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1C기 농촌교회 활성화 방안과 선교 : 영주지역교회 중심으로

        김동훈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농촌교회가 21C기를 통하여 자립의 길을 모색하면서 바람직한 농촌 선교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과 함께,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 있는 농촌교회를 상대로 어린이 집이나 노인 요양시설의 사회복지에 대한 교인들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농촌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통해서 그 지역사회의 활성화 방안은 농촌교회의 자립이라 본 논문은 말하고 싶다. 그러면서 농촌교회가 앞으로 나갈 방향을 모색하면서 그 힘을 다시 선교 적 복음의 메시지 앞에 다시 내어 놓아야 할 때 이다. 21C기 농촌교회는 자립에 책임을 두어야 한다. 서로가 농촌에 있다고 해서 위로 받는 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농촌교회는 일어나야 한다. 베드로를 통하여 “은과 금은 내게 없지만 내게 있는 것을 네게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는 남을 향해서 무엇인가 가지고 있어야 하고 주어야 하는 사람들이다. 농촌교회에 있다고 해서 위로 받을 처지가 아닌 것이다. 우리는 예수님께 위로를 받고 전심으로 예수님을 위한 치열한 삶을 살아야 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집필하는 필자도 함께 농촌에 사는 성도들의 비전과 꿈이 살아나길 소원한다. 경상북도 영주의 가을은 관광차가 북적인다. 왜냐하면 그 유명한 부석사가 있기 때문이다. 불교로 유명한 절이 80%이상 차지하고 우리 마을도 부석사와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부락에 사는 마을 주민들의 신앙이 대부분 토속 신앙인 산신을 믿고 있고, 또한 불교를 섬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뻐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비전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이 땅의 교회가 복음의 서비스를 해야 할 때라 확신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사회 복지에 대한 생각을 한다면 그 것으로 족하나 더 한 발 나가서 지역을 섬기는 교회로 거듭나길 소원하며 모든 교회가 이 일을 감당할 것을 확신한다.

      • 주 5일 근무제 시대에서 복합형 전원교회의 교육목회

        김성철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고령화 시대를 맞이한 농촌교회의 현실에서 주 5일 근무제 시대에 부응하는 농촌교회의 성장과 변화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연구되어졌다. 농촌교회는 웰빙적 삶과 휴식을 제공해 주는 전원교회로서의 탈바꿈을 시도함으로서 삶의 노동에서 피곤해진 현대인들에게 자연과 흙을 통한 육체적 쉼과 교회 공동체의 다양한 목회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영적인 안식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농촌교회의 현실에 맞는 복합형 전원교회로서의 실제적 교육 목회와 성장을 주도하는 본질적 교육활동에 접근하려고 하였다. 본론 Ⅱ장에서 주 5일 근무제의 양면성을 통하여 먼저 사회와 산업조직의 변화를 예측하면서 교회에 미칠 부정적 영향으로서 교회 출석의 저하, 세속문화의 도전에 무방비 상태인 교회의 현실, 그리고 주일성수에 대한 확고한 신학적 정돈의 부재 등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교회에 미칠 긍정적 영향으로는 삶에 갈급한 성도들에게 신앙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과 놀이 문화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주말을 삶의 재충전의 기회로, 그리고 주일에 집중되었던 교회 활동을 분산시킴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는데 중점을 두었다. 주5일 근무제와 안식일 그리고 주일 성수에 대한 신학적 입장을 제시함으로써 주5일 근무제가 단순한 휴식이아니라 영혼의 쉼과 재충전의 기회를 얻게 되는 동시에 영적 활력소를 얻을 수 있는 신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농촌의 현실과 그 환경 속에 있는 교회의 현실을 언급하면서 교회의 구체적 사명을 회복할 수 있는 대안을 복합형 전원교회의 변화를 통해서 교회의 본래적 존재의 목적과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주 5일 근무제를 준비하면서 도시형 전원교회의 형태를 파악하여 도시 전원교회의 개념과 진행 상황을 살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농·어촌 교회, 특별히 본 연구자가 소속해 있는 교회를 기반으로 하여 복합형 전원교회라는 이름을 정의 하였다. 복합형 전원교회의 형성배경과 그 교회의 장점을 살려서 농촌교회의 성장활로를 되찾을 수 있게 됨과 그리고 단점인 농촌교회가 안고 있는 폐쇄적 보수성의 문제와 프로그램 활용에 필요한 노후 된 시설 문제를 지적하여 시정하려고 하였다. Ⅳ장에선 복합형 전원교회의 성서적 근거와 교회의 목적 및 목표를 제시함으로 교육목회의 현실을 주 5일 근무제 시대와 복합형 전원교회의 교육목회에 맞도록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전원교회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나 염려스러운 것은 전원교회가 도시민의 쉼과 놀이 문화의 장으로만 변질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복합형 전원교회는 기도원과 수양관의 이중역할, 그리고 교회로서의 사명도 바르게 감당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복합형 전원교회는 내적인면과 외적인 면, 그 어느 것이라도 소홀히 할 수 없으므로 교육목회의 영역인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 미시오 등의 정체성에 대해서 언급해 두었다. 이 논문은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더욱 강화시켜 도시와 농촌교회가 어떻게 하나님의 교회로서 선교적 역할과 구속의 대리자 역할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제언을 하였다. This thesis is in reference to the inevitable acceptance of continual aging in rural. churches and it was researched with the hopes of revival and growth of the rural church during the times of Five-workdays system. The transformation to a well being place of rest the rural church was attempting to give modern rest through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oil and with the hopes tha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variety of church programs they would receive spiritual rest. This thesis also tried to attempt to come up with suitable educational and growth programs that would be relevant to the multiple church of Jeoun Weun. In the first two chapters it deals with two sidedness of the Five-workdays system. First it dealt with forecasting of the society in general as industry due to the Five-workdays system change and the negative ripples it would have on lower church attendance, the reality of the un-preparedness of the church from secular society and the unshakeable theological belief on Sunday church worship. It also investigated the positive affect of would have on the church and how it could be a fresh new way of attempting spiritual education. It would be positive on the belief that the weekend would be used as a time to re-energize and allow the multiple church programs to be spread out throughout the week so that more people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With the theological approach to the Five-workdays system. Sunday worship attendance, Sabbath that the Five-workdays system would not be a simple time of rest but it would be a time of rest for the soul, the revitalization of our spirit and how it could be a spiritual vitality. The third chapter exhibited the korean rural churches current environment and how the current church would restore its call to be a church. With the preparation Five-workdays system the urbanization Jeoun Weun church was grasped and how Jeoun Weun church is operated. With the investigation it was rightly called multiple church of Jeoun Weun. It stressed the background of the multiple church of Jeoun Weun and how to utilize its strong points to create a healthy growth. At the same time the thesis was being mindful of the negative aspects of the closed-conservativeness of rural church and their lack of space and facility. The fourth chapter exhibited biblical evidence for the multiple church of Jeoun Weun and how the mission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church will create balance with the Five-workdays system. It also spoke on the issues that although the Jeoun Weun church is greatly needed in line with the Five-workdays system it might also cause the church to be a playground for urban people. Therefore, it strongly exhibited the need for the Jeoun Weun church to be a place of prayer and rest and how it must also be clear with the mission of the church, Hence the Jeoun Weun church must not be careless internally and externally all in the meanwhile maintain the elements of leiturgia, didache, koinonia, diakonia and missio. This thesis was written with the hopes of overcoming the negative ripples of the Five-workdays system and how the urban and rural churches can utilize it by strengthening its mission, call and to be a prevailing redemptive agent.

      • Multiple Mission Programs for rural church

        이정심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1994 해외박사

        RANK : 248703

        개요: 교회는 억센 개인주의를 벗어나 희망찬 공동체(교인들을 위해서 뿐 아니라 지역사회나 세상을 위해서도)가 되어야 한다. 농촌교회가 농민들을 위해 희망의 공동체가 되며 신앙, 생활, 봉사공동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각적 선교방안을 제시함. Ⅰ. 목회를 위한 상황 1991년 서울 여자 대학교 고황경 총장의 권고를 받아 그해 가을학기부터 미국 시카고에 있는 McCormic theological seminary의 목회학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 멕코 믹 박사과정 중에 서울 구의동 무궁교회를 돕는 사역에서 단독교회를 하고 싶은 마음이 일 어났다. 드디어 1993. 3월에 경북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에 있는 돈산교회 농촌교회를 맡게 되었다. A. 현재 농촌 돈산교회의 상황- 이농현상으로 인한 심각성, 문화적 혜택의 빈곤 B. 문제에 대한 규정을 하게된다-노인들, 돈산마을 위한 식생활을 도움, 벼베기, 고추농사 일손을 도움, 교통봉사 C. 문제해결을 위한 이상적 상황을 제시-한달에 한번, 교회절기마다 공동식사잔치, 봉고차 마련, 공중목욕탕 건축계획 D. 문제해결을 위한 도전을 하게됨-우상숭배타파, 문맹퇴치교육(밤 프로그램 잘 활용, 봉고차 운행) Ⅱ. 고찰할 문제들 연구와 적용 제1부 : 교회의 모형 A. 성경적 교회론 - a.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b. 그리스도의 몸으로 교회 c. 성령의 친교로서의 교회 B. 칼바르트 교회이해-(사건으로서의 교회(신앙은 사건이다), 성령과 기독교 공동체의 모임, 종으로서(봉사공동체)의 교회) Ⅲ. 연구와 적용 제2부 : 한국 농촌 현실과 한국 농촌 문제, 농촌문화 A. 한국농촌 교회현실 (a. 농촌인구 b. 한국농촌 사회의 특징) B. 한국농촌 교회의 문제(농촌의 현실, 한국농촌 사회의 특징, 한국농촌 교회의 문제) C. 농민과 문화 (거짓문화, 지배문화의 정체인식, 이것들과 대결할 힘을 키우며, 농민을 위한 노동문화, 참 농민 문화창조) Ⅳ. 연구와 적용 제3부 : 농촌선교에 대한 이해 A. 성서에 나타난 농촌선교(예수의 농촌지역 그들을 의한 관심, 활동, 사역) B. 한국농촌선교의 필요성(a. 신학적 측면에서 b. 목회적 측면에서 c. 변화이론) C. 변화이론 (한스킴의 성찬공동체, 한스요한킴의 교회 공동체의 사귐의 이론) a. 교회공동체가 신앙공동체로 되는 변화이론 적용 b. 교회가 생활공동체로 되기 위한 변화이론 적용 Ⅴ. 이론적 근거(하나님의 부르심과 그리스도인의 의인화와 성령의 성화(주관적 체험강조) 신앙으로 연결된 공동체(객관적으로 잘 인식 →봉사공동체의 책임감당(섬김의 교인됨을 실 현) Ⅵ. 신학적 원칙(농민도 하나님의 백성으로 부름받는 자들의 공동체로 만드는 선교적 과제, 생활, 신앙, 봉사의 공동체가 되는 선교적 과제 Ⅶ. 논문의 목적과 타개책 (희망적 교회의 모델을 세워 아름답고 굳건한 교회를 세워나가며, 농민들에게 희망을 주며 농민과 농촌생활과 연대하여 지역사회에 유익을 주려 하는데 있다. Ⅷ. 평가 A. 평가(설문조사에 95%참여, 지역사회에 유익하며 위로와 도움을 주는 희망 공동체로 평가 B. 본 논문의 중요성과 의미 (우선적으로 돈산교회는 돈답의 농민들에게 희망을 주어서 잠정적 교회가 현시적 교회로 되기 위해 꾸준한 인내와 믿음과 봉사의 다각적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교를 시도하며 실천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농촌교회에서의 노인목회연구

        정성모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회는 마땅히 세상에 그 존재 가치를 드러내야 한다. 사도행전 1:8에 기록된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는 말씀을 비롯하여 교회의 머리되시는 그리스도께서 ‘세상에 오신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고 오셨다’(막10:45)는 말씀은 세상에서의 교회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해 주신 것이라고 본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지상 명령인 복음전도의 사명을 위해 존재한다. 이것은 곧, 교회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를 섬기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말과 같다. 그 섬김 속에 노인들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였고 고령사회에 진입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상태이며 머지않아 초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예측은, 경제생활의 개선과 보건의료 서비스의 향상으로 노인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출생률의 저조함속에 사망률의 저하를 가져와 노인인구수와 비율을 증가시키고 있는데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일찍이 인구의 고령화를 경험한 서구 국가들은 오랜 세월 동안 준비과정을 거치면서 노인문제를 점진적으로 해결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노인 인구 증가,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 사회 환경의 변화 등이 짧은 기간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어 노인문제 해결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제 농촌교회는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와 이웃사랑의 실천적 관점에서 노인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고 참여해야 한다. 노인이 된다는 것은 분명 하나님의 은혜임에도 사회적비용의 지출 증가, 또는 교회의 재정지출 증가로 이어지게 되면 경제 논리에 밀려 되레 노인들은 거치장스런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늙었다고 해서 언제나 돌봄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들에게는 생의 위기나 큰 상실로 슬퍼할 때 이전에는 돌봄이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흔히 노인을 돌본다고 하면 양로원을 떠올리거나 만성적인 질병으로 인해 대화도 불가능하고, 스스로를 돌볼 수 없는 노인을 떠올리기 쉽다. 물론 그런 노인이 없는 것은 아니나 확률로 보면 그리 많지 않다. 대부분의 노인은 그들 자신들의 집에 거하고, 대화도 가능하며 자신들의 일을 스스로 해나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 돌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피돌봄자가 혼자가 아니라는 확신을 주어 ‘할 수 없다’는 체념에 머무르지 않게 하며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노인에게 찾아오는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물질적 고통은 노인들이 평안한 여생을 보낼 수가 없고 그러한 고통을 안고 농사일을 계속해야 한다는 현실은 참으로 안타까울 수밖에 없다. 이렇게 고통당하는 농촌의 노인들을 농촌 목회자와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위로하고 관심과 사랑으로 돌보아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기쁨을 주어야 할 것이다. 농촌교회를 살릴 수 있는 노인 돌봄의 목회를 위해 몇 가지를 제언을 함으로 논문을 맺고자 한다. 첫째는 노인을 위한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가 노인을 위한 재정을 과감하게 세우고 투자해서 실질적인 노인목회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노인에 대한 획일적인 편견을 버려야 한다. 즉 노인들은 각각 나름대로의 개성과 독특성과 역할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셋째는 교단적 차원에서 농촌교회의 활성화와 노인목회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넷째로 많은 농촌교회는 아직도 소규모 교회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교회 열악한 형편 때문에 복지에 관심은 있어도 일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도시교회와 연계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에 대한 경제, 의료, 여가 프로그램을 전개해 나간다면 농촌 노인들에 욕구를 조금이나마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선교 전략적인 면에서 노인들도 하나님의 자녀라는 점이다. 교회가 노인문제를 일반적인 효 개념으로 다루지 말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교육하고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갖게 하며 천국에서 소망을 갖게 하는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교회의 농촌 노인 돌봄은 시대적인 요청이며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 농촌교회의 노인복지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 : 익산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장환봉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한국사회의 급격한 고령화 추세의 인구변화는 가족의 노부모 부양기능의 약화와 보호문제,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에 의한 사회와 경제의 활력저하, 의료와 연금을 비롯한 사회보장비용 증대 등의 문제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농촌 지역사회의 고령화 현상으로 농촌지역사회의 노인들의 복지 서비스가 필요하며 노인들의 욕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는 정부와 민간의 노인복지 제도와 서비스는 아주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WTO 출범 이후 점점 피폐화 되어 가는 농촌에서 노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필요성이 더 한층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 면 단위 이하에까지 소재하고 있는 농촌지역교회가 노인복지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익산시의 농촌노인을 중심으로 일반적 특성, 농촌노인의 경제생활, 건강상태, 생활과 외로움, 교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이용의사 등을 알아봄으로서 농촌교회의 노인복지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해지역 교인중 노인계층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정도가 낮으며, 대체로 동거인이 있다. 당해 조사지역의 교회에 출석하는 노인들은 빈고, 고독고, 병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상 문제의 대부분을 종교에 의존하여 해결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는데, 이중 빈고와 병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교회가 역할을 담당하여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인 병고의 경우 신경질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 노인을 위한 교회에서의 복지 프로그램으로는 노인들의 병고를 달랠 수 있는 물리치료실을 설치가 가장 합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opulation change of sudden graying trend of present South Korea society does devitalization of economy with society by fatigue of family's aged parents support function and protection problem, production age population's decrease, is bringing problem of social security expense enlargement and so on including medical treatment and informal confinement. Welfare service of old mans of farm village community need in graying phenomenon of this our farm village community and old mans' desire also becomes various. But, service of old people's welfare system is very feeble by private and government which meet in this actuality. Specially , desire and necessity about old people's welfare service are increasing in farm village impoverished gradually since WTO sailing. Therefore, that farm village community church which is locating in farm village Town unit low is interested and participates actively in old people's welfare service sees that is neces sarily necessary. That is alone with general special quality, farm village old man's economic life, hygienic condition, life and loneliness with Ik- San city's farm village old man. Basis investigation was achieved for old people's welfare program establishment of farm village church that recognizes the desire and service need about church Welfare service. The result is as following. Is consisted of woman mainly by general special quality of old man class of area believer encount ering, and standard of education is low, and people living together is on the whole. Old church beliver s who attend in the survey are suffering from hardship of poverty, solitude, illness, and these life, could know that is solving because depending most of power to religion. Hardship of poverty and illness are occupying most in this case. Nervous temperament patient is examined by the most things in case of illness that is part that can solve because church takes charge role. Establishment examined that merge most phy sical therapy clinic that can soothe old mans' illness as for Welfare program for these old man Investigated physiotherapy Center that establishment can soothe old mans' illness as for Welfare program for these old man by the most suitable thing.

      • 기독교생활협동조합을 통한 도농교류 및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백승엽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과 농촌교회들이 공통적으로 격고 있는, 농촌 문제해결을 위해 도시와 농촌지역의 교회들이, 신앙공동체를 기반으로 교회네트워크를 활용한 교류증진을 통해 농촌교회가 앞장서서,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마을 공동체의 구심적 역할로, 도시지역의 교회들과 연대하여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여 6차산업의 사업적 모델을 찾아보고, 도농상생협력의 방안으로 기독소비자협동조합 등의 사업기회를 탐색을 위함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핵심 주제어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조사를 하였고, 6차산업의 유형별 우수사례를 조사하고, 농촌교회의 지역 활성화 노력과 6차산업을 통한 협력성과와, 교회네트워크를 활용한 도농교류증진에 대한 성공방향을 인터뷰를 통해 조사를 하였다. 또한 도시지역의 교회 신도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6차산업과 기독생협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능성을 ‘SPSS 2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농교류활성화 및 사업기회탐색, 교회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탐색적인 요인분석을 근거로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앙공동체의식을 통한 도시교회 교인의 인식은 교류 유통의 협력형태 즉 전국단위의 특산물을 고루 갖추고 지역적인 조직이나 교회와 교회간의 자매결연 보다는 전국적으로 네트워크가 잘 갖춰진 기독단체나 연합회가 협동조합형태로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다. 교류 유통방향으로, 1차 산업의 농산물 유통에 대한 관심은 농촌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으로 선호하며, 2차 산업의 가공품에 대한 관심은 협력 형태적 특징보다 유통업체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협동조합을 통한 도농교류협력에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산업의 문화, 체험, 관광 부분에서는 팜파티와 식품가공 체험 등을 선호하나, 주말농장 이나 농사일 체험 등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지역 농산물 공급 및 6차산업의 활성화는 신앙공동체 의무감과 신념으로 가격이나 품질보다 농촌지역 교회들이 참여하거나 혜택이 될 때 도시지역의 교회성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기독생활협동조합은 이러한 농촌교회의 노력들을 하나로 묶어내는 매개로서 도농교류의 플랫폼으로 그 가능성이 높다.

      •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농촌교회의 역할 : 구이면 노인을 중심으로

        장대호 전주대학교 지역정책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pertaining to the role of rural churches on the problems of the aged people in the area where the churches are located. Like in many other developing countries, and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world Trade Organization system, rural communities decay quite rapidly not only economically, but physically and psycho-socially as well. In the midst of such a development, aged people in rural areas suffer from various difficulties: lack of financial ability; various forms of disease caused by over-burden of labour; rapid growth of debts; and etc., thus making the whole picture so bleaky. In this regard, rural communities are no more capable of guaranteeing the residents with pastoral dreams. At this juncture, what should the church do for the people who feel themselves to be alienated in the process of rapid social change? How can the church help those people? In this study, those old folks in rural area are, by and large, lonely, deseased, and financially so weak. At the same time, rural churches are not well-prepared to help them solve such problems by their own efforts. As a matter of fact, rural churches are supposed to induce various supports and help from afluent urban churches on one hand, and seek venues to work together with local goverment authoriti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ir own community. In this study, various means are proposed in terms of type, durations, terms of the project, and etc.

      • 농촌교회 노인을 위한 목회상담 연구

        오승대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대부분의 우리 농민들은 농업을 공업의 희생양으로 삼는 우리 사회의 공업 중심의 정치, 경제구조와 자기나라의 이익만을 앞세워 수입개방을 강요하는 외국의 압력에 이삼중의 고통을 겪으며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 더구나 재생산 인력인 젊은이들은 생산과 진보와 발전이라는 우상에 사로잡혀 모두 도회지로 나가고, 정부의 잘못된 농업정책과 외국의 수입강요 등으로 농사짓기가 어려워지자 이농인구는 갈수록 늘어나, 이제는 노인들만이 남아서 농촌을 지키고 있다. 예전 같으면 힘든 농사일은 자식들에게 물려주고, 뒷전에 물러나 손자들을 데리고 할아버지 노릇을 해야 할 나이의 노인들이 아직 까지도 힘들고 끝없는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있는 농촌교회 노인들은 그 누구보다도 따뜻한 하나님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피폐화된 절망의 황무지 상태에서도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와 사랑을 옹호하며, 굳건한 신앙과 소망으로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 숭고함마저 느껴지는 이들에게 목회자는 따뜻한 배려와 도움의 손길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집트 종살이를 하던 히브리인들의 울부짖는 소리를 듣고 그들을 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건지신 야훼 하나님께서 약자들을 위해 만드신 약자보호법의 입장에 서서, 목회상담과 치유라는 방법을 가지고, 한생명을 천하보다 귀하게 여기시고 잃은 양 한마리를 찾아 험한 길을 오르신 예수님의 목양일념을 본받아 농민 목회, 농촌 교회 노인을 위한 목회를 하여야 한다. 목회자는 자신 역시 많은 상처들을 안고 살아가지만, 그러한 자신의 상처들를 치유의 원천으로 삼아, 자기를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찾아 가서 목회상담과 치유를 하여야 한다. 목회자가 목회상담과 치유를 하는데 있어서 개인적이 차원의 상담과 치유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되고, 또한 사회 전체적인 차원만을 강요하여 개개인의 상처들과 맺힌 한(恨)들을 가볍게 여기거나 외면하여서는 안된다. 치유란 좁은 의미로 육체적인 질병의 치료를 뜻할 수도 있으나, 그보다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전인과 환경 전체에 대한 치유를 의미한다. 병든 사람이 사회를 병들게 하지만 병든 사회가 인간을 병들게 한다. 목회자는 농촌의 현실과 농촌 노인들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들을 위해 교회 내 · 외적으로 활용 방안들을 모색하여 적용해 나가야 한다. 지금의 교회 구조 내에서 활용할 것은 활용하고, 고칠 것은 고쳐 나가야 한다. 아직 교회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설교를 잘 활용하여야 하는데, 목회상담의 내용과 방법을 적용시킨 상담설교를 하여야 한다. 또한 목회상담과 치유의 중요한 통로와 방편으로써의 심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목회자가 다른 측면에서 미숙하더라도 목회자로서 의미있는 심방을 잘 한다면 다른 미숙한 점들은 다 이해하고 용납할 수 있게 된다. 목회자는 심방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심방을 통하여 교인들의 사정을 그나마 알 수 있고, 그들의 아픔을 치유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신도를 중심으로 한 소모임과 치유공동체를 형성하여 목회상담과 치유의 영역을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해 가야 한다. 목회자 혼자서 모든 교역을 수행할 수는 없다. 그리고 평신도 역시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유기체로써의 교회를 이루는 지체이며,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할 것으로 부름받은 하나님의 백성이다. 지지 집단으로서 평신도를 중심으로 한 소모임과 치유공동체를 만들어 공동으로 교역을 수행해 가야 한다. 그리고 지역 교회와의 교파와 규모를 초월한 연대가 있어야 한다. 공동의 운명체임을 직시하고 지역의 각 교회들이 연대를 하여서 당면 과제들을 풀어 나가야 한다. 그럴 때에 한국교회의 고질병인 교파주의를 극복하는 실마리를 찾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역 사회와의 연대도 강화하여 지방자치 단체 등에 적극 참여하여 농촌교회 노인들을 위한 연대 사업들을 꾸려 나가야 한다. 지역 사회와의 막힌 담을 헐고, 교회가 먼저 다가가야 한다. 교회당과 교회의 역량을 개방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서 지역의 센타 역할을 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의 역할을 중심적으로 자임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농촌교회 목회자들이 자신들은 목회상담과 치유목회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다고 한다. 그런데 목회상담과 치유목회에 대해서 특별히 배우지는 안았다 하더라도 이미 목회자들은 설교나 기도 그리고 심방과 상담 등 교회내의 활동을 통해 알게 모르게 목회상담과 치유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목회자들이 그 수준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되고,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재충전 교육으로 목회상담과 치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안식년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고, 강연에 참여하거나, 상담 연구소나 단체에서 진행하는 단기간 교육에 참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교단차원에서 목회자 재교육을 제도화하여서, 전문가를 초빙하여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면, 목회상담과 치유목회에 대해 체계적이고 올바른 지식을 갖춘 목회자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한 생명을 천하보다 귀하게 여기시고 험한 길을 오르셨지만 현재의 목회자들은 힘들고 전망이 없는 농촌교회의 목회를 회피하고 있다. 또한 목회상담과 치유를 비롯한 여러 목회적 배려들이, 정부의 잘못된 정책과 행정으로 빚어진 결과와 마찬가지로, 도시와 도시 교회로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면서 정치 일변도가 아닌 품어 줌으로써의 목회상담과 치유목회를 이 시대의 고난받는 자이며 약자라 할 수 있는 농촌교회의 노인목회에 적용하려 하였다. 또한 도시중심적이고 서양의 논리 중심인 현재의 목회상담과 치유의 방법들을 우리의 문화에 맞고, 우리 농촌교회 노인들과 민중의 현실에 맞게 활용하려 했는데, 여러 여건 상 좋은 결과를 내오지 못하고 필자의 의도와 비슷한 사람들의 글을 수정, 편집하는 수준에만 머무르고 말았다. 이 시대의 약자와 고난받는 자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가지고 농촌교회의 노인과 그 외 많은 상처와 아픔과 한(恨)을 지닌채 소외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들의 삶의 구석구석까지 성큼성큼 다가가서 치유하고 품어줄 수 있는 우리식 민중 목회상담에 대한 동역자들의 많은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