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효과

        강정혜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을 위한 학교중심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의 구성은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문헌고찰과 연구보고서의 기초자료들을 수렴하여 교육영역과 목푤르 설정하고 8가지 주제로 세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실시 전에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적절성을 평가받기 위하여 2차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수정과정을 그쳤다. 교육진행 방법은 교육내용의 효과 있는 전달과 정신지체 청소년의 적극적인 개입을 위하여 5인 이하의 소그룹형식, 남녀혼합방식, 부모의 간접 참여, 교육내용과 연결된 다양한 활동 등이 반영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총 8차시로 주제별로 서술하면, 1차시 - 청소년기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이해와 적응을 위한 <어른이 되어 가는 우리들>, 2차시 - 이성친구와 올바른 관계와 예절에 관한<좋은 이성친구가 되려면>. 3차시 - 성의 긍정적 가치관 형성을 위한<사랑과 결혼>, 4차시 - 남녀의 생식기 구조와 기능에 관한<나도 엄나, 아빠가 될 수 있어요>, 5차시 - 임신과 출산에 관한<아기가 태어났어요>, 6차시 - 올바른 성행동을 위한<내가 결정하고 내가 선택해요>, 7차시 - 성폭력의 개념과 예방법을 알기위한<내 몸은 보물이예요>, 8차시 - 성폭력 대처방법과 기술을 익히기 위한 <내 몸은 내가 지켜요>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실시는 경기도 K시에 위치한 I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14-15세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 5명과 1팀과 같은 지역의 M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중인 17-18세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 5명 1팀 총 2팀 1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평가는 사전-사후 설계로 1:1면접을 통한 성지식과 성태도 검사 후 대응표본 t-검정 실시하였고 수량적인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소감눈 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프로그램을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에게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 후 성지식과 성태도가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보였다. 둘재, 교육영역별 비교에서 성지식의 전 영역이, 생리현상을 제외한 성태도의 전 영역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성에 따른 비교와 하교(연령)에 따른 비교에서 성지식과 성태도 모두 유의한 수준의 증가를 보였으나 성태도에 있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좀 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넷째, 소감문 분석을 통해 교육대상자는 본 성교육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으며 부모도 성교육의 간접개입방식에 있어 55%의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성교육 프로그램은 성지식과 성태도에서 만족할만한 교육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성지식과 긍정적인 성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현승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전후, 좌우 감성지능의 점수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의 C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2015년 9월 2주부터 2015년 10월 4주까지 7주간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시하였다. 감성지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다양한 행동변화를 분석 하기 위하여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활동상황, 활동 소감문을 분석하는 등 정성적 자료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감성지능 점수를 비교 검증한 결과, 5% 수준에서 감성지능 점수는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은 감성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감성지능 점수를 검증한 결과, 감성지능 점수는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감성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행동 관찰 및 활동 소감문 등을 분석한 결과,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도 인식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타인의 감정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능력,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등 감성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되어져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이 연구를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다른 학년 학생들의 감성지능을 함양하기 위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다양하게 이어져야 한다. 둘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 되었으며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생의 감성지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된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일선학교에서 손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널리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다른 교과로 확대하여 초등학교 학년 수준에 맞는 감성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프로그램이 대구지역 고등학생의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ed at high school students in an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sex education programs are intended to develop.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evolution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in response to female sex Desire and Sexual conflict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olution of biological organisms in a position to describe the phenomena and processes that have been produced. Such as high school students in 4 classes of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and Sexual Education Program also about applying the pre-and post-change were analyzed. Analysis of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sex education classes have been improved.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grade of understanding of even the high was found. In addition, the sex education lessons to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improve themselves and answer questions about sex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openness were increasing.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Desire and Sexuality reaction analysis on the scientific concept of biological sex can be helpful in learning.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the sex education access for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conflict through the students' sex can help to solve. However, that lack of lesson hours, that it was a handful of subjects, there are drawbacks. Increase lesson hours ahead of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if sex education program taught students Attitude improvement can be expected will be higher than now.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프로그램은 성욕구와 성반응에 있어서 남녀의 성심리 차이에 대한 갈등을 생물학적 유기체의 진화적인 입장에서 현상과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작되었다. 이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시의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성태도에 관한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 수업은 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켰다. 특히 학년이 높을수록 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성교육 수업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도를 높이며, 스스로 질문하고 대답하면서 성에 대한 개방성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또한 성욕구와 성반응에 대한 내용을 생물학적인 개념으로 풀어내어 과학적인 성교육학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은 성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한 접근을 통해 학생들의 성에 대한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차시가 부족하다는 것, 연구대상이 소수라는 것에 대한 단점들이 있다. 앞으로 이를 보완하여 진화심리학적 관점의 성교육프로그램 수업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의 성태도 향상이 지금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곽양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성교육프로그램과 강의식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속적인 검사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과 강의식 수업에 따른 교육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C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60명을 무선표집하여 2개의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이들을 각각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개별수업과 강의식 집단수업을 한 후 직후검사를 실시하고 10일후에 지연검사를 실시하여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실험 결과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법(Repeated Measures ANOVA)을 하였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의 성의 표현,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 생명의 탄생, 이성교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애니메이션, 소리 정보, 사전 등을 삽입하였다. 또한, 강의식 성교육 프로그램은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성교육 프로그램과 동일한 내용으로 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이나 모두에 있어 사전 검사에 비해 직후 검사, 지연 검사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집단이 강의식 수업집단보다 직후검사와 지연검사에서 성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집단이 강의식 수업집단보다 직후 검사와 지연검사에서 성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연속적인 검사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과 강의식 수업에 따른 교육 방법의 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이나 강의식 수업이나 모두에 있어 교육전보다 교육후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교수 방법이 아동의 학업 성취의 극대화에 공헌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methods using multimedia and lecture in continuous te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The total number of 60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multimedia learning group and lecture. The completely randomized Repeated Measures ANOVA was implement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human's sexual expression,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 in puberty, birth, friendship. The sexuality education using multimedia included animation, sound and pictures regarding the content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after the treatments were improved,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multimedia and lecture on sexuality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multimedia and lecture did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 the post test and the delayed test. This facts suggests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students' developmental task contribute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의식과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김미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의식과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의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 여자중학교의 여중생을 대상으로 총 50명 중 25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25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으며, 사전 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성의식 척도, 양성평등의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성의식 향상에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성의식의 하위요인인 이성관계, 순결, 성충동 조절, 성폭력 의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성교육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에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요인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 문화생활 영역의 의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성의식과 양성평등의식에 긍정적 효과를 향상 시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성교육 프로그램을 학교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sex consciousnes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For achieving the purpose, detailed research matter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the improving sex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the improv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For achieving this research purpose, 25 students of A girls' middle school in Busa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remaining 25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Sex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10 sessions to the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had no experiment and only pre-post test was perform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The study used the sex consciousness scal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ale as measurement tool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to verify the problem used SPSS Ver. 23.0 program, set a pre-test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and executed ANC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earch conclusion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sex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x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Specifically, as sub-factors of sex consciousness, there is a meaningful effect on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chastity, control of sexual impulse, and consciousness of sex violence. Second, sex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Specifically, as sub-factor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re is a meaningful effect on the family life, school, occupation, society and cultural.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ex education program is improving the positive effects on sex consciousness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girls. Therefore, it suggests that we need to apply a sex education program in school field.

      •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메 미치는 영향

        박문희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두 어린이집의 만5세 60명이고, 연구도구는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와 친사회적행동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30명과 비교집단 30명으로 나누어 비교집단에는 그림책을 읽어주고 실험집단에만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10주간의 프로그램 적용 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 실험검증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그림책을 통한 정서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켰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에 의한 사고의 촉진, 정서적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정서지능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림책을 읽고 유아와 함께 이야기 나눌 때 유아는 이야기주인공이 되어 자신의 생각을 반영하여 이야기를 나누게 되므로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그림책을 통한 활동을 하며 좀 더 심화된 단계인 정서적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을 가져와 정서지능이 향상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정서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켰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절, 대인관계형성, 학교적응, 친사회적 행동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사회적 내용이 담긴 그림책을 접하며 갈등상황과 인물의 내면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며 주인공을 모델링 하거나 감정이입하며 감정조절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적인 활동을 하며 친구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할 줄 알게 되어 개인의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 학교적응능력이 향상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그림책을 통해 통합적인 접근법인 형태로 감성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것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갖고, 다양한 상황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that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via picture books have on 5-year-old children’s emotional quality and pro-social behavior. To achieve that end, the study questions were chosen as below. 1. Does an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quality? 2. Does an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affect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capital area. The tools of the study we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evaluation tool for children by teachers’ evaluation and pro-social behavior diagnosis tool. And this research separated them to a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had only picture books read while the experiment group was conducted of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After the program,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has given us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has enhance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accelerated thinking by emotion, utilization of emotional knowledge, reflective regulation of emo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ffected all positively. To wit, when conversation is shared with children after reading the picture book, children share the story as if they were th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thus, resulted in accelerated thinking. Also, when the activity via picture books is conducted, it enhances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ince it induces more deepened stages like utilization of emotional knowledge and emotional reflection. Second,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via picture books has enhanced pro-social behavior of the children. The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personal emotion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school adaptation, and pro-social behavior have affected all positively. To wit, as they read the pro-social storied picture books and give keen observation on the conflicts and characters’ inner side, they model or sympathize the main character, which results in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control. And as they interact with friends doing cooperative activities, they control their needs and emotions and care of and understand others. This has enhanced their emotional control, interpersonal skills, and school adaptation ability. This study shows that to have children experience the emotional education program using interesting and familiar picture books as a form of an integrative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This implies that in this fast changing society,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via picture books are needed to raise children who can have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spond properly to diverse situations and changes.

      • 초기 청소년 대상 부모참여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성지식, 성태도, 성관련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유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초기사춘기의 발달적 특성 및 악화하고 있는 유해환경 등으로 인해 초기청소년들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성교육은 빈도와 질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초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성 관련 지식과 정보는 학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달체계를 통해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성지식 및 성인식을 포함한 광범위한 인성교육으로서의 ‘포괄적 성교육’으로 성교육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자녀의 건강한 성인식 확립의 효과적인 조력자로 부모의 역할을 들 수 있는데, 부모는 자녀와 성에 관해 대화함으로써 초기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 발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부모참여의 방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들을 위한 포괄적 성교육(UNESCO, 2018)을 부모참여기반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부모참여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참여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교육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간의 성관련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K 지역의 4-6학년 남녀학생 및 그 부모를 대상으로 33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부모참여기반 성교육 프로그램), 비교집단(부모참여 없는 동일한 성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통제집단(무처치) 에 무작위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9회기에 걸쳐 멀티미디어 자료와 활동 교수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세 개 집단의 교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참여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와의 성관련 의사소통 수준, 참여부모들의 자녀와의 성관련 의사소통 수준이 사전-사후검사로 측정되었고, 실험집단에 한하여 8주 후에 추후검증이 이루어졌다. 사후검사의 집단간 차이와 사전-사후 점수 변화율 차이를 보기 위해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점수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과 크기를 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과 효과크기(Cohen’s d)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참여 기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기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와의 성관련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모참여 성교육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 8주 시점에도 유지 또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와의 성관련의사소통에서의 향상은 실험집단에서도 추후검증에서만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어, 자녀편에서 성관련의사소통에 대한 향상 효과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는 것과 대조되었다. 부모참여가 없는 성교육프로그램만 제공한 비교집단에서는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는 나타났으나 성관련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자녀나 부모편 모두에서 아주 제한된 효과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에서의 부모참여가 부모-자녀간 성관련의사소통 변화에서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 개발한 부모 참여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한 현실적 방식으로 부모참여를 유도하였는데, 이러한 제한된 방식도 기존의 긴 시간의 부모참여를 요구하였던 성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스러운 성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early adolescents is significant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arly puberty and the increasingly detrimental environment they face. However, school-based sex education encounters various challenges concerning frequency and qual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gender-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early adolescents through diverse delivery systems, extending beyond the confines of school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sex education to encompass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hich not only cover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but also includes character education. Parents play a crucial role as effective facilitators in establishing healthy sexual perception for their children. Open dialogue between parents and early adolescents regarding sex is vital in shaping their healthy sexual development.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to explore realistic approaches to parental particip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short-term,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UNESCO, 2018). It aims to examine whether this program changes i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e study recruited 33 pair participants, comprising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along with their parents from the K region in Gyeonggi-do.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parent-particip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 a comparison group (sex education program without parental participation), and a control group (no treatment). The sex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ine sessions utilizing multimedia and activity-based content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participating youth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level of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 level of sex-related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t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from parents’ perspective. An additional follow-up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8 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the Mann-Whitney U-test to compare post-test results and differences in pre-post score changes of the three groups, as well a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effect size (Cohen's d), were employ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in enhanci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mong early adolescents. The effects were maintained or improved over time. Notably,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as perceived by parents, were only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ver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clear and consistent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ere evid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ting adolescents. In the comparison group, which received a sex education program without parental participation, changes in adolesc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were observed, but the effect on sex-related communication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was limit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haping sex-related communication. The parent-participation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acilitated parental involvement in a sustainable and brief way, achieving relatively satisfactory outcomes compared to long-term parental involvement in existing sex education programs.

      • 가정 성교육과 학부모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들의 인식

        엄혜영 경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성교육과 학부모 대상 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창원지역 중학생 학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가정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부모 대상 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조사 결과 가정 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으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매우 적었다. 가정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성장단계에 맞추어 자녀의 체계적인 성교육을 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 성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학교 성교육만으로 충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가정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조사 결과 가정에서 성교육을 할 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으로 가장 많이 응답된 것은 신체발달, 성 건강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결혼과 성역할, 이성과 사랑, 사회적 환경, 양성평등 순로 응답되었다. 셋째, 학부모 대상 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조사 결과 학부모 대상 성교육을 실시할 때 참여 의사가 있다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학부모 중 어머니의 참여의사가 아버지보다 많았고, 아버지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상당히 많았다. 학부모 대상 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자녀의 성장단계에 맞는 적절한 성교육을 하고 싶어서가 가장 많았고, 학부모 대상의 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이유로 가장 많이 응답된 것은 경제적 활동으로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신체발달, 성 건강 영역에서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는 사춘기 심리특성이 가장 응답률이 높았다. 결혼과 성역할, 이성과 사랑 영역에서는 교우관계, 이성교제가 가장 응답률이 높았고, 사회적 환경, 양성평등 영역 중에서는 성폭력 예방이 가장 응답률이 높았다. 학부모 대상 성교육의 진행 방식으로 전문가의 특별강의가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학부모 대상 성교육의 적절한 강의자로는 성교육 전문가가 대부분의 응답을 보였다. 부모 대상 성교육의 적절한 시간대로는 토요일 오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부모 대상 성교육의 적절한 1회 소요시간으로는 1시간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학부모 대상 성교육의 적절한 횟수에 대해 학기에 1번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awareness of parents on the domestic sex education and external programs for them. We’ve confined the scope of focus group as parents who have middle school child or children and live in the city of Changwon, South Korea.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parental perspectives to the need of domestic sex education? Secondly, what are parental perspectives to the context of domestic sex education? Finally, what are parental perspectives to the external programs of sex education? We’ve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majority of response shows domestic sex education is in need, but a few replied it is redundant. Most responders regard suitable sex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stages of child or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Some parents think sex education at school is enough. Secondly, with regard to the context of sex education, the following subjects are orderly in their concern: gradual development of physique, sexual well-being, marriage and sex, heterosexual love, social recognition, bilateral sexual equality . Thirdly, many parents want to participate external programs of sex education, if available. Mothers show much eagerness to the programs than fathers, even many fathers don’t tend to attend to the programs. Affirmative responders expressed their needs to attend the external programs as it’s imperative nurture along with child or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Tightly packed day-to-day business hours suppress the intention for subsequently the negative responders to take part in the external programs The most needed parental acknowledgement on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sexual well-being is the psychological traits of adolescence. In the domain of marriage & sex and heterosexual love, parents mostly want to know about peer community friendship and heterosexual friendship. For social recognition and bilateral sexual equality arena, preventive measure for sexual violence gets the top concern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delivery method of sex education, most parents favor lecture of experts from sexual education domain. The study founds one hour session in the Saturday morning every semester would be most welcomed from the parents.

      •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어떤 목적과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생활 속에서 유아기자녀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효과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방향과 지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4개의 주제(임신과 출생, 유아기 성의 발달과 성인식형성과정, 안전한 성을 위한 지도방법, 양성평등교육)로 구성된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기부모를 대상으로, 임신과 탄생을 중심으로 인간존중, 생명존중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성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유치원의 유아부모 53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6명)과 대조군(27명)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게만 주 1회 2시간 씩 총 4회기의 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로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을 검사도구로 측정하였고, 4주의 프로그램이 끝난 후 동일한 시기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교육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8v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이 부모의 성지식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의 향상과 성태도의 긍정적인 변화 그리고 유아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밝혀내었다. 유아기 부모의 가정 성교육은 단순히 성에 국한되는 교육이 아니라 인간과 성을 연계하는 생명존중, 인간존중이라는 인성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이므로 유아기 부모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자녀에게 성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기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생명존중과 인간존중이라는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으로서의 지향성을 갖고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희숙 조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ABSTRACT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ts Effects Park, Hee Sook Academic advisor : Prof. Seo Hyun, Ed. D. Department of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ntains divers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filial piety, propriety, sharing, caring, respect, consideration, and spirit of community, and therefore its educational values and meanings are very significant. Thus, this study purposed to develop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test its effect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largely Question 1 and Question 2, an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Question 1] How is the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1-1] How are the cont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1-2] How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1-3] How is the assessmen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Question 2] How are the effec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2-1] How is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children’s self‐esteem? [2-2] How is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children’s consideration behavior? [2-3] How is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children’s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dure as follows. For [Question 1], in order to develop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ersonality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the purposes and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and eight content areas were defined. Then, content validity was tested by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ield teachers, and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were organized.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signed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methods were select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and through further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For [Question 2], the effec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children’s self‐esteem, consideration behavior, and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year‐old children of two classes, one as the experimental group (n=20) and the other as the control group (n=20), at A Kindergarten in G City.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esteem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Seong‐ae Ji, Yeong‐ok Kim, and Hee‐sook Park (2003) based on PSPC of Harter and Pike (1984)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eong‐ae Ji and Seung‐hee Kim (2010), the consideration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Lipman (2003) and revised by Myeong‐sook Han (2013), and the scale on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by Gyeong‐hwa Jeon (200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ee‐sook Baek (2006).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from October 13 to December 5, 2014 by apply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week and a total of 24 times, and activities related to life themes for five‐year‐old children to the control group. Data analyses used SPSS 18.0. For young children’s self‐esteem, consideration behavior, and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each group had a pretest and a posttest, and the scores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y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First, whe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was designed according to Question 1, the purposes of the program were cultivating positive self‐esteem and developing consideration behavior and a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right mind, behavior, sharing, and caring. In addition, the program aimed to raise whole people in intelligence, virtue, and physique by promoting healthy life habits, and social, emotional, ethical, and moral abilities. The goals of this program were to uplift self‐esteem through understanding the self and assuming a positive life attitude, to strengthen abilities to understand and respect others and consider others in desirable relationships, to stimulate interest in and familiarity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to form healthy basic life habits to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as a member of social community, to acquire identity and pride through right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to cultivate social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through emotional empathy inherent in traditional culture, and to develop ethical and moral abilities for internalizing moral values and discerning good from evil.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designed to have introduction (presenting and gathering ideas), development (touching and feeling culture, examining and following, and enjoying through applying and expanding), and conclusion and assessment (sharing and solidifying feelings). The teacher’s roles were defined as motivator, guide, demonstrator, facilitator, assessor, and cultivator of sense of community. Assessment was divided into assessment for children and that for the program. Assessment for children consisted of the teacher’s observation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activities, and children’s self‐evaluation and mutual evaluation. Assessment for the program was made by the teacher using a checklis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adequacy of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its effects were assessed. Second,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 to [Question 2],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had large/small group activities related to general life themes. Then, the children’s self‐esteem, consideration behavior, and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were measured. In the prete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lf‐esteem, consideration behavior, and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In the posttes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verall self‐esteem and its sub‐areas cognitive self, social self, physical self, family‐acceptance self, and emotional self.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verall consideration behavior and its sub‐areas active behavior, normative behavior, emotional behavior, and appreciative behavior.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verall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sub‐areas lives of eating, clothing, and housing, cultural assets, traditional plays, and traditional arts, and in overall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and sub‐areas lives of eating, clothing, and housing, cultural assets, traditional plays, and traditional arts. In conclusio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consideration behavior, and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program not only provides a ground for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meaningful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in connection to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lso is applicable a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educational values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