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방안 모색 : 명지대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이하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교육대학원의 인기는 높을 수밖에 없다. 교육대학원은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자 설치된 특수목적 대학원이기에 현직교사에 대한 연수 기능은 물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양성 교육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대학원의 상황에서 각 대학원에선 시행되고 있는 그 제도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점검해 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너무나 방대하기에 다 살펴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참여관찰 조사 방법론을 원용하여, 필자가 경험한 바 있는 명지대학 일반사회과의 교육시스템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점검해보고, 명지대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일반적인 교육대학원의 현황도 살펴봄으로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피교육생들에게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대학원 제도 시스템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혹은 명지대 내에서의 적용상의 문제인지를 규명할 필요도 있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원인과 함께 해결 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전공과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전공은 인기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타전공과 비교했을 때 공부해야 하는 전공분야가 많고 그럼에도 과목당 취업경쟁률은 높다. 게다가 주요과목이 아니기에 중요성도 타 주요과목에 비해 떨어지기에 인기가 낮고 그러다보니 교육대학원 내에서 일반사회전공의 중요도는 떨어지고 학생들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사회전공이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찾을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일반사회전공도 다른 주요과목전공과 같은 주목도와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리라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명지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이란 작은 범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기에 이 한 가지 연구만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미흡하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일반사회전공이 발전하고 명지대학이 발전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한 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일반사회전공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재 2007년도까지 전국 소재 교육대학원의 설치학교는 국공립과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134개 대학이며 그 중 총45개 대학(공립 1, 국립 15, 사립 29)에 일반사회교육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다.(중앙대의 일반사회 및 윤리교육전공은 제외시켰다) 그 중 사립 대학원 중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 전공의 교과과정이 실 수요자인 학생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위취득요건이 대학원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융통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의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논문지도 과목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서관 이용과 관련하여 대출권수 확대와 대출기간의 연장과 열람실의 확충이다. 여섯째, 전임교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 스스로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대학원의 설립 배경 및 설치 현황과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그리고 양적 성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등을 자료로 제공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중심이 특정 대학의 특정 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대부분 이차 자료만을 활용하고 필자의 개별적 경험에만 의존한 자료도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엔 많은 보완을 요구한다. 본 필자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대학원을 대상으로 각 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과정을 비교 분석 연구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 모든 전공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화 된 외국 교육대학원의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통한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육과정 정립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대학 내 조직과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의 대학은 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존재감과 그동안의 성장에 비해, 체계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기는 어렵다. 대학기관에서 대학기록관 운영 및 대학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고, 대학기록관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대학 구성원의 인식, 대학기록관의 역할 등 활성화 부분은 부족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대학기록관 자원의 특성과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와 산업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추구하는 사례, 그리고 대학 관련 사회적 이슈에 따른 대학조직 개편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했다. 이에 연구 목적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확인하고,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의 적절한 조직과의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를 분석했다.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분석에서는 대학기록관과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대학 본부, 총학생회, 총동문회, 학부 및 학과 등과의 협력 사례를 수집 분야, 전산화 분야, 공간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이 대학 내 조직과 각 분야에서 어떤 협력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파악하며 시사점을 도출했다.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융합된 기관은 어떤 공간 구성을 갖추며, 그 속에서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했다. 그리고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 및 명지대학교 내 조직의 협력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일부 조직과의 협력 가능성을 파악했다.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협력 및 융합 사례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협력 가능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점은 극대화하고, 아쉬운 점은 보완하는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학사료실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집 분야에서는 규정에 자료 교류 및 협력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수집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전산화 분야에서는 규정에 기록관리 관련 전산화 부분을 명문화하고, 전산화를 수행하며, 이용자의 온라인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공간 분야에서는 대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상업 공간·휴식 공간·메이커스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복합공간을 추구해야 한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교육 및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대학의 필수 이수 과목인 채플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대학 내 조직별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으로는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총학생회, 총동문회, 대학 본부 등 대학조직에 대학사료실이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지원하며 관계를 형성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나아가 해당 대학조직의 기존 프로그램, 행사, 기능 등을 활용·연계하는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를 통해 제안한 내용은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모든 대학기록관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지며,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다양한 협력 사례를 정리하고, 협력에 초점을 맞춰 개선방안 및 협력 방안,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한 부분은 협력을 시도하는 기관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orean Universities are systematically unable to look back on themselves compared to their status in modern society and their growth so far.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of university archives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Althoug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has been revised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archives has increased, there are still regrets in the activation part such a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and the role of university archive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ality,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considers many things that includ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rchives resources, cases of pursuing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related to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decide that the study on ways to activate university archives is necessa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lan to invigorate the university archiv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the university. The detailed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The first goal is to analyz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internal organizations of university by examining various cases. Second, it is to present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by business fields. Third, it is to propose a solution about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and expanding the service.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University Archive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the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complex cultural spaces. The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rchive,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headquarter and student council, is divided into collection, computerization, space, and service field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operation projects the University Archives is conducting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in each fields and what effect it is getting. Also,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cas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larchiveum,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used institution and the role of the Archive are found out. In addi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university is identified. Considering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archives,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and the situation of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it proposes ways to cooperate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in the university to maximize benefits and supplement disappointments. Cooperation plans for each business field to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collection, data exchange and cooperation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gulations, and data collection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area of computerization, the computerized part should be provided in the regulations and the online accessibility of user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space, university spaces should be efficiently utilized and complex spaces including commercial spaces, rest spaces, and makerspace should be pursued. In the service sector, services linked to user educ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 non-subject program or a required course at a university should be planned. As a wa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each organization within universities, this study emphasized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actively approach, support, and form relationships with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student council, university headquarter. Furthermore, it suggested an extension service plan utilizing the existing programs, events,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ince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ducted based on the case of Myongji Univers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ll university archives. However, further cooperation is taking place today,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s highlighted.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organize various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and expansion service solutions with a focus on cooperation.

      •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이창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기록 관리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서 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록관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적용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선정하고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이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챗봇 도입, 챗봇의 수준 결정, 이용자 요구 분석, 챗봇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대화식 상호작용을 위한 구문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와 기록관 챗봇 구축의 시사점에 대한 논의는 기록연구사가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여 기록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Records management is evolving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to utilizing them, but there are still many potential users who are not aware of the existence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at suppor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nd it examined the specific development procedure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e Archives of Myongji Univers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tbot, analyzed user requests and questions, and proposed a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Chatbot development. After building the Chatbot based on IBM Watson Conversation and KakaoTalk Messenger, we were able to find how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interacted with the user through a pilot run process. Als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e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Chatbot, the analysis of the user requests, the selection of the tool for the Chatbot, and the syntax setting for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atbot will help the archivist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o the archives.

      •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의 불안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미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는 불안 요소를 찾아 불안적 특성을 범주화시킴으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불안을 감소시키고 학교 적응을 도우며, 더 나아가 건강한 음악치료사로서 준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M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을 때,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 17명을 모집하였다. 참여자들은 세 개의 다중 그룹 편성에 의거하여 음악치료 그룹, 비디오 시청 그룹, 통제 그룹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음악치료 그룹의 임상 실험은 주 1회, 45분 세션으로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1회기와 10회기에 각각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된 불안과 학교적응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의 불안적 특성을 학문적, 임상적, 음악 기술, 진로 4가지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이것을 참여자들의 음악 전공 여부에 따라서 분석하였는데, 학문적, 임상적, 진로에 대한 불안 요소에서는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음악 기술면에서만 음악 전공 여부에 따른 불안 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결과 1에서 나타난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들의 불안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로 시행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었다. 불안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로는 음악치료 그룹의 상태-특성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2.25% 감소했으며, 비디오 시청 그룹은 1.58% 증가하고, 통제그룹은 2.8% 증가했다. 이를 통해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신입생의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학교적응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로는 음악치료 그룹의 학교적응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6.61% 증가했고, 이에 반해 비디오 시청 그룹은 0.59% 감소했으며, 통제그룹은 2.43% 감소했다. 이를 통해서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다. 넷째, 음악치료 프로그램 상에서 나타난 질적 분석에서는 참여자의 개별적인 불안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룹 음악치료 안에서 서로 긍정적으로 지지하며, 해결하는 과정 가운데서 불안이 감소하고 그룹 간의 친밀감 형성을 통한 학교 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 신입생으로서 겪는 불안 요소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불안 요소들을 감소시키며 학교 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인 중재로서 노래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anxiety factors specific to new post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nd catego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nxiety, and by doing so, to reduce their anxiety through a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nd help their school adaptation, and ultimately to prepare them as effective music therapis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of M University in Seoul. Seventeen music therapy students were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 procedure and objective of the research were explained to them.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music therapy group, video watching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no intervention. The music therapy group received a song-focus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throughout over the 10 sessions (45 minutes per a session), and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in session 1 and 10, respectively, using an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scale readapt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xiety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y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ademic demands, clinical practices, music skills and future careers. These types of anxie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major (music majors vs. non-music major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ademic, clinical and career anxiety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majors, but anxiety about music skills was different between music majors and non-music ones. Second,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pplied as an intervention to reduce the anxiety factors observed in the new post 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s presented above reduced their anxiety and helped their school adaptation.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students' anxiety, the music therapy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state-characteristic score by 2.25%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at in the pretest, but the video watching group showed an increase by 1.58% and the control group an increase by 2.8%.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new post graduate students' anxiety. Third, i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school adaptation, the music therapy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school adaptation score by 6.61%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at in the pretest, but the video watching group showed a decrease by 0.59% and the control group a decrease by 2.43%.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helping new post graduate students' school adaptation. Fourth, in the qualitative analysis made in the course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e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anxiety was reduced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each participant's personal anxiety factors, inducing the participants to support one another positively and relieving anxiety and that their school adaptation was helped by the formation of intimacy among the group member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anxiety factors experienced by new post graduate music therapy students and executed a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as an intervention effective in reducing such anxiety factors and helping school adaptation.

      •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이유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러한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민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은 대학의 기능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대학 기능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물은 기록물이 생산된 시점에서의 각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모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행정기록물의 한계점을 보충하는 기제가 되며, 연구적 활용성을 가진다. 사회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은 새로운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적 역사 및 문화를 기록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창의적 자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개인적 측면에서 학생 기록은 지적 활동의 산물이며 학창 시절 기록으로써 부분적인 생애사적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학생 기록물이 가지는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학생 기록물은 서로 다른 주체가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며, 분산되어 있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워,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 측면에서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학생 관련 기록물'의 수집·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의 체계적 수집을 통한 기록의 보존 및 효용성 제고를 위해, 학생 관련 기록물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 대학의 관리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명지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기록을 행정 기록과 교육 기록, 학생 활동 기록의 세 가지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 중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수집·관리 및 서비스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 기록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 영역을 ‛학생 관련 기록물'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교육 기록', 교육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교육 외 ‛학생 활동 기록'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영역별로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에 적합한 영역별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학생 관련 기록물에 가치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의 생산 현황에 따른 제안을 하였지만, 이는 대부분 일반 대학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들은 대학 내 학생 기록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여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대학 기록의 범주 안에 명확히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대학 기록관 및 도서관의 수집 정책을 성문화 시키는 것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디지털 형식의 기록 수집, 기관 협력과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설치 등의 방안을 통해 학생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are important for the three aspects of university –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university, the student records help to identify the subjective aspects of each memb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cords,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has research utility. From a social aspect, the student records can record the social history and culture of the pres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it plays a role as a creative resource in society. Lastly, on the personal aspect, student records are the product of intellectual activity and can be part of life history records. However, the student records are very large and distributed in quantities produced by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the student record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remain at a sluggish stage in terms of university perform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serv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collecting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udent related records were examined and the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the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o present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centered on Myongji University cases. In this study, the student records consisted of three areas : administrative record, education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Among these, the record area except for the area of administrative records in which the research is continuously performed was defined as 'student related record'. And 'Records related to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 record',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This study investigate three areas suggesting a few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the Myongji Univers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anagement of student related records, very few cases of valuing various student-related record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records. In this study, the proposal was mad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tatus of Myongji University, this can be applied to general universities as well.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to empathize with the need for management, and to ensure that student related records are clear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university records. In addition, codification of collection policies of university archives and libraries should be the basis of managing student related records. The collection of digital records,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digital repositories will be an effective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 related records.

      • 청소년관련학과 설립과정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예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전문성을 갖춘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기반조성을 위해 설립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역사적 접근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에서 논의한 자료와 문서를 중심으로 사료를 수집했다. 특히 정부 및 국책연구기관에서 발행된 조사결과물이나 심의회 보고서, 대학 및 부설연구소등에서 발간된 논문 및 보고서와 자료를 중심으로 사료를 수집했다. 또 인터뷰 방법을 통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과 관련된 관계자들을 인터뷰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대상으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를 선정한 것은 국내에서 최초로 설립된 청소년관련학과로 대표성을 가지고 있기에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를 선정했다.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은 어떻게 되는가?’셋째,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등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배경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정책적 토대가 된 한국청소년기본계획을 살펴봤다. 한국청소년기본계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와 각 행정부처, 시·도, 국민공청회를 통해 의견수렴을 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를 양성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기반 조성을 위해 청소년 관련학과를 대학에 설립해야한다는 내용이 한국청소년기본계획에 반영되었다. 둘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살펴보았다. 명지대학교의 오치선 교수가 ‘청소년지도학과 신설 계획’을 명지대학교와 교육부로 학과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제출한 후 한국청소년학회 회장과 체육청소년부 장관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교육부로 보냈다. 이에 교육부에서 ‘대학 25413-1041’의 인가번호로 인가했고 명지대학교 서울캠퍼스 인문대학에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가 신설 및 인가되었다. 하지만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학생정원에 대한 문제가 생겼는데 체육청소년부와 교육부의 협조로 91년 11월에 열린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에서 조건부 원안대로 가결함으로 학생정원을 확보했다. 셋째,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커리큘럼은 92년 1월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커리큘럼에 대한 토론을 거쳐 만들었다. 이 토론에 참가한 인원을 살펴보면 정부 관계자와 국가연구시설, 청소년학계와 청소년 단체가 참여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도 청소년지도자 양성방안과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1991년과 1992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이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연구의 결과와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을 비교했을 때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이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살펴봤다. 본 연구를 통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과정과 교육과정을 만드는 과정에 체육청소년부와 명지대학교 그리고 청소년 관련 학계 및 전문가가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들어진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의 과목들이 후에 국가공인자격인 청소년지도사 자격에 필요한 과목으로 지정되었기에 청소년학의 기반조성을 마련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Guidance at Myongji University,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leaders with expertise and the foundation of youth studies, through a historical approach. In this study, fodder was collected based on the data and documents discuss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particular, feed was collected mainly from research results, council reports,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governments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papers and reports published by universities and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view method, the interviewees were analyzed by interviewing the person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Myeongji University's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s it was the first established youth-related department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Second, '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Third, ' What i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foster professional youth leaders? '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order to find out, we looked at the basic plans for youth in Korea, which became the policy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Korea Youth Basic Plan, it was suggested that experts and professional ministries should be nurtur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through administrative ministries, municipalities , and public hearings. Therefore, it was reflected in the Korea Youth Basic Plan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department related to youth in universities in order to cultivate professional youth leader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youth studies. Second, '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order to find out, I looked a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he ohchiseon professor of Myongji University ' youth department map new plan , the application submitted an application to the Department of Myongji Universit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fter submission, the President of the Korean Youth Society and the Minister of Physical Education and Youth sent opinions about the need for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 University 25413-1041 " Is he the authorized number of Myongji Myongji University in Seoul campus has been applied to the new school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and the College of Humanities. However,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adjustment Planning Ac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student quota.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etropolitan Area Reorganization Deliberation Committee, held in November 91, secured the student capacity by passing the conditional proposal. Third, ' What i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train professional youth leaders? In order to find out, I looked 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Firs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as created in January 92 after discussion o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Looking at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is discussion, government officials,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youth academia and youth groups participated.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lso conducted two studies in 1991 and 1992 to prepare a youth leader training plan and curriculum . Therefore,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ith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were similar.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hich was established to cultivate professional youth leaders and lay the foundation for youth studies, by applying a historical approach.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Youth Department of Myeongji University, Myongji University, and academia and experts related to youth were closely consul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of Myongji University. At this time ,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ere later designated as required courses for the qualification of a nationally qualified youth instructor. Keywords: Youth Studies, Historical Approach, Youth Leadership Development,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인식도 조사 연구

        박민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 need for music therapy is increasing, the significance and professionalism is strongly emphasized while the demand for music therapy is growing.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rvey with 100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All subjects were currently enrolled in 4 different graduate programs, each of which has a full-time professor,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to improve current music therapy curriculum to be effective for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by surveying the students' opin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ents, the perception of music skills, the perception of therapeutic skills, and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bject ‘music therapy techniques'(23.2%) was identified as highly regarded topic as important subject matter. Respon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kills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previous major areas; music vs. non-music major. Therefore,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the diversity of one's undergraduate major was raised in the graduate level. Regarding the therapeutic skill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um, students in the third level practicum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whereas students in the observation level presented the lowest average score. Also ’Counseling and psychology related subjects' was the most preferred subject (19.7%). 'Professionalism as a music therapis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dicated by the respondents(51.8%), the most preferred population w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dolescents(42.3%), and the most preferred workplace was hospital(48.3%). Overall, general information and perception regarding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described, and the results implies the importance and needs of future music therapy curriculum development. 음악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음악치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음악치료 교육의 전문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치료 교과과정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음악치료 전임교원을 확보한 4개의 대학원 SM대, EH대, MJ대, SS대의 음악치료전공 학생들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치료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대학원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의 방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이 가장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이 음악치료기술(2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원 진학 전 전공이 음악전공인 학생들과 음악 외 전공인 학생들의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역량 및 자신감이 다르게 나타나, 학부 전공의 다양성에 대한 석사과정에서의 적절한 대안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치료기술 영역에 대해 실습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세 번째 실습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관찰단계의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개설을 희망하는 과목은 전체 응답자의 19.7%로 상담 및 심리학 관련 과목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은 현재 음악치료사가 되는데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51.8%), 가장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희망하는 대상군은 장애아동 및 청소년(42.3%), 기관은 병원(48.3%)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이 인식하는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지식과 역량에 맞는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 국내외 과학(화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정지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내 교육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과 미국 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바람직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 9곳과 국외 대학원 3곳을 대상으로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 실험 및 평가로 나누어 교과과정과 총 이수학점을 분류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과 국외 대학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원은 교과명칭이 단순하고 교과 내용학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며,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으로 교과과정이 분류되어 있는 반면 국외 대학원의 경우 교과명칭을 분류하기 쉽지 않았고 실험과 실습에 주된 관점을 보였으며, 석․박사 학위 과정과 교육실습 과정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국내 교육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며, 연구․기타라는 다소 애매한 교과목을 보이는 반면에 국외 대학원은 집중양성 또는 차별화 된 프로그램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고, 필수․연수라는 대학원에서 제시하는 교과목을 이수하게끔 하는 교육과정을 보인다. 총 이수학점의 경우 국내는 30학점 이상인 교육대학원의 대다수이고, 국외의 경우 대학원에 따라 이수여부의 다양함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국내는 연구법과 같은 교육의 개념이 대부분인 반면에, 국외의 경우 실습과 연수,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교과과정 및 학점이수 상황에서도 미국의 교육대학원은 그 기준이 다양하며 각 교육대학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형식을 보였다. 이와 같이 교과 내용학에만 치중해 있는 국내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해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화학 교과과정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해 본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education curriculum in US and Korean universities is being performed to gain useful reference data so as to develop a newly organized and improved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Chemistry courses and credits in a total of nine chemistr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ree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o be compared based on major course, professional course, experiment, and valuation. Each university in Korea has a simple name for its curriculum, tends to lean to major course, and has divided the curriculum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However,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name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US universities, which mainly pay attention to experiment and practice and classify their courses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In addition, Korean universities show general graduate school and somewhat ambiguous courses such as study/etc., but US universities show intensive or their own specialized courses as well as courses such as requirement/ internship, which their graduate school requires. Concerning total number of credits for a major, most Korean universities require more than 30 credits, while US universities have a variety of standards. As a whole, while Korea mostly has concepts of education such as comparative, the U.S. mostly has techniques of teaching such as practice. Korean chemistry curriculum, leaning mostly to major course, seem to need to be studied for the systematic thesis which suits the current graduate school situation and character. However, the condition of the curriculum or credits in US universities have diverse standards and reflect their own uniqueness.

      • 대학Musical 제작 실습 학습 모형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졸업공연<지하철1호선>을 중심으로

        서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에서 실시되는 뮤지컬 제작실습 학습의 모형을 도출하여 제작실습 자료들을 분석, 정리하고 표준화함으로써 대학에서의 뮤지컬 제작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목적으로, 명지 대학교 Musical 학과 학생들이 실시한 졸업공연 <지하철 1호선>의 공연 기획서부터 제작 과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정리 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연 제작 시스템을 확립하여 실제 제작실습을 할 때 예비단계, 제작실습 작업 단계 및 제작실습 후 단계에서 체계적인 분석을 해서 보다 발전적인 공연, 제작에 도움을 주려고 했다. 실제 명지 대학교 뮤지컬 학과의 졸업 공연을 모형으로 그동안의 준비경험과 뮤지컬 제작에 활용한 제작서 및 관련 문헌들을 수집 그리고 조사하여 명지대학교 졸업공연을 모형으로 대안을 제시하여 대학교 뮤지컬 공연에서 효과적인 제작실습 모형을 연구하여 보았다. This study purports to produce a musical model created by college students, and also to analyse the related materials, organize their results obtained and standardize its model produced in order to help save manpower and time effectively for the later utilization of this college musical production model.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college students of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as their graduation requirement is used to conduct this study and its scope covers the analysis of the preparation stage up to the production stage as well as the post production job to help produce better college musical production. By means of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for requirement of their gradu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referenc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sents the musical model created by Myungji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