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상 및 외상환자 특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주진단을 중심으로

        백재성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tudy aims to identify obvious risk factors that result in the injury and trauma patients and, through thi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prevention and the related medical policy establishment. With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jury Data, the research selected 92,364 patients among those who were discharged from a hospital after inpatient treatment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The principal diagnosis of the chosen patients is S00-T98 (Injury poisoning and certain other consequences of external causes) under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cause of death (KDC-7t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occurrence rate was high in mal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women increased as the years pass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outpatient and diagnosis characteristics, emergency hospitaliza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urse of hospitalization, and ‘less than 499’ was the highest in the bed size. Summer was the highest in seasons, but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existed. ‘Non-operation’ was the highest in surgery, and ‘returning home’ was the highest in the direction after discharge. Still, there has been an increased occurrence of interhospital transfer/forwarding and mortality as the years passed. ‘Improvement’ was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results, but the mortality rate ratio has increased.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an average of 12.21, with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Thir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 15 principal diagnoses resulted in a decrease: 71.1% in 2016, 70.3% in 2017, and 69.7% in 2018. The occurrence was highest in Intracranial Injury (S06).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causes, ‘unintentional damage’ was the highest regarding damage intention, and ‘street/road’ was the highest in the place of damage. There has been a decrease as the years passed, but an increase was shown in ‘dwelling.’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occurrence of the injury and trauma patients, compared with 2016, the influencing factors in 2017 were age, insurance type, course of hospitalization, month, surgery presence, and the direction after discharge.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evention education and its related policy establishment at the national level are needed to reduce further occurrence rates in the light of the effects on the injury and injury and trauma patients.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establish the system for damage prevention and to resolve the public health problem to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injury and trauma pat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손상 및 외상환자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명확한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예방 및 관련 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이다.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선정하여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입원 치료 후 퇴원한 환자 중 주진단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th) 기준 S00-T98(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인 환자 92,364명을 최종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손상 및 외상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은 남자가 발생률이 높았으며 연도가 증가할수록 여성의 발생비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손상 및 외상환자의 내원 특성 및 진료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입원 경로는 응급을 통한 입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상규모는 499병상 이하가 가장 높았다. 계절에서는 여름이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여부는 시행하지 않은 무(無)가 가장 높았으며, 퇴원후 향방에서 귀가가 높게 나타났지만, 연도가 증가할수록 타병원 이송/회송, 사망에 대한 발생이 증가하였다. 치료 결과에서 호전이 가장 높았지만 사망 비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입원기간은 평균 12.2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손상 및 외상환자의 주진단 소분류 상위 15위 특성을 분석한 결과 2016년 71.1%, 2017년 70.3%, 2018년 69.7%로 연도가 증가할수록 주진단 소분류 상위 15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개내 손상(S06)의 발생이 가장 높았다. 넷째, 손상 및 외상환자의 손상 외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손상 의도는 비의도성 손상 비율이 높았고, 손상장소는 길/도로에서 가장 높았으며 연도가 증가할수록 감소 추세를 보이며 주거지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다섯째, 손상 및 외상환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도별에서 2016년에 비해 2017년에서 미치는 요인은 연령, 보험유형, 입원경로, 월, 수술 여부, 퇴원후 향방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에는 손상 및 외상환자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보험유형, 입원경로, 수술 여부, 퇴원후 향방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손상 및 외상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이상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예방 교육 및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는 손상 예방을 위한 관련 시스템의 구축과 손상 및 외상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건 문제 해결 목적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인공지능 분류 모델 기반 고등학교 화학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안성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이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부상하여 정규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할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인공지능의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과학 교과 중 화학 교육에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인공지능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분류 모델 기반 고등학교 화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D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수업을 적용하였고 수업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머신러닝 포 키즈와 스크래치를 활용한 텍스트 분류 인공지능의 활용으로 화학이 인류에 도움이 된 의류, 식량, 주거를 분류하는 수업이고, 두 번째는 mBLOCK을 활용한 이미지 분류 인공지능의 활용으로 생활 속의 탄소 화합물을 구조식을 그려 인공지능으로 인식한 뒤 아두이노와 RGB LED 센서를 통한 메이킹 활동으로 인공지능의 분류가 잘되었는지 확인해 보는 수업이다. 프로그램은 이주영(2022) KMB(Knowing-Modeling-Be) 모형의‘탐색-모델링-활용’3단계를 변형하여 KMB(Knowing-Making-Be)‘탐색-메이킹-활용’으로 구성하였다. 수업에서는 3단계를‘탄소화합물 구조식 선정 및 그리기’-‘블록코딩 알고리즘 구상’-‘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분류’으로 구체화하여 인공지능 분류 및 메이킹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학생들의 대화 녹음 후 전사, 수업 전-후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해냈다.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자료는 메이킹 역량 틀로 분석하여 인공지능 분류 수업에서 어떤 역량이 발현되었는지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수업 전-후 AI 및 과학 개념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한 뒤 인공지능 분류 모델 기반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인식변화는 어떠한지 대응표본 t검정 결과를 통해 수치를 분석하였다. 총 22문항의 설문을 수업 전-후 동일 문항으로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이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 문항별로 파악하였다. 메이커 역량 모델에 따라 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메이커 역량 발현은‘협업’>‘메이킹 수행’>‘메이킹 마인드’>‘통합적 사고’>‘문제 발견’>‘인간 중심’역량군 순서로 나타났다. 단계별 활동 분석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첫째, 조별 활동 분석에서‘메이킹 수행’이 3단계 중 2가지 단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메이킹 수행’역량군이 가장 많이 발현된 이유는 인공지능 분류 및 메이킹 활동에 수업의 많은 시간을 사용했고, 기존 메이킹 수행에 인공지능 분류 핵심 역량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단계에서는‘협업’역량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협업 역량군이 가장 높게 발현된 이유는‘의사소통’핵심 역량이 66회로 다른 역량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블록코딩 알고리즘 단계에서 통합적 사고가 10회로 3번째 많은 역량군으로 나타났는데 알고리즘을 미리 만들어보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험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많이 발현되어 나온 결과이다. 넷째, 탄소화합물 구조식 선정 단계에서는‘계획 수립’핵심 역량이 많이 발현되었는데 첫 단계인 만큼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사전 계획의 수립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인간 중심’역량군의 인류애,‘문제 발견’역량군의 일상 속 불편함의 인식은 발현되지 않았다. 이는 고등학교 수업에서 사회적 맥락이나 일상생활과 연계한 활동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설문조사는 사전-사후 AI 일반 가치 변화 7문항, 사전-사후 AI 기술 가치 변화 8문항, 사전-사후 화학지식 변화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22문항 중 1문항을 제외한 21문항에서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었고 AI 기술 가치 변화와 관련된 설문이 전-후 수치상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AI 일반 가치 변화나 화학적 지식을 묻는 문항은 초등학교-중학교 교육과정 혹은 책이나 기타 매체를 통하여 쉽게 접할 수 있지만 AI 기술을 직접 학습하고 경험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화를 통해 인공지능 및 메이킹 수행능력과 협업능력이 향상되었다. 메이커 역량 발현의 경향성은 인공지능 및 메이킹 수업을 위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AI와 관련한 설문 결과를 통해 AI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AI지식 및 교과지식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인공지능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활동 수업으로 많은 활용이 될 것이다.

      • 방송자료분류 전개에 관한 연구

        이민아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방송자료의 핵심이 되는 영상자료를 정리하기 위한 방송자료분류표를 분석·고찰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송자료 분류표를 제작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먼저 방송자료분류표의 형성과 발전을 살펴보고, 이어 신 문기사와 사진자료를 취급하고 있는 기사자료분류표 및 일반 도서자 료의 정리를 위한 한국십진분류표와 비교·분석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송자료분류표는 취급대상인 영상자료의 특성에 따라 주제 분류 가 명확하지 못하여 분류항목이 불합리하게 배정된 곳이 적지 않고 분류항목의 명칭이 세구분의 내용을 포괄하지 못하는 항목이 많은 실정이다. 2. 방송자료분류표는 주류 설정에 있어서 학문 분류나 일반 도서분 류와 같이 주제 분야에 의한 것이 아니고 언론사 기자의 출입처별 로 대분한 것이어서 불합리한 점이 있다. 3. 방송자료분류표는 일반 도서분류표인 한국십진분류표에 비하여 조 기성이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이 가능하다. 1. 방송자료분류표의 체계화를 위하여 강에 있어서는 분류원칙에 위 배되어 잘못 배정된 항목들은 분류원칙에 적합하도록 재배정하도록 한다. 2. 알파벳 문자를 도입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을 분류함으로서 그 형식을 구분해 주고, 영상의 특성을 표시하여 주어 그 주제에 따른 분류를 함으로서 분류의 폭을 확대하고 자료를 더욱 상세히 분류하도록 한다. This paper aims at standardizing Broadcasting Materials scheme of Classification in a reasonable and systematic manner in order that the information can be utilized on broadcasting effectively and rapidly. For the purpose that, improvement of Broadcasting Materials scheme of Classifi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comparison among Broadcasting Materials scheme of Classification, Newspaper scheme of Classification for newspaper articles and clipping photographs, and Korea Decimal Classification for Book Materials scheme of Classification has been studied to clarify the problems involved. The problems identified are as follow : 1. In many cases, the possibility of unreasonable classification can be increased due to the absur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due to its characteristics which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subject, and the name of an item classified does not represent its contents. 2. Although the classification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subje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r the study, it is based on the relevant section of reporters of mass media. 3. Broadcasting Materials scheme of Classification may limit the range of the classification due to the lack of mnemonic characteristics likewise Korea Decimal Classification. As a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s. 1. In level, the misleading items must be re-classified in a reasonable manner. 2. Using alphabetic letters, TV program should be class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be remarked. Thus, clas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based on the related subject so that the range of the classification can be enlarged and the infoma -tion can be classified in more detail.

      • 과학용어분류를 통한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과학 개념 분석

        박시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학교육에서 분류는 관찰,측정 등과 함께 기초탐구과정으로 지도되고 있다. 특히 Lohse 등(1994)은 모든 과학 분야의 중심에 분류가 있고 분류활동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탐구 영역을 구조화할 수 있으며, 개념의 형성과 발달에 이른다는 입장이다. Eggen등(1992)은 분류행동을 개념형성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행동으로 특징짓고 있다. 즉 인간은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계속적인 경험을 통해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대상이나 사건을 분류하고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유목을 형성한다고 하였다. 오랜 동안 분류능력은 인지적 과정의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Kaur,1973) 따라서 대부분의 분류 관련 연구들은 인지심리학에 기반을 두고, 개인의 인지 발달단계에 따른 사고의 차이가 분류능력에 반영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양희정, 1995) 또한 Noelting 등(1993)과 Müller 등(1999)은 피아제의 단계와 일치하는 분류사고의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학생들의 분류사고는 논리적 발달 단계를 따른다는 사실도 지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용어분류활동을 통한 초등특수학급학생들의 과학 개념을 분석해 보려고 한다. 구체적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용어분류를 통한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과학 개념은 어떠한가? 둘째, 과학용어분류를 통한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과학 용어 분류 특성은 어떠한가? 이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첫째, 대체적으로 친숙하고 일상적인 용어를 이용하여 범주화하였다.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과학개념은 과학에 대한 경험, 일상생활 속에서의 경험과 교육을 통해 형성됨을 보여준다. 둘째, 인지수준별 범주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분류특성은 인지수준에 따른 분류특성 및 분류도식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수준이 높아질수록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경험이 많아지면서, 좀 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과학용어를 이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의 과학 개념을 구성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학생에게 흥미로운 다양한 과학 활동을 제공하고 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할 때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과학 개념을 충분히 고려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며, 현장 교사들의 효과적인 수업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특수학급 학생의 학년별과 인지별 과학개념과 분류능력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 딥러닝 기반의 BERT 모델을 활용한 학술문헌 자동 분류

        김인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the development of Big-data an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he size of documents dealt with in contemporary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large and complex. Although the amount of academic literature is gradually increa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studies using deep learning a little has been done on korean academic literature. Automatic classification belongs to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automatic classification is carried out in various and more automated ways. In general, text data is unstructured data. Preprocessing is require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which consum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The BERT model is a model that showed high performance in the overall area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by learning a large corpus of a specific language, the tokenized word units are encoded and utilized numeric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vailability of automatic classification when the BERT model which is a pretrained model. The BERT model is used for feature extraction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iterature. Finally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vailability of the BERT model. This study collected all the KCI-registered paper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training data have been constructed to collect 5357 papers in 7 journals. This paper, annotated into 13 single category. For classification items, 13 sub-categories from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used. This study experiment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training the abstract data collected using the KoBERT model. The using of single layer perceptron in a classification task to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BERT model. In the training process, the change in accuracy of classific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ntity and quality of data by dividing the input length of tokens to one document. The performance of each was evaluated by verifying the same data in the model trained by dividing the input length of the token into three categories: 64, 128, and 256.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were used as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nly models on the input length of 64 was significantly classified 9 categories. Other models were significantly classified 10 categorie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each model, the performanc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ata, and the results came out of 4 types. Categories with a large amount of data and high quality show a high level of performance with an F-measure of 90% or more. If the amount of data is at least and high quality of data, or if the data quality is low, but the data amount is large, the F-measure is 50% or more, indicating that automatic classification is significant. When the data quality is good, the performance improves as the input length increases, and when the data quality is low, the performance decreases slightly as the input length increases. Depending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data,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using the BERT model showed significant performance. The available of using the pretrained model was confirmed in the academic field text data in the form of big data, which is a set of more than 5000 paper abstracts. When an ideal word vector in the relevant field exists that is a useful tool for classifying documents or establishing a bibliographic information generation or classification system in LIS. This study proposes the available by using BERT model as an effective tool in data processing in the form of big data. 빅데이터 기술과 기계학습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 사회에서 다루는 문헌의 크기는 점차 크고 복잡해졌다. 학술 문헌 또한 점차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어 학술문헌을 대상으로 딥러닝을 사용한 자동 분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자동분류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 해당하며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 분류는 다양한 방법과 좀 더 자동화 된 방법으로 진행된다. 텍스트 데이터는 비정형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동 분류를 위해서는 전처리 작업이 필요하며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모한다. BERT 모델은 자연어 처리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준 모델로 특정 언어의 대량의 말뭉치를 학습하여 토큰화 된 단어 단위로 숫자가 인코딩 되어 활용된다. 문헌을 자동 분류하기 위한 자질 추출을 사전학습모델인 BERT 모델을 사용하였을 때 자동분류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BERT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KCI 등재 논문 전체를 수집하여 7개 학술지의 5357개 논문의 초록 데이터로 문헌을 13개의 단일 항목으로 분류하여 학습데이터를 구성하였다. 분류 항목은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13가지 소분류명을 사용하였다. KoBERT 모델을 사용하여 수집한 초록 데이터를 학습시켜 자동 분류를 실험하였다. 분류 작업에 사용된 기법은 단순한 단층 퍼셉트론을 사용하여 BERT 모델의 성능에 집중하였다. 학습 과정에서 하나의 문서에 입력되는 토큰의 길이에 구분을 주어 데이터의 양과 품질에 따라서 분류의 정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토큰의 입력 길이를 64, 128, 256 세 가지로 나누어 학습 시킨 모델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검증하여 각각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척도는 정확율(Precision), 재현율(Recall), F-measure를 사용하였고 분류 결과는 세 가지 모델 중에서 입력 길이가 64인 모델만 9개를 유의미하게 분류하였고 나머지 모델들은 10개를 유의미하게 분류하였다. 각 모델의 성능평가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품질과 양에 따라서 성능이 변화하였는데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의 양이 많고 품질이 높은 항목들은 F-measure가 9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 데이터 양이 적어도 데이터 품질이 좋거나 데이터 품질이 낮아도 데이터 양이 많으면 F-measure가 50% 이상으로 자동 분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데이터의 품질이 좋은 경우 입력 길이가 늘어나면 성능이 향상하고 데이터의 품질이 낮을 때는 입력 길이가 늘어나면 성능이 약간 하락한다. 데이터의 양과 품질에 따라서 BERT 모델을 사용한 자동 분류에서 유의미한 성능이 나타났다. 5000개 이상의 논문 초록 집합이라는 빅데이터 형태의 학술 분야 텍스트 데이터에서 사전학습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문헌정보학 안에서 문헌을 분류하거나 서지정보의 생성 혹은 분류체계를 정립할 때, 해당 분야의 이상적인 단어벡터가 존재하면 빅데이터 형태의 데이터 처리에서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 「한국십진분류법」과 「중국도서관분류법」의 <지역구분>의 변천과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멍슈아이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韓國十進分類法」의 <地域區分表>와 「中國圖書館分類法」의 <世界地區表>의 발전과정, 전개 및 구성 체계 그리고 적용법을 비교․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韓國十進分類法」과 「中國圖書館分類法」은 자국의 국가표준분류법으로써 지속적인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고 있다. 「韓國十進分類法」은 6판, 「中國圖書館分類法」은 5판까지 출판되었다. 둘째, 「韓國十進分類法」의 <地域區分表>는 –1 아시아, -2 유럽, -3 아프리카, -4 북아메리카, -5 남아메리카(남미), -6 오세아니아, -7 양극지방, -8 해양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中國圖書館分類法」의 <世界地區表>는 -1 世界, -2 中國, -3 亞洲, -4 非洲, -5 歐洲, -6 大洋洲及太平洋島嶼, -7 美洲, -8 外太空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韓國十進分類法」의 <地域區分表>는 적용에 대한 특별한 지시가 없어도 분류표의 전 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적용의 유형은 7가지 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반면 「中國圖書館分類法」의 <世界地區表>는 특별한 지시가 있을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적용법은 6가지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韓國十進分類法」은 모든 주제에 대해 지역적․지리적으로 세분화된 주제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문헌정보자료 조직업무의 유연성이 뛰어나며, 본표의 내용 전개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간략화할 수 있는 지역구분표를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다. 「中國圖書館分類法」의 <世界地區表>는 다양한 측면으로 전개할 수 있어서 효율성 측면에 있어서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일관성 없이 때로는 애매한 위치에 있는 모든 항목을 전체적으로 재정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韓國十進分類法」은 <地域區分表>를 비롯한 각종 조기법의 적용방법을 단순화시키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中國圖書館分類法」은 <世界地區表>를 비롯한 각종 조기법의 구성을 체계적으로 전개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deployment and configuration system and application of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and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 (CLC).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KDC and the CLC are respectively the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Korea and China, which have been under continuous revisions and meet the current of the times. The KDC was published to six editions, the CLC ran into five editions. Second,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KDC are made up of the followings: -1 Asia, -2 Europe, -3 Africa, -4 North America, -5 South America, -6 Oceania, -7 Polar regions, -8 Oceans, Seas.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CLC are made up of the followings: -1 World, -2 China, -3 Asia, -4 Africa, -5 Europe, -6 Oceania and Pacific Islands, -7 America, -8 Outer space. Third,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KDC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mes of classification schemes and no matter whether there are special instructions or not. There are seven ways to apply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CLC can be applied only when there are special instructions, and there are six ways to apply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since all the themes of the KDC can be given the theme numbers which were subdivided geographically, the operational process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have excellent flexibility, content development of the schedules is prevented from being lengthened which can be simplified and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table can be used abundantly. Since the CLC can be deployed in various aspects, even with the high assessment in the efficiency, but all the items need to be rearranged on the whole which are in the ambiguous locations since it is discontinuous at times. That is to say it's absolutely required to simplify the application of all sorts of casual mnemonics involving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KDC, and it's absolutely necessary to systemize the structure of all sorts of casual mnemonics including the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the CLC. 本研究是針對「韓國十進分類法」的<地域區分表>與「中國圖書館分 類法」的<世界地區表>的發展過程,展開及構成體系,以及適用法進行的比較,考察研究.其研究結果如下. 第一,「韓國十進分類法」和「中國圖書館分類法」都是作為本國的標準圖書分類法,都在對它們進行不斷的修訂工作,使之順應時代的發展潮流.「韓國十進分類法」目前為止出版到第六版,而「中國圖書館分類法」出版到第五版. 第二,「韓國十進分類法」的<地域區分表>是由 –1 亞洲, -2 歐洲, -3 非洲, -4 北美洲, -5 南美洲, -6 大洋洲, -7 兩極地方, -8 海洋等構成的, 「中國圖書館分類法」的<世界地區表>是由 -1 世界, -2 中國, -3 亞洲, -4 非洲, -5 歐洲, -6 大洋洲及太平洋島嶼, -7 美洲, -8 外太空等構成的. 第三,對於「韓國十進分類法」的<地域區分表>,即使沒有特別指示的分類表的全部主題都可以共同適用,通過整理可以得到7種適用方法.而「中國圖書館分類法」的<世界地區表>只能是在有特別指示的情況下才可以適用,其適用方法有6種. 通過以上結果可以看出,因為對於「韓國十進分類法」的全部主題都可以給予它們被地域性,地理性細分化的主題符號,所以文獻情報資料組織業務有十分出眾的靈活性,可以防止本表的內容展開過長,能夠充分的靈活使用可以簡略化的地域區分表.「中國圖書館分類法」的<世界地區表>可以通過多樣的方面展開,在效率性的角度上雖然可以給與很高的評價,但是有些時候沒有條理性,應該針對在處於模糊位置的所有項目進行全體性的重新調整. 對於「韓國十進分類法」,為了使包括<地域區分表>在內的各種助記法的適用方法更加的簡單化,我们绝对有必要做出更多的努力,而對於「中國圖書館分類法」,更加體系化的展開包括<世界地區表>在內的各種助記法的結構,是我們今後的努力方向.

      • 國際商品分類制度에 관한 硏究 : 技術革新商品의 HS 分類를 中心으로

        김동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박사

        RANK : 247807

        We need an internationally uniformed goods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grasp the stream of the goods to pass through the national boundary, and to control and administrate exports & imports, and to impose import duties. We may certainly understand a worldwide statistics by internationally uniformed goods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know the current situations of trade between nations and between industrial fields. In addition, since international trade of somewhat goods is a flow of the goods from a country to another country, the decision of freight rates or insurance premium is not a problem limited only to one country. Therefore, we need an unified freight or insurance rate list by classification system of goods uniformed internationally. According to these needs, the main trade countries and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ried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ly uniformed classification system of goods. These efforts began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continued to the mid of the 20th century, and came to establish a recognizecd system of worldwide classification systems of good such as the SITC and the CCCN. However, with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ll the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exerted themselves to industrial development, so international trade began to be evolves actively. Thus we were forced to modify the worldwide goods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ITC or the CCCN. Up to 1970's, with HS as a new international uniformed goods classification system being developed again, almost all countries began to adopt it from 1988. As we know well, today is a technical innovation and keen competition era, and we came to utilize computer to international trade and facilities of tariff. Accordingly, though we came to adopt HS from 1988, it also might supplement it accordingly in order to cope with today's world economic situations suddenly changable. In particular, ultra-technical items, space and life-technological goods and innovation goods make difficult for us to classify corresponding heading in the existing concept of goods. Besides, it is a important matter how to unify the rate of the freight or insurance premium of those goods in the current HS. Furthermore, since we are in the position to control export & import of those goods in view of national economic policy, if the HS can't produce correct and concrete statistics about the movements of the these goods. It will expose a serious problem in view of management of the HS. From acknowledging those problems,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HS in detail and to find out why the above problems appear and to grope for a count-measure thereof.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goods classfications system is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ystem and to review whether the current HS is functioning sufficiently by meeting the needs of technica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s hereby to point out the problems, which the HS contains. Next, this study is to present above all, four types of technical innovation goods, ultra-technical goods, electronic-engineering goods, precision-chemical goods, innovation goods and goods by differentiation, and to look into whether the current HS may accomodate those goods sufficiently enough. As the result of, since the current HS can't accomodate those goods, the HS is found to contain many problems. The concrete problems are found in the four aspects of that current HS classification system economic statistics, tariff administration, freight and insuranc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HS, our HSK exposed the serious problems in actual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bdivide HS code and also the HS code of parts of goods in order to settle these problems. This find out that our HSK are necessary to subscribe technical innovation goods on 「other」 code and, in addition find out needing a separate classification code system for exporting goods because the current HS aimed at the coding of importing goods. Therefore, the conten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uld be meaningful, in view of, that every country be faced with the problems of analysing technical innovation goods and differentiated goods in common under today's suddenly changing trade environment.

      • 일상생활 동작 분류를 위한 최적의 센서 부착위치 평가

        호예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an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the human movement monitoring system has required which can recognize and handle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all. Also, the system can be used the evaluation for effect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n previous studies, threshold-based movement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ri-axial accelerometer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these studies used the threshold were selected by qualitative method and decided the sensor placement without experimental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threshold value for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reless tri-axial accelerometers were attached on forehead, chest, pelvis, wrist, thigh, shank and ankle of sixteen subjects. Five activities (standing, sitting, lying, walking, running) were tested. Five trials were performed for each activity in each subject. As parameters for movement classification, signal magnitude area (SMA) of acceleration, tilt angle, and the variance of vertical acceleration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al sensor placement for classification of human movement was wrist (accuracy: 98.2%). 최근 고령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낙상과 같은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인간의 동작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운동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치료방향 제시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작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기도 한다. 과거의 연구에서는 3축 가속도센서를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다양한 동작을 분류하고자 했으며, 이때 일정 threshold기준으로 단계를 거쳐 동작을 분류하는 threshold-based movement classification이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실험적 결과만을 이용하여 threshold값을 구했다는 것과 실험적 근거 없이 특정위치를 선택하여 동작을 분류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으로 threshold값을 구하는 것과 센서를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여 동작분류를 위한 최적의 부착위치를 찾고자 한다. 무선 3축 가속도센서(Delsys Inc., Natick, MA)를 건강한 성인남자(평균 24.8±0.9세, 몸무게 69.6±13.6kg, 키 175.8±3.8cm) 16명의 전두부, 상완, 흉부, 허리, 손목, 대퇴, 하퇴, 발목 8개의 위치에 부착하였다. 정적 동작(standing, sitting, lying)은 각 5초씩 5회 측정하였고, 동적 동작(walking, running)은 각 20초씩 5회 측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정적 및 동적 동작을 분류하는 SMA(signal magnitude area), 동적 동작을 분류하는 분산(variance), 정적 동작을 분류하는 경사도(Tilt angle)의 세 가지 지표를 선정하여 알고리즘을 구성하였고, 각 부착위치에 따른 동작분류 정확도를 검출하였다. 분석 결과, 5가지 동작을 분류하는데 가장 적합한 부착위치는 8개의 부착위치 중에서 손목(정확도: 98.2%)으로 나타났다.

      • 分類的 側面에서 본 國民學校 通行空間의 認知實態

        이정희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각 공간들의 상호연결을 나타내는 선적인 공간의 인지에 관한 것이다. 국민학교를 대상으로 내외부공간에서 수직과 수평의 통행로, 즉 복도, 계단, 외부 진입로를 "통행공간" 이라는 Keyword를 만들어 이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방법으로는 설문지, 사진촬영, 실측 등을 통하여 인지에 관한 분석을 하여 이를 위한 4부류의 항목을 설정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광주시내로 한정하여 94개교 중 작위적인 방법으로 선정한 국민학교의 공간배치의 실상과 시설공간의 형식을 재조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국민학교 시설공간의 계획 및 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생각케 하였다. 또한 그러한 3가지 공간에 대한 일상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하나의 독립된 공간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한 결과 도출을 위해 문제제기, 이론도출, 관찰조사. 분석, 종합하는 5단계 논리적 피트백 방식을 취하여 그 결과 6항목의 결론으로 이를 귀결시켰다. 1. 이론적 통행 공간의 분류적 고찰에서는 첫째, 通路와 街路의 개념에 대한 接近이었고 둘째, 마감재료, 공간의 構造的 特性으로 접근하였으며 셋째, 規準과 實際와의 비교에서는 각기 다르게 實施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적용된 4가지 분류와 9개항의 접근으로 生理·心理的인 상태의 測定 要素를 도출할 수 있었다. 2. 통행공간의 패턴은 기호화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은 기능면의 分析에서는 통로 공간, 놀이장, 機能 分化된 공간을 연결시키는 것과 空間 分離와 독립성 부여의 조인트 공간이라는 것과 人間 心理的 空間이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利用面에서는 대부분 複道의 경우,통행, 전시나 게시, 쉬는 곳 순으로 認知되었고 階段은 통행, 노는 곳, 쉬는 곳 순이고 進入路는 통행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形態面 規模面에서는 통행 공간의 4가지 形狀 要素를 도출해냈고 인지도의 경우 모두 적당하고 보통이다가 주류를 이루지만 천정 높이에서는 높다든지, 적당하다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모두 平均線을 넘지 못한 상태로 나타났다. 3. 등하교시 面積에 대한 인지도로 平均點에 가깝고 폭에 대한 부분은 좁게 인식되고 있었고 通行의 幅에 대한 최소 최대는 均等한 규모이지란 중앙 기준점은 거의 동일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이공간의 형식은 平均的으로 넓게 인식되고 그 길이는 基準點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었다. 4. 利用 形態를 본 결과에 대해서는 복도의 이동 유형 분포는 대부분 혼자나 두세명이 동행하는 것이 絶對的인 비율이었고 분포는 한줄이 전체적으로 약 80%에 가깝고, 또한 階段 類型과 通行 分布는 복도와 유사하였으며, 시간대별 통행 인수에 대한 時間 分布는 11:40분∼11:50 사이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5. 階段의 安全性에 대한 인지도에 관한 결과는 안정·적당함이 높지만 의외로 불안하다는 경우도 여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있고, 欄干의 安全性은 저학년인 경우 모두 안정하지만 고학년으로 갈수록 불안하게 인식되었다. 6. 快適性에 대한 결과 계단의 경우, 어둡과 잘모르겠다는 경우도 높았고, 材質感에 대한 것은 미끄럽다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欄干에 대한 재질감은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is on the cognition of linear space which shows the mutual connection of each space. It makes a key work of "passing space" of vertical and horizontal passage way, that is corridor, step and external access way in elementary schools and it is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it.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s the cognitive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 photographing and actual measurement and sets four items for this. It reviews the actual conditions and forms of space placement of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randomly selected in elementary schools of Kwangju-city and sugests that the planning and placement of facility space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achieved in future.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such a space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pace, escaping from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ree spaces. For obtaining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takes logical feedback method of five stages such as bringing up of a problem, formation of theory, observation and survey, analysis and generalization, and as a result, it obtains the conclusion of six items.

      • 한국십진분류법 웹 버전 개발을 위한 기능요건 연구

        양정윤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New technologies represe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already being realized in library services. There are many discussions and research on the role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combining future technologies as they mention such words as "future libraries" and "future librarians." There is not, however, active research on measure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introducing a new technology in the work of "classification" that is part of the traditional librarian jobs the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Overseas web version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WebDewey, Classification web, and UDC Online were developed in the early 2000s and are used more actively than print versions.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has not issued a print version since 2018. The latest vers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was the sixth edition published in 2013. The appearance of new ideas and terms driven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rend changes has resulted in the publication of many related books, but the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s of the old signs due to the absence of new ones fit for them. These points highlight further a need for the web version of KDC. This study aims to analyze overseas web version classifications developed and already in use to see differences between the web and print versions and identify functions that are used conveniently and thus to figure out which functions are needed for the web version of KDC. The study analyzed the cases of WebDewey, Classification web, and UDC Online and identified functions needed to develop the web version of KDC. These functions were analyzed in an AHP with a total of 12 subjects including librarians at libraries using a web version classification, researchers that used a web version classification, and librarians that were currently responsible for classification work and never used a web version classification to propose a final set of valid fun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web version of KDC. Of the upper-level functions, the keyword search function held the highest importance, being followed by the browsing search,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signs, the connection of related data, and support for users in the order. Under the keyword search function, simplified searches held the highest importance. Under the browsing search function, browsing for classification signs held the highest importance. Under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signs, combination held higher importance than revision. Under the connection of related data, DDC and NLSH connection held the highest importance. Under the user-friendly function, help held the highest importa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ore importance should be placed on simplified searches, browsing for classification signs,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signs, connection with DDC and NLSH, and help than other fun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web version of KDC. The present study claimed a need to develop a web version of KDC, identified functions needed for it, and proposed necessary functions through an importance analysi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re are no active research efforts in the nation, and it has been a long since a web version classification was developed and put into use overseas. These posed limitations with a literature study needed at a development st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wever, offer assistance for necessary func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web version of KDC for a future society and future library.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신기술들이 이미 도서관 서비스에 구현이 되고 있다. 그러면서 ‘미래도서관’, ‘미래사서’ 등의 단어를 언급하며 미래 기술에 융합한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많다. 그러나 전통적인 사서 업무이자 향후 지속해야 하는 ‘분류’ 업무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업무 효율을 증대하고자 하는 방안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해외 웹 버전 분류법인 WebDewey, Classification Web, UDC Online은 2000년대 초반에 개발되어 현재는 인쇄본보다 웹 버전이 더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2018년 이후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더 이상 인쇄본을 발간하지 않고 있다. 한국십진분류법(KDC)은 2013년에 발간된 6판이 현재로서는 가장 최신판이다. 그동안 기술의 발전, 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인해 새로운 사상과 용어가 등장하면서 관련 도서 역시 많이 출판되고 있지만 이에 적합한 분류기호가 없어 기존의 기호들을 조합하여 분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했을 때 KDC의 웹 버전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되어 사용 중인 해외 웹 버전 분류표를 사례로 들어 각 분류법의 웹 버전과 인쇄본의 차이는 무엇인지, 어떠한 기능이 편리하게 사용되는지 등을 분석하여, KDC 웹 버전에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WebDewey, Classification Web, UDC Online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십진분류법 웹 버전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도출했다. 도출한 기능을 국내에서 웹 버전 분류표를 사용하고 있는 도서관 사서 혹은 웹 버전 분류표를 사용해 본 연구진, 웹 버전을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현재 분류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 총 12명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KDC 웹 버전 개발에 타당한 최종적인 기능을 제안했다. 상위기능에서는 키워드 검색 기능, 브라우징 검색 기능, 분류기호 조합 기능, 관련 데이터 연계 기능, 사용자 지원 기능 순으로 중요도가 높고, 키워드 검색 기능 중 간략검색의 중요도가 전체 기능 중 가장 중요도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브라우징 검색 기능에서는 분류기호 브라우징, 분류기호 조합 기능에서는 수정기능 보다 조합기능이, 관련 데이터 연계 기능에서는 DDC 연계, NLSH 연계가, 사용자 친화적 기능에서는 도움말 기능이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왔다. 이 결과를 통해 한국십진분류법 웹 버전 개발시 간략검색, 분류기호 브라우징, 분류기호 조합 기능, DDC 연계, NLSH 연계, 도움말 기능은 다른 기능들에 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십진분류법 웹 버전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그에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여 그 중요도 분석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 관련 연구가 활발하지 않고, 국외의 경우 이미 오래전에 웹 버전 분류표가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개발단계에서 필요한 문헌조사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미래사회, 미래도서관으로 나아가기 위해 KDC 웹 버전이 개발된다면 필요한 기능에 대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