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만의 성격소품 <어린이 정경>을 중심으로 한 감상 지도

        배종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음악교육의 본질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의 기초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나아가 음악을 즐기는 생활 태도를 갖는 것이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영역별 지도 내용체계는 표현 영역, 감상영역, 생활화 영역의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음악활동 중에서 감상교육은 음악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표현 능력을 키우며 음악적 심미적 경험을 넓혀 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학습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슈만의 성격소품 <어린이 정경>을 선정하여, 곡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감상지도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어린이 정경>을 중심으로 성격 소품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어린이 정경> 작품을 분석하여 현 교육과정의 내용과 음악교과의 감상지도 방법에 알맞은 성격 소품 감상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성격소품의 특징에 따라 교수․학습활동 지도안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학교 수업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단계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감상지도 영역의 내용체계 및 3~4학년의 성취 기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3~4학년의 음악교과에 제시된 음악 요소 및 개념과 감상영역의 지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슈만의 피아노 음악과 성격소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어린이 정경> 8곡에 나타난 조성, 박자, 셈여림, 빠르기 등의 음악요소와 성격소품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격소품 특징에 따른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학습단계에 알맞은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이 감상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어린이 정경>에 나타난 음악 요소 및 개념들을 쉽게 이해하고, 곡의 분위기와 악곡의 특징을 잘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슈만의 성격소품 <어린이 정경>을 중심으로 한 감상지도는 학습자의 감성과 표현력을 향상시키며 예술적인 심미안을 기를 수 있었다.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seeks to realize musical education that provide diverse music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learn the basic musical skills to express creatively and build the attitude to enjoy music in daily life. To realize such purposes, the musical educational curriculum is consisted of three areas, expression, appreciation and familiarization as part of everyday life. Among these diversified musical activities, the musical appreciation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musical understanding, expressive skills and broaden musical aesthetic experiences. In this research, Schumann’s Kinderszenen is mainly examined to present various different ways of music appreciation teach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pieces. To this end, literature mostly on Schumann’s Kinderszenen was reviewed herein to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pieces. Also by analyzing the Schumann’s Kinderszenen, this thesis explored ways to teach character piece appreciation in line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of the music subject. By considering the features of character pieces,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were organized in this thesis and they wer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of school class. As a theoretical phase of the research, content structure of appreciation teaching which appeared in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musical educational procedures and the performance achievement criterial for the 3rd and 4th graders were examined here in. The idea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pieces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features of Schumann’s piano and character pieces. Schumann’s Kinderszenen was analyzed for its musical elements such as tonality, beat, dynamics and tempo, as well as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 pieces. Learning goals were established in line with the features of character pieces and class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appropriately for each learning phase for practical use here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provided in this thesis was found helpful for students understand the musical ideas and factors in Kinderszenen easily along with its general atmosphere and characteristics. Also through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of the character piec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positive emotional change and aesthetic enjoyment of music appreciation. To su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 centering on Schumann’s character pieces of Kinderszenen is expected to serve as an effective educational research material for improving learners’emotion, expressive skills and aesthetic sense for art.

      • 낭만주의 성격소품에 관한 연구 : R. Schumann의 Fantasiest?cke, Op.12와 J. Brahms의 Klavierst?cke, Op.118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유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성격소품이라는 장르를 발전시키고 확립한 낭만주의 음악의 선구자이다. 슈만의 성격소품 중 초기에 해당하는「Fantasiestücke Op.12」는 각각의 표제를 지닌 총 8개의 소품이 하나의 제목아래 모음곡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작품으로 낭만주의 성격소품의 특징과 낭만주의적인 음악어법을 잘 담아내고 있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절대음악적인 성격소품을 작곡한 대표작곡가인데, 그의 후기 작품인「Klavierstücke Op.118」은 문학적 관련을 갖지 않으면서도 6개의 소품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작품으로 낭만주의 성격소품의 특징들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음악어법에는 슈만에게서 받은 영향들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슈만의 초기작품「Fantasiestücke Op.12」와 브람스의 후기작품「Klavierstücke Op.118」을 비교 분석하여 낭만주의 성격소품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두 모음곡이 각각 하나의 유기적인 작품으로 연결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나아가 브람스가 슈만에게서 받은 음악적 영향과, 자신만의 음악어법으로 발전시킨 과정에 대해 고찰해본다.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who is a pioneer of the Romantic Music established and developed a genre of the Character Piece. R. Schumann’s「Fantasiestücke Op.12」which is part of the Character Piece is a set of eight short pieces under one title, and is a suite form representing the Character Piece of the Romantic Period and its musical language. Johannes Brahms (1833-1897) is a composer preferring the Absolute Music in the Character Piece. His「Klavierstücke Op.118」is a work that six short pieces are connected coherently without literary relation and expresses the Character Piece of the Romantic Period well. It shows clearly he is affected by R. Schumann in musical language. This dissertation will identify the Character Piece of the Romantic Perio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 Schumann’s「Fantasiestücke Op.12」and J. Brahms’「Klavierstücke Op.118」,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two works are connected into one of the coherent work. Furthermore, it will examine the musical influence from R. Schumann to J. Brahms, and the process that developed with his own musical language.

      • 낭만주의 성격소품에 관한 고찰 : 슈만(R. Schumann)의 환상소곡집(Fantasiestücke) Op.12를 중심으로

        주효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6

        18세기 프랑스 혁명 후, 유럽은 새로운 시도와 함께 사회가 변하면서 음악에 있어서도 낭만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이전의 고전시대가 형식과 틀에 얽매인 절제된 음악이었다면,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은 개인의 감정을 중심으로 작곡가 개개인의 개성이 뚜렷이 나타날 만큼 새롭고 자유로운 음악들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의 슈만은 문학에 큰 관심을 보이면서 그의 음악에 문학의 내용을 접목시키기도 하였는데, 문학 작품에서 받은 영감을 자신의 음악에 새로운 표제를 붙여 여러 개의 ‘캐릭터 피스’들을 묶어 하나의 모음곡 형태인 ‘성격소품’을 탄생시켰다. 특히 슈만의 ‘환상소곡집 Fantasiestucke, op.12’는 그의 여인 클라라 슈만과 사랑의 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작곡되었으며, 각각의 표제를 지닌 총 8개의 소품이 하나의 제목아래 모음곡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슈만의 성격소품 중 ‘환상소곡집 Fantasiestucke, op.12’을 분석함으로써 낭만시대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인 성격소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에 앞서 낭만주의 음악과 슈만의 피아노 음악에 대해 알아보고, 성격소품을 작곡한 주요 작곡가들의 음악적 특징 또한 살펴보았다.

      • 슈만 《Carnaval, Op. 9》에 나타난 '성격' 표현기법 연구

        전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음악미학에서 이루어진 ‘성격’에 관한 논의와 함께 슈만의 피아노 작품 R. Schumann 《Carnaval, Op. 9》에서 나타난 ‘성격’의 표현기법을 연구하였다. 19세기 음악미학에서 ‘성격’에 대한 논의가 처음 이루어졌을 때, ‘아름다움’ 반대의 개념으로 시작하였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성격’은 예술의 새로운 가치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연구가 지속되었다. 낭만주의 음악에서 ‘성격’의 표현은 작곡가들로 하여금 형식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게 하였고 작품 속에서 자신들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이를 가장 잘 실현시킬 수 있는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이라는 음악 장르가 19세기 초에 등장하였고, 작곡가들의 환상을 비교적 자유로운 틀 위에서 표현할 수 있었다. 성격소품은 대부분 피아노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각 곡은 환상적이거나 단일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제목에 표제적인 아이디어가 포함되기도 한다. 19세기를 대표하는 작곡가 슈만(R. Schumann, 1810-1856)은 특히 성격소품을 다수 작곡하여 성격소품의 위상을 높인 작곡가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슈만의 피아노 작품 《Carnaval, Op. 9》 중 인물을 중심으로 하는 악장들을 분석하여 각 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이 음악기법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각 인물들의 ‘성격’은 리듬, 화성, 아티큘레이션, 조성, 다이내믹 등의 변화를 통하여 개성 있게 표현된다. 16세기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에 등장하는 인물들인 <피에로>와 <아를르깽>, <판탈롱과 콜롬빈>, 슈만 내면의 자아를 이미지화한 <오이제비우스>와 <플로레스탄>, 슈만 생전에 실존했던 인물들 <끼아리나>, <에스트렐라>, <쇼팽>과 <파가니니>, 슈만이 만들어낸 가상 결사체인 다윗동맹이 등장하는 <필리스틴에 대항하는 다윗동맹원들의 행진>의 분석을 통해 음악에서 ‘성격’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discussion of 'character' in R. Schumann's piano work 《Carnaval, Op. 9》,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character' in music aesthetics. When 'character' was first discussed in 19th-century musical aesthetics, it started as a concept opposite to 'beauty', but as time went on, 'character' was accepted as a new value in art, and the research continued. In Romantic music, the expression of character gave composers freedom from form and allowed them to express their personalities in their work. The musical genre that best realized this, the character piece, emerged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allowed composers to express their fantasies within a relatively free framework. Character pieces are mostly written for piano, each piece expressing a fantastical or unitary mood and often containing a thematic idea in the title. R. Schumann (1810-1856),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19th century, was one of the composers who raised the status of the character piece by composing many character pieces.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centered movements of Schumann's piano work 《Carnaval, Op. 9》 and examines how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in each song are expressed through musical techniques. The 'personality' of each character is uniquely expressed through changes in rhythm, harmony, articulation, composition, and dynamics. <Pierrot>, <Arlequin>, <Pantalon and Colombine> characters from the 16th-century Commedia dell'arte; <Eusebius> and <Florestan>, images of Schumann's inner self; and <Chiarina>, <Estrella>, <Chopin> and <Paganini>, who existed during Schumann's lifetime, and <the March of the Davidians Against the Philistine>, which features Schumann's fictional organization, the League of David, will be analyzed to help us understand how 'character' is represented in music.

      • 브람스의 「Klavierstucke」op.76과 op.118의 Intermezzo에 대한 연구

        유승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68

        브람스의 「Klavierstücke」op.76과 op.118의 Intermezzo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mezzo for 「Klavierstucke」op.76 and op.118 by J. Brahms 음 악 학 과 유 승 희 지 도 교 수 차 미 소 란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무조음악과 오페라가 전성기를 누리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임에도 불구하고 고전적인 형식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낭만주의적 색채를 잘 배합하여 자신만의 어법을 만들어낸 작곡가였다. 브람스의 피아노 작품은 40년에 걸쳐 작곡되고, 연대의 순서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고전적 영향을 받은 소나타를 중기에는 여러 작곡가의 작품에서 주제를 발췌한 변주곡을, 후기에는 성격소품을 주로 작곡했다. 성격소품은 내성적이고 주관적인 요소가 함축되어 있는 소규모의 작품으로 19세기에 유행했던 음악장르였다. 브람스의「Klavierstücke」op.76과 op.79는 후기 성격소품의 초기 작품이며, 그 후 브람스는 15년이라는 시간이 지난뒤 「Klavierstücke」op.116-119를 작곡한다. 이 작품들은 모두 30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발라드, 랩소디, 카프리치오, 로만스, 인터메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브람스가 가장 많이 작곡한 곡은 인터메쪼로 총18개가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브람스의 음악적 특징과 성격소품의 초기작품인 op.76과 후기작품인 op.118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인터메쪼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해 두 작품의 리듬·화성·대위법·조성·형식·규모 등이 어떤 변화를 나타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두 작품의 형식과 조성에서 op.76은 2개의 2부형식과 2개의 3부형식과 대부분이 장조로 되어있고, op.118은 대부분 3부형식과 단조로 나타나고 있다. 화성에서는 두 작품 모두 병행3도와 6도 그리고 감7화음들을 주로 사용하고, op.76에서는 대부분 7화음들의 변형이 주를 이루고, op.118에서는 7, 9, 11화음과 증 6화음, 그리고 코랄 패시지와 종지에서는 피카르디 3도를 사용한다. 리듬과 대위법에서는 두 작품 모두 비슷하게 2:3 교차리듬과 당김음, 부점리듬과 헤미올라 등이 대부분 사용된다. 작품의 규모는 op.76의 경우 짧은 길이의 작품이 제3곡 30마디이고, 긴 길이의 작품이 제6곡 91마디로 나타나는 반면에 op.118에서는 짧은 길이의 작품이 제1곡 41마디이고, 긴 작품이 제4곡 133마디로 op.118에서 작품의 규모가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성격소품의 초기작품 op.76과 후기 작품인 op.118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인터메쪼에 대해 비교·분석하면서 브람스가 성격소품 중에서 가장 많이 작곡했던 인터메쪼가 어떻게 확대되고 변형되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브람스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주요어: 브람스, 후기 낭만주의, 성격소품, 인터메쪼,「Klavierstücke」op.76,「Klavierstücke」op.118

      • R. Schumann의 Kreisleriana Op.16에 관한 연구

        이현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2

        음악사에 있어서 낭만주의란 개념은 이성, 객관성, 합리성 이라는 보편적 이념 을 추구한 18세기의 고전주의에 대하여 감정,주정성,환상성이 라는 개성적 체험을 중시한 19세기의 음악적 경향을 가르키는 것이다. 낭만주의 성격소곡은 이런 경향에 가장 적합한 장르로서 이들 성격소곡은 감상적이며 때로는 몽상적인 음악적 감성을 표현했고 고전주의 형식 에 서 벗어나 자유롭고 서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작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성격소곡의 의미와 역사를 살펴보았다. 또 성격소곡이 가장 활발히 쓰여진 낭만시대의 작곡가 '슈베르트', '멘델스존' '쇼팽', '슈만'의 성격소곡의 특징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들 성격소곡은 선율,조성,화성,리듬에 있어서 낭만주의적 특징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중 슈만의 성격소곡들은 문학과 연결된 표제음악이라는 점에서 특이하다. 그의 작품중 모음곡 형식의 환상곡 Kreisleriana op.16은 슈만 의 최대 걸작으로 E.T.A Hoffmann(1766-1825)의 소설에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다. 각 곡의 형식은 A-B-A 3부 형식과 Rondo 형식으로 되어있다. 각곡은 슈만의 이중적 내면세계를 나타내는 Florestan과 Eusebius 의 대비된 성격을 빠르기, 강약, 분위기의 대조를 통해 잘 표현하고 있다. 곡의 주제음형과 리듬은 반복되며 발전해 나가고 반음계, 잦은 전조, 화성변화가 낭만주의적 음악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본 논문은 슈만의 성격소품 Kreisleriana Op.16을 분석함으로서 낭만주의적 음악 특성을 알아보려 한 것이다. Kreisleriana op.16은 서로 대비되는 8곡을 통해서 슈만 특유의 어법과 낭만주의 음악적 요소를 잘 보여주는 곡이다. Romanticism in a history of music refers to the nineteenth century's musical tendency towards emotionalism, emotivism, and fantasism that are accentuated by an individual's experience. Romanticism defies against the eighteenth century's music that pursuits general ideology of rationalism, objectivism, and logical positivism. Character pieces of the romantic era represent the genre of music in the most defining ways. These character pieces escaped from a classical formality to express sentimental and sometimes dreamlike states of human feelings with exceptionally free and lyrical composition techniques. The true meanings of character pieces in the history of music are carefully observed in this paper. Also,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character pieces by the romanticist composers like Schubert, Mendelssohn, Chopin, Schumann are examined and analyzed. These character pieces present the distinctive features in their melodie, key, harmonie, and rhythm. Among the many character pieces in the era, Schumann's character pieces are distinguished for his program music in relations with literature. Kreisleriana Op.16, a fantasia, one of Schumann's greatest masterpieces was inspired by E.T.A Hoffmann(1766~1825)'s novel and composed as a suite. Each composition is in an A-B-A form of three parts and a Rondo form. They represent Schumann's inner world in dualism. The dramatic contrast of Florestan and Eusebius is expressed with contrasting tempo, dynamic, and mood in the music. The theme figure and rhythm is replicated and developed while chromatic scale, frequent modulation, harmony change displa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romantic music.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romantic music by an in-depth analysis of Kreisleriana Op.16, the Schumann's character piece. Kreisleriana Op.16 shows Schumann's characteristic expression technique and elements of romantic music through its eight contrasting compositions.

      • J. Brahms 의 Klavierstücke Op.76 의 연구·분석

        이지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2

        Johannes Brahms는 고전주의 형식과 낭만주의 요소들을 결합시킨 보수적 성향의 음악어법으로 작품을 만들어낸 후기 낭만주의의 대표적 작곡가이다. 브람스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 피아노 음악을 작곡하였는데 이는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장르이다. 브람스는 약 30여곡의 성격 소품을 작곡하였고 이들은 규모가 큰 피아노 작품들에서 전개된 것과 같은 기법과 표현 방식을 소규모로 응축시켜 놓은 양상을 지니고 있으며, 전통적인 작곡 기법에 머무르지 않고 낭만 시대의 특성을 가진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 중 Klavierstücke Op.76 은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그의 작품 생애에 전환기적 작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브람스의 첫 번째 성격소곡 묶음집으로서, 4개의 Capriccio 와 4개의 Intermezzo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식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각 곡에 쓰여진 작곡기법 또한 다양해져 브람스가 즐겨 다루는 주제적 동기의 변주나 복합적인 리듬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브람스는 이전의 규모가 큰 소나타와 변주곡의 작품 활동에서 벗어나, 작은 규모의 내성적이고 주관적인 요소가 함축되어 있는 성격 소품의 작곡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는데 Klavierstücke Op.76은 그 사이에 쓰인 작품으로서 브람스의 작품 활동의 전환기적인 작품 특성을 보여주었다. Klavierstücke Op.76은 여러 가지 실험적인 작곡 양식 뿐 아니라 그의 작품에 내면화되어 있는 정신 세계를 알 수 있으며 초기작품에 쓰였던 대위법이나 변주곡 양식은 항상 중요한 작곡 기법으로 후기 소품에도 나타나 절제되고 간소한 형식과 다양한 낭만주의적 표현 기법과 더불어 Op.116-119의 브람스의 후기 성격소품 모음집을 이끌어내는 초안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