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허철성 전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혼인에 관하여 법률혼주의를 취하고 있으며, 혼인은 가족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이다. 쌍방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행위를 결혼 또는 통혼이라고도 한다. 민법 제826조 제1항 본문은 ‘부부는 동거하며 서로 부양하고 협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무를 바탕으로, 혼인당사자 사이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부부공동생활을 유지·존속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성적 충실의무를 진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작년 한해 혼인 건수는 30만 2천 8백건이며, 이혼 건수는 10만 9천 2백 건이다. 또한 연구기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한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간통한 경험이 있는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성 응답자 중 36.9%, 여성 응답자 중 6.9%가 ‘결혼 후 간통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 설문에 응한 응답자 본인이 결혼하기 이전에 배우자가 있는 사람과 성관계를 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남성은 20%, 여성은 11.4%로 나타났다. 연구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여성은 혼인 전에 기혼 남성과 성관계를 가진 경우가 더 많았고, 남성의 경우 혼인 중에 간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혼인 후 배우자 일방이 배우자 이외의 여자 또는 남자와 부정한 관계를 갖는 경우, 또는 제3자가 상대방이 배우자 있는 사람임을 알면서도 부정행위에 가담하여 부부공동생활을 침해하거나 유지를 방해함으로써 배우자의 권리를 침해하였다면 배우자 일방은 성적 충실의무 위반에 따른 이혼사유가 되며, 제3자는 부정한 행위 가담으로 인하여 혼인관계가 침해되었거나 그 유지를 방해하여 상대배우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가하였다면 행위는 불법행위에 해당되고 그 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무를 진다. 이러한 배우자의 일방의 부정행위는 비도덕적인 행위이며, 혼인을 무효 또는 파탄시키는 악한 행위이다. 국가에서는 이러한 유책배우자의 행위에 대하여 성 풍속에 관한 죄를 규정하고 있는 형법 제241조를 통한 형벌적 제재와 혼인파탄의 책임에 대한 재산분할과 위자료를 통하여 민사적 제재를 유지해 왔으나, 2015년 2월 26일 헌법재판소의 간통죄 위헌결정으로 더 이상 간통죄에 대한 형벌적 제재를 못하게 되었다. 간통죄 폐지 전 피해배우자는 이혼과 함께 재산분할 및 정신적 손해배상을 구한 경우로써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보다는 재산분할에 보조적인 역할로 실질적인 정신적 고통에 대한 피해배상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배우자 일방과 제3자의 부정행위를 원인으로 한 가정파탄 또는 가족해체의 책임과 피해배우자의 정신적 고통에 따른 정신적 피해배상에 대하여 실정법상 근거와 학설 및 판례를 검토하였다. 부정행위에 대한 형벌적 제재를 못하는 현실에서 부정행위에 가담한 유책배우자와 제3자에게 구한 정신적 배상은 피해배우자에게 심중한 의미가 부여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민법은 정신적 손해배상의 산정방법이나 산정 시 고려해야 할 요인에 관하여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있으며, 법원 역시 여러 제반 사정을 어떻게 참작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는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이처럼 정신적 손해배상 산정이 법관의 자유재량에 의해 산정됨은 법관 또는 법원에 따라 그 배상액에 큰 편차가 나타난다. 따라서 유책배우자는 물론이고 제3자에 대한 위자료의 청구를 통하여 피해배우자의 가정파탄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위로하고 더 나아가 혼인해체 이후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더하여 위자료의 손해전보적 기능, 제재적 기능, 억제적 기능 등을 고려하여 위자료의 현실화를 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유책배우자와 제3자가 혼인파탄에 끼친 영향도 다르며, 배우자의 의무와 역할, 유책배우자와 제3자에 대한 피해배우자마다 정신적 고통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유책배우자와 제3자를 공동불법행위자로 연대책임을 부담시킬 것이 아니라 각각 배상금액을 청구하거나, 정신적 손해배상의 청구금액 보다 높게 인정해 줌으로써 부부간 성적 충실의무위반행위에 대하여 민사법상 책임을 중하게 부담시켜 혼인관계가 유지되는 동안 부부간 성적 충실의무를 지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부부간 부정행위에 의한 정신적 손해배상에 대하여 학계에서나 법원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기존의 틀이 아닌 새로운 접근의 시도와 구체적인 제도적 보완에 대하여 많은 논의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배우자 부양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미 비교 종단연구

        김준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제한을 가진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를 부양시점에 따라 배우자 부양역할 변화 유형을 배우자 부양 역할 유지 집단, 배우자 부양 역할 전이 집단, 배우자 부양 역할 상실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들 간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나라의 배우자 부양자의 역할 변화 유형에 따른 삶의 질의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한국과 미국의 배우자 부양 역할변화 유형에 따라 성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2006년(1차)도와 2008년(2차)도에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자료(Korean Longitudial Study of Aging: KLoSA)와 미국의 Wisconsin 대학교에서 조사한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NSFH)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의 2008년 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응답한 8,688명과 미국의 1992~1994 년 2차년도 NSFH에 응답한 10,005명 중에서, 적절하지 않은 대상자를 제외하고 각 175명과 540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인은 삶의 질의 하위요인으로 신체적 측면(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상태 만족도), 심리적 측면(행복감, 우울), 사회적 측면(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경제적 측면(경제상태 만족도)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각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한국과 미국의 배우자 부양 역할 변화 유형 간 삶의 질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배우자 부양 역할 변화유형 별 삶의 질 성별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역할 변화 유형 간 삶의 질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배우자 부양 역할 변화 유형 간삶의 질 차이는 삶의 질의 그 어떤 하위요인(신체적 측면, 심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경제적 측면)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한국과 미국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역할 변화 유형 간 삶의 질 수 준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하위요인에서 미국 배우자 부양자의 삶의 질이 한국 배우자 부양자의 삶의 질보다 평균이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역할 변화 유형 별 삶의 질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 배우자 부양 역할 유지 집단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배우자 부양 역할 전이 집단은 신체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의 배우자 관계 만족도에서, 배우자 부양 역할 상실 집단은 자녀관계 만족도 에서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배우자 부양 역할 유지집단은 우울에서만 성별차이가 나타났으며, 배우자 부양 역할 전이 집단과 배우자 부양 역할 상실 집단에서는 삶의 질에 성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配偶者의 相續權 强化에 관한 硏究 : 現 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을 中心으로

        박준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Historically, the families following the patriarchal extended family system based their economic community on bloodlines, therefore, the inheritance of property was important for the relocation of property to the future generation. The inheritance system of a patriarchal culture such as this allowed little inheritance rights for the spouse because the distribution of property passed from father to the first son with the intentions of supporting the whole family. The existing inheritance system, which is based on this type of culture, cannot be viewed as absolutely wrong by modern opinion. However, as society changes, the essence and purpose of the inheritance system should be modified and revised to accommodate the changes in society and in systems of law. In modern society, family structure has evolved from the traditional extended family system to the nuclear family system, where the husband and wife are equal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rights for gender egalitarianism, which also allows the improvement of the rights and status of women in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settlement of property within the family between the couple and support of the coheirs may come to represent the inheritance system of modern society. However, under the spouse inheritance system of the current law, there is no opportunity for distribution of the couple’s property, as well the shares of statutory inheritance of the spouse decrease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which disallows the purpose of the inheritance system to be met, therefore, reinforcing the need to strengthen the inheritance rights of spouses. Problems are created when, under the inheritance of the current civil law, the property built up by the predecessor and his spouse during their marriage is not able to be settled and because, in the face of rapid growth of the senior population, the surviving spouse’s share of inheritance, which is dependant on the number of coheirs, is unable to support the spouse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Problems like these were recognized and the existing theories and the theory of legislation allowed inheritance rights of the spouse to be strengthened by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of the current law system. Compared to the current law, increasing the spouse’ share of the inheritance or developing an affiliation with the matrimonial property system reinforce the spousal rights to inherit and are suggested measures that allow the goal of property settlement and surviving spousal support to be accomplished.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appearance of a famil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couple’s property may be as diverse as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so simply increasing the spouse’ share of the inheritance may not actually be an effective measure in protecting the surviving spouse. In conclusion,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the claim for division of property before divorce’ and ‘the lien of spouse system’ seems very desirable.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the above two systems i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inheritance system of spouses, which are property settlement and support of the surviving spouse, and this allows for many of the problems present in each system to be cleared. Also, acknowledging an increase in the share of the surviving spouse’ inheritance by 50% and introducing matrimonial home seems like the correct measure under the current law. This will allow the surviving spouse to attend to the role of being the support of the family.

      • 배우자에 대한 가정내 역할기대·수행평가의 차이가 부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윤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여성의 고등교육의 보편화와 사회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여성들 자신의 의식변화뿐 아니라 여성들에 대한 사회전반의 의식 그리고 남성들의 의식에도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고, 가정내에도 이러한 일련의 변화과정이 적용되어 남편과 부인도 가정에서 수행해야 할 각자의 역할을 새로이 인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부부는 그 변화의 속도와 정도를 서로 다르게 인지함으로써,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배우자의 실제 역할수행 평가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차이는 가정생활에서의 불만족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불일치가 심화될수록 부부관계와 가정생활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부부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수행평가의 차이가 부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부부가 서로 상대방에 대한 역할한계를 분명히 함으로써 역할기대와 수행평가의 차이를 줄이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결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역할수행평가 및 부부의 스트레스인지도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이들은 각각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변인, 심리적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평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역할수행평가의 차이는 부부의 스트레스와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부인의 스트레스와 남편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본다. 이상의 연구를 위하여 성역할 태도, 의사소통만족도,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 배우자의 역할수행평가, 스트레스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를 구성하고 예비 조사를 통하여 수정, 보완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거주의 부부를 선정하여 1995년 1월 23일부터 2월 20일 사이에 조사하였으며 318쌍(636명)이 최종분석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 α계수, PC(Principle Component)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한 뒤 One-way ANOVA, t-test를 구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도 검증을 하였고, paired t-test와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SPSS/PC+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는 부부 모두 매우 높은 편이었으며, 배우자에 대한 역할수행평가는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부인의 스트레스와 남편의 스트레스는 모두 심각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남편에 대한 역할기대는 부인의 취업여부, 가정생활주기, 사회경제적 지위, 거주형태, 성역할태도,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남편의 부인에 대한 역할기대는 의사소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인의 남편에 대한 역할수행평가는 부인의 취업여부, 가정생활주기, 사회경제적 지위,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편의 부인에 대한 역할수행평가는 의사소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부인의 스트레스 인지도는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편의 스트레스 인지도는 거주형태와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인이 인지한 남편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평가의 차이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가정생활주기,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편이 인지한 부인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평가의 차이 역시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가정생활주기, 성역할태도, 의사소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수행평가의 차이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남편과 부인 모두 경제활동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수행평가의 차이가 클수록 스트레스 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인의 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과의 의사소통 만족도였으며, 남편의 스트레스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인에 대한 배우자역할기대·수행평가의 차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평가의 차이를 줄이고, 그에 따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부의 가정내 역할에 대한 인식의 합의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식의 합의는 부부간의 대화를 통해 가능하므로, 이를 위해서 부부는 우선 여가시간을 공유하고, 가사노동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등의 부부만의 여유있는 시간을 갖도록 노력하고, 적극적으로는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의사소통기법과 자신과 상대의 재발견을 통해 긍정적인 대화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수행평가의 차이가 부부 스트레스에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핵가족화와 취업여성의 증가로 인해 가정내 부부간의 역할구조의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대화를 통해 부부간 역할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vide with the basic reference to enhance the quality of married life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he stress of married couple which is caused by the ga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on their spouse and cla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es of wife and husband. To structure the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to summarize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ree major variables; married couple's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on their spouse and their perceptions of stresses from their married life, and to find out its 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variable as socio-demographical and psycological backgrounds are varied. Second, to investigate any significant ga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and to test their significance of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 how does the ga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have effect on the stresses of married couple? Fourth, which variables do most significantly have effect on married couple's stresses, and how much do they influence? To answer these questions empirically, the 318 sample couples (equivalent 636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married couples living in Seoul. The data are summarized and categorized by the Cronbach α, factor analysis with principal compone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PC+ is used to perform these analyses. The major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role expectation of married couple on their spouse is very high, and the mean of role evaluation is relatively high even though lower than that of the role expectation. The mean of couple's stresses are not higher than expected. Wife's role expectation on husban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ife's job status (hereinafter job), couple's position in family life cycle (hereinafter cycle), their socio-economic status, pattern of housing, sex role attitudes, satisfactions level in couple's communication (hereinafter comm-satisfaction), whereas husband's according to only comm-satisfaction. Wife's role evaluation on husband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cycle, socio-economic status, comm-satisfaction, while husband's according to comm-satisfaction. The perception of stresses of wife is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comm-satisfaction while that of husband is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housing pattern and comm-satisfaction. Second, role expectation and evaluation significantly differs in every category and the gap between wife's role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husban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ycle and comm-satisfaction, whereas the gap between husband's expec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sex role attitude as well as the above two background variables. Third, wife's stres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gap between her role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her husband in every category excluding role of economic activities, and so is husband's. Fourth, the most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 on wife's stress is comm-satisfaction and the most effective variable on husband's stress is his ga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on his wif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achieve couple's consensus on the role of their spouse in their family life through continous and sincere communications if they want to minimize couple's ga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evaluation on their spouse and accordingly to diminish the stresses derived from the difference.

      •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허영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범죄 프로파일링 기법이 한국에 도입된 이후 범죄자의 현장행동에 근거한 유형분류가 시도되고 있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현장은 대부분 우연한 사고로 인한 사망으로 위장되어 있기 때문에 살인범죄 관점보다는 자연스러운 사망으로 단정하기 쉽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는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범죄임으로 타 살인범죄와 달리 범죄현장보다는 범행단계별로 나타나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배우자 보험살인 사례에서 나타나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 특성에 근거하여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의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에게 적합한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의 일반적 특성과 남성범죄자와 여성범죄자의 범행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종단연구를 통하여 범행특성과 범죄자 유형의 변화추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2017년 한국에서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로 적발된 51사건에 대한 언론보도, 수사기관 보도자료, 형사판결문 등을 수집하여 108개 특성변인에 대한 동질성분석(HOMALS)과 추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는 범행동기 및 범행단계별 특성에 따라 외도형, 포식형, 빈곤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외도형 범죄자는 주로 내연관계 공범과 함께 범행 후 뺑소니 교통사고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포식형 범죄자는 사회적 약자인 피해자를 물색 후 위장혼인과 동시에 보험에 가입하고 독극물로 살해 후 사고사로 위장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빈곤형 범죄자는 생계형 궁핍에 좌절을 느껴 배우자와 자녀들을 연속살인하는 범행패턴이 관찰되었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자들에게는 불안정한 혼인상태, 외도행위, 피해자 물색, 경제적 궁핍, 가정폭력 등이 복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남성범죄자는 주로 단독범에 의한 빈곤탈피 목적의 범행이 많았으며, 여성범죄자는 주로 내연관계 공범에 의한 외도유지 목적의 범행이 많았다. 범행수법 및 범죄자 유형에 대한 변화추세 분석결과, CCTV 보급에 따라 노출된 장소에서의 범행이 감소하였으며, 건물내부에서의 범행은 증가추세에 있음이 관찰되었다. 범죄자 유형 중 외도형 범죄자는 감소하였고, 포식형 범죄자는 증가 추세에 있음이 관찰되었다.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예방을 위하여 증가추세에 있는 포식형 범죄자의 위험성에 주목하여야 한다. 포식형 범죄자는 사냥하듯이 피해자를 물색하여 혼인관계를 맺은 후 보험금과 재산을 함께 노리고 살해한다. 향후 포식형 범죄자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피해자 보호를 위한 선제적인 예방대책 수립 및 제도개선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배우자 보험살인 범죄, 범죄 프로파일링, 유형분류, 동질성분석(HOMALS), 추세분석 Since the introduction of criminal profiling techniques in Korea,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criminal behavior at the crime scene has been attempted. The murder crime scene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was often mistaken for a natural death rather than murder because it was disguised as accidental death. As the spousal insurance related murder is a planned and long-term crime unlike other murder,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at the crime stage rather than at the crime scen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ied the types of homicide offend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motive and crime stage in the case of spousal insurance homic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 that is suitable for Korean murder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Secondly, it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pousal insurance related murder and the crime difference between male criminals and female criminals. Thirdly, it is to analyze trends of characteristics of crimes and types of criminals through Longitudinal Study.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homogeneity analysis(HOMALS) and trend analysis on 108 characteristic variables after we’d collected media reports, investigative agency press releases and criminal judgment sentences of 51 cases accused of killing spouses in Korea from 2000 to 2017. As a result, Korean homicide criminals related to spousal insura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motive and crime stage characteristics: affair, predator, and poverty. In the affair type, the crime was disguised as a hit-and-run traffic accident and both of them having an affair were related to the crime. The predator type offender disguised the crime as an accident after the offender’d poisoned the victim. The victim was selected for the marriage and insurance application as the victim was socially weak. The offender from the poverty type killed both the spouse and children after frustrated from the financial difficulties for daily living. The spouse insurance related murderer showed unstable marital status, unfaithfulness, financial difficulties and domestic violence. Male offender mainly committed the crime to escape from poverty and he was the only offender. Female offender mostly committed the crime to keep the unfaithful relationship and there was accomplice to a crim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crime in the exposed places decreased with increased installation of CCTV and the crime in the building was increasing. Among the crime types, the predator type increased while the affair type decrease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risk of predator type increasing for the prevention of crime related to the spouse insurance. The perpetrator searches for the victim like hunting and kills the victim for the insurance death benefits and property after making a marital relationship. Further studies on predator type should be done and the preemptive pre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Key words: spouse insurance homicide offenses, criminal profiling, type classification, homogeneity analysis (HOMALS), trend analysis

      • 配偶者選擇過程과 結婚適應度間의 關係

        김혜선 淑明女子大學校 199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제과정과 합의과정으로 구성된 배우자선택과정이 결혼생활을 위한 전제과정이라는 가정하에, 교제과정 변인과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와 결혼적응도간의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세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교제과정 중의 상호작용이 합의정도에 영향을 주며 합의정도는 이후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서 본 연구는 매개변인을 구성하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척도와 종속변인을 구성하는 부인의 결혼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여 결혼지속년수가 만1년에서 만5년이내인 초혼의 기혼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결과해석 과정에서 실증적인 연구를 보완하고자 이혼한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제과정 변인,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결혼적응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다음 교제과정 변인과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간의 관계,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와 결혼적응도간의 관계, 그리고 교제과정 변인과 결혼적응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제과정 변인,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 결혼적응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 교제과정 변인 중 교제빈도는 한달에 1-9회 만남이 39.3%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10회 정도 만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제기간은 만1년이 42%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2년 4개월 정도 교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결정은 과반수(70.4%)가 상대방을 신뢰하고 가치관을 수용하며 여러 면에서 동질적이라고 느끼는 2, 3 단계에서 이루어졌다. 2.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8가지 하위영역에서의 합의정도도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는 개인적, 환경적 조건(성장배경, 결혼연령, 결혼유형, 교육수준) 중 결혼유형과 교육수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즉 중매결혼의 경우보다 연애결혼의 경우,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인 경우보다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가 높았다. 3. 결혼적응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4가지 하위영역 모두 높은 편이었다. 4.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제과정 변인은 교제 빈도로, 단순히 교제기간, 결혼결정단계 보다는 만나는 빈도가 상대방을 파악하고 결혼생활 영역에 대해 합의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하위영역별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제과정 변인은 교제빈도였으며, 교제기간은 성격 및 가치관 영역의 합의정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혼적응도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결혼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우자선택과정 중의 합의영역은 성격 및 가치관 영역, 여가생활 영역, 역할 영역, 친족관계 영역, 사회활동 및 교제 영역 순으로 결혼적응도의 총분산을 3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결혼적응도는 교제과정 변인 중 결혼결정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세 변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전체와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먼저 전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서로의 역할 및 가치관이 수용되는 단계에서 결혼을 결정할 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으며, 만나는 빈도가 높을수록 배우자 선택과정 중에 상대방을 파악하고 결혼생활에 대해 합의한 정도가 높으며, 그 결과 결혼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서로의 역할 및 가치관이 수용되는 단계에서 결혼을 결정할 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으며, 교제과정 중 만나는 빈도가 높을수록 8가지 결혼적응 영역에 대해 배우자선택과정 중 합의하는 정도가 높으며, 또한 교제기간이 길수록 상대방의 성격 및 가치관을 파악하는 정도가 높으나 이들 영역 중 성격 및 가치관 영역, 여가생활 영역, 역할 영역, 친족관계 영역, 사회활동 및 교제 영역에 대한 합의정도가 높을수록 결혼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가설 모형이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서 볼 때, 배우자선택과정은 단순히 낭만적 사랑만을 키워가는 과정이 아니라 결혼생활 적응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제가 되는 과정으로 이후 결혼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더우기 오늘날처럼 부부중심가족으로 변화되는 시점에서는 부부간의 애정과 친밀성이 부부 관계 및 가족을 지속시키는 근본적인 요인이 되므로 서로를 잘 파악하고 결혼 생활에 대해 충분히 합의한 후 결혼을 결정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성격 및 가치관은 인생의 지표로 결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20여년이나 상이한 생활환경에서 성장해온 남녀가 서로의 성격 및 가치관에 대한 파악없이 조화로운 결혼생활을 영위해가는데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충분히 파악한 상태에서 결혼을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로를 파악하며 이후 결혼생활 문제에 대해 합의할 수 있는 책임감있는 배우자선택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사회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며, 결혼생활에 대해서도 환상이 아니라 실제로서 느낄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ate selection process consisted of dating and courtship stage and mutual agreement stage is the precondition for marriage, aims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3 variables -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The emphasis is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s during the dating period and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Actu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The subjects were 600 wives, having passed 1-5 years after marriage without divorce experience. Scales were given to the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and marital adjustment for quantitative analysis. Interviews were also carried out with divorced women for the complementary purpose. Data analyses are as follows. In order to read the general trend of variables of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aken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and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and marital adjustment respectively. Path analysis was also taken for those 3 variables mentioned in advanc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above procedures. 1. The most frequent case in dating frequency was 1-9 times a month showing 39.3 % of the respondents, in dating length 42% had just 1 year. 2.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was generally rather high and 8 subareas were the same. Marriage typ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decisive factors in marital consensus level. A love marriage had higher consensus level than arranged marriage and college degree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3. Marital adjustment was also high in total and 4 subareas were the same. 4. Dating frequency had more influenced on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mutual agree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It also had effects on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but dating length only on the consensus level of personality and value subareas. 5. Consensus level in mate selection process had an effect on marital adjustment. Following factors were another effective ones which explained 38% of the whole; personality and values, leisure, attitude toward roles, in-law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6. Marital adjustment was effected by marriage decision stage among the variables of dating and courtship process. 7. We have examined cause-effect relationships of three variables devided into total and subareas. Marital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case of deciding the marriage when they understood each other's personality and values and attitude toward roles. High frequency of dating made better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each other. It improved marital adjustment to admit the other's role and value when having examined the subareas. More frequently they met, higher level of consensus they made longer period of dating helped to accept reasonally the partner's personality and values. The field of personality and value, leisure, attitude toward roles, in-law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had many influences on marital adjustment. Therefore we have found hypothetical model was partly supported. Above remarks suggest that the mate selection process is not the stage just for romantic affections, but the preliminary stage for the successful marital adjustment. We are in nuclear family system now. Then the importance of dyadic affections and intimacies have increased for maintaining family life. It seems significant to decide marriage after full consensus about marital life. Successful decision for marriage has to include understanding each other's personality and values because both have grown up in different living patterns longer than 20 years. Hereby we are in the need of efficient programs in order to accept marriage in the view of actual life.

      •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의 심리 사회적 지지 수용 경험

        고은실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와 사별한 중년 여성이 사별 전,후 그들이 겪은 심리 사회적 지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38∼62세에 해당하는 중년 여성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중 Moustakas의 경험적 현상학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109개의 의미 있는 진술, 49개의 구성된 의미와 14개의 주제 모음을 조직화하였으며, 범주 4개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들은 남편과 사별 전후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 어려움의 맥락을 '경제적 상황', ‘심리적 상태’, ‘사회적 관계’, ‘자신에 대한 이해’의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둘째,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들이 네가지 맥락을 통해 경험한 어려움은 ‘국가의 경제적 지원’, ‘가족, 친인척, 지인 등의 지원’, ‘기관의 지원’, ‘사회활동 참여’를 통해 심리 사회적 지지 수용을 경험 하였다. 셋째,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들이 사별 전후 겪는 맥락에 따른 차이가 ‘내가 버틸 수 있는 힘’, ‘사별의 재정의’, ‘미흡한 정부’로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중년 여성이 사별 전 후 겪는 맥락에 따라 심리 사회적 지지 수용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가 다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중년 여성이 배우자 사별 후 상실감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 참여자가 느끼는 스트레스가 신체화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연구자는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에 대한 심리 상담이나 치료 프로그램 조기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중년 여성이나 성인 자녀들을 위한 취업교육 및 알선, 어린 자녀를 위한 돌봄 지원, 주거지 마련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의의는 배우자 사별 중년 여성을 위한 복지지원 서비스, 심리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ploring how middle aged widow's accept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three middle-aged women aged 38∼62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collected data organized 131 meaningful statements, 118 composed meanings, and 35 subject collections using Moustakas empirical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the qualitative study, and derived 10 categories. They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women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spouse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before and after their loss. The context of the difficulties was studied in terms of ‘economic situation','psychological state','social relations',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iddle-aged widow’s through these four contexts experienced psychosocial support acceptances through 'national economic support', 'support from family, relatives, and acquaintances', ‘institution support’,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ir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text that middle-aged widow‘s go through before and after their loss have given meaning to 'the power that I can endure', 'redefinition of bereavement', and 'insufficient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psychosocial support acceptance experiences differs depending on the context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before and after bereavement.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ress felt by the participants appears as somatization when the middle-aged women do not sufficiently relieve the feeling of loss after their spouse's bereavement.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in psychological counseling or treatment programs for them. The necessity of economic support for middle-aged women or adult children, employment education and placement, care support for young children, and support for housing provision were also presented. This study, when you come down to it, may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welfare support service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s for middle-aged widows.

      •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문제 해결을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 : 부부관계의 지속과 단절을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나의 연인 혹은 배우자와 헤어져야 하는 문제에 당면하기도 한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하였다. 우리는 남자 혹은 여자로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연인이 되기도 하고, 부부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이유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처럼, 어떤 이유로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기도 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도 참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연인 혹은 부부로 살면서 헤어져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리게 됨을 인정해야 한다. 문학치료학의 배우자밀치기서사는 부부서사영역에 속하는 기초서사영역 가운데 하나로, 배우자 혹은 배우자에 비견할 수 있을 만한 상대와 관계의 지속을 파기하는 데 작동하는 서사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우자밀치기서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과정에 깊이 관계하는 서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헤어져야 함에도 헤어지지 못하는 것은 문제라고 보고 진행되었다. 즉 배우자밀치기서사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 것이다. 먼저 헤어져야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점검하는 일이 필요하여 2장에서는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비극성을 점검하였다.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비극성을 드러내는 작품으로는 영화 <해피엔드>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비극성은 연인 혹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가식과 분노의 문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헤어져야 하는 지점에서 헤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헤어져야 하는 지점에서 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배우자밀치기서사의 향상을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배우자밀치기서사의 향상을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의 구상은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작품을 살피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래서 선정된 것이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와 <호랑이 눈썹>이다.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는 특히 분리와 인내의 과정을 거치며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작품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헤어진 후에 헤어짐의 시간을 견디는 것이다. 여기서의 헤어짐은 후에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는 헤어짐이다. 물론 헤어지는 순간에는 다시 만날 것을 믿기 힘들지만, 헤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고 다시 만날 것을 믿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호랑이 눈썹>은 특히 탐색과 조정의 과정을 거치며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작품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새로운 사람을 찾아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다. 그리고 내가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처럼 나의 배우자도 새로운 관계를 맺도록 하였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 두 작품은 배우자밀치기서사를 실현하며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작품에서 배우자밀치기서사를 실현하고 있는 작품서사를 추출하여 문학치료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의 문학치료프로그램은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와 <호랑이 눈썹>의 작품서사에서 배우자밀치기서사를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있는 서사의 길을 추출하고, 취약한 배우자밀치기서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들의 자기서사가 성공의 길을 따라갈 수 있도록 구상되었다. This paper is begun on the assumption that we have to confront separation from our loved one time to time. We form a connection with opposite sex as a man or a woman, so we become someone's lover or husband and wife. However, like we make a relationship with a lover for some reason, we also break up with a lover for some reason. Breaking up with one's lover is as difficult as meeting one's lover, perhaps even harder. Despite all difficulties, we still have to admit that we can confront separation from our lover any time, even that lover is your husband or wife. 'The epic of pushing mate' belongs to 'the realm of husband and wife epic' in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epic of pushing mate can be operated when one has to break the continuance between one's mate or someone a lot like a mate. Therefore, the epic of pushing mate i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breaking up with one's lover. In this paper, having difficulties of breaking up is considered as a serious problem. In other words, person who cannot deal with breaking up has a problem in his or her epic of pushing mate. The reason he or she cannot deal with the separation is because his or her epic of pushing mate doesn't work properly. In chapter 2, the film <Happy End> was chosen for examining the problem and situation of separation. The tragedy of the epic of pushing mate is shown and maximized in this film. After examining this movie, it is found that the tragedy of the epic of pushing mate is related to hypocrisy and anger.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which can help one to operate the epic of pushing mate properly, so he or she can handle separation from a lover well. For planning this program, first, the literary works solving the problems about the epic of pushing mate were examined, which are <The Man Wearing Feathers who becomes a King> and <Tiger's Eyebrows>. The epic of <The Man Wearing Feathers who becomes a King> is about solving the problem through separation and endurance. The subject of the epic realized separating from a lover is necessary, then endure the parting time. When the subject confronts the separation from a lover, it is really hard to believe one day they would meet again, but the subject knew they need some time apart from each other, so accepts the whole situation. Because the subject is willing to accept the parting time, the subject can solve the problem. The epic of <Tiger's Eyebrows> is about solving the problem through searching and adjusting. The subject of the epic realized that he should break up with one he was with, then look for new one who's more suitable for him. The subject finds not only his new mate, but also helps his formal mate to find own new mate as well, that's why the problem is solved in the high level. Those two literary works solve the problem in a relationship with one's mate through operating the epic of pushing mate. So using those two literary works, the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can be organized. As a result, the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is suggested in this paper using <The Man Wearing Feathers who becomes a King> and <Tiger's Eyebrows>. The epic path which can show the way of operating the epic of pushing mate successfully is extracted. Also the epic path which can help us to have healthy epic of pushing mate is mapped out.

      •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선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 요약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 선 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이 원 진, MD, MPH, Ph.D.) 목적 : 공통된 생활양식 및 환경을 공유하는 배우자는 서로에게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유사한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우자 사이 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순천향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부부 중 3,159쌍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이다. 배우자 사이의 모든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상관성은 피어스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일치성은 급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와 카파 (Kappa)로 분석하였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Odds ratio는 남녀 배우자의 연령으로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모든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모시스테인(ICC=0.24)을 제외하고는 배우자 사이의 일치성은 낮게 관찰되었다. C-반응 단백의 교차비는 2.15(95%CI=1.53-3.02)로 높게 증가하였으며, 당화혈색소는 2.01(95%CI= 1.09-3.69)로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50세 이상인군에서 배우자 사이의 상관성과 일치성이 많은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 : 일부분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 가운데 결혼기간이 오래된 배우자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우자 사이에서 공유되는 환경적인 요인들이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배우자,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 상관성, 일치성 Abstract Spousal Correlation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n-Young Kim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Won Jin Lee, MD, MPH, Ph.D.) Objectives: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may confer to spouses a simila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couples. Methods: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or 3159 married couples from 2004 to 2008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spous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ncordance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and Kappa index. Odds ratios were also calculated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adjustment for spousal ages. Results: Al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they had low concordance of between the spouses, except for homocysteine (ICC = 0.24). Odds ratios of C-reactive protein increased the most by 2.15 (95%CI=1.53-3.02), and that of glycosylated hemoglobin increased by 2.01 (95%CI=1.09-3.69).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couples in their 50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and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other ag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spousal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rticluarly for couples who have long marriage duration. This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in cardiovascular diseases. Key word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nvironment, Lifestyle, Spousal, Correlation

      •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 : 포토보이스 방법 적용

        김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averaged 26.6 per 100,000 persons in 2018, far surpassing the OECD average of 11.5. In particular, suicide incidents in middle age, i.e., in their 40s and 50s, are the second-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Korea. As the suicide rate among married women is the highest at 43.4%, the bereavement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have become a crucial iss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rive implications for nursing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phenomena revealed in their experiences of bereavem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iddle-aged men’s bereavement experiences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Five middle-aged men who had the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nowball collection was selected as a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 2019 to January 31, 2020, conducting six in-depth interviews with one to one hour 30 minutes per session. The study was progressed to achieve its objectives while handling the four research themes: (1) objects or places that remind them of their spouses; (2) changes in their situations after their spouses’ death ; (3) experiences that they would like to share with their spouses; (4) objects or people who helped them overcome their spouses’ death. The research, which employ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approach of phenomenolog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listen to the participants' storie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hile applying a photovoice method to listen to their inner voices. In interviews using this method, photographs and descriptions of photographs were used as in-depth interview data and data collection methods. In addition, data collection through literature improved the author's understanding, and photographic media, poems, and pictu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reflect the research themes. This resulted in 50 categories and 17 themes of bereavement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who lost their spouses being identified, and in the end, the final 6 core themes were determined and considered. The experiences were analyzed with six main themes such as “life like a tangled thread,” “feeling stuck or isolated,” “ambivalence about their spouses,” “desperate treatment but pie in the sky,” “days to endure with pain,” “the ray of hope penetrating the darkness.” “A life like a tangled thread” was analyzed as the subplot of the wives’ death that permeated the men's lives, the last moments that were unforgettable, jumbled routines, and family conflicts in which the bereaved clashed with other family members. “Feeling stuck or isolated” was analyzed as being downhearted due to people around them, being trapped in a cave of melancholy, and a tightrope of life and death. “Ambivalence over their spouses” was analyzed as longing, and flaring feelings of anger and betrayal, while “desperate treatment but pie in the sky” was analyzed as children in sorrow, a life in the rat race without reflecting on themselves, and the rejection of treatment due to an ingrained stigma. “Days to endure with pain” was analyzed as self-defense of inner wounds and searching for hope in life. “The light of hope penetrating the darkness” was analyzed as finding hope from their children and moving on toward the world for comforting their lif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bereavement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as the following: in the feeling of a tangled thread and being stuck and isolated, they were in pain but did not give up on their life as they gained the courage to overcome their sorrow from their children or friends; they kept moving on toward the world of hope while readjusting their mind and body.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bereavement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who lost their spouses by suicid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the subjects, improving social awareness on the suffering of the bereaved, and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국내 자살률은 2018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평균 26.6명으로 OECD 국가 평균 11.5명을 상회하며 최고 수준이다. 특히 국내 40대, 50대 중년기의 자살은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며, 이 중 기혼 여성의 자살이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중년 남성의 배우자와의 사별 경험이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 속에서 드러내는 현상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간호학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의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 5명이 참여하였다. 표집방법은 눈덩이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1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 회기 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의 심층 면담을 총 6회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배우자가 생각나는 물건 또는 장소, 둘째, 배우자 사별이후 변한 상황, 셋째, 배우자와 같이 하고 싶었던 일, 넷째, 배우자 사별이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 물건 또는 사람이라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통하여 규명함과 동시에 자료 수집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당사자들의 내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포토보이스 방법을 적용하였다. 포토보이스 방법을 이용한 면담에서 사진과 사진 설명을 심층 면담 자료와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문학을 통한 자료 수집을 실시해 연구자의 이해를 높였고 자료 분석에서도 사진 매체와 시, 그림 작품을 이용함으로써 주제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에 관한 50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주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 6개의 핵심 주제가 정해져 이를 토대로 고찰하였다.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은 ‘뒤엉킨 실타래 같은 삶’, ‘고립무원 같은 심경’, ‘배우자에 대한 양가감정’, ‘화중지병의 치료의 손길’, ‘고통과 함께 버텨야 할 날들’, ‘어둠 속으로 들어온 희망의 빛’ 6개의 핵심 주제로 분석되었다. ‘뒤엉킨 실타래 같은 삶’은 내 삶에 스며있는 아내 죽음의 복선, 지워지지 않은 마지막 순간, 뒤죽박죽된 모든 일상들, 서로를 할퀴는 가족 갈등으로 분석되었고 ‘고립무원 같은 심경’은 주변의 시선에 스스로 고개 숙임, 우울의 동굴에 갇힘, 삶과 죽음의 외줄타기로 분석되었다. ‘배우자에 대한 양가감정’은 밀려오는 그리움, 치미는 분노와 배신감, 사무치는 미안함과 아쉬움으로 분석되었고 ‘화중지병의 치료의 손길’은 슬픔 속에 멈춰버린 자녀, 나를 돌아볼 수 없는 쳇바퀴 같은 일상, 내재적 낙인으로 치료 거부로 분석되었다. ‘고통과 함께 버텨야 할 날들’은 내면의 상처를 자기 방어함, 살아낼 수 있는 버팀목을 찾음으로 분석되었고 ‘어둠 속으로 들어온 희망의 빛’은 남은 자녀들에게서 희망을 찾음, 내 삶을 위로받고자 세상으로 걸어 나감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은 뒤엉킨 실타래와 고립무원 같은 심경 속에서 사별의 고통을 겪으면서도 삶을 포기하지 않고 희망을 주는 자녀들과 주변 사람들에게서 슬픔을 버텨낼 수 있는 용기를 얻어 스스로 심신을 가다듬고 희망이 있는 세상으로 걸어 나감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우자를 자살로 잃은 중년 남성의 사별 경험에 관한 본질과 의미를 연구함으로서 대상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별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는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정신건강 측면의 간호 중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