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임희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가족 중에 정신분열병 환자가 발생하면 그 가족구성원들은 불안, 우울 및 적개심, 죄책감, 공포감, 수치심, 분노 등의 정서적 반응과 고통이 나타나며, 환자의 질병이 만성화되어감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손실 등을 경험하게 되고, 가족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악화되거나 가족 내 갈등이 증가하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은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고통과 부담을 갖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에게 있어서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것은 결국 가족 내 스트레스와 긴장을 초래하게 되며 가족의 적응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에 가족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적응을 증진시키는 중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가족극복력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위한 중재는 자가 관리 및 잠재적 능력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나 주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에 초점을 맞춰왔다. 더군다나 간호사는 임상현장과 지역사회에서 환자의 증상과 가족의 상황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할 수 있으므로 간호학에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위한 가족극복력 중재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긍정적인 적응을 이끄는 가족강인성, 가족일관성,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위기 대처전략, 사회적 자원을 증진시키는 가족극복력 증진 간호중재법으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McCubbin과 McCubbin(1993)의 가족극복력 모델과 관련 문헌고찰을 토대로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으며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은 2010년 5월부터 7월까지 예비 프로그램 작성, 내용타당도 검정 및 최종 프로그램 개발의 순으로 진행하였고 연구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0월 30일까지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로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병원의 정신과를 이용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7명이 최종적으로 참여하였다.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하여 총 10회 진행되었으며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개발하였고, 가족강인성 증진, 가족일관성 증진,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증진, 가족위기 대처전략 증진, 사회적 자원의 증진을 위해 정신분열병의 이해, 가족의 규칙과 강점 확인, 가족의 위기 상황 파악과 관리방법 찾기, 가족의 의사소통 확인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바람직한 문제해결 방법, 가족의 자원 활용에 대한 집단교육과 교육, 토의, 시범 및 훈련, 지지·상담, 역할극, 피드백 등으로 구성하였다. 각 회기의 세부적인 내용은 Anderson 등(1986)의 정신교육적 가족치료와 Bernheim(1982)의 지지적 가족상담 모델을 응용한 가족교육 프로그램 및 가족치료 프로그램 등을 기초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제공 직전과 직후에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대상자에게 가족강인성, 가족일관성,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위기 대처전략, 사회적 자원, 가족 적응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McCubbin, Patterson과 Thompson(1991)이 개발한 가족강인성 지표(FHI : Family Hardiness Index)를 한금선(2004)이 수정한 척도, Antonovsky 와 Sourani(1988)가 개발한 가족일관성 질문지(FSOCQ : Family Sense of Coherence Questionnaire), McCubbin, McCubbin과 Thompson(1988)이 개발한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FPSC :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McCubbin, Olson과 Larsen(1981)이 개발한 가족대처 및 문제해결전략 척도(F-COPES :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를 한금선(2004)이 수정한 척도, McCubbin, Patterson과 Glynn(1982)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지표(SSI : Social support Index), Olson, Porner와 Lavee(1985)가 개발한 가족 적응 평가척도(FAS : Family Adaptability Scale Ⅲ)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전 동질성 검정은 -test와 t-test를 실시하였고, 가설검정은 paired t-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극복력과 관련된 가설 가설 1.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강인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가설 2.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일관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가설 3.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가설 4.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위기 대처전략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가설 5.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자원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2. 가족 적응과 관련된 가설 가설 6.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 적응 점수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족극복력 모델을 토대로 한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에 초점을 두어 가족극복력의 요인인 가족강인성, 가족일관성,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위기 대처전략, 사회적 자원을 프로그램 구성에 포함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긍정적인 가족 적응을 이끄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 무작위 대조군 연구

        박미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diagnosis of cancer in children poses challenges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for all family members. In particular, paren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guilt due to the uncertain and complex treatment process of their children. However, families with high resilience are abl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showing confidence in their potential growth and performing higher family function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s such, families that are well-adapted to the treatment environment can play a buffering role in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child during the cancer treatment proces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through interventions that promote family resil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and to verify its effect on family resilienc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is based on the Medical Research Council’s program development framework and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resilience promoting program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n=8), Walsh’s (1998) Family Resilience Framework, and the expert validation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a block randomization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and a total of 41 primary caregivers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leukemia or lymphoma at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ith 20 participa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was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21.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per week for a total 70 minutes, comprising 10- minute for introduction, 50- minute for activity, and 10- minute for closing. A total of 4 such session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through an Internet-based program led by a nurse for a 4-week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were family resilienc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and were measur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three times in total: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4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linear mixed-effect model using SPSS 25.0, and satisfaction was evalua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family resilience (β=13.214, p=.003) and family function (β=1.256, p=.0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β=2.133, p=.187). All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high program satisfaction score of 4.75 points out 5 points in total.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who are required to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caring for their children, with fewer time and place constraints involved and providing convenient access. In addition, the nurse-led program will appropriately assess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family and provide interventions that can function at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level, so that they can adequate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cancer. 소아청소년암 진단은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신체, 정서, 사회적인 측면의 도전에 직면하게 하고, 특히 부모는 자녀의 불확실하고 복잡한 지료과정으로 우울, 불안, 죄책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가족의 잠재적인 성장을 확신하며 치료과정에서 더 높은 가족기능을 하는 극복력이 높은 가족이 있다. 이처럼 치료 환경에 잘 적응한 가족은 아동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완충적 역할을 하고 아동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족극복력 증진 중재를 통해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의 적응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족극복력, 우울, 가족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Medical Research Council’s program development framework에 따라 소아청소년암 아동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n=8), Walsh(1998)의 Family Resilience Framework을 기반으로 전문가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는 블록 무작위(Block randomization) 대조군 사전-사후설계로 2021년 6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소재 Y대학병원에서 백혈병 또는 림프종을 진단받은 아동의 부모 중 주 돌봄자 총 41명을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으로 배정하여 시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는 도입 10분, 전개 50분, 마무리 10분으로 총 70분동안 주1회, 총 4회기를 4주동안 간호사 주도로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부모에게 개별로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시행되었다. 결과변수는 가족극복력, 우울, 가족기능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 종료 직후, 종료 4주 후에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총 3회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SPSS 25.0을 이용하여 lineal mixed-effec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온라인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만족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극복력(β=13.214, p=.003)과 가족기능(β=1.256, p=.018)의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우울(β=2.133, p=.187)에는 유의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는 4.75점(총점 5점)의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고, 편리한 접근성으로 자녀의 돌봄에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는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부모에게 적절한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호사 주도의 프로그램은 각 가족의 개별적 요구도를 적절하게 사정하여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치료과정동안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온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이동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a rare, incurable, and chronic disease found in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Damwoohoe”, a parents' self-help group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of 1- to 3-year-old children whose parents were admitted to the “Damwoohoe” and whose children were treated for biliary atresia. From May to December of 2017,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 total of 59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Mothers' family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Sixbey, 2005), an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Toddler Care Questionnaire(Gross & Rocissano, 198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using the SPSS/WIN 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mean score was 192.44 (± 13.52) out of possible score of 66 ~ 264 in family resilie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In sub-domains of family resilience, the highest score was communication (3.01 ± 0.22), and the lowest was belief system (2.81 ± 0.25). 2.The mean score was 149.44 (± 10.94) out of possible score of 37 ~ 185 in parental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In sub-domains of parental efficacy, the highest score was communication ability (4.24 ± 0.37), and the score of ability to parent healthily was 4.06 (± 0.39). 3.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 = 2.167, p < 0.05) according to the time of Kasai operation among child characteristics. 4.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r = .368, p < 0.01)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Among the sub-domains of family resilience, organizational pattern (r = .391, p < 0.01) and communication (r = .353, p < 0.01) were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r = .346, p < 0.01). Among the sub-domains of parenting efficacy, education (r = .333, p < 0.05) and development support (r = .302, p < 0.05) were correlated with family resilience. In conclusio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are statistically correlated.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ndeavor toward a nursing approach and intervention plans that can strengthen and improve family resilience and parenting efficacy. 본 연구는 아동의 희귀·난치·만성질환 중 하나인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 정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담도폐쇄증 아동 부모들의 자조모임인 담우회의 협조로 부모가 담우회에 가입하였고 자녀가 담도폐쇄증으로 치료 받고 있는 만 1~3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2017년 5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9개의 설문이 최종분석 되었다. 어머니의 가족극복력은 Sixbey(2005)가 Walsh(1998)의 가족극복력 이론에 맞게 개발한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FRAS)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Gross와 Rocissano(1988)가 개발한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Toddler Care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과 변수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은 가능점수 66 ~ 264점 중 192.44(±13.52)로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는 최대 점수 4점 중 의사소통과정이 3.01(±0.22)로 가장 높았고 신념체계가 2.81(±0.25)로 낮게 나타났다. 2.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가능점수 37 ~185점에서 149.44(±10.94)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최대 점수 5점 중 의사소통능력이 4.24(±0.37)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이 4.06(±0.39)으로 나타났다. 3.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아동의 특성 중 카사이 수술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167, p<0.05)가 있었다. 4.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r=.36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극복력 하위 영역 중에서는 조직패턴(r=.391, p<0.01)과 의사소통과정(r=.353, p<0.01)이 양육효능감과 관련성이 있었고 양육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r=.346, p<0.01)과 교육(r=.333, p<0.05), 발달지원(r=.302, p<0.05)이 가족극복력과 상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향후 이러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을 강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 접근 방법과 중재 방안들의 모색이 요구된다.

      • 다운증후군을 가진 자녀를 둔 가족의 극복력

        최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가족의 극복력 관련된 위험, 보호 요인들을 조사하고 각 요인이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Patterson(2004)의 가족극복력 모형(Family Resilience Model)에 근거하여 독립변수로써 다운증후군을 가진 자녀의 건강 관련 문제와 발달상태, 부모의 우울, 부담감과 긴장, 사회의 낙인과 차별이 위험요인으로 측정되었고, 아동의 기질, 가족의 응집력과 유연성, 의사소통, 부모의 건강과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상태,친구/확대가족 지지, 지역사회 서비스, 의료진의 지지가 보호요소로 측정되었으며, 종속변수로 가족적응을 측정하였다.자료 수집은 서울지역 다운복지관 이용가족과 4개의 지역부모회, 인터넷 부모자조모임에서 다운증후군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2009년 2월 11일부터 3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가 보고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126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극복력의 위험요인, 보호요인과 가족적응의 상관관계에서는 가족적응을 측정한 가족기능에 대하여 아동연령, 아동발달상태, 부모우울, 부담감과 긴장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모건강, 의사소통, 응집력, 유연성, 친구/확대가족 지지, 지역사회 서비스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아동건강, 출생시 부모연령, 낙인과 차별, 아동의 사회성, 의료진의 지지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가족적응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분류하여 시행하였을 때, 위험요인의 설명력이 27.19%였으며, 보호요인을 추가하였을 때 전체설명력이 56.38%로 증가하였다.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을 아동, 가족, 지역사회로 분류하여 시행하였을 때, 아동관련 변수는 가족적응을 4.97% 설명하였고, 가족관련 변수를 추가하면 53.64%로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지역사회변수를 추가하면 전체 설명력이 56.3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부모의 우울, 가족의 응집력과 의사소통이 가족적응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을 가진 자녀를 둔 가족의 극복력에 대한 위험요인, 보호요인 측면에서의 포괄적인 분석을 통해 가족적응에 대한 주요 영향요인을 찾아내고자 한 첫 시도로서의 의의가 있으며, 가족극복력 영향요인 중 부모의 우울, 가족의 응집력과 의사소통이 가장 강력한 가족적응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가족적응 영향요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운증후군을 가진 자녀가 태어났을 때 가족들이 쉽게 적응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효율적인 가족 사정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최선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일에서 11월 10일까지였으며, B광역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의 신경과나 복지관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 중 가정에서의 돌봄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가족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Wagnild와 Young(1993)이 개발하고 송양숙(2004)이 번안하고 정선경(2012)이 수정한 극복력 도구,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Radloff(1977)가 개발하고 전겸구(1992)가 번안 수정한 한국판 CED-S(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Index) 및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재(1974)가 번안 수정한 자아존중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정도에서 극복력은 평균 3.33±0.79점(범위:1-5점), 우울은 평균 1.07±0.51점(범위:0-3점), 자아존중감은 평균 2.79±0.45점(범위:1-4)이었다. 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은 치매노인특성 중 등급판정 인정여부(t=-2.35, p=.021), 가족특성 중 연령(t=2.45, p=.021), 교육정도(F=7.78, p=.001), 노인과의 관계(F=5.70, p=.001), 주관적 경제상태(F=4.35, p=.015) 및 지각된 건강상태(F=5.81,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극복력은 우울과 유의한 역상관관계(r=-.52, p<.001),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순상관관계(r=.59, p<.001)가 있었다. 라.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에 대한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β=.55, p<.001), 가족연령(β=-.20, p=.012)의 순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36.3%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치매노인 가족의 극복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치매노인 가족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간호중재를 통해 극복력을 증진하여야 할 것이다.

      • 당뇨 환아의 극복력, 가족지지와 질병적응의 관련성

        김용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당뇨 환아를 대상으로 극복력과 가족 지지, 질병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여 당뇨 환아의 질병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당뇨 아동의 질병 적응을 심리사회적 당뇨 적응과 생리적 적응 지표인 당화혈색소로 파악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시내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 외래를 방문한 10~18세 당뇨 환아로 총 75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극복력 측정 도구는 김동희(2003)에 의해 개발된 만성 질환아의 극복력 측정 도구를, 가족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오장(1985)이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가족 지지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아동에 맞게 수정한 도구로 측정 하였고, 심리사회적 당뇨 적응은 Challen 등(1988)이 개발한 아동용 당뇨 적응 척도를 송수미(2010) 가 번안,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는 의무기록 수집 동의 후 가장 최근에 측정한 수치를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통해 서술적 통계, 교차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극복력은 아동의 나이, 성별, 학교 성적, 입원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가족 지지 정도는 아동의 나이, 종교, 학교 성적, 아버지의 학력, 입원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심리사회적 당뇨 적응은 학교 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당화혈색소는 아버지 학력과 입원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극복력과 가족 지지, 심리사회적 당뇨적응 간에는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극복력과 가족 지지, 심리사회적 당뇨적응은 모두 당화혈색소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당뇨 환아의 극복력, 가족 지지, 질병 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당뇨 환아의 질병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로 극복력과 가족 지지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중재자로서 아동 간호사는 당뇨 환아의 극복력과 가족 지지를 이해하고 그 정도를 파악하여 극복력과 가족 지지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당뇨 환아의 질병 적응을 도와야 한다. This is the descriptive investigational stud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the disease adaptation of the pediatric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disease adaptation in the subjects with pediatric diabetes. Their disease adaptation level was measured by the psychosocial diabetes adaptation as well as hemoglobin A1c (HbA1c) as an index of physiological adaptation. 75 diabetic children or adolescent in 10 – 18 years old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in one general hospital, Seoul.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tool, the resilience measurement tool in the pediatric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developed by Dong Hee Kim (2003) was used. For measurement of family support, the measurement tool for family support developed by O Jang Park (1985) in the subjects with diabetic patients was used after modification for the children by the author. The psychosocial diabetes adaptation was measured by the tool developed by Challen et al (1988),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Soo Mi Song (2010). The most recent scores of HbA1c were recorded after the consents for the medical record collection. The statistical analyses with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by SPSS 20 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Resilience was shown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ag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2. Family support was shown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age, religion, academic achievement, father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3. Psychosocial adaptation to diabete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y academic achievement. 4. HbA1c was shown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y fathers’ education level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of the children. 5. Positive correlations were demonstrated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whil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bA1c and all others includi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as the nursing intervention to help the disease adaptation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in the pediatric diabetic patients. Pediatric nurses as the mediators should understand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of the pediatric diabetic patients and help their disease adaptations to provide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극복력, 가족지지 및 장루적응 간의 관계

        이보미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6

        서구화된 식생활의 변화, 신체활동량 감소 및 비만도 증가는 대장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고, 국내 신규 암 발생 환자 중 대장암 발생률은 약 11.2%에 이른다. 대장암의 일차적 치료는 수술이며, 특히 암 발생부위가 하부 직장인 경우 항문을 보존하기 어려워 복부에 장루형성술을 시행한다.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들은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과정에 따르는 신체적 부작용과 심리적 고통과 함께 장루적응에도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겪고 있다. 자가간호수행, 암치료 과정 및 장루보유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심리·사회적 불편감을 이겨내는 극복력과 중요한 지지체계인 가족지지와 장루적응간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극복력, 가족지지와 장루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장루적응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은 B광역시 및 경상남도 소재 대학병원 2곳 및 종합병원 2곳에서 대장항문외과 외래통원치료 및 입원 중인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 148명이었다. 자료수집 전에 B광역시 K대학교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5월 19일까지 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연구대상 병원의 진료과, 간호부, 해당병동의 협조를 구한 후 연구자가 대상자를 직접 만나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고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로 자가간호수행은 이지숙(1990)이 결장루 보유자의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하고 송경숙(1998)이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하고 염정원(2015)이 보완한 도구를, 극복력은 Wagnild (2009)가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로 한국어 버전 Resilience Scale-14 (RS-14) 도구를, 가족지지는 최영희(1983)가 개발하고, 이지숙(1990)이 결장루 보유자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 후 송경숙(1998)이 재수정, 보완한 도구를, 장루적응은 Simmons 등 (2009)이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Ostomy Adjustment Inventory-23 (OAI-23) 도구를 남선영(2021)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가간호수행은 평균 72.09±12.60(도구범위:20-100), 평균평점 3.60±0.63(척도범위:1-5), 극복력은 평균 68.55±13.67(도구범위:14-98), 평균평점 4.90±0.98(척도범위:1-7), 가족지지는 평균 53.46±10.41(도구범위:13-65), 평균평점 4.11±0.80(척도범위:1-5), 장루적응은 평균 47.81±12.26(도구범위:0-92), 평균평점 2.08±0.53(척도범위:0-4)이였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종교유무(t=-2.085, p=.039), 질병특성에서 질병력유무(t=2.295,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극복력 정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경제적 부담(F=3.949, p=.005), 동거가족 유무(t=-2.465, p=.01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특성에서 병기(F=2.455, p=.04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배우자유무(t=-2.093, p=.040), 동거가족 유무(t=-3.69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장루적응 정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동거가족 유무(t=-1.987, p=.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장루적응 정도와 극복력(r=.360, p<.001), 가족지지(r=.190 p=.02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루적응과 극복력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인내심(r=.342, p<.001), 자기신뢰(r=.333, p<.001), 목적(r=.332, p<.001), 평정심(r=.328, p<.001), 진실성(r=.251, p=.002)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장루적응과 자가간호수행(r=.055, p=.504)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수행과 극복력(r=.427, p<.001), 가족지지(r=.26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가간호수행과 극복력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평정심(r=.404, p<.001), 목적(r=.382, p<.001), 자기신뢰(r=.378, p<.001), 진실성(r=.375, p<.001), 인내심(r=.374, p<.001)순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극복력(r=.42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가족지지와 극복력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는 자기신뢰(r=.425, p<.001), 목적(r=.396, p<.001), 진실성(r=.368, p<.001), 평정심(r=.350, p<.001), 인내심(r=.284,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장루적응과 극복력, 가족지지, 극복력과 자가간호수행, 가족지지, 가족지지와 극복력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장루보유 대장암 환자의 장루적응을 높이기 위해 극복력과 가족지지를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가족지지 및 극복력의 상관성

        안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6

        Although the incident rate of cervical cancer among female genital cancer has decreased, endometrial cancer and ovarian cancer have increased, and the 5-year survival rate has increased, but female genital cancer patients with stages or metastasis still have to continue chemotherapy. This study confirms the degree and correlation of distres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of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cancer, and the difference of population sociology and diseas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took place in a hospital in Seoul from July 13, 2018~ August 16 and was performed on 14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receive chemotherapy for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Distress measurement developed by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 Kang’s Family Support Scale and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for Resilience. For survey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Mann-whitney and Kruskal-wallis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4.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4.52 years, and the 50’s age group represented the majority (39.9%), and the participants with husband were 101(70.6%). The Participants with the stage of cancer Ⅲ and Ⅳ were 96 participants (67.2%), and 50 participants(35%) had metastasis and 52patients(36.4%) had recurrences. 132 participants underwent operations prior to undergoing chemotherapy. 2. The values of distress of the participants was 62.55(37 ~ 131 points) out of 175, Family support was 48.54(33 ~ 55 points) out of 55, and resilience was 68.83(22 ~ 100 points) out of 100. 3. In female geni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r = 0.391, p <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istress and resilience(r = -0.251, p <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support and distress. 4. There were no factors affecting distress, and the period after diagnosis (χ2 = 5.94, p <0.05) and the number of chemotherapy (χ2 = 8.24, p <0.05)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to family support. The factor that affected resilience was economic status(t = 2.36, p <0.05).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ilience can be improved by family support, and improved resilience leads to decrease in distress. Additionally, well-managed distress may lead to improved resilience. Accurately assessing and managing the distress of the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cancer is crucial, and nursing intervention that decreases the distress and increase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여성생식기암 중 자궁경부암은 감소하고 있으나,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성생식기암의 5년 생존율은 증가하였지만 병기가 높거나 전이 소견이 있는 경우는 항암화학요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가족 지지 및 극복력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의 부인과 병동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서 입원한 143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3일부터 8월 16일까지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시행되었다. 연구 도구는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에서 개발한 디스트레스 도구, 강현숙(1984)의 가족지지 도구,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을 활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정보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와 ANOVA,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54.52세이었으며, 50대가 39.9%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101명(70.6%)이었다. 암의 병기는 Ⅲ, Ⅳ기가 96명(67.2%)이었으며, 전이가 있는 대상자는 50명(35%), 재발한 환자군은 52명(36.4%)이었다. 143명 중 11명을 제외한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 시행 전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2. 대상자의 디스트레스는 175점 만점에 62.55점(37~131점), 가족 지지는 55점 만점에 48.54점(33~55점), 극복력은 100점 만점에 68.83점(22~100점)이었다. 3.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 암환자에서 가족 지지는 극복력 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r=0.391, p<0.01), 디스트레스는 극복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r=-0.251, p<0.01) 있었으나, 가족지지와 디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 중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으며,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단 후 기간(χ2=5.94, p<0.05), 항암화학요법 시행횟수(χ2=8.24, p<0.05)이었으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t=2.36, p<0.05)이었다. 가족지지를 통해서 극복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극복력이 증가하면 디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 극복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지지와 극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 두경부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극복력,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진자영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6

        두경부암은 세계적으로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여섯 번째로 흔하게 발생하는 암이며 HPV 감염으로 인해 40세 이하의 젊은 세대에서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암 관리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두경부암 환자는 질환 자체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으로 인해 신체적·기능장애, 신체이미지 변화, 의사소통 장애의 문제가 발생하여 치료과정 뿐만 아니라 재활과정에서도 지속되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두경부암 환자의 질병으로부터의 회복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두경부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극복력,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K 대학교 병원에서 갑상선암을 제외한 두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2월 10일부터 2021년 10월 31일 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 소재 K대학교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장과 진료과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진행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대상자의 권리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의 서면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여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로 디스트레스는 NCCN(2012)에서 개발한 디스트레스 선별도구 Version 3(2012)를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맞게 수정한 도구를, 극복력은 Wagnild (2009)가 개발한 Resilience Scale-14(RS-14)의 한국어 버전을, 가족지지는 태영숙(1986)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도구 중 가족지지 도구를, 삶의 질은 Cella 등(1993)이 개발한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FACT-G)의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디스트레스 온도계로 측정한 두경부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정도는 10점 만점에 5.43±2.60점으로 나타났으며, 4점 이상의 중증 디스트레스군은 72.2%이었다. 중증(DT≥4) 디스트레스군에서 디스트레스 문제목록별 순위 중 빈도가 가장 높았던 문제는 신체적 영역 중 피로이며 85.9%가 문제를 경험하였다. 피로 이외에, 그 다음으로 걱정 78.2%, 일상 활동의 흥미상실 67.9%, 우울함과 부은 느낌 각각 66.7%, 식사 65.4% 등의 순이었다.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영역의 모든 문제목록에서 50%의 환자들이 디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극복력 정도는 평균 64.87±13.65점(도구범위:14-98), 평균평점 4.63±0.97(척도범위:1-7)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 정도는 평균 30.43±8.45점(도구범위:8-40), 평균평점 3.80±1.06(척도범위:1-5)로 나타났다. 하부영역별로 살펴보면, 삶의 목적 영역이 4.95±1.01로 가장 높았으며, 평정심, 인내심, 자기신뢰, 진정성 순이었다. 삶의 질의 평균은 61.69±18.99점(도구범위:0-104), 평균평점 2.38±0.73(척도범위:0-4)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의 성생활 문항에 대한 응답자는 31명이었고, 이들의 평균평점 1.58±1.09로 나타났다. 하부영역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영역 평균평점 2.68±0.97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영역, 기능적 영역, 사회적/가족영역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는 결혼상태(t=3.207, p=.002), 최종학력(t=-2.132, p=.035), 직업유무(t=4.591, p<.001), 동거유형(F=5.065, p=.008), 도움을 주는 사람유형(t=2.241, p=.027), 진단명(F=3.303, p=.041), 진단병기(F=13.743, p<.001), 치료방법(F=5.547, p=.005), 주관적 건강상태(F=24.74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디스트레스, 극복력, 가족지지 및 삶의 질 정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디스트레스와 삶의 질 정도의 관계는 중간정도 음의 상관관계(r=-.591, p<.001)가 있었다. 극복력과 삶의 질 정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r=.704, p<.001) 가족지지와 삶의 질 정도의 관계에는 중간정도 양의 상관관계(r=.470, p<.001)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디스트레스, 극복력, 가족지지 및 주관적 건강상태이었다.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디스트레스(β=-.460,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 극복력(β=.31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188, p=.002), 가족지지(β=.142, p=.012) 순이었다. 영향요인의 총 설명력은 73.3%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극복력과 가족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심단어: 두경부암 환자, 삶의 질, 디스트레스, 극복력, 가족지지 Head and neck cancers represent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worldwide and the most frequently occur in men over 50 years of age. As its prevalence rate is increasing among younger population under the age of 40 due to HPV infec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seases for cancer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 cancer itsel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may have physical functional disorders, body image changes, and communication problems that occur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The patients suffer from them continuously not only in the treatment process but also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which negatively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from disease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nd to determin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s of distress,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argeting adult patien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head and neck cancer, excluding thyroid cancer, and were receiving inpatient or outpatient treatment at K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0, 2020 to October 31, 2021. Before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is study obtained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Ethics Review Committee of K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is study to the head of the nursing department and the head of the medical department of the hospital and asking for their cooperation. As for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to subjects, obtained their written consent, and then provid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o that they could fill it out by themselves. Regarding the research tool, the distress screening tool Version 3 developed by NCCN in 2012, which was modified to su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used to measure distress. For resilience, a Korean version of Resilience Scale-14 (RS-14) developed by Wagnild (2009) was used; to measure family support, a family support tool among social support tools developed by Tae Young-suk (1986) was used; and as for quality of life, the Korean version of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General Version 4 (FACT-G) developed by Cella et al. (1993)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BM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average score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distress of the subjects with head and neck cancer measured with a distress thermometer was 5.43±2.60 out of 10, and the severe distress group with a score of 4 or higher accounted for 72.2%. In the severe distress group (DT≥4), the problem with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list of distress problems was fatigue among physical areas, and 85.9%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problem. The fatigue was followed by worries (78.2%), loss of interest in daily activities (67.9%), depression and swollen feelings (66.7%, respectively), and eating (65.4%). Among the subdomains, in the list of all problems in the emotional domain, 50% of the pati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distress. The degree of resilience was 64.87±13.65 points on average (tool range: 14-98) and its average score was 4.63±0.97 (scale range: 1-7). The average degree of family support was 30.43±8.45 points (tool range: 8-40), and the average score was 3.80±1.06(1-5). Looking at the subdomains, the purpose of life was the highest at 4.95±1.01, followed by composure, patience, self-confidence, and sincerity. The average quality of life was 61.69±18.99 points (tool range: 0-104), and the average score was 2.38±0.73 (scale range: 0-4). Among the subjects, 31 people responded to the questions asking about sex lif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ir average score was 1.58±1.09. By subdomain, the average score of the physical domain was 2.68±0.97,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ocial/family domain, emotional domain, and functional domain. 2.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3.207, p=.002), final education (t=-2.132, p=.035), occupation status (t=4.591, p<.001), cohabitation type (F=5.065, p=.008), type of helper (t=2.241, p=.027), diagnosis (F=3.303, p=.041), stage at diagnosis (F=13.743, p<.001), treatment method (F=5.547, p=.0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24.744, p<.001).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distress,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s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di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had a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r=-.591, p<.001). The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704,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have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r=.470, p<.001). 4.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quality of life included distress,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Distress (β=-.460, p<.001)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followed by resilience (β=.31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188, p=.002), and family support (β=.142, p=.012).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influencing factors was 73.3%.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multilater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help reduce distress and enhance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nd an approach that considers subjective health status should be taken. Keywords: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quality of life, distress, resilience, famil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