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교이방성 등변앵글부재의 탄성좌굴해석

        김정곤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건설분야에서 구조용 복합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것은 복합재가 기존재료(강재, 콘크리트)에 비해서 여러 가지 장점(비강도 및 비강성이 크고, 비자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특수한 기능이 요구되는 구조물의 건설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복합재는 근래에 펄트루젼공정을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져 재료의 확보가 쉬워졌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우수하다. 펄트루젼공정을 통해 생산된 부재는 제조공정상의 특성으로 인해 박판의 형태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만 보강섬유가 배치되어 있어 보강섬유방향과 보강섬유에 직각인 방향의 역학적 성질이 서로 다르다. 이러한 성질은 일반적으로 직교이방성으로 간주되며, 등방성 재료의 해석에서와는 달리 재료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방향성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박판 부재가 압축력을 받을 경우 좌골에 의한 파괴가 지배적이며, 압축재의 좌굴거동은 부재 의 세장비에 따라서 국부좌굴(Local buckling)과 전체좌굴(Global buckling)로 나뉠 수 있다. 세장비가 작은 경우에는 판요소의 접합부는 직선을 유지하면서 부재를 이루는 각 판요소가 좌굴을 일으키는 국부좌굴이 발생하며, 세장비가 큰 경우에는 부재 전체가 좌굴을 일으키는 전체좌굴이 발생한다. 부재의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국부좌굴의 경우 단면의 폭과 두께의 비이며, 전체좌굴의 경우는 부재의 세장비 단면형상(개방단면, 폐단면)과 단면의 도심과 전단중심의 일치여부이다. 본 연구에서는 펄트루젼공정을 통해 생산된 직교이방성 등변앵글부재의 좌굴거동에 대해서 국부좌굴과 전체좌굴을 해석하였다. 국부좌굴의 경우에는 에너지법을 사용한 판의 좌굴해석을 수행하여 국부좌굴해석을 대신하였으며, 전체좌굴의 경우에는 앵글부재가 개방단면이면서 도심과 전단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특성을 고려하여 주축방향의 휨좌굴과 비틀림좌굴 및 휨-비틀림좌굴에 대하여 각각 해석하였다. 또한 이론적 해석결과는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비교한 결과는 그래프와 표로 나타내었다. 비교결과 국부좌굴해석 결과는 폭두께비(b/t)가 클수록 전체좌굴해석 결과보다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더 잘 맞았으며, 전체좌굴은 약축방향의 휨좌굴이 지배적이었고, 길이가 길수록 차는 적었다. 또한 국부좌굴과 전체좌굴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중간정도 길이를 갖는 부재의 경우 차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교이방성 박판부재의 설계규준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to use structural composite materials in construction industries. Such a trend is due to its various advantages(i. e., high specific strength and stiffness, nonmagnetic and nonconductive characteristics, high chemical resistance, etc.)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onventional construction material(such as steel, concrete, aluminum, wood, etc.). The 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essential properties for specific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n economical aspects, this material gains competitiveness against conven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by developing pultrusion process and producing mass-produ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process, the structural members are consisted of thin-walled plate elements, and fibers are reinfor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member. Therefore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different in each orthogonal direction, which is usually called orthotropic. In the mechan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member this directivity of the member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the thin-walled structural member is resisting compression, the buckling is dominant factor causing failure. The buckling behavior of compression member is distinguish into local buckling and global buckling dependent upon the slenderness ratio, When the slenderness ratio is small the compression member buckles locally for which the component plate element buckles like a plate which the juction of the plate component maintains straightness but allows rotation. If the slenderness ratio is large, the member buckles globally but maintains its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The factor affecting the local buckling is the width-thickness ratio of the component plate element hut the factors affecting the global buckling are the slenderness ratio, cross-sectional configuration(i.e., closed and open), and whether the center of gravity coincides with the shear center. In this thesis, local and global buckling behaviors of the orthotropic equal-leg angle section member produced by the pultrusion process are investigated. In the local buckling analysis energy method is used but in the global buckling mode, closed-form flexural, torsional, and flexural-torsional buckling analyses are conducte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and shear center do not coincide. The theoret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and they are shown in graphical form. By the compression results, it is formed that the local buckling analysis result of high b/t ratio is much closer to thee experimental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then the global buckling analysis result. The flexural buckling with rvs?>ect to the weak-axis is dominant and the member having high slenderness ratio gives closer results. Since the local and global buckling analyses are conducted independently the buckling analysis result of medium-length member gives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The study result can be as a technical data to establish the design criteria for the orthotropic thin-walled structural member.

      •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 및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의 휨 성능평가

        엄순섭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합성부재란 다른 구조재료가 결합하여 하나의 부재로 거동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용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작용 효과를 적용한 부재인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Concrete-Filled Double Skin Steel Tube, CFDST)과 CFST 보-강재기둥으로 구성된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에 대하여 휨 거동 및 강도를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충진 강관(CFST)보다 가볍고 경제적인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Concrete-Filled Double Skin Steel Tube, CFDST)과 합성관 연결부의 휨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새로운 유형의 부재를 개발하였다. 이중강관-합성관은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강관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워넣은 형태로써 길이는 10m, 외경 및 내경은 각각 914.4mm, 514.4mm으로 제작되었다. 콘크리트와 강관의 합성작용을 유발하기 위한 전단연결재는 M16 스터드와 강판 스터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두 개의 합성관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저항하기 위해 새로운 유형의 합성관 연결부를 개발하였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전단연결재와 조인트 유무에 따라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은 4가지 종류의 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의 휨 성능평가는 4점 재하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에 대한 설계 예측과 실험 결과간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형식의 구조인 강-콘크리트 합성부재(CFST) 보-강재기둥 접합부의 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콘크리트 합성부재는 정모멘트와 부모멘트 구간에서 각각 H형보과 강박스로 구성된 불연속 단면을 적용하여 기존의 합성부재에 비해 자중이 가볍고 경제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식의 합성부재이다. 정모멘트 구간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H형보와 함께 합성되어 충분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강박스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충전강관(CFT)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며 내부콘크리트의 일부가 압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중강관-콘크리트 합성관 및 강-콘크리트 합성부재는 휨 실험을 통하여 거동과 하중저항능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얻은 부재의 거동과 하중저항능력의 비교검토를 통해 실험과 해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 嚴慶遂의 『孚齋日記』 연구

        강소이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嚴慶遂의『孚齋日記』연구 본고는 17세기 소북 문인 孚齋 嚴慶遂(1672∼1718)에 의해 저술된 일기『孚齋日記』의 수록 일화를 중심으로 엄경수의 기록의식을 조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부재 엄경수의 본관인 寧越 嚴氏는 고려 때부터 대대로 관직을 역임한 집안으로, 5대조 嚴昕, 조부 嚴聖耈, 부친 嚴緝 등 다수의 선조가 삼사에 소속되어 관직 생활을 이어왔다. 승정원에 입직한 엄경수 또한 집안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기록의식과 기록방식을『부재일기』에서 드러냈다. 엄경수가 태어나 활동했던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의 조선은 전란과 붕당정치로 내우외환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北人은 大北과 小北으로 분파하였는데 인조반정 이후 대북은 몰락하고 소북은 인목대비를 보호한 공로로 전멸은 면하였다. 특히, 엄경수가 활동하던 시기에 조정은 西人에서 분파한 老論이 권력을 잡았고 소북은 소수 정파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에 합격하여 조정에서 관직 생활을 하게 된 엄경수는『부재일기』를 통해 일상을 기억할 뿐만 아니라 당대의 실상을 기록하여 후대에 남기고자 하였다. 『부재일기』는 엄경수가 승정원에 입직한 이후 작성된 일기이다. 『부재일기』는 약 12년간 저술된 일기로, 당쟁을 직접 목도한 당사자의 기록이다. 따라서 정치사나 정쟁사를 언급하는 소북 측의 자료가 적은 상황에서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또한, 『부재일기』에는 엄경수를 중심으로 하는 소북의 관계망과 교유 양상이 기록되어 있다. 『부재일기』를 통해 17∼18세기 한강을 이용한 이동 반경과 이동 경로를 자세히 알 수 있으며 날짜를 기록해두는 일기의 특성으로 각 여정에 걸리는 시간까지 대략 알 수 있다. 그 외 일기라는 문체에도 불구하고 詩·書·祭文 등이 모두 남겨져 있는『부재일기』를 통해 그들이 서로 차운한 시, 주고받은 편지는 물론, 어떤 인물과의 인연으로 만시와 만사 등을 남겼는지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부재일기』에는 엄경수가 평소 직·간접적으로 관심을 두었던 모든 일상이 담겨 있다. 자신이 거처할 곳을 정하기 위해 직접 다닌 답사에 대한 기록을 통해 엄경수의 인문지리학적 관심과 그 기록 양상을 살필 수 있으며 당시 사대부들이 생각한 거주지를 위한 조건과 이주의 이유를 자세히 알 수 있다. 또한, 전염병이 만연했던 시기에 살았던 엄경수는 질병과 건강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으며 자신이 보고 체험한 질병의 증상과 원인, 치료법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특히, 담배의 폐해와 그것을 알고 있음에도 끊지 못하는 이유를 기록한 일화는 그 생활상과 문화상을 파악하는데 좋은 기록이 된다. 엄경수는 다양한 인간 군상의 일화를 기록하는 데도 관심이 있었는데, 특히 하층민에 대한 기록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를 통해 중세 조선에 미약하지만 진전된 인간관을 살필 수 있다. 엄경수는 천민이라도 자신이 터득한 바가 있으면 그 인물과 관련해 자세히 기록하고 인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A Study on 『BuJae Ilgi(孚齋日記)』written by Eom Gyeong-su(嚴慶遂) This thesis focuses on the anecdotes in the diary『Bujae Ilgi(孚齋日記)』 in order to illuminate Eom Gyeong-Su(嚴慶遂)'s consciousness. The Yeongwol Eom family, which has worked in government since Goryeo(高麗), has ties to Samsa(三司). This includes Eom Gyeong-Su's third great-grandfather Eom Hun(嚴昕), his grandfather Eom Seong-gu(嚴聖耈), and his father Eom Jip(嚴緝). His family had an impact on Eom Gyeong-su, who entered Seungjeongwon(承政院), and exposed his recording consciousness and recording technique throughBujae Ilgi』 When Eom Gyeong-Su was alive and well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y, Joseon was experienc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s a result of war and Boondang (朋黨). Due to the Queen Inmok(仁穆大妃)'s protection at the time, Sobuk(小北) was saved from oblivion after the Injobanjeong(仁祖反正) and another Bukin(北人) Daebuk(大北) fell. In particular, the Noron(老論), who were split from the Seoin(西人), ruled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time that Eom Gyeong-Su was active, and Sobuk barely clung to its status as a minor group. In this case, Eom Gyeong-Su, who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科擧), strove to preserve the truth of the past for future generations in addition to remembering it through theBujae Ilgi』. TheBujae Ilgi』 is a journal that Eom Gyeong-Su wrote after he entered Seungjeongwon. TheBujae Ilgi』 is a relatively little record that was written over a period of around 12 years, but it is a record of the individual who saw the party turmoil firsthand. Because there isn't much information about political history or intra-party conflict on the Sobuk side, it offers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historical events. Additionally, theBujae Ilgi』documents the Sobuk relational network and patterns, with a focus on Eom Gyeong-Su.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 diary that records the date, the Bujae Ilgi』 makes it possible to learn in detail about the region of activity and route of movement via the Han River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t also helps to estimate how long each excursion takes. Despite the diary's format, it is easy to understand in great detail how they left texts, such as shared poetry and letters, books, and texts, as well as the personalities they left in Mansi(挽詩) and Mansa(挽詞). Finally, theBujae Ilgi』includes every aspect of daily life that Eom Gyeong-Su wa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terested in. It is possible to follow his interest in anthropogeography and the record-keeping features by looking at the records of the field inquiry he made before deciding where he would dwell. It also help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requirements for relocating and the motivations for moving. A good record for understanding Joseon's life and culture is Eom Gyeong- Su's detailed documentation of the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s of the diseases he saw and experienced while living through the epidemic. In particular, his account of why he was unable to quit smoking despite knowing the dangers of cigarettes is instructive for understanding Joseon. Especially with attention and records of the lower class, Eom Gyoeng-Su was engaged in compiling anecdotes of diverse human groups. This provides a window into the Joseon Dynasty's limited but developing understanding of humanity. Eom Gyoeng-su showed that he records and recognizes in detail if he realizes anything from the lower class.

      • 다품종 소량 생산 PC 부재의 생산 프로세스 효율화

        김동현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부재의 효율적인 생산을 목표로 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생산 부재를 표준화하고 동일한 부재를 가급적 많이 생산하도록 유도하는 소품종 대량생산 방식에만 주된 관심이 있었다. 즉, 몰드가 반영구적으로 생산에 투입되어 동일한 표준 부재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생산자 주도방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연구되어 온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타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건설 부재에서도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해지고 있으며 향후 더욱 다양한 부재를 생산하는 환경으로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다. 부재 생산 방식이 소비자에게 맞추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생산 기업에서 이익을 내거나 업의 지속을 보장받을 수도 없는 시대로 바뀐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재를 생산하는 공장이 환경의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과거 소품종 대량생산은 물론이고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적합한 생산 프로세스 관리 기법을 제시 한다. 다양한 부재를 생산하도록 몰드를 효율적으로 투입하고 개조를 추적하는 방법으로서 부재의 생산일정을 계획하고 생산을 관리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몰드 개조의 순서를 연동하는 기법과 이를 구현한 시스템은 몰드의 제작과 개조, 부재의 생산을 끊임없이 상호 연동하는 정보시스템이며 생산부서가 경영환경의 변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The research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the Precast Concrete(PC) has been concentrated on Mass Production of Small Amounts so far. Their goal is to standardize the Precast Concrete Members for more products. In other words, Standardization of products is allows producers to produce continually the same product and Mould is permanently committed to producing the same members. Producer-led study has been unable to stray from the framework of the way. However, recently, consumer's needs for PC are diverse, and the future to produce PC is to be changed. The producer-driven can not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Therefore, In the paper, allowing the factory to respond instantly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It shows efficient technique for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The technique is to trace the change of mould that makes the various products and to manage Production planning and to create production schedules. In this thesis, Mould number is continuously linked with previous mould number to product another member and system is implemented to work together constantly. So Production departments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 스크린효과를 통한 부재이미지 표현 연구

        이은영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작품에서 커튼 이미지는 서로 교차하고 분리되고 때로는 분철되면서 휘날리고 뒤엉키면서 고정되지 않으며 외부세계와 변화무쌍한 이미지들을 멀티레이어드하고 있다. 커튼 이미지는 동어반복적인 시각적 이미지라는 잉여적 요소로 중첩되어져 있으며 그 자체로서 스크린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부재의 이미지를 시사하며 언어소통의 부재, 결여, 결핍, 애매성의 기전들을 표상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커튼 이미지를 통하여 다의적인 심리적 요인들을 함의하는 현대인들의 욕망구조를 파악해 봄으로써 인간존재의 방식과 본질은 온전히 채워질 수 없는 부재를 의미하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었다. 본 고의 ‘부재 이미지’라는 테제가 시사하듯이 연구작품의 미술텍스트는 연구자의 삶 속에 깊이 박혀있는 아픔의 대상과 심리적 갈등으로 야기된 자아의 욕망, 가치관과 목표 사이의 보이지 않는 충돌의 갈등은 스스로를 괴롭히고 고통으로 내몰고 있는 상황임을 고백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실의 갈등상황을 연구작품에 고스라니 스며들게 함으로써 커튼의 이미지가 스크린을 형성하고 그 스크린의 도상은 부재 이미지 것으로 표상되어져 보이도록 한 것이다. 연구자는 후기구조주의 기호학자인 자크 라캉(Lacaan, Jacques; 1901~1981)의 욕망체계에서 현대인들의 가상실재에 대한 혼돈과 극단적 이기주의로 야기되는 정신적인 문제 그리고 근원적 욕망들이 파편화되어 가면서 끝없이 제기되는 실존의 문제들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마틴 하이데거(Martin.Heidegger; 1889~1976)에 따르면 우리 인간들은 이성에 의한 지배의 의지가 점점 강해지면서 자신의 존재를 잃어버리고 바라봄을 통해 존재자로는 들어갈 수 있으나 보이지 않고 단적인 초월의 존재 자체로는 다가설 수 없는 존재로 파악이 되고 있다. 연구작품에서 존재와 부재 이미지가 갖는 공통적인 의미 중 하나인 애매함은 그 틀을 규정할 수 없으며 불확정적인 면에서 유사한 것으로 보였으나, 연구작품에서 커튼과 레이어드된 사물 그리고 나타나지 않는 사물의 형상은 본인의 정체성과 살아온 흔적인 동시에 미래를 향한 갈망으로 표상된 것으로 파악이 된다. 본 고는 문제 제기를 통하여 연구작품의 미술텍스트 형식구조인 도상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커튼 이미지를 비롯한 층위구조로 자리잡고 있는 이미지 기호들의 내용, 형태, 색채 등을 포함한 자질들을 통사부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작품의 심리적, 정신적 구조를 함의하고 있는 소통의 부재, 결핍과 결여, 애매성 등의 개념을 의미부로 해석함으로써 가상실재의 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타 연구논문들과 차별성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로써 수용자의 관점에서도 다양한 유기적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부재 이미지에 대한 보다 자유롭고 심층적인 검증과 분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이 된다. 특히 부재의 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선행연구작가인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흐리게 처리한 선행연구 작품 이미지를 통하여 본인의 연구작품 속의 커튼 이미지가 시사하는 부재의 이미지와 유사한 측면이 있음을 파악해 볼 수 있었으며 앨리스 달턴 브라운의 커튼 이미지를 통하여 현대인들의 허위의식과 덧없음에 대한 욕망구조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고가 제기하는 부재 이미지를 통하여 포스트모더니즘에 입각한 정보의 홍수와 디지털시대로 대표되는 세상의 이치를 바꿔버린 차고 넘치고 버려지는 문화 예술의 범람 속에서 본인의 연구작업의 현 위치를 가늠해 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류에 이끌려가지 않는 진흙 속 진주처럼 단단하고 빛나는 한 명의 예술가로서 계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성장하고 동시대에 발맞춰가는 예술적 활동은 과연 무엇인지를 심도 있게 사유하는 계기가 되었다. 주제어: 부재, 존재, 욕망, 결여, 결핍, 모호함, 애매성

      •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재'의 양상 연구

        장희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thesis analyzed the aspects of ‘absence’ in Choi Seung-ja’s Poems and purposed for th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absence’ in poems. The absence in this study i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of forsakenness, especially on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written by Roland Barthes. In other words, the Aspects of ‘Absence’ in Choi Seung-ja’s Poems is analyzed out the internalization of the orphan consciousness as self-abandoned, the absence of family, and the absence of constant forsaken lovers. Ego in Choi Seung-ja’s Poems denies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has no one to rely on because of the self-abandoned with internalization of the orphan consciousness. The existence of self-abandoned brings the self-corrupted and contaminated, experiencing a series of death with the soullessness.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paradoxical psychological organization, regarded as self-unloved. This means that the hidden side of the orphan consciousness hides the desire for the true love. This paradox links the birth of Ego with a dark sadness, makes the organism of the Aspects of ‘Absence’. The internalization of the orphan consciousness by the denied relationship with parents brings consequentially the absence of family. The image of denied parents is expressed as the unknown-father and the barren mother. The father in Choi Seung-ja’s Poems reigns over and strongly restricts the Ego, but actually is the far-unknown, invisible. The mother is regarded as the spot to come back, but actually remained as the place of barren. Also the home being closed, empty, broken symbols as the absence of the family. Ego in Choi Seung-ja’s Poems wants to get out of the situation of the orphan consciousness through lovers. but she constantly experiences the forsakenness by repeated separation with lovers. The absence of lovers is expressed as the conflicting movement with stopped-spaces by the protensive of agony. The ‘memory’ is strongly motivated as the regeneration of the absence of lovers, and triggered the endless waiting for absent lovers. 이 연구는 최승자 시에서 부재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부재는 롤랑 바르트의 사랑에 관한 담론, 특히 ‘버려짐’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될 것이다. 즉 최승자 시에 드러난 부재의 양상을 스스로 버림받은 자로 현존하는 고아의식의 내면화와 이로 인한 가족의 부재, 거듭되는 버려짐을 경험하게 하는 연인의 부재로 분석하고자 한다. 최승자 시의 자아는 부모와의 관계를 부정함으로써 고아의식을 내면화한 상태로 스스로 버림받아 기댈 곳 없는 자로 현존한다. 버림받은 자로서의 현존은 부패되고 오염된 자신, 비천함 속에서 거듭되는 죽음을 경험하는 자신을 불러들인다. 그런데 여기에는 스스로를 사랑받지 못한 자로 여기는 역설적 심리 구조가 도사리고 있다. 즉 고아의식의 이면에는 온전한 사랑을 갈구하는 열망이 숨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설이 자아의 탄생을 어둠과 슬픔에 결부시키고, 부재의 방식으로 구조화되는 현존을 낳는다. 부모와의 관계 부정으로 인한 고아의식의 내면화는 필연적으로 가족의 부재를 가져온다. 부정된 부모의 이미지는 미지의 아버지-불모의 어머니로 나타난다. 최승자 시에서 아버지는 자아 위에 군림하면서 속박하는 강력한 힘을 지닌 존재로 등장하지만 보이지 않는 먼 미지일 뿐이다. 그리고 어머니는 자아가 돌아가야 할 곳으로 여기지만 불모의 장소적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또한 닫히고 빈 채로 부서지는 집은 가족의 부재에 관한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최승자 시의 자아는 연인을 통해 심리적 고아의 상태를 벗어나고자 한다. 그러나 연인은 떠남으로써 부재하므로 거듭되는 버려짐을 경험해야만 한다. 연인의 부재는 괴로움의 깊이만큼 확장되는 시간과 기다림으로 정지하는 공간의 상반된 운동성을 보인다. 여기에서 ‘기억’은 연인의 부재를 재생시키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동하는데, 이는 부재하는 연인에 대한 끊임없는 기다림을 촉발시킨다. 최승자 시의 자아는 고아의식의 내면화를 통해 부재와의 대면 속에 갇힌 존재이다. 스스로 버림받은 자아는 온전한 사랑을 찾아서 끊임없는 방황을 한다. 최승자 시에서 부재는 사랑을 갈구하는 자의 언어이다. 사랑받지 못한 자가 일궈내는 시적 언어는 생생하게 아프다.

      • 부권부재 상황의 소설 연구 : 1980년대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이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문학사에서 50년대 전후소설의 등장을 시작으로 전쟁을 소재로 한 소설은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문학이 한 사회의 정신적 모습을 명백히 보여주는 예술임을 증명하듯이 작가들은 사회적 정황이라는 타의적 강압에 의해 자전적 요소가 바탕이 된 작품을 발표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부권부재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 제공은 한국전쟁이란 한국 역사의 특수성에서 기인한다. 80년대에 전쟁과 분단을 배경, 또는 작품의 원인으로 한 작품 중에서 전후소설적 성향을 지닌 성장소설이 한국 문단에 등장하게 되는데, 여기서 부권부재 상황은 단순한 가치 질서의 붕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전쟁과 분단이란 사회적 상황이 개인사와 접목됨으로써 평범한 인물군의 생활사가 역사와 맞물려 있음을 증명하는 예이다. 그 동안 다수의 성장소설이 있었고,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80년대성장소설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아버지의 부재를 의미있게 다룬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부권부재란 상황을 단순히 소설의 배경으로 밖에 해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비교대상이 되는 김주영의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오정희의 「유년의 뜰」은 소설 작중에 ‘부권부재’라는 공통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아버지의 상실을 의미하지 않고 있으며, 전쟁과 이데올로기에 관한 문학적인 성격의 우회적인 방법이라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80년대 부권부재 성장소설에서 아버지의 모습은 두 가지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다. 첫째, 모성의 변질로 인한 대리 부권의 등장과 둘째, 부재하는 아버지를 대신한 미성년 장자의 가짜 아버지 행세가 그것이다. 대리부권의 등장은 결국 부권부재 시 발생하게 되는 경제적, 정신적 결핍에서 기인한 것이며, 이것은 80년대 부권부재 성장소설을 발표한 작가들에게 있어서 실제 체험에서 우러나온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비교대상이 된 작품에서 작품의 서술이 유소년 화자에 의해 진행되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전쟁 미체험 작가들의 작품이 아닌 전쟁을 체험한 작가군 중에서도 유년기에 전쟁을 체험한 작가의 경험이 작품 안에 유소년 화자의 입을 통해 재현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소년 시점은 성장소설의 성장 의미를 보다 리얼하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쟁체험이라는 역사적 상황을 기존에 연구되었던 다른 소설들과 차별성을 두고서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배제한 채, 순수문학적인 요소를 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0년대 부권부재 소설의 특징은 부권부재로 말미암은 대리부권의 등장과 모권의 확대, 실추된 순수 모성, 남성의 폭력성, 유년의 상처 등이 단순히 성장소설의 소재라기 보다는 개인사가 문학 작품 안에서 형상화 작업을 통해 사회, 역사적 의미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획득할 수 있다. Novels on the Korean War have appeared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continuously to begin with the post-war novels in 1950's. Under the situations of war and national partition, literary works have centered on ideology just like a saying goes, Literature is the mirror of reality. The social situation―the last divided country on earth―has been a maternity room for the growth novel, which has the same tendency with post-war novels. The absence of paternity, commonly revealed, by means of staging boys in their childhood, in this study's comparative objects―such as Kim Ju-yeong's『The fishing boat does not bruise the reed』, Kim Won-il's『A house with deep grounds』, Park Wan-seo's「Mother's stake」, and O Jeong-hi's「The courtyard of childhood」―means the collapse of value system, and emphasizes 'the enforcement of realization of brutal picture of reality' as the nature of world. And it also means Korean modern history has not permitted boys to grow favorably and to socialize naturally. The inscrutable impacts and hurts, which the War and the absence of paternity imposed on childhood, therefore, have been objectified by a child narrator in those novels and acquired the post-political and -ideological achievements. If we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absence of paternity' in the Korean history of literary works from the aspects of historical, social, and realistic, we can understand that the social situation―the partition―gave shape to the absence of paternity in literary works. The absence of paternity, in the aforementioned four novels, caused to bear another paternity, that is, 'the appearance of proxy paternity'. The pattern of proxy paternity can be classified into two: First, it causes the changes of an unadulterated motherhood. The maternity in a deformed family system becomes to give up the unadulterated motherhood in order to make up the economical aspect of paternity. As a result, she is degraded into a counterfeit mother who lost the motherhood for her children, who are in their childhood. However, the negative aspect of maternity―the counterfeit mother―is one of the negative phases that derived from the absence of paternity, and at the conclusion of the novels, it has gained a footing as a true motherhood, which she was impossible not to choose in the aspects of the times, for her children who became to pass the growing period of childhood. Second, a nonage firstborn son shapes into fatherhood. In this case, being under age, the firstborn son, who is in charge of proxy paternity, reveals rather incomplete looks in the aspects of economy. The nonage proxy patriarch provides with the negative aspects of violence owing to his acting for the paternal rights. Sometimes, it results a real refusal of paternal rights, and the biggest problem of the absence of paternal rights is 'want' itself. This 'want' is not general lack but economic and mental lack in detail. However, this double tendentious want does not work as an independent meaning in novels, but is bound into causation. Especially, the mental want makes the childhood hero acquire his identity and sociality by reviewing the existence of father. In the four novels, the existence of father is presented by ⑴ locating father and ⑵ refusing father. If mother is real existence, father is nonexistence. Whereas the existence of mother pictures the fetters of livelihood of commoners as a representative of a realistic self, a father makes infer even the tragic history of partition as a symbol of an idealistic self. If we give consideration to the locating of father in the absence of father right and the exploring of world around, the living conditions of those who had to live in those years of darkness make the war-experienced generation review the suffering of growth and the war-unexperienced one retrospect on their living in the midst of historical fetters. Since the symbol in the growth novel is complementary to 'the growth', there seems to be the symbols of places in which the hero carries on his life, of backgrounds, and of abstract and concrete, which is pertinent to the growth of incomplete self of childhood hero in face of the War and the absence of a father. The appearance of proxy father rights derived from the absence of paternity, extension of mother rights, deterioration of unadulterated motherhood, violence of males, and hurts in childhood are not a simple material of the growth novel but the acquisition of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 of a personal history through its being shaped into literary works. The character of the paternity absence novels in 1980s was not in the formalization of some elements such as the social aspect, custom, humaneness of the times, as materials, but in its being closeness to the true human testimony. The living and society of those days are worthwhile in that it was not focused on the things had formalized already in depending on historical materials but focused on the far realistic human living.

      • 線型變斷面部材의 非線型解析에 關한 硏究

        김연홍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807

        變斷面部材는 아름다움과 또는 經濟性을 考慮하여 構造物에 자주 使用되고 있다. 이러한 變斷面部材는 構造物의 Cantilever 要所, 端部헌치 및 送電塔等에서 많이 볼 수 있다. 線型變斷面部材에는 部材의 特性인 傾斜度라는 새로운 變敎가 介入되므로 보-기둥 徵分方程式을 풀어 線型變斷面部材의 非線型剛性 매트릭스의 要素들을 一般化한 形熊로 誘導하기에는 本質的으로 어렵다. 一般的으로 變斷面部材를 包含하는 構造物의 解析은 變斷面部材를 여러 要素로 나누어 有限要素法. 有限差分法 또는 階段모양의 均一 斷面要素로 간주해 近似解를 얻고 있다. 이러한 方法들의 고질적인 問題는 線型 또는 非線型으로 解析할 경우 "部材를 몇 個의 要素로 나누어야 하나?"를 決定하는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變斷面部材中에서 길이에 따라 線型的으로 直徑만 變하는 圖形斷面과 높이만 變하는 短形斷面의 非線型解析을다루었다. 變斷面部材의 非線型모멘트方程式을 一般化하기 위하여 材端모멘트들을 次元解析하여 無次元化 하였고 이것들은 無次元形態의 形狀變數와 Euler 荷重에 對한 作用荷重의 比의 函數로 表現하였다. 本 論文에서 誘導한 方法은 構造物을 非線型解析하는데 計算의 正確性과 效果約인 面을 모두 成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apered members are often used in todays engineering structures for aesthetic and/or economical reasons. Tapered members can be found in cantilevered elements of structure, end hauncned member and electrical line supporting structures. A new parameter, the taper of the member, is introduced in the sectional properties as a character of the linearly tapered member. It is intrinsically difficult to derive the 'closed-form' of elements of the nonlinear stiffness matrix of the tapered member by solving the differential equation of beam-column displacement. Recently, the spacial structures containing tapered members have been analyzed by approximate solution, using finite element method,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consider the stepped prismatie element. A pervasive problem of these method is to estimate "How many elements?' are required in the linear and non-liner analysis. The sections under consideration in this paper is linear elastic plane beam-column having circular s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r height is varied along the member length only. To generalized nonlinear analysis of the structures with tapered member, the dimensionless form of moments are treated as function of the nondimensional taper parameter and the nondimensional axial force parameter which is the ratio of axial force to the Euler load. Significant improvements of accuracy and efficiency of nonlinear analysis are achived with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paper.

      • 한·일 목조건축 문화재의 부재수리방법 비교연구

        문정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It is crucial to preserve and transmit the cultural assets to our next generation. Since cultural assets are likely to get damaged by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surrounding them, it is also important to take a countermeasure regarding to the damage. In general, repair and reinforcement are used in preserving cultural assets. Repair is done immediate measure when cultural assets are damaged, whereas reinforcement is provided for making cultural assets safer using structures when structural problem is occurred.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is managed in these respects. In fact, however, there are few specific standard and material with reference to repair. Accordingly,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 for transmitting cultural assets with maintenance of original elements as long as possible by comparing the repair method of Japan which has similar climate and reason of damage with Korea and investigating the principle and standard when repairing.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a better way to repair if inconsistent repair method is found as compared to the above principle of preservation with practical method of repair. Among previous reports, wooden architecture repair report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from major constructional elements to dissembling repair with focus on wooden construction(pillar and main structure) and roof construction. In chapter two,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national representative charter as a standard of preserving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assets and selected major factors to set the standard for comparing methods of repair cases after examining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in both Korea and Japan. In chapter three, while steel reinforcement, its type and feature were investigated among practical cases of repair, repair method was extracted by dividing into metal connectors and strengthening metal fittings for both Korea and Japan. In chapter four, repair method using Dongbari connection was reviewed. After examining basic method, type, and feature of Dongbari connection, this chapter compared with practical cases of Korea and Japan. Dongbari connection was divided to examine vertical, horizontal, and decorating member. In chapter five, case study for synthetic resin was conducted by illustrating its type and feature. In addition, supplementing member, adhesive, and structural reinforcing synthetic resin were classified to examine as compared to Korea with Japan regarding to cases of practical repair. 문화재는 우리가 후세에 얼마나 잘 보존(保存)하여 전달하는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문화재는 인공적, 자연적인 피해를 입게 되는데, 이에 따른 조치가 중요하다. 문화재를 보존하여 유지하는 데에는 주로 수리(修理), 보강(補强)을 사용한다. 수리는 문화재에 훼손이 발생하였을 때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고, 보강은 구조적인 문제가 생겼을 경우 구조물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면에서 문화재 보존이 행해진다. 하지만 실제로 수리시 참고할 수 있는 세세한 기준, 재료 등에 대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리시 기준이 되는 원칙, 기준들을 살펴보고, 한국과 기후 조건, 손상 원인 등이 비슷한 일본과의 수리 방법 비교를 통해 원래부재를 최대한 오래 유지하여 후세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또한 위의 보존 원칙들과 비교하여 실제로 행해진 수리 방법들이 잘 행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위배되는 수리 방법이 있다면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 대상은 지금까지 나온 보고서 중 목조건축 수리보고서를 선정했다. 또한 주요 가구부재까지 해체 수리한 것을 선별하였으며, 주로 목공사(기둥, 주요 구조체), 지붕가구 공사를 중심으로 조사했다. 2장은 목조건축 문화재의 보존 기준 원칙이 되는 세계 대표 헌장을 살펴보고, 한·일 보존 원칙을 조사 후 추후에 수리 방법 실제 사례 비교시 기준으로 삼을 주요 사항들을 선정했다. 3장은 실제 수리 사례 중 우선 철물보강를 보았으며,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고 한·일 접합철물과 구조보강 철물로 나누어 수리 방법을 파악했다. 4장은 동바리이음을 사용한 수리 방법을 알아보았다. 동바리이음의 기본적인 방법과 종류, 특징을 알아본 후 한국과 일본 실제 사례를 비교했다. 동바리이음은 수직부재, 수평부재, 치장재로 나누어 조사했다. 5장은 합성수지의 사례를 조사하였는데, 많이 사용되는 종류를 설명하고, 특징을 서술한다. 또한 한·일 실제 수리 사례를 비교할 때는 부재보충용, 접착용, 구조보강용 합성수지로 나눠서 살펴본다.

      • 부재(不在)의 시각이 담긴 몸의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수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부재(不在)의 시각이 담긴 몸의 표현 연구’라는 주제로 지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제작하고 있는 《젖은 자》 시리즈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내면과 외부세계의 경계로서 몸을 바라보고, 부재가 깃든 상황에 위치하는 몸의 감각을 탐구하고 있다. 이러한 몸-내부-외부로 구성된 삼차원의 시공간적 경험을 ‘정경교융(情景交融)’의 미학적 원리를 통해 이차원의 이미지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본인의 작업은 우연히 땅에 떨어진 새를 발견한 뒤, 떠오르는 이전의 유사한 경험을 살펴보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부재와 상실의 경험이 깃든 내면의 기억을 추적하면서 외부에서 마주한 대상들을 통해 환기되는 감정과 의식 흐름을 시각화하고 있다. 제2장은 부재의 의미와 시각을 밝히고 부재의 경험을 통한 본인의 정서와 태도를 살핀다. 유년기 시절부터 직관적으로 포착된 소멸의 현상을 작업의 계기가 된 〈이름 없는 새〉를 통해 관조한다. 제3장은 부재의 시각이 담긴 몸의 유형을 서술하였다. 부재의 기억이 축적된 몸으로 무기력한 정서 속에서 변화되는 의식의 흐름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부재가 깃든 몸과 맞닿은 주변 대상을 멈춰진 정물(靜物)이 아닌 ‘정이 깃든 정물(情物)’로 나타내 본다. 주관적 마음인 정(情)과 외부세계의 경물(景物)이 합일된 정경교융(情景交融)의 상태를 구현한다. 제4장은 공시적(共時的) 순간을 통해 소멸과 상실의 기억이 맞닿아 있는 내면을 살펴보고, 색의 중첩으로 시각화된 표현방법을 서술한다. 관찰된 대상의 통시적 흐름에 따라 배열하여 미묘한 움직임을 표현한다. 본 작품연구를 통해 부재에 대한 본인의 시각을 살펴보고 부재의 몸에 가지는 의의를 탐구한다. 지금까지의 작업을 정리하고 앞으로 작업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성장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is paper has examined a series of 《Wet Person》 which have been created from 2015 to 2020, with the theme of ‘A Study on Expression of Body with Perspective of Absence’. It has explored senses of body positioned at a circumstance in which absence is nested, regarding body as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world. It also investigates how to embody the three-dimensional space-time experiences consisting of body-inside-outside into two-dimensional images through the aesthetic principle of 'Jeonggyeonggyoyung(情景交融)'. The artist's work begins with checking a previous similar experience evoked, after accidently discovering a bird fallen to the ground. It visualizes both emotional and conscious flows evoked from objects externally confronted, in tracking internal memories in which experiences of absence and loss are nested. Chapter 2 elucidates the meaning and perspective of absence and examines the artist's emotions and attitudes through experiences of absence. It contemplates the phenomenon of extinction which has been intuitively captured since the childhood through 〈A Nameless Bird〉, a motive of the work. Chapter 3 describes the types of body with the perspective of absence. It examines the flow of consciousness which is modified in helpless emotions with the body in which memories of absences are accumulated. It expresses objects around us, which contact with the body in which absence is nested, as 'still life in which sentiment is nested', rather than just a stationary thing. It thus embodies the state of Jeonggyeonggyoyung(情景交融) in which the sentiment, subjective mind, and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the external world are unified. Chapter 4 examines the inside in which memories of extinction and absence are contacted via a spatial-temporal moment and describes expressions visualized with the overlap of colors. It expresses subtle motions by arranging objects observ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This study on the works investigates the artist's view on absence and explores the meaning of body with absence. It would be used as an opportunity to arrange previous works, seek out a new orientation of future works and grow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