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 : 語彙를 中心으로

        정유진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稿是關于中國語和韓國漢字的比較,重点是在韓國使用時擴大、縮小和轉移來比較漢字的。我國使用漢字可以分成中國系統的漢字,卽中國飜譯進來的弗敎系統的漢字, 還有從日本進來的日本系統的漢字和我國自成的韓國漢字。這里所要硏究的是韓國系統的漢字和中國系統的漢字, 相互比較的關鍵是字體的造型, 字體的筆劃幷在整個字體中的變化, 結合這些字體的變化來分析中國語和韓國漢字的區別。本稿的具體構成如下: 第一章 : 考察硏究目的和硏究方法及范圍。 第二章 : 說明語匯的槪念和中國語語匯的硏究。 第三章 : 韓國漢字和中國漢字的變遷和特征。 第四章 : 韓國漢字和中國漢字的比較分析。說明意味的擴大, 意味的縮小, 意味的轉移。 第五章 : 作爲本論文的結論, 整理了再本文所敍述的內容和意義。 意味的縮小的意思是意味的內容比較豊富不過用的范圍少, 意味的縮小的漢字有個別、貿、變、傍助、心思、弱、窓戶、家族等等, 意味的擴大的意思是已經通用中的單詞上加着新的意味所以意味的范圍更大, 意味的擴大的漢字有勸、 事情、洗手、愛情、藥、症、態、通信、現代等等。意味的轉移的意思是已經通用中的單詞的意味變成別的意味的意思, 這個轉移分成轉移到一部分和轉移到完全不同的意思。轉移到完全不同的意思有乾杯、老派、綠、順、放心、小心、留念、壯、質量等等, 轉移到一部分的漢字有明白、富、野、賤、平常等等。

      • 張裁與徐敬德哲學比較硏究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ilosophical Ideologies of Zhang Zai and Seo Keungdeg

        한상미 [中國人民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7807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 (徐敬德) are important and influential representative figures of "Qi philosophy (氣學派)" in chinese and korean histon of ideology. Zhang Zai (張載) is the founder of "The study of Qi (氣)'' in chinese "Song Niing Li Xue (宋明理學)'', and some philosophic ideas and scopes of his has great influence up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ng Ming Li xue (宋明理學)", the korea philosopher, Seo Keungdeg (徐敬德). heralds the well-known "Tueikae (退溪)" and "Ulkog (栗谷)" in later korean histonT by his "Theory of Qi (氣)". This thesis tries to demonstrate some essence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s by a comparative study betvveen the tvvo above-mentioned philosophers on "Qi (氣)". This thesis is divided into 7 chapters. The first and last chapters are indruction and conclu$ion respectively. The other chapters focus on logic and comp~ative studies between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 s (徐敬德) philosophies. Chapter II: The life stories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 (徐敬德). This chapter; by the order of historical events, covers the respective historical processes in which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s (徐敬德) philosophies are forme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economy, politics and cultrural backgrounds at that time. Chapter III: The comparison of "Tai Xu (太虛)", "Qi (氣)" and "Wu (物)" between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 (徐敬德). This chapter is further divided into 6 parts: l j philosophic logic ; structure; 2) "Tai Xu (太虛)"; 3) `.Qi (氣)"; 4) "Xu (虛)"and "Qi (氣)":5) "Qi(氣)" and "Wu (物)": 6) "Xiang (象)" and "Shu (數)". Chapter IV: Comparison of Theon~ of Change. Both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 s (徐敬德) theories of change are divided into 5 parts: 1) "Shen (神)"and "Hua (化)": 2) "Yi (一)"and "Liang (兩)"; 3) "Dong(動)" and "Ji(机)"; 4) "Ll(理)" and "Qi(氣)" : 5) "Chou(仇)" and "He(和)". Chapter V: The comparison of "Zhi (知)". Cbapter VI: The comparison of "Xing (性)". By a comparative study of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s (徐敬德) logic structures and scopes on "Qi (氣)" theories a conclusion may be drav~Jn: Zhang Zai (張載) and Seo Keungdeg(徐敬德) have a lot of views in common and a lot of view which are different. It demonstrates. in certain extent, the identity and dis- parity of chinese and korean philosophies.

      •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 활용이 의사소통능력과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영어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김영수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 나라 초등영어 7차 교육과정에서는 새로이 '문화'요소가 포함되었다.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가지 언어 기능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과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여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을 총괄 목표로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에 대한 내용이 5,6학년 영어 지도서의 단원 4차시에 참고자료로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어 미흡한 면이 있다. 따라서 영어교육의 초기 학습에서부터 체계적인 문화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영미문화에 대한 지도가 반드시 우리 문화와 관련시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영어 학습에서 다루어야 할 언어 표현과 관련하여, 함께 가르쳐야할 영미 문화의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하면 될 것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따라서 한·미 문화비교 학습 자료를 구안·제작하여 실제 영어시간에 언어 표현 지도와 함께 적용함으로써 한·미 두 문화의 차이를 지도하면 학생의 영어 학습에 대한 듣기·말하기 능력이 향상되며 또한 흥미도가 향상될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증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과 일반적인 영미 문화 내용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및 영어 학습 홍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하여 6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있는 문화지도 내용을 중심으로 6학년 1개 반을 비교시기와 실험시기로 정하여 비교시기는 일반적인 수업모형을, 실험시기는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수업은 각각 12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및 영어 학습 흥미도를 SPSS 10.0 프로그램의 대응표본과 독립표본 검정을 실행하여 가설을 입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일반 수업 결과와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 수업 결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한·미 문화비교 학습 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 수업을 한 시기가 듣기·말하기 능력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검증결과 듣기 p<.05(.018), 말하기 P<.05(.037) 수준에서 두 시기 사이에 유의미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투입한 시기가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문화 내용이 아동들에게 학습에 대한 관심을 모을 수 있는 동기유발 요인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어와 문화 내용이 통합된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는 보다 의미 있는 학습 과제가 될 수 있어 위와 같은 결과를 가져 왔다고 해석된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인 한·미 문화비교 지도는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일반 수업 결과와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 수업 결과의 흥미도 면에서 차이를 검증한 결과 p<.05(.013)로,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 수업이 영어학습의 흥미도 면에서도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것은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 가는 6학년 2학기에 흥미 유발에도 주의를 기울여 자료를 제작하여 본시 수업처럼 획일적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교과서와 연계하여 보조자료로서 활용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셋째, 학생들은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통해 우리문화와 미국문화에 대해 비교하는 능력이 생겼으며, 또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길러졌다. 이것은 영어교육의 목표의 하나인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여 우리문화를 발전시키고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데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의 듣기·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평가 결과 분석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본 연구자가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가 듣기·말하기 능력 영어 학습에 대한 측면에서 향상이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영어 수업에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문화 비교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해 볼만하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활용한 문화지도가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그림과 함께 제시된 한·미 문화비교 학습자료를 갖고 공부를 하였기 때문에 문화에 대한 이해가 쉽고 동기를 유발할 수 있었다. 이것은 문화지도 시 어떤 형태로든 다양한 자료가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현 교육과정에는 미국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그림자료 하나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동영상 자료 등 수준에 알맞은 학습방법과 학습자료가 다음 교육과정에는 꼭 게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의 현장 영어 연수에도 미국문화 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여, 중요성을 인식시켜야하며 교사가 앞서서 미국문화에 대한 지식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태백시의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결과가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좀 더 확대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Elementary English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a in Korea newly includes a 'culture' element. However, the English Teacher's guide in 5^(th)-grade and 6^(th)-grade only suggests contents about culture briefly as references in the 4^(th) session.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English education and American culture must be taught in connection with our culture. For this, the contents of American culture to teach should be chosen in relation to linguistic expressions to be dealt with in English teaching. Thus the present study assumed that, if we design and create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 and the USA along with linguistic expression teaching, students' abilities in listening and speaking will be improved and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will be enhance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ormulated a hypothesis that students who have attended classes utilizing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 and the USA will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in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n, based on the contents of cultural teaching in the Teacher's guide for 6^(th)-grade, the researcher gave lessons to students at a 6^(th)-grade class using a general class model during a control period, and then using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 and the USA during an experimental period. The control period and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12 weeks respectively. After each period, students were tested and the results about students' abilities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and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 and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of SPSS 10.0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inary class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a and the class utilizing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 and the USA, the latter class was effective in students' improvement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From the verifi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istening (p<.05 (.018)) and speaking (p<.05 (.037)) between the two periods.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 the experimental period (p<.05(.013)). This shows that the class utilizing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n and the USA is effective in stimulating children'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ird, through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 and the USA, students came to have abilities to compare Korean culture with that of the USA and attitudes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mentioned analysis, the researcher ma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cultural comparison worksheets between Korean and the USA are worth while to apply more systematic and diverse cultural comparison programs in English class. Second, The worksheets promoted their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culture. This implies that it is effective to present various materials of different forms for 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Third,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does not include even a well-chosen picture about American culture. The next education curriculum must include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videos suitable for the children's level. Accordingly, field language training for teachers must increase the portion of American culture education so that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e equipped with organized knowledge about American culture.

      • 국내비교광고의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연구 : 외환위기시의 광고를 중심으로

        이주영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정보예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자본주의의 꽃이라 불리며 기업과 함께 고속성장을 해온 광고, 이 광고는 우리나라에서 짧은 시간내 괄목한 성장을 하였다. 각 기업마다 좀더 나은 광고, 좀더 값비싼 광고, 거품많은 광고에 열을 올리고 외국인 모델, 국내모델의 경쟁적인 모델료 올리기, 불필요한 해외촬영, 경쟁사간의 경쟁적 광고 싸움, 신문광고는 15단 전면광고가 모자라 15단 스프레드 광고까지... 그야말로 광고전쟁은 끝이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광고전쟁은 1997년 경제의 불황이라는 무기가 출현하면서 열기가 식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7년 12월 3일 IMF라는 원자폭탄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광고전쟁은 백기를 내걸었다. 이 IMF폭탄의 위력은 대단했다. 수 많은 기업이 부도로 문을 닫았고 그나마 튼튼하다는 기업들은 광고비를 대폭 삭감 또는 일시정지에 들어갔고 이에따라 인력이 재산인 광고대행사들도 휘청이며 광고는 눈에 띄게 줄어들고 경례와 함께 꽁꽁 얼어버렸다. 특히 이런 기업의 불황은 경쟁사간에 치열한 살아남기의 방편이 되었고 광고의 방향도 자사제품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방향이 공정하며 떳떳하지 못하고 '경쟁사 제품은 무조건 나쁘고 우리 제품은 좋다'는 식의 공격성, 비방성 비교광고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광고계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여 외환위기에 따른 사회적변화와 개선점이 무엇인지 어떤 광고방향이 옳은것인지, 어떤방향으로 광고를 해야 좋을지를 연구하였다. 비교의 효과란 '단독광고'와 '비교광고'의 차이에서 생기는 이익을 말한다. 특히 소비자에게 있어서의 이익을 말한다. 단독광고에서는 쉽게 이해되지 않는 상품의 기능이나 특징이 타상품과 동시에 비교되어서 편리함과 이해의 속도가 빨라졌다면 그것은 분명히 소비자의 이익인 것이다. 비교광고에도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즉 비교하는 쪽과 비교되는 쪽 모두의 결점이나 문제점은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양쪽 모두 단점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비교를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객관적 비교에 근거하지 않은 비교광고가 가지는 한계로서 제3자에 의한 객관적이며 공정한 비교와는 당연히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시종 일방적 주장만 나열되는 단독광고와 비교하면 '정보의 질적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으며, 결국 이 질의 차이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다. 앞으로 반박형 비교광고는 계속 늘어날 전망인데, 이는 IMF의 상황에서는 이미지 광고 보다는 제품 위주의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즉 제품광고의 컨셉트는 '품질의 우위'라고 할수 있으므로, 제품력에 승부를 거는 광고는 자연적으로 비교광고로 흐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확한 사실에 근거한 비교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제품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고 경쟁업체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건전한 비교광고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 VIEW STUDYING The advertisement to be called as a flower of capitalism and grown at high speed together with the enterprise, and this advertisement has shown the marvelous growth in a short time in our country. Every enterprises have a craze for better advertisement, more expensive advertisement and also much bubbles advertisement and rising competitive model's fee of foreign-domestic models and restraining unnecessary overseas filming, advertising competition between the competitive companies, and attempting to put 15-column spread advertisement is insufficient...... indeed there was no end in the advertising competition. However, the advertising competition was begun to be cooled down since the weapon which is said an economical depression was appeared in 1997. After that, on December 3, 1997 an A-bomb saying IMF dealt Korean peninsula a heavy blow, therefore an advertising war hung out a white flag. This IMF bomb's might was vast. A large number of enterprises closed their companies due to the dishonor and that the healthy enterprises decreased the advertisement expenditure with a full width or suspended it for a time, therefore the advertisement agencies of which the man power is their property, became demoralized inasmuch as the advertisement was remarkably decreased, therefore they were frozen hard due to the economical depression. Particularly, like this enterprises's depression was become an expedient for a survival to be intense between the competitive companies and the advertising direction appeared a superiority complex of their own products which are no impartial and no honorable, and it was becoming to carry offensively and slanderously toward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like as saying "other competitive company's products are unconditionally bad and our products are good". It was considered in the study on that the tendency of like this advertisement field i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nd what is the social change and an improving point which is accompanies by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nd what advertising direction is righteous and also how to make the advertisement toward what direction. Effect of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Effect of the comparison means the advantage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ole Advertisement" and "Comparative advertisement". Particularly it means the advantage of the consumer. The commodity's ability or feature to be not simply understood is simultaneously compared with other commodity and thereupon if its convenience and understanding speed would be made fast, it would be clearly the consumer's advantage. There is also weak point in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That is, as for comparing side and the side to be compared, all its defect or the point at issue is not come out. As to the weak point of both of its side, having means for not doing an intentional comparison. This is the limit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held which is not based on the objective comparison, because of consisting in the difference as matter of course in contrast to the objective and impartial comparison by a third person. However, on the occasion of comparing with the sole advertisement of which one-side assertion is enumerated from the beginning and the end, there is a big difference "the qualitative side of information" and after all the width of consumer's selection is made wide in accordance with this quality's difference. Hereafter it is viewed that the refutational style comparative advertisement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because quality-centered advertisement occupies most of the advertisement more than an image advertisement on the status of IMF. That is, the concept of products advertisement must be "the quality's dominance" and then the advertisement which fights to the products power must be naturally carried away to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based on an accurate fact shows a standard of products selection to the consumers and it brings an affirmative effect of which well-meaning competition is induced, therefore it is viewed that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will let an advertisement flied has a craze for a while.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사회비교와 SNS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채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3∼5세의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이었다. 질문지 초안 작성과 예비조사를 통해 최종 질문지를 확정하고 2021년 9월 27일부터 10월 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상의 사회비교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김선미(2019)의 SNS 사회비교 경험 유형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본래 Batenburg와 Das(2015)의 사회비교전략 (Social Comparison Strategies)척도를 국내에서 이성준과 이효성(2016)이 번안 및 수정ㆍ보완한 것이었다. SNS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신지아(2017)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본래 Tarafdar, et al(2007)이 제시한 테크노스트레스 척도인데 이를 류설리, 공용배, 장예빛(2014)이 SNS 스트레스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것이었다.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정아름(2016)의 양육효능감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본래 Meunier와 Roskam(2009)가 개발한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 척도인데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성지현과 백지희(2011)가 이 도구의 타당성을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에 기초하여 점검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모든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 SNS 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SNS 사회비교 중 하향대조와 상향동일시는 보통 수준이고, 상향대조와 하향동일시는 낮은 수준이었다. SNS 스트레스는 하위요인 중에서 과부하만 보통 수준이고 복잡성, 침해,불안감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SNS 사회비교, SNS 스트레스, 양육효능감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SNS 스트레스 하위변인 중 ‘과부하’는 어머니가 취업상태이고, 가정월수입, SNS 사용개수,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여,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복잡성’은 가정월수입이 높을수록, SNS 사용개수가 많을수록 높아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SNS 스트레스 중 ‘불안감’은 취업상태와 가정월수입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불안감’은 SNS 사용횟수와 하루 평균 SNS 사용시간에 따라 그리고 SNS 인맥 수에 따라서도 높아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양육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훈육’은 유아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취업상태 및 유아자녀의 연령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사회비교의 하위변인인 ‘상향대조’는 SNS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과부하, 복잡성, 불안감, 침해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상향대조는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조직, 교육과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SNS 사회비교와 SNS 스트레스는 모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가 SNS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자신을 비교할수록, 그리고 SNS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어머니가 SNS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거나 동일시하지 않고 건강한 사용을 이어나가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일상생활에서의 SNS 이용이 자녀의 양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SNS의 이용시간과 이용량을 줄이고,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SNS를 사용할 때, 타인이 보여주는 화려한 이미지에 현혹되거나 자신과 동일시하지 않고 자녀 양육에 관한 현실감을 유지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자신의 자녀를 또래의 다른 유아와 비교하는 등의 부정적 SNS 사용방식을 줄이고, 자녀양육에 소신을 가지고 건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결국 본 연구는 어머니가 자녀의 거울이라는 점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SNS를 통해 건강한 정보를 상호 소통하고 공유하며 사용할 때, 자신들의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양육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and SNS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aged 3-5 yea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of social comparison, SNS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media comparison, SNS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mother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NS social comparison and SNS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effect of SNS social comparison and SNS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mothers with a infant aged 3-5 year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finalized through drafting of the questionnaire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 mai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7 to October 5, 2021. In order to measure social comparison on SNS of mothers with infant, in this study, Kim(2019)'s SNS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type research tool was used. This tool was originally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Batenburg & Das (2015)'s Social Comparison Strategies scale in Korea by Lee. & Lee. (2016). To measure SNS stress, the research tool of Shin(2017) was used. This tool was originally a technostress scale suggested by Tarafdar, et al.(2007), and it was modified to be suitable for SNS stress by Ryu, Gong, & Jang (2014).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Jung(2016)'s parenting efficacy research tool was used. This tool is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EGSCP)'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Meunier & Roskam(2009).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ll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ies of SNS social comparison, SNS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down-contrast and up-identify among SNS social comparisons were at normal levels, and up-contrast and down-identified were low. Among the sub-factors of SNS stress, only overload was at a moderate level, and complexity, infringement, and anxiety were found to be at a rather low level.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SNS social comparison, SNS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mong the SNS stress sub-variables, ‘overload’ tends to be higher as the mother is employed, the household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SNS users, and the average daily SNS use time increase, confirm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confirmed as ‘complexity’ was higher as the household monthly incom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SNS users increased. Among SNS stress,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In addition, 'anxiety' was also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SNS use, the average daily SNS use time, and the number of social networks, so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ignificant. Among the sub-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disciplin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mother of the infant,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and the age of the infants. Third, 'up-contrast', a sub-variable of SNS social comparis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ub-factors of SNS stress, such as overload, complexity, anxiety, and infringement. In addition, the upward contra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such as discipline, play, affection, daily system organization, and educ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mother's SNS social comparison and SNS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at is, the more the mother compares herself to others in the process of using SNS, and the more she receives SNS stress, the lower her sense of parenting efficacy is. In the process of mother using SNS, there is a suggestion that she should continue to use social media in a healthy way without comparing or equating herself with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ution is requir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use of SNS in the daily life of mothers of inf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pbringing of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reduce the time and amount of use of SN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children, and to use it only when necessary. In addition, when using SNS, an attitude that maintains a sense of reality regarding child rearing is required without being deceived by the flashy images that others show or identifying with oneself. In addition, it will be important to reduce negative SNS usage methods such as comparing one's own children with other infants of the same age, and to use them in a sound manner with a belief in raising children.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that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can nurture their children so that they can grow healthy when they communicate, share, and use healthy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in that mothers are the mirrors of their children.

      • 한국과 중국의 국·공립(지방)대학교 음악교육 시스템 비교 : 국립 강원대학교와 공립 쓰촨문리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봉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 중심으로 신입생 선발, 인재 양성목표, 교과 과정, 학점 구성 및 학점 평가 방법, 수업 평가, 교수법, 대학교 운영, 학생 취업, 교원 구성, 대학평가 등 양국 대학의 운영 방법을 비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강원대학교는 한국과 세계의 사회적 변화와 수요에 의해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있으며, 교육목표 역시 한국과 세계적인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달리 쓰촨문리대학교는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의 경제·사회 발전상의 수요에 맞추어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음악학과는 음악교육 혹은 음악 영역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는 기초 교육기관의 교원 혹은 일선의 문예기관에서 공연·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학입학 시 요구되는 수능 과목의 경우 한국에서는 음악학과 진학을 위해 국어, 영어 성적만 필요한 반면에, 중국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문과 종합 혹은 이과 종합 등 4개 과목의 성적이 모두 반영되어 대학입학시험 준비에 필요한 교과목 범위가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기시험을 살펴보면, 중국의 대학교에서는 음악 이론, 시창 청음이 추가되어 시험 과목의 수 역시 한국보다 더 많았다. 이수 학점을 살펴본다면, 한국의 음악학과에서 요구하는 이수 학점이 중국보다 적었다. 반면에 개설된 교과 과정과 선수 과정은 한국이 더욱 다양하였다. 전공 영역이 이수 학점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높아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의 선택폭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교의 수업 평가와 교수법은 ‘학생중심’이라는 교육이념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강원대학교와 쓰촨문리대학교의 음악학과 졸업생 취업률과 교원당 학생 수를 비교해본다면, 강원대학교가 취업률이 낮은 평가율을 보였다. 강원대학교가 교원당 학생 수가 적었다. 또한 교원의 구성 역시 학력 수준과 외국에서의 최종 학력을 취득한 비율이 쓰촨문리대학교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국 대학교의 음악 석사과정은 학생들의 전공 실기 능력을 키우는 데에 치중하였고, 한국의 대학평가는 대학의 발전 계획, 재정, 관리, 감사, 직원·교원의 대우 및 복지, 학생의 장학금 제도, 학생의 권익 보호, 사회봉사 등의 영역에 집중되지만, 중국의 대학평가는 사상, 정치, 교육품질 보장 시스템의 구축, 인재양성의 전반적 과정에 대한 품질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강원대학교는 학생 수 감소와 낮은 음악학과 취업률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만큼 더 많은 유학생 유치와 취업 지원 시스템 혁신을 통해 문제를 극복할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쓰촨문리대학교 역시 교과과정과 학점 구성, 수업 평가, 교수법, 교원의 구성 등 개선 제안을 통해 학생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 중심”의 교수법 확립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쓰촨문리대학교 음악학과에서 개설된 석사과정의 문제점과 구상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두 학교가 교수, 학생, 학점 인정, 공동운영 과정 등의 영역에서 교류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계획을 논문을 통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the operation of each university such as new student selection, talent development goal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and credit evaluation methods,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s, university management, student employment, faculty composition, and university evaluation and others, centering arou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Looking at the comparison result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ts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emands in Korea and the world. In contrast,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is setting goal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region where the school is located. The Department of Music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cuses on music education or cultivating experts in the field of music, while the Department of Music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focuses on cultivating teachers at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r its human resources who can be in charge of performance and management at front-line literary institutions. In the case of the subjects required for college entrance, only Korean and English scores are required for admission to the department of music in Korea, whereas in China, all four subjects – Chinese, Mathematics, English, and Comprehensive Liberal Arts or Comprehensive Natural Sciences – are reflected, therefore the range of subjects required t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is more wide-ranging may be known. Looking at the practical examination, Chinese universities have added music theory and sight-singing and listening, so the number of examination subjects is also more than in Korea. Looking at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by the music department in Korea is lower than that in China. On the other hand, Korea has more diverse curriculum and prerequisite courses. The ratio of the major area in the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completion is also high, so students have a wide range of courses to choose from. Class evalu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universities more closely follow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tudent-centered’. Comparing the music department graduate employment rate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employment r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a lower number of students per faculty member, a higher percentage of faculty members with doctorates and performing artist degrees, and a higher percentage of final degrees obtained abroad than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The master's program in music at Korean universities focuses on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skills in their major. University evaluation in Korea focuses on areas such as university development planning, finance, management, audit, treatment and benefits for staff and teachers, student scholarship system, protection of students' rights and interests, and social service,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evaluation in China is being conducted centering around thoughts, politic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the quality of the overall proces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aces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a low employment rate in the music department, it will be able to find a new way to overcome the problem by attracting mor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novating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can also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through improvement suggestions such as curriculum, credit composition, class evaluation, teaching method, and teacher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establishing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can also be expected. In addition, proposed the problems and ideas of the master's program offered by the Music department of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and the plan of exchange between the two schools in the fields of professors, students, credit recognition, and joint operation of courses.

      • 현대중국어 미세차이 비교구문 연구

        양건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고는 현대중국어에서 비슷한 의미의 세 가지 비교구문인 ‘X比YW一些’, ‘X比YW不了多少’ 및 ‘X比YW不到哪里去’의 통사, 의미, 화용 기능을 탐구하기 위한 데 있다. 비교는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인지 방식 중 하나이다. 이전의 비교구문 연구가 일반적으로 정적인 비교구문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고에서는 화용론적 각도에서 비교를 표현할 때 화자의 입장, 태도 및 감정을 어떤 수단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반 비교구문과 미세차이 비교구문의 대비는 물론 각각 세 구문 내부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인 특유의 담화 의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문점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각 구문의 비교결과항에 들어갈 수 있는 성분은 무엇인가? 둘째, 각 구문의 의미 특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셋째, 각 구문의 비교주체와 비교객체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비교를 표현할 때 화자는 어떤 수단으로 자신의 주장을 표현할까? 위의 세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각각 2장, 3장, 4장의 논의를 통해 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2장에서는 우선 이 세 가지 비교구문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비교결과항에 쓰이는 요소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공통점의 경우 첫째, 상태 형용사는 양(量)적인 특징이 없어서 사용할 수 없고, 성질 형용사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둘째, ‘好/坏’, ‘大/小’ 등 의미적 대조를 이루는 1음절 형용사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그중에서도 긍정적인 형용사가 부정적인 형용사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차이점의 경우 첫째, ‘W一些’ 구문의 경우에는 비교결과항으로 W는 성질 형용사이거나 심리동사, 동보구조, ‘有’+추상명사 등이 사용된다. 이 구문에서 동사구가 쓰일 수 있는 이유는 형용사처럼 정도량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W不了多少’ 구문의 경우에는 비교결과항으로 주로 도량 측정이 가능한 일부 성질 형용사와 ‘高明’과 같은 평가적 형용사가 사용된다. 셋째, ‘W不到哪里去’ 구문의 경우에는 비교결과항으로 쓰일 수 있는 형용사의 범위가 대폭 축소되어 평가를 나타내는 형용사 ‘好’, ‘坏’, ‘差’ 등이 주로 사용된다. 3장에서는 미세차이 비교구문의 의미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장에서는 객관적 비교, 차등비교, 동등비교, 반향비교, 증거성 비교 등 개념을 사용하여 비교주체와 비교객체 간의 관계 차이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첫째, ‘一些’ 구문와 ‘不了多少’ 구문의 경우 비교주체와 비교객체가 동질성을 가지면 객관적 비교와 차등비교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一些’ 구문: 高铁比动车好一些[객관적 비교], 我比她还大一些[차등비교]; ‘不了多少’ 구문: 他的个子比他妹妹高不了多少[객관적 비교], 这些城市的非农业人口长期徘徊不前,比刚建国时也多不了多少[차등비교]에 해당됨.) 둘째, ‘不了多少’ 구문과 ‘不到哪里去’ 구문의 경우 부정부사 ‘不’로 인해 모두 동등비교와 반향비교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不了多少’ 구문: 雪下得太少了, 比浓霜厚不了多少[동등비교], 你比我也强不了多少, 一样也是浑蛋.[반향비교]; ‘不到哪里去’ 구문: 赚也赚不到几个钱, 赔也赔不到哪里去[동등비교], 我是个渣男, 你也好不到哪儿去, 凭什么训我?[반향비교]에 해당됨.) 셋째, ‘不到哪里去’ 구문의 경우에는 화자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선행구문에서 그 근거를 추가하는 증거성 비교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师父笨, 徒弟自然也聪明不到哪里去[증거성 비교]에 해당됨.) 4장에서는 미세차이 비교구문의 화용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W一些’ 구문의 경우 화자는 양태부사와 양태동사를 통해 본인의 주관적 감정을 표현하는 데 쓰인다. 우선 사용빈도가 높은 양태부사들을 보면 ‘的确’, ‘确实’, ‘诚然’ 등 기대부합 부사 또는 ‘稍’, ‘略’, ‘稍微’, ‘稍稍’, ‘略微’, ‘略为’, ‘稍许’ 등 稍微系 부사들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양태동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자의 견해와 태도를 나타내는 수단이기 때문에 강한 주관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Palmer(2001)의 영어 양태동사에 대한 서술을 기반으로 ‘一些’ 구문의 주관성을 논의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쓰이는 ‘要’, ‘能’, ‘会’ 등을 위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 ‘W不了多少’ 구문의 화용론적 특징은 주로 과장식비교와 반기대비교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과장식비교의 경우, 일반적으로 X와 Y는 동일한 성질을 가지지 않고 비교주체와 비교객체 간에 유사성을 찾아 추상적인 비교기준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비교는 비유식 과장, 부각식 과장, 대비식 과장 등의 과장 정도에 따라 비교주체와 비교객체 간에 차이를 나타낸다. 반기대비교의 경우, Dahl(2001)은 중성정보, 반기대정보, 기대정보의 관점에서 ‘W不了多少’ 구문의 화용적 특징을 고찰했는데 흔히 대화나 독백의 맥락에서는 ‘发现’, ‘猜想’, ‘看来’, ‘觉得’, ‘在我眼中’ 등을 동반하는 수단으로 화자의 반기대 정보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其实’, ‘居然’, ‘简直’ 등과 같은 반기대 부사가 공기하면 화자의 강한 의외성을 나타낼 수 있다. 셋째, ‘W不到哪里去’ 구문의 화용적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우선 기대비교의 경우, 문맥을 통해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江南来的茶叶,一定差不到哪里去[강남 지역은 중국의 주요 차 생산지로 강남 지역에서 생산된 차의 품질이 좋다는 의미를 나타냄.]) 다음은 양태부사 ‘当然’, ‘肯定’ 등을 사용하는 경우로 화자의 합리적인 추측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凌晨三點才睡覺的人兒,隔天精神肯定好不到哪里去[화자가 자신의 견해를 강조함]) 마지막으로 양태 접속사인 ‘再……也’, ‘即使’, ‘就算’ 등을 통해 화자의 주관적 판단을 강조하는 경우이다. 이때는 대부분 ‘양보’를 나타내는 단문이나 ‘인과’ 또는 ‘전환’ 관계를 나타내는 복문에 쓰여 화자가 자신의 판단 근거를 제시하는 주요한 수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爱书的女生再坏也坏不到哪里去[책을 좋아하는 여학생은 훌륭할 것이라는 화자의 판단을 나타냄.]) 이상 본고에서는 세 가지 미세차이 비교구문의 통사적 특징, 의미적 특징, 화용적 특징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 세 가지 비교구문의 용법 및 기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에서 비교결과항 W에는 형용사, 동사가 들어갈 수 있는 반면, 부사와 접속사에 대한 제약을 받고 있다. 의미적 측면에서 비교주체(X)와 비교객체(Y) 간에 속성이나 상태 등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지만, 미세차이 비교구문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 기능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 차이는 문장 단위보다는 문맥 단위에서 명확하게 구현되는데 이는 주관성 정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용론 측면에서 이 세 가지 구문의 미세차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논의를 통해 세 구문이 서로 대체 불가한 역할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현대중국어에서 이 세 가지 구문이 공존할 수 있는 이유를 모색할 수 있다. 本文旨在探讨现代汉语中三种意义相近的比较句型:“X比YW一些”、“X比YW不了多少”和“W不到哪里去”的语义、句法和语用功能。比较是人类最为常见的认知方式之一,以往的比较句研究一般关注静态的比较句式,而本文借鉴语用学等理论,集中讨论人类在表达比较概念时,通过哪些语法手段来表达说话人的立场、态度和情感。通过对比较句式的一般句型和细微差别带来的比较句式变体的语料调查分析,本文旨在总结和归纳出细微差别比较句式的句法和语义特点,并揭示其特有的话语功能。 为此,本文提出并讨论了以下三个问题。第一,三种细微差别比较句的比较结果项各自具有哪些特征?第二,细微差别比较句的语义有哪些相同与不同之处?第三,细微差别比较句的主体和客体之间的关系是什么?在表达比较时,说话者又会采用何种手段来表达自身的见解。本文所论述的内容概要如下: 首先,三种句式的比较结果项存在共同点和差异。其共同点在于,比较结果项一般只能由性质形容词来充当,而状态形容词由于不具备量度的差异,不能用于比较句结构。此外,有一些成对出现的单音节形容词,如好、坏、大、小。值得注意的是,单音节量度形容词的使用频率极不均衡, 积极形容词的使用频率远远高于消极形容词。然而,这三个句式的比较结果项也存在差异。就“X比YW一些”句式而言,结论项最为丰富,除了性质形容词外,还包括了许多动词性成分,如,有+抽象名词、动补短语、心理动词等,在这种情况下,动词可以像形容词一样表达程度上的差异。而在“X比YW不了多少”句式中,比较结果项主要由一些可量化的形容词和评价性形容词(如“高明”)构成。在“W不到哪里去”句式中,可用于比较结果项的形容词词汇主要集中在表示评价意义的“好、差、坏”等方面。 其次,本文还探讨了三种细微差别比较句的语义特征。由于比较主体和比较客体之间的关系不同,因此将细微差别比较从不同的角度进行分类,分别为客观性比较、差等比较、同等比较、反向比较和证据性比较。在“W一些”和“W不了多少”比较句式中,如果比较主体和比较客体属于同一属性,则将其视为客观性比较和差等比较。而在“W不了多少”和“W不到哪里去”句式中,由于否定词“不”的存在,使得比较句式呈现出同等比较和反向比较的特点。此外,“W不到哪里去”比较句式强调说话人的主观态度,即强调比较对象之间的相似性而不涉及基于数字的客观比较,因此分句中的前一部分经常会用来强调说话者判断微妙比较的依据或理由。 最后,本文探讨了细微差别比较句的语用特点。在“W一些”比较句式中,当说话人意图表达主观感受时,通常会借助情态副词和情态动词。情态副词种类繁多,其中,与正期望副词共同出现的有“的确”、“确实”、“诚然”等,而与“稍微系”副词共同出现的情况也不少,例如“略”、“稍”、“稍微”、“略为”、“稍许”等。相反,表示意外性意义的反预期副词“反而”和“居然”则较少出现,因为它们与“一些”比较句的客观性不相符合。在考察情态动词的主观性特征时,本文主要基于Palmer(2001)对英语情态动词的阐述,选择了“要”、“能”和“会”这些在“一些”比较句中最为常见的情态动词,并讨论了与“一些”比较句相关的主观性。 “W不了多少”比较句式的语用特征主要有两个特点:夸张和反预期。在表达夸张式的比较时,比较主体和比较客体一般不具有相同的属性,说话者往往寻找比较主体和比较客体之间的相似之处,或者将某种抽象的事物用具体的事物来比较。夸张比较根据比较主体和比较客体之间的差距,进一步区分为比喻式夸张、附加式夸张和对比式夸张。在表达反预期比较时,本文参考了Dahl(2001)对中性信息、反预期信息和预期信息三个方面的阐述,考察了“W不了多少”比较句的语用特征。在对话或独白的语境中,说话人通常使用“发现”、“猜想”、“看来”、“觉得”等词汇来表达反预期信息。此外,当伴随着“其实”、“居然”、“简直”等反预期副词时,它显示出说话者强烈的意外性。 “W不到哪里去”比较句式的语用特征主要体现在三个方面。首先,使用情态连接词“再......也”、“即使”、“就算”等来强调说话人的主观判断。因此,它通常用于因果关系和转折关系的复句环境中。在这种比较思维中,比较基准一般被省略,隐含的信息是说话人心中的某种判断,而且该判断还与整个社会群体的思维方式有关,因此具有较强的文化特性。其次,“W不到哪里去”比较句式还可以与情态副词“当然”、“肯定”等一同使用,以强调说话人的理性猜想。在这种情况下,这个比较句式更多地体现了说话人的客观分析能力和逻辑思考能力,而非主观情感。最后,“W不到哪里去”比较句式具有很强的主观性,因此它经常被用作一种委婉的表达方式,如责备或不满。说话人试图通过使用这种比较句式来避免直接的批评或指责,从而保持良好的人际关系和社交礼仪。 综上所述,三种细微差别的比较句式都具有各自独特的语义和语用特点,它们之间不可互相替代,各自具有其独特的价值, 其多样性和复杂性反映了汉语比较句的多样性,为语言使用者提供了更多选择空间。同时,这也提醒了汉语使用者在使用细微比较句时应需要注重语境,以确保表达的准确性和合理性。

      • 한·중 무료양로시설 제도의 비교 : 도시 무료양로시설 중심으로

        모안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Like the situation in Korea, Chinese elders also have severe poverty problems. However, in China, policies for these problems are not complete. One of these defects is the free facilities in cities, i.e., free nursing homes for the elders. The aim of establishing free facilities for the elders is to help those old people who cannot make a living independently because of poverty or illness, and who have experienced unfortunate family affairs, with basic necessities and facilities of life. These free facilities have housing condition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ays of operating that can influence elder peopl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is article aims to do a research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free facilities and systems forelders.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ticle are the free nursing homes for the elders in Korea ana China. It aims to find out how these facilities are actually implemented, and what problems came up in the process. One free elders’ nursing home was picked each from Korean and China, and interviews were done with the workers and the elders. Since there are different systems in the two countries, case comparison method is adopted in order to most largely preserv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based on five areas, namely, the customers, the allowance, fiscal institutions, worker conditions, and communication system. First, discussions have been held about what kind of elders go to free nursing homes in Korean and China. Researches have been made about elder people’s income abilities, ages, health conditions, protection of abuse. Second, discussions have been held about how Korean and Chinese elders who go to free nursing homes receive insurance and medical security, and how their daily lives and living environments are. Comparison has been made about kinds of the allowance, quality of the allowance, and influences of the allowances on elder people’s life. Third, discussions have been held about who shared to pay, and how much percent they paid for the free nursing homes in Korea and China, the government, welfare institution, social donation, or individual. Compare and contrast have been m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Fourth,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and China to compare workers’ positions, staffs’ quality, and the proportion of workers and elders. Fifth,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and China to compare the application procedures for free nursing homes, and the country-facilities-elders relation i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 comparison done in this research article, following inspirations can be made. First, Chinese free nursing homes for the elders have similar living conditions to the conditions in Korea before long-term-care insurance. Second, comparing with China, Korean free nursing homes have more programs set up, with participation level higher, and qualities better. Third, among the fiscal institutions of the Korean free nursing homes, social donation takes large proportion, which China needs to pay more effort in this part. Fourth, it is very necessary to improve workers development systems of Chinese free nursing homes. 한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노인 빈곤이 심각하다. 그렇지만 중국에서는 이런 노인 빈곤에 대한 제대로 된 정책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응급 처지 방법의 하나가 무료양로시설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혼자서 생존을 유지하지 못하는 노인, 가족 변고가 있는 노인들을 국가가 운영하는 무료양로시설(사회복지원)에 입소시켜 의식주와 수발을 제공해주는 제도이다. 이 무료양로시설의 제도를 어떻게 정하는지 입주노인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무료양로시설제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 중국 무료양로시설의 제도이다. 또 이 제도를 실제적으로 실시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또는 제도를 실시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한국의 무료양로시설 한 곳을 선정하고 중국의 무료양로시설 한 곳을 선정하여, 각 무료양로시설에서 종사자와 입소노인에 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무료양로시설제도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양국의 제도의 특징을 비교적 완전하게 보존하기 위해서 사례비교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무료양로시설의 입소대상, 급여, 재정부담, 종사자 상황, 그리고 전달체계와 중국의 무료양로시설의 입소대상, 급여, 재정부담, 종사자 상황, 그리고 전달체계 총 5개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한국과 중국에서 어떤 노인이 무료양로시설에 입주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무료양로시설은 모두 생활보장이 없는 노인에게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그렇지만 한국에서는 중증(重症)노인이 입주하지 못하고 노인은 입소하기 전에 ADL측도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지를 측정해야 한다. 중국에서는 만 18세 이상의 수입이 없고, 부양자 없고, 노동능력도 없는 ‘3무(無)’인원이 무료양로시설에서 입주할 수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 무료양로시설 입주한 노인의 소득보장, 의료보장, 수발서비스와 주거환경은 어떻게 정하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공히 무료양로시설에 입주한 노인의 소득, 의료, 수발서비스, 주거 등을 보장해 주고 있다. 소득보장 측면은, 한국의 경우, 입소노인에게 기초노령연금과 장애연금으로 소득을 보장하고 있고 중국의 경우, 노인이 시설에 입주하면 소득보장이 없어진다. 의료보장의 측면, 양국의 노인 모두 사회적인 의료보호를 받을 수 있고 시설내의 의료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수발서비스의 측면, 양국 모두 노인을 위하여 각 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노인이 참여하는 정도와 프로그램의 질은 차이가 있다. 주거서비스의 측면, 한국과 중국, 노인과 장애인의 건축기준을 맞추고 노인에게 주거환경을 만들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 무료양로시설의 재정 부담은 국가, 시설, 사회후원과 개인 각각 얼마나 부담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국보다 중국에서 국가가 보조금을 더 많이 도입하지만 중국의 경우 사회후원금을 구하기 위하여 더 노력하여야 한다. 넷째, 한국과 중국 무료양로시설에서 일하는 종사자의 종류, 자격과 종사자-노인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중국 보다 한국의 사회복지 종사자 체계 더 완비하다. 다섯째, 한국과 중국에서 국가, 무료양로시설과 노인은 어떤 관계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국과 중국 무료양로시설의 입소신청절차와 ‘국가-시설-노인’의 관계를 제시하여 비교하였다.

      • 20-F 조정 제도의 폐지에 따른 시장반응에 관한 연구 : 비교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응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총 1,429(기업/년도)의 표본을 활용해 기업의 비교가능성과 20-F 제도 폐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익반응계수와 정보비대칭성을 나타내는 매도·매수호가 차이를 활용해 비교가능성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IFRS 적용 기업의 제도 폐지 이후 효과를 살펴보았다. 1982년부터 미국에 교차 상장하는 해외기업들은 재무제표를 U.S. GAAP에 맞추어 전환하도록 되어있었다. 이러한 20-F 조정 공시 의무는 IFRS와 U.S GAAP의 격차를 없애기 위한 일환으로 2007년 IFRS를 적용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폐지되었다. 본 논문은 기업의 비교가능성의 관점에서, 2007년 폐지된 20-F 조정 공시제도의 시장반응을 검토한다. 본 논문은 기업의 비교가능성을 크게 세 가지로 접근한다. 첫째, De Franco et al.(2011)이 제시한 이익동조성(그리고 이익공변성) 모형을 활용해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을 측정했다.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높을수록(낮을수록) 투자자들이 정보를 해석하는데 수반되는 비용은 감소(증가)할 것이다. 둘째, 사업부문 수를 기준으로 영업의 복잡성을 측정했다. 영업의 복잡성이 증가(감소)할수록 정보이용자들의 정보 해석 비용은 증가(감소)할 것이다. 셋째, 제도 폐지 이후 IFRS 적용 시 회계정보의 변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당기순이익 총자산의 U.S. GAAP과 IFRS 하에서 차이를 활용했다. 두 회계기준에서 조정되는 정도가 클(작을)수록 IFRS와 U.S. GAAP의 회계정보 차이는 클(작을) 것이고, 투자자들의 정보해석 비용은 상대적으로 높을(작을) 것이다. 실증결과 첫째, De Franco et al.(2011)의 방법론과 발생액 차이를 활용한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은 제도 폐지 이후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음(-)의 증분적인 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매도·매수호가 차이는 비교가능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들이 제도 폐지 이후 증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비교가능성이 높은 IFRS 적용 기업들의 매도·매수호가 차이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업구조의 복잡성이 높은 IFRS 적용 기업은 제도 폐지 이후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증분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업구조의 복잡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은 제도 폐지 이후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양(+)의 증분적인 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매도·매수호가 차이 또한 사업구조의 복잡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들의 매도·매수호가 차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조정 비중이 높은 IFRS 적용 기업은 제도 폐지 이후 이익반응계수에 대한 음(-)의 증분적인 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매도·매수호가 차이는 조정 비중이 높은 IFRS 적용 기업들이 제도 폐지 이후 증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은 재무분석가의 예측치 분산정도와 예측오차를 활용해 동일한 분석을 검증했다. 검증결과 재무분석가의 예측치 분산정도와 예측오차는 비교가능성이 낮은 그룹에서 20-F 제도 폐지 이후 IFRS 적용 기업들의 값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동종 산업에 속한 기업이 많을 경우 비교 가능한 대상이 많을 것으로 가정하여 산업규모에 따라 20-F 제도 폐지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 동종 산업에 속한 기업이 많을 경우, 20-F 제도 폐지 이후 IFRS 적용기업들의 이익 반응계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규모가 작은 산업에 속한 경우 통계적인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20-F 제도가 폐지된 사업 연도인 2007년은 자본시장 변수를 활용하는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일종의 잡음(noise)이 될 수 있다. 이러한 2007년의 효과를 통제하고자 본 논문은 20-F 제도 폐지 전인 2006년과 제도 폐지 이후인 2008년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실증분석을 시행했다. 검증결과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개 년도를 활용한 분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도·매수호가 차이를 활용해 20-F 제도 폐지 이후 5개년 동안 투자자들의 학습효과를 검증했다. 비교가능성이 높은 IFRS 적용 기업은 전반적으로 비교가능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보다 매도·매수호가 차이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2010년과 2011년에 비교가능성이 높은 IFRS 적용 기업들의 매도·매수호가 차이는 IFRS를 적용하지 않는 교차상장 기업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비교가능성이 낮은 IFRS 적용 기업들의 매도·매수호가 차이는 다른 교차상장 기업들과 차이가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20-F 조정 공시 제도 폐지 이후에 효과는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사업구조의 복잡성 및 공정가치 대상 자산의 정도에 따라 차별적임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 비교광고가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양회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비교광고는 우선 수용자들에게 객관적이고 공정한 비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구매에 있어서도 이상적이며 경제적인 구매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과 광고주에게 있어서는 단독괄호일 때보다 자사상품의 긍정적 측면을 비교 과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대로 부정확한 비교나 자사에만 유리한 내용만의 비교는 오히려 소비자들을 현혹시키고, 오도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2001년 09월 이후의 비교광고 전면 확대허용은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은 광고 표현의 소구형태 중 하나인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 비교광고가 수용자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고찰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광고 표현의 소구형태인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의 비교광고가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례분석과 실험광고물을 통한 연구조사를 하여 수용자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광고 커뮤니케이션 목표를 위한 비주얼과 카피의 역할과 한국적 광고시장에서의 비교광고 특성과 수용태도를 알아보았고 Ⅱ장에서는 비교광고의 표현유형과 표현전략의 국내외 비교광고 사례를 다루었으며 Ⅲ장에서는 비교광고의 소구형태인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 비교광고가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가설검증 및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결론에서는 연구결과 요약 및 한계점과 제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실험광고물에 있어서는 가외변인 인 심리적 요인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브랜드명과 회사명을 가상으로 만들었으며 광고 표현에서도 레이아웃이나 타이포그래피도 형식을 동일하게 하였다. 이러한 실험광고물을 통한 실증연구를 통해 앞으로 국내 비교광고가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국내광고시장의 크리에이티브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따라서 수용자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가설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1】수용자의 인지적 태도 형성에 있어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카피중심 비교광고 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다. 【연구가설2】수용자의 감정적 태도 형성에 있어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카피중심 비교광고 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다. 【연구가설3】수용자의 행동적 태도 형성에 있어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카피중심 비교광고 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실시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 비교광고 중 메시지 수용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태도에 어떠한 방식이 더 효과적인가를 실험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검증결과,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카피중심 비교광고에 비해 세 가지 차원의 태도에서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세부측정항목에서도 모두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주얼중심의 비교광고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설정한 연구가설 1,2,3은 모두 지지되었다. 이는 후속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의 비주얼중심 비교광고와 카피중심 비교광고가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세 가지 태도측정 가설이 모두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가설 세 가지 모두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은 비주얼중심 비교광고가 카피중심 비교광고 보다 광고의 선호도, 신뢰도, 구매설득력 등 세부측정항목 모두가 수용자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비교광고를 하는데 있어 메시지를 보내는 관점자의 차이에 따라 영향이 있는 것이 아니라 표현 소구형태의 차이에 따른 태도측정이 더 중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광고물의 1회 노출 결과만으로 수용자의 평가점수로 받아들였다는 점, 통제된 실험조사에서 대학생 타깃층에게만 조사되었다는 점, 정보통신 제품 중 초고속인터넷 제품에 국한한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더 보완하여 관여수준별(고 관여, 저 관여)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비교광고 활성화에 더 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광고 소구유형의 선택과 수용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수용자태도를 규명함으로써 본 실험연구가 광고실무자들에게 광고 표현전략으로써 표현 소구형태를 결정하는데 많은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enables consumers to make a reasonable and economical purchase by offering them objective and impartial information. It also lets the manufacturer convey the consumer clear and fair information regarding the offerings by emphasizing the positive aspect of its goods and services, which would not be easier through a single product advertisement. However, the advertisement focusing on comparison, which is not clear enough and inclined to advantageous to its product, would make consumers blind and mislead. Thus, the overall expansion of the allowance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since September of 2001 requires us to convert the new understanding. Therefore, the core essence of this study will raise the consideration of how visual oriented and copy oriented advertisement, which are one of the creative presentation patterns, will influence on the consumer's behavior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how visual oriented and copy oriented advertisement, which are creative presentation patterns, influence on the consumer's behaviors by examining some case studies and tests on experimental advertisement, focusing mainly on the print advertisement. Chapter Ⅰ of the study is mainly about the role of the visual image and the copy for the objective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and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receiving attitude in Korean advertising market. Chapter Ⅱ studies on types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and cases of strategies for presentation. The research and analysis are made for the influence of visual oriented and copy oriented advertisement on the consumer in Chapter Ⅲ. Chapter Ⅳ discusses the hypothesis testing and the result of analysis.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and defines the limits with some recommendation. For the experimental advertisement, the brand and the company name is artificially constructed to exclude the environmentally and psychologically learned acknowledge or stereotypes and to secure the objectivity. Presenting the creative, the layout and typography were constituted equ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he advance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and advertising creative in Korean advertising market through positive studies of the experimental advertisement. Thus, tests 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 to measure the consumer's behavior were conducted, and the hypothesis and the result of inspection are as follows: [Hypothesis Ⅰ]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an copy oriented one for constructing cognitive behavior of the consumer. [Hypothesis Ⅱ]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an copy oriented one for constructing emotional behavior of the consumer. [Hypothesis Ⅲ]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an copy oriented on for constructing behavioral attitude of the consumer. The study works on which comparative advertisement would be more effective on constructing 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As a result,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on constructing those three attitudes of consumers. Every detail measurement item also shows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us, hypothesis Ⅰ,Ⅱ and Ⅲ, which were set up as visual oriented advertisement would be more effective, are all supported by the result of experimental advertisement tests. Those results would be help for any researchers who would work on this kind of study. Especially, on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on those thre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of consumers. Visual oriented comparative advertisement shows higher level of preference, credibility, and purchase persuasion than copy oriented ones. Thus, one would easily detect that the method of creative presentation is more important on constructing the consumer's behavior than the intention of the sender who delivers the message to the consumer when conducting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This study, however, has some limit in itself. It only scores every item of measurement with only one time exposure of the advertisement and conducts its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due to the limited boundary of experience. Therefore, any research after this study would rather work on the loyalty variables to adv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advertisements in Korea. Examining the way to select the type of creative presentation and the consumer behaviors that should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o the consumer, this study could be refer to any advertisers working in the field when deciding creative presentation pattern as a strategy for the advertisement cre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