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싱어송라이터 NAO 음악적 경향 연구 : -혼합 장르 Wonky Funk를 중심으로-

        김은지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n Analysis of the Music Style of Singer-Songwriter NAO: With a focus on the mixed genre of Wonky Funk Kim, Eun ji Dept. of New-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British Invasion' began in the 1960s, initiated by diverse artists from the United Kingdom, starting with The Beatles, who exerted their influence as artists in the conservative American music market. Subsequently, as disco music, which was the mainstream music in the United States, waned, a style of music emerged in the UK that incorporated elements of synth-pop, offering a sense of novelty to the masses. Furthermore, the advent of MTV, a 24-hour music channel, brought about a shift in the trend towards music as a visual experience, presenting the fusion of music and visuals. In the 1980s, British R&B soul musicians made their mark on the American Billboard charts, continuing the trend of the ‘British Soul Invas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usical techniques of singer-songwriter NAO, who has consistently entered the Billboard charts over the past decade and led the ‘British Soul Invasion.' NAO herself has coined her music style and genre as ‘Wonky Funk.' According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types of Wonky Funk and the genres that constitute it. Additionally, the analysis focuses on five popular songs from NAO's debut album ‘For All We Know,' selected based on their high streaming numbers on Spotify, ranging from a minimum of 8 million to over 25 million plays. The analysis covers the formal structure, melody and harmony characteristics, rhythmic features, arrangement traits, and vocal aspects of these five songs. All five selected songs fall under the same genre of Electronic/Dance and have a medium tempo. The dominant use of synthesizer sounds, typical of EDM, distinctly demarcates the song forms. Furthermore, the 7instrumental composition is straightforward, with recurring primary melodies, rhythmic patterns, and lyrical structures. The songs emplo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k genre, such as the use of one chord, a rhythm section, and stop time, to create dramatic effects. Given the nature of Wonky Funk, NAO maximizes the powerful sound and movement of synthesizers and bass while utilizing vocal effects to enhance spatiality. For vocals, she employs suitable techniques such as Marcato and Chant, which complement this style. NAO establishes her own musical identity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Wonky, Funk, and Neo-Soul genres to create the hybrid genre called ‘Wonky Funk.' This paper highlights singer-songwriter NAO, who has presented a unique musical style by utilizing the trend of genre fusion and providing innovative musical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NAO will serve as valuable research material for future scholars. Keywords: Singer-songwriter NAO, Wonky Funk, British Invasion, Hybrid Genre 국 문 요 약 싱어송라이터 NAO의 음악적 경향 연구 - 혼합 장르 Wonky Funk를 중심으로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과 뉴미디어음악학전공 김은지 비틀즈로부터 시작된 영국 출신의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보수적인 미국 음반시장에서 아티스트로서 영향력을 발휘하며 1960년대에 “British Invasion”이 시작되었다. 이후, 미국의 주류 음악이었던 디스코 음악이 주춤하게 되면서, 영국의 뉴웨이브 뮤지션들이 선보인 신스 팝(Synth-Pop)의 요소가 접목된 스타일의 음악은 대중들에게 새로움으로 다가왔다. 또한 24시간 음악방송 전문 채널 MTV를 통해 듣는 음악만이 아닌 보는 음악으로의 변화 흐름에 따라 음악과 비주얼의 결합을 선보였다. 1980년대 영국 R&B Soul 뮤지션들이 미국 빌보드 차트를 차지하며 “British Soul invasion”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빌보드에 진입하며 “British Soul invasion”을 이끌어 온 아티스트인 싱어송라이터 NAO의 음악 어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NAO는 본인 스스로 자신의 음악 스타일 및 장르를 “Wonky Funk”라 명명함에 따라, 본 연구는 Wonky Funk의 유형과 Wonky Funk를 구성하는 장르를 탐구한다. 또한, 2016년 발매한 NAO의 데뷔 앨범인 <For All We Know>의 18곡 중 Spotify 기준 음원 재생 횟수 최소 800만, 최대 2,500만 이상의 높은 기록 순으로 대중적인 5곡의 형식, 선율 및 화성적 특징, 리듬적 특징, 편곡적 특징, 보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에 선정된 5곡 모두 동일한 Electronic / Dance이며, Medium Tempo(미디엄 템포)이다. EDM의 구성 악기인 Synthesizer Sound의 주도적인 변화로 Song-form이 명확히 구분된다. 또한, 악기의 구성이 단순하고, 주선율과 리듬 패턴, 가사의 구조가 반복되며, Funk 장르의 특징인 One Chord의 사용, Rhythm Section, Stop Time을 활용해 곡의 극적 효과를 창출한다. Wonky Funk 장르의 특성상 신디사이저와 베이스의 강렬한 사운드 및 움직임과 공간감을 최대한 활용하는 보컬 이펙팅을 적용함으로 보컬의 경우, 이에 적합한 창법인 Marcato(마르카토)와 Chant(챈트) 가창 기법을 사용한다. NAO는 Wonky와 Funk, Neo-Soul 각각의 장르적 이점들을 결합하여 ‘Wonky Funk’라는 혼종 장르를 만들어 냄으로써 그녀만의 음악적 정체성을 형성한다. 시대적 추세인 “장르의 혼합”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음악어법을 제시한 싱어송라이터 NAO에 관한 본 논문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가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길 바란다. 주제어 : 싱어송라이터 NAO, Wonky Funk, British Invasion, 장르의 혼종

      • Heterotrophic Cultivation of Galdieria sulphuraria 074 Strains for Phycocyanin Production

        김영준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Galdieria sulphuraria is a red algae that can grow both autotrophically and heterotrophically. G. sulphuraria is known to produce phycocyanin (PC) during heterotrophic cultivation. PC is one of blue pigment possessing strong anti-inflammatory,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e heterotrophic cultivation of G. sulphuraria to produce PC is more convenient, economical, and efficient method than autotrophic cultivation.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separate the G. sulphuraria strains capable of producing PC under heterotrophic cultivation; 2) optimize the growth conditions to obtain maximal algal growth and PC production by heterotrophic cultivation; 3) investigate the pigment-producing abilities of heterotrophically grown G. sulphuraria strains; and 4)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 sulphuraria cell extract. G. sulphuraria 074 was cultivated both autotrophically and heterotrophically. For heterotrophic cultivation, glucose as a carbon source was added to the basal media such as cyanidium, Ford and Ford+soil water. After successively cultivated on solid medium, the colonies of heterotrophically cultivated G. sulphuraria 074 strains were separated and selected by pigmentation. The heterotrophic growth conditions to produce maximum dry cell weight (DCW) and PC were optimized by determining the optimum basal medium, initial inoculation concentration, and C:N ratio of Ford+soil medium. After extracting the DNA from the separated strains, PCR analysis was performed by electrospinning using cpcA and cpcB primers, and BLAST analysis using obtained nucleic sequence from Sanger sequencing was conduct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of the heterotrophically cultivated cells were determined and expressed as mg gallic acid equivalent (mg GAE/g DCW) and quercetin equivalent (mg QE/g DCW),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lgal extracts were determined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G. sulphuraria 074G2 capable of producing PC under the heterotrophic cultivation was separated from G. sulphuraria 074G1. The PC production was confirmed by the absorption spectra of cell culture and pigment extracts. The Ford+soil water among the tested media exhibited a maximum cell concentration and PC production during heterotrophic cultivation for 7 days. The DCW and PC concentration of heterotrophically cultivated G. sulphuraria 074G1 with the initial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0.5 g DCW/L reached 5.58 g DCW/L and 102.62 mg/L, respectively, for 7 days. The P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C:N ratio of 10:1, exhibiting the highest specific PC content of 19.9 mg/g DCW. G. sulphuraria 074G2 among the separated strains produced 306.01 mg/L PC under the optimum condition, which was 3 times higher than G. sulphuraria 074G1 (102.62 mg/L) did. The greenest colors of G. sulphuraria 074G2 of both culture and algal powders also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duction of pigments among the separated strains. The PCR analysis and BLAST analysis using obtained nucleic sequence from Sanger sequencing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cA and cpcB genes responsible for producing PC among G. sulphuraria 074W1, G. sulphuraria 074G1 and G. sulphuraria 074G2. G. sulphuraria 074G2 extract contained the highest TPC (2.03 mg GAE/g DCW) and TFC (4.66 mg QE/g DCW) among the heterotrophically cultivated stains. As a result, G. sulphuraria 074G2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ich was also evident by DPPH (3.93 mg AAE/g DCW) and FRAP (314.92 μmol TE/g DCW) assays. Galdieria sulphuraria는 독립 및 종속영양 배양이 가능한 홍조류이다. G. sulphuraria는 종속영양배양 중에 phycocyanin(PC)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C는 강력한 항염증, 항암 및 항산화 특성을 지닌 청색 색소이다. PC 생산을 위한 G. sulphuraria의 종속영양 배양은 독립영양 배양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배양방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1) 종속영양 배양에서 PC를 생산할 수 있는 G. sulphuraria 균주를 분리하고, 2) 종속영양 배양에 의해 조류의 최대 성장 및 PC 생산을 얻기 위한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고, 3) 종속영양 배양을 통한 G. sulphuraria 균주의 색소 생산 능력을 확인하고, 4) G. sulphuraria 세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G. sulphuraria 074는 독립영양 및 종속영양 배양되었으며, 종속영양 배양을 위해 cyanidium, Ford 및 Ford+soil water와 같은 배양 배지에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첨가하였다. 고체배지에서 종속영양 배양한 후 G. sulphuraria 074 균주로부터 단일 colony를 분리하여 색소침착을 관찰하여 균주를 선별하였다. 최대 건조 세포 중량(DCW)과 PC를 생산하기 위한 종속영양 배양 조건은 최적의 배양배지, 초기 접종 농도 및 배지의 C:N 비율을 결정하여 최적화하였다. 분리된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cpcA 및 cpcB primer를 이용한 전기영동을 통한 PCR 분석을 수행하였고, Sanger sequencing으로 얻은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BLAST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영양 배양 세포추출물의 총 페놀함량(TPC)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을 측정하여 각각 gallic acid 당량(mg GAE/g DCW) 및 quercetin 당량(mg QE/g DCW)으로 환산하였다. 세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DPPH) 및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종속영양 배양에서 PC를 생산할 수 있는 G. sulphuraria 074G2는 G. sulphuraria 074G1으로 부터 분리되었다. PC 생성은 세포 추출물의 흡수 스펙트럼에 의해서도 확인되었으며, 배양 배지 중 Ford+soil water에서 배양이 종속영양 배양 7일 동안 최대 세포농도와 PC 생산량을 보였다. 0.5g DCW/L의 초기 접종 농도로 종속영양 배양 배양으로 G. sulphuraria 074G1의 DCW 및 PC 농도는 7일 동안 각각 5.58g DCW/L 및 102.62mg/L에 도달하였다. 이 조건에서, PC 함량은 C:N 비율 10: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C 함량은 19.9 mg/g DCW로 가장 높았다. 분리된 균주 중 G. sulphuraria 074G2는 최적 조건에서 306.01 mg/L의 PC를 생산하여 102.62 mg/L를 보인 G. sulphuraria 074G1보다 3배 높았다. 배양액과 조류분말 모두 G. sulphuraria 074G2가 분리된 균주 중에서 가장 진한 초록색을 나타냈으며, 색소 생산능력 또한 가장 높았다. 분리된 균주들의 DNA를 추출 후, Sanger sequencing으로 얻은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BLAST 분석과 PCR 분석을 한 결과 G. sulphuraria 074W1, G. sulphuraria 074G1, G. sulphuraria 074G2 간에 PC 하위 단위의 생산을 담당하는 cpcA와 cpcB 유전자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종속영양 배양한 G. sulphuraria 074G2 추출물은 분리된 균주들에 비해 가장 높은 TPC(2.03 mg GAE/g DCW)와 TFC(4.66 mg QE/g DCW)를 함유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분리된 균주들에 비해 가장 높은 DPPH(3.93 mg AAE/g DCW) 및 FRAP(314.92 μmol TE/g DCW)을 나타냈다.

      • 장애물 없는 공원 인증제도 개선 연구

        김미혜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1974년 UN 장애인 생활 환경 전문회의에서‘장벽 없는 건축 설계(Barrier free design)’ 개념이 등장한 이후 물리적 장벽 제거에 치중했던 논의가 제도적·사회적·심리적 장벽 제거까지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다. 2008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인증 실적이 저조하여, 2015년 건축물을 의무 대상으로 지정한 이후 건축물은 매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공원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인증지표 등으로 인하여 인증실적이 매우 미비하고, 인증 신청자인 지자체와 조경분야에서는 BF가 디자인을 제한하는 규제로 인식되고 있어 매우 소극적이다. 이에 따라 2021년 12월 4일 이후‘최초 공원조성계획’을 수립하는 도시공원과 공원시설은 의무 적용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인증 건수가 2021년 의무화 이전 17건에서 2022년 31건으로 매우 증가하고 있는데, 공원과 조경 분야에서 Barrier free design은 더욱 중요하게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아직 공원 BF 인증제도 연구는 거의 전무하고, 인증지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원 분야의 인증제도와 인증지표의 전반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원 인증제도의 운영체계와 평가체계 중심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원 특성에 적합한 도출된 개선방안으로, BF 인증 확대에 기여하고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는 공원 활성화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과 공원시설을 연구 범위로 설정하고,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와 국제표준(ISO), 해외 7개국의 법·제도와 평가지표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인증제도의 운영체계를 인증 대상, 인증기관, 인증 수수료로 구분하고, 평가체계를 인증 등급, 인증 기준, 인증지표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BF 인증 사례 현장 조사, 통계분석, 전문가 심층 면접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체계와 평가체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공원 인증제도 운영체계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인증 대상의 확대 및 조정이 필요하다.‘최초 공원조성계획’을 ‘공원조성계획(최초, 변경)’공원으로 변경하여 인증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산책로 등 접근로가 개선되지 않는 시설 변경 등 경미한 공원조성계획(변경)의 제외와 예외 조건인 경사, 고도 등 지형의 세부적인 기준은 향후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공원시설 건축물은 건축물별 개별인증이 공원시설별 통합 인증이 필요하다. 또한 소규모 공원시설 건축물, 조립식 건축물은 인증 절차 간소화 등의 방안을 통해 인증이 확대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90% 이상이 100㎡ 미만인 공원 화장실 등 소규모 공원시설 건축물은 건축물 인증지표를 기반으로 공원에서 일괄 인증되어야 한다. 둘째, 인증 운영기관의 지정을 제안한다. 인증 운영기관에서 인증제도 홍보·연구·교육 등 활성화 방안 업무, 인증기관 및 심의·심사위원 전문성 강화, 인증 대상의 체계적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BF 인증제도가 모두를 위한 정책으로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인증 비용 책정에 대한 제안이다. 공원 유형, 면적 등을 고려하여 인증 수수료 차등화가 필요하며, 수수료 비용 산출 기준이 다른 인증제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또한 인증 대가 기준을 마련하여 발주단계에서부터 BF 인증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음은 인증지표 중심의 평가체계 제안이다. 첫째, 인센티브와 연계한 인증 등급 개선을 제안한다. 최우수 등급의 고도화, 이용자의 BF 인증 체감률을 향상하고, 편의시설 적합성 평가와 차별화를 위해서는 점수 체계 개선 및 등급별 점수 변경이 필요하다. 둘째, 일원화된 인증 평가 기준을 제안한다. 편의시설 설치기준과 BF 인증지표의 일관성 확보, 공원-건축물-여객시설 등 평가목적, 평가 방법이 동일한 평가항목은 용어, 문장, 배점, 세부 산출기준이 일률적인 체계로 구축되어야 인증제도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공원 특성에 맞는 인증지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인증지표 간 다른 기준의 일치, 정량화 및 구체적 기준 제시로 객관성 확보, 사용되지 않는 위생시설 지표 제외, 접근로, 주 출입구 등 공원에 맞지 않는 항목 개선, 한 개의 지표에 여러 항목을 평가하는 지표 세분화, 공원시설 종류에 따른 새로운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세부적인 기준에 대한 연구는 인증사례가 증가하게 될 때, 공원 유형별 구체적인 기준 설정을 위한 심층 연구는 향후 연구과제로 넘기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대학 교육 시스템에 Barrier free design 필수 과정으로 도입, 교육 대상별 맞춤형 프로그램, 초급·중급·고급의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 인증 전문가 자격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인증제도 필요성, 효과, 성과에 대한 홍보가 SNS,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홍보·연구 시스템이 연계되면 인증제도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인증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증 등급과 연계한 인센티브 도입이 필요하다. 건축 및 공원 기준 완화, 민간 및 비의무 대상 인증 시 인증 수수료 감면, 융자 등 재정적 지원이 검토가 가능하나, 타 인증제도와 중복성 등이 분석되어야 실효성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증 대상별 우수 사례집 발간, 인증평가에 따른 포상제도, 공무원 평가 시 가산점 부여 등 혁신적인 인센티브 방안이 마련되어야 민간까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인증제도를 운영체계와 평가체계로 구분하여 공원 인증 현황, 국내·외 관련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BF 인증 공원 사례조사, 전문가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원 인증 실적이 22건으로 매우 미비하여 심층 있는 연구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전문가 심층 면접조사에서 문제에 대한 제도 개선은 매우 필요하나 향후 인증실적이 축적되어야 세부적인 기준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가 가능하다고 모든 전문가가 시사하였다. 또한 BF 인증 공원과 비인증 공원에 대한 만족도, 전문가, 장애인, 일반인, 공무원 등 다양한 그룹의 의견 수렴이 부족한 부분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공원 인증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준 별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에 대한 산·학·관의 통합적, 심도 있는 연구로 기준을 마련하여 법 개정으로 이어져야 한다. 둘째, ‘BF 인증제도’의 명칭 개선이 필요하다. BF 인증제도는 모든 사람의 접근, 이동, 이용을 위한 제도로 장애인도가 맞는데, 장애인만을 위한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향후 인증제도가 더 활성화되려면 BF에서 장애인의 그림자를 지워야 더 발전하고, 다양한 투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Barrier free design은 강제가 아니라 당연히 도입되어야 하는 체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인증제도를 통한 평가가 아니라, 미국처럼 법적 사항이 설계기준으로 연결되어 디자인 시 Barrier free design의 고려가 우선시 될 수 있는 건설 분야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원 특성을 반영한 인증제도 제안된 개선방안이 BF공원의 활성화와 공원 분야의 BF인식이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인증제도 개선의 기본방향이 제시되었으므로 향후 제안방안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concept of ‘Barrier free design’ appeared at the United Nations Specialized Meeting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1974, discussions focused on removing physical barriers have spread widely to remove institu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Since the Barrier 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2008, certification performance has been poor. Due to certification indicators that do not reflect park characteristics, certification performance is very inferior, and the local governments and landscaping fields, which are certification applicants, are highly passive as BF is recognized as a regulation that restricts design. Accordingly, after December 4, 2021, city parks and park facilities that established the 'first park creation plan' were designated as the subject of mandatory application. The number of certification case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from 17 cases before mandatory in 2021 to 31 cases in 2022, and barrier free design is expected to become more significant in parks and landscaping. However, there is still almost no research on the park BF certification system, and research on certification indicators is insufficient. Therefore, overall research on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certification indicators in parks is necessary. H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centered on the operating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of the park certification system,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BF certification as an improvemen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and to activate parks that anyone can use safely and conveniently. To this end, urban parks and park facilities were set as the research scope, and indigenou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nd international standards(ISO), as well as laws, system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seven foreign countries, were set as analysis target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certification target, certification body, and certification fee. The evalu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certification level, standard, and indicator. Through research methods such as on-site investigation of BF certification cases,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measures to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were derived. Above all, the operating system proposal for the park certification system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djust the scope of park certification. The scope of certification must be extended by changing the ‘initial park creation plan’ to the ‘park creation plan (initial, change)’ park. In-depth research is essential in the future on the exclusion of minor park development plans (changes), such as changes to facilities where access roads such as trails are not improved, and the detailed standards of topography such as slope and elevation, which are exception conditions. Park facility buildings require individual certification for each building and integrated certification for each facility in parks. In addition, small-scale park facility buildings and prefabricated buildings should be encouraged to expand certification through measures such as simplifying certification procedures. Small-scale park facility buildings, such as park toilets, where more than 90% are less than 100 square meters, must be collectively certified by the park based on the building certification index. Second, this study proposes the designation of certification operating organizations. It is judged that the certification operating institution will be able to systematically manage activities such as promotion·research·education, etc., of the certification system,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deliberation·judge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certification targets. Through these proposes, it is expected that the BF certification system will be able to settle down as a policy for everyone. Third, setting certification costs i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certification costs by considering park types and area. The standard on costs calculation should be develop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other certification systems. In addition, standards on certification costs should be prepared. BF cert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ordering stage. Next, an evaluation system focused on certification indicators is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level with incentiv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coring system and change the score for each grade to upgrade the best rate, improve the user's BF certification experience rate, and differentiate from the convenience facility suitability evaluation. Second, a unified certification evaluation standard is proposed. Evaluation items with the same evaluation purpose and evaluation method securing consistency of convenience facility installation standards and BF certification indicators, parks-buildings-passenger facilities, etc., could be reliable when terms, sentences, points, and detailed calculation standards are established as a uniform system. Third,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index suitable for the use of parks. It is essential to reformat items that do not fit the park, such as consistency with other standards among certification indicators, quantification, and presentation of specific standards, exclusion of unused sanitary facility indicators, access roads, main entrances, etc., subdivide indicators that evaluate multiple items in one indicator and develop new indica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k facilities. As for the research on these detailed standards, if the number of certified cases increases, in-depth research to set specific standards for each type of park would be passed on as a future research task. Finally, the proposal for measures to vitalize the certification system is as follows. First, various education and publicity programs are needed. It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Barrier free design as a required course in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customized programs for each educational target,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level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a certified expert qualification program. Promotion of the necessity, effectiveness, and achievements on the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SNS and YouTube. It is expected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will be activated when the education, publicity, and research systems are linked. Second, to activate the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centives linked to certification levels. Financial support such as relaxation of building and park standards, reduction of certification fees for private and non-mandatory certification, and loans can be reviewed. However, it would be effective only when the overlap with other certification systems is analyzed. It is judged that innovative incentive measures such as the publication of excellent case studies by certification target, reward system according to certification evaluation, giving additional points in the evaluation of public officials, etc., must be prepared to expand to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divided the certification system into an operating system and an evaluation system and analyzed the status of park certification and problems with domestic and foreign-related systems. A case study of BF certification parks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However,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ark certification were very insufficient with 22 cases, so in-depth research started with limitations. I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ll experts suggested that system improvement on the problem is highly essential, but in-depth research to prepare detailed standards is possible only when future certification results are accumulated. In addition, this study lacked the satisfaction of BF-certified parks and non-certified parks, and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various groups such as experts, the disabled, the general public, and public official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a future task for the obstacle-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First, in-depth research by criteria is needed to improve the park certification system. An integrated and in-depth study by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on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lead to the revision of the law by establishing standard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ame of the‘BF certification system.' The BF certification system is the system for everyone to access, move, and use. In order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to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the shadow of the disabled must be erased from BF. Only then can it develop further and be made with various investments. Third, Barrier free design needs to be changed into a system that must be naturally introduced, not compulsori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struction field so that Barrier free design can be performed priority when designing by linking legal matters to establish standards rather than evaluation through a certification system. As the essential direction for improving the certification system wa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supposed that various in-depth studies will be continued based on the proposed plan for the future.

      • 소셜미디어 앱의 랜드마크 AR 특수효과 기능이 사용자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연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지난 10년 동안, 많은 도시는 새로 건설한 랜드마크에 LED 미디어 파사드를 설치했다. 이러한 랜드마크의 LED 미디어 파사드는 여행 목적지의 이미지를 향상시켰고 많은 여행객을 유치했으며 여행업의 발전을 이끌었다. 하지만 도시 랜드마크에 설치된 LED 미디어 파사드는 에너지 소모와 빛 공해가 심해 많은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또한 LED 미디어 파사드는 역사 건축물에 설치할 수 없다는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 AR 기술이 여행업에 응용되면서 LED 미디어 파사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스냅챗과 틱톡은 랜드마크 AR 특수효과 기능을 도입해, 사용자가 목적지에 방문해 랜드마크 AR 특수효과를 이용한 영상을 촬영한 뒤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로써 목적지 이미지를 향상하고 더 많은 잠재 여행객을 유치했다. 랜드마크 AR 특수효과는 여행분야에 큰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속 랜드마크 AR 특수효과 기능과 여행객의 방문의도 간 관계에 대해 학계의 정량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 모델(HMSAM)을 기반으로 한 가설 모델을 제시했고, 해당 모델은 AR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요소(인지적 용이성, 보상, 상호작용성 등)와 AR 특수효과 디자인 요소(디자인 미학 및 신기성 등)가 어떻게 중간 변수(인지적 유용성, 호기심, 즐거움 등)를 통해 사용자의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17개 가설은 성립되었고 5개 가설은 성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이론적 의미를 갖는다. 우선, 오락적 시스템인 AR 특수효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 모델(HMSAM)의 확장 버전을 제시했고, 해당 모델이 소셜미디어 랜드마크 AR 특수효과 연구에 갖는 유효성을 증명했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AR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요소 및 AR 콘텐츠 디자인 요소를 구분해 이러한 요소가 사용자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으며, 랜드마크 AR 특수효과의 여행분야 적용에 관한 정량 연구에 의미를 제공했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유용성, 호기심, 즐거움 등 요소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여행 동기에 관한 이론 연구에 의미를 제공했다. 또한 본 연구는 네 가지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 첫째, 목적지 마케팅 기관(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s)과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길 원한다면, 소셜미디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목적지 랜드마크에 관한 AR 특수효과를 디자인해 젊은 층의 목적지 여행을 이끌어낼 수 있다. 두 번째, DMO가 랜드마크 AR 특수효과를 개선해 더 많은 여행객을 유치하고자 한다면, DMO는 AR 특수효과의 디자인 미학 및 신기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AR 애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성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더 많은 내재 및 외재적 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DMO는 더 많은 여행객을 유치하는 동시에 여행객이 랜드마크 AR 특수효과 영상을 촬영해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도록 장려하여 더 많은 잠재 여행객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해당 지역을 더 잘 알도록 만들 수 있다. 네 번째, 여행업에서 소셜미디어 랜드마크 AR 특수효과는 소셜미디어 및 AR 기술의 이점을 이용해 LED 미디어 파사드를 대체할 수 있다. 주제어: 랜드마크, 증강현실, 소셜미디어, 관광, HMSAM

      • OSC·AppleScript를 활용한 공연장 AV 시스템 통합제어에 관한 연구

        우성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공연장의 AV 시스템(audio video system)은 각종 다양한 음향·영상 장비들이 서로 호환성을 유지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무대 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을 위한 설비, 관객을 위해 객석으로 송출되는 음향·영상 설비, 분장실·백스테이지(back stage)의 출연진과 스텝(staff)들을 위한 방송·통신 설비, 로비(lobby)·휴게실과 같은 관객 서비스 공간을 위한 방송설비 등 구역별로 각각의 기능에 맞춰 공연장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설치, 운용되고 있다. 공연장 음향감독은 무대에서 실연(實演)하는 공연을 위한 음향뿐만 아니라 관객을 위한 안내방송과 출연진 및 스텝, 각 제어실(control room)을 위한 방송 등 공연장의 다양한 구역으로 음향과 영상을 송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음향·영상 장비들을 다루게 되는데 영상감독이 있는 공연장을 제외한 대부분 공연장에서는 음향감독이 영상 장비까지 다루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공연장의 각 구역으로 필요한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공연 전 예비종, 비상 대피 안내방송, 본종 등의 시그널(signal) 음향도 송출해야 한다. 또한, 영상 녹화 및 녹음, 카메라(camera), 비디오 프로젝터(video projector)와 TV 같은 음향·영상 설비를 적절하게 운용하여 공연장을 찾는 관객과 출연진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방송설비를 조작해야 한다. 공연장에 음향·영상 관련 전문인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음향감독이 대부분 위에서 언급한 일들을 처리해야 하는데 실제 공연을 준비하다 보면 놓치게 되는 부분도 있고 실수를 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반복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화하거나 작업 처리 절차를 단순화하여 AV 시스템 운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공연장 음향감독을 대상으로 안내방송 등 AV 시스템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공연장 안내방송과 관련한 AV 시스템 운영 실태와 현장 전문가들의 문제 인식이 본 연구의 배경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장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연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음향·영상 장비와 관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조작을 큐 프로그래밍(cue programming)을 통해 단순화하거나 자동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컨트롤하고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통합리모트 컨트롤러(integrated remote controller)를 제작했다. 연구 결과 현재 운용 중인 시스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인프라(network infra) 등의 필요조건을 충족한다면 새로운 장비의 도입이나 시스템의 변경 없이도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안내방송 등과 관련한 복잡한 절차를 단순화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제시된 AV 시스템 통합제어 방법은 공연장 음향감독을 비롯한 시스템 운영자들이 안내방송 등과 관련한 AV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용하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탄소감축 묵논습지 생태영향권 내 생태환경요소별 특성 분석

        권순효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abandoned paddy wetlands are recognized not only for their various functions and high ecological values of fallow lands where cultivation has stopped but also for the carbon function of the soil. The reason for the recognition is that much attention pays to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the protection, prolifer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habitats, and carbon absorption concerning climate change. However, farmlands in Korea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changes in land use, the decrease in farmland area and economic value, and the aging rural population, raising interest in abandoned paddy wetlands. Hence, the study to preserve, restore, and manage abandoned paddy wetland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bandoned paddy wetlands, which emphasizes their ecological importanc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like carbon absorption, to improve their multi-functionality. This study also aims to propose guideline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cologically environmental factor of the carbon accumulation in abandoned paddy wetlands. To this end, three methods were used. First, to classify the types of wetlands, after going through steps such as indoor and outdoor surveys and expert opinion convergence (brainstorming) in consideration of wetland discrimination indicators, typ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purposes, a type class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purpose is finally derived. A type classification system considering biodiversity and hydrology and a classification system considering hydrology and vegetation by land use were derived and applied to 40 preliminary sites. Second, the hydrolog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d use in the ecological influence zone were analyzed. 1) For land cover and land use analysis, land cover maps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ajor category, resolution 30 m; middle category, resolution 5 m; sub category, resolution 1 m), and orthographic images provided by the integrated map service of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and aerial photographs were used. Based on the moving range of small animals and water circulation using GIS, the ecological influence area around the wetland was set to 300m, and the land cover type, area, and ratio were analyzed. Analysis of time-series changes in land cover analyzed changes over 40 years at 20-year intervals, such as 1980, 2000, and 2021 for the major category, and 20 Yearly changes were analyzed. Because sub-categories were provided only in 2021, the land cover status in 2021 was compared rather than looking at time-series changes. Wetland boundaries are based on serial cadastral maps, but on-site verification of wetland identification factors such as hydrology, vegetation, soil, etc., and area calculation using GIS. It was confirmed and verified through a field survey. In the three categories (2021) of the land cover ratio of the ecological impact zone by target area, the proportion of forest and farmland was generally high. In the annual change (1980-2021), forest and farmland decreased very rapidly, and artificial grasslands, bare fields, and others. It showed a tendency to change to other types of covering.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fallow lands will increase and the number of paddy wetland area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case of a short fallow perio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rtificial grasslands or bare fields remain, but it is judged that the paddy wetlands will be abandoned as time passes. By land cover types, ratio of urbanized and dried areas, such as single and multi-family dwellings, was severely low. However, the proportion of roads in some areas was relatively high at around 10% compared to other areas. Recently, from urbanization, the ratio of urbanized and dried areas has been increasing. Forest areas tended to be replaced by broad-leaved and mixed forests from coniferous forests. Forest areas tended to be replaced by broad-leaved and mixed forests from coniferous forests. Based on the 1/5,000 scale digital topographic map from the National Territory Information Platform, the overall hydrolog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500m area affected by the wetland development process were analyzed. Using programs such as GIS, Auto CAD, and dreamplus that can extract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views, the altitude and slope of the surrounding forest or agricultural area were confirmed. Indoor analysis and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checking the contour lines (intermediate contour line 7111, half interval contour 7112, supplementary contour 7113, index contour 7114) and water system (explosive river 2111, rill 2112, dry stream 2113, lake․reservoir 2114) layers o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Topographic locations were classified into U-shaped valley-type valley head and valley bottom, or linear terrain valley-level plain and reclamation plain. The average altitude was 40 m and the slope within the wetland was 2.3% on average. This topography is an area that was cultivated in the form of paddy fields in the past. It seems that it is at an altitude where farming activities are effortless and that the land was cleared in a terraced horizontal structure. As for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topographic location. Water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stays in the wetland area due to surface water such as rainfall and underground water in the form of water gathering and eluting. 3) For carbon absorption by land use, based on the LULUCF greenhouse gas emission/absorption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movement range of small animals and water circulation using GIS, the ecological influence zone around the wetland was set at 300m, and The potential carbon uptake was calculat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ecological environment were analyzed. 1) Plant sociological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Braun-Blanquet method of the Z-M school for the community constituting the correlation by selecting a point with representative tree species. Vegetation descriptions were marked using seven scales such as 1 to 5, +, and r. As for the vegetation status, wetland plants such as Persicaria thunbergii, Typha Orientalis, Phragmites communis, and Salix koreensis were distributed in areas with smooth water supply, and some Artemisia princeps, Pueraria montana var. lobata, and Humulus japonicus indicated a tendency to incarnate. This tendency appeared in zones where water sources were not maintained or in edge areas adjacent to forests. It seemed to be a phenomenon that was intensified due to soil loss. 2) As for amphibian reptiles and benthic invertebrates, survey points such as habitats and hiding places in the wetland were selected, and species were identified visually or by collection, trace investigation, and cries. The species list was prepared following the National Biodiversity Inventor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and the cluster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dominance (DI), diversity (H'), abundance (R1), and evenness (J') by survey site. Four indices were calculated. Amphibians were not high in the number of species at each survey site, and reptiles were identified in some abandoned paddy wetlands, but the sighting frequency was low.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ater puddles, ponds, and agricultural waterways, the appearance rate of dragonflies, beetles, and stink bugs, which are mainly found in the habitats of water purification areas, was high. It seems to be a resul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environment. Although the species that appeared by survey site showed some differences, the number of species that appeared in the watershed area was generally high, and the overall species composition was similar. Most abandoned paddy wetlands are located in the low-lying granary and arable lands that form an agricultural ecosystem, and wetland grasslands have been moved in and formed due to a long period of fallow, and their naturality is being restored from the reduction of the influence of artificial disturbance. The area around the abandoned paddy wetlands forms a biotope in connection with lowland forests, agricultural waterways, and farmland, and serves as a resting place for wild animals and a feeding area. In particular, wetlands such as water puddles and ponds formed in wetlands of abandoned paddy fields were found to serve as significant breeding grounds for insects such as amphibians, dragonflies, butterflies, and flies that spawn in the aquatic environment. 3) For soil analysis, a total of eight items were measured: pH, EC,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soil by the soil and plant analysis method standards prese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0). The potential soil organic carbon storage capacity was calculated using the analyze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revealed a tendency for weak acidity, and the organic matter was analyzed as 32.71g/k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c matter content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nundation of wetlands, and in most cases, the organic matter content showed a difference of about 20 to 25 times the total nitrogen content. Overall, the soil was loam (L), and soil development proceeded in a stable state in the submerged land without external disturbance. However, in the case of abandoned paddy wetlands, it can be seen a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water source is temporarily satisfied rather than continuously maintaine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items, organic matter content and total nitrogen content showed a very high positive (+) correlation, and organic matter content and clay content also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form of inorganic nitrogen, ammonia nitroge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nitrate nitrogen, which can be assumed that the wetland's unique reduced soil was fo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nitrogen content, ammonia nitrogen content, and organic matter content and total phosphoric acid content did not appear. 4) For water quality analysis, a total of seven items were measured: pH, EC, TOC, total nitrogen,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according to the public test standard for water pollu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ater quality item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OC and total nitrogen content, TOC and entire phosphoric acid content, EC and ammonia nitrogen, and EC and nitrate nitrogen. Contrary to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nitrate nitrogen was more dominant than ammonia nitrogen in the form of inorganic nitrogen present in water. It seemed to be sufficient dissolved oxygen in abandoned paddy wetlands. 5) Eight wetland functions (plant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fish and amphibian reptile habitat, flood control, runoff reduction, and water quality) were evaluated using the Rapid Assessment Method(RAM) technique, which is a general function evaluation for each si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wet paddy field.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revetment and dike protection, aesthetics and recreation, and groundwater maintenance)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the average value of function was 2.01 to 2.20, which was to be 'norm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s a guideline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carbon-accumulated abandoned paddy wetlands and presents essential data for the future creation,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abandoned paddy wetlan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wetlands with sturdy variability, in-depth research using established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and LiDAR and eDNA will be more accurate and sensitive research.

      • 진홍수(陳洪綬)의 인물화에 나타난 복식 연구

        장예방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명나라 말기(1600-1644)는 중국 인물화가 부흥하였다. 이 시기의 인물화 대가 중에서 진홍수는 그 소재가 풍부하고 스타일이 다채롭다. 또한 수많은 명작을 남겼고, 명말 청초 시기 가장 탁월하였다. 인물화에 대한 섬세한 복식 표현은 인체의 역동성, 구조, 기운이 반영된다. 진홍수는 자신의 미적 감각과 기교를 통해 화면 속 복식을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복식은 단순히 사람이 입는 옷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양, 헤어스타일, 장신구도 포함된다. 진홍수는 이러한 복식 요소를 통해 그림 속 인물에 상징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를 더했다. 본 연구는 그림 속 인물의 복식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홍수 인물화의 독특한 심미적 풍격이 형성된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화가의 사상적인 함의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인물화 속 전형적 특징을 지닌 남성 복식의 장신구에는 당건, 선도건, 복두, 칠사 복두, 피변, 입자, 잠화, 기 모양 앞코 신, 갈이와 헝겊신, 검정화 등이 있었다. 제복 양식 측면에서 진홍수는 <행락도>, <은일도>, <고사도>, <나한도>에서 각각 허리 치마 형태, 모취 형태, 창령 형태, 반팔 형태, 학창 형태, 난포 형태, 도포 형태, 가사 복식 등 주요 남성 복식을 그렸다. 진홍수의 인물화 복식 형성의 문화적 원인 측면에서 남성 복식 형성의 문화적 배경은 예제(禮制)의 전통이다. 명나라 시기의 유불도 삼교의 융합은 명나라 사대부의 복식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진홍수의 인물화 작품에도 깊은 삼교 합류의 사상이 구현되어 있다. 인물화 복식 중에서도 특히 남성 복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인물화 속 전형적인 특징을 지닌 여성 복식 장신구에는 얹은머리, 비녀, 승, 비녀꽃, 비단 띠, 옥패, 등거리 등이 있다. 사녀도 및 관음도에서 그린 주요 여성 복식에는 저고리 치마 형태, 협배 형태, 긴 배자 형태, 반팔 형태, 앞치마 형태, 나삼 형태, 어깨걸이 형태 등이 있었다. 진홍수의 인물화에서 여성 복식의 특징이 형성된 원인으로는 첫째,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이다. 둘째, 시민층의 복식 소비 수요가 발달한 이 시기 여성의 복식 수요는 이미 기본적인 생존수요가 아니라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였다. 셋째, 진홍수는 말년에 기생을 좋아했다. 진홍수의 작품에는 모두 암시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기존의 사녀도 소재를 뛰어넘어 회화 풍격에 혁신이 일어나면서 원나라 이래 문인들이 추구하던 진실성에 특별한 배려의 관점을 제공하였다. 즉 회화 속의 근본적인 목표는 진실한 감정을 나타내려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진홍수 인물화의 예술적 세계를 이해하고, 문인 화가 진홍수의 회화 분위기와 은유적 의미를 해석하여 명나라 말 청나라 초기의 문인화 속의 복식 문화를 탐구하였다.

      • 연기의 허구적 층위에 대한 고찰

        박혜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연극학적 관점에서 허구라는 개념을 탐구하여 연기의 허구적인 층위에 대해 고찰한다. 공연예술인 연극은 허구성과 현존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본질적 특성을 지니는 바, 이는 연기의 원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장르적 다양성에 따라 주도적인 본질 또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연기의 허구적 특성과 현존적 특성을 양 극단에 두고, 그 사이를 ‘층위’로 개념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진행과 그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허구와 현존에 관한 다양한 개념을 검토하고 정리하기 위해 타 학문에서의 정의와 더불어 연극학적 이해를 모색한다. 결과적으로 허구는 연극 작품 그 자체 및 의사소통체계를 구성하며, 허구의 환영에 대한 믿음과 더불어 ‘이것은 허구다’라는 메타텍스트적 인식이 동시에 일어나는 모순된 성질을 가진다. 한편 가상의 내용이나 의미의 재현이 아닌, 무대 위 존재 자체의 현상으로서 현존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허구와 현존의 개념을 통해 연극 안에서의 공존의 양상과 이들의 관계에 대해 연극학적인 원리를 설명한다. 공연이 허구와 현존 중 어느 하나에 극단적으로 치우치더라도 다른 하나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허구와 현존은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다. 이에 연극은 결과적으로 허구와 현존를 양 극단으로 두는 ‘연속적인 층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연기 역시 허구와 현존의 연속적인 층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허구와 현존의 연속적인 층위를 토대로, 그 위에서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연기의 양상을 분석한다. 귀납적으로 연극 양식과 연기 스타일을 분석하며, 배우에게 주어지는 과제를 파악한다. 또한 그에 따라 배우가 수행해야 하는 접근 방법에 대해 분석한다. 허구성이 강조되는 연기는 의미의 생산을 위해 의식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 중심이지만, 배우가 연기를 수행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버리지는 않는다. 반대로 현존적인 연기를 수행하는 배우는 의미 생산보다는, 스스로의 충동과 극장을 비롯한 현실의 요소들에 대한 자극과 감각에 집중한다. 그러나 수행하는 일련의 행위들로부터 도출되는 의미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허구와 현존이 의도적으로 전환되는 연기도 있다. 이 경우는 극에 대한 창조적 측면과 공연 수행의 현실적 측면을 순간적으로 전환하기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 배우에게는 연기 수행에 관한 인식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을 동시에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공연 자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배우의 의도적인 선택 외에도 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허구성과 현존성이 혼재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허구성과 현존성의 연속적인 층위를 통해 연기에 있어서 어느 한 측면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배우들의 오류를 경계할 수 있다. 또한 배우가 이 연속적인 층위를 이해할 때, 다양한 공연에 따른 연기의 접근 방법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인공지능 연계 창의융합 무용 교육과정 개발 방안

        왕송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4차 산업 시대에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대학 무용 활성화를 위한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의 대학 교육과정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 및 코딩교육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국내외 대학 교육과정에서 무용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는 현재 대학 교육과정에서 무용 교육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인공지능 코딩교육을 연계한 대학 교육과정의 나아갈 방향을 위한 구체적인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문제 1>에서는 인공지능 코딩교육을 연계한 창의융합 무용교육은 어떤 주제가 적절할 지를 탐색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무용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코딩교육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각 역량별 하위 구성요소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2>에서는 인공지능 코딩교육을 연계한 창의융합 무용교육의 운영방식과 교수법의 중요도를 탐색하기 위한 AHP 계층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코딩교육의 상위항목 및 하위항목 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의 대학 무용 교육과정을 위하여 역량별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1> 무용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코딩교육의 구성요소에서는 모든 문항들은 수용 기준을 충족하였으므로, 무용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코딩교육의 구성요소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기존의 무용교과과정이 실기 및 무용역사, 무용원론, 예술개론과 같은 원론적인 교과목과 교육방법을 교수하고 있어서 사회 기술적 변화에 따라 시대와 발맞춤하는 교수방법의 변화도 필요할 것이다. 특히 무용에 잠재되어 있는 창의력은 새로운 기술을 융합하여 무용은 그 고유성은 유지하되 접근방식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 무용 교육과정은 더욱더 다양한 지식과 융복합 지식을 양성할 수 있다. <연구문제 2> 무용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코딩교육의 중요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인지 컴퓨팅 기반 한 문제해결 능력 양성’, ‘기계학습 기반 한 논리적 사고 능력 양성’, ‘이미지, 음성 인식 양성하기 위한 컴퓨터 소양 함양’, ‘창의력 향상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예측’ 의 4개 역량과 16개의 하위항목으로 AHP 분석을 통하여 항목 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3>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 대학 무용 교육과정의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델파이 조사 통하여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 무용의 교과목 명을 ‘무용과 인공지능AI 코딩교육의 이해’, ‘AI 하이브리드무용창작’, ‘무용 캡스톤 기획’, ‘무용과 AI 커뮤니케이션’의 4가지로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미래 무용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공지능 코딩교육 기반의 대학 무용 교육과정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to revitalize university dance.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ding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dance educ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curricula was investigated. This identified the lack of dance education in the current university curriculum and suggested specific subject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Specifically, in <Research Question 1>,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explore what topics would be appropriate for creative convergence dance education link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Accordingly,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competencies applicable to dance were derived, and sub-components of each competency were identified. In <Research Question 2>, the importance and priorit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te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were derived using AHP layer analysis techniques to explore the operation method and teaching method of creative convergence dance education link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In <Research Question 3>, subjects by competency were proposed for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n the dance curriculum, all questions in the compon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met the acceptance criteria, so it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constructing the compon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in the dance curriculum. Existing dance teaches simple subjects and educational methods such as practical skills and simple dance history, dance school theory, and art introduction, so the teaching method of the times and feet should also change according to social and technical changes. In particular, the creativity latent in dance combines new technologies to maintain its uniqueness, but in the approach,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o this e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based dance curriculum can cultivate more diverse knowledge and convergence knowledge. <Research Question 2> In the dance curriculum, four competencies and 16 sub-items were derived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cognitive computing-based problem-solving skills', 'machine learning-based logical thinking skills', 'image and voice recognition'. <Research Question 3>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based college dance curriculum, the four su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were proposed through Delphi survey: 'Understanding da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ding education,' 'AI hybrid dance creation,' 'dance capstone planning,' and 'dance and AI communi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ding education to revitalize future da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