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성(Spirituality)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영성증진과 소진극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원희 위덕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program is to study how the applied the spirit of collective social worker program affects the promotion of the spirit of social workers and the effectiveness of influence of burnout overcoming. Thus this program is aimed to verify whether this promotion of spirituality can help the prevention and restoration of burnout by the growth of the inner self-awareness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this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conducted research for the study of spirituality, spiritual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spirituality and its restor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burnout restoration by the promotion of spirituality, the spirituality program is applied directly to active social workers. The research is targeted to social workers who are employed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y at P city. The total number of 20 people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0 people and a control group of 10 people. The spirituality program was only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otal 8 times of once week during about 2 months. And after three months, an outcome assess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The two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had all pre-tests, post-test and outcome assess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pirituality enhancement and burnout restoration by social workers.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using two assessment surveys of spirituality and burnout. For every session, data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parallel based on the activity log book, presentation materials, and feedback report, recorded information, and observ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is spirituality program was analyzed in an effective help for the social workers to promote their spirituality. Spirituality program to promote the spirit of social work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alyzed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relatively high. The control group, in the spirit of the entire pre and post-program examination did not se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the sub-factors. Thus, there is no change for spirituality. Meanwhile,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s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o improve the program to be effective, according spirituality. Second, this spirituality program was effective to the burnout restoration based this research and analysi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with the program of the Spirituality of treatment to overcome the effects of depleted group as a whole experiment, the average reduction of the control group appears to be a big difference, which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sub-factors, dehydrated and burnout and emotional effects of the reduction in impersonality factor showed the effects in reduction.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accomplishment factor was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ful. Third, an outcome assessment on spirituality and burnout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gram. The spirituality enhancement and effects of burnout restoration by the experimental group continued in effective of three months. Whil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for pre-test, post-test and outcome assessment. In conclusion,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rogram,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the spirituality of the self-awareness and social workers, the promotion of spirituality and healing, in reality, given all due to face the pain of life, a true self-understanding and by accepting the love through the wa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store the burnout and to transcend self-oriented.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research, unlike other studies suggested the alternative treatments for social workers’ burnout. That is required the spirituality enhancement, which is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ctually working in the field of social workers to apply the effects of spirituality have been provided. 본 연구는 영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영성증진 및 소진극복에 미치는 효과성을 연구하여,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성의 증진이 사회복지사의 내적 성장으로 인한 자기인식 확대와 자아정체감 확립으로 소진을 예방·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필요성과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소진과의 관계를 제시하고, 영성증진이 소진극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현장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영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직접 적용시켜 보았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하는 사회복지법인 산하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인원은 20명으로 10명은 실험집단, 1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만 영성 프로그램을 약 2개월 동안 주 1회씩 총 8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3개월 뒤 추수검사를 하였다. 영성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영성증진 및 소진극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실험, 통제) 모두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개(영성, 소진)의 검사지를 사용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매 회기마다 회기 활동지, 소감문, 발표내용, 녹음내용, 관찰 등을 자료로 하여 효과에 대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인 영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회복지사는 영성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영성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영성증진에 대한 효과분석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경우 영성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영성에 대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이 영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영성 프로그램은 사회복지사의 소진극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영성 프로그램을 통한 실험처치의 소진극복의 효과는 전체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치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의 하위요인에서는 정서적 탈진과 비인격화의 요인에서 감소의 효과를 보였으며, 성취감 감소의 요인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영성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성과 소진에 대하여 추수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영성증진과 소진극복에 대한 효과는 3개월간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추수검사에서 영성과 소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양적 분석과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내용분석을 종합해 볼 때, 영성 프로그램을 통한 영성증진은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확대와 치유로 인해 현실에서 주어지는 온갖 삶의 고통에 직면하고, 진정한 자기이해와 수용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함으로써, 소진을 극복하고 자기초월을 지향하는 기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가치는 타 연구와 달리,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영성이 필요함을 문헌조사를 통해 고찰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영성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그 효과성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 영성지향감사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적행동,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영성지향 감사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공격적 행동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I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0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20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유아에게 감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로 모든 유아에게 사전검사인 공격적 행동, 자기 조절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이 이루어진 후 실험전반에 실험처치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15일부터 2010년 12월 10일까 12회에 걸쳐 감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 집단에는 유치원 기본 교육과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처치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의 공격적 행동 검사와 자기조절력 검사를 사후 검사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도구로는 공격적 행동 검사 도구는 박인경(2005)의 공격적 행동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기조절력 검사 도구는 김지아(2002)의 자기조절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료 분석은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으로 연구문제 별로 평 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 - 검증과 대응표본 t - 검증, 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물 공격행동, 대인 공격행동, 언어적 공격행동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프로그램 유아의 공격적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대물 공격행동, 대인 공격행동, 언어적 공격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유치원 기본교육과정만 적용한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공격적 행동이 다소 낮게 나타나 감사프로그램이 생활주제에 따른 기본 교육과정보다 공격적 행동의 감소에 보다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유의한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 통제력, 충동성감소, 주위집중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프로그램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증가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 통제력, 충동성감소, 주위집중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 프로그램이 유치원 기본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적인 활동보다 자기조절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영성지향을 위한 감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적 행동, 자기 조절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 감사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었을 때, 유아의 영성 향상에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유아의 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나아가 유아에게 적합하고, 효율적인 영성 교육이 되기 위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pirituality-oriented inspection program on a child's violent behavior and self control.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40 children of age 4 who are at I kindergarten located in Nam-Gu, Ulsan. 20 of them was put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rest 20 was put in the control group, the inspection program was run on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s an inspection for this study, all children were inspected about violent behavior and self control as a pre-inspection. After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were proven,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done all through the experiment. We conducted an inspection program for 12 times from November 15th in 2010 to December 10th in 2010 on the experiment group. For the control group we conducted a basic kindergarten curriculum. After this experimental treatment, we conducted a violent behavior inspection and self control inspection as the post-inspection which has the same contents as the pre-inspection. As for tools of this study, for violent behavior inspection tool we used Inkyung Park's violent behavior inspection tool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m, and for self control inspection tool we used Jia Kim's self control inspection tool. For this study,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 - verification, corresponding sample t -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4.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after inspecting the effects of the spirituality-oriented inspection program on a child's violent behavior, the effects on a child' violent behavior the teacher identified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violence against a thing, violence against a person, verbal violence more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result shows that the spirituality-oriented inspection program showed a meaningful effect in reducing the child's violent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n a child's violent behavior identified by the parent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violence against a thing, violence against a person, verbal viol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children to which the inspection program was applied showed somewhat less violent behavior than the children to which only the basic curriculum was appli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nspection program is more positive in the reduction of violent behavior than the basic curriculum of living subjects, but it didn'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that draws attention. Second, after inspecting the effects that spirituality-oriented inspection program has on a child's self control, the effect on a child's self control as the teacher identifi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elf control, reduction of impulses, and concentration, more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at is, the result shows that the spirituality-oriented inspection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increase of the child's self control. This result shows that the effects on a child' self control as the mother identifies has more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the self control than general activities of spirituality-oriented inspect program that follows the basic curriculum.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o far, the spirituality-oriented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a child's violent behavior and self control. An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the continual use of the inspection program will have much effects in enhancing a child's spiritualit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spirituality of children, the inspection program is needed and furthermore, much interest and study will be needed to make a spirituality-oriented education that is proper and effective to children.

      • 청소년의 전인건강 향상을 위한 영성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고경숙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전인건강 향상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전인건강 향상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청소년의 전인건강 향상을 위한 영성 프로그램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전인건강과 연계한 영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독교 영성과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영성 향상과 관련된 문헌연구 및 선행 개발 프로그램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전인건강의 공통요인과 영성건강에 대한 하위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구성요소 및 활동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정하고 목표에 근거하여 측정도구를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주제별 내용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설계에 맞추어 참여자 요구도 분석과 예비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청소년용 영성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를 위하여 178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9회기의 예비실험 결과와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새로운 집단에 적용하였으며, 참가자의 반응을 토대로 피드백을 실시하면서 총 8회기를 적용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평가를 위하여 사전과 사후 영성수준과 전인건강 척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진구에 소속된 M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8회차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효과검증 방법은 사전과 사후 영성 및 전인건강을 측정하여 SPSS Ver.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집단의 사례 수가 적어 Kolmogorov-Smirnov Z 검증 결과 모수적 분석기법을 적용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Paired t 검증과 M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반응과 회기별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성 프로그램은 내용과 구성이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영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전인건강도 증가하였다. 또한 영성의 증진은 전인건강을 높이는데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영성 프로그램은 구성 내용이 적합하며 청소년과 전문가의 요구조사 및 포커싱을 하고 그 것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참가자의 종교와 관계없이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부감 없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청소년 집단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뚜렷한 방안이 없는 현실에서 청소년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알며, 내적자원의 가치를 자각하고 다른 개체와의 소통과 사랑 및 사회 적응능력에 대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점에서 프로그램의 장기적 적용 가능성이 있다. 참가자들이 영성의 하위요소인 자각이나 사랑에 대한 변화는 없었으나 삶의 의미와 목적, 내적자원, 소통과 적응능력에 대한 변화를 보여 지속적인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함을 알게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는 청소년의 자신감과 정서적 요인 및 자기보호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유해한 것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넷째, 영성의 변화가 전인건강을 높이며, 무엇보다 영성이 높아지면 자신감이 매우 높아진다는 결과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데에도 영성이 필요함을 알게 해 주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의 불안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을 줄이고 자신의 삶의 목적을 찾아 이를 위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영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봉사심 함양에 미치는 영향

        조연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영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봉사심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S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4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영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는 위인전, 동화, 신문에서 발췌한 이야기들을 활용한 내향적 활동(명상)과 외향적 활동(봉사체험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검사, 수업처치, 그리고 사후검사로 진행되었다. 먼저 사전검사는 대상학생들의 봉사경험여부, 선호봉사분야, 봉사참여동기, 봉사활동인식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업처치는 아침시간을 활용한 명상활동(20차시)과 재량시간을 활용한 봉사체험활동(16차시)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 차시마다 참여 학생들로부터 프로그램에 관한 소감문을 받았다. 끝으로 사후검사에서는 영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정도, 선호하는 봉사활동분야, 봉사활동 참여 동기, 봉사에 대한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통계자료는 빈도통계와 t-검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봉사활동에 관한 인식과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그들의 봉사심 함양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영성교육 프로그램과 봉사심 함양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봉사심을 드높일 수 있는 장기적인 영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영성 독서 프로그램이 교회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조현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영성 독서 프로그램이 교회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ㅈ구 ㄷ교회 고등부 1,2 학년으로 실험집단 7(남학생4명, 여학생3명)명과 통제집단 7명(남학생4명, 여학생3명)으로 구성하여 발달적 독서 치료 원리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영성 독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질적분석과 양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분석은 연구자의 참여관찰과 대상자들의 글쓰기 중심으로 이루어진 독후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양적분석은 독서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 자아정체감 검사를 실시하여 미니텝으로 실험집단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 독서 프로그램은 교회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초기에는‘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답을 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자아 인식과 함께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프로그램이 끝날 즈음에는 자신을 전 존재로 수용하게 되었고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게 되었다. 또한 미래에 대한 확실한 목표와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에게 실시한 자아정체감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 영성 독서 프로그램이 교회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하위변인에서는 주체성, 자기수용성, 주도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부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친밀성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는 본격적인 프로그램 실행 기간이 짧은데 원인이 있다고 판단된다.

      • 한국인의 영성체험 연구

        오미성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654

        본 논문은 한국인 영성 체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밴 매넌(Max van Manen)의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단계는 4단계로 구성되매있는데 먼저 체험의 본질에 집중한 다음, 연구참여자의 경험적 진술과 문학을 비롯한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등을 검토하여 실존적 탐구단계를 거쳐한국인의 영성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을 위해 2000년 7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참여자는 10대에서 80대까지의 한국인 남녀로 각각 14명씩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들은 천주교, 기독교, 불교, 원불교 등 각각 다른 종교를 갖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외 巫俗人이나 성직자,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도 모두 포함되었다. 자료는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참여자의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반(半)구조화된 질문지로 120분 테이프로 녹음하여 필사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면담횟수는 1~3회로 1회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부터 최고 8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면담에서 진술이 애매하고 부족한 경우 참여자를 다시 만나거나 면담내용을 전화로 확인하는 등의 보충기회를 가졌다. 연구자는 인간이 영성체험을 하면 갈등과 고통 속에서도 새로운 시각으로 인생을 보게 되고 희망적이 된다는 전제아래, 한국 사람들의 살아가는 힘의 원천인 '깡다구'의 본질은 영성의 본질과 상통하리라는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질문은 영성과 관련하여 주로 논의되어온 기도, 삶의 의미, 죽음에 대한 불안을 중심으로 구성한 것으로 아래와 같다. - 살아온 과정 중에 가장 어려웠던 때는 언제인가? - 그 어려움을 어떻게 견디어 냈는가? - 어려움에 처하면 흔히 죽음을 생각하는데 죽지 않고 살아온 이유는 무엇인가? -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어려움을 견디는 과정에서 겪은 특별한 경험은 무엇인가? - 어려움을 극복한 뒤에 전과 달라진 변화는 어떤 것인가? - 삶의 의미와 보람은 어떤 때 실감하고 그때의 느낌은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 결과 한국인의 영성체험의 본질을 다음의 7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이들 주제들이 어느 정도의 순차성을 지니는 나선형적 순환구조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 1. 이상을 실현하려는 열망을 가짐 주제 2. 주어진 상황을 피를 말리며 헤쳐나감 주제 3. 좌절 끝에 절대적인 힘에 의지함 주제 4. 초월적인 힘을 실감함 주제 5. 마음이 열려 세상이 다르게 보임 주제 6. 조화로운 관계 속에 더불어 살아감 주제 7. 충만한 생명력을 실감함 위의 본질적인 주제들을 통해, 한국인의 '영성'은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인간에게 내재된 충만한 생명력이며, '영성체험'은 그 충만한 생명력을 깨닫고 발휘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성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혀 그 고유한 양상을 이해함을 통해 한국인의 영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할 것이다 또한 간호사들이 간호대상자에게 영적 간호를 포함한 총체적인 간호를 실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우선, 간호 실무적 측면에서 간호대상자들이 어려움을 어떻게 느끼고 받아들이는지 파악하여, 그들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동기 유발을 시켜주고, 대상자의 영성체험 과정을 파악하여 그 단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중재를 해줘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해준다. 다음으로 본 연구결과는 영성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바탕으로 한 실제적인 영적 간호를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먼저 간호사 및 간호학생들은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영성체험의 본질씩 주제에 따라 자신의 영성체험에 대한 통찰의 기회를 갖게되고, 주제에 따른 영성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할 근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간호연구측면에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영적 건강 측정도구 개발 및 영적 간호 중재 개발에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리라고 기대한다. 또한 제시된 영성체험의 본질적인 주제들이 성별, 연령별 및 건강문제 별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차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영성은 인간에게 내재되어 이상을 실현하려는 충만한 생명력이라는 차원에서 이에 대한 다학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2. 간호대상자의 종교에 따른 영성 체험이 건강회복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에 대간 연구가 필요하다. 3. 한국인의 영성체험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본질적인 주제들을 반영한 한국적인 영성각화 프로그램 및 영성측정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4. 한국인의 영매체험을 기초로 하여, 간호사들의 간호 상황에서의 영성체험과 간호대상자들의 건강회복 과정에서의 영성체험에 대한 인구를 통해, 한국적인 영적간호중재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l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Koreans In term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process can be divided into 4 phases: focusing on the essence of experience;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words and idioms, and collecting relevant phenomenological data from literary and art works and participants' experiential statements, as an existential investigation; and do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8 Koreans in the age of 10 to 80, 14 men and 14 women with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both clergymen and laymen, of Roman Catholic, Protestantism, Buddhism, Won-Buddhism, traditional divination, and atheism. Data for the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July 2000 to February 2002, by intensive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previous written agreement, tape-recoloed in 120 minutes cassettes and later transcribed. The researcher, focusing on the following questions, has collected relevant materials under the assumption that spiritual experience through struggle and anguish makes man see life anew and look things hopefully; that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spirituality and the essence of driving force readily found among Koreans, so called "Kkangdagoo" (tough guts). The questions are made mainly on the topics usually discuss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that is, prayer, the meaning of life, and the anxiety of death. - When was your hardest moment in life? - How have you overcome the hardship? - Most people think of death during hardship. What made you keep your life? - What do you think of death? - What was your special experience in the course of suffering? - What is the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overcome of hardshlp? - When do you acutely aware the meaning of life, and how do you feel at that mo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ssence of spiritual experience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7 themes that constitute a spiral and cyclic structure in somewhat sequential order. Theme 1. Having aspiration to attain ideal. Theme 2. Struggling desperately to overcome the given situations. Theme 3. Depending on absolute power after frustration. Theme 4. Realizing transcendental power. Theme 5. Looking anew with open mind. Theme 6, Living in harmony with others. Theme 7. Realizing vital life force. Through the above-mentioned themes, the meaning of 'spirituality' for Koreans cart be analogized as vital life force intrinsic to human beings who live to make their ideals come true, and 'spiritual experience' as the realization and exertion ,31 that vital life force. This study, an examination of the essent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Koreans, may help to understand inherent aspects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 and to have a new insight thereof.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omprehensive nursing on the clients, including spiritual ca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in the science of nursing: First of all, in nursing prac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nurses should observe how the clients feel and accept their individual hardships, give them a motive to draw their potentials, and mediate them to overcome current phase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 Further, the research result of this study can also be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practical spiritual nursing based the nature and meaning of spiritual experience, Nursing students and nurses can have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ir own spiritual experience and to prepare the ground of developing spirituality reinforcing program, according to the essential themes of spiritual experience suggested in this study. Finally, in nursing research,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nursing mediation and measuring tools of spiritual health, as well as the necessity of study on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uggested spiritual experience phases by sex, age, and health problems.

      • 성경적 치유에 근거한 주일학교 멀티미디어 영성 프로그램 연구

        주정희 고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사회 · 문화적 환경 변화는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은 정보화와 세계화를 추구하는 멀티미디어 시대를 사는 주일학교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능력을 요구하고 새로운 교육의 장을 제공하게 된다.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력을 가지고 개별화 교육을 받고 있는 현대의 어린이들은 다양함과 개성화의 강조속에 자신의 능력 향상을 위해 부단히 달려가지만, 컴퓨터 문화가 주는 병폐속에서 가치관과 신앙관이 혼란되어지고, 과거의 주일학교의 주입식 교수-학습 방법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한 어린이 교육에 대한 사역자들의 이해의 부족으로 현재의 주일학교 교육이 멀티미디어 세대에게 주는 영향력은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신앙교육의 목표는 정보 사회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영성을 가진 신앙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경적 치유를 통한 영성 회복이 일어나야 하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말씀과 찬양, 예배 회복, 성경활동 프로그램, 상담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치유자는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세대의 신앙교육에 있어 새로운 모델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멀티미디어 영성 프로그램'으로 명명하고 정보사회의 주일학교 어린이가 알아 들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신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을 형성하여 영성이 회복되는 성경적 치유을 이루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영성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사역에 동참하고 있는 컴퓨터 전문인 선교회인 CTM(Computer Tentmaking Mission)의 교회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성경적 치유에 근거한 주일학교 멀티미디어 영성 프로그램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시대의 어린이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맞는 신앙교육인 '멀티미디어 영성 프로그램'의 근거를 정보사회의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두고 있다. 둘째, 멀티미디어 시대의 어린이들의 영성회복을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나아가 전환경적인 회복을 위해 성경적 치유의 개념을 재고하고자 한다. 셋째, 멀티미디어 시대의 어린이들의 성경적 치유를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의 영성을 회복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찬양과 예배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적용을 통해 은혜성과 예배의 회복을 돕는 자료로 제시하고 멀티미디어 설교를 통해 주일학교 어린이들에게 성경내용을 잘 전달하며 그들이 잘 숙고하여 삶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성경활동 프로그램은 주일학교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특별활동을 성경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경구절, 성경인물 성경사건 등을 재미있고 신나게 공부하며 그들이 말씀에 좀 더 친숙해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인터넷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 정보의 공유와 개인 상담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세대들에게 그들이 알아듣고 이해하는 눈높이에서 말씀을 가르치고 이를 동해 치유의 역사가 일어나기를 기대함에 있다. 또한 주일학교 사역자들에게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하여 정보사회의 가장 바른 정보인 '말씀'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컴퓨터 문화가 준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 멀티미디어 세대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영향력있는 사역자들이 되기를 기대한다.

      • 교회 청소년 신앙발달을 돕는 영성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송수정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논문은 청소년들을 바로 이해하고 그들의 신앙발달에 도움을 주는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서 첫째,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과제를 다루었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감 때문에 고민하고 갈등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신앙발달과 과제를 다루었다. 신앙은 청소년들의 삶에 안전과 자원을 제공하고 인생의 목적과 목표를 발견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며 세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안목을 갖게 하고 하나님과의 사랑의 관계를 제공해 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앙발달을 돕는 영성훈련을 다루었다. 청소년기의 영적 체험과 그들의 전인적 성숙을 위해 제공되어지는 영성훈련들은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고 이 사랑에 근거하여 이웃과 사회에 봉사함으로 그리스도의 고난과 영광에 참여하는 삶을 살도록 도와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영성훈련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많은 방법 중 Moore의 청소년기의 영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영적 성장: 단계와 전략의 이론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넷째, 영성훈련 프로그램의 개관을 통하여 청소년의 영적 성장을 이해하여 그들을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7주 영성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신앙발달과제인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 확립을 위해 그리스도안에서 자신의 정체 형성을 돕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하위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훈련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돕는다. 둘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가치와 부름을 알도록·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살도록 돕는다. 셋째, 영적 성장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천을 결단하게 한다. 그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영적 성장의 3단계 정화·조명·일치의 세 요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방법은 먼저 프로그램에 참가할 대상의 수는 10명으로 제한하도록 한다. 참가자들이 회기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읽기 자료, 매일묵상 과제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 1-6주는 2시간 정도의 길이로, 마무리 7주는 1일 수련(12시간)으로 하였다. 주간 그룹 모임은 두 가지 종합된 활동이 있다. 하나는 표현과 나눔의 시간과 주간 독서와 매일 묵상을 기초로 한 학습이며, 두 번째는 주로 영적 훈련과 실천보다는 깊은 이해를 발전시킨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개회 예배(10분), 표현과 나눔의 시간(45분), 쉼(10분), 영성공부(45분), 폐회예배(10분) 순서로 한다. 이상과 같은 이론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결론에서는 요약하며 몇 가지 제언을 하며 마무리하였다.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의 영성훈련 프로그램에 있어서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형성을 가져오는 내면적 훈련이 부재 되어 있고, 개교회의 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기능훈련에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내면적 훈련과 기능훈련이 적절한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기의 영성훈련 프로그램이 개인적인 내면훈련과 사회 참여적인 활동과의 관계가 분리되는 문제점을 극복해야 한다. 그리고 아울러서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합한 방향성을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기의 영성훈련 프로그램에 있어서 개인의 성장과 성숙을 위해 개별적인 영성지도와 다양한 차원의 영성훈련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넷째, 영성훈련은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시간이 필요로 되어진다. 학교 공부와 여러 가지 배우기 위해 바쁜 청소년들을 위해 7주라는 시간은 긴 시간일 수 있다. 7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다면 여름 수련회나 겨울 수련회를 통하여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 진행을 해도 좋을 것 같다. This papers are understanding teen-ages appropriately and to develop their spiritual-training program for advancement of their relig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e researched development characteristic teen-ages. In doing this, we understood why teen-ages have to conflict and concern their identity. Second, we researched teen-ages religious development and matter. Religion offers safety and resources to teen-ages life, gives necessary resources to find their purpose and result of life and necessary eyes for understanding our world and offers the love between God and us. Third, We dealt with spiritual-training to develop their religious matter. Spiritual-Training program offering teen-ages religious experience and in-person-maturity makes them love their neighbors and God. In the basement of this love, they could join endurance and glory of the Christ's life, giving hands to their society and neighbor. In practicing the spiritual-training, there are several ways. Among the many things, we finalized carroaged on the basis of Moore's spiritual-characteristic of adolescent, "Adolescent spiritual development: stages and strategies" the theory and method of the steps and strategies. Fourth, through the opening of spiritual-training program, we could know the lack of these kinds of programs to help teen-ages understanding of spiritual advancement. From this theoretical background, we made 7-weeks spiritual-developmen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help their identity-forming in the Christ for developing matter of teen-ages as a Christian. Following is the details: one, to help understanding of this program. Two, to help living Christ's life to know teen-ages themselves value and asks and have inside meeting with Christ. Three, to help making resolutions and detailed-schedule for improving their spiritual-maturity. The program consists this scheduled purposes. Intents of this program include three-stages of spiritual-maturity, such as clean, reflection and harmony. One of the way, we regulate the numbers of attendees to 10, and all attendees will attend a variety of readings, daily training and homework assignment programs. This programs will lasts for 2 hour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week and last seventh week, has 12 hours training per day. There are two ways of multiple training activities. One is time-sharing, weekly-reading and learning on the base of daily training. Two is developing deeper knowledge rather than training and practicing. The proceed of this program includes opening-pray, time-sharing(45minutes), break time, searching for real spirit and final-ceremony. Through the above theory and program, we summarizing some suggestions. These suggestions are; first, inner-training bringing the basic formation of existence in the spiritual-training program is lack and due to modern churches persuading in quality growth. We need more appropriate balance and harmony. Second, we overcome the separation between individual inner training and attendance to social activity. Moreover, we need to arrange more decent direction between them. Third, in the teen-ages Spiritual Training Program, we need to head using this program in a manner of more individual growth and mature and variety level. Fourth, this program is not completed for short period we need to save some time for this. To busy students learning many things in school, it's a long time so we can use summer or winter vacation choosing some of more necessary p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