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한민국 지역별 날씨와 우울증의 연관성

        엄세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 배경: 우울증은 가장 흔한 정신장애 중 하나로 최근 환자수 및 요양급여비 모두 급증하는 추세이다. 우울증에 있어 개인의 특성과 행동, 사회경제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기존에 보고된 바가 있으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환경적 요인 중 날씨와 우울증의 상관성을 찾는 연구는 아직까지 충분히 시행되지 못하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개인의 특성, 사회경제적 상황, 그리고 환경적 요인으로서 날씨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서 개인 수준 변인에 대한 자료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요인(연령, 성별, 소득, 교육수준, 결혼상태), 건강행태요인(연간 음주 여부, 걷기 실천 여부, 아침식사 여부), 정신건강요인(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이환 상태(고혈압 의사 진단 여부, 당뇨병 의사 진단 여부)의 각 요인별 자료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환경적 요인인 지역 수준 날씨 자료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을 활용하여 2019.1.1부터 2019.12.31일까지 지역별 기온, 강수, 바람, 습도, 일사, 구름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개인 및 날씨 변인들이 우울증 유병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test)을 시행하였다. 개인 수준과 지역 수준의 변인 간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를 그려 각각의 모델 간 area under the curve(AUC) 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우울증과 지역별 여러 날씨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다수준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 중 여성, 낮은 연령, 낮은 소득수준, 낮은 교육수준, 높은 주관적 스트레스, 걷기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고혈압 및 당뇨병 유병자인 경우 우울증 유병의 승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수준 자료인 날씨의 경우 습도는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왔다. 모델 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를 이용한 area under the curve(AUC)값을 비교한 결과 개인적 요인이 환경적에 요인인 날씨에 비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추가적으로 시행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강수량, 습도, 일사량, 전운량이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왔다. 결론: 개인적 요인이 환경적 날씨 요인에 비해 우울증에 더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 경우 다른 개인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징들 중 가장 우울증 유병에 대한 승산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날씨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강수량, 습도와 전운량은 많을수록 우울증 유병의 승산이 낮아지고, 일사량은 많을수록 우울증 유병의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사회건강조사와 연평균 날씨의 비교는 데이터 구조의 한계상 결과 해석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Background: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mental disorders, and both the number of patients and the cost of medical care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There are studie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ituations of depression. However, studies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regional weather are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stud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weather and depression among environmental factors have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ather) for the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Methods: In this study, the data on individual-level variables were used by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It was evaluated using data for each factor; demographic factors (age, sex,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 factors (annual drinking, walking, breakfast), mental health factors (subjective stress level), morbidity (hypertension, diabetes). For regional-level weather data,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temperature, precipitation, wind speed, humidity, solar irradiance and cloudiness by region were used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19, using the Meteorological Agency's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weather variables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To compar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pendent variable between the individual and regional variable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drawn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values between each model were compared. In addition,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various weather factors in each region. Results: Multileve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men, younger age, low-income level, low education level, high subjective stress, not walking, not drinking, not eating breakfast, not having a spouse, hypertension, and diabetes cases showed higher the odds of the depression. In the case of weather, which is a regional level data, the humidity was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value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between models, the personal factor had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than the environmental factor, the weather. In particular, stress was foun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depress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affect depression. In the additional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mount of precipitation, humidity, solar irradiance, and total cloudi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factors have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than environmental weather fac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weather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amount of precipitation, humidity, and total cloudiness, the lower the odds of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amount of solar irradiance, the higher the odds of depress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structure.

      • 음성과 텍스트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자살 위험을 평가하는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신다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서론: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과 자살은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하지만 이를 진단하는 방법은 환자의 주관적인 대답을 바탕으로 진단하는 방법 뿐이다. 그로 인해 환자가 증상을 축소하여 보고하거나 심층적인 면담을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효율적인 개입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울증과 자살을 진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마커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인터뷰 시의 목소리와, 사용하는 단어 등은 임상의가 축적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내리는 임상적 판단에 많이 활용되었던 지표들이다. 최근 목소리의 다양한 지표를 추출하고 발화 단어를 추출하는 기술들이 개발됨에 따라서 우울증과 자살 위험에 따른 목소리의 차이와 발화 단어들의 차이들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인공 지능이 의료계에 접목됨에 따라서 이러한 미세한 차이들을 감지하고 임상적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에서는 아직 피험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고, 약물 등의 다양한 임상적 상황들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계들을 극복하여, 인터뷰 중의 피험자 목소리와 사용된 단어를 기반으로 우울증과 자살 위험군을 평가하는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방법: 우울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을 각각 모집하였고, 모든 피험자에게 간이 국제 신경 정신 인터뷰(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를 시행하여 해당 인터뷰를 녹음하였다. 녹음된 인터뷰 파일 중 피험자가 발화한 구간만을 추출한 뒤, 각 구간에서 목소리의 다양한 지표들과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연구 I에서는 2차 년도까지의 초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군과 경도 우울증군, 주요 우울증군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 II와 III을 통해 최종적으로 모집된 초기 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울증과 자살 위험을 평가하는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결정시스템을 구축해보고자 하였다. 자살 위험은 빈도가 작기 때문에, 자살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II를 통해 음성과 텍스트를 이용하여 정상과 우울증을 구별할 수 있는 평가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그 후 2단계로서 연구 III을 통해 우울증 군 내에서 자살 저위험군과 자살 고위험군을 구분하여 자살 위험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2차 년도까지 모집된 정상군 33명과 경도 우울증군 26명, 주요 우울증군 3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 I의 결과, 세 군을 구별할 수 있는 음성 지표 7개를 발견하였다. 또한 음성 지표를 기반으로 세 군을 평가하는 진단 알고리즘을 다양한 모델을 통해 구축하였고, 다층 퍼셉트론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차 년도까지 최종적으로 모집된 환자는 총 85명이었고, 그 중 자가보고설문지를 누락한 2명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은 학내 게시판과 온라인 광고를 통해 총 105명이 모집되었으며 정신건강의학과 병력이 있는 22명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진행된 연구 II에서는 음성 지표와 텍스트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군과 우울증군을 구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구축하였고, 음성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곡선하면적은 0.806, 텍스트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곡선하면적은 0.905로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어 연구 III의 우울증군 83명을 대상으로 자살 고위험군을 구분하는 인공지능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자살 고위험군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각각 벡 자살사고 척도 기준의 방법과, 간이 국제 신경정신 인터뷰를 통해 분류하는 방법을 통해 구분하는 방법을 모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음성지표를 기반으로 자살 고위험군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의 경우 민감도 0.535가 최대값이었으며, 가장 우수한 성능은 로지스틱 회귀공식을 이용한 모델에서 보인 평균 정확도 0.495였다. 또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자살 위험을 평가한 알고리즘 역시 곡선하면적 0.632에 불과하여, 목소리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자살 고위험군 진단 알고리즘은 임상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운 수준이었다. 하지만 텍스트 데이터와 사회인구학적 정보를 통합하여 구축한 앙상블 모델의 곡선하면적은 0.800으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구조화된 면담에서 피험자의 발화 구간을 통해 음성과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우울증과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 임상의사결정지원 알고리즘을 국내에서는 최초로 구축하였다. 우울증을 진단함에 있어서는 두 데이터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자살 위험을 진단하기에는 부족하였다.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텍스트라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의 진단함에 있어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자살 위험 진단에 있어서도 사회인구학적 정보와 통합된 앙상블모델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상적 활용가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목소리, 텍스트 데이터가 가지는 객관적 진단 가치를 국내 최초로 입증한 연구로서, 디지털 진단 도구라는 정신건강의학과적으로는 새로운 분야로의 도전이다. 향후 해당 분야의 더 다양한 지역, 다양한 환경에서의 데이터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본 내용의 일부는 Shin, D., Cho, W. I., Park, C., Rhee, S. J., Kim, M. J., Lee, H., ... & Ahn, Y. M. (2021). Detection of Minor and Major Depression through Voice as a Biomarker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10(14), 3046. 에 출판 완료된 내용이며, 그 외 내용들은 현재 출판 준비 중임. 주요어 : 우울증, 자살 위험, 목소리, 텍스트, 기계학습,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학 번 : 2018-25300 Introduction: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suicide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and the resulting socio-economic loss is also enormous. However, in diagnosing depression and suicide,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intervene due to a misdiagnosis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report symptoms with reduced symptoms or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because the diagnosis must be made through the patient's subjective answer. In addition, voices and text used by participants in interviews are traditionally known for their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In the past, the voice and the subject's utterance content had to be used for diagnosis based on the clinical experience accumulated by clinicians. As technologies for extracting various indicators of voice and extracting spoken word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differences in voices and differences in spoken words according to the risk of depression and suicide are being revealed. In addition, as machine learning is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it has been able to detect these subtle differences and help make decision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subjects is not yet sufficient and consideration of various clinical situations such as drug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existing limitations and build an AI-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evaluates depression and suicide risk groups based on the subject's voice and words used during the interview. Method: A patient group complaining of depressive symptoms and a normal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respectively, and a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performed on all subjects and the interview was recorded. After extracting only the section uttered by the subject from among the recorded interview files, various indicators of voice and text data were extracted from each section. In Study I, the initial data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normal group, the mild depression group, and the major depression group. In Study II, the final initial evaluation data was used to identify voice indicators that can distinguish normal and depression, and a diagnostic algorithm using text was constructed. In Study III, an algorithm for diagnosing the high-risk group for suicide was established by defining the high-risk group for depression through the Beck’s suicide ideation scale and the suicide-related module of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Results: In Study I, 7 voice and speech indicators that can distinguish 33 normal group, 26 mild depression group, and 34 major depression group were extracted. When the accuracy of various models was confirmed based on the voice and speech feat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ultilayer perceptron was the best. In Study II, the speech features and text data of 83 normal and 83 depressed patients were analyz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each was 0.806 and 0.905. In Study III, 83 people in the depression group were compared with both the Beck’s suicide ideation scale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 through a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However, in the case of the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suicide high risk group based on voice, the maximum sensitivity was 0.535, and the best performance was the average accuracy of 0.495 in the model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formula. On the other hand, the algorithm for predicting suicide risk based on text also had an area under the curve of only 0.632, but the ensemble model built by integrating text data an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was able to confirm the diagnostic usefulness with an area under the curve of 0.800.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d an algorithm for diagnosing depression and suicide risk by extracting voice and speech features and text data from the subject's utterance section in a structured interview. Both data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diagnosing depression, but insufficient for diagnosing suicide risk. In the case of text data,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as data obtain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when it was integrated with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t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predicted by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lone, showing utility value.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South Korea to prove the objective diagnostic value of voice and text data, and it is a challenge to a new field of psychiatry as a digital objective diagnostic tool.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data from more diverse regions and environments in the field. Keywords : depression, suicide risk, voice, text analysis, machine learning,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Student Number : 2018-25300

      • 우울증 환자의 색 선호도와 색채 감성에 관한 연구

        이지아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의 오감 중 받아들이는 정보의 양을 볼 때 약 87%를 차지하는 시각은 인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가장 큰 자극은 색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색채와 우리의 생활은 결코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색채의 응용은 의학뿐만 아니라 산업, 경제, 군사, 농업, 교통에서 먹고 입고 자는 의식주의 모든 면에 이르기까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대의 조류에 맞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감성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인과는 다른 우울증 환자들의 선호색, 색채 감성구조를 밝히고 이를 컬러테라피에 활용함으로써, 우울증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우울증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울증 환자 색채 감성을 조사함에 있어서 오스굿의 의미분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SD)을 이용하였다. SD설문의 감성 형용사는 선행연구에 나타난 감성어휘를 바탕으로 색채 감성 연구팀의 3차 분석 과정을 거쳐 도출된 총 10쌍의 어휘로 구성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색채는 Munsell체계와 ISCC-NBS 색명법, 일본 색채디자인연구소(NCD)체계를 기반으로 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I.R.I Hue & Tone 120체계에서 대표색 12가지 색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체적으로 만 20세 이상 65세 이하의 남, 여 성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군은 서울 소재 A 정신과에서 BDI점수 16점 이상인자로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외래, 입원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BDI점수 15점 이하의 정신 건강한 상태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가능한 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환자가 가장 선호하는 색은 노란색(33.3%)이었고, 일반인의 경우에는 연두색(27.5%)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일반인과 우울증 환자의 색채 감성을 분석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우울증 환자의 경우 일반인보다 색채에 대해 부정적인 감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환자가 일반인보다는 낮으나 난색계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한색계열에 대해서 일반인 보다 더욱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특징이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증 환자는 난색계열 중에서도 빨간색에 대해 일반인보다 더 긴장되고 답답한 부정적인 색으로 인지하였고, 한색 계열 중에서 파랑색, 남색에 대해 집중이 잘 되는 색으로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부분도 나타났다. 또한 검은색에 대해 일반인, 우울증 환자 모두 부정적인 인지를 하는 경향이 강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울증 환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무가치하고 흥미를 나타내지 않지만 색채는 작은 자극으로도 그들의 감성을 긍정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인과는 다른 색채감성의 차이를 알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한다면 우울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우울증 완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vision forms about 87% of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ve senses of human, influencing human the most. Especially, color is considered the greatest stimulant of the vision. There is an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our life. The application of colors is closely related to almost everything, from medicine, industry, economy, military, agriculture, traffic to even all aspect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lors, to clarify the preferred colors and color sensibility structure of depressed patients based on an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Moreover,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practical use of color therapy to improve the patients’quality of life. The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lor sensibility of depressed patients. Sensitivity adjectives of the SD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10 pairs of words deducted from 3 stage-analysis done by the color sensibility team, based on those appearing in previous studies. Colors presented in the study were organized with 12 main colors of the I.R.I Hue & Tone 120 syste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Munsell system, ISCC-NBS color nomenclature, and Nippon Color & Design Institute(NCD) system of Japan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en and women generally aged between 20 and 65 years. 51 outpatients and hospitalized patients diagnosed with depression by a psychiatrist at A Psychiatric Hospital in Seoul with a BDI score of 16 or more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51 healthy people with a BDI score of 15 or less, and with a healthy mental state being able to perform a normal daily and social life.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olor most preferred by depressed patients was yellow(33.3%), followed by green(13.7%) and black(11.8%). Color preference of healthy subjects was the highest in yellow-green(27.5%), followed by orange(15.7%), yellow(13.7%), and red(11.8%). Second, the analysis of color sensibility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showed that depressed patients assessed most colors more negatively than healthy subjects did. Although depressed patients did have some positive reactions towards warm colors, it was still generally more negative assessment than healthy subjects. Depressed patients also reported to have more negative reactions towards cold colors. Nonetheless, most depressed patients did recognize red among the warm colors as a tensional and anxiety inducing color. In blue and navy among the cold colors, they did find some positive attributes such as, an increased ability to concentrate. And it was found that depressed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both sensed black to be strongly negat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lthough depressed patients generally lack interests in things, color can be used as a stimulant to promote more positive sensibility. Therefore, knowing the difference of color sensibility from healthy people and using this woul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elieve the depression of these patients. Key words : color preference, color sensibility, depressed patients, color therapy,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D)

      • 우울증에 대한 불교적 심리 치료 방안 연구

        장지호 동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se days, almost everyone suffer from melancholia that we even call present-day the era of melancholia. Our contemporaries feel depressed because of various reasons, and it could lead them to suicide. Thus, melancholia is becoming really serious problem, individually and socially. Then, to deal with this problem, what are Buddhists doing? Buddhism started from down-to-earth question, dealing with human agony. It pursue perfect world, the Buddhist Elysium, with moksha, which is individual being free from every restrictions. Based on this, Buddhism can suggest realistic solution and prevention to people with melancholia. Melancholia is common disorder that it is called as the disease of 21stcentury.Peoplewithmelancholiafeelsdepressedformanyreasonsduringdailylife,andthesymptomsarevarious. Causes of melancholia are 1) genetic factor, 2) neural and biochemical factor, 3) psychosocial factor, and 4) physical disorder and drug, and et cetera. 1) Genetic factor indicates that genetic factors cause melancholia. 2) Neural and biochemical factors indicate that deficiency or surplus of neural substances such as catecholamine or indolamine causes melancholia. 3) Psychosocial factor indicates that stress with shock or loss brings melancholia. Symptoms of melancholia are also diverse, 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mainly three groups: 1) emotional symptom, 2) cognitive symptom, and 3) physical symptom. In case of 1) emotional symptom, melancholia is basically emotional disorder, with continuous depression, specifically unhappiness, melancholy, sadness, loneliness, emptiness, hopelessness, and guilty conscience. In case of 2) cognitive symptom, the subject has very low self-worth and think of himself as incompetent and inferior person. So he blames everything on himself, and eventually feels guilty. Those symptoms accompany with 3) physical symptom at all cost. They lose appetite and suffer from insomnia, so they have high possibility of flu, menstrual irregularity, fatigue, and et cetera. There are many types of melancholia: 1) dysthymic disorder, 2) bipolar depression, 3) et cetera (baby blues, seasonal affective disorder, masked depression, teenage depression, and climacterium depression) Thus, modern medical science uses drug, cognitive treatment, and behavior modification to deal with the disorder. To go further, we Buddhists searched for other counterplans. First, we can graft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into cognitive treatment. Here, cognition means that behavior and sentiment of individuals depend on attitude of individuals. We can find connection with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individual`s mind depends on his experience. If this is introduced to the treatment, patients may realize that his knowledge is imperfect and see the things as the way they are. Also, patients would be more hopeful at changing themselves, and it will be positive to the sufferers. Secondly, we suggest asceticism to ease the symptoms. Asceticism brings positive results in not only melancholia but in every part of daily life. It gives stability and happiness in physical and emotional side. I suggested mercy asceticism, pray, vipassana, forgiving, and meditation to relax. In mercy asceticism, denying (recognizing that I will decay someday) and mercy (loving every creature without any discrimination) will lead to elimination of rage, jealousy, and greed. Praying for your sin at previous and present life will make you more positive. Vipassana is so effective in both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that Buddha said that is the only way to conquest sadness and enter nirvana. By being aware of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you will be more happy and relaxed. Forgiving requires changing position of me and others. It is applied to mount up mercy. You will start from forgiving others to forgiving yourself. In case of Meditation, meditation in Buddhism only emphasizes mental side. It requires minute observation in every phenomena, whether you like it or not. By doing this, you can realize your emotion and sentiment without distortion, and realize importance of impassivity, agony, and ecstasy. Indeed, the effective meditations can lead to not only individuals` mental health but to ethical and social health. In conclusion, if Buddhist theory and asceticism be included in treatment for melancholia, it would be fully effective.

      • 우울증 유형에 따른 대상관계 특성

        이정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relations of depression patients by the type of depression after classifying depression patients into subtypes. A cluster analysis was made to confirm whether the subtypes of depression classified in this study would be identical to those in earlier studie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relations of the patients of the subtypes, their dominant interpersonal concerns and interpersonal behaviors were checked. Depression is concurrent with lots of dysfunction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inding out the object relations of depression patients makes it possible to let them know how they perceive themselves and others and how their perception affects their relations with people around them. As object relations are under the influence of both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TAT that is one of the typical projective tests to reveal the dynamic asp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conducted, and SCORS-Q that was to evaluate object relation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object relations characteristics of the depression patients from various angles in structural, thematic and behavioral dimension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Are depression patients classified into subtype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object relations in the structur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depression in the SCORS-Q?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object relations in the thematic and behavior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depression in the SCORS-Q?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in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at a hospital located in Seoul between January 2008 and October 2010. Three selected raters rated the TAT data by utilizing the SCORS-Q in the structural, thematic and behavioral dimensions, and the depression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subtypes based on the data to grasp their object relations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 analysis was made to see whether the depression patients could be categorized into subtypes or not by selecting the self-directedness and reward dependence of the TCI as cluster variables. As a result, they were divided into two. One was an autonomy-intimacy type that scored low in both of self-directedness and reward dependence, and the other was an avoidance-rejection type that scored high in both of the two. The avoidance-rejection type was prevalent among the men who were in their 20s, and those men suffered severe psychological disorder and depression and lagged behind in terms of adjustment. Second, ANOVA was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he eight components of the structural dimension of the SCORS-Q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object relations according to their subtype of depression. The patients of the avoidance-rejection type scored lower in affective quality of representations, emotional investment in relationships, emotional investment in values and moral standards, experience and management of aggressive impulses and self-esteem. It indicated that the patients of the avoidance-rejection type relatively fell behind the others of the autonomy-intimacy type in object relations, and that the former was more pathological. Thir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50 thematic items of the thematic and behavioral dimension of the SCORS-Q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them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ir subtype of depression. As a result, it's found that although positive themes such as achievement, autonomy and affiliation were found in the patients of the avoidance-rejection type, more dysfunctional themes were found in them like aggression, resignation, loss and suicide, which appeared when their needs for achievement, autonomy or affiliation weren't satisfied. Besides, each subtype's typical cases were selecte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mes in each case in detail to find out common denominators and differences among the subtyp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rist, the depression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subtypes to look for differences in their object rela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mes instead of merely viewing them as the same group. And a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ategorize the patients instead of using existing questionnaires that already drew a clear line among the subtypes. Second,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ome clinical suggestions on how to understand the way of relationship building among depressed clients and their expectations for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ir subtype of depression and how to relieve depression symptoms and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symptoms by correcting their negative interpersonal cognition and boosting their interpersonal interaction. Third, existing studies attempted to evaluate object relations by conducting self-administered surveys, but projective tests such as TAT can be more accurate since object relations are one of unconscious elements that are based on one's initial experiences. In this study, just the depression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were examined,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n't large enough to represent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When the depression patients were selected to acquire three years of psychological test data, the number of the selected patients was smaller than expected. Those who had depression disorder added by psychotic symptoms and who had bipolar disorder were ruled out,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n't consequently large enough although all the cases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of self-reported survey and TAT test were gathered.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 환자를 하위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에 따라 대상관계 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군집분석을 통해 기존의 연구들과 같은 하위유형으로 구분이 되는지 확인하고, 구분된 하위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대상관계 특성과 대인관계의 주된 관심과 주제를 확인하였다. 우울증은 대인관계 과정에서 많은 역기능을 나타내는데, 우울증 환자들의 대상관계를 파악하므로 그들이 대인관계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해서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이것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게 도와준다. 대상관계는 의식적인 부분과 무의식적인 부분의 영향을 모두 받기 때문에, 대인관계의 역동적 측면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투사검사 TAT를 실시하고, 대상관계를 평가하는 척도 SCORS-Q를 활용하여 우울증 환자들의 대상관계 특성을 구조적인 차원과 주제 차원에서 다양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울증 환자들이 하위유형으로 구분이 되는가? 2. 우울증 하위유형에 따라 SCORS-Q의 구조적인 차원에서 대상관계의 차이가 나타나는가? 3. 우울증 하위유형에 따라 SCORS-Q의 주제와 행동차원에서 대인관계 주제와 관심의 차이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서울 소재 OO병원 신경정신과에 내원 또는 입원하여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명의 평정자들은 전체 43명의 TAT 자료에 대해 SCORS-Q의 구조적인 차원과 주제와 행동차원에 대한 평정을 실시하고, 평정자료를 수합하여 우울증 환자들을 하위유형으로 구분하여 대상관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환자들이 하위유형으로 구분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TCI의 자율성과 사회적 민감성을 군집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과 사회적 민감성이 모두 낮은 ‘자율-친밀형’과 자율성과 사회적 민감성이 모두 높은 ‘회피-거부형’으로 구분되었다. 회피-거부형은 20대 남성의 비율이 높고, 심리적 장애와 우울의 수준이 높고, 적응수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증 하위유형에 따라 대상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ORS-Q의 구조적인 차원의 8개 척도를 중심으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회피-거부형의 환자들이 표상에 대한 정서적 어조, 관계에서의 감정적 투자, 가치와 도덕기준에 대한 감정적 투자, 공격성의 경험과 관리, 자존감 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자율-친밀형보다는 상대적으로 회피-거부형 환자들의 대상관계 수준이 더 낮고, 병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증 하위유형에 따라 대인관계 주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SCORS-Q의 주제와 행동 차원의 50개의 주제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다. 회피-거부형의 환자들은 성취, 자율성, 연합의 긍정적인 주제들도 나타나지만, 그러한 욕구가 좌절되었을 때 나타나는 공격성, 체념, 상실, 자살 등과 같은 대인관계의 역기능적인 주제들이 더 많이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사례들을 선정하여 각 사례별 대인관계 주제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하위유형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환자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보지 않고 하위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대상관계와 대인관계 주제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하위유형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지 않고 군집분석을 활용하였다는 점에 있다. 둘째, 하위유형에 따라 우울한 내담자가 관계를 맺는 방식과 관계에서 기대하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대인관계와 관련된 부정적인 인지를 교정하여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문제들을 감소시키므로 우울증상의 완화와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용하여 대상관계를 측정하였는데, 대상관계는 개인의 초기 경험에 근거하는 무의식적 요소이기 때문에 TAT와 같은 투사검사가 더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병원 신경정신과에 내원한 우울증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표본수가 많지 않아 전체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이 부족하므로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될 수 있다. 3년여의 심리검사 자료를 획득하여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기대했던 것보다 환자의 수가 적었으며, 정신증적 증상을 동반한 우울증 환자와 양극성장애 환자들을 제외하고, 자기보고식 검사와 TAT 검사를 모두 실시한 환자들의 사례를 종합하였으나 사례수가 충분하지 않았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송지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중요한 발달시기에 있는 개인의 대인관계 기능과 학업성취에 악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성장을 저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만성화 되거나 다른 정신 장애로 발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살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과 함께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술심리치료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들이 미술매체를 매개로 하여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고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켜주며 창조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미술치료 초기 훈련과정에 있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우울증 청소년과 라포를 형성하고 미술작업을 통해 내면에 누적되어 있는 정서적 고통이나 어려움을 표현하고 완화되도록 이끄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현장실습을 앞둔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실습체험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문제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의 체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체험한 것들을 탐색하고, 그들의 경험을 전달하며 그들이 각자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를 이해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 미술치료 실습 경험이 3개월 이상 있는 미술치료학 석사학과정생 1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들을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1990)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본질적 주제 9개와 하위주제 33개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울증 청소년이 마음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지만 난관에 부딪힘>, 초보 실습자인 나의 무능력함을 통감하며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란스러움>, <우울증 청소년을 보면서 올라오는 감정과 나의 문제를 깨달음>, <우울증 청소년을 기다려주고 버텨주는 것은 힘들지만 필요한 시간임을 깨달음>, <진심을 전하는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함>, <미술치료가 지닌 치료적인 힘을 몸소 체험하게 됨>,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현장경험의 필요함을 절실함>, <수퍼비전을 통해 도움을 받고 동기들에게 든든한 지지를 받음>, <미술치료사로 성장하는데 발판이 됨> 이상이다. 본질적 주제와 더불어 현상학인 자료, 글쓰기 등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실습현장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과의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지만 침묵하고 저항하는 청소년 내담자를 보면서 초보 실습생으로서 불안과 혼란을 경험한다. 둘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실습현장에서 우울증 청소년을 향한 역전이를 경험하고 본인의 문제를 깨달음으로써 내담자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우울증 청소년을 기다려주고 견뎌주는 시간이 필요함을 알게 되고, 진심을 다하는 미술치료사의 존재의 중요성을 느끼며 청소년을 지지해주려고 노력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은 조금씩 변화하는 청소년 내담자들을 보며 막연하게 느껴지던 미술치료의 힘을 몸소 경험하게 되고, 미술치료 전공자로 성장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를 진행한 실습생들의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실습생들의 구체적인 이해와 훈련을 돕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실습생들이 정신장애 및 통계 편람(DSM)에 따라 진단된 우울장애 청소년들과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것을 미술을 매개체로 표현하고 탐색하는 것을 체험함으로써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이 가진 특수성과 임상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생으로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 미술치료를 진행한 자를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따라서 실습생으로 겪게 되는 어려움 및 극복 과정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후속연구로는 우울증 진단을 받은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치료 전문가들의 체험연구를 제언한다.

      • 다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인 우울증 치유를 중심으로

        성지은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프로그램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문화인 다도(茶道, Teaism)와 심리학적 이론을 융합하여, 우울증을 앓고 있는 노인들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임상을 위한 예비적 연구를 진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평균 기대수명이 연장되었고 출산율 저하로 인해 인구 노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도시화, 산업화로 사회, 경제적 구조의 변화와 핵가족 형태로의 변화가 급격히 빠른데, 이에 맞추어 사회적인 제반 시설과 복지시스템은 그에 따라가지 못하여 노인들의 소외감과 고독감, 자살 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져 가는 상황이다. 특히 노인 우울증은 불안, 신체 증상, 불면증, 높은 자살률 등의 증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타 연령군과 차이점이 있어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에 앞서 노인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신체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신체의 노화와 노년기의 영양 불균형을 노인 우울증의 신체적인 원인의 주요인으로 꼽았다. 심리학적 측면으로는 첫째,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하였을 때 건강한 애도로써 슬픔을 이겨내지 못하면 우울증이 발생 한다는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의 노년기 발달과업 중 성공적인 ‘자아통합감(Ego Integrity)’을 갖지 못하면 우울증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사회문화적 측면으로는 노인들이 겪는 ‘사회적 이탈’, ‘고독과 독거노인’ 그리고 ‘여가활동의 다양성 결여’를 노인 우울증의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노인 우울증의 원인을 바탕으로 ‘다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선 노인에게 유용한 차의 성분과 효능을 살펴보며 차의 양생적인 측면의 효용성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측면의 효용성에서는 ‘다도추모의식’을 통해 고인들 떠나보내며 성공적인 애도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오심지차(吾心之茶)’를 위시한 다도의 수양적인 의미를 깨달음으로써 자아통합의 기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급 여가활동으로서의 ‘차겨루기 놀이’를 제안하며 ‘행복 게이미피게이션(Gamification)’을 도입하였고, 본 프로그램이 지니는 다회(茶會)의 성격을 통해 노인들의 소통을 돕고 예비차인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노인 우울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의 메타분석 결과를 수용하여, 프로그램을 횟수를 10회기, 주 1회, 인원수는 20명 이내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 회기에서는 구성원 소개와 별칭짓기를 하고 촉진자의 다도시연을 통해 집단원이 가질 수 있는 집단 상담에 대한 심리적 불안을 낮추고 편안한 분위기를 유도한다. 3회~9회까지는 호흡명상과 생명다도(生命茶道)배우기, 차의 수양론적 측면, 차의 색향미가 갖는 치유적 측면 체험, 찻잔 만들기를 통한 예술치료의 응용, 다도를 이용한 추모의식, 인생 회상을 위한 시간, 우아하고 고상한 전통놀이인 ‘6대 다류 맞추기‘ 차겨루기 놀이를 한차례 갖는다. 마지막 10회기에는 감회를 나누며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변화된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 긴 세월을 노인으로 살아야 할 시대에 도래하였음을 피력하고, 우리에게 친숙한 차(茶)를 통해 노인의 정신건강, 특히 우울증으로부터의 치유를 돕는 프로그램을 심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lderly suffering from depression, by fusion of the tea ceremony which 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sychological theories, and to conduct preliminary research for actual clinical practice. In modern society,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been extend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the population aging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dditionally, while there are rapid change in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and changes to the nuclear family form because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frastructure and welfare system are not keeping up with the speed, resulting in more serious problems for the elderly such as alienation, loneliness and suicide. In particular, depression in the elderly differs from the other age groups in that symptoms such as anxiety, physical symptoms, insomnia and high suicide rate are prominent,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ir mental health is emerging. Prior to the composition of this program, the cause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ere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Physical aging and nutritional imbalance in old age were cited as the main physical causes. As for the psychological aspects, firstly,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Sigmund Freud’s theory that depression occurs if one cannot overcome grief with mourning healthily. Secondly, according to Erik Homburger Erikson’s developmental task in old age, the depression occurs if one does not have ‘Ego Integrity’. In terms of sociocultural aspects, the causes of depression were analyzed as the social departures experienced by the elderly, loneliness, living alone and the lack of diversity in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cause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nalyzed above, ‘Tea ceremon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in this paper. Initially looking at the ingredients and efficacy of tea useful for the elderly, attention was paid to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ea. Then in the aspect of psychological effectiveness, the ‘Tea ceremony commemoration service’ helps the bereaved to mourn the deceased properly, and enabled to acquire an opportunity for self-integration by realizing the cultivating meaning of the tea ceremony including ‘The tea in my mind(吾心之茶)’. Finally ‘Happy Gamification’ was introduced suggesting ‘Tea competition game’ as an advanced leisure activity. It also helped the elderly to communicate and encouraged them to have a sense of community as a preliminary tea owner through the nature of the tea party of this program. Furthermore, by accepting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f existing studie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gram be composed of 10 sessions, once a week, with less than 20 members. In the 1st session they do introduction and give nicknames for the members and through tea demonstrations by the facilitator the group members may be able to lower their psychological anxiety they might have had, and get induced comfortable atmosphere. From the 3rd to 9th episodes, they will learn breathing meditation and relieving tea ceremony, the self cultivational aspect of tea, the healing aspect of tea taste and aroma, the application of art therapy through teacup making, the memorial service with tea ceremony, and ea competition(guessing tea types) are included. And then they have 1 time to reminisce about life, share feelings and have time to reflect on their changed self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in the last 10th ses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we have arrived in an era where we have to live longer as elderly than in any previous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program to help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especially treating depression through tea which is familiar to us.

      • Depression and Risk of Acute Coronary Syndrome According to Alcohol Intake and Smoking

        조영주 전남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Introduction: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depression, alcohol intake, and smoking, and their combined influence on the risk of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 predominant manifest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By investigating the potential synergistic effects of these factors, we seek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modifiable risk factors for ACS,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targeted preventive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articularly in individuals with depression. Methods: We used the Korean Genome Epidemiology Study (KoGES), which conducted in two cities from 2001. The primary exposure in our study was the presence of depression, as measured by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at the start of the study, and the primary outcome was the occurrence of ACS observed in the biennial follow-up surveys. To estimate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incidence of ACS, we employed a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is to calculate the Hazard ratio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Additionally, we conducted interaction and joint effect analyses to explore the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habits including alcohol intake and smoking in relation to the incidence of ACS. Results: During 16 years of follow-up, we documented 88 cases of new-onset ACS (2.2 cases per 1000 person-years). The severity of depression has no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AC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isk of ACS according to alcohol intake and smoking status. In the analysis for smoking and depression, the multivariate HRs of ACS were 1.26 (95% CI, 0.67-2.36) for non-smoking and depression, .1.52 (95% CI, 0.83-2.82) for smoking and non-depression, and 2.79 (95% CI, 1.21-6.41) for smoking and depression compared with non-smoking and non-depression. Conclusion: Our study reveals the combined impact of depression and smoking on ACS risk, emphasiz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concurrent interventions addressing both depression and smoking for cardiovascular health. 서 론: 이 연구는 우울증, 음주, 흡연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그들이 심장혈관 질환의 주요한 형태인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ACS) 위험에 미치는 결합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요인들의 잠재적인 시너지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에 대한 수정 가능한 위험 요인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특히 우울증을 가진 개인에서 표적 예방 전략과 개입의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 방법: 우리는 2001년 두 도시에서 실시된 한국인 유전자 및 유전체 연구 (KoGES)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노출변수는 연구 시작 시 벡 우울증 지수 (BDI) 점수로 측정된 우울증의 존재였으며, 주요 결과는 2년마다의 후속 조사에서 관찰된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발병이었다. 우울증이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우리는 위험비와 95% 신뢰구간을 계산하기 위해 Cox 비례 위험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우울증과 음주 및 흡연과 같은 건강 관련 습관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상호작용 및 결합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6년의 추적 기간 동안, 우리는 신규 발병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88건 (1000인당 2.2건)을 기록하였다. 우울증의 심각도는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발생 위험과 관련이 없었으며, 음주와 흡연 상태에 따른 우울증의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발생 위험에 대한 영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흡연과 우울증에 대한 분석에서,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다변량 위험비는 비흡연 및 비우울증과 비교하여, 비흡연 및 우울증의 경우 1.26 (95% CI, 0.67-2.36), 흡연 및 비우울증의 경우 1.52 (95% CI, 0.83-2.82), 흡연 및 우울증의 경우 2.79 (95% CI, 1.21-6.41)이었다. 결 론: 우리의 연구는 우울증과 흡연의 결합된 영향에 대해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발생 위험을 보여주며, 우울증과 흡연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적인 개입이 심장혈관의 건강에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이익을 강조한다.

      • 우울증 병사의 심리치료에 관한 연구 : 대상관계 이론과 기독교 영성적 접근

        박형곤 한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군부대 부적응 도움 · 배려 병사들 중에0 우울증을 앓는 병사중 자살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 그들은 군대내의 폭력과 따돌림 속에 노출되어 있으며, 초, 중, 고등학교 시절에 집단폭행과 왕따를 당했던 이들이 군대에 입대를 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연고지 복무제 근무로 인해 학창시절을 함께 보내고 주위에 멀지않은 곳에 살던 친구들이 입대하게 되는 상황이므로 그들이 과거에 왕따를 당하고 폭력을 당했다는 사실을 통해 그 아픈 기억들이 반복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횡성, 홍천 지역에 포병대대 및 연대 본부에서 근무하는 도움 · 배려로 분류되어져 있는 병사 다섯 명을 선택하여 그들이 군생활간 어려움을 호소하는 원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들 대부분이 게임중독으로 군 입대전까지 생활하였고, 타인과 대인관계를 맺지 못하는 관계능력의 결여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논문을 통해 폭력과 우울증이 깊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대상관계치료적 관점으로 대표적인 학자들의 대상관계 이론과 최근 우울증 연구인 영성지향 심리치료 이론과 그들의 어린 시절의 자라온 가족사와 성장환경 및 상담결과를 중심으로 연구해 보고자한다.

      • 부모 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 우울증 해소를 위한 목회상담 방법론 연구

        김영권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울증은 누구나 감기에 걸릴 수 있듯이 누구에게나 찾아 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울증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으면 제대로 된 상담을 할 수 없다. 기독교인들 중에 어떤 사람은 우울증을 죄의 결과나 신앙이 없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오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울증은 신앙과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특히 질풍노도의 시기라 불리는 청소년들에는 성인보다 자주 그리고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청소년기는 기분의 변화가 심하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기 때문에 작은 충격이나 상처로 인해 쉽게 우울증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모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이란 누구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부모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들의 우울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어떤 우울 감정을 갖고 있으며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자하는 내담자는 어떤 감정이 많이 나타나고 우울증상에서도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떤 부분에서 그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 우울증이 부모역할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봄으로서 부모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해 볼 것이며 내담자와의 좋은 관계를 잘 맺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는 연결고리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비슷한 사례를 성경에서 찾아보고 목회 상담적 접근 방법을 찾아 어떻게 부모부재역할 청소년이 우울을 치유했는지 살펴보고 그 관점으로 목회 상담적 접근을 시도해 봄으로써 어떤 도움을 받고 또한 어떤 열매를 맺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부모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 우울증을 해소하는 방법 중에 목회적 접근과 일반상담 기법을 통합한 목회 상담적 접근을 시도해 봄으로서 두 가지 방법이 가진 장점들을 잘 사용하여 우울증을 호소하는 부모역할 부재에 기인한 청소년에게 우울증 해소에 좋은 모델일 될 것이라 기대하며 본 논문을 기록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부모역할 부재청소년들의 우울증을 해소하기 위한 목회 상담적 방법론을 연구하여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잃은 청소년들에게 길잡이가 되어주고 삶을 변화시키고 더 나아가 기독교인으로서 건강한 정신을 가진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