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交通事故 防止對策에 관한 實證的 硏究 : 死亡事故를 中心으로

        박세현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자동차 대수는 가속화된 공업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놀라운 증가를 계속 1990년에는 340만대, 2002년에는 1400만대로 급격한 교통수요 및 자동차 교통량으로 인하여 교통사망사고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되었다. 본 논문은 대전 · 충남지역 내에서 2003. 1. 1 ~ 12. 31(1년) 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700여건중 208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사례연구로 대전·충남지역내에서 발생한 교통사망사고 208건에 대한 통계자료, 경찰기관에서 조사분석하고 있는 교통사고 처리대장, 사고 조사기록등을 교통사고처리기록분석표에 의거 각종 자료를 조사하였다. 교통사고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상호 비교 연구한 결과 교통사망사고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자의 개인적 특성은 전체사고의 33%인 69건의 30세이하 운전자에 의해 야기되었고, 면허취득후 5년미만인 운전자 및 무면허 운전자의 비중은 61%나 되었다. 운전경험이 적거나 운전자들이 기다리지 못하는 조급성, 남이보지 않으면 교통법규를 가볍게 여기는등 좋지 못한 운전습관이 교통사망사고의 발생률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되었고, 둘째 교통사망사고의 중요원인인 법규위반행위 안전의무 위반행위가 126건 60.6%, 음주 20건 9.6%, 중앙선침범 19건 9.1%등으로 운전지석 안전운전 불감증으로 인한 교통법규 준수의지가 낮아 사망사고로 이어졌다. 셋째 도로시설면에서는 편도1차로 84건 40.4%로 차지 좁은차로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좌 · 우커브길 27건 13%로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온날(습기) 28건 13.5%로 교통사고에 매우 위험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통사고 발생현장에서 병원 응급실까지에 이르는 응급구호조치가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응급구호 체제가 매우 미홉한 실정 등이 교통사망사고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교통사망사고의 예방과 감소방안을 요약하면 첫째 교통관여자인 운전자와 보행자에 대한 교통법규준수의 체질화, 생활화유도 및 교통관련단체(교통안전관리공단)의 교통안전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언론 매체 등의 홍보활성화에 주력한다. 셋째 도로교통법 및 자동차운수사업법 등의 교통관련법을 통한 규제강화 이다. 넷째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개정과 통고처분제 확대 이다. 다섯째 법규위반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계도와 무인교통단속 장비(과속, 신호)등 확대 설치로 첨단과학장비에 의한 단속을 강화하여야 할것이며 무엇보다 안전교육의 준법질서의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여섯째 도로의 확·포장과 선형, 구배 중앙분리대 등 보수로 도로여건 개선과 함께 교통 안전시설물 확충, 현대화로 쾌적하고 안전한 도로 환경개선이 요망되고, 고속도로, 국도 등의 사고다발 지역에서 강우 등 이상 기후시 교통정보활용등 교통사고 예방활동이 강화하여야 한다. 일곱째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물적 피해가 매우크므로 무엇보다도 사고예방이 중요하나, 이미 발생하였다면 부상자를 체계적으로 구조 및 조치하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부상자를 차량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한 구조장비 및 구조능력, 그리고 현장에서 필요한 응급조치 및 병원에 후송할수 있는 종합적인 응급구조체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상자 구조·구급 의료체계의 개선 즉 조직, 전문요원, 예산 확대들의 과감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우리의 교통사고 현실은 여러 가지 요인의 있겠지만,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늘어나는 교통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도로와 자동차 등 양적확충에만 치중하고 안전성 확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정책 등으로 인해 자동차 대중화시대에 걸맞는 사회 전반의 교통안전문화가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체단체 및 각종 교통안전 단체는 교통안전시설의 확충·개선과 병행하여 국민의 교통안전의식과 교통법규 및 질서 준수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홍보의 적극적인 추진 등 안전관리를 강화해나가야 하고 우리국민 개개인의 교통법규준수의지와 교통안전의식의 개혁, 양보운전의 생활화 등으로 실천의지 공감이 사회적 분위기로 성숙 확산될 때 선진 교통안전문화가 조기에 정착 될것이고 교통사고는 획기적으로 감소하게 될 것이다.

      • 고속도로 조명시설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통사고 및 설계일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고동봉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속도로의 조명시설은 야간에 주행하는 운전자들의 시인성 확보와 쾌적한 운전행동유도 및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한 시설이다. 특히, 고속도로와 같이 주행속도가 빠르고, 도로선형이 급변하는 곳에서 조명시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주/야간 교통사고 발생률을 살펴보면 주간이 약 59%를 차지하고 있으나, 사망자 구성비는 야간이 약 51%로 더 높다. 이러한 야간 교통사고의 원인으로는 시인성 부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야간에는 운전자의 과속 및 법규위반이 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고, 음주운전 및 운전자의 피로로 인해 시인성이 감소하고 위험성은 증대된다. 이처럼, 야간의 조명시설은 교통사고와 운전자의 주행속도 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조명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조명시설의 설치는 과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르므로, 조명시설의 무분별한 설치는 지양해야 한다. 조명시설을 설치하지 않는 구간에 대한 법규는 없음에 따라, 필요에 따른 조명시설 설치가 가능하지만, 도로의 기능과 교통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조명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도로의 기하구조별로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의 세부적인 교통사고 특성 분석과 운전자의 속도 변화 등을 통한 조명시설과 교통안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구간의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 간의 도로 및 교통특성, 사고현황을 분석하여 조명시설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한다. 첫째, 조명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조명시설 / 교통안전 / 고속도로 교통특성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고속도로구간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여 도로구간 내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의 기하구조 및 교통사고 현황을 파악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고속도로 분석구간을 기하구조별로 구분하여 조명시설 설치구간 및 미설치구간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 분석 및 설계일관성 분석을 통해, 교통 안전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기하구조별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의 조명시설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 연구를 통하여 고속도로 구간의 도로 선형과 조명시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조명시설 구간의 특성을 인지하여 도로 조명시설 구간 및 미설치구간의 교통사고 대비 및 교통안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군집분석을 통한 도시유형별 교통사고예측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권민정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통사고는 최근 감소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 고 있다 교통사고 원인 및 추이가 분석 또는 예측된다면 사고의 예방에 도 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예방대책은 교 통사고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도시 특성을 반영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지표를 이용하여 여건이 유사한 도시들을 군 집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들에 따른 교통사고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리고 분류된 유형에 따른 교통사고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렇게 개 발된 교통사고 예측 모형은 교통사고 예측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감소를 위 한 대책의 강구,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 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지역 31개 시·군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6 년 1월 1일에서 12월 31일까지이다. 도시의 도시특성자료들을 바탕으로 10 개의 설명변수를 선정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개의 주요인을 추출하였 다. 이들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한 결과, 31개의 시·군은 3개의 유형으로 분 류되었다. 유형화된 도시 군집들의 교통사고 발생건수, 사망자수, 보행자 교 통사고 발생건수, 보행자 사망자수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 유형별로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된 회귀 모형식들은 결정계수가 0.571~0.992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보이 고 F-검정 결과도 모두 유의하게 나왔다. 향후 폭넓은 자료들을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도시들을 유형별로 좀 더 세 밀하게 분류한모형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 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통사고 예측모형은 회귀분석의 단일 기법을 적용 한 것으로 이보다 더 정교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면 훨씬 예측정도를 높 일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lthough the traffic accident rate has been decreasing, it is still being in a high position. In this regard, we could expect to reduce a traffic accident rate if we found a cause and trend of accident. Meanwhile, a kind of uniformed preven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characters of the city is limited to reduce a traffic accident rate. Therefore, a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characters of the city is required.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s of traffic accident by classifying cities using cluster analysis method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index and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es. As a result, a developed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can be utilized as a way of prevention from traffic accident and to give priorities to policies to reduce a traffic accident rate. At first, cities for this research were designated to only 31 cities in Gyeonggi-do and target period is limited from Jan 1, 2006, to Dec 31, 2006. The Second, reports of the cities regarding general information and traffic accident were collected from concerned agency. The Third, I chose 3 factor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using 10 variable on the basis of the above data. Finally, 31 cities in Gyeonggi-do were classified as 3 clusters which meet the requirement. After classifying, traffic and pedestrian accident of cluster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raffic and pedestrian accident deaths also. The above test and result were used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a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developed regression model ranged from 0.571 to 0.992. It would be better if we could apply a more accurate tool than single tool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levate prediction rate and should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cities.

      • 교통사고후유증 환자의 경·요추의 안정성 및 MMPI에 대한 고찰

        김세진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통사고는 차량 충돌시의 감속이나 가속에 의해 頸項痛 및 腰痛을 유발하여 통증으로 인한 불안감을 유발하고, 가해자와 피해자간에 이해관계로 인한 첨예한 갈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스트레스를 야기하기 쉽다. 본 연구는 2005년 5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동신대학교 광주·목포한방병원에서 頸項痛 및 腰痛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 치료한 환자 57 명을 교통사고환자군과 비교통사고환자군으로 분류하여, 頸·腰椎 彎曲度와 腰薦椎角을 측정하고 MMPI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통사고 유무에 따른 頸·腰椎 彎曲度와 腰薦椎角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頸椎彎曲度의 경우 비교통사고 환자군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통사고 환자의 경우에 전만도가 소실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腰椎彎曲度와 腰薦椎角의 경우 교통사고 환자군이 높은 수치를 보여 교통사고 환자의 경우에 腰椎가 불안정 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사고 유형에 따른 MMPI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통사고 환자는 L 척도, Hs 척도, Pa 척도에서 비교통사고 환자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대상자에서 MMPI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나이는 L 척도, Hy 척도, Sc 척도에 대해서, 병력기간은 Hy 척도, Hs 척도, Pt 척도에 대해서, 치료기간은 K 척도, Hy 척도에 대해서, 증상의 경중도는 Ds 척도에 대해서 정(+)의 관계로 유의하였다. 頸椎彎曲度는 Hs 척도, Ds 척도에 대해서 부(-)의 관계로 유의하여 정상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腰椎彎曲度와 F 척도는 부(-)의 관계를, Ma 척도와는 정(+)의 관계로 유의하였다. 각 변수와 MMPI profile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성별은 Hs 척도, Ds 척도, Hy 척도에 대해, 증상 경중도는 Hs 척도, Ds 척도, Hy 척도, Sc 척도에 대해, 증상호전도과 頸椎彎曲度는 Hs 척도, Ds 척도, Hy 척도에 대해, 腰薦椎角은 Hs 척도, Hy 척도에 대해, 교통사고유무는 Ds 척도에 대해서 유의한 연관성이 있어 교통사고 환자의 우울성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raffic accident(TA) causes insecurity and variable stress including physical injury.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has been known a useful examination to recognize psychoneurotic state comparatively easily through question investig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bility of spinal curvature and MMPI profiles in traffic accident patients.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was the 57 cases of patient who entered a departmen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Gwang-Ju and Mok-po Oriental medicine Hospital, Dong-Shin University from May 2005 to October 2005 for treatment of post neck pain or lower back pain. Total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A inpatients and non-TA inpatient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y were age, sex, onset period, treatment period, Angle of cervical curve and lumbar curve, lumbosacral angle and MMPI profi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accidental type, mean of cervical angle is more low in TA Group. Means of lumbar angle and lumbo-sacral angle are more high in TA Group. But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cidental type, L, Hs, Pa profiles were high scores in TA Group. But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as age increases, L, Hy, Sc profiles were ascending significantly. According as onset period increases, Hy, Hs, Pt profiles were ascending significantly. According as treatment period increases, K, Hy profiles were ascending significantly. According as symptoms get worses, D profiles were ascending significantly.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otal patients, sex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Hs, D, Hy profiles, symptom's grade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Hs, D, Hy, Sc profiles, improvement level and cervical angle were independently related with Hs, D, Hy profiles. Accidental type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D profiles. O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tability of spinal curvature according to accidental type. Bu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MMPI profiles, TA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 profiles.

      • 자전거교통 사고예측모형 및 개선대책 개발에 관한 연구

        남창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등 전 세계적인 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구현을 위해 대표적인 무동력·비탄소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자전거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그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 및 사고 자료를 제시하고 최근 3년(2009년 ~ 2011년)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자전거교통사고를 수집하여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전라남도 자전거 사고 자료를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자전거 사고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고, ‘SPSS Statistics 21’의 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때 자전거사고건수는 도로형태(교차로, 횡단보도, 기타단일로)별 연장에 따른 사고건수를 사용하였다. 도출된 사고예측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도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자전거 사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예측값과 실제 사고건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자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제사고건수와 일치하는 것을 통해 사고예측모형의 신뢰성을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거도로 문제점 분석을 위해 현재 자전거 이용 및 자전거도로 만족도 설문조사 및 자전거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과 자전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자전거도로 계획 및 재정비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되며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法人 택시 交通事故 實態分析 및 豫防對策에 關한 硏究

        김동환 明知大學校 交通觀光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택시 교통은 택시요금의 저렴, 수요의 과다로 인하여 외국에서와는 달리 일종의 대중교통수단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택시 본래의 고급도시교통수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사업용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를 차종별로 나누어 자동차 1만대당 사고율로 나타냈을 때, 시내·고속버스를 제외한 차종 중에서 택시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사망자와 부상자가 사업용차량 평균치를 각각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준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높은 교통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택시의 교통사고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고예방대책을 강구하였으며, 사고 실태분석에 의해 도출된 주요내용과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와 택시 교통사고 실태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시운전자에 대한 업종별·근무형태별 적정 근로시간을 법으로 정해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방안 검토 및 세제혜택,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경영난 해소와 더불어 근로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운전자 관리측면으로서 택시 운전자에 대한 별도의 운전면허 발급 도입 필요성 제시 및 교통안전교육 확대시행, 실기중심의 실질적인 체험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운전정밀검사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채용 시 또는 채용 전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그동안 교통사고의 원인이 대부분 운전자의 과실로 처리되던 분석에서 탈피하여 도로, 환경, 근무형태 등 업종과 지역특성에 맞는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으로 규명하여야 할 제도마련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차령제도가 존속되면서 임시검사에 의한 1년 연장운행을 하면서 서비스개선은 물론 택시 운수업체의 경영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므로, 대신 해마다 정기적인 자동차검사를 실시하여 운행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도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운수업체 자체의 부실한 안전관리 측면에 국한된 교통안전 진단을 지양하여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물 등이 포함되는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토록 하고, 택시 교통사고와 관련한 통일되고 다양한 기초자료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이들 자료들을 활용한 교통안전대책 수립과 추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택시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쾌적한 안전운행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택시 운수업체의 운행실태 분석 및 교통사고 발생현황 등이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규명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 관련기관을 중심으로 분석체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Contrary to foreign case, Korean taxi system is characteristic of public transportation by a low price and excess of demand. Therefore, the fact is that taxi cannot perform the original duty, that is, the function of urban premium transportation in Korea. Taxi shows the highest figure among business vehicles for the accident rate per 10,000 cars with the exception of local or express bus. Additionally both the death and the injury toll of taxi accident exceed the average of business vehicle. These things have been threatening the safety of taxi as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e analysis of taxis high accident rate and the considerations for precautionary measures based on the actual accident analysis. The results, for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actual analysis of taxi acci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t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enforce the regulations for proper work hour of taxi driver, bolster up the taxi business proprietor with favor of taxation and subsidy, and improve the taxi drivers work conditions. Second, it asserted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 the special issuing system for taxi drivers license. Also, pre-test for employment, such as expansive enforcement for safety education and driving-oriented practical and empirical educa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assure the effectiveness of precision driving test system. Third, in the meantime, the causes for most traffic accidents have been considered drivers faults. In a different way, this thesis presented the system, which closely and systematically examines road conditions, environments, and work conditions as causes of traffic accidents. Fourth, the present vehicles age system makes every year license issued by temporary examination. However, it has not been helpful for neither the management of the taxi business proprietor nor taxi service improvement. Instead of the temporary examination, system improvement, such as a periodical car inspection, is needed in order to secure safety 06 taxi. The fifth, the traffic diagnosis by the taxi company itself has been improperly executed with some limitation. This thesis considered a comprehensive and practical counterplan including road conditions and traffic facilities. Also it suggested the needs to establish and drive forward traffic safety plan with database of various basic data related with taxi acc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axi transportation is the safety service. To accomplish the duty,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 should lead the activities to settle down the system that can fully analyzes and closely examine the actual operation for taxi transport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s for taxi accident.

      •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의 청수손상부위가 삶의 만족도애 미치는 영향

        박창윤 평택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이 일상의 현장에서 다양한 삶의 모습 에 차이를 발견하고 근본적 원인이 교통사고 척수손상부위에 있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은 재활병원을 퇴원한 후 변화된 환 경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 기 위한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차 자료인 2018년 척수장애인 욕구·실태조 사 보고서의 데이터를 근거로 조사자료를 활용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로 교통사고 척수장애인 304명 중 241명을 선별하였다. 매년 교통사고 척수장 애인은 증가하고 있으나 교통사고 중증 척수손상장애인에 대한 정확한 실 태조사와 현장에 대한 욕구의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양적 연구방법으로 인구·장애 사회학적 조건의 기술통계와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한 분석으로 t-test, ANOVA분석과 삶의 만족도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 적 연구방법으로 심층면접법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 통사고 척수장애인에 대한 처우와 삶의 질이 개선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 망한다. 분석결과에서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의 척수손상부위가 삶의 만족도 에 영향을 끼치는 분석을 보면, 교통사고 경수장애는 흉수나 요수부위보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통사고 흉수손상부위와 요수손상부위가 경수손 상부위에 비해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에 의한 척수손상부위별 차이가 통계적으 로 입증되었고 연구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복지의 중증과 경증의 이분법식 구분에서 교통사고 척수손 상장애의 유형을 법정장애유형으로 세분화를 원한다. 둘째, 선진교통문화 정착과 교통사고 척수손상으로 인한 삶의 만족도의 개선과 생존을 위한 재단법인을 설립한다. 셋째, 교통사고 척수손상장애인의 가정 해체를 막고 - iv - 생활 보존을 위한 가족 지원 등이 필요하다. 넷째,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건강 유지를 위해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우리 사 회에서 교통사고 척수장애인은 행복을 누릴 권리가 있다. 교통사고 척수장 애로 인해 차별 받지 않고 일상의 현장에서 존귀함을 누려야 한다. 더 이 상 재활의 어려움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 의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신동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현재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1998년 총 239,72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9,057명이 사망하고 340,564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정부의 지속적인 교통사고 예방(감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것은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미흡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사고 예방(감소)을 위한 정부정책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보완점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 교통사고의 현황를 살펴보면, 첫째 교통사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1988년에는 올림픽을 치른 이후 국내 차량 보유대수의 급증으로 고통사고 발생건수도 전년 대비 45%이상 증가한 바 있다. 둘째 월별 교통사고 현황에서 5월과 8-10월의 사고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데, T-Test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셋째, 일별교통사고 현황에서는 토요일과 월요일에 발생건수가 많으나, T-Test를 통한 검증결과 통계적으로는 별의미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보행자 교통사고와 사업용 차량사고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데, 음주운전사고 발생은 증가하고 있어 향후 정부정책의 방향점을 시사하고 있다. 정부의 교통사고예방정책의 효과를 점검해 보면, 그간 4차례 걸쳐 실시된 교통안전기본계획에도 불구 교통사고 발생건수은 감소하지 않고 있어 정부 정책이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정부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는 월별 또는 일별 교통예방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고, 음주운전사고를 대별되는 법규위반사고는 적발의 편의성 보다는 예방과 국민의식 개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Korean Government's Role to Reduce Traffic Accidents Kim, Shin-Dong Graduate School of Economics Sogang University Traffic accident is not a trivial phenomenon these days. In 1998, Korea witnessed 239,721 traffic accidents in which 9,057 people died and 340,564 were injured. Withal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we cannot help concluding that those efforts have not been very efficient in reducing traffic accidents since the trend of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does not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ose effor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ess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in the past, to point out the problems in those policies and to suggest better policies for the future. For the study traffic accidents are limited to car accidents on the road. Major factual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car accidents is increasing over time except for 1992, 1995, and 1997. The sharpest increase happened in 1998 with the increase rate of 45%.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e influx of cars caused by the Olympic Games. Second, there are more accidents in Saturday and Sunday than in other days. The difference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ar accidents across months. Fourt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number of car accidents from drunken driving and the efforts to reduce drunken driving. Evaluating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car acci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factual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ose efforts have not been efficient in reducing accidents. There have been four major changes in car accident policies. However, we could not observe significant effects after the changes. Therefore, the car accident policies should be reshuffled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reduce car accidents. Second, the government's efforts do not consider the differences in car accidents across days and months. Since the number of car accidents is varying over days as well as months, the government's efforts should also vary according to the trends. Third, the focus of the efforts to reduce drunken driving accidents should move from punishments to prevention since the emphasis on disclosure and punishment in the past turned out to be inefficient.

      • 擴張國道에서의 交叉路 交通事故에 影響을 미치는 道路環境要因에 關한 硏究

        고주연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속한 자동차의 보급과 경제성장으로 지역간 교류가 증가하여 국가의 간선도로망 확충의 목표로 국도의 확포장 사업이 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 결과 국도가 고속화 도로로 계획·건설되므로써 기존의 신작로격인 지방도나 진출입로등 낮은 등급의 도로와 개선없이 그대로 연결되어 형성된 교차로에서의 교통안전 및 주민의 접근성 문제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국의 교차로 설계기준을 비교 하여 우리나라 설계기준의 미흡한 점을 파악하였고, 확장국도상 교차로 교통사고 자료와 도로환경요인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들 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로환경요인을 형태적 요인, 구조적 요인, 교통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각 요인에 따른 교통사고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차로 설계기준은 이론적, 개념적이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려우며, 도로의 기능과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임이 확인되었다. 도로환경요인과 교통사고의 관계에서 확장국도상 교차로에서 교차각과 출발시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즉 교차각과 시거에 따라 교차로를 분류하였을 때 교차각이 직각이며 시거가 확보된 교차로가 낮은 교통사고율을 나타내었다. 또 교차로에서 선형은 사고발생 위치, 교차가로 등급은 사고발생유형, 종단구배는 사고발생위치와 유형에 모두 영항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Traffic safety and residental-accessibility on the intersection which have been joined widen highway with existing local way are raising a social problem. This paper seized the relationships highway environmental elements and traffic accidents on the intersection, and through eliminating the traffic accidents cause affecting driver and pedestrian then, contribute qualitative elevation and traffic safety of highway systems In view of the result, Angle of the intesection and sight distance are the more important element than ohters on the intersection which have been widen highway. Curve of the intersection affects accident location, class of the minor road affects accident type, and grade of intersection affects accidents location and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