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노인 심부전 환자에서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현황에 관한 연구

        배민경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Improvements in both social living conditions and medical care had led to the prolongation of human life expectancy and the significant growth in the number of aged persons in this country and worldwid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experience adverse drug events due to age-related changes in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Therefore use of medications in the elderly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of their health care. The prevalence of heart failure which is so-called a disease of the elderly is being increased as a consequence of the aged society. Despite the recent advancement of medical management of heart failure, its mortality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nd its associated medical care expenditure is paramou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09 was used and PIM use in heart failur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as examined using 2012 updated Beers criteria. The prevalence of PIM use in elderly heart failure patients was higher than in overall elderly patients. Among the 12,858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45.7% of study subjects were prescribed PIM(s) at least once, with the rate of PIM use being higher for women compared to men (48.1% vs. 40.4%). Most frequently one PIM was prescribed in elderly heart failure patients (64.4%). Two PIMs and three PIMs were prescribed in 23.9% and 8.1%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Even greater than or equal to four PIMs were prescribed in 3.6% of the patients. The most common PIMs in elderly heart failure patients were benzodiazepines (35.2%),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nd COX-2 inhibitors (13.7%), digoxin (11.9%), spironolactone (8.9%), cilostazol (6.6%), tricyclic antidepressants (5.3%), and thiazolidinediones (3.1%). Although digoxin and spironolactone are considered important medications in managing heart failure, their doses were found to be high for elderly patients. By the types of healthcare systems, the rate of PIM use was the highest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46.9%) and the lowest in tertiary hospitals (23.9%). In conclusion, elderly heart failure patients are at a greater risk for adverse drug events due to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Efforts to increase awareness of PIM use in elderly heart failure patients are needed and various strategies and policies to identify and prevent PIM use should be established nationwide.

      • 심부전 환자에 대한 동기면담의 효과

        김성민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hort-term impac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on the disease-related knowledge, depression, self-care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hospitals in Kyeong-nam and Busan province of South Korea with 9 pers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persons for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October 31 of 2012. Disease-related knowledge, depressio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t enrollment and at 1 mont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otivational interviewing which consists of 10-20 minute phone call twice a week for 4week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IN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Mann Whitney U-test, Wilcoxon Sign Rank test. Results: At the ent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Following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sease-related knowledge levels than the comparison group (U=10.00, p=.002).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elf-care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baseline (Z=-2.521, p=.012). Furthermor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n increase in their levels of regular exercise (Z=-2.023, p=.043),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depression (Z=-.060, p=.952), sodium intake (Z=-1.007, p=.314),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Z=-1.153, p=.249) in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 Conclusion: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vels of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regular exercise. Thus, it can be applicable to elicit behavior chang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for longer periods in more heterogeneous populations. There is a need for more systematic motivational interviewing strategies to obtain improved self-care behavior in those who are not ready to change.

      • 강화된 걷기운동프로그램이 심부전환자의 건강결과에 미치는 효과

        진혜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0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tensified walking program on health outcome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hod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with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16, control group=25) were recruited from university hospitals in Kyeo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of 2015. The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program included goal setting (start from 5,000 steps & 10% increase/week, 1 day/week→5 days/week, maintain dyspnea/fatigue borg scale 12∼13 point and maximum heart rate 60∼70%) and feedback (telephone/total 9 times, text message/total 24 times) and provided for 12 weeks. Dyspnea-fatigue symptom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unctional status, walking ability by 6 minute walk distance (6MW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0.1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isher's exact test, χ²-test, Kolmogrove-Smirnov test. Results: At the ent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ercise compli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100% (walking, 50 min/day, 5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improved dyspnea-fatigue symptoms (t=8.63, p<.001) and ADL functional status (t=-4.92, p<.001), had longer 6MWD (t=-5.66, p<.001), increased HRQoL (t=-9.05,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intensified walking program could be an easily accessible, cost-effective intervention in patient with heart failure and would enhance patients outcomes, such as reducing hospitalization rate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Key Words: Heart Failure, Exercise, Walking, Quality of Life

      • 흉통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에서 B-type Natriuretic Peptide(BNP) 측정의 유용성

        문인규 경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2

        Background: Rapid measurement of B-type natriuretic peptide(BNP) is useful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in patients with acute dyspnea. Som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BNP might be elevated in patients presenting acute coronary syndrome(ACS) in the absence of overt heart failure. Therefore, we tried to study usefulness of rapid BNP measurement in emergency room for patients with acute chest pain. Method: We evaluated diagnostic ability of BNP to discriminate between patients with non-ischemic chest pain(N=17) and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N=74). Among the patients who had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N=68),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BNP level and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determined by culprit coronary lesion and whole coronary lesion. Results: BNP level at the time of presentation to the emergency room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compared with non-ischemic chest pain and variant angina(p<0.001). Diagnostic value of BNP(cutoff value >20.5 pg/ml) for ACS including variant angina showed as sensitivity 63%, specificity 75%, positive predictive value 92%, negative predictive value 35%. BNP level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odified jeopardy score determined by culprit coronary artery lesion(r=0.520, p<0.0001) and whole coronary artery lesion (r=0.608, p<0.0001). Regression analysis with age, troponin I, myoglobin, creatine kinase-MB(CK-MB) and BNP showed that only BNP had independe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jeopardy score. Conclusion: In emergency room, rapid measurement of BNP level at the time of presentation in patients with chest pain may be helpful not only to discriminate between ACS and non-ischemic chest pain, but also to work out an early therapeutic strategy in ACS patients.

      • 노인환자의 심부전 증상과 독립적 기능상태와의 관계

        김형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심부전은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발병하며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심부전은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어 질환의 완치보다는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 환자의 심부전 증상과 독립적 기능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고, 심부전 증상군과 증상군별 유형을 규명하여 이와 독립적 기능상태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5월 15일부터 7월 25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K상급종합병원 순환기내과 전문의에게 심부전을 진단받고 외래 통원 및 입원치료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총 63문항으로 대상자가 작성하는 일반적 특성 12문항, 심부전 증상 21문항과 전자의무기록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는 임상적 특성 12문항, 노인전문간호사인 연구자에 의해 측정되는 독립적 기능상태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8.72세, 여성 64.4%, 외래환자 67.7%, 심부전 진단기간 6년~10년 37.7%, NYHA 분류 ClassⅠ 55.7% 였다. 대상자의 심부전 증상군은 요인분석에서 일상생활 관련 증상군, 정서적 증상군, 신체.사회적 증상군으로 분석되었고, 증상군별 유형은 K-평균 군집분석에서 총 4가지 유형으로 유형Ⅰ 고일상생활 관련 증상, 유형Ⅱ 고정서적 증상, 유형Ⅲ 저 증상, 유형Ⅳ 고 증상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심부전 증상군이 가장 심각한 유형은 유형Ⅳ 고 증상 그룹으로 대상자의 학력이 낮을수록, 무직일수록, 입원환자일수록, 심부전 진단기간이 1년 미만일수록, NYHA 분류가 높을수록, 1년 내 응급실 방문 경험과 재입원 경험이 있을수록 심부전의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독립적 기능상태는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주 간호제공자가 기타(형제, 친구 등)인 경우, 직업이 없고, 월 평균소득이 낮을수록, 입원상태의 환자이고 NYHA 분류가 높을수록, 심부전 원인질환이 심장판막 질환일수록, 1년 내 응급실 방문과 재입원이 있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심부전 증상군별 유형에 따른 독립적 기능상태의 차이는 독립적 기능상태 및 하위영역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독립적 기능상태의 정도는 저 증상 그룹이 평균 6.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 증상 그룹이 평균 4.6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심부전 증상과 독립적 기능상태의 상관관계에서는 심부전 증상 전체(r=-.67, p<.001), 일상생활 관련 증상군(r=-.62, p<.001), 정서적 증상군(r=-.53, p<.001), 신체.사회적 증상군(r=-.54, p<.001), 독립적 기능상태의 하위영역인 자가간호(r=.93, p<.001), 괄약근 조절(r=.71, p<.001), 기동성(r=.90, p<.001), 의사소통(r=.68, p<.001), 사회인지(r=.76, p<.001)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심부전 증상의 정도가 클수록 독립적 기능상태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독립적 기능상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상생활 관련 증상군(=-.32,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의 설명력은 43.6%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환자의 심부전 증상이 독립적 기능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일상생활 관련 증상군이 독립적 기능상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심부전 환자의 증상을 관리하고 독립적 기능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일개병원에서 대상자를 모집하였으므로 더 많은 노인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심부전 증상이 시간경과에 따라 독립적 기능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를 제언하며, 셋째, 각 유형별 노인환자의 특성과 한국 심부전 노인환자의 증상을 고려한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Since the heart failure is cured and aggravated repeatedly, the management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complete cure of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heart failure symptom and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of elderly patients and establish the heart failure symptom group and the type of each symptom group in order to ap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and this. It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 study targeted 130 elderly patients more than 65 who were receiving treatment as an inpatient or outpatient after being diagnosed to have the heart failure by specialists from the cardiology internal medicine of K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is 63 and the questionnaires with 12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1 questions about the heart failure symptom were distributed to subjects, and 12 questions about the clinical characteristic were surveyed on the basis of the electronic medical history. 18 questions about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were measured by 1 researcher who was a nurse specializing in the ag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78.72, percentage of women was 64.4%, outpatients 67.7%, heart failure diagnosis period 6 ~ 10 years 37.7%, NYHA classification Class I 55.7%. The heart failure symptom group of subjects was analyzed into the daily life related symptom cluster, emotional symptom cluster, and physical/social symptom cluster by the varimax factor analysis, and symptom clusters were classified into total 4 types: type I high daily life related symptom, type II high emotional symptom, type III low symptom, type IV high symptom through the K-average cluster analysis. The type that the heart failure symptom was the most serious among them was the type IV high symptom group; when the subjects’ educational background was low, when they did not have a job, when they were inpatients, when the heart failure diagnosis period was less than a year, when the NYHA classification was high, when they had experience in visiting emergency room and being hospitalized again within a year, their heart failure symptom was serious. It was revealed that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of subjects was low when their age was high, wh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low, when main nursing providers were their brothers or friends, when they did not have a job, when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was low, when they were inpatients, when NYHA classification was high, when the disease causing the heart failure was the heart valve disease, when they visited emergency room or were hospitalized again within a year. It was confirmed that the bigger the degree of heart failure symptom was, the lower the degree of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was. It was shown that the factor having the biggest effect on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was the daily life related symptom cluster(=-.32, p<.00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confirmed the fact that the daily life related symptom cluster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among the heart failure symptom clusters of elderly pati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assessment tool and the mediation of the heart failure symptom of elderly patients by using the basis-oriented judgment and perspective for real nurses to assess and mediate patients depending on the symptom cluster type in the clinical nursing environment.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한 심부전질환 직접 의료비용 연구

        손혜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447

        심부전은 심장이 제 기능을 상실하여 나타나는 잘 알려진 복합 임상적 증상이다. 심부전은 심각한 유병률 및 높은 사망률과 잦은 입원으로 인한 간병과 비용의 부담이 수반되기 때문에 공중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심부전은 고연령 질환이기 때문에 평균 수명의 급속한 연장으로 질병 비용에 대한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심부전의 부담에 대한 보건정책이 부족한 실정으로, 질병의 개인적 국가적 질병부담을 감안하여 실제 환자 규모와 비용 조사를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한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심부전 환자의 직접 의료비용을 분석하고 심부전이 아닌 환자대조군의 질병 비용을 비교 분석하여, 심부전 환자의 질병 비용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자료를 자료원으로 수행하였다. 주상병 및 부상병이 심부전인 환자를 추출하여 환자군으로 지정하고, 심부전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진료형태별 비용 및 요양기관별 비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심부전이 의료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심부전 환자군과 심부전이 아닌 환자대조군을 짝짓기(matching)하였다. 심부전이 아닌 환자대조군의 추출을 위해 심부전 환자를 제외한 환자표본자료에서 심부전 환자군의 각 개체별 성별 빛 연령군이 같은 환자를 4배수로 추출하여 1:4로 짝짓기 하였다. 각 연구 방법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기 위해 SAS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이용하였다. 추출된 심부전 환자는 7,431명이었고 심부전이 아닌 환자대조군은 그 4배수인 29,723명이었다. 각 군의 평균 연령은 모두 68.91세였으며,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가 56.1%의 비율을 보였다. 여성 환자의 비율은 59.21%로 남성 환자의 1.45배에 달하였다. 급성 심부전 환자는 심부전 환자군 7,431명의 6%에 해당하는 455명이며, 심부전 환자의 연령에 비해 약 5.57세 높았고, 여성이 58.95%의 비율을 보였다. 심부전 환자의 1인당 연간 직접의료비용의 평균은 583,780원으로 대조군의 1인당 연간 비용인 77,743원의 7.5배에 달했다. 외래 환자의 1인당 연간 직접의료비용은 심부전 환자군이 303,337원으로 대조군에 비해 11.16배 높았다. 입원 환자의 비용을 분석한 결과, 환자 1인당 연간 직접 의료비용은 심부전 환자군이 3,664,567원으로 대조군에 비해 1.7배 높았다. 각 의료비용의 결과는 공변량 분석으로 통계 검정한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급성 심부전 환자는 100% 입원 환자로 추출되었으며, 1인당 연간 직접 의료비용은 2,901,107원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심부전질환은 다른 질환에 비해 직접 의료비용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 따라서 관련 비용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중보건 정책 수립 및 의료 전문가의 보다 체계적인 치료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표본자료를 자료원으로 하여 대상 환자가 원시자료의 3%에 해당한다는 한계가 있으나, 실제 청구자료로 심부전 환자의 연간 직접 의료비용을 도출하였을 뿐 아니라 짝짓기를 통해 대조군과의 의료비용을 비교 및 통계 검정하였고, 급성 심부전 환자의 비용을 산출하는 등 다각도에서 의료비용을 산출 및 비교 분석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심부전 환자의 운동행위 구조모형 : IMB 모델 기반

        진혜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447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gular exercise has been emphasized to improve the health outcome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However, most patients with HF are not adherence to exercise as recommended in the guidelines and compliance of the exercise decreases after the end of the exercise progra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o improve the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H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test the goodness of fit (GOF) and hypothesis of the model by constructing a hypothetical model that can explain and predict the exercise behavior based on the IMB model and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main concepts for explaining exercise behavior were information for exercise (information), motivation for exercise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for exercise (behavioral skills) based on the IMB model, and included depression that had a high incidence in patients with HF and negative effects on exercise behavior. In the IMB model, endogenous variables are behavioral skills and exercise behavior, and exogenous variables are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In the IMBD model including depression, endogenous variables are behavioral skills and exercise behavior, and exogenous variables are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and depress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ebruary 1 to March 15, 2019, an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F and were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at the D University hospital and S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and a total of 306 patient’s dat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OF of the exercise behavior IMB model, which is a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indicated by χ2/df =2.451, SRMR= .07, RMSEA= .07, GFI= .98, AGFI= .94, TLI= .93, CFI= .97, demonstrating that the figures met the recommended level. The GOF of the exercise behavior IMBD model was indicated by χ2 =11.912 (p>.05), χ2/df= 0.794, SRMR= .02, RMSEA= .003, GFI= .99, AGFI= .97, TLI= .98, CFI= .97, demonstrating that the figures met the recommended level. 2) In the exercise behavior IMB model, factors directly affecting exercise behavior were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and information, personal and social motivation were indirectly affected exercise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behavioral skills. Exercise behavior was explained by 55.1% by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3) In the exercise behavior IMBD model, factors directly affecting exercise behavior were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behavioral skills and depression, and personal and social motivation, depression were indirectly affected exercise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behavioral skills. Exercise behavior was explained by 60.4% by information, personal motivation, behavioral skills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information, personal and social motivation, behavioral skills and depression we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on exercise behaviors in patients with HF. In particular, IMBD model including depression showed high predictive power of exercise behavi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xercise behavior of patients with HF,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manage the subjects who experience depress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interventions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exercise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ncreasing the exercise compliance in patients with HF,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outcomes of patients with HF. 최근 심부전 환자의 건강결과 향상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심부전 환자는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만큼 운동이행에 적극적이지 않으며, 운동프로그램 종료 후 운동의 순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의 운동행위 증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IMB 모델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운동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운동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주개념은 IMB 모델에 따라 운동에 대한 정보(information), 동기(motivation) 및 행동기술(behavioral skills)이며, 심부전 환자에게 발생 빈도가 높고 운동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우울(depression)을 포함하였다. 운동행위 IMB 모형은 IMB 모델의 주개념으로 구성된 모형으로, 내생변수는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과 운동행위이며, 외생변수는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이다. 우울을 포함한 IMBD 모형은 IMB 모형의 주개념과 우울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으로, 내생변수는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과 운동행위이며, 외생변수는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 그리고 우울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02월 01일부터 3월 15일까지로, B 광역시에 위치한 D 대학병원과 S 종합병원의 순환기 내과 외래에서 심부전을 진단받고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행위 IMB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2/df =2.451, SRMR= .07, RMSEA= .07, GFI= .98, AGFI= .94, TLI= .93, CFI= .97로 권장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행위 IMBD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2 =11.912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였고, χ2/df= 0.794, SRMR= .02, RMSEA= .003, GFI= .99, AGFI= .97, TLI= .98, CFI= .97로 권장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행위 IMB 모형에서 운동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이었으며,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는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을 매개로 하여 운동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행위는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에 의해 55.1%가 설명되었다. 3) 운동행위 IMBD 모형에서 운동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 및 우울이었으며,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 그리고 우울은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을 매개로 하여 운동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행위는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 및 우울에 의해 60.4%가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운동에 대한 정보, 운동에 대한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 운동에 대한 행동기술 그리고 우울은 심부전 환자의 운동행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울을 포함한 IMBD 모형이 운동행위의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의 운동행위 향상을 위해서는 우울을 경험하는 대상자의 선별 및 관리가 선행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운동에 대한 적절한 정보제공, 동기부여 및 자신감 향상을 위한 통합된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은 심부전 환자의 운동의 순응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심부전 환자의 건강결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