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스포츠 참여동기와 신체적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

        최인웅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hysical self-conception, classifying with sports participation styles, special game characteristics, and sex. The object of study, draw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was 298 persons; participants in university circles(148 persons) and sports runners(150 persons) enrolled at universities in Jeollanam-do. The examination paper used for the study subject solu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Examination Papers for Participation Motivation in Sports", made by Pelletier et al(1995) and Wessinger as well as Bandalos(1995) and amended by Jeong Yong Gak(1997), including the subsidiary factors such as technical development, pleasure, accomplishment, condition, social intercourse, health, ostentation, and non-motivation. This study, to solve physical self-conceptional study subject, used the paper, "Korea Version Physical Self-Conceptional Paper" appropriate to Korean culture, amended and developed by Kim Byung Jun(2001) in the light of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made by March, Richards, Johnson, Roche, and Tremayne(1994). The paper was composed of total 10 subsidiary factors such as sports ability feelings, physical fatness, appearance, health, physical activity, self-respective feelings, flexibility, endurance, muscle power, and general physical items. The author distributed the papers after getting cooperation from team managers in advance and explaining study aims, contents, and methods in detail to participant students. The author collected the papers after participants wrote the answers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This study performed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ith SPSS 12.0 Program according to analysis aims, calculat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performed one way ANOVA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and established the significance level, p<.05.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s(circle/runner) and found that participants in circles had higher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an sports runners in the factors of pleasure, inner motive, and the factors of condition and social intercourse, outer motive. In addition, runner had higher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an circle participants in the factor of ostenta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games(individual/group) and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group games had higher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individual games in all factors expect the factors of inner technical development and non-motivation.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sex and found that men had higher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women in inner pleasure and accomplishment and outer condition ostentation factors.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al self-concep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styles(circle/runner) and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circles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sports runners in the factors of sports ability feelings, health, and physical activities, but that on the contrary, sports runners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participants in circles in the factors of endurance and muscle power. Fifth, this study analyzed physical self-conception according to the game characteristics of sports(individual/group) and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group games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participants in individual games in the factors of sports ability feelings, and that the participants in individual games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participants in group games in the factors of physical fatness and fitness. Sixth, this study analyzed physical self-conception according to sex and found that men ha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women in the factors of sports ability feelings, physical activities, endurance, and general factors of the body, but that women had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women in the factor of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스포츠 참여유형, 종목특성, 성별에 따라 참여동기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대학교 동아리 참여자(148명)와 운동선수(150명) 총 298명을 '임의 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하였다. 참여 동기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지는 Pelletier 등(1995)과 Wessinger와 Bandalos(1995)가 만들고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스포츠 참여동기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술발달, 즐거움, 성취감, 컨디션, 사교, 건강, 과시, 무동기 등 총 8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는 Marsh, Rechards, Johnson, Roche와 Tremayne(1994)의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hysical Self-Decription Questionnaire, PSDQ)를 참고로 김병준(2001)이 한국 문화에 맞게 수정 개발한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등 총 10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의 배포 및 수집은 연구자가 각 팀의 지도자에게 미리 협조를 구한 후 연구자가 직접 참여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검사지를 배포하고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tration method)으로 기입한 후 연구자가 직접 회수 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차이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유형(동아리/선수)에 따른 참여동기를 분석한 결과 내적 동기의 즐거움 요인과 외적 동기의 컨디션, 사교 요인에서 동아리 참여자가 운동선수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시 요인에서는 운동선수가 동아리 참여자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종목 특성(개인/단체)의 참여 동기를 분석한 결과 내적 기술발달과 무동기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개인종목의 참여자 보다 단체 종목의 참여 동기가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참여 동기의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는 내적 즐거움, 성취감 요인과 외적 컨디션 과시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유형(동아리/선수)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분석 결과 동아리 참여자가 스포츠 유능감, 건강, 신체활동요인에서 운동선수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지구력과 근력 요인에서는 이와 반대로 운동선수가 동아리 참여자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종목 특성(개인/단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분석 결과 스포츠 유능감요인에서 단체 종목 참여자가 개인종목 참여자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체지방, 날씬함 요인에서는 개인종목 참여자가 단체 종목 참여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분석 결과 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반면 건강 요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가 알코올 의존 환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 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귀랑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가 인지행동치료보다 단주자기효능감과 변화 동기 향상에 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는 project MATCH의 인지행동대처기술프로그램과 Velasquez 등의 동기강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한 8회기의 집단프로그램이다. 처치 집단은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의 집단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인지행동대처기술 프로그램을 주 2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주자기효능감 척도, 한국판 변화 동기 척도를 사용하였다. 8회기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입원 알코올 의존 환자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인지행동치료만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단주자기효능감이 향상 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차이를 고려하면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단주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인지행동치료만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변화 동기 하위 요인 중 인식과 실천 요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알코올 의존자들을 위한 심리 치료적 접근으로서 동기강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abstinence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change of alcohol dependent patients.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6 alcohol dependent patients from A, B hospital in Daegu. Participants were matched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motivational interview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to assigned program for five weeks which consists two times a week, one hour session. All subjects went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follow up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five week program using AASES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and SOCRATES-K (Stage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Korean). The result are as follows.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effects of treatments. Motivational interview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group was found to increase the taking steps and recognition among the motivation for change.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abstinence self-efficacy level. Finally, in the discussion section, result of this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were discussed.

      •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 참여 동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규모도시지역 여성교육기관 중심

        김봉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에서의 성인교육이 관심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으로 성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성인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연구는 여성학습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차적 연구로 여성의 교육기회 확대와 참여증대, 교육성과의 제고에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성인교육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는 학습자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 동기 유형별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인여성학습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교육 참여요인에 대한 다양한 시각적 접근은 미흡하다. 여성학습자 특히 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일상생활속의 어떠한 경험들이 그들이 학습을 선택하게 하며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하는지 학습자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 현상을 일상적 삶에서 경험되는 생활사건 경험에서 살펴보고자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 참여 동기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조사도구의 구성은 독립변인으로 생활사건에 대해 4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변수로 건강(4문항), 직장(6문항), 가족&#8228;가정(16문항), 개인&#8228;사회(10문항), 경제(8문항)의 다섯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종속변인으로는 성인교육 참여 동기에 관해 3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변수로 활동지향형(12문항), 목표지향형(12문항), 학습지향형(17문항)의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활동 참여 동기와의 관계 분석의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대상은 결혼 경험이 있는 성인여성(25~60세)학습자로 한정하여 표집하였다. 부천지역 3개의 성인여성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 4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 13일부터 25일까지 각 교육현장에서 질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에서 375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4%를 나타냈다. 응답된 설문 중에서 누락 항목이 많거나 연구대상 조건에 부적당한 57부를 제외한 318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동기유형별 생활사건 영향으로는, 활동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8228;사회관련 생활사건과 직장관련 생활사건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관련 생활사건, 가족&#8228;가정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은 부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목표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8228;사회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 가족&#8228;가정관련 생활사건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관련 생활사건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8228;사회관련 생활사건, 가족&#8228;가정관련 생활사건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 건강관련 생활사건 순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지각된 생활사건은 영역별로는 개인&#8228;시회관련 생활사건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건강관련 생활사건, 가족&#8228;가정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영향을 미친 생활사건 경험으로는 건강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수면습관의 변화’ 문항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직장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직장업무시간 작업조건의 변화’ 문항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다. 가족&#8228;가정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자녀와의 갈등’ ‘자녀 진로설정문제로 고민’ ‘개인적 습관의 변화’가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개인&#8228;시회관련 생활사건 영역에서는 ‘사회활동의 변화’ ‘다른 교육과정 등록 수료경험’ ‘개인적 일을 성취함’ ‘주위사람의 의미 있는 간접경험’ ‘미래에 대한 불안감 경험’ 이 높은 평균을 보였다. 경제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지출의 증가’가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생활사건 각 문항으로 보면 ‘개인적인 일을 성취함’ ‘다른 교육과정에의 등록 수료경험’ ‘주위사람의 성공, 책, 영화 등을 통한 의미 있는 간접경험’ ‘자녀와의 갈등’ ‘자녀 진로설정 문제로 고민’ ‘사회활동의 변화’ ‘미래에 대한 불안감 경험’ 등의 순으로 성인교육 참여에 대한 높은 영향을 나타냈다

      • 초등 6학년 25명의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영어 학습동기 변화 연구

        강경욱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 Research Study on 25 Sixth-Graders' Development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rough Online Reading-Aloud Activities Kyunguk Kang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Maria Oh English is a vital tool for global communication; however, it is ra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country sides to find an opportunity to speak English for everyday use. The students study English to improve their school grades, and their studies are mostly unrelated to English learning motiv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uthor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study with English storybooks to enhanc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25 sixth-grade student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positively influenc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by online reading aloud and to identify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students’ English learning processes throughout a school semester. The study included participants are 25 sixth-grad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classroom at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small city of Jeollabuk-do.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wo hours of learning sessions, an hour of a cooperative class with a native English teacher and an hour of ‘English Storybook Class’; each class was conducted 21 times from March till August. In the cooperative class, three separate activities were organized; a native English teacher read ‘English storybooks’ to students, the students re-read the books to the teacher and received feedback, and they watched videos in English. During the English Storybook Class that lasted for 40 minutes, the students chose books of their interests, listened to audio CDs in the books, practiced their pronunciation, recorded their voices, and uploaded them online. A total of 60 English storybooks were used for the Class, and the books were divided into 5 reading levels from kindergartner levels to upper elementary levels. With reference to preliminary research, the storybooks were selected based on fun, readability, and satisfaction so that students at different reading levels can comprehend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easily. Before the study, each participant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in English, home environment, methods for studying English, etc. Starting in May, short answer surveys and mid-study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changes in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fter completing the study in August, post-ac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were altered through English storytelling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A through C Group, and fin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ver an hour and a half for a focus group that exhibited distinct characteristics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A Group increased through a semester-long storytelling activity in which the students read online English storybooks aloud. The A Group members noted that they became interested in English by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They also said, “we want to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again,” stressing that their confidence and English skills were greatly improved from the activity. In particula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JY, a member of the A Group, was positively improved; she commented that she began dreaming of becoming a ‘reporter’ after picturing herself talking to native English speakers in English. Secondly, B Group’s learning motivation was enhanced to a small extent. The B group members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in interest and confidence, but their perception toward learning English and basic academic abilities in English did not improve much at the end of the study. DW, a member of the focus group,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nglish storytelling activity to advance her English; however, she continuously felt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and she could not improve her low basic English abilities. Another focus group member, HM, said that she genuinely started to like English after the study, but her perception toward learning English, which focused on studying ‘moderately,’ did not seem to be affected. Third, C Group showed no change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even though they read online English storybooks aloud for one semester. The C Group members did not hide their negative feelings toward English even after the study and struggled from learning English because of their low basic English abilities and past experiences. They also maintained their perception toward learning English and demonstrated little change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ZE, a student from the focus group, showed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commented, ‘I study English because I am good at it’ and ‘I dislike English in and of itself.’ She expressed her negative views toward English and kept her perception toward learning English. Another focus group member, BR, could not grow interests in English as he lacked emotional support at home, and he gave up on learning English in the middle of the study because he could not gradually resolve issues with his low basic academic ability in English. The study indicates that it is essential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joy, feel confidence, and experience progress in learning English to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dditionally, teachers need to pay close attention and provide guidance to students who lack clear goals and feel difficulty in studying English. The author hopes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with no academic pressure and competition so that students can enjoy and grow long-lasting interests in English. 초등 6학년 25명의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한 영어 학습동기 변화 연구 강 경 욱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오마리아) 영어는 국제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외국인을 만나기 힘든 지방 초등학생들은 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할 기회가 매우 드물다. 때문에 지방 초등학생들은 영어를 학과목의 성적 향상을 목표로 영어를 학습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영어 학습동기와 무관하게 공부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영어동화책을 활용하여 영어 학습동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실행연구(Action Research Study)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한 학기 동안의 학습 과정에서 특이점을 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소도시에 위치한 I초등학교 6학년 1개반 25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는 영어 원어민 협력 수업 1시간과 영어동화책 활용 수업 1시간, 이렇게 총 2시간이 사용되었고, 3월부터 8월까지 각각 21차시 동안 진행되었다. 영어 교과 원어민 협력 수업에서는 영어동화책을 활용하여 원어민의 동화책 읽어주기, 원어민에게 책 읽고 피드백 받기, 영어 동영상 감상하기 등 크게 3가지 활동이 진행되었다. 영어동화책 활용 수업에서는 40분 동안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책을 스스로 골라 원어민의 발음이 녹음된 CD를 듣고 소리 내어 읽기를 연습한 후 녹음하여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영어동화책은 Compass Media 출판사가 2009년에 출판한 Sunshine Readers 책으로 총 60권, 5개의 레벨로 구성되었으며 유치원 수준부터 초등 고학년 수준으로 구성되어있다. 동화책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이 쉽게 재미를 느낄 수 있게 쉬운 영어 수준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사전에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면담을 실시하여 학생의 영어에 대한 인식과 배경지식, 가정환경, 영어를 공부하는 방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중 5월부터 학생들의 동기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서술형 설문조사와 중간면담을 실시하였다. 8월에 연구 활동이 끝난 후, 사후 서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영어 동화 활동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A∼C그룹으로 연구 참여자를 그룹화 하였으며 각각의 그룹별로 특이점을 보이는 연구 참여자를 대표참여자(Focus group)로 선정하여 최종 면담을 1시간 30분 이상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그룹은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영어 학습동기가 큰 폭으로 변화하였다. A그룹은 영어에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영어에 대해 자신감과 영어 실력이 향상 되었다고 말하며 “나중에 더 하고 싶다.”고 말하였다. 대표참여자인 JY는 최종면담에서 영어 원어민과 영어로 얘기하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고, 그렇게 되고 싶어 ‘기자’라는 꿈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할 정도로 영어 학습 동기가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B그룹은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영어 학습동기가 소폭으로 변화하였다. B그룹은 영어의 재미를 느끼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을 보였지만 “필요”에 의해 공부하는 영어 학습 신념과 영어기초부진이 연구 후에도 변화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표참여자인 DW는 영어를 매우 잘 하고 싶어 하여 영어동화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나, 영어기초부진이 해소 되지 않아 영어를 어려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 다른 대표참여자인 HM은 연구 후에 영어가 진심으로 좋아졌다고 밝혔지만, ‘적당히’ 공부하는 영어 학습 신념이 변화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C그룹은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영어동화책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영어 학습동기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C그룹은 연구 후에도 영어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숨기지 않았으며, 영어기초부진과 또는 과거의 경험 때문에 영어를 어려워했고, 영어 학습 신념을 그대로 유지하며 영어 학습동기의 미비한 변화를 보였다. 대표참여자인 ZE는 영어에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임에도 ‘영어는 내가 잘하니까 하는 것’, ‘영어 자체는 싫어한다.’고 말하며 영어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영어 학습 신념이 유지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 다른 대표참여자인 BR은 가정의 정서적 지지기반의 미비와 영어기초부진으로 인해 영어에 부정적인 감정이 심화 되었고 이로 인해 연구 도중에 영어를 포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동기의 큰 변화를 위해서는 영어의 재미와 자신감, 실력의 향상을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영어 학습을 어려워하고 뚜렷한 목표가 없는 학생에게는 교사의 세밀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학생들이 학업 성적과 경쟁에서 벗어나 영어 자체의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영어 공부에 매진할 수 있는 교육 현장을 만들기를 기대한다.

      •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예경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에게 동기강화상담 모형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함으로써,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직업적응훈련 중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직업적응훈련 중이 12명의 지적장애인에게2013년 3월 4일부터 2013년 4월 11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60분으로 총 12회기의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Goh(2002)가 지적장애인 대상에 맞게 재구성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 General Self-Efficacy Scale - ID version (GSES-ID)와 Payne와Jahoda(2004)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사회적 자기효능감 검사 The Glasgow Social Self-Efficacy Scale - ID version (GSSES-ID)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의 일반적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하위요인별로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주도성에는 효과가 없으며, 노력성, 인내성을 향상 시키는데는 효과적이다. 둘째,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지적장애인의 심리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지적장애인의 수준에 맞춘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의 개발 및 동기강화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심리적 개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on self-effica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conducting group art therapy based on reinforcing motivation model to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rough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to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For this purpose, 12 students on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was participated, and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conducted from March, 4th to April, 11th, 2 times per weeks, 60 minutes sessions, totally 12 sessions. General Self-Efficacy Scale - ID version(GSES-ID) which is reconstructed by Goh(2002) and The Glasgow Social Self-Efficacy Scale - ID version(GSSES-ID) which is reconstructed by Payne and Jahoda(2004) was used as study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inforcing motiv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enhancing general self-effica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specially on endeavor and endurance which is sub-factor of general efficacy. Second, reinforcing motiv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enhancing social self-effica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is results, the effect of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on self-effica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confirmed, and this means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enforcing psychological capac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Concludingly,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rough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and development of reinforcing motivation art therapy program which has appropriate level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vocational adaptation training should be proposed.

      •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 조직문화와 리더십을 중심으로

        김소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reason for this study is that alth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major motivation that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customer-oriented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t a relatively individual level rather than organizational level. In many cases, a person'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formed and changed through general socialization, bu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can also be changed within the organization, so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individual's public service motivation could change in term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pecifical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culture and leadership types within the organization on individuals' public service motivation. Furthermore, in the case of prior studies on organizational-level influences, most of them show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doing single-dimensional analysis. In response, this study attempted a multi-level analysi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in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analysis, the 「2019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data on public official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sed. Among the total survey subjects, 698 people belonging to 16 institution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each subtype and level of analysis, while market culture consistently positively influenc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confirming that competition and performance-oriented culture in the organization are important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ming a culture centered on fair and reasonable rewards and clear goals within the organ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furthermore, leaders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pabilities are needed within the organiz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to ha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pabilities. 본 논문은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에 관해 다수준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연구가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에 있어 상대적으로 조직 차원 보다는 개인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조직 차원을 다루고 있는 경우에도 많은 경우 단일차원의 분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개인은 조직에 소속되어 있는 동안 조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조직은 개인들로 인해 변화하는 등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을 다루는데 있어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을 모두 고려해야 단일차원으로 분석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공봉사동기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이나 고객 지향적 행동, 조직 성과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한 동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영향요인에 있어 조직 차원보다는 상대적으로 개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 개인의 공공봉사동기는 많은 경우 일반사회화를 통해 형성되고 변화되지만 조직 내에서도 공공봉사동기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조직 사회화의 측면에서 개인의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 내에서의 문화와 리더십의 유형이 개인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에 있어 조직수준과 개인수준을 동시에 고려하는 다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설문조사 대상 중 본 논문에서는 16개 기관에 소속된 69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와 리더십은 기관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은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문화는 각 하위유형과 분석 수준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한편, 시장문화는 일관적으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내에서의 경쟁과 성과 중심의 문화가 변혁적 리더십과 함께 공공봉사동기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 내에서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 명확한 목표 등을 중심으로 한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공공봉사동기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나아가 변혁적 리더십 역량을 갖춘 리더가 조직 내에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변혁적 리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교육훈련 등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관광동기가 정보품질과 정보탐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건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 또는 관광산업의 시대라고 말하고 있으며, 오늘날 관광이 인간에게 있어 얼마나 소중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관광사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얼마나 큰 경제적 효과를 거두며, 미래의 전망있는 산업으로 인지 되어지고 있다. 또한 관광은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한 개인생활의 일부분으로서 사회화된 인간의 제반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하나의 수단이 되며, 나아가서는 사회, 경제, 문화적인 측면에서 관광문화, 관광산업 그리고 관광의 대중화를 꾀함으로서 사회의 발전에 공헌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다양한 욕구를 지니며 이를 충족시키려는 동기가 발현되는데, 즉 관광객은 다양한 동기로 인하여 관광활동이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관광객은 동기에 부합하는 다양한 정보원과 매체를 통하여 추구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관광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게 된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과도한 정보의 탐색 또는 불충분한 정보의 탐색으로 인하여 의사결정시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추구하는 정보품질과 정보탐색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관광동기를 성취동기, 학습동기 및 일탈동기로 정의하고 이들이 어떤 정보의 품질을 인지하는지와 이에 따라 정보탐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추구하는 정보품질과 정보탐색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간 차이검증(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는 첫째, 관광객의 관광동기 중 일탈동기가 주요한 관광동기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탐색이 이루어지는데, 학습동기의 경우 가족과 친지 및 이웃의 조언인 비상업형 인적정보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객은 경제성과 신속정확성, 접근성을 정보가 추구해야하는 정보품질로 인식하고 있으며, 셋째, 비상업형 인적정보는 경제성과 신속정확성을 지니며, 상업형 인적정보는 신속정확성과 안정성을 지닌다고 인식되어지고 있다. 넷째, 정보탐색에 대한 차이는 성별, 연령, 직업,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 조사한 전반적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섯째, 정보품질에 대한 차이는 성별을 제외한 연령, 직업,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관광객의 관광동기에 따라 추구하는 정보품질과 정보탐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계층별로 세분화하여 관광업체의 마케팅전략의 입안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추구하는 정보품질과 정보탐색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관광마케팅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어진다. The 21^(th) centry is said to be the era of Asia or the Tourism Industry. Today, tourism gotten to be known to provide people with important meanings and value of life. Its effect on the economy is growing and is becoming recognized as the prospective industry of the future. Also, tourism is understood as an essential part of life for socialized person's needs, and futhermore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our society by promoting tourism, tourism-culture, and tourism-industry on the social, ecomomical and cultural aspects. Man has various needs, and to fulfill these needs, motivation emerges. Namely, tourism-activity has emerged by tourists who have various motivations. Generally, tourist would have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immense information sources and mass media, which meet this motivation, after which they plan and execute them. However, the people today live in a society where "Information overflows", which results in over abundant or inadequate information. Hence,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influence of tourism-motivation on information-quality and Information-searching to aid tourism-related companies which want to give adequate information to their consumers. This study defines touism-motivations as that consisting of the accomplishment-motive, the learning-motive, and escape-motive Information-searching, on the other hand is defined as that consisting of four factors (Non commercia Human Information, Commercial Human Information, Non commercial media Information, and Commercia media Information), while information-quality as that consisting of the four factors which are fast-accuracy, accessibility, economical-ability, and stability. Then, a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by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to find out what influence-relationship among tourism-motivation, information-searching, and information-quality existed. Also, this study used the t-test and ANOVA to verify the differences among information-searching and information-quality according to gender, ages, occupations, and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scape-motive among tourism-motivations was the major tourist's motive while the learning motive depended on non commercial human information. Secondly, tourist indicated that information-quality had to be supported by economical -ability, fast-accuracy, and accessibility. Thirdly, commercial human information entailed economical-ability and fast-accuracy. Fourthly, information-searching varied according to gender, ages, occupations,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Fifthly, the same factors except gender affected information-quality. A number of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of all, because information-quality and information-searching was influenced by tourism-motive, when any tour-related company wants to make a plan or strategy for marketing, they have to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Secondly, sinc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layed an important role, it is necessary to use a basic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y.

      • 교육복지대상자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초등 영어 수업지도 실행연구

        박소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울 S초등학교의 4~6학년 교육 복지 특별 지원 사업 대상자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동 중심의 수업을 전개하여 이들의 영어 학습 동기 향상이라는 목적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실행 연구(action research)를 계획하여 실행했다. 학습 동기 향상을 위해 교육 복지 대상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노래, 이야기, 게임의 다양한 활동 중심 수업을 각각 4주기(cycle), 3주기, 3주기로 진행하면서 각 주기 별로 발견되는 문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계획을 세워 실행을 하며,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반성을 하여 다음 주기에 반영하는 등의 주기 반복을 통한 일련의 순환적 구조로 현장의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 자료 수집은 학생의 활동지, 학습 일지, 동기 관련 설문 조사, 면담, 그리고 교사의 관찰 일지 등을 수집하여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주기 별 동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노래의 장르에 있어서는 첫째, 기존에 이미 배웠던 교과서 노래보다는 교과서 외의 새로운 노래가 학습자들에게 반응이 좋았다. 둘째, 아예 처음 들어보는 멜로디보다는 음악적 측면에서 곡조는 익숙하여 따로 음정과 박자를 배우는 데에 노력을 들일 필요가 적으면서도 언어적 측면에서는 새로운 표현이 적절한 수준으로 제시되는 노래가 학습 동기를 더욱 자극하였다. 셋째, 4~6학년의 특성 상 동요가 아닌 팝송이라는 장르 자체가 사춘기 직전 혹은 사춘기 아동의 발달단계 및 인지수준과 부합하여 더욱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를 자극하였다. 이야기의 자료 제공 방식에 있어서는 첫째, 활동지에 목표 어휘 및 반복되는 주요 구문만 제시하는 것 보다는 이야기 영어 지문 전체를 모두 실어 놓는 것이 여러 번 읽을 때에도 읽는 부분을 계속 짚어나갈 수 있어 덜 지루하고 학습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 학습 동기에 효과적이다. 둘째, 영어 지문만 싣는 것 보다는 영어 지문과 한국말 해석을 함께 실어놓아야 영어 실력이 낮고 자신감이 없는 교육 복지 대상 학습자들이 쉽게 내용을 이해하고, 한글 해석을 통해 모르는 영어 어휘의 뜻을 추측할 수 있어서 학습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게임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첫째, 개인전 보다는 팀 대항이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게임으로 인해 영어 자신감이 낮은 교육 복지 대상 학습자의 낮은 실력이 면밀히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교 교육 복지 대상 영어 아카데미 학습자들에게는 게임의 승패에 실력보다는 운이 더 큰 영향을 미치도록 게임을 설계해야 더욱 높은 학습 동기를 가지고 참여한다. 이들은 대부분 낮은 성취수준을 보이고 있어서 게임에서도 실력이 없으면 본인이 질 수밖에 없으니 쉽게 포기하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운이 승패에 더 큰 영향을 미칠수록 예상할 수 없는 결과에 흥미를 갖고 참여한다. 셋째, 게임의 승리를 위해서는 팀 내에서 협의와 협동을 통해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협동을 통한 심도 있는 또래 학습이 일어나는 것은 물론, 우리 팀이 졌다고 해서 누구 하나가 비난 받지 않을 수 있으니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동기를 지속시키며 게임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복지대상자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초등 영어 수업지도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결과,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제언할 수 있다. 첫째, 하위권 학습자인 교육 복지 대상 대상 학생들뿐만 아니라, 중위권의 일반 학생, 상위 수준의 학생들도 각각의 노래, 이야기, 게임 수업에 대한 요구가 어떤지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가 10명밖에 되지 않았으나, 학습 동기 증진을 위한 각 활동에 대한 요구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연구 대상 인원을 증가시켜서 성별에 따라, 학년에 따라 달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동기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사전 사후 영어 성취도 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동기가 실제 학업 성취도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각 활동 별 마지막 주기에서의 학습자들의 흥미, 이해도, 참여도, 학습 동기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비록 특정 학교의 1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기에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하위권 학습자들의 보상 교육을 위한 수준별 수업을 준비할 때 본 연구에서 발견한 점들을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직업군인의 관광동기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광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king hours in Korea is divided into social issues to shift from the five - day workweek system to four - day workweek system, and the 'war label' which emphasizes work and life balanc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Yoolo' of young people who do not spare their investment to themselves, the cultural lifestyle of the younger class is changing into an era where the leisure life is emphasized unlike the past. In the army, major areas of soldiers were expanded or abolis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professional soldier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of tourists on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m motivation in detail. And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ourism motivation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lf -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set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 set up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setting organizational loyalty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occupational soldiers who are more than Non-Commission Offic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 2019 to March 20, 2019 for a total of 30 days. And 236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re 94.1% for males and 5.9% for females. Actuality the proportion of female soldiers among professional soldiers is 5.5%. In terms of age, 30.1% in their 20s, 47.9% in their 30s, 18.6% in their 40s and 3.4% in their 50s are similar to those of professional soldi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ample suitable for the study of self -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rough the tourism motiva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ourist motives of professional soldiers a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tourists, but only differences among professional soldiers. In particular, because the professional soldiers are also people, they could be divided into push factors, which are internal factors, and pull factors, which are external factors.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a professional soldier, I live outside and move to other places due to frequent personnel movements. Therefore, the motivation to leave sightseeing is a factor that leaves to experience everyday and other space because it always experiences the same space or similar environment. General tourists regarded accessibility and experience as important for tourism, but professional soldiers had no effect at all. In addition, when we examine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we feel sense of belonging through tourism and positively influence self – realization. As a result, active use of tourism in military units resulted in high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As a result of developing tourism product,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research by obtaining the result that the professional soldier should develop the product which emphasizes the beau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ifferent from daily life rather than the same product as general tourist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cover all occupational soldiers, and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my and the air force are not reflected because the questionnaires were executed for navy and marine unit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future research will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and continue the study of the tourism field for the occupational soldier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의 개념이 주 5일 근무제에서 주 4일 근무제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이슈와 문화체육관광부(2018)에서 발표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워라벨’,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며 자신에게 투자를 아끼지 않는 젊은 층의 ‘욜로족’까지 젊은 계층의 문화 라이프스타일이 과거와 달리 여가생활을 중요시 하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으며 군대에서도 군인들의 위수지역이 확대 또는 폐지됨에 따라 20~30대의 젊은 계층이 다수인 직업군인에게도 관광을 하게 되는 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 조직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관광동기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충성도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관광동기를 독립변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로, 조직충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사관 이상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019년 2월 20일부터 동년 3월 20일까지 총 30일 동안 설문을 SNS와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고 유효표본 236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조사통계 패키지인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94.1%, 여성이 5.9%로 남성의 비율이 높은데, 이는 현재 직업군인 중 여군의 비율이 5.5%에 비하면 유사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연령도 20대 30.1%, 30대 47.9%, 40대 18.6%, 50대 3.4%로 직업군인의 항아리 모형의 분포도와 유사하며, 계급 역시 하사 15.3%, 중사 38.1%, 상/원사 20.3%, 준위 0.8%, 위관장교 19.9%, 소령 5.1%, 중령 0.4%로 직업군인의 분포도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직업군인의 관광동기를 통하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 조직충성도에 관한 연구에 적합한 표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직업군인의 관광동기는 일반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유사하면서도 직업군인만의 독특한 차이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직업군인 역시 사람이기 때문에 내적요인인 Push 요인과 외적요인인 Pull 요인으로 구분 할 수 있었으며, 직업군인 특성상 외부에서 생활하고, 잦은 인사이동으로 인하여 타지생활 및 이사를 함에 따라 항상 같은 공간 또는 유사한 환경을 경험하기 때문에 관광을 떠나게 되는 동기가 일상과 다른 공간을 경험하기 위하여 떠나는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관광객은 관광지에 대한 접근성과 체험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직업군인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군인의 관광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에는 관광을 함을 통하여 소속감을 느끼고, 자기실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군부대에서는 관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에 따라 직업군인의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으며, 또한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입장에서도 직업군인을 일반관광객과 동일한 상품보다는 일상생활과 다르면서 주변환경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상품으로 개발을 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하겠다. 다만 본 연구는 직업군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으며, 해군과 해병대의 부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기에 육군과 공군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분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