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 지역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함안군을 중심으로

        김수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8

        196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가 수출 중심의 산업화로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농촌은 인구 변동과 생산 구조의 변화라는 국면을 맞게 된다. 인구 노령화와 노동 인력의 도시 유출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농촌총각의 결혼 문제 해결 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민 여성이 유입되면서 전체 인구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도모하기 위해서 한국어 교육은 기본적인 요건이 된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육 지원정책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경남 함안군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외국인 근로자·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한국어 교육 지원정책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인 근로자·외국인 근로자 고용 산업체의 내국인 관리자·결혼이민 여성의 의식 분석이며,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농촌의 특색에 맞는 한국어 교육 지원정책을 대상자별로 제도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제도적 측면에서 지원정책 방안은 첫째,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어 교육 시스템이 정책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정책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 운영적 측면의 지원정책 방안은 첫째,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기관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 근로자 대상의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결혼이민 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의 제도적 측면에서 지원정책 방안은 첫째, 결혼이민 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한국어 교원을 확충해야 한다. 운영적 측면의 지원정책 방안은 첫째, 결혼이민 여성 대상의 맞춤형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결혼이민 여성의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원정책 제안은 도시에 비해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낙후된 농촌 지역의 외국인 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이 체계적이고 전문성을 확보하여 외국인 주민이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통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정착생활을 이루는 것과 더불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지역공동체의 한 일원으로 공생하고자 함에 있다. Since the 1960s, as Korea's economy developed rapidly with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rural areas faced a phase of changes in population and production structure. As foreign workers and immigrant women by marriage are coming as a solution for the labor shortage from urban outflow of labor force and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marriage problems of rural bachelors,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in the total population is increas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basic requirement in order to promote stable settlement of foreign residents as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studi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measures for foreign residents living in rural areas, and selected and analyzed Haman-gun, Gyeongnam.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ies for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analyzing the consciousness of foreign workers, domestic managers in industries that employ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was presented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aspects for each target audience.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the support policy measures should be: Fir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strengthened politically.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made mandatory by policy. In terms of the operational aspect :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expanded.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al purposes should be provided for foreign workers. Next,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pport policy measures should be: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programs for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apabilities. In terms of operational support, first, tail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should be provided. Second, a plan should be prepared for activa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uch support policy proposals have significance for making an improv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residents in rural areas, which are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lagging behind compared with cities,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o that foreign residents can achieve a stable life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it aim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and to help them to live together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 역사 교과서 속 여성, 외국인 관련 서술양상과 개선방향 : - 초등 사회(5-2), 중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옥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8

        역사를 배우는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역사 속 등장하는 다양한 민족, 국가, 종교, 풍습, 인종의 기록을 통해 내가 작고 개별적인 존재가 아니라 역사 속 공동체의 중요한 존재였음을 깨닫는 것이다. 과거 역사 속 인류가 겪은 갈등과 해결을 통해 현재 공동체의 문제를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 교육은 넓은 의미의 세계시민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초등 사회교과서와 중학교 7종 역사교과서 속 여성과 외국인의 서술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 사회교과서 속 여성과 외국인 발굴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중학교 역사교과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 사회교과서에서 삭제되었거나 수정을 요하는 내용들이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추가되거나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년과 발달단계에 맞는 나선형 교육형태가 중학교 역사교과서 속 여성과 외국인 서술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이러한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역사 교과서 속 여성, 외국인 서술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 사회교과서 속 ‘소수자’라는 명제는 삭제되어야 할 것이다.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필요성과 개념이 가져올 여러 사례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둘째, 남성 중심 지배자 관점에서 여성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여성을 역사 주체로서 바라봐야 할 것이며, 여성이 가진 여성성을 과도하게 배제하거나 남성성을 부각시키는 서술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셋째, 외국인 서술시 역사적 사건이 일어나게 된 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해야할 것이며, 침입 주체의 명칭은 일관성 있게 서술해야 할 것이다. 교과서를 통한 역사교육은 세계시민의식함양과 공동체 속 다양한 문제들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history is to realize that I am not a small and separate being, but an important being of a community in history, through the records of various peoples, countries, religions, customs, and races that appear in history. Through the conflicts and solutions that humanity has experienced in the past history, we can look a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ommun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refore, educating about history can be said to be educating global citizens in a broad sen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arrative aspects of women and foreign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7 type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mention of women and foreigner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has been steadily improving,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on the other hand, have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Second, it was found that contents deleted from elementary social textbooks or that required correction were added or improved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Third, in the description of women and foreigners in middle school history books, spiral education model types for the grade and development stage were not inclu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description of women and foreigners in history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ition of “minority” in elementary social textbooks should be deleted. There is a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an abstract concept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various cases that the concept will bring. Second, instead of looking a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a male-centered point of view, women should be viewed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descriptions that excessively exclude women's femininity or highlight masculinity should be improved. Third, when describing foreigners, the cause of historical events should be describ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name of the visiting entity should be consistently described. History education through textbooks will bring about a change in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 and various problems in the community.

      • 국제결혼한 외국인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 연구 : 장수군 중심으로

        정영덕 한일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86

        본 연구는 국제 결혼한 외국인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장수군 내의 외국인 주부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외국인 주부의 삶에 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수행 되였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둘째, 외국인 주부의 현황 및 생활 실태를 파악 한다. 셋째, 외국인 주부의 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강구 한다. 넷째,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향상을 위한 서비스 발전 방향을 제시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선행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여 조사를 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 하여, 조사가 완료된 설문지는 SPSS/WIN VER. 10.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분석, T-test, ANOVA 및 교차 분석을 하였으며, 문헌 연구방법과 조사 연구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 농촌 남성들과 결혼해서 농촌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주부중에는 대체로 만족해하며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해 가는 가정이 늘고 있다. 둘째,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 주부들은 또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사회적응 문제, 가정 내의 폭력, 국적 취득의 어려움 등으로 가정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되는 사례가 있다. 셋째, 외국인 주부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보장해줘 지역사회 일원으로 살아 갈 수 있도록 우리 모두 그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외국인 주부들의 사회적응을 위해 우리말 과 글에 대한 교육 , 문화체험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외국인 주부들의 삶에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주부들이 낮선 한국까지 오게 된 가장 증요한 이유가 경제적 빈곤에 있기 때문에 일차적인 질 향상의 목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위해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 주부들에게 보이지 않는 측면인 민족적인 정서, 문화, 전통, 가치관 관습, 윤리 등 우리나라만의 정서를 공유하고 익숙해지도록 도와줘야 할 것이다. 셋째, 외국인 주부의 생활실태 및 외국인 주부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제공해 줘야 할 것이다. 넷째, 외국인 주부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국인 주부의 인권보장과 더불어 이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모두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협조해야 할 일이다. 다섯째, 지역 내에서 외국인 주부에 대한 편견을 지역 주민 스스로가 없애도록 노력해 주고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관계인 끈끈한 인간미가 넘치는 미풍양속을 발휘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개선 방안은 외국인 주부들의 삶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국제결혼 가정사역 : 외국인 여성을 중심으로

        유준수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269

        상담사례를 통해 느꼈던 여러 문제점과 대안 책을 제시해 보았다. 더 효율적인 대안 책 들이 하루 빨리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들에게 실제로 적용되어지기를 소망해 본다. 그러나 그 어느 곳에서도 이중국적을 갖고 어렵게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이들 역시 같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가족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들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작은 소망은 이 낯선 땅이 더 이상 낯설지 않도록 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는 일이다. 우리의 작은 관심과 배려가 그들에게는 살아가는 큰 힘이 될 수 있음에 그들을 도와야 할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것이다. 1950년 6.25 이후 이중문화 가정 즉 국제결혼한 사람이 미국에만 13만명에 이른다. 이들 대부분이 미군들과의 결혼이었다. 그들은 대부분 한국의 미군기지 주변에서 처음 만났다. 지금은 사정이 많이 달라져서 여러 경우를 통해 국제 결혼하게 되지만, 아직도 첫 만남은 기지촌 주변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다 보니 진실한 사랑보다는 이기적인 목적으로 결혼이 이루어질 때가 많다. 이제는 보다 건전하고 신앙적인 만남을 통하여 국제결혼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 결혼한 여성들의 행복은 본인 스스로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 얼마든지 증가될 수 있다. 결혼 전에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정보제공과 교육의 기회를 갖도록 도우며, 결혼 후에는 이주한 외국인배우자에 대한 문화와 언어습득의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결혼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상담과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속에서 제공되어져야 한다. 행복은 내적인 사랑이 외적으로 적용될 때 완성되는 것이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앞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세계로 나가야 하고 또한 가정을 이루어서 행복한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 하나님은 어떤 특정한 국가나 민족의 하나님이 아닌, 온 인류의 신이시기 때문에 누구와 살든 어느 곳에서 살든 우리를 항상 보호하고 인도하신다. 앞으로 좋은 만남들이 많이 생겨나기를 기대해 본다. 목회자는 그리스도께서 친히 창설하신 직분이다. 다른 일반 직종은 그 사회의 문명발달의 측도에 따라 존재 가치가 있으나, 목회자는 이에 상관없이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셨다. 예수께서 12제자를 선택하시고, 그들의 세속적 직업에서 부르시고 전도사업이 그들의 직업이 되는 새로운 사명을 주고,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셨다. 마치 예수 그리스도께서 열심당과 함께 사회혁명을 일으켜 싸우지 아니하고, 그저 하나의 순수한 생명을 '십자가'라는 나무 형틀에 맡겨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버려야 했던 그 참된 진리의 행위를 나는 과연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가? 말이다. 예수의 신앙과 신학은 결코 지성에 의한 학문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예수님의 '삶의 몸부림'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들의 '삶의 몸부림'이 되어가야만 한다. 끊임없는 고민, 끊임없는 갈등, 끊임없는 진리의 탐구, 끊임없는 자유, 끊임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한 자들에 대한 연민의 사랑 그리고 행동이 되기까지 . 오늘처럼 이 조용한 새벽까지, 진리에 목마른 나의 정신적 몸부림에 잠이 오질 않을 때면, 문득 어렸을 적 가겼던 순수한 자연과 양심에 대한 향수가 나의 코끝을 찡하게 만든다. 더불어 어느 쯤 인지 알 수 없는 나의 개인역사에 '예수 그리스도'가 자리 잡혀 있음을 새삼 확인해 보며, 나의 정체성을 이 시간 이 자리에서 나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너는 무엇을 하고자 원하느냐?"라는 질문을 수없이 되풀이 하며.

      •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부처 간 비교연구 : 법무부와 여성가족부 중심으로

        강정향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68

        This study states some problems which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are facing. These drawbacks emerge from research on the married migrant women’s real-life situation in Korea and comparison analysis on government agencies of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arried migrant women. It also suggests solutions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The main government agencies making the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re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mpares and analyzes firstly between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Secondly,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foreigners and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multicultural families. - ‘The Acts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and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foreigners are made by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and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multicultural family are mad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 Lastly,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social integrated education which is provided by both agencies. The problems as result of this study are; the paradigm towards to married migrant women which is full of pity, duplicated support for married migrant women, a lack of sympathy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Korean citizens, Korean husbands damage resulting from international marriage, shortage of education which meets requests from married migrant women and a limit of legislation and propulsion system. Therefore, six remedial actio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as the number of married migrant women increase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ay of seeing marriage migrant women who only need compassion. Second, it is urgent to reform the recipients for a social integration policy since the recipients are unfavorable. Third, it is important to form a bond of sympathy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Korean citizens. Fourth, making measures for the victim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is needed regarding the different victims. Fifth, tightening the education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could be mentioned. Lastly, a statute revision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is needed and an implement system should be organized. Key words: married migrant women, the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foreigners, the policy for basic plan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basic plans, social integration programs, Korean husbands damage resulting from international marriage.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결혼이민자의 실태 파악과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부처 간 비교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여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 수립의 주요 부처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두 부처의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과 관련된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 외국인정책 기본계획과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그리고 이 두 부처의 사회통합교육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한계(문제점)는 결혼이민자에 대한 온정적 패러다임, 결혼이민자 편중·중복지원, 국민과의 공감대 형성 결여, 국제결혼으로 인한 한국인 남성배우자의 피해, 결혼이민자 요구에 맞는 한국어 교육 부족, 법령과 추진체계의 한계 등이 있었다. 따라서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결혼이민자를 온정적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는 패러다임의 전환 둘째, 사회통합 정책 대상 집단 편중·중복 개선 셋째, 쌍방향 공감대 형성 필요 넷째, 국제결혼피해 대상자별 대책 마련 다섯째,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강화 여섯째, 사회통합 관련 법령 개정 및 추진체계 정비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 법무부, 여성가족부, 외국인정책,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사회통합프로그램, 국제결혼 남성피해

      •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과 업무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상담통역원을 중심으로

        박희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5919

        법무부가 발간한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2022. 2)'에 따르면, 2022년 2월 말 기준 우리나라에는 196만 명의 외국인이 체류하고 있으며, 결혼이민자의 수는 현재 약 17만 명에 이르고 있는데, 여성의 비율이 81.7%로 외국인 여성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경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다문화가족 형성에 결혼이주여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초창기 이주 시기에는 생활 적응 및 정착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들이 대부분이었지만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결혼이주여성 스스로가 취업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면서 결혼이주여성에게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은 한국 사회와 소통하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회통합 차원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통로가 되었지만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취업 등의 경제활동을 원하는 것에 비해 취업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상담통역원으로 종사하는 결혼이주여성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이들의 취업 과정과 업무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분석하여 각 과정별 어려움 및 대처 경험 등에 대해 알아보고 취업 후 업무 경험에 대해서 탐색하고 분석하여 상담통역원으로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문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이 외국인주민지원센터에 취업하기까지의 준비 과정은 어떠한지, 둘째,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상담통역원으로서의 업무 경험은 어떠한지, 셋째,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상담통역원으로 종사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목소리를 반영한 취업 및 업무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상담통역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어능력 3급 이상의 한국어 실력이 되는 이중언어 능력을 갖춘 결혼이주여성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의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녹취와 녹화 후 전사를 하였고 의미 있는 내용으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부재로 취업에 필요한 언어나 직무 능력 향상 교육 등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록 이주민으로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업무를 통해 보람을 느끼고 자아실현을 위한 다양한 경험과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 및 학업 등에 열심히 참여하고 있었다. 불안정한 고용형태와 제대로 대우 받지 못하는 임금 문제 등은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일자리로 연계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 활동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며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을 해소할 수 있는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이 정부 차원에서 운영되고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 : 정책 및 제도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강영훈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15594

        본고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삶을 형상화한 소설들을 분석ㆍ해석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를 근거로 이주 정책의 개선안을 제안하고, 이주민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립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단계적 정책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21세기의 시대적 명제로 여겨지는 다문화주의에 접근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다양한 학계의 다문화 연구 담론들은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문화 사회가 가지고 있는 복합성의 자질을 고려했을 때, 원인과 대안에 대한 탐색은 접근 자체에 다양한 시각과 방법론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원인을 국가 주도형 다문화주의에서 찾고자 한다. 국가 주도형 다문화주의 체제에서는 정책의 기획단계에서 구성원들의 입장과 목소리를 온전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위에서부터 시작된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고 제도 개선에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고민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지점에서 사회의 문제와 이에 봉착한 개인의 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는 소설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사회를 형상화한 소설은 한국 다문화 사회의 실상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고발하는 데에서 한 걸음 나아가, 사회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 소설은 작가의 전망을 통해 사회의 개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제도 보완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문화 사회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려는 여러 학계의 노력에, ‘소설 역시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본고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작업들은 기존 다문화 소설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다문화 소설 연구는 한국형 다문화주의의 모순과 소설화 양상, 여기서 발견되는 이주민의 타자성에 집중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 역시 추상적인 책임감과 의무감, 개개인 윤리의 문제에 국한되어 다소 공허하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통해 현행 제도의 쟁점을 발견하여 보완점을 제안하는 본고의 논의는, 다문화 소설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소설의 실천적 가능성을 제고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전제로 본고는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 이를 통한 제도적 개선안 제언을 세 가지 단계로 설명한다. 첫 번째,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출발점이자 공론장을 형성시킨 이주민의 유입 과정에 주목한다. 이는 곧 이주민의 유입과 관련된 서사적ㆍ제도적 진단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여성의 고난의 근원에 접근하고 있는 소설들을 분석한다. 소설에서 발견한 외국인 근로자는 불안정한 체류문제에 직면하거나 욕망실현에 실패한 모습이었다. 결혼이주여성 역시 이주의 출발 지점부터 모순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이 발견한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및 체류의 문제와 결혼중개업의 모순을 파악하기 위해, 현행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과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의 검토를 진행한다. 두 번째, 이주민을 맞이한 정주민의 감정 양상과 함께 다문화 사회의 정착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한다. 명심해야 할 점은 다문화 사회란 이주민만을 위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문화 연구 담론에서 배제되고 있는 정주민의 감정에 대한 성찰 역시 중요하다. 이때 관건은 정주민이 갖고 있는 인식 및 태도의 소설적 형상화 파악에 그치지 않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 원인에 접근하였을 때 현행 제도의 쟁점과 함께 개선의 가능성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구성원의 관계를 조망하는 다양한 소설들을 통해 이주민을 향한 정주민의 다채로운 감정에 대해 논의한다. 혐오와 포용, 연민과 공감 등의 감정이 작동하는 원리를 파악하는 작업을 통해 ‘정주민의 인식’과 ‘이주민의 타자성’ 간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통합된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이주민의 타자성 소거가 시급하다는 것을 논의하면서, 현재의 ‘사회 통합’ 정책이 정주민의 인식과 이주민의 타자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한다. 세 번째, 앞 장에서 논의한 다문화 사회의 서사적ㆍ제도적 진단 및 작가의 지향ㆍ전망을 종합하여 제반 정책의 개선을 제안한다. 소설을 통한 다문화 정책 제안은 두 가지 층위에서 가능하다. 첫 번째는 소설 속에서 진단한 다문화 사회의 모습과 구성원 간 모순 및 갈등을 야기한 사건들, 그 자체로부터 제도적 개선안을 발견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치밀한 서사분석을 통해 작가 개개인이 나름대로 설정해놓은 ‘전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정책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주 정책의 불합리성 제거를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국가’와 ‘이주민’ 사이에서 발생하는 딜레마 속에서 각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합의점을 도출하게 한다. 이를 토대로 외국인 근로자의 욕망 실현을 위한 고용법과 비자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할 수 있으며, 국제결혼중개업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회 통합과 정주민 인식 개선을 위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였던 이주민의 타자성 소거를 위한 제도적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기획이 필요하다. ‘전제(생활역량, 언어능력 강화) - 촉진(공동체 활동을 통한 정주민의 인식개선과 이주민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 - 최종(경제활동을 통한 자립)’이라는 점진적ㆍ단계적 정책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통해 진정한 다문화 사회 구축을 위해 우리는 앞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고민의 여지를 남기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 사회 속 소설의 지평과 함께 실천적이고 수행적인 면모가 감지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a narrative diagnosis and reveal the prospect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alyzing the novels that embodied the lives of multicultural members.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the policy based on this and seek the need for a phased policy that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immigrants, being independent as social members. To approach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sidered the proposition of the 21st century, academic circles move busily.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 research in various academic circles are heading of the direction in seeking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alternative plan.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understanding social problems and presenting alternative plans when the properti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re introspected. This study would find proble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state-driven multiculturalism. In the state-driven multicultural system, it is difficult to fully reflect the positions and opinions of the planning members in the stage of planning the policy and system. On the premise of this critical mind, concerns continue to cope with multicultural society started from the above and reflect the members’ opinions in system improvement. At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novels with which social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ls who encounter them together. In that the novels that embodied multicultural society call attention to social problems, disclosing the institutional blind spots by surveying variou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can aim at changes through the novelists’ prospects, they provide the possibility of system improvement. These works can als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existing studies of multicultural novels. Studies of multicultural novels have until now focused on the contradictions of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the aspects of novelization, and the otherness of immigrants found here. The alternative plan for this, too, was limited to an abstract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and individual ethical problems, so it felt somewhat empty in fact.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at discovers issues of the present system and proposes points of supplementation through narrative diagnoses and prospects for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a work that expands the horizon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novels and reconsiders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ovels. On the premise of the above, this study made narrative diagnoses and prospect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explained a pla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inflow of immigrants who formed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ield of public opinions. This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narrative and institutional diagnosis related to the inflow of immigrants. For this, this study discusses the novels that approach the source of suffering by foreign workers and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s. Foreign workers discovered in novels faced the problem of unstable stay or failed the fulfillment of desire. It is found through the novels that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s also experienced contradi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migration.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foreign workers’ employment and stay and the contradiction of marriage brokers business, this study examined “Act on the Employment Improvement of Construction Workers” and “Marriage Brokers Business Management Act.”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settlement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long with the settlers who welcome immigrants. What should be kept in mind is that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a society only for immigrants. The introspection of the settlers is also important, who are excluded in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 studies. Here, the key is that it is necessary to proceed to the revelation of the cause, more than just the understanding of the fictional embodiment of the settl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raw the issues of the present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its improve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would select various novels that surve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ulticultural members as research subjects and discuss the settlers’ various emotions for immigrants. Through the work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the operation of emotions such as hate and tolerance, and compassion and empath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ttlers’ awareness’ and ‘the immigrants’ otherness’ was drawn. Discussing the fact that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liminate the immigrants’ otherness to aim at an integrated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present ‘social integration’ policy on the settlers’ awareness and the immigrants’ otherness. Third,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of all sorts of policies, putting together the narrative and institutional diagnosi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writers’ orientation and prospect. The proposal of multicultural policy through novels can be made in two layers. First, to discover a pla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from the images of multicultural society diagnosed in novels, and incidents that caused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 members, and themselves, and second, to draw a ‘prospect’ set by individual novelists themselves and propose a plan for policy improvement. The former provides a clue for removing the irrationality of the migration policy. In other words, it allows the development of an agreement that fully considers each person’s position in the dilemma occurring between ‘the state’ and ‘immigrant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for fulfilling desires and the visa system and se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resolving the contradiction of marriage brokers business. The latter allows institutional seeking for eliminating immigrants’ otherness. Since this is a problem that cannot be resolved in the short term, long-term, systematic policy planning is needed. The gradual and phased policy, which consists of ‘premise (reinforcement of living capacity, language ability) - promotion (awareness improvement of settler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society) - final (self-reliance through economic activities), w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discussions like these, this study would leave room for concerns about what we should prepare in the fu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hentic multicultural societ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practical and performative aspects will be detected along with the horizon of novel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AHP를 이용한 건설현장 취약시간대 안전관리 및 IPA 분석을 통한 취약근로자 안전관리 대책에 관한 연구

        이문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15593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재해 예방 대책 및 안전관리 방안을 취약시간대와 취약근로자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건설공사의문제점 중 하나인 촉박한 공기로 인해 취약시간대에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고 용노동부 통계자료 및 건설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해 보면 취약시간대에 주로 많이 발생한다. 취약시간대에는 관리감독자 부재 및 관리 감독 소홀로 인해 근로자의 대부분이 불안전한 행동을 하고 불안전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취약근로자도 마찬가지 문제이다. 취약 근로자는 현장에 새로 부임해서 적응 기간이 필요하고 경험이 부족하여 여러 가지 불안전한 요소에 노출되어 있다. 신규근로자뿐 아니라 고령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여성 근로자들도 모두 관리가 필요한 작업자이나 관리자들이 부족하여 지속적 관리받지 못하고 있다. 불안전한 행동, 불안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되는 취약시간대와 취약 근로자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와 전문가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 및 어려움을 취합하여 결과를 분석하면 안전관리에 대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면 재해를 줄 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취약 시간대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방법은 야간, 조기출근, 점심시간에 작업하는 근로자에 대한 기본사항 조사 후 관리방안에 대해 전문가 23명으로 구성된 집단에 의한 설문조사 결과를 AHP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취약 근로자 4그룹에 대한 분석은 역시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IPA Matrix 기법을 통해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에 대한 시사점과 관리방안을 사고 발생 요인과 연계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취약 시간대 근로자들의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야근 시간에 특별히 관리해야 하는 요소, 조기 출근하여 작업하는 동안 특별히 관리해야 하는 요소 등을 선정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현장 적용방안을 마련하였다. 취약 근로자에 대한 관리방안 역시 전문가들의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우선 관리 요소를 선정하고 신규근로자, 고령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여성 근로자에게 맞는 대책을 수립하였다. 각 질문에 대한 일관성 여부는 신뢰도 분석 후 신뢰도가 확보된 응답 항목에 대해서 중요도 분석 후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관리 요소를 파악하였다. 위와 같이 취약 시간대와 취약 근로자에 대한 Needs를 제대로 파악하고 작업 중 불안전한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중대 재해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safety management measures at construction sites from the perspective of vulnerable time zones and vulnerable workers, and to find problems and stablish countermeasures. Due to the tight air,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of construction work, work is being teadily carried out during vulnerable times.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analysis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work usually occur during vulnerable times. In vulnerable times, most of the workers behave in an unstable manner and are in an unstable state due to the absence of a management supervisor and negligence of management supervision. The same is true of vulnerable workers. Vulnerable workers are newly assigned to the field, need an adaptation period, and lack of experience, so they are exposed to various unstable factors. Not only new workers, but also elderly workers, foreign workers, and female workers are all not receiving continuous management due to a lack of workers or managers who need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unstable behavior and unstable resistance conditions, it was determined that problems and difficulties c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by workers and experts working at the site to reduce disasters. After surveying the basics of workers working at night, early work, and lunch, the results of a survey by a roup of 23 experts were analyzed using the AHP analysis method, and the analysis of 4 vulnerable workers was also requested to the expert group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hrough the IPA Matrix technique. Priorities were selected by linking the implications and management plans for the analyzed contents with the factors that caused the accident, and management plans for workers in vulnerable times were prepared. Measures were established and field application measures were prepared by selecting factors that should be specially managed during overtime hours and during early work. In addition, management measures for vulnerable workers were first select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by experts, and measures suitable for new workers, elderly workers, foreign workers, and female workers were established. The consistency of each question w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then selecting the priority after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response items that secured the reliability. As described above, serious disasters can be sufficiently prevented by properly identifying the needs for vulnerable times and vulnerable workers and removing unstable elements during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