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 :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공희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에 참여하였으며,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65세 이상의 남성 노인 585명과 여성 노인 460명이다. 주요 분석 변수는 만성질환 수, 배우자 관계 만족도, 우울감이며, 기존의 연구에서 노년기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현재 흡연 여부 그리고 배우자의 만성질환 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변수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t검증, 카이제곱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남녀 노인 각각의 만성질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 노인의 경우 배우자 관계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만성질환은 우울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지만, 배우자 관계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만성질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성 노인의 경우 우울감에 대한 만성질환과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주효과는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가 신체ㆍ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기를 영위할 수 있도록 배우자라는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모두가 만족스러운 노년기 부부관계를 향유할 수 있도록 대상과 목적에 맞춘 부부생활 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실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For the analysis, the 6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as utilized. The analytic sample was 585 men and 460 women aged 65 and above who had spouse and at least one child.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used to test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Control variables were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subjective health status, cognitive function, current smoking status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s of spouse. Using SPSS WIN 25.0,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o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by gender. Additionally, I calculated conditional effects to examine each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mong elderly men. In the low marital satisfaction group, those with more chronic diseas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But,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high marital satisfaction group.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among elderly women. But, the effects of chronic disease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lanned in terms of their target and purpo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tal relationships. It also suggests that the politic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chronic disease for older adults. Moreover, the gender difference foun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meaningful insight to future research in related fields.

      •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윤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지 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 우울 감소를 위한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생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 2.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자책 반추와 우울 반추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인지과정 중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숙고 반추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김창대(2002)가 개발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4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1단계는 목표수립 단계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과 인지행동치료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S대학교 재학생 총 63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와 스스로 우울감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증진시키는 것을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 구성단계에서는 대학생의 우울 특징과 대학생 우울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 등을 검토하여 인지적 내용 측면과 더불어 주의, 지각, 기억, 판단의 인지적 과정을 중점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대학생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치료구성요인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 심리교육 및 행동 활성화, 선택적 주의와 지각의 차이, 반추사고 탈중심화, 재귀인, 생각과 감정 검증하기, 문제해결 및 자기자비를 치료구성 요인으로 4주간, 주 2회, 한 회기 90분씩,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3단계의 예비연구와 프로그램 수정 단계에서는 S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재학생 총 6명을 대상으로 2일간, 1시간씩, 총 4회기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예비 프로그램은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은 인지과정을 중심으로 선택적 주의와 지각의 차이, 반추사고 탈중심화, 재귀인, 생각과 감정 검증하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예비 프로그램 실시 후 참여자들이 기술한 프로그램 참여 소감 및 개선점에 대한 피드백 내용과 전공교수 1인과 동료 연구원 5인의 자문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마지막 프로그램의 실시 단계에서는 예비연구를 통해 수정 및 보완된 최종 프로그램을 비대면 방식으로 4주 동안 주 2회, 한 회기 90분씩, 총 8회기가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주제는 오리엔테이션 및 구조화, 심리교육 및 행동 활성화, 사고과정의 이해(주의편향과 인지도식, 반추사고 탈중심화, 재귀인, 생각과 감정 검증, 문제해결훈련, 대처 반응 계획하기, 자기자비)로 각 회기별 주제와 목표에 따라 활동 내용과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순서 등은 청소년상담학과 전공교수와 동료 연구원들의 평가와 예비연구 과정에서 더 정교화 되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울감 척도에서 경도 우울 점수범위인 10점 이상을 보고하되, 자살 사고를 가지고 있지 않는 남녀 대학생 16명의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의 참여 형태 선호에 따라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7명은 실험집단으로 배정되었고, 사전사후 검사에만 참여하기를 원하는 참여자 9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한 회기 90분, 한 주에 2회기씩 실시하여 총 8회기를 4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대상자들에게 우울감 척도(BDI)와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RRS)를 활용하여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만족도 조사와 경험보고서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한 동질성 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Wilcoxon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하였고,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보고서를 질적 분석하였다.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한 동질성 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우울감, 자책반추, 우울반추, 숙고반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 대해 Wilcoxon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의 경우, 우울감과 자책반추에서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숙고반추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통제 집단의 경우, 우울감과 자책반추에서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고 내용 교정을 중심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대안적 모델로써, 인지과정을 강조한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대학생 우울감 감소에 실제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대학생 우울에 대한 치료적 모델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성별 및 운동빈도에 따른 서울·경기지역 대학생의 우울감과 건강관련행태 및 식습관 비교

        김지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일부 대학생 566명(남학생 269명, 여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성별 및 운동빈도에 따라 비운동군, 주 1~2회 운동군, 주 3회 이상 운동군으로 분류하여 우울감과 건강관련행태 및 식습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건강생활습관, 건강관심도, 식행동, 식습관, 체중조절행태, 우울감으로 구성되었으며 SPSS(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학생 23.2세, 여학생 22.0세이며, BMI는 비운동군 21.9kg/m2,주 1~2회 운동군 22.7kg/m2,주 3회 운동군 22.9kg/m2이었다. 건강관련행태 조사 결과 1일 운동시간(p<0.001), 영양 보충제의 섭취(스포츠음료, 단백질음료&파우더, 비타민 A,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C, 철분제, 칼슘제)는 주 3회 이상 운동군이 비운동군보다 많았으며, 음주빈도는 비운동군이 주 3회 운동군보다 많았다(p<0.001). 주관적인 건강인지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주 3회 이상 운동군이 비운동군보다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건강관심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p<0.05), 주 3회 이상 운동군이 비운동군보다 높았다(p<0.001). 식행동을 조사한 결과 주 3회 이상 운동군은 1일 식사횟수(p<0.01), 아침식사(p<0.01), 규칙적인 식사(p<0.001)가 많았으며, 하루 중 비중을 둔 식사는 점심식사(p<0.01)가 많았다. 비운동군은 편식(p<0.001), 과식(p<0.01)이 많았으며, 하루 중 비중을 둔 식사는 저녁식사(p<0.01)가 많았다. 식습관은 운동빈도가 많을수록 육류(p<0.01), 과일(p<0.01), 유제품(p<0.01), 해조류(p<0.01), 물(p<0.001)의 섭취빈도가 많았다. 우울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p<0.001), 주 3회 이상 운동군은 비운동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았다(p<0.01). 체중조절 시 가장 효과를 본 방법은 남학생은 운동(p<0.001)이었으며, 여학생은 식사량감소(p<0.001), 한약 복용(p<0.05), 의사처방을 받아서 살 빼는 약 복용(p<0.01)이었다. 주 3회 이상 운동군은 운동(p<0.01)이었으며 비운동군은 24시간이상 단식(p<0.05)이었다. BMI, 건강관심도, 우울감, 요인1(곡류, 육류, 채소, 과일, 유제품, 해조류, 물의 섭취), 요인2(기름진 음식, 단 음식, 탄산음료, 가공식품, 짜고 매운 음식, 카페인의 섭취)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비운동군에서 건강관심도는 요인 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우울감은 요인 2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요인 1는 요인 2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01)를 보였다. 주 1~2회 운동군에서 건강관심도는 요인 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5)를 보였으며, 우울감은 요인 2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요인 1은 요인 2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주 3회 이상 운동군에서 BMI는 건강관심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건강관심도는 요인 1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규칙적인 운동을 빈번하게 할수록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고 바람직한 식습관을 유지하며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운동습관, 올바른 식습관 및 우울감의 관리의 복합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들의 우울감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 및 운동 실천 교육 방안을 개발하여 성인기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국가의 지원 대책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dietary behavior, dietary habit,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566 college students (269 males, 297 femal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were divided into no-exercise group, 1~2 times/week exercise group, and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according to sex and exercise status, and analyzed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dietary behavior, dietary habit, and depression through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made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y lifestyle, health interest, dietary behavior, dietary habit, weight control behavior,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3.2 years in males and 22.0 years in females, and the BMI was 21.9 kg/m2in no-exercise group, 22.7 kg/m2in 1~2 times/week exercise group, and 22.9 kg/m2 in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For healthy lifestyle habits, daily exercise time(p<0.001) and nutrition supplement intake (sports drink, protein beverage & powder, vitamin A, vitamin B complex, vitamin C, iron supplement, calcium supplement) were higher in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compared to no-exercise group, and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was higher in no-exercise group compared to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p<0.001).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it was perceived as good in males compared to females,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compared to no-exercise group (p<0.05), and the health interest was higher in females compared to males (p<0.05),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than in no-exercise group (p<0.001). For dietary behaviors, daily meal frequency(p<0.01), breakfast frequency(p<0.01), and meal regularity(p<0.001) were high in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and the important meal was lunch(p<0.01). In no-exercise group, picky-eating(p<0.001) and overeating (p<0.01) were high and the important meal was dinner (p<0.01). Daily food intake frequency was high in meat(p<0.01), fruits(p<0.01), dairy products(p<0.01), seaweed(p<0.01), and water(p<0.001) as the frequency of exercise was high. Depression score was low in males compared to females,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compared to no-exercise group (p<0.01). The effective method of weight control was exercise in males (p<0.001) and decrease of the food amount (p<0.001), Korean herbal medicine (p<0.05), prescribed medication (p<0.01) in females. The effective method of weight control was exercise in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p<0.01) and at least 24-hour fasting in no-exercise group (p<0.05). The correlations among BMI, interest in health, depression, factor 1 (grain, meat, vegetable, fruit, dairy product, seaweed, water intake), and factor 2 (greasy food, sweet food, carbonated beverage, processed food, salty and spicy food, caffeine intake) according to exercise frequency were investigated. In no-exercise group, the health interest and factor 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1), and depression and factor 2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5). Factor 1 and factor 2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01). In 1~2 times/week exercise group, the health interest and factor 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5), and depression and factor 2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5). Factor 1 and factor 2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1). In over 3 times/week exercise group, BMI and the health interes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1), the health interest and factor 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p<0.01). From the above results, students with frequent regular exercise were highly interested in health, maintained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showed lower depression score. Thus, combined intervention including exercise habit, proper dietary habit and depression management will be necessary fo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It is also considered that national support measure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exercise practice education plans to reduce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which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throughout the adulthood.

      •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우울감에 대한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임의 선정된 34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5, 6, 7세 취학 전 아동을 둔 취업모 313명이었다. 측정도구로 우울감은 전겸구 등(2001)이 번안한 미국정신보건연구원(1971)의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을 사용하였으며, 양육 스트레스는 신숙재(1997)가 번안한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 Short Form을 사용하였다. 자기지각은 김정희(1987)가 제작한 자기지각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 중 남편의 협력은 신숙재(1997)가 번안한 Abidin(1988)의 Parenting Alliance Inventory(PAI) 하위척도인 Teamwork를 사용하였고, 주위의 도움은 신숙재(1997)가 수정한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다.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취업모의 우울감이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와 상관이 있는지를 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취업모 우울감에 대한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첫째, 취업모의 전체적인 양육 스트레스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부모영역인 디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지각되었다. 취업모는 보통 수준으로 자기지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인 남편의 협력과 주위의 도움은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와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는 우울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자기지각 및 남편의 협력과 주위의 도움은 우울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취업모의 우울감을 설명하는 변인은 양육 스트레스, 주위의 도움 순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취업모는 양육 스트레스와 부정적 자기지각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낮을 때 우울감이 높았으며, 취업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양육 스트레스, 주위의 도움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self-percep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ir depression.The subjects were 313 employed mothers who had preschoolers aged from five to seve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NIMH, 1971),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Abidin, 1990), Self-Perception Scale(Kim, 1987), Teamwork of Parenting Alliance Inventory(PAI; Abidin, 1988) and Social Support Scale(Park, 1985).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relatively low. However, distress was perceived to be very high when compared to other sub variables of parenting stress. The self-perception of employed mothers was found to be average. The level of their husbands' cooperation and help from the acquaintance were found to be high. The Depression level appeared to be low.Second, parenting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pression, where as self-perception, their husbands' cooperation and help from the acquainta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it.Third,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depression of employed mothers’ were parenting stress and lack of help from the acquaintance.In conclusion, employed mothers’depression increased due to high parenting stress, negative self-perception, and low social support. Their depression was influentially affected by in the order of parenting stress and help from the acquaintance.

      • 우리나라 정상체중 성인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형인식왜곡과 우울감의 연관성 분석

        박인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 사회에는 산업, 미디어 등의 영향으로 이상적 체형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사람들로 하여금 이 기준을 쫓도록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존재한다. 체형의 이상적 기준으로 인해 자신의 체형을 실제와 다르게 과소 또는 과대 인식하는 체형인식왜곡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상적 기준과 실제 자신의 불일치는 우울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 이론을 이용하여 이상적 자기와 실제적 자기의 불일치인 체형인식왜곡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 2016, 2018의 3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은 체질량지수가 정상범주에 속하는 성인 남성 3,310명, 여성 4,086명을 선정하였다. 체형인식왜곡은 주관적 체형인식 변수를 이용하였고, 마른 편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과소인식, 비만인 편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과대인식의 체형인식왜곡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의 체형인식왜곡 실태 확인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체형인식왜곡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성별, 연령층을 층화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상체중 성인에게서도 체형인식왜곡이 존재하며, 체형인식왜곡과 우울감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성인남성은 체형 과대인식, 여성은 과소인식 경향을 보였으며, 청년층에서 체형인식왜곡이 가장 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라 체형인식왜곡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자신의 체형을 과소인식, 여성은 과대인식하는 경우 일치인식하는 경우보다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층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청년남성과 노년남성은 과소인식군이 일치인식군보다 우울하였으며, 중년남성은 체형인식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여성은 청년, 중년, 노년층 모두 과대인식군이 일치인식군보다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 사회의 우울 감소를 위하여 체형인식왜곡이 중재가 필요한 분야임을 인지하고, 이상적 체형 기준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 개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을 통해 체형인식왜곡을 감소시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憂鬱感.自我 正體感.社會的 問題 解決間의 關係

        주수현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첫째, 우울감과 수준별, 영역별 자아 정체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우울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아 정체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우울감, 자아 정체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탐색하려고 하였다. 서울과 인천의 남녀 대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Beck의 우울감 검사(BDI), 자아 정체감 검사(EOMEIS-2), 사회적 문제 해결 검사(SPSI)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를 통해 우울집단과 비우울 집단(BDI점수 9점 기준)으로 나누고, 각 분석시 자아 정체감의 형성 정도에 따라 혼미, 유실, 유예, 성취로 분류하여 분석을 하였다. 사회적 문제 해결은 총점수(SPSI)와 그 하위 척도인 문제 해결 지향 척도(POS), 문제 해결 기술 척도(PSSS)로 나누었으며, 또 그 하위 요소인 인지 척도(CS), 정서 척도(ES), 행동 척도(BS), 문제의 규정과 구성화 척도(PDFS), 대안적인 해결책의 산출 척도(GASS), 의사 결정 척도(DMS), 해결법 수행과 확인 척도(SIVS)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감은 자아 정체감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우울한 집단보다 비우울한 집단이 자아 정체감이 더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우울감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우울하지 않은 집단보다 우울한 집단이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 하위 척도에서도 일괄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이다. 자아 정체감의 형성 정도도 사회적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정체감의 형성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 문제 해결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하위 구성 요소인 문제 지향과 문제 기술, 그리고 그 척도들의 하위 요소에서도 모두 정체감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각 점수가 높아졌다. 우울감과 자아 정체감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우울감과 자아 정체감은 사회적 문제 해결에 상호 작용 효과를 보였다. 우울한 집단은 자아 정체감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사회적 문제 해결 점수의 향상이 있었으나 비우울한 집단은 성취 수준에서의 점수가 제일 높고 나머지 수준에서는 비슷한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보다 자아 정체감에 의해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문제 지향 요소에서는 우울감과 자아 정체감이 상호 작용 효과를 보였으며, 문제 해결 기술 요소에서는 우울감과 성별이 상호 작용을 보여, 남자가 여자보다 우울감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남녀간의 사회적 문제 해결의 점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사회적 문제 해결 점수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하위 척도인 문제 해결 지향에서는 남자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문제 해결 기술에서는 남녀 차가 없었다. 이는 여자가 실제로 사회적 문제 해결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분위기나 교육 환경으로 인해 자기 스스로를 비하시키는 경향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울감과 자아 정체감의 관계와, 우울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 자아 정체감과 사회적 문제 해결의 관계.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에 대해 논의 하였고 이에 근거해서 내담자에게 차별적인 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ego-identity status and social problem-solving. For the abov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on the basis of the antecedents.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go-identity status.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status and social problem-solving. <Hypothesis 4> There will be a certain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ego-identity status and social problem-solv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randomly at college and universities in Seoul and Incheon. Finally total 571 (male 283, female 288) data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y Beck, Extended Version of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2 (EOMEIS-2) by Adams and Benn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SPSI) by D'Zurilla and Nezu. Statistical methods applied to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Two-Way ANOVA through SPSS. Cronbach's a was calculated in order to prove reliability of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proved positiv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ego-identity according to depression's degree. That was, depressive group was formed higher ego-identity status than non-depressive group and the status of ego-identity were different with relation to depression's degree. <Hypothesis 2> was proved positive. Depression had an influence upon social problem-solving. Depressive group showed lower social problem-solving grade than non-depressive group. <Hypothesis 3> was proved positive. Ego-identity status had an influence upon social problem-solving. As ego-identity status was formed higher, a social problem-solving grade was improved. Two subordinate factors, namely, POS(Problem Orientation Scale) and PSSS(Problem Solving Skill Scale), had a growing tendency as ego-identity status formed higher. These tendencies were shown to subordinate factor's subscales, those were, CS(Cognition Subscale), ES(Emotion Subscale), BS(Behavior Subscale), PDFS(Problem Definition & Formation Subscale), GASS(Generation of Alternatives Social Subscale), DMS(Decision Making Subscale), SIVS(Solution Implementation & Verification Subscale). <Hypothesis 4> was proved positiv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ego-identity status to social problem-solving. Depressive group have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grade as ego-identity status got higher. But, non-depressive group had the highest social problem-solving grade in identity achievement status and the rest of status had the similar grade that was lower than identity achievement status' grade. It was shown that depressive group's social problem-solving was influenced more by ego-identity status than that of non-depressiv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ego-identity status to PO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sex distinction. At subordinate factor that was POS, male had higher grade, but at subordinate factor that was PSSS, there wasn't sex distinction in PSSS.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caused by not lack of women's SPSI but the social environment that women looked down on theirsel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First, depression had an influence on ego-identity status. Second, depression had an influence on social problem-solving. Third, ego-identity status had an influence on social problem-solving. Fourth, there was a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ego-identity status to social problem-solving. Everyone experiences depression and ego-identity is a very important task to adolescence. And many students felt that they were short of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So, I talked about discriminative counseling according to clients' characters.

      •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의 미술매체 활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난숙 평택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미술매체 활용에 관한 경험을 통하여 우울감과 미술매체의 경험이 만나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것을 통해 중년기 여성이 행복한 삶을 이끌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첫째,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 발생 원인 은 무엇인지, 둘째, 미술매체 활용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에 끼치는 영향 은 무엇인지, 셋째, 미술매체 활용이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에게 기 독교 신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연 구 방법으로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중 시하기 위해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중년기 여성으로 40대 1명, 50대 2명, 60대 1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3개월에 거 쳐 짧게 진행 되었으며 내용보완을 위한 추가 인터뷰를 2023년 3월20일까 지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질문지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뷰를 통해 녹취 자료를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 일지와 녹취자료 분석 과정을 반복하 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의 미술매체 활용 경험에 대한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 발생 원인에 대한 결과로 어린 시절의 우 울감이 현재의 삶 속에도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어린 시절의 가족관계나 학교생활, 결혼관계에서 경험했던 무기력과 불안감, 외 로움, 열등감이 중년기 여성의 삶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으로 각각의 미술 매체인 아크릴 물감, 유화 물감, 도자기 점토, 수채화 물감을 활용하는 경 험을 통해 자신과 소통하면서 마음의 안정감과 균형을 찾을 수 있었다. 또 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 자존감도 향상되었으며 삶의 의미와 목표를 향해 - iv - 나아가는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 A, B, C, D는 미술매체 활용 경험을 통해 하나님을 만났다. 미술매체를 활용하면서 A는 새롭게 하나님을 만났고, B는 생명과 도 같은 하나님을 만났다. 또한 C는 창조의 하나님과 D는 죄를 용서하시 는 하나님을 만나는 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들은 이런 경험을 통해서 하나 님의 사랑을 깨달았으며 마음의 평안과 자존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울감을 느끼는 중년기 여성이 각각의 미술매체를 활용함으 로써 자신의 삶의 문제를 심리적, 관계적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살펴보았고 그들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년기 여성의 정 서표현과 내면의 욕구표현을 통해 심리 내적 경험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독특성과 의의가 있다.

      • 장애노인의 우울감에 관한 연구

        공혜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examin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where the social interest was increasing regarding the mental health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ovided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accompanied by ' Problems of the elderly' and ' Problems of disability' which were compounded owing to the large increase of the disabled elderly and the data which was important about the politic direction which was related with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I used an original data published in 2006,which was the first year of the panel survey of getting older. I selected 4129 old persons aged 65 who lived from the area which excepted Jeju-do and made an 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research ran as follows. The first, the disabled elderly in the whole occupied 7.5%. The second, as a result of the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the disabled elderly and the not-disabled elderly, the depression of the former was 10.28 marks and that of the latter 8.13 marks, so the depression of the disabled elderl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not-disabled elderly. The third, in case of the old persons who were comm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ly economic condition, the existence of spouse, the limitation of ADL, the limitation of IADL,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meeting with neighborhoods, friends, and relatives, the existence of one's house, and living together or not with one's offspring affected the depression in the order of them. But there was no meaning differenc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annually total household income, meeting with offspring, and the existence of disability. The fourth, in case of the disabled elderly, the existence of spouse, subjectively economic condi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eeting with neighborhoods, friends, and relatives, and the distinction of sex affected depression in the order of them. But there was no meaning difference of the depression according to dwelling area, age, educational level, The existence of one's house, annually total household income, the limitation of ADL, the limitation of IADL, living together or not with one's offspring,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In addition, duplication disability had no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s well.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the suggestions run as follows. I think we need the integrated service which is appropriate about the disabled old persons who get older and older and must provide the service which is integrated and actual for them in the welfare field of the aged and the disabled elderly, not as the respective service and must propose the method which can decrease depression and discuss about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from preventive dimension as well.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노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보고, 장애노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복합된 형태의 ‘노인문제’와 ‘장애문제’에 따른 장애노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 방안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문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노인 중 장애노인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장애를 가진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 수준은 어떠한가? 즉, 장애를 가진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 수준이 다른지 살펴보았다. 셋째,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에도 장애 여부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넷째, 장애노인만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관계 특성, 사회적 지지와 함께 중복장애 여부를 통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인 2006년의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거주하는 전체 대상 65세를 기준으로 4,165명만을 선택하였다. 그 중 학력에 응답하지 않은 노인 3명과 종속변수인 우울감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33명을 제외한 최종 표본의 크기인 4,129명을 대상으로 OLS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노인 중 장애노인은 7.5%를 차지하였다. 둘째, 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과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장애노인의 우울감은 10.28점,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은 8.13점으로 장애노인의 우울감이 비장애노인의 우울감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노인의 경우에는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ADL 제한, IADL 제한, 사회활동에의 참여,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주택의 자가 여부, 자녀와의 동거 여부 순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연간 총 가구소득, 자녀와의 만남 그리고 장애 여부에 따라서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노인의 경우에는 배우자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이웃·친구·친척과의 만남, 성별 순으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지역, 연령, 교육수준, 주택의 자가 여부, 연간 총 가구소득, ADL 제한, IADL 제한, 자녀와의 동거 여부, 자녀와의 만남, 사회활동에의 참여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복장애 여부에서도 장애노인의 우울감에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고령화와 맞물려 장애노인에 대한 적절한 통합적 서비스가 필요하며 장애노인을 위해서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각각의 서비스 제공이 아닌, 통합적이고 실제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장애노인집단의 우울감에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울감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예방적 차원에서 개입의 필요성이 또한 논의되어져야 한다.

      • 배우자와의 돌봄 교환이 남녀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돌봄 제공과 수혜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민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viding and receiving spousal car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men and women in couple household.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569 men and 1,650 women in couple household aged 65 or above from the 2017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Korean Older Person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viding and receiving spousal care was analyzed by using PROCESS proposed by Hayes(2013) in SPSS 25.0. The respondents’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subjective health status of spous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spouse were controlled for in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viding and receiving spousal care on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among elderly men. For men who received spousal care above the mean level, providing spousal car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symptoms. However, for those men who received low levels of spousal care (i.e., below the mean level), providing spousal car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symptoms. Additionally, for men who provided low levels of spousal care, receiving spousal car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symptoms. However, for those men who provided high levels of spousal care (i.e., above the mean level), receiving spousal car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symptoms. For women, providing spousal ca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symptoms,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viding and receiving spousal care was not significant for their depressive symptoms. The gender difference found in this study will provide significant insight into future research by examining spousal care as dyadic processes rather than one-sided processes. 본 연구는 부부가구에 속하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배우자와의 돌봄 교환에서 돌봄의 제공과 수혜 수준이 그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부부가구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 남성 노인 1,569명과 여성 노인 1,650명으로 총 3,219명이다. 주요 분석 변수는 배우자 돌봄 제공, 배우자 돌봄 수혜, 우울감이며, 기존의 연구에서 노년기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교육수준, 가구 총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의사진단 만성질환 수, 배우자 건강상태, 배우자 관계 만족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변수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 t검증, 카이제곱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남녀 노인 각각의 우울감에 대한 배우자 돌봄 제공과 수혜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macro 프로그램인 Process를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가구 남성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배우자 돌봄 제공과 수혜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1~4점 범위를 갖는 배우자 돌봄 수혜 수준이 2.21점 이상일 때, 배우자에게 제공하는 돌봄의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 노인의 우울감이 낮아졌다. 또한, 1~4점 범위를 갖는 배우자 돌봄 제공 수준이 2.7점 이하일 때, 배우자로부터 수혜 받는 돌봄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아졌다. 둘째, 부부가구 여성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배우자 돌봄 제공과 수혜 수준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여성 노인의 경우 우울감에 대한 배우자 돌봄 제공 수준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며, 배우자 돌봄 수혜 수준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배우자와의 돌봄 교환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필 때, 돌봄의 제공과 수혜의 일방적 영향이 아닌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아 돌봄을 일방적 제공 혹은 수혜가 아닌 ‘관계’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노인부부가구의 증가와 함께 배우자 돌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배우자와의 돌봄 교환과 노년기 우울감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들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방안으로, 부부가 균형적으로 지원을 주고받는 호혜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부부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실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돌봄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을 벗어나고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돌봄의 실질적 사회화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돌봄 관련 정책수립 및 실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직무환경이 종사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옥임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job environment of the workers in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and examine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s, and job stress, which are the job environment in the organization, on the depression of the workers. For this purpose of research, long-term care institutions nationwide were selected at random to send out letters of cooperation on the survey. A total of 7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50 long-term care institutions by mail, and 748 questionnaires excluding poor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 2019 to April 22, 2019. Data processing analysis of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me 21ve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Second,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depression, task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s, task stress, etc. Third, t-testing and ANOVA (ANOVA)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job environment and depression du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review the factors of job environment's impact on workers'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organ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was overwhelmingly 84.8 percent for women. Caregivers took up more than a majority of the jobs, followed by social workers and nursing workers. The proportion of married people accounted for 90 percent, and the employment pattern represented more than 80 percent of full-time employees. Less than three years of work accounted for more than 60 percent. Second, when looking at the level of job environment and depression in the organizati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high, and the job environment is good to the low level of job stress. The level of depression averaged 2.38 (5 points) and was mediocre. Thir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tial verification on job environment and dep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conomic condition and health cond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job environment and depression. While unmarried people felt more job stress than married people, depression tended to be lower than married people. The number of professional training sess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s,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a lot of professional education had high job satisfaction, good soci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 and low job stress and depression.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ajor variabl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an amulet (-)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 greater social support, and the better social relationships, the less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re were. Fifth, social relations have been affected by depression, and job stress has been shown to be static. Social rela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not smooth, and the more job stress is, the more depression is shown to increase. That is, social relationships and job stress, which are task environments, were confirmed to be factors that have a close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agency workers. The above research indic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contributing to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cene, and firstly, it is meaningful that the task environment has been identified on a comprehensive level, focusing on the depression of senior citizens in the nation's long-term care institutions, which was lacking in prior research. Second, we intend to use it as a theoretical basis in seeking ways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depression by minimizing job stress within the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직무환경을 파악하고, 조직 내 직무환경인 직무 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 직무 스트레스가 종사자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전국 노인장기요양기관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관한 협조문을 발송하였다. 협조 의뢰가 가능한 장기요양기관 50곳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를 배송, 총 760부의 설문지를 회수한 후, 부실한 응답을 제외한 748부의 설문지를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03월 20일부터 04월 22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자료 처리 분석은 SPSS통계프로그램 21ver. 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종속변수인 우울감, 독립변수인 직무 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 직무 스트레스 등에 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환경과 우울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직무환경이 종사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통계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종사자는 여성이 84.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종사하는 직종은 요양보호사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 순으로 나타났다. 기혼의 비율이 90%를 차지하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80%이상을 나타냈다. 근무년수는 3년 미만이 60%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조직 내 직무환경과 우울감에 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직무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의 수준은 높은 편이며 직무 스트레스는 낮은 수준으로 직무환경은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울감의 수준은 평균2.38(5점기준)로 보통수준을 보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환경과 우울감 등에 관한 차이검증을 살펴본 결과, 경제상태와 건강상태는 모든 직무환경과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를 보였다. 미혼은 기혼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강하게 느끼는 반면, 우울감은 기혼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전문 교육 횟수는 직무 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 즉, 전문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이 직무 만족도가 높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관계가 좋으며,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직무 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와는 정적(+)상관관계를,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감과는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즉, 직무 만족도가 높고, 사회적 지지가 많고, 사회적 관계가 좋을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우울감에는 사회적 관계가 부적(-)영향을, 직무 스트레스가 정적(+)영향을 나타냈다. 조직 내의 사회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우울감에 직무환경인 사회적 관계와 직무 스트레스가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함의로, 첫째, 선행연구에서 미비했던 전국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우울감에 초점을 두고 직무환경을 포괄적인 차원에서 우울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조직 내 직무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