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PR 감소기법을 적용한 다항식 사전왜곡 기법에 관한 연구

        박비호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선통신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변화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 전송과 전송의 신뢰성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기술이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중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OFDM 방식은 동위상의 부반송파들이 겹치게 됨으로써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입력신호의 PAPR은 시스템의 HPA(High Power Amplifier)를 통과하게 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전력 증폭기가 가지고 있는 비선형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심각한 비선형 왜곡을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다항식 기반의 직접학습 방식 사전왜곡 기법을 사용하여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켰다. 사전왜곡 기법은 전력 증폭기 전단에 전력 증폭기의 역특성을 가진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형적인 신호를 얻는 기법이다. 전력 증폭기의 정확한 역특성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항식으로 표현된 사전왜곡기의 계수가 오차 없이 수렴해야 하는데, 포화영역을 넘는 신호가 입력되면 그 계수 값이 수렴하지 않고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화영역을 넘는 크기를 가진 입력신호의 피크를 PAPR 감소기법으로 제거한 뒤 사전왜곡 기법을 수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1]. 본 논문에서는 PAPR 감소기법의 하나인 SSC(Sine Soft Clipping) 기법을 사용하여 포화영역을 넘는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다항식 사전왜곡기의 계수가 보다 정확한 값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클리핑을 수행한 신호에 Sine Wave의 반주기 크기의 신호를 더하는 SSC 기법을 사용하여 스펙트럼 방출을 최소화 시키고 다항식 사전왜곡기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SSC 기법을 적용한 신호와 적용하지 않은 신호, 백오프를 수행한 신호로 나누어 PSD 성능을 비교했을 때, 제안한 구조를 거친 신호가 백오프를 수행한 신호보다는 스펙트럼이 2 dB 정도 높지만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신호보다 4 dB 정도 개선되었다. BER 성능은 제안한 구조의 신호가 10-2 를 기준으로 6 dB 정도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전왜곡기의 특성곡선을 살펴보면 제안한 구조의 사전왜곡기의 계수가 적은 오차를 가지고 수렴함으로써 전력증폭기의 출력에서 선형성이 개선되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develop of a remote motion control system for capsule endoscop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se an external permanent magnet to measur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capsule endoscope with three magnetic sensors and two permanent magnets. In this paper, the real-time position determin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for acquiring position of capsule type endoscope in human body. Therefore, the passive manipulator system utilized for easily active drive using external permanent magnet. To locate the capsule real time two suggestions were made. It was to rotate the external magnet and measure to differences in magnetic flux, using the maximum and minimum data to calculate the position. In the max-min method, the experiments were achieved according to one case that wireless sensor modules are used. As a result, the closer from capsule to external magnet the less measurement error were produced, and especially the average error was less than 10mm. It was improved by complementing offset of determined position of capsule type endoscope according to their tendencies. In last chapter, Using permanent magnet's magnetic force and torque between both permanent magnets, magnetic force control technology was developed, which helps the capsule endoscope to move actively. If capsule endoscope is in strong magnetic force, intestines can get hurt. Otherwise, capsule endoscope cannot move. Therefo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agnetic force control is conducted to minimize intestines damage and enhance propulsive force to moving direction.

      • 왜곡칼만필터의 혼합에 관한 모의연구

        김치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규상태공간 모형은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는 칼만필터의 응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왜곡칼만필터의 혼합과 확장된 왜곡칼만필터의 혼합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닫힌 왜곡정규분포는 닫힌 왜곡정규분포의 척도혼합으로 확장된다. 일반화된 왜곡 t 분포는 왜곡되고 매우 두터운 꼬리를 가지므로 로버스트 분석에 알맞다. 목표 분포에 근사시키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특수 순차 몬테칼로 방법은 닫힌 왜곡정규분포의 랜덤 혼합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왜곡되고 두터운 꼬리를 가진 데이터를 동시에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론을 보여주기 위해 모의실험 데이터에 적용해 본다.

      • 왜곡된 형상을 통한 인간 정서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주기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왜곡된 형상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정서를 주제로 201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제작되고 있는 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형상을 왜곡하여 표현하는 기법을 통해 시각적으로 드러난 인간의 복합적인 감정과 정서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인은 사회체제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된 인간과 그 삶에 나타난 다양한 종류의 정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화면 속의 왜곡된 형상은 괴리를 겪는 인간의 억압된 감정을 비현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장에서는 ‘형상 왜곡의 유형’을 제시하고 ‘인간 정서의 회화적 표현’을 기법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베네딕트 크로체(Benedetto Croce)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사실적 표현과 왜곡 표현 간의 차이를 설명하고, 정서 표현에 있어서 형상 왜곡 기법의 유용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장 미셸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 제임스 앙소르(James Ensor), 이종빈,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작품을 통해 형상 왜곡의 활용 및 본인 작품과의 유사성을 설명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소외된 인간의 억압된 감정이 비현실성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와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의 체제론을 근거로 ‘해소되지 못한 욕망의 형상화’ 과정과 억압된 감정의 생성 원인을 설명한다. 끝으로 ‘에세이와 드로잉의 활용’에 대해서는 본인의 에세이 속에 내포된 정서를 회화로 옮기는 과정과 방법을 서술한다. ‘형상왜곡기법’은 작가의 감성이 반영된 심리적 기법으로 직관을 통해 정서를 드러낸다. 본인은 ‘형상왜곡기법’을 통해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그를 바탕으로 작품의 형성과정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둔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형상왜곡기법의 회화적 의미를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작업 태도와 창작 체계를 보다 공고히 하고자 한다.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is to get a better knowledge on complex emotion and sensitivity, which would be visually illustrated through distorted imaginary technique. This paper looks into my own works created between 2016 and 2019 in order to build insights on human emotion shown through the distorted imagery. Main theme of my work is to portray those with difficulties in assimilating to society and show different emotions reflected in their lives. It displays distorted imageries, a symbolic unrealistic illustration of their repressed emotion when in situation of social estrangement. In its 2 nd Chapter, different kinds of distorted imageries are presented, while ‘pictorial illustration of the emotion’ is examined from technique and connotation perspectives. From technique side, it compares and explains differences between realistic and distorted expression with reference to Epistemology by Benedetto Croce. It also speaks of usefulness of the distorted imaginary technique in context of emotional expression. It then makes an explanation on use cases and similarity with my own work of the distorted imaginary, referring to Jean Michel Basquiat, James Ensor, Lee Jongbin, Rene Magritte, and Francis Bacon. From connotation perspective, it explains process of how repressed emotion by those in situation of the social estrangement leads to dereism based on Sigmund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In addition, it describes a series of process behind ‘creating imagery of unfulfilled desire’ and explains cause of the repressed emotion based on theories by Thomas Piketty and Thorstein Bunde Veblen. last, for “Use of Essay and Drawing”, it elaborates process and means of how to transcribe the emotion connoted in my own essay into illustration of paintings. The distorted imagery technique is a psychological approach which is to represent emotion of the through intui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how to express the human emotion through the distorted imagery technique, the research aims to comprehend a pictorial meaning of the distorted imagery technique, and intends to consolidate the work attitude and the process of creation until today.

      • 선발용 인성검사의 형식이 응답왜곡(Faking)에 미치는 효과 : Normative, Ipsative, Hybrid 형식의 비교

        김상범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래전부터 조직의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이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조직과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고자 인성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인성검사의 형태는 대부분 Normative 형식의 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형식은 응답왜곡의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답왜곡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그 효용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대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응답왜곡의 통제 대안으로 Ipsative 응답방식이 주목받고 있지만 이 형식을 사용함에 있어 의견이 분분하다. 또한 Normative와 Ipsative를 혼용한 Hybrid 형식의 검사가 나타나고 있지만 응답왜곡을 통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사선발에 사용되고 있는 Ipsative 형식과 Hybrid 형식의 검사가 Normative 형식에 비해 응답왜곡 통제에 효과적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4개의 동일한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국내 W 공기업의 신입사원 선발용 인성검사의 Normative 형식, Ipsative 형식, Hybrid 형식을 사용하여 응답자들의 응답왜곡 가능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W 공기업의 현직자 208명과 대학생 3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현직자의 경우 W 공기업 본사의 협조를 받아 사내 직원들에게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경우 정직응답, 응답왜곡집단, 인재상 기반 응답왜곡 집단으로 학교를 분류하여 1차 검사(Normative)를 실시하였으며, 한 달 후 같은 대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한 집단은 Ipsative 형식의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다른 한 집단은 Hybrid 형식(Normative + Ipsative)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응답자들의 응답왜곡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는 고정관념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역량별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응답자들이 응답왜곡 상황을 지시 받았을 때 실제 응답왜곡에 어느 정도 성공적인지와 검사형식에 따라 응답왜곡 성공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응답상황과 검사형식에 따라 응답왜곡 성공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응답상황(정직집단/응답왜곡집단/인재상 기반 응답왜곡집단)과 검사형식(Normative /Ipsative /Hybrid)별로 배치하는 설계를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회사생활을 위한 역량별 중요도 평정 점수는 현직자들의 평정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응답상황 및 검사형식에 따른 응답왜곡 성공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For a long time, it has been of utmost importance to ensure the personnel selection criteria of any organization is of the highest level. For this reason, many organizations use the method of personality tests when selecting new personnel. Usual personality tests are in the normative form which require question and answers but which can sometimes be distorted. In order to regulate these kinds of question and answer methods, much research has taken place pinpoint their effectiveness but as such a lot of conflict remains. The Ipsative question and answer method is now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for controling such selection methods but opinions differs as to its effectiveness. Also, in addition to the Normative and Ipsative methods, a Hybrid test has also emerged to control the question and answer method. Whether this method can prove to be effective must be researched. Following, this study aim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Ipsative, Hybrid and Normative methods and will identify which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regulate personnel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used a large public enterprise domestic company W and used the Normative, Ipsative and Hybrid tests to see which test would offer the best results when used upon possible new company personnel.W W employees and 32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instance of W employees, tests were undertaken at the workplace whereas for the students, each student undertook the Normative test at their universities as a first round interview, whereas the remaining two tests were taken a month later as part of a second round interview. In the second round interview, the group of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One group took the Ipsative test whereas the other goup took the Hybrid (Normative + Ipsative) test.In order to determine the successful candidates, the quantity of each test was rated. Also, the answers provided by each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were assessed in terms of the instructions they were given beforehand and how they performed accordingly in the real test.

      •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체형인식 왜곡현상과 이와 관련된 식습관 및 신체활동 양상 :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0)를 중심으로

        이시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중요한 주인공이므로 그들의 올바른 성장과 발달을 돕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체중 감량은 영양 불균형, 성장장애, 섭식장애, 호르몬 불균형, 탈모, 피부노화 등의 신체적인 문제와 낮은 자존감과 열등감, 대인관계 장애, 우울증, 불안증, 강박관념 등의 심리적 문제를 일으켜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더 나아가 이런 현상은 다양한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 불임으로 인한 출산율 저하 등 국가적인 손실로도 이어질 수 있다. 체형인식 왜곡 현상의 감소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립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자신의 BMI(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정상체중과 비교해봄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대해 올바르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면 그에 맞는 교육 또한 제공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균형 잡힌 식생활, 이로운 간식 선택, 간단한 한 끼 조리법 등 다양하면서도 청소년의 흥미를 끌 수 있는 프로그램 계발도 추진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에게는 학업이 가장 우선시되고 있어 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신체활동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청소년이 운동부족에 해당된다. 체중감량을 희망하는 여자 청소년 중 대다수가 꾸준한 운동 대신 음식 섭취 줄이기를 선택하고 있다. 이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건강체중 유지를 위해서는 신체활동도 중요함을 강조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체형인식 왜곡현상에 큰 영향을 미친 요소는 대중매체로 형성된 사회적 분위기이다. 대중매체에서는 지나치게 외모를 중요시하고 마른 체형을 선호하고 있으며 극단적인 다이어트 성공 사례, 우상화를 통한 잘못된 다이어트 상품의 마케팅도 나타나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청소년들은 대중매체가 전하는 정보가 전문성을 지닌 정보라고 믿으며 그들의 방식대로 음식을 조절하면 똑같이 이상적인 체형을 갖게 될 것이라 생각하며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시작한다. 단기간으로 실시하는 극단적인 다이어트는 건강의 균형을 깨트리고, 성장과 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치지만 자신의 체형을 바르게 인식하고 올바른 건강 습관을 길러 정상체중으로 가기 위해 노력한다면 그것은 건강한 청소년이 되는 좋은 방법이다. 체형, 다이어트와 관련된 무분별한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는 정보사회에서 청소년들이 타당하고 옳은 정보만을 받아들일 수 있게 영양교육이 앞으로는 더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며,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문화와 인식도 이제는 변화되어야 한다. Adolescents are important characters who will lead the future of our socie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help them grow and develop properly. In adolescents, indiscriminate weight loss causes physical problems such as nutritional unbalance, growth disorders, eating disorders, hormonal unbalance, hair loss and skin aging, and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low self-esteem and inferiority complexity, interpersonal disorders, depression, anxiety and obsession. Furthermore, this phenomenon can lead to national losses such as socioeconomic losses caused by various diseases and declining fertility rates caused by infertility. In order to reduce the phenomenon of distortion of body type, it is first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training to establish the correct perception of the body type. By measuring one's BMI (body mass index) and comparing it to normal weight, one should be able to correctly recognize one's body, and if weight control is required, a lot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appropriate training can be performed. A variety of programs should also be promoted to attract adolescents, including balanced diet, selection of beneficial snacks, and simple one-meal recipes. Currently, schooling is the top priority for Korean adolescents, so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essential for growth and health maintenance is overlooked, and most adolescents fall under the lack of exercise. The majority of female adolescents who wish to lose weight choose to reduce their food intake instead of constant exercise. This indicates a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d thus physical activity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weight to induce behavioral changes. A major influence on the distortion of body shape is the social atmosphere formed by mass media. In the mass media, too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appearance and preference for a skinny body, and extreme diet success stories and marketing of wrong diet products through idolization are also appearing. Due to this effect, adolescents start extreme diets believing that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media is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that they will have the same ideal body type if they control food in their own way. Extreme diet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breaks the balance of health and adversely affects growth and development, but it is a good way to become a healthy adolescent if you recognize your body type correctly and strive to get to normal weight by developing proper health habits. In an information society where indiscriminate information related to body shape and diet is pouring ou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so that adolescents can accept only valid and correct information, and our society's culture and perception of ideal beauty should now be changed.

      • 왜곡 제거 시계열 및 윤곽선 매칭의 시각화 도구

        문성우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왜곡 제거 시계열 매칭 및 윤곽선 매칭의 시각화 도구를 제안한다. 시계열 및 윤곽선 매칭에서 왜곡 제거 지원은 정확한 유사 검색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순수 시계열 데이터와 윤곽선 이미지 기반 시계열 데이터 두 가지를 사용하여 왜곡 제거 시계열 매칭을 수행한다. 순수 시계열 데이터 기반 왜곡 제거 매칭에서는 시계열에서 발생하는 잡음, 위치 이동, 진폭 조정, 선형 추세 등의 왜곡들을 이동평균 변환, 정규화 변환, 선형 추세 제거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 제거한 후 시계열 매칭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시각화 한다. 다음으로, 윤곽선 이미지 매칭에서는 윤곽선의 노이즈, 스케일링, 회전, 대칭 등의 왜곡을 이동평균 변환, 스케일링 변환, 삼각 부등식, 시계열 대칭 기법으로 제거하고 매칭 결과를 시각화 한다. 윤곽선 이미지 매칭에서 이미지의 왜곡을 직접 제거하는 일은 매우 많은 연산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시계열을 추출하고, 추출한 시계열에서 왜곡을 제거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시각화 도구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기반으로 설계 및 구현한다. 먼저, 시계열 데이터 기반 시각화 도구의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계열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왜곡 등을 서버에 전달하며, 서버로부터 반환 받은 매칭 결과를 다섯 가지 차트로 시각화 한다. 서버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R*-트리 기반의 다차원 인덱스를 구성하여 왜곡 제거 시계열 매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매칭 결과를 클라이언트로 반환한다. 다음으로, 윤곽선 이미지 매칭의 클라이언트는 왜곡 제거 방법과 이미지에서 추출한 시계열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반환 받은 결과를 시각화 한다. 윤곽선 이미지 매칭 시각화는 시계열 매칭 시각화와는 달리 시계열 데이터와 원본 이미지 데이터 모두를 시각화 함으로써, 시계열 및 대응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의 직관적 이해를 향상시킨다. 서버는 이미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왜곡 제거 윤곽선 이미지 매칭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구현 결과, 왜곡 제거를 통해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이미지, 라인 차트, 폴라 차트 등을 사용한 시각화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 이해 향상에 공헌하였다. 키워드: 시각화, 시계열 매칭, 윤곽선 이미지, 이미지 매칭, 왜곡-불변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ualization tool for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and distortion-free boundary matching. Supporting the distortion-free proper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ime-series or boundary matching to get more accurate matching results. In the paper, we perform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by using two data types: one is pure time-series data, and another is time-series data extracted from boundary images. For the pure time-series data, we perform the time-series matching and visualize the result after removing the distortions of noise, offset translation, amplitude scaling, and linear trend. Those distortions are removed by moving average transformation, normalization, and linear detrending techniques, respectively. Next, boundary matching visualizes the result after removing the distortions of noise, scaling, rotation, and symmetry by using moving average transformation, scaling transformation, triangular inequality, and time-series symmetry techniques. In the cases of boundary image matching, the serious overhead occurs frequently when we remove the distortions in the image domain direct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time-series from image data and use the time-series matching technique when we remove distortions from the extracted time serie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roposed visualization tool based on the client-server model. First, the client sends the distortion-free method and a query time-series data to the server then, the client visualizes the result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five different charts. The server constructs a multidimensional index the R*-tree from the time-series database. Thus, it is able to perform the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efficiently. The server finds the matching result and returns it to the client. In the boundary image matching, the client sends the distortion-free method and the time-series data extracted from a boundary image to the server. It then visualizes the matching result returned from the server. The visualization of boundary image matching differs from the time-series matching in that it uses both the time-series data and its original image data. This results in improving the user's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user through the time-series and its corresponding image. The server returns the results to the client after performing distortion-free boundary image matching from the image time-series databas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ccuracy of time-series and boundary matching is improved by supporting the distortion-free property. We also contributed to enhancing user's intuitive understanding by using the visualization tool which takes advantage of image, line chart, and polar chart. Keywords: visualization, time-series matching, boundary image, image matching, distortion-free

      • 안경렌즈의 물리적 변형과 자각적 불편감 분석

        허웅열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의 시력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시력변화 없음에도 새로운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오는 어지러움증과 같은 불편함과 새로운 안경렌즈에 대한 왜곡정도와 커브변화가 잘못된 조제가공의 결과물로 보고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안경렌즈를 도수별, 굴절률별, 코팅별, 안경테의 재질별, 모양별, 가공방식별로 나눠 렌즈에 대한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과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다른 전신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0.9이상은 성인(만20세이상~ 만43세이하) 146명중 굴절력 변화가 있는 11명(남자 7명 여자 4명), 굴절력 변화는 없지만 안경테의 모양, 재질, 크기등의 변경으로 총 32명 (남자 18명 여자14명)을 제외한 기존과 굴절력이 변화 없고 안경테의 모양, 재질, 크기등의 변경 없이 안경을 맞춘 총 103명(남자 55명 여자48명) 206안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왜곡측정 방법은 왜곡측정기의 원형을 5 mm별로 원형을 그려 5개의 원형을 만들고 다시 사선을 4개를 그어 총 40개의 영역을 만들 후 그 영역의 한 칸을 1점으로 계산해 최저 0점에서 최고 40점까지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렌즈의 커브변화는 가공 전 안경렌즈의 전면커브를 측정한다. 측정은 디지털 커브게이지를 사용하였고 측정위치는 렌즈의 광학중심점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커브의 양은 0.25 단위로 측정하였다. 가공 후 렌즈를 프레임에 삽입을 한 후 다시 렌즈의 전면커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3번을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t-test(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여, 각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에 대한 상관관계와 왜곡정도와 커브변화가 어지러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5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의 굴절률에 따라 왜곡정도와 어지러움에 대한 분석결과 굴절률이 1.67인 그룹이 굴절률이 1.56, 1.60인 그룹에 비해 왜곡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렌즈 굴절률에 따라 어지러움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그룹간 차이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렌즈 설계방식에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의 차 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팅종류에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은 커브변화와 어지러움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코팅종류 중 초경발수코팅에 대해서 커브변화와 어지러움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프레임 재질에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은 커브변화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탈 프레임 재질의 커브변화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프레임 모양에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은 마찬가지로 커브변화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 가공 방식에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 정도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온테와 반무테 모두에서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굴절도수별 따른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 정도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커브변화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곡정도, 커브변화, 어지러움 정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어지러움증은 커브변화보다 왜곡정도와 상관이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어지러움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왜곡정도가 직접적인 요인임을 밝혀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테의 왜곡과 커브변화등의 물리적 변형과 그에 따른 어지러움의 발생은 착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한 안경테와 렌즈의 선택과 정밀하지 못한 안경렌즈의 가공상의 문제로 인해 유발된다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테와 렌즈의 선택과 조제 가공시 테와 렌즈이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적절하고 정밀한 가공과 조 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영상분할 방법 기반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카메라의 렌즈왜곡 보정

        배장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렌즈 왜곡현상은 머신비전 시스템에 있어 필연적인 현상이며 가격과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렌즈의 선택으로 왜곡현상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로 왜곡보정의 필요성은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지만 기존의 카메라 모델을 이용한 왜곡보정 방식은 그 비선형 때문에 복잡하고 많은 연산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보정방법 역시 정확성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K-means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왜곡영상을 실제 왜곡정도에 따라 분할한 후 두 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한다. 첫 번째 알고리즘의 경우 최적의 인공신경망을 구축하고 영상을 분할한 후 각 분할영역에 같은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다. 두 번째 알고리즘의 경우 영상을 분할한 후 각 분할영역에 서로 다른 구조의 인공신경망을 적용한다. 그 결과 새롭게 제안된 영상분할을 적용한 신경망 알고리즘은 영상분할을 하지 않은 기존 방법들보다 더 정확한 왜곡보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새롭게 제안된 영상분할을 적용한 신경망은 간단한 구조로 충분하기 때문에 설계 시 시행착오와 학습시간을 감소시켜 더 효율적인 왜곡보정을 할 수 있었다.

      • 영상의 분산 및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주관적 화질 향상 율-왜곡 최적화

        정상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율-왜곡 최적화란 주어진 데이터 양으로 최선의 화질을 가진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최적화를 통해 영상의 왜곡과 영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양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최선의 화질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통상의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는 측정하는 화질의 기준으로 PSNR(Peak Signal-to-noise ratio)를 사용하여 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PSNR은 HVS(Human Visual System)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어 사물의 구조적 특성에 더 민감한 HVS를 고려한 화질 평가 방법인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tric)이 연구 되었고 이후 관찰자와 디스플레이 간 거리까지 고려한 MS-SSIM(Multi Scale–SSIM)이 연구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EVC의 율-왜곡 최적화 왜곡의 척도를 PSNR 대신 HVS가 고려된 이미지 평가 방법인 MS-SSIM을 사용하여 MS-SSIM의 관점에서의 최선의 화질을 구하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율-왜곡 최적화에서 적절한 데이터와 왜곡의 조절에 사용 되는 Lagrange Multiplier(λ)에 원본 영상의 특성에서 추출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MS-SSIM을 높이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되는 특성에는 분산, MS-SSIM에서 사용되는 Scale간 연관성, 주파수 특성이다.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λ 가중치를 통해 율-왜곡 최적화를 수행 한 결과 부호화 시 Anchor(HEVC reference software, HM16.6)의 결과 보다 BD-rate 기준 MS-SSIM은 대폭 상승하고 PSNR는 소폭 감소했다. 예를 들어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율-왜곡 최적화는 Anchor 대비 Low Delay 조건에서 MS-SSIM은 15.3% 상승 하였고 PSNR은 6% 감소 하였다. 기존 MS-SSIM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연구에서 얻은 결과인 MS-SSIM의 12.7% 증가, PSNR 36% 감소와 비교하면 MS-SSIM은 2.6%, PSNR 30% 개선시킴으로 기존 연구보다 뛰어남을 보이며 목표하던 관찰자의 주관적 화질 측면에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R을 이용한 왜곡된 모형에 관한 연구

        박형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데이터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때 모형 적합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런 비정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정규분포로 적절하게 데이터를 변환하여 모형을 적합 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적절한 변환을 찾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모형에 대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본래척도에서 데이터를 작업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오차항을 정규분포로 가정하지 않고 왜곡분포로 가정하여 모형을 적합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왜곡분포 모형에 대한 대략적인 이론적 배경과 왜곡분포 모형적합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실제 왜곡이 있는 데이터를 R을 이용하여 모형 적합을 적용하고 오차항이 왜곡분포 일 때 왜곡분포 모형적합이 효율적인지 알아본다. There is a situation to do a model fitting when data is not normally distributed. To deal with such non-normal data, we apply a model fitting after a suitable transformation of data which makes those normally distributed. However finding a suitable transformation is sometimes difficult and, for easy interpretation, it is often preferable to work with data in the original scale.This study focuses on model fitting methods that error terms are assumed to follow skewed distributions instead of a normal distribtion. To do so, we first explain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skewed distributions and then their model fitting. We apply the skewed model fitting methods using R for some real skewed data. And then it is checked that whether the skewed model fitting methods are effective or not when the error terms follow the skewed distrib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