회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미국의 기존 개입 프로그램을 메타분석에 의하여 효과 분석을 해본 결과 단일 요소의 개입 보다는 다중요소를 활용한 일반 실천가의 개입이 프로그램 효과에 유의미 하였다는 선행연구에 (Anderson et al, 2002) 의거하여 단일요소의 알콜개입을 지양하고 심리, 정서 영역, 음주영역, 직업 준비 영역 등 다양한 요소의 구성을 하였던 것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기여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운영 방법에 있어서도 교육이나 상담위주의 교실운영에서 탈피하여 특히 부업나들이, 자원봉사, 여가활동 등을 활용한 개입이 클라이언트의 참여에 유효했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생활만족, 긍정적 사고를 도왔고 늘 서비스의 수혜자의 입장이었던 이들이 자신보다 어려운 처지의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게 되어 자존감 지지체계의 형성이 될 수 있었다. 긍정적 자아상을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여가, 문화활동은 술 이외의 다른 즐거움 찾기의 일환으로 정기적으로 진행되었다. 단지 내에서의 단조로운 생활을 다양하게 만드는데 기여했고 경험해 보지 못한 문화의 경험은 생활변화 및 직업동기를 갖도록 하는데 유의미 했다. 특히 레스토랑에서의 식사초대, VIP석에서의 축구관람 및 접대, 대형극장에서의 영화 관람 등을 통해 복장, 말씨, 태도 등을 스스로 변화시키는 것을 발견했다.(Wollerman, 1992) 그러나 프로그램내용은 전체적인 틀만 마련하여 제시 하였으며 세부 프로그램은 짜지 않고 집단을 통해 결정토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자신의 어릴 적 기억 ,좋은 추억, 자신의 희망 또는 특기 등 다양한 변인이 반영되는 것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개별 개입이 진행되었고 집단 토론 및 상담도 지루 하지 않게 진행 되었다. ③클라이언트요인 클라이언트 요소 중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지지를 해주는 가족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출석율과 참여도에서 차이가 났다. 아내가 있는 경우 프로그램 참여 협조자로서 협조 관계를 이루기가 용이했고,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를 위한 워커의 개입이 필요한 부분이 많았고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클라이언트의 참여율이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관련 성과와 가족의 유무는 그리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오히려 경제적 책임감을 주기보다는 의존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 된다. 단 구직행동과 관련하여 지지를 해주는 가족이 있을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과거의 직업요인 중 수입액이 컸던 사람일수록 취업에 있어 기대수준이 높아 어려움이 있었으며, 기초생활수급자일수록 취업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때 강압적 요소이긴 하지만 근로를 조건으로 급여를 제공하는 조건부와 대상자로의 지정을 동사무소로 의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결국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하므로 주의하여 활용하였다. 영구임대 아파트지역의 특성상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치료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접촉 및 사정 단계와 일부 개입 (치료기관의뢰, 가족개입, 생활서비스 등) 까지는 프로그램 진행단계에 따라 클라이언트로 포함하여야 한다. ④기관요인 기관요소 중 기관장의 마인드가 중요변수인데 음주개입을 위한 제너럴리스트 실천에 대한 사전오리엔테이션이 되어 있어야 하며 적극적 지원이 있을 때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관의 지역사회와의 관계변수는 다양한 자원을 발굴 연계해 나가는데 큰 힘으로 작용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기관에 대한 이미지나 영향력이 프로그램을 지지해가는 주춧돌이 되었던 것으로 평가 되며 프로그램 관련 협의회 및 보고회 등 참여의 기회가 있었던 것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다음은 공간여건으로서 쾌적한 환경의 집회실, 공동작업을 위한 작업장 등이 갖춰져 있을 때, 자신들이 기관으로부터 존중받는다는 인식을 갖게 하고, 자신들의 복장, 말씨, 태도 변화를 가져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담당자 뿐 아니라 직원회의 및 사례회의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진전 사항을 전 직원이 알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 예산을 지원받는 것은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했다. 즉 여가문화 활동, 전문 강사의 초빙 등은 예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위의 결과를 기반으로 실천적, 정책적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possible job preparation programs for the better job seeking efficiency of the low-income unemployed even with alcoholic problem.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sk the generalist social workers in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to cluster a group of the low-income unemployed with alcoholic problem, who live within permanent rental housing lot, according to an issue titled ‘job preparation' in order to relieve their negative psycho-emotional problems about unemployment and poverty(e.g. depression, anxiety, distrust, etc.) as critical disorder factors of their job seeking behavior and alcoholic problem as well. Furthermore,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facilitate generalist social workers to intervene in the low-income unemployed for their better job seeking motivation and skills so as to prevent them from being unemployed on a long term basis, so that it can develop so-called “model of job preparation program for the better job seeking efficiency" that may contribute to the more positive reactions of the low-income unemployed.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Step 1 refers to problem analysis and project planning. This step showed that the problem of low-income classes and their alcoholism were mainly attributed to poverty and unemployment, and the resulting impact might 1)cause negative emotional problems and 2)contribute to more serious alcoholic problem and even languor about job or work under passive reactions to unemployment and daily life. Step 2 refers to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In this step,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three major spheres: First, Step 2 made clear the necessity of generalist social worker's intervention in order to examine viewpoints and approaches about the problems of subjects(i.e. the low-income unemployed), and also defined focus, roles and skills of such intervention according to its level. Secondly, Step 2 analyzed up-to -date trend of social intervention relevant to unemployment and alcoholic problem of subjects and thereby adopted theories and models as available for intervention step. Thirdly, Step 2 summed up the elements affecting the effects of job preparation program so as to prepare a monitoring framework required for developing possible programs. Step 3 refers to designing initial model. This step focused on setting up program objectives and detailed goals, prerequisites to run program, program overview, and detailed manual and guideline. Based on collective program, the initial model was composed of three major spheres such as job-related, psycho-emotional and alcoholism-related sphere. However, it was designed to involve social intervention from narrow and wide angle apart from collective program for individual management of each subject. Step 4 refers to testing initial model. This step attempted to seek any relationship with the effects versus goals, address collective interactions and roles of social worker, explore variables affecting the effects of job preparation program, and so forth. Step 5 refers to developing modified model. Based on the data of initial development test, this step developed a modified version of initial model by means of consolidated data to perform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verifying effectiveness. The modified version of job preparation program model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First, initial model considered the alcoholic problem of the low-income unemployed to be an individual challenge that requires solution, while making clear that alcoholic problem of subjects was somewhat relieved along with their changing attitudes to job seeking skills and motivation shown as the result of test. Modified model defined the function of job preparation program as the operation of job club focused on better job seeking efficiency. Here, alcoholic problem was not considered as special issue but to be the negative reactions of subjects to their unemployment situation. Modified model was focused on natural drop of such reaction by motivating subjects to take more aggressive job seeking attitudes. Secondly, cognitive method theory was adopted for the modified model. Here, the basic concept of this theory was identical with that of initial model, but the model was modified in the form of various activities and follow-up impression sharing after activities in terms of its application by allowing for subjects' responsiveness. In addition, the modified model involved growing self-esteem and self-respect through voluntary service works and other practices of social skill training like learning in-house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side job outreach and leisure activities, how to assert oneself, experience in high quality culture and so on. Thirdly, since the procedure of effect and process evaluation revealed some unrealistic aspects for its application to practical works, evaluation was performed only through job seeking efficiency test and NMH's Alcoholism Screening Test(NAST), which all contain some components of initial model. Fourthly, other factors unexpected even in initial model were found out and provided as a guideline useful for running job preparation program.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job preparation program can be analyzed as follows: 1. Factors related to coordinator As the result of summing up matters as considered in case conference, discussions under the control of coordinator and questions from subjects as well, it was shown that the most essential factor was the value and attitude of social worker who played a major role as master coordinator in open forum.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social worker's sincerity, his equitable attitudes to subjects in this program and his unyielding tenacity and driving force had decisive impact on subject's participation rate and resulting performance. That is why it is demanded to educate the parties concerned for the values of social worker. Other influential factors included giving a reasonable trust to the roles of intercessor and client, which was regarded to be valid for subjects to learn how to take positive reactions as hardly conceivable before by making attempts for alternative solutions along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flexibility became valued as a critical one of social worker's character factors, because his flexible reactions to any change in client's circumstances helped to create group cohesiveness without any demolition. Especially, it was another variable factor that the higher in-house recognition level and personal achievement motivation of social worker led to the more effects of program. Although it is needed for social workers to get knowledges about alcoholism and be qualified for certain level of specialized therapeutic skills, it was unreasonable that such capabilities are necessarily proportional to specialized performance. Rather, the availability of pre-orientation before applying practice model for generalists' social works was considered to be very critical condition, since it depends significantly on the connection with resources and social worker's attitudes to clients. 2. Factors related to program structure and contents For the subjects hereof, most of their rejections against participation in program were mainly attributed to anxiety about being labeled alcoholic in case of social worker's intervention only for alcoholism and their own identification of such intervention with concerns or even nag as often heard from adjacent surroundings. However, they showed high preference for consistence in program based on job preparation club activities. Here, they were induced to recollect their past experiences before preparing job and come to identify their alcoholic problem and passive problem-solving patterns naturally in the course of dealing with any handicap factor to reenter occupational world. For this sake, it was found that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programs composed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In terms of how to run program, the subjects had mor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forum-like program within lecture room than anything else, and it was critical to make up activity-based programs. Although the number or time of session must be considered from the standpoint of clients, they were motivated to take part in various activities ultimately on a daily basis, which had effects on reducing drinking opportunity in advance of employment in near future. Turning from conventional lop- sided intervention in their alcoholism, the constitution of various aspects such as psycho-emotional sphere, alcoholic sphere and job preparation sphere contributes to the effects of job preparation program. Especially, in the aspect of how to run program, the intervention using side job outreach, voluntary services and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lients' participation in program beyond conventional class operation based on education or counseling. Here, voluntary service program helped clients to feel satisfaction at daily life along with positive thinking. The program motivated them to have self-esteem due to understanding that even they could afford to turn from the standpoint of beneficiaries under social welfare service and give services to other persons under more difficulties. That is, voluntary service program allowed them to recover their own self-esteem support system. It helped them to recover positive self-identity, whil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were in progress on a regular basis as a part of seeking other delights than alcohol. As shown above, the program devised herein contributed to giving a vital force to somewhat monotonous life within rental housing lot, and the experience in unfamiliar cultur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ing their life and giving them occupational motivations. However, program contents were presented to them only within overall framework and detailed programs were designed to be determined within group without prior makeup. 3. Client-related factors In a close view of client-related factors contributing to higher effects of program, the clients under psychological support given by their family showed deviation in the rate of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in the job preparation program. It was relatively easy for the clients who had wife to play a major role as participator and cooperator to form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job preparation program. In case of the clients who had children, there were many requirements that demanded social worker's intervention for their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such intervention together with servic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ing the rate of clients' participation rate or their attitudes.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related performance and the existence of family, possibly because the existence of family may sometimes cause the clients to be dependent rather than have economic responsibility for their family, except that there was any family member who could afford to support them in terms of job seeking behaviors. 4. Institution-related factors Out of institution-related factors, institutional leader's basic mindset becomes a critical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expected effects of program could come true only with pre-orientation about the practices of generalist social worker before alcoholism intervention and corresponding positive supports as well. Moreover, it was notable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titution and local community functioned as considerable drive to excavate and connect various resources. It was assessed that the conventional images or influential power of institution played a role as a cornerstone to support job preparation program, and the opportunities to join program-related council, briefing session and the like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f program as well. Interestingly, in the aspect of living circumstances, our clients came to be aware that they were well respected by institutional authorities, when there was a good setup of facilities like comfortable assembly hall and workplace for collabor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ch environmental establishment could also bring change in their costume, wording and attitude. It was helpful to inform all employees including certain staffs concerned of program in progress through staff sessions, case sessions and the like. The budget support was advantageous to secure the variety of program. That is, leisure or cultural activities and invitation of professional lecturers were in close relationships with budget-mak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gave several suggestions in practical and policy-related aspect.

      • 음주유발요인과 역기능적 신념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이영복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음주동기, 대학생활 적응, 역기능적 신념, 문제음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음주동기와 대학생활 적응이 문제음주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상도에 위치한 4곳의 대학교 대학생 6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음주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Cox와 Klinger(1988)의 음주동기 모형에 Cooper(1994)의 동조동기 문항을 첨가하여 신행우(1998)가 제작한 음주동기 척도를,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ker & Siryk가 제작한 대학생 적응검사(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를 이윤정(1999)이 수정·보완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역기능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조용래와 원호택(1999)이 개발하고 홍세희와 조용래(2006)가 36개 문항으로 단축한 척도를, 문제음주를 측정하기 위해 1989년 세계보건기구의 주관화에 개발되고 이병욱·이충현·이필구·최문종·남궁기(2000)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AUDIT-K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AUDIT-K 점수 11점 이하를 일반음주 대학생 집단으로, 그 이상을 문제음주 대학생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388명, 245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 후 T-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음주동기와 대학생활 적응이 문제음주와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통해 분석하고, Sobel(1982)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음주동기를 일반음주 집단과 문제음주 집단으로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음주동기가 높을수록 문제음주를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일반음주 집단과 문제음주 집단으로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대학에서의 적응력이 높을수록 문제음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역기능적 신념을 일반음주 집단과 문제음주 집단으로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적 신념이 많을수록 문제음주를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음주동기와 대학생활 적응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반음주 집단에는 역기능적 신념이 매개하지 않지만 문제음주 집단에서는 음주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모두에서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rel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motives of drink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dysfunctional beliefs, and problematic drinking, and test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e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ith dysfunctional beliefs in relation with problematic drinking.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3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sang-do. To measure the university students’ motivesof drinking,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drinking motives that Shin (1998) created by adding Cooper’s (1994) motivation questions to Cox and Klinger’s (1988) model of drinking motives. To measure the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s study used the scale that Lee (1999) verified by modifying and making up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created by Baker and Siryk. To measure their dysfunctional beliefs, the scale that Hong and Jo (2006) presented by reducing whatJo and Won (1999) developed to 36 questions. To measure their problematic drinking, the study used the AUDIT-K scale that Lee et al. (2000) verified by adapting what was develop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WHO in 1989. Also, students with an AUDIT-K score of 11 or less were classified into the group of normal drinking students, and those with a score over 11 into the group of problematic drinking students.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former group was 388 and that in the latter group 245.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 to T-test after a cross analysis for testing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ith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Also, in order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e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ith dysfunctional beliefs in relation with problematic drinking, an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Baron and Kenny’s (1986) procedure of test of mediating effects, and Sobel’s (1982) significance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normal drinking group and problematic drinking group in their drinking motiv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to say, the higher a student’s drinking motives, the more he or she showed problematic drink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normal drinking group and problematic drinking group i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to say, the higher a student’s adjustment ability in college, the less he or she showed problematic drinking. Thir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normal drinking group and problematic drinking group in their dysfunctional belief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to say, the more a student’s dysfunctional beliefs, the more he or she showed problematic drinking. Fourth, as a result of testing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e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ith dysfunctional beliefs in relation with problematic drinking, it turned out that dysfunctional beliefs did not mediate in the normal drinking group, but they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n problematic drinking in both drinking motive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the problematic drinking group.

      •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성인 ADHD 성향과 음주문제의 관계: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

        황다인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성인 ADHD 성향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남 및 경북 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재학생 36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인 ADHD와 음주문제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 여 대학생의 성인 ADHD 성향은 음주문제를 예측하였다. 셋째, 남자에게서만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할 때 성인 ADHD 성향이 높을수록 음주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남자 대학생들에게만 자기비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 전략 사용이 높을 때 성인 ADHD 성향이 높을수록 음주문제를 더욱 촉진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에 국내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성인 ADHD와 음주문제의 관계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고, 추후 대학생들의 음주문제의 개선 방향을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시하는 데 도울 수 있다는 함의점을 가진다.

      • 일차진료에서 문제음주자 선별을 위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의 타당도 조사

        성정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배경 : 문제 음주를 선별하는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in Korea (AUDIT-K)는 10개 문항으로 되어 있어 일차진료에서 무증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별검사로는 시간적 한계가 있다. 이에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AUDIT-C)라는 단축형이 일차진료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AUDIT-C와 AUDIT-K Number 3 (#3) 단독문항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고 절단점(cut off point)을 구하여 일차 진료에서 문제음주자 선별에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일개대학병원에 내원한 음주력이 있는 남성 3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기입식 설문방법으로 AUDIT-K 10문항에 답하게 하였다. AUDIT-C 총점과 AUDIT-K #3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로 계산하여 절단점을 구하였다. 결과 : AUDIT-C의 경우 8점 이상을 문제음주, 9점 이상을 알코올남용, 11점 이상을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했을 때 민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8점에서(82.1%/75.9%), 9점에서 (76.2%/79.3%), 11점에서 (80.4%/86.3%)이었다. 또한 AUDIT-K #3의 경우는 3점 이상을 문제음주, 3점 이상을 알코올남용, 4점 이상을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했을 때 민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3점에서 (79.0%/80.4%), 3점에서 (83.9%/67.3%), 4점에서 (84.8%/77.0%)이었다 결론 : AUDIT-C는 8점 이상, AUDIT-K #3 문항은 3점 이상을 문제 음주자 선별 기준으로 하여 일차진료에서 선별검사를 시행하도록 권하고자 한다. Background : Since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in Korea (AUDIT-K) has 10 questions to screen for drinking problems, it has limitations for use in the primary care of asymptomatic patients because it requires considerable time. Therefore,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naire (AUDIT-C) is commonly used in primary care and is a compact form of the AUDIT-K.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ut off point for the AUDIT-C and AUDIT-K question Number 3 (#3), in order to be able to use it as a screening tool for problem drinker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Methods : We selected 302 men with a history of drinking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7 to April, 2008 who visited our hospital.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10 question AUDIT-K. We calculated the cut off value by using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total score of the AUDIT-C and question #3 of the AUDIT-K apply to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 Results : The AUDIT-C indicated 8 points or more as problem drinking, ≧ 9 points as alcohol abuse, and ≧ 11 points as alcohol dependence, and each correlated wi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t ≧8 points (82.1%/75.9%), ≧9 points (76.2%/79.3%), and ≧11 points (80.4%/86.3%), respectively. Question #3 of the AUDIT-K indicated 3 points or more as problem drinking, ≧ 3 points as alcohol abuse, and ≧4 points as alcohol dependence, and each correlated wi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t ≧3 points (79.0%/80.4%), ≧3 points (83.9%/67.3%), and ≧4 points (84.8%/77.0%), respectively. Conclusion : We recommend the use of the AUDIT-C with ≧ 8 points and AUDIT-K #3 with ≧ 3 points as the landmarks for screening problem drinker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 요인에 관한 연구

        호산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전지역 대학생의 음주 관련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대학생의 문제음주 및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예방 및 개입에 있어서의 목표설정과 전략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위험 및 보호 요인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가?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요인이 결정적으로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위험 및 보호 요인은 음주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요인이 결정적으로 음주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위험 및 보호 요인은 음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요인이 결정적으로 음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조사 대상자는 대전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만 18세~27세의 대학생 320명으로, 4년제 종합대학 3개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1.0의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험 요인만을 투입하여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와 긍정적 음주기대, 음주 친구 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음주기대가 높을수록, 음주하는 친구 수가 많을수록 문제음주가 증가하는 것이다. 보호 요인만을 투입하여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로는 자기 효능감, 부정적 음주기대, 종교 중요도, 가족 기능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음주기대는 가설과 반대로 문제음주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적 음주기대가 낮을수록, 종교 중요도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 기능이 잘 이루어질수록 문제음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동시에 투입하여 어떤 요인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위험 요인 중에서는 스트레스와 음주 친구 수 두 변인과 보호 요인 중 자기 효능감과 가족 기능 두 변인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대학생은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음주를 하는 친구 수가 많을수록 문제음주가 증가하며,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고, 가족 기능이 잘 이루어질수록 문제음주는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음주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험 요인만을 투입하여 음주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부모 음주정도, 긍정적 음주기대, 음주 친구 수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즉, 부모 음주정도가 심할수록, 긍정적 음주기대를 할수록, 음주 친구 수가 많을수록 음주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 요인만을 투입하여 음주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종교 중요도, 가족 기능,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사회적 지지는 가설에서 보호 요인으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량을 증가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지지 정도가 낮을수록, 종교 중요도가 높을수록, 가족 기능이 잘 이루어질수록 음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에 대한 위험 및 보호 요인 회귀분석 결과, 위험 요인에서는 긍정적 음주기대, 부모의 음주정도, 형제자매의 음주정도, 음주 친구 수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으며, 보호 요인에서는 종교 중요도와 가족 기능 두 변인이 대학생의 음주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모와 형제자매의 음주정도가 높을수록, 음주 친구들이 많을수록, 긍정적 음주기대가 높을수록 음주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삶에 있어서 종교 중요도가 높거나, 가족 기능이 잘 이루어질수록 음주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요인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험 요인만을 투입하여 음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음주기대와 음주 친구 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긍정적 음주기대를 할수록, 음주 친구 수가 많을수록 음주빈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보호 요인만을 투입하여 음주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 효능감, 부정적 음주기대, 종교 중요도,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적 음주기대를 할수록, 종교 중요도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정도가 낮을수록 음주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빈도에 대한 위험 및 보호 요인의 회귀분석 결과, 위험 요인 중 긍정적 음주기대, 음주 친구 수 변인과 보호 요인 중 자기 효능감, 부정적 음주기대, 종교 중요도와 사회적 지지 변인이 대학생의 음주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대학생은 음주하는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친구와 선후배의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음주빈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삶에 있어서 종교에 대한 중요도가 높을수록, 부정적 음주기대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 수록 음주빈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 뿐 아니라 보호 요인을 함께 확인하여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 있어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으며, 개인체계뿐 아니라 환경체계 요인을 포함한 포괄적 변인들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입증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대학생들의 문제음주와 음주행동에 대한 실천개입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 to influence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drinking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 In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1) "Does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 have an influence on problem drinking? If it does, which is an decisive factor on problem drinking?" (2) "Does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 have an influence on the drinking quantity? If it does, which is an decisive factor on drinking quantity?" (3) "Does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 have an influence on the drinking frequency? If it does, which is an decisive factor on drinking frequency?" Data was col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of 32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18 - 27 years old, from 3 universities in Daejeon. Th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linear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sion 11.0).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were as fellows. The analysis of risk factor showed that stress,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companions influenced on the problem drinking. Higher stress, higher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more drinking companions increased problem drinking. The analysis of protective factors showed that self-efficacy,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religion importance, and family func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problem drinking. The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however, increased the problem drinking on the contrary to the hypothesis. As a result, higher self-efficacy, lower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higher religion importance, and better family function decreased the problem drinking. The multi linear regression of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 on problem drinking showed that stress and drinking companions among risk factor and self-efficacy and family function among prote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Higher stress and more drinking companions increased problem drinking, while higher self-efficacy and better family function decreased the problem. Secon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drinking quantity we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risk factor showed that parents' drinking,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companions influenced on the drinking quantity. More parents' drinking, higher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more drinking companions increased drinking quantity. The analysis of protective factors showed that religion importance,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drinking quantity. It was revealed that the social support was a risk factor to increase drinking quantity although the social support was set up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hypothesis. In other words, higher religion importance and better family function decreased the drinking quantity, while stronger social support increased the drinking quantity. The multi linear regression of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 on drinking quantity showed that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parents' drinking, brothers and sisters' drinking, and drinking companions among risk factor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religion importance and family function among prote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s a result, more family drinking, more drinking companions, and higher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increased drinking quantity, while higher religion importance and better family function decreased the quantity. Thir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drinking frequency we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risk factor showed that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companions influenced on the drinking frequency Higher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more drinking companions increased drinking frequency. The analysis of protective factors showed that self-efficacy,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religion importance,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drinking frequency. It was revealed that the social support was a risk factor to increase drinking frequency although the social support was set up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hypothesis. In other words, higher self-efficacy, higher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and higher religion importance decreased the drinking frequency, while stronger social support increased the drinking frequency. The multi linear regression of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 on drinking frequency showed that positive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companions among risk factor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self-efficacy,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religion import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prote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As a result, more drinking companions and higher social support increased drinking frequency, while higher religion importance, higher negative drinking expectancy, and higher self-efficacy decreased the frequenc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rotective factor as well as risk factor to influence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 These finding have provided a theoretical data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oblem drinking.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prove experientially the influence of comprehensive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system as well as individual system on problem drinking. This study made clear the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 decisively, which may provide the direction for intervention in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부모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기혼여성의 부부의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모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이 가족체계에 근간이자 가족구성원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강원 삼척, 동해, 태백지역의 기혼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중 불성한 답변을 제외한 259부의 자료를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독립표본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문제음주를 가지고 있는 여성은 본 연구 응답자 중 42.5%로 나타났다. 강원 남부지역이 지리적 특성인 바닷가와 광산이 있어서 음주에 친숙한 환경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문제음주 차이는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수록 차이 나타났으며, 양성평등의식은 연령이 높을수록, 결혼기간이 오래될수록, 가계월수입이 높을수록 차이를 보였으며, 부부의사소통은 연령이 많을수록, 결혼을 연애로 하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수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문제음주가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부모문제음주 영향이 많을수록 부부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문제음주 자녀들이 자신이 말 하고자 하는 의도를 그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양성평등의식이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부부의사소통이 원할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부부관계가 역할분담과 공유가 이루어지고, 부부중심의 평등한 부부관계 일 때 부부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을 연애로 한 경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 부모문제음주 영향이 적을수록,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부부의사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문제음주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의 문제로 인식하고 사회복지 서비스기관에서는 부모역할 훈련 및 교육, 가족상담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문제음주 가정에서 자란 성인아이(Adult Childrens of Alcoholics: ACOAs)의 결혼 전 예비부부교육 등을 활성화 하여 부모문제음주와 발달 문제를 개입 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양성평등의식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향후 기혼여성의 부부의사소통에 개입할 때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부모문제음주, 양성평등의식, 부부의사소통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problem drinking and gender equality on couple communication of married women who are fundamental to the family system and affect family members. Donghae,-si, Samcheok-si, Taebaek in Gangwon-do, Province of 270 to married women collected data. Except for unsatisfactory answers, part 259 of the data was us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P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2.5%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had a parents' problem drinking. The southern part of Gangwon Province has its geographical features of seashore and mines, which appear to be more exposed to drinking-friendly environments. Second, the difference in parents’ drinking due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as the economic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differed with age, the duration of marriage, the higher the higher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more the difference was, the couples' communication showed that the older they are, the more they marry, the more they a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the more they differ. Third, the effect of parents' problem drinking on the couple communication of married women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problem drinking, the less the couple communication of married women. Parent's Problem Drinking Children do not seem to capture what they intend to say. Fourth,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on married women's communication was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the more couples will want to communicate. It can be seen that couples share roles and share relationships at home, and that couples can communicate smoothly when they are in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actors that affect married women's communication a marriage is a love affair, in case of engaging in economic activities, the smaller the impact of parent's problems drinking, the higher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the better the couple's communication is smoo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problem drinking should be recognized as a family problem, not an individual problem, and social welfare services should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such as parenting training and education and family counseling. Second, the "Adult Children of Alcohol" (ACOAs) raised in family problem drinking should be activated for parents to intervene in the drinking and development of the parent problem by activating preliminary child education of preliminary couples. Third, a variety of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to promote a sense of gender e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preparing various measures when intervening in couple communication of married women. Key words: parent's problems drinking, gender equality, couple communication

      • 문제음주가 범죄행위에 미치는 다차원적 변인 분석

        김명석 아주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목적 : 본 연구는 범죄자들의 음주행동과 음주와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여 일반인들과 비교 분석하고, 범죄유형에 따라 범죄자들간의 음주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범죄행동에 영향을 주는 음주관련 변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 및 방법 : 이 연구는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1999년 1월부터 2001년 11월 31일까지 세 차례의 예비조사를 수행하였다. 2001년 12월 1일부터 연구자는 연구 목적에 적절한 질문들과 척도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2002년 7월 31일까지 1,005명의 음주하는 남성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조군은 2002년 3월부터 2002년 7월 15일까지 음주하는 일반 남성 30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1,30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문제음주 척도는 WHO에서 개발한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문제음주 선별검사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1. 문제음주와 범죄 유무의 분석에서는 범죄자들이 일반인들보다 유해음주, 의존음주, 종합음주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2. 범죄행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수입, 교육수준, 종교, 직업, 문제음주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3.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범죄행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관련 변인으로는 나이, 회피성, 의존성, 수동공격성, 반사회성 성격이 있는데, 이들이 범죄행위 여부에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4. 범죄행위 여부와 문제음주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나이, 위험음주 및 유해음주가 범죄행위 여부에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5. 범죄행위 여부와 음주동기와의 관련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사교동기, 동조동기, 고양동기, 대응동기가 범죄행위 여부에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6. 범죄행위 여부와 음주 후에 일어나는 음주행동 측정에 관한 분석 결과는 직업 및 사회적 기능 손상, 가족 및 대인 관계 손상, 행동상의 문제가 범죄행위 여부에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7. 범죄행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범죄자들의 유해음주 수준이 일반인에 비해 약 1.4배정도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범죄자들의 성격이 의존성과 수동공격성이 높을 때에는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범죄자들은 음주 후에 직업 및 사회적 손상과 가족 및 대인 관계 손상이 심한 사람일수록 범죄를 범할 경향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8. 범죄자들만을 대상으로 문제음주 척도에 따른 범죄유형을 폭력범죄 집단과 비폭력범죄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폭력범죄 집단군이 비폭력범죄 집단군에 비해 유해음주, 위험음주, 종합음주 수준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종합적으로 문제음주 성향의 분포가 폭력 범죄자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9. 범죄자들만을 대상으로 폭력성 여부에 미치는 각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나이, 직업, 문제음주가 폭력성과 관련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10. 범죄자들만을 대상으로 폭력성 여부와 성격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나이와 피학성 성격이 폭력성 여부와 관련이 있는 예측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11. 범죄의 폭력성 여부와 문제음주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 유해음주가 범죄의 폭력성과 관련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12. 범죄의 폭력성 여부와 음주 후에 일어나는 음주행동 측정에 관한 분석 결과, 행동상의 문제, 가족 및 대인 관계 손상의 경우가 심할수록, 범죄의 폭력성 여부와 관련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관찰되었다. 13. 범죄자들의 폭력범죄 집단과 비폭력범죄 집단간의 폭력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변인을 종합 분석한 결과, 나이가 증가할수록, 위험음주와 유해음주를 하는 경향이 심할수록, 문제음주로 인하여 행동상의 문제가 초래되어 폭력범죄 집단이 비폭력범죄 집단보다 폭력성이 강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Purpose: Nowadays excessive consumption of alcohol of people is considered as one of very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s as well as social problems in Korea. As time goes on, there has been a constant increase in the rate of crime in proportion to consumption of alcoh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offenders'problem drinking, personality, drinking, motives, drinking behaviors, and criminal acts. Materials & Methods: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offenders (N=1.005) in the detention house of Uijeongbu Public Prosecutors Office. The comparative group was collected from among the residents (N=301)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rom December 2001 to July 2002.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ackage. The statistical method was Chi-square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developed by WHO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urate test for identifying problem drinking. A score of 8 or more is suggestive of problem drinking. Alcoholic dependence rate of offenders (88.9%), ordinary people (11.1%). Harmful alcohol rate of offenders (96.7%), ordinary people (3.3%). Hazardous alcohol rate of offenders (78.0%), ordinary people (22.0%).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criminal behavior, criminal behavior was highly correlated with problem drinking (harmful alcohol rate, age) 2. Personal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rinking problems and crime behaviors. Offenders with dependent, avoidable,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 may be more prone to alcohol-related aggression than general people 3. Drinking motives were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rinking problems and crime behaviors. especially, enhancement motives and coping motives influenced upon criminal acts directly through alcohol abuse. Social motives, coping motives, conformity motives, enhancement motive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had an influence on criminal behaviors through alcohol abuse. 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ce between criminal behavior and drinking behavior(injury of family & person to person relationship, injury of vocational & social adaptation, a problem of action) 5. In the comparison of violent and non-viol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iolent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harmful alcohol rate, a problem of action, injury of family & person to person relationship.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problem drinking of offenders is prevalent and serious. the majority of offenders seem to have to an extent personality obstacles and problem drinking. The more they have these, particularly avoidable, dependent,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 problem drinking, the stronger they have the tendency of committing a crime like murder, violent offense, sexual assault, robbery,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educate all criminal offenders about drinking problem prevention through developing Alcohol-related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