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영성 매개효과중심으로

        이정선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15개 대도시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애도척도, 역경 후 성장척도, 영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를 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애도경험과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을 위해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경험과 역경 후 성장, 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즉, 애도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역경 후 성장과 영성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영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영성이라는 매개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효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즉, 애도를 경험한 사람들은 고인이 없는 현실에 새롭게 적응하는 과정에서 영성을 통해 역경 후 성장에 이르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실의 고통을 겪는 사람들은 상실 이후 역경을 경험하지만, 이것은 성장의 발판이 된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영성이 매개 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애도경험의 긍정적인 측면에 도움이 되는 면을 새롭게 인식했다. 즉, 애도경험은 성장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이자 또 다른 출발점임을 통계적으로 밝혀낸 점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urning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with 215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15 metropolitan area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Seoul and Gyeonggi-do,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individual variables, mourning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pirituality scal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ity in the impact of mourning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a three-phase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develop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an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a Sobel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f mourning experience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spirituality. In other word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hat the more the level of mourn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spirituality. Second,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impact of mourning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it turned out that spiritua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rom these results, it was noted that mourning experience had a direct impa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could also have an indirect impact on it through the mediating path of spirituality. The discussion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statistically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in the impact of the mourning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ople who experienced mourning could reach growth through spiritual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mselves newly to the reality without the deceased after the adversity. Secon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ed that people who suffer from a loss experience difficult after the loss, but this is a footing of growth. In addition, it proved that, in the process, spirituality could mediate. Thir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verified the impact of the mourning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Fourth, this study newly recognized that mourning experience was helpful for positive aspects. In other words, it has a significance that it statistically revealed that the mourning experience would be a chance that could bring about growth and change and be another starting point.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애도의 페다고지 : 주디스 버틀러의 ‘취약성’과 ‘공거의 윤리’를 중심으로

        박지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교육받은 주체는 타자의 죽음을 애도할 수 있는가? 이 연구는 과도한 자기중심성에 빠져 타자의 고통을 문제로 삼지 못하는 오늘날 교육을 성찰하고, 그 대안으로 애도의 페다고지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신자유주의적 조건 속에서 교육은 주체의 자아실현과 경제적인 역량 키우기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반면에 삶의 본질적 취약성과 윤리의 문제는 쉽게 다루지 못한다. 특히 타자의 죽음은 공동체적 삶의 위기를 보여주는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교육 안에서 개인의 문제로 치부되거나 주변적인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타자의 죽음에 대한 충실한 애도야말로 오늘날 교육이 회복해야하는 윤리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논의를 위해, 세계적으로 난무하는 혐오와 폭력에 대항하여 약자들의 연대와 정치적 실천을 고민했던 주디스 버틀러의 애도론을 참조하였다. 먼저, 오늘날 교육이 애도를 다루지 못하는 원인으로 신자유주의 교육의 본질적 속성에 주목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이란 특정한 교육내용을 지칭하기보다는, 모든 교육행위를 미래의 경제적 가치로 환산해내는 교육이데올로기를 의미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자기 스스로를 경영하는 자율적인 주체와 메리토크라시 윤리를 우상화함으로써 지탱된다. 그러나 그 구조 속에서 교육받은 주체들은 약속된 좋은 삶을 마냥 누리기보다는 우울, 불안, 소진 등 심리적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 교육이데올로기가 주체의 마음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오늘날의 교육을 ‘잔혹한 낙관주의’라는 정동의 형식을 통해 설명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의 주체들은 교육을 통해 좋은 미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러한 꿈을 기반으로 강박적으로 자기성장의 명령을 수행한다. 개인의 성장과 경제적 유용성은 오늘날 교육의 윤리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이 약속하는 좋은 미래가 텅 빈 기호에 불과하고, 그에 도달하는 과정이 자기착취적라는 점에서 교육의 낙관주의는 잔혹한 성격을 띠게 된다. 잔혹한 낙관주의는 미래에 대한 애착을 지속하기 위해 대상의 상실이라는 부정적 상황을 거부함으로써 애도를 어렵게 만드는 조건이 된다. 오늘날 교육이 처한 총체적인 패착을 넘어서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애도를 바탕으로 교육의 윤리를 재사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애도의 조건과 정치윤리학을 폭넓게 논의한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1956-)를 참조하였다. 버틀러를 통해 풀고자 한 질문은 총 두 가지이다. 첫째, 타자를 애도할 수 있는 주체의 존재론적 조건은 무엇인가? 주체의 과도한 자기중심성이 애도를 어렵게 만든다면, 충실한 애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버틀러는 자연적 본질이라 여겨지는 생물학적 성을 젠더규범의 산물로 이해함으로써, 전통적인 주체관념을 전복한다. 버틀러에 따르면 주체는 자율적거나 독립적이기보다는 타자에 의해 허물어지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체는 담론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행위주체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는 타자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주체의 조건이다. 둘째, 애도의 철학적이고 정치윤리학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버틀러의 애도는 9/11 테러와 전쟁이라는 시대적 맥락과 정치윤리학에 대한 사상적 관심 속에서 논의되는 개념이다. 버틀러는 초기 이론에서 젠더권력에서 소외된 여성과 성소수자의 삶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젠더, 계급, 인종, 탈식민주의, 장애 등 다양한 약자성의 조건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 윤리를 고민해 나갔다. 특히, 9/11과 국가주의적 전쟁은 애도를 중심으로 윤리적 사유를 전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버틀러의 애도를 크게 철학적 의미와 정치윤리학적 의미로 나누어 살펴본다. (1)애도는 타자중심적인 존재론을 함의한다. 우리가 타자의 죽음 앞에 감당 못할 슬픔을 느끼는 까닭은 우리가 처음부터 타자에 연루된 방식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타자의 죽음은 얼굴로서 다가와 애도하라는 거부할 수 없는 윤리적 명령을 내린다. 애도를 통해 삶의 본원적인 취약성과 불확실성이 드러나며, 이는 윤리적 공동체를 꾸려나갈 수 있는 존재론적 바탕이 된다. (2)애도는 정치윤리학적 맥락에서 복잡한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실제 세계에는 애도되지 못하는 죽음이 존재하며, 이들은 그 사회에서 살만한 삶으로 인정되지 못한 채 비인간화된다. 따라서 애도되지 못하는 죽음을 적극적으로 애도하려는 노력은 타자의 삶에 공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실천적인 행위가 된다. 그러나 타자의 억압, 고통, 죽음은 분명하게 포착될 수 없는 심연의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애도는 항상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애도는 실패를 통해서 수행될 수밖에 없는 윤리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의 잔혹한 낙관주의에 대항하는 애도의 페다고지가 제안된다. 타자의 죽음을 애도할 수 있는 교육이란 자기중심적 성장에 갇힌 교육을 반성하고 넘어서는 대안적인 교육의 원리를 의미한다. 애도의 페다고지는 주체의 차원, 타자중심적 윤리의 차원, 공동체의 차원에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애도의 페다고지는 교육받은 주체의 경계를 허문다. 애도는 존재 본연의 취약성과 삶의 불확실성을 드러내기에, 애도를 수행하는 주체는 타자와의 윤리적 관계 속에서 자기동일성을 허물어내고 윤리적인 실천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주체를 바탕으로 교육적 성장을 자율성의 증진이 아닌 타자와 더불어 공통의 토대를 풍부하게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다. 둘째, 애도의 페다고지에서 교육의 윤리는 주체의 내부가 아닌 타자를 향한다. 애도는 타자의 삶을 살만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자기성장의 윤리를 넘어서 타자중심적 윤리를 실천하는 작업이다. 교육은 무조건적인 환대라는 윤리적 토대를 바탕으로 성립되며, 타자가 해석불가능한 심연이라는 사실을 성찰함으로써 윤리를 지속할 수 있다. 셋째, 잔혹한 낙관주의가 ‘개인의 좋은 삶’을 약속한다면 애도의 페다고지는 ‘함께 거주하기’를 교육의 미래로 제시한다. 애도의 페다고지는 생명정치의 구조에 대한 비판과 저항에 동참하기, 상호의존적 돌봄을 바탕으로 정동적 삶을 회복하기, 미디어와 문화번역을 매개로 타자의 고통과 죽음에 귀 기울이기 등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는 애도를 바탕으로 공거의 토대를 구축하는 교육의 모습이다. 결론적으로 애도의 페다고지는 현대사회의 무너지고 소진된 삶들을 회복하는 교육이고, 슬픔과 고통, 두려움 등 소외된 정동의 가치를 되살리는 교육이며, 궁극적으로는‘함께 살아가기’를 모색하는 민주주의적 교육의 한 가지 실천양상이다. 애도의 실천을 통해 교육은 잔혹한 낙관의 굴레에서 빠져나와 비로소 그 고유한 자리를 찾을 수 있다. Can an educated person mourn death? This study reflects on education imbued with an egocentrism that ignores the death of others and searches for a pedagogy of mourning as an alternative. Under neoliberal conditions, education is preoccupied with self-actualization and economic competence while avoiding essential vulnerabilities in life such as sadness, fear, and lethargy. Although the death of the other is an event that shows a crisis of community life, it is treated as a personal and marginal problem in education. This study start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faithfully mourning others is the ethics that education must pursue. For discussion, this study referred to the mourning theory of Judith Butler, who contemplated solidarity and political advocacy for the weak against hatred and violence. This study firs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 education and mourning. Neoliberal education refers to an educational ideology that translates all educational activities into future economic values rather than referring to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Neoliberal education encourages a positive and autonomous idea of subjectivity and idolizes the principle of meritocracy, which justifies rewards for competence. However, within that structure, the educated subjects experience psychological cris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exhaustion rather than enjoying the promised good life. The study explains the impact of neoliberal education on the minds of subjects through the concept of “cruel optimism.” Neoliberal students believe that they can reach a good future through education, and as a result, they obsessively carry out orders for self-growth. Personal growth and economic usefulness constitute the ethics of education today. But the optimism of education is cruel because the good future promised by education is uncertain, and the process of reaching it is all exhausting. Cruel optimism is a condition that makes mourning difficult because people who fall into it do not accept the loss of the object and try to maintain attachment to the object. To overcome the overall limits of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rethink the ethics of education as related to mourning. For this, I referred to the post-structural philosopher Judith Butler(1956–), who widely discussed the conditions of mourning and political ethics. There are two questions asked by Butler. First, what conditions must be present for the subject to mourn the other? If self-centeredness makes mourning difficult, a new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s required to perform faithful mourning. Modern subjects are independent and autonomous beings. Butler overthrew the essentialist subject by understanding biological sex as a product of gender norms. According to Butler, the subject exists by performing discourse, and repetitive performance produces agency. In other words, the subject exists in a state of being obsessed with the other rather than being independent and practices ethics through performance rather than autonomy. This is the subject's condition for mourning the death of the other. Second, what is the philosophical and political-ethical meaning of mourning? Butler's mourning is a concept discussed in the experiences of 9/11 and ideological interests in political ethics. Butler was interested in the lives of women and sexual minorities who were alienated from gender power in early theories, and based on this, she considered the universal ethics that could encompass various conditions of the weak, such as gender, class, race, post-colonialism, and disability. In particular, 9/11 and the wa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ethical thinking centering on mourning. This study examined the philosophical and political-ethical meanings of Butler's mourning. (1) mourning implies the ontology of other-centeredness. We feel unbearable sadness in the face of the other’s death because we exist in the way we were involved in the other from the beginning. The death of the other comes as ‘the face’, giving an irresistible ethical command to mourn. Vulnerability and precariousness in life are revealed through mourning, which serves as an ontological basis for building an ethical community. (2) mourning is a complex problem in a political-ethical context. In the real world, there are deaths that cannot be mourned, and they are dehumanized without being recognized as livable lives. Therefore, the effort to mourn the unmournable death is a practical act that gives public meaning to the lives of others. But since the oppression, pain, and death that belong to the other are an abyss that cannot be clearly captured, mourning always faces a limit. In other words, mourning is possible through its constant failure.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pedagogy of mourning was proposed against the cruel optimism of education. Education that can mourn the death of others means an alternative principle of education that reflects on education trapped in self-centered growth. The pedagogy of mourning was 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the subject, the other-centered ethics, and the community. First, the pedagogy of mourning breaks the boundaries of the educated subject. Mourning reveals vulnerability and precariousness in life, and the subject of mourning can escape from egocentrism through ethic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this, educational growth can be reconceptualized not as an enhancement of autonomy but as a process of enriching a common foundation with others. Second, in the pedagogy of mourning, the ethics of education are directed toward others rather than within the subject. Mourning is an “other-centered” ethic that makes lives livable. Education is based on the ethical foundation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ethics can be maintained by reflecting on the uninterpretability of others. Third, while cruel optimism promises a “good life for individuals,” the pedagogy of mourning suggests “living together” as the future of education. The pedagogy of mourning includes practice: participating in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the structure of bio politics, restoring an affective life based on interdependent care, and listening to the pain and death of others through media and cultural translation. Based on mourning, a democratic educational community for cohabitation can be built. The pedagogy of mourning is an education to restore the collapsed and exhausted lives of modern society and to revive the values of neglected affection such as sadness, pain, and fear. In addition, this is an aspect of democratic education that ultimately seeks to “live together.” It is only through reflecting on a life that cannot be mourned that one can find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

      • 애도의 아카이브 연구 : 4.16기억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연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ffective turn became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affective values such as loss, sadness, and mourning that had been intentionally excluded from the archival field. Records are legal, bureaucratic, and have not only value as forensic evidence. The affect of records is valuable as it enables us to grasp the experiences, values and desir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mourning among affective values. Mourning is a universal area that anyone can experience, and it is also a right that must be guaranteed. Usually, Mourning is handled and resolved on a personal level. However, mourning at the socio-political level can include the act of remembering, empathizing with pain, and promoting positive change in society. Therefore, this area of mourning can be sufficiently reviewed in the field of Archival studies. Jacques Derrida defined mourning as ‘responsibility’ to ‘remember’ the person who left first and at the same time live up to the unfinished life of the person who left. Based on these theoretical grounds, this study grafted the ‘archival practice of social justice’, which is the goal of Archival activism(Archivism), with the ‘region of mourning’. ‘Remembering’, ‘empathizing with pain’, and ‘promoting positive changes in society’ were named ‘practice of mourni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practices in the mourning space called the 4.16 Memory Class were analyzed. In the archive of mourning, the archival concept was reinterpreted through 'mourning',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archival concept. Archives were defined as a medium for continuous memory of others. If so,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service of mourning) can be defined as all activities that provide mourning practice mediated by records. In addition, the archivist located in the archive of mourning will be able to play the role of a mediator through care. Through this archive of mourning,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archives related to loss such as death and disaster. Following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discussions will be held so that the practice of mourning through archives can lead to the loss of all meaningful objects. 정동적 전환(affective turn)은 기록학 영역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해온 상실, 슬픔, 애도와 같은 정동적 가치에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기록은 법적이고 관료적이며, 법의학적인 증거로서의 가치만 가진 것이 아니다. 기록이 가지는 정동은 개인이나 공동체의 경험, 가치 및 욕구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므로 그것대로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정동적 가치 중에서 애도에 주목하였다. 애도는 인간에게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영역이며, 필히 보장 받아야 하는 권리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애도는 개인적 차원에서 처리되고 해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사회·정치적 차원의 애도는 기억하고, 고통을 공감하고,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도모하는 행위까지도 포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애도의 영역은 기록학계에서도 충분히 검토 가능하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애도’를 먼저 떠난 사람을 ‘기억’하고 동시에 그 떠난 사람이 못다 한 삶까지 살아내는 ‘책임성’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록학 실천주의에서 목표로 하는 ‘사회정의의 기록학적 실천’을 ‘애도의 영역’과 접목시켰다. ‘기억하기’, ‘고통의 공감’, ‘사회의 긍정적 변화 도모’라는 세 가지를 ‘애도의 실천’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4.16기억교실이라는 애도공간에서 나타나는 애도 실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애도의 아카이브’에서는 전통적 기록학 개념에서 벗어나‘애도’를 통해 기록학적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기록을 타자에 대한 지속적 기억을 위한 매체로 규정하였다. 그렇다면 기록정보서비스(애도의 서비스)를 기록과 매개한 애도 실천을 제공하는 모든 활동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또한, 애도의 아카이브에 위치한 아키비스트는 돌봄을 통한 매개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애도의 아카이브’를 통해 죽음, 참사와 같은 상실과 관련해 기록학 영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롭게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이어서 의미 있는 모든 대상의 상실에 기록과 아카이브를 통한 애도 실천이 연결될 수 있도록 더 다양한 논의가 있기를 바란다.

      • 부(父)와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남해령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Youth Who Have Experienced Father’s Bereavement. Nam, Hea Ryung Major in Art Therap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seo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Oh, Hyun Sook) This study allowed youth who had no proper mourning after their father's death and had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to re-examine their condolences through art therapy program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er to Kubler Ross (1969)'s fifth phase of mourning--the stage of shock, the stage of anger, the stage of compromise, the stage of despair, the stage of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al mourning process of Worden (2009)--and to conduct an art therapy program that has been reorganized into three stages of mourning, and how it affects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father’s bereav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15-year-old male A teenager who attended a middle school in S city, where his father died, and from September 2019 to May 2020, he conducted art therapy programs once a week for 50 minutes, including pre-post-examination, for 50 minutes per week. The research tool conducted the HTP (House-Tree-Person) test three times before-middle-after test, divided the SCT test into pre-after test, analyzed each session's observation log and work to record the changes in each session, and observed the changes shown in the art therapy proce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he was able to express himself by reducing the defense mechanism, and he became confident as he had a goal to do it. In addition, he fel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art activities, and naturally faced and accepted father's death in art activities, expressing his longing for father. In the meantime, he explored his family's responsibility and positive self-image and developed a will for a positive future.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found in HTP draw tests and sentence completion tests in addition to art therapy programs. The HTP draw test showed the process of entering mourning - facing mourning - through pre-, mid- and after-examination of each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rea, which showed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painting has grown and that the force of the pen pressure is creating energy and changes in emotion are taking pla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inting's expression and the body's proportions were stabilized compared to the dictionary, and they were also focused on not going to the bathroom frequently.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also shows that the process of mourning took place, given the sentences that showed a change in attitude toward the father or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Thus, a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eenager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from their fathers, suppressed their sadness, and failed to express their emotions properly, were able to set positive self-image and goals by accepting reality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eenagers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nd have not undergone proper mourning procedu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mourning (emotion, recognition, behavior) through art therapy programs. Key Words : bereavement, adolescents , mourning, art therapy 국 문 초 록 부(父)와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남 해 령 지도교수 오 현 숙 본 연구는 부와 사별 이후 적절한 애도가 이루어지지 못 하고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애도를 재경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Kubler Ross(1969)의 애도 5단계인 충격의 단계, 분노의 단계, 타협(죄책감)의 단계, 절망(슬픔)의 단계, 수용의 단계와 Worden(2009)의 발달적 애도 과정을 참고하여 애도에 진입-애도 직면-애도 재정립의 3단계로 재구성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부와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애도(정서적‧인지적‧행동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단일사례 논문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아버지와 사별한 S시의 중학교에 다니는 만15세 남자 A청소년으로, 2019년 9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주 1회 5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14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HTP(집-나무-사람)검사를 사전-중간-사후 3번에 거쳐 실시하였고, 문장완성검사(SCT)검사를 사전과 사후검사로 나눠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별 관찰일지와 작품을 분석하여 회기별 변화를 기록하고, 미술치료 과정에서 보여지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방어기제를 감소시켜 자기표현을 하게 되고, 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목표가 생기면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미술활동을 통해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미술활동 안에서 자연스럽게 아버지의 죽음을 직면하게 되고 수용하면서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같은 감정을 표출하였다. 그러면서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긍정적 자아상을 탐색하고 긍정적 미래에 대한 의지가 생겼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더불어 HTP 그림검사나 문장완성검사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HTP 그림 검사에서는 애도 진입-애도 직면-애도 재경험의 과정이 정서‧인지‧행동적 영역별로 사전, 중간, 사후 검사를 통해 나타났는데, 전반적인 그림의 크기가 커졌고 필압에 힘이 생겨 에너지가 생기고, 감정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림 표현의 세부 묘사나 신체의 비율이 사전과 비교하여 안정되어졌고, 행동적으로도 화장실을 자주 가지 않는 등 집중하여 임하는 모습이었다. 문장완성검사에서도 아버지에 대한 태도의 변화나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드러나는 문장들로 봤을 때 애도 과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아버지와의 사별을 경험하고 그 슬픔을 억누르고 제대로 표출하지 못한 청소년이 현실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감정들을 표출하여 긍정적 자아상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에 사별을 경험한 후 적절한 애도 과정을 겪지 못한 청소년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적절한 애도의 재경험을 하도록 하여 애도(정서‧인지‧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사별, 청소년 , 애도. 미술치료

      • 애도의 굴레: 사회적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경험

        라다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Social disasters continue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 years since the Daegu subway disaster on February 18, 2003, the social disaster has been repeated with incidents such as 2014 Ferry Sewol disaster to the latest Itaewon disaster on October 29, 2022. The oppressive social discourses on the disaster victims has persisted without any sign of change. The researcher postulates that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perform social norms and cultural expectations expressed in the gazes and speech of people toward them during their mourning. which are often times oppressive and made their recovery slow and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lternative discourses that help recover victims of social disasters by revealing the performativity of oppressive dominant discourses that make the mourning process difficult for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due to social disasters. Judith Butler's Performativity Theory was adopt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sis the study to show how the dominant discourse in society regulates their identity and experience. Ethnography were selected as research methods to observ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due to disaster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 six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in the Daegu subway disas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ub-themes of the discourse which our society defines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turned out to be <Fetters of ‘Womanliness’>, <Fetters of ‘Motherliness’> and <Fetters of ‘Bereaved-family-likeness’>. Sub-categories of <Fetters of ‘Womanliness’> were 'Daughters conforming to the patriarchal order', 'Wiv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Daughters-in-law in the patriarchal society' while sub-categories of <Fetters of ‘Motherliness’> were ‘Sinners-like mothers', 'Mothers putting their children first' and 'Mothers living only for the rest of their responsibilities'. Sub-categories of <Fetters of ‘Bereaved-family-likeness’> were ‘Mothers living with eternal grief’, ‘Mothers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routine daily lives’ and ‘Those who have to maintain purity fit for bereaved families’. The sub-themes of mothers who respond to the dominant discourse of society include <Mothers adapting to the fetters of 'Sinners who lost their children'>, <Mothers seeking to compromise between the loss of the past and life here-and-now>, <A wish for a memorial project as a non-familial manner of lamentation>. After all, there are several ways that our society can help them escape from their grief and lamentation from the loss and move toward the path of healing and recovery; first, we as a society need to see their loss and lamentation as an individual experience rather than define them as a social discourse. Our society needs a perspective which treats bereaved families as ordinary neighbors and individuals experiencing the pain of the loss of their children without demanding some particular looks from them. Second, it is necessary for our society to recognize the rights of those who were sacrificed by social disaster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and to share their pains and to move forward together with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hold ‘social lamenta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point out that the individuals in the grieving process need non-familial lamentation and social solidarity,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ling. Last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gender perspective over the coping mechanisms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and the factors oppressing them, and to develop detail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at the microscopic level to reconstruct their healthy liv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first, it opened a new horizon for social science study by drawing on the experiences of disaster victims through a new approach of socially-constructed identity and mode of life while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the approach of lamentation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from social disasters as traumatic accident victims and mental health problems. Second, it expanded individual problems in existing social welfare beyond the dichotomy of internal psychological issu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issues by indicating the performativity of social discourse in individual lives such as social expectations, conventional wisdoms and norms. Third, it sought out a new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social disasters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healing through social solidarity and alternative discourse construction beyond mere support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Finally, the study result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social disasters that our society has experienced or will experience in the future without limiting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Daegu Subway Disaster and gave salience to the fact that the lamentation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s are defined and regulated by social consciousness and structure. Key word : Social Disaster, social mourning, Daegu Subway Disaster, loss of children, Ethnography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재난은 현재진행형이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가 발생하고 19년이 흐르는 시간 동안 사회적 참사는 반복되었고 2014년 세월호 참사, 2022년 10.29 이태원 참사에 이르기까지 재난 피해자에 대한 억압적인 시선 또한 여전히 도돌이표이다. 연구자는 자녀를 잃은 어머니들이 상실을 애도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향한 사회적 규범, 문화적 기대, 주변의 시선과 언설을 수행하며 그러한 것들이 애도 과정에 굴레가 되어 회복을 더디고 힘들게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회적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들의 애도 과정을 어렵게 하는 억압적인 지배담론들의 수행성을 드러냄으로써 사회적 재난 피해자들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대안적 담론을 찾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는 대구 지하철 참사로 자녀를 상실한 어머니 6명을 선정하였으며 사회의 지배적 담론들이 이들의 정체성과 경험을 어떻게 규율하는지 보여주기 위해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수행성 이론(Performative theory)을 분석의 틀로 채택하였다. 또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들의 특성과 삶의 양식을 관찰하고 기술하기 위해서 문화기술지를 연구 방법으로 선정하였고 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 사회가 자녀를 잃은 어머니를 규율하는 담론의 주제로는 <‘여자다움’의 굴레>, <‘어머니다움’의 굴레>, <‘유가족다움’의 굴레>로 나타났다. <‘여자다움’의 굴레>의 하위범주로는 ‘가부장적 질서에 순응하는 딸’, ‘가부장 사회에서의 아내’, ‘가부장 사회에서의 며느리’의 구성되었으며 <‘어머니다움’의 굴레>의 하위범주로는 ‘죄인 같은 어머니’, ‘자식을 앞세운 어머니’, ‘남은 책무를 위해 사는 어머니’이다. <‘유가족다움’의 굴레>의 하위범주로는 ‘영원한 비통함을 안고 사는 어머니’, ‘일상적 삶으로 복귀할 수 없는 어머니’, ‘유가족다운 순수함을 지켜야 하는 사람들’로 나타났다. 사회의 지배적 담론에 대응하는 어머니들의 주제로는 <‘자식을 잃은 죄인’ 굴레에 순응하는 어머니>, <과거의 상실과 지금-여기의 삶 사이의 타협 찾기를 하는 어머니>, <‘숨죽인 삶’에서 나와 죽은 이들을 위해 목소리 내는 어머니>, <탈가족적 애도 방식으로서 추모사업에 대한 염원>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가 이들을 상실의 슬픔과 애도로부터 벗어나 치유와 회복의 길로 돕는 방법으로는 첫째, 이들의 상실과 애도를 사회의 담론으로 규정하지 않고 개인의 경험으로 바라봐주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유가족에게 특정한 모습을 강요하지 않고 자녀를 상실한 아픔을 겪어내고 있는 평범한 이웃, 개인의 모습으로 대하려는 관점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재난으로 인해 희생된 이들과 유가족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고민하며 함께 나아가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애도’의 필요성이다. 탈가족적 애도, 사회적 연대가 애도 과정의 개인들에게 필요하고,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녀를 상실한 어머니들의 대처 기제 및 이들을 억압하고 있는 요소에 있어 젠더적 관점을 반영하고 이들의 건강한 삶의 재건을 위해 미시적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사회복지 개입전략이 필요하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로는 첫째, 기존의 연구들이 사회적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애도 경험을 외상적 사고 피해자, 정신 건강의 문제라는 접근에 집중하였는데, 사회적으로 구성된 정체성과 삶의 양식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통해 재난 피해자들의 경험을 연구하여 사회과학적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둘째, 개인의 삶에서 사회적 기대, 통념, 규범 등 사회적 담론의 수행성을 지적함으로써 기존에 사회복지에서 개인의 문제를 심리 내적 이슈와 외부 환경적 이슈 중심의 이분법을 넘어 확장시켰다. 셋째, 사회적 재난 유가족의 지원을 개인과 가족을 넘어 사회적 연대와 대안적 담론 구성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사회복지 개입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대구 지하철 참사라는 개별 참사 경험으로 한정되지 않고 우리 사회가 겪어온, 또는 미래에 있을 사회적 재난 피해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개인의 애도 경험이 사회적 인식과 구조에 의해 규정되고 규율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주제어 : 사회적 재난, 사회적 애도, 대구 지하철 참사, 자녀 상실, 문화기술지

      • 효과적인 애도상담 개입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 노인내담자를 중심으로

        이미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애도상담을 실시한 사례를 분석하여 사별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사별애도를 위한 애도상담의 효과적 개입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배우자 등과 사별한 3명의 노인내담자를 대상으로 애도상담을 진행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내담자 3명을 대상으로 각 노인내담자별로 8-12회기의 개인상담을 실시하였다. 둘째, 회기별 상담일지와 상담내용을 담은 축어록을 정리하고 정독 후 각 노인내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상담(총 31회기) 중 애도상담의 개입이 이루어진 18회기를 발췌하였다. 셋째, 발췌한 총 18회기의 사례를 각 노인내담자의 사례별 시간순으로 정리하고 노인내담자의 상담대화에서 드러나는 의미 단위를 추출하였다. 넷째, 추출된 의미단위의 범주화를 통해 효과적인 애도상담을 위해 개입해야 할 주제 및 애도상담을 통해 나타난 내담자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내담자의 상담대화와는 별도로 상담자의 회기별 평가에서 드러난 의미단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애도상담을 위해 개입해야 할 주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효과적인 애도상담을 위해 개입해야 할 주제 및 애도상담을 통한 내담자의 변화를 내담자의 문제와 상담가의 역할로 분류하여 애도상담의 효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애도상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심리적 안녕을 돕는 효과적인 애도상담의 개입방안을 상담자 및 내담자의 관점에서 함께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전까지 양적연구에 치우쳐 있던 애도상담 관련 연구에서 애도상담의 개입효과를 실제 상담사례를 통해 검증하였다는 데 또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mourning counseling for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bereavement on their lives, and to suggest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mourning counseling for berea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mourning counseling for three elderly clients who had been widowed by their spouses and analyzed the case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ounseling was conducted 8 to 12 times per elderly person for three elderly clients. Second, after organizing and reading the counseling log and the counseling contents for each session, 18 mourning counseling sessions were extracted among the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31 sessions in total) conducted for each elderly client. Third, a total of 18 extracted cases we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by case of each elderly client, and semantic units revealed in counseling conversations of elderly clients were extracted. Fourth,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the extracted semantic units, the topic to be intervened for effective mourning counseling and the client's changes through mourning counseling were derived. Fifth, the topic to be intervened for effective mourning counseling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semantic unit revealed in the counselor's evaluation for each session separately from the client's counseling conversation. Finally, the topics to be intervened for effective mourning counseling and the changes of clients through mourning counseling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the client's problems and the role of the counselor, and the effects of mourning counseling were summar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effective mourn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o help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ors and cli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mourning counsel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mourning counseling through actual counseling cases in counseling-related research.

      •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황정윤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을 위한 애도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연구에서 애도 척도의 문항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최종적으로 개발된 애도 척도의 요인 및 문항의 구성과 신뢰도는 어떠한가? 셋째, 애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넷째, 애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발행된 애도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애도에 대한 개념 및 정의 등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학자별로 이루어진 애도의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애도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다음으로 문헌연구 및 기존 애도 관련 척도 분석과 사별자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1차 내용타당도 검증으로 본 연구자와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석․박사 2명이 함께 문항을 구성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163문항이 선정되었다. 그 다음은 2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차 내용타당도 과정을 통해 선정된 121문항을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박사과정 2명에게 의뢰하여 전문가들에게 미리 자료를 배포하고 점검을 부탁한 후 개인적 면담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서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79문항이 선정되었다. 3차 내용타당도에서는 2차 내용타당도 과정을 통해 선정된 79문항의 문항이해도와 문항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담심리 전공 교수 1명과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박사과정 2명에게 의뢰하여 75문항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예비문항 선정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이 이루어졌다. 부산, 서울, 경기 지역에 사별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400부의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20부를 제외한 380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실의 혼란과 충격 9문항, 상실의 고통 12문항, 삶의 회복과 성장 10문항으로 구성된 총 31문항의 성인용 애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최종 선정된 애도 척도 31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는 다섯 하위요인은 모두 .885 ~ .917 사이로 높게 나왔으며, 전체 신뢰도는 .919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렇게 개발된 성인의 애도 척도의 구인타당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애도 척도로 부산, 서울, 경기, 울산, 대구 지역에 의미 있는 대상과 사별의 경험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외상 후 성장 척도, 우울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애도의 하위요인을 총 3요인으로 하여 TLI, CFI, RMR, RMSEA 등을 살펴보았을 때 모두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도 모형의 내적 구조에 의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에서도 삶의 회복과 성장 요인과 외상 후 성장 척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 척도에서는 애도의 하위요인인 삶의 회복과 성장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용 애도 척도는 문헌연구 및 기존 애도 관련 척도 분석과 사별자 면담 분석 과정을 통해 예비문항이 제작되었고, 상담심리 전문가들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3요인(상실의 혼란과 충격, 상실의 고통, 삶의 회복과 성장)에 31문항을 갖춘 성인용 애도 척도가 개발되었다. 둘째, 성인용 애도 척도에 대해 구인타당도 검증(확인적 요인분석)과 공인 타당도(외상 후 성장 및 우울 척도)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검사도구가 성인의 애도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urning scale for adults and to verify it's validity. Four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constructs and the factors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second, what are the constructs, the factors and the reliability of final questionnaire?, third, how is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how is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Earli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mourning were analyzed to form a definition of mourning. First,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mourning presented by the different researchers were investigated to form a definition. Next, this researcher 163 items were created the preliminary item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existing mourning scales and interviews with four people who were mourning. After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were checked by this researcher and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121 primary items were selected. Nex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elected items was checked. One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and two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checked the preliminary items and discussed the understandability and adequacy of each item. As a result, 79 secondary items were selected. The One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the two Ph.D students in Counseling Psychology were asked to check the content validity of the 75 items. Finall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cales, which consist of the final preliminary questions, for mourning of adults. As a survey conducted on 380 people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and located in seven regions(Busan, Seoul and Gyeonggi-do), 31 questions were selected. As a result, scales for mourning,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ub-factors – 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loss of residual and recovery and growth of life. Finally, scales for mourning, which consist of five factors and 31 questio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test of reliability on 31 questions of finally selected scales for mourning,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showed good between .885 and .917 in three sub-factors and all the scales.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scales for mourning, 508 adults and located in Busan, Seoul, Kyungnam Ulsan, Kyungbuk Daegu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lated to a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a depression scale. The scales turned out good in every regar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and RMSEA were examined for sub-factors of scales for mourning, validity turned out good. In addition, the scale model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heck was good, respectively. In verification of the concurrent validity, there are a very close positive correlation the posttraumatic growth scale. In the depression scale,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traumatic growth, a sub-factor of scales for mourning scale. In this study, concrete questions were developed related to the mourning of adults. The validity of studies on scales for mourning of adults can be ensured by raising understanding of mourning of adults and providing scales to correctly measure them.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validity of continuing research efforts about the mourning of adul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the existing scales for mourning and analysis of interview data of a mourner. Three times of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were conducted by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ors, Ph.D candidates in Counseling Psychology. Scales for mourning of adults were developed, along with three factors(Shock and confusion caused by the loss, Pain of loss, loss of residual and recovery and growth of life.) and 31 questions.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verific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the posttraumatic scale, the depression scale) on scales for mourning. As a result, this testing tool was verified to be a valid tool to measure mourning of adults.

      • 한국판 Hogan 애도 반응 척도의 타당화 연구

        박지은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애도 과정(grieving process)을 연구하기 위해 Hogan, Greenfield, 그리고 Schmidt(2001)가 개발하고 타당화 한 애도 반응 척도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였다. 먼저 327명의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1문항, 4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하위요인의 내적일치도는 분리 및 비체계화 .94, 절망 .88, 개인적 성장 .78, 낙관적 전망 .68로 양호하였다. 다음으로 새로운 445명을 사별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구조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준화 회귀계수가 .40 미만인 한 문항을 제거하고 총 30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결정하였으며 모형 적합도는 괜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애도와 개념적으로 관련된 개정판 텍사스 애도 척도, 성인용 애도 척도, 우울 척도, 외상후 성장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증분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Hogan 애도 반응은 기존의 애도 척도를 통제하고도 유의한 증분설명량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 분석과 치유성 연구

        조은정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애도과정과 치유성을 분석하여 애도교육의 매체로서 그림책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죽음은 우리 삶에서 누구나 당면할 수 있는 실존의 문제이며 또한 삶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상실은 죽음으로 이별하는 것과 같은 슬픔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 슬픔을 극복하기 위한 애도과정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연구는 죽음의 인지적 이해를 돕거나 죽음 내용 분석, 죽음 개념에 관한 연구나 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뿐 그림책의 글과 그림을 통한 애도과정을 면밀히 다룬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과 그 치유성을 분석하여 애도과정에 도움이 되는 매체로서 그림책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애도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과 관련된 것 뿐 아니라 삶의 모든 상실과 연관되어 있기에 사회적 공동체 안에서의 상실도 애도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래서 연구대상 그림책은, 죽음과 관련된 그림책을 분석하여 개인적 애도에서 사회적 애도도 끌어낼 수 있도록 선정되었다.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들 중 산 자들의 애도과정이 상세하게 다루어져 있는 그림책과 개인의 죽음을 알고 스스로 애도하는 이야기가 담긴 그림책, 사회 공동체의 문제를 아파하고 그 슬픔을 회복해 보려는 상징이 드러난 사회적 애도를 다룬 그림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림책 속의 애도가 어떠한 과정으로 진행되며 치유성을 지니고 있는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 과제를 설정하면 첫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 분석을 위한 서사의미요소 분석의 기준을 마련한다. 둘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한 애도과정을 분석한다. 셋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을 통해 치유성을 분석한다. 넷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치유적 특성을 발견하고 애도과정에 적합한 매체임을 증명 한다. 분석기준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애도이론을 적용하여 애도의 과정을 구조화하였다. 애도의 과정은 이란‧현은자 이론의 도움을 받아 감정적 반응, 인지적 반응, 행동적 반응, 회복 반응의 순서를 따랐다.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애도과정을 겪는 주인공들의 감정적 분출, 인지적 수용, 적극적인 애도의 행동양식들, 그리고 건강한 자아로 회복되는 과정을 서사와 그림의 상호역동적인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글과 그림을 통해 애도의 과정을 분석하고 치유성을 밝히는 연구과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의미는 애도과정의 특징을 표현하는데 탁월한 매체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은 애도 과정을 겪는 인물들의 감정적 분출과 인지적 이해, 상실대상에 대한 떠나보냄을 하는 행동적 의례들이 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건강한 자아로 치유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셋째,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에 나타난 애도과정은 독자로 하여금 일상에서 경험하는 상실이나 이별의 아픔을 공감하여 죽음의 심리적 예방 효과가 있다. 넷째,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이 사회적 애도를 나타내는 매체로서도 효과적임을 알수 있다. 본 연구는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대상으로 애도과정과 그 치유성을 분석해 그림책이 애도과정의 탁월한 매체임일 밝혔다. 또한 개인적 애도에서 사회적 애도까지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실에 애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적용하며 타인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죽음의 경험이 아니더라도 상실의 슬픔을 경험한 사람이나 간접경험을 통한 사회화가 필요한 대상에게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통해 애도의 과정이 필요함을 인식시키고 언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치유의 매체임을 알리는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healing and mourning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and confirms the capability of picture book for mourning education. Mourning process regarding death is important because the death is unavoidable and is able to convey equivalent sorrow from various loss and grief in our life.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f picture book in the subject of death, dealt about understanding of death in author's perspective, analyzing stories of death, conception of death, or recognize of teachers regarding death study. But there are not much researches concerning mourning process through picture book.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deal the mourning process and the healing through picture book and analyze the effects and importances of picture book as the method of mourning. It is important that mourning not only relate to bereavement with loved ones, but also to the loss of life in the social community because death is associated with all loss in life. Therefore, sample pictures book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picture book related to death and draw social mourning from individual mourning Among the picture books on the subject of death, the samples are picture books which deal with the details of the mourning process of living beings, and the picture books which revealed the symbol of recovery from the sorrow caused by social problems. The study will be done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xts and drawing how the process of mourning in a picture book proceeds and has healing ability. The proces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 the criteria of narrative element for analyzing the mourning process of a picture book. Second, analyze the process of mour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pictures and texts from the sample. Third, analyze the healing factors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of the sample. Fourth, find out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a picture book on the subject of death and prove that it is a suitable medium for the mourning process. The analytical yardstick was structured by applying the mourning theory of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process of mourning followed the order of emotional reaction, cognitive reaction, behavioral reaction, and recovering reaction. (Lee, Ran·Hyun, Eunja 2014) The emotional gushing of protagonists, who undergo the process of mourning of a picturebook on the death cognitive acceptance, active behavioral patterns of mourning, and the process of restoring to a healthy self are analyzed through dynamic interaction between narrative and painting. The result of research process from above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cre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icture and text is an excellent medium for the mourning process. Second,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the emotional gushing of the characters who undergo the process of mourning, the cognitive acceptance, and active behavioral patterns of mourning that send out to the lost being in the picture book has shown the recovered self as consequence of the mourning process effects.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precautionary effect of deat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indirect mourning process of the picture book. Fourth,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cture and text is effective as a medium for social mou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mourning process and its healing ability in the picture book with the theme of death, and has shown the picture book is excellent medium of the mourning process. By recogniz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nderstanding personal to social mourning which can happen in our life, hopefully we can apply them to ourselves and to the people who need consolation, I wanted to convey that the process of mourning through picture book can be easily accessible media for condolence to the people wh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loss of near lif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