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서윤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기술과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점점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경각심을 갖는 소비자와 국가들에 의해 친환경 소비에 대한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2017년 세계 유기농 식품 및 음료 시장 규모는 970억 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점점 늘어나는 기대수명,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은 향후 친환경 식품과 산업에 대한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 전체의 규모가 증대되고 친환경 식품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친환경 식품을 제공하는 기업 또한 늘어난 것을 지각하고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각각 변수들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었지만 모든 변수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친환경 식품의 구매 만족도,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실증 연구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는 전문서적, 인터넷 뉴스, 연구 보고서 등의 문헌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완하고 수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표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식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낮은 신뢰성을 가졌다고 판단되는 자료가 있는지 검증하고 총 328부를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반응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및 단순회귀분석 등을 실시했으며 요인들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실증 분석 결과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환경의식, 만족도, 구매의도의 타당성과 신뢰도에 대한 검증에서 KMO 측도 값과 Bartlett 구형성 검정치와 하위요인들의 적재값 및 Cronbach’s α 값 모두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위해 설정한 18개의 세부 가설 중 4개의 세부 가설을 제외한 14개의 세부 가설이 채택되었다.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에서 사회적 가치는 환경의식과 만족도, 구매의도 중 어떠한 변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에도 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 기능적 가치는 환경의식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어떠한 소비가치가 환경의식과 만족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여 관련된 다른 연구들의 기초 자료 및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기능적, 사회적, 환경적, 웰빙적, 윤리적 가치로 구분된 소비가치를 측정한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셋째,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의식, 그리고 친환경 식품 구매 만족도와 구매의도의 4가지 요인 모두가 서로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친환경 식품 소비자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실무적 의의가 있다. 다섯째,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친환경 식품 구매 만족도와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을 증진시킴으로써 친환경 식품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현재 친환경 식품의 소비가치 중에서 사회적 가치는 아직 어느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검증하여, 친환경 식품에 대한 프리미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사회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도 친환경 식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친환경 식품의 만족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식품 본연의 기능인 맛과 가격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환경의식이 높지 않은 소비자도 구매의도가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많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연구 수행 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드러내었고,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향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대다수가 친환경 식품에 대한 구매 경험이 없음을 간과하고 표본을 친환경 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런 표본의 편중을 개선하여 연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중 친환경 식품 소비자의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와 친환경 식품 구매의도가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원인이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동시에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식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잊지 않고 친환경 식품의 만족도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친환경 식품의 구매의도 및 재구매의도에 대한 추가 연구를 더 해가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consumption is growing by consumers and countries who are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rapidly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7, the size of the global organic food and beverage market was $97 billion, up 8% from the previous year. The COVID-19 pandemic,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lead to an increase in eco-friendly food and industr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cognizing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market increased as the demand for eco-friendly food increased, and consumers using eco-friendly food and companies providing eco-friendly food also increased. In many previous studies, studies on each variable have been sufficiently conducted, but studies to analyze all variables at the same time are insufficient, s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consumers,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the effect on each other.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prepared a questionnaire by supplementing and revising it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o literature reviews such as professional books, Internet news, and research reports and measurement tools used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ample,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eco-friendly food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method verified whether there were data judged to have poor or low reliability in the response content, and used IBM SPSS Statistics 25.0 to analyze frequency, multiple respon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a total of 328 copie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the KMO measure value, Bartlett sphericity test, the load value of sub-factors, and Cronbach's α value ha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in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umption value, environment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Of the 18 detailed hypotheses established for the study, 14 detailed hypotheses were adopted, excluding 4 detailed hypotheses.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value of eco-friendly food did not affect any variables amo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atisfaction, or purchase intention, and the functional value of environmental food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data and theoretical basis for other related studies were presented by confirming which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affected environmental awarenes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ecur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urvey measuring consumption values divided into functional values, social values, environmental values, well-being values, and ethical values. Third, it was verified that all four factors, including consumption valu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eco-friendly foo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purchas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Fourth,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ies for eco-friendly food consumer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ffects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food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by enhancing the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ixth,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food has not yet affected any factors, and by establishing a premium marketing strategy for eco-friendly food,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consumers who value social value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Seventh, since th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fo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ith low environmental awareness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ir purchase intention if they secure competitiveness in taste and price, which are the natural functions of food. Despite many of these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research,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at can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was suggested.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sample to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eco-friendly food,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had no experience in purchasing eco-friendly food.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bias of these samples. Second, am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cial value and intention to purchase eco-friendly food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of eco-friendly food consumer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rive causes or improvements.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growing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of eco-friendly food, consumer environmental awarenes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ood without forgetting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eco-friendly food.

      • 사람 구강암세포 KB에서 quercetin과 rutin의 항암효과

        김서윤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양파, 과일, 메밀 및 약초 등에서 유래한 플라보노이드의 유효성분 중 하나인 quercetin(3,5,7,3',4'-tetrahydroxyflavone)은 항염증, 항동맥경화증, 항산화 및 항암효과 등을 포함한 여러 유익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져 왔으며, 특히 특정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Rutin(quercetin-3-O-rutinoside)은 식물 이차대사물로서 quercetin의 글리코시드 유도체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구강암과 관련된 quercetin과 rutin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 구강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quercetin과 rutin의 구강암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장 억제기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quercetin과 rutin에 의한 구강암세포 성장억제와 그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사람 구강암세포 KB에서 quercetin과 rutin을 처리한 후, MTT 분석, DAPI를 이용한 세포핵 염색, immunoblotting 및 caspase 활성분석 등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람 구강암세포 KB 세포주에서 quercetin은 KB 세포의 성장을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rutin은 KB 세포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KB 세포에서 quercetin은 핵의 응집과 파쇄를 유도하였으나, rutin은 핵의 응집과 파쇄를 거의 유도하지 않았다. 3. KB 세포에서 quercetin은 procaspase-3의 proteolytic cleavage와 절단된 caspase-3의 증가를 촉진하였으나, rutin은 procaspase-3의 proteolytic cleavage를 촉진시키지 않았다. 4. KB 세포에 querce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과 절단된 caspase-7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ru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을 볼 수 없었다. 5. Quercetin은 procaspase-9의 proteolytic cleavage와 절단된 caspase-9의 증가를 촉진하였으나, rutin은 procaspase-9의 proteolytic cleavage를 촉진시키지 않았다. 6. KB 세포에 querce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caspase-3/-7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rutin은 caspase-3/-7의 활성화를 유도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quercetin은 사람 구강암세포 KB의 apoptosis를 유도하여 구강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quercetin을 이용한 구강암세포의 성장억제에 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중심어: Quercetin, Rutin, 세포사, Apoptosis, 항암치료제, 구강암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 안양시를 중심으로

        김서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강화와 학생들의 지속적인 도서관 이용을 유도하고 양 도서관의 원활한 운영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한정된 자원을 극복하고 해마다 줄어드는 인구수를 감안하여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증진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중점 추진 과제인 민․관 협력체재 구축 측면에도 부합하는 안양시의 시립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상호협력방안을 구상해 보고, 공공도서관이 학생중심의 열린 교육과 독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안양시를 중심으로 하여 양 도서관간 연계를 통한 협력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논문 및 논고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와 국내외 협력사례분석, 그리고 안양시의 양 도서관을 전화 및 방문,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조사를 하였고, 양 도서관간의 상호협력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상호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양시립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상호 협력의 문제점으로는, 안양시립도서관이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도서관과의 상호 협력에 필요한 자원이나 지침 등의 정보가 없고, 상호 협력 사업을 하기 위한 예산과 인력의 부족이 양 도서관 협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무엇보다 양 도서관 전담인력들의 협력부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상호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공동으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부족한 자료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간 자료부분의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협력 방안으로 안양시립공공도서관의 특성화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지역적으로도 근접한 거리에 있기 때문으로 도서관 협력 유형 중 분산형에 맞추어 상호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청 산하의 공공도서관이 아닌 지자체 소속의 안양시립도서관과 안양시에 있는 학교 도서관이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양 도서관 사서들이 정기적인 워크?事犬? 연수를 통해 개발하여 방학 중 독서캠프 등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이 함께 할 수 있는 독서교육의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양 도서관이 상호 협력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 의무배치 법안을 제정하여야 하고 양 도서관의 상호협력을 주관할 주무 부서를 마련하여 협력에 필요한 예산의 규모와 수서목록 및 권장도서목록 선정에 과한 기준을 세우는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roles of school library, encourage students to consistently use the library facilities, and promote the effective operation and usage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The author suggests the mutual collaboration measures between city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in Anyang city that are involved with the construction of civil and public cooperation system as a pivotal public affair to activate the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ed sources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and enhance the services offered to library visitors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population is decreasing, and considers the collaboration schemes between two types of libraries based upon the support by Anyang city in order to facilitate student-centered open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in an effective manner.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papers and analytic reports on domestic and foreign collaboration cases, telephone and visit interviews with those who are in charge of library collaboration works in both types of libraries located in Anyang city, and the author then suggests the mutual collaboration measures based upon the problem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the libraries. The problems on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Anyang Municipal Library and school libraries were the lack of necessary resource and guidance information for collaboration with school libraries since Anyang Municipal Library is not a public library affiliated to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nsufficient budget and human resource for collaboration project made it difficult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libraries. Above all, the awareness on the necessities for collaboration by librarian staffs working in both libraries is not sufficient, so that the author proposes the following collaboration schemes based upon the problems so far. First, the author suggests a way in which people visit both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common. Second,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collaboration on information resource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as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data sources. The collaboration strategy enables the effective usage of specialized data in Anyang Municipal Library since the library is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and thus the author suggests the mutual collaboration measure based on dispersal pattern among library collaboration patterns. Third, the author suggests that Anyang Municipal Library affiliated to local autonomous government and school libraries in Anyang city rather than public libraries affiliated to Office of Education develop the common program through regular workshop or training program in which librarians from both types of libraries participate, such as reading camp in vacation. Fourth, the collaboration in reading education co-organized by public and school libraries is proposed in the study as well. Fifth, the author argues that the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requires the enactment of mandatory assignment of librarian teacher in school library, the establishment of office in charge of mutual collaboration,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that set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budget scale, library resource list, and recommended books list necessary for the collaboration.

      • α-브로모아릴아세테이트의 치환 반응을 이용한 cis-와 trans-2,4-이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비대칭 합성

        김서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symmetric synthesis of 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was studied, which are important core structure of major pharmaceuticals and natural products. The convenient divergent asymmetric synthesis of cis- and trans-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with high enantiomeric ratio (er) up to 97:3 from highly enantioenriched cis-γ-lactone. N-Benzoyl-L-threonine isopropyl ester derived α-bromoarylacetate was prepared with high diastereomeric ratio (dr) using crystallization-induced dynamic resolution (CIDR). In the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f α-bromoarylacetate with silyl enol ether using AgOTf as a Lewis acid, and following reduction-cyclization reaction at low temperature, pure cis-γ-lactones with high enantiomeric ratio(er) up to 98:2 were synthesized and used as synthetic precursors for 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Pure (1R,3S)-disubstituted 1,4-butanediol was synthesized by reducing cis-γ-lactones with LiAlH4, and the treatment with TsCl or phosphinic acid lead the cyclization with the two alcohol groups. In the reaction of 1,4-diol using TsCl, pure cis-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were obtained by the selective tosylation. Also, pure trans-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were obtained through the invertive reaction of 1,4-diol using phosphinic acid. A pair of cis- and trans-2,4-disubstituted tetrahydrofurans were synthesized with high enantiomeric ratios up to 97:3. 본 논문에서는 주요 의약품과 천연물에서 발견되는 골격으로 유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는 2,4-이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비대칭 합성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 비율이 높은 cis-γ-lactone으로부터 간단한 합성과정을 통해 cis-와 trans-2,4-이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최대 97:3 er 로 합성하였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카이랄 보조기인 N‐benzoyl‐L‐threonine isopropyl ester를 갖는 α-bromoaryl acetate를 결정화 유도 동적 분할 방법 (CIDR)을 통해 99:1 dr 이상으로 합성하였다. 루이스 산인 AgOTf를 이용한 silyl enol ether와의 친핵성 치환 반응, 저온에서의 환원-고리화 반응으로 cis-γ-lactone를 합성하여 최대 98:2 er의 순수한 cis-γ-lactone를 반응 전구체로 활용하였다. 다양한 치환기를 갖는 cis-γ-lactone을 LiAlH4로 환원하여 순수한 (1R,3S)-이치환된 1,4-butanediol을 합성했으며, 두 알코올기가 고리화 반응하여 cis-와 trans-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선택적으로 합성되게 하였다. TsCl를 이용한 반응에서 화학선택성에 따라 순수한 cis-2,4-이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phosphinic acid를 이용한 inversion 반응을 통해 순수한 trans-2,4-이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최대 97:3의 높은 거울상이성질체 비율로 얻었다.

      •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서윤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 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4개의 인공신장실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들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서면 참여 동의서에 동의한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책임자가 속한 기관의 연구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을 받았으며(승인번호: 2-104-10240AB-N-01 ? 20130828-HR-007-02),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 13일부터 10월 4일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혈액투석 스트레스 측정도구(Hemodialysis stress scale; HSS), 피로시각상사척도, 우울척도,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관계계수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1-5점 범위에서 3.35(±0.58)점이었으며, 신체적 스트레스는 3.18(±0.75)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3.40(±0.62)점이었다. 피로 정도는 0-10점 범위에서 5.53(±1.78)점이었으며, 우울 정도는 19-76점 범위에서 52.07(±10.04)점이었다. 자아존중감 정도는 10-40점 범위에서 24.71(±5.8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t=3.04, p=.033), 직업유무(t=-2.20, p=.031), 투석기간(t=2.84, p=.043), 직장변화(t=4.24,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우울(r=.54, p<.001), 피로(r=.53, p<.001)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r=-.48, p<.001)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4.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325, p=.007)이 전체변량의 27.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피로(β=.313, p=.009)가 포함되어 총 설명력은 32.5%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피로였으며, 연령, 직업유무, 투석기간, 직장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우울, 피로에 대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고, 대상자 특성 및 심리사회적 요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증강현실 체험요소, 실재감, 감정반응, 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김서윤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ugmented reality is an area that is expected to undergo the biggest changes through 5G communication technology, drawing attention as a key cont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al care and tourism as an effective tool to arouse new imagination and curiosity and attract new users by providing fun. With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ttempts by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to incorporate augmented reality are also increas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firsthand and measure its effects at a time when demand for augmented reality users is increasing and expectations for experience are rising. Based on the fact that augmented reality can deliver empirical elements to users as users download and use the augmented reality app direc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s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of Pine and Gilmore(1998) to augmented reality to expand the scope of experience economy research through areas that were not previously cover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users who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in person, this study was actually intended to measure the persence of mobile devices after the subjects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in per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elements of experience of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m, and aesthetic, persence, emotional response, and intention of visiting. Second, after experiencing augmented reality in person, we identify whether the persence affects the intention of the visit through emotional reactions and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it. Third, we inten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related to the experience economy by verifying whether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can be applied to th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through empirical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identified above, we would like to provide activation measur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cing actual visits by users. The preliminary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0 students from May 1-8, 2018, and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who experienced the 'Jung-gu Tourism AR Postcard Book'.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analysis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liminary survey from May 14 to June 1, 2018.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1 of them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39 that were inconsistent or unrespons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verifying how experience factors affect arousal, it was found that components that affect arousa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esthetic experience, escapism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However, the education experience has shown no significant impact on arousa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r's arousal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is an important emotion of inducing positive behavior with curiosity about the experience. Second, after verifying how experience factors affect pleasure, it was found that the components that affect pleas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scapism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However, the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leasure. This suggests that the composition of various entertainment experience content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in everyday life is important. Third, the persence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rousal and pleasure. This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stating that pers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tudy of augmented reality users, with the same result as the preceding study that the experience of persence such as actual visit affects the interest and positive feelings of the visiting place. Finally, arous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leasure, and pleas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visitation. Through thi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if most research using augmented reality was focused on techn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nted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users who experienced augmented reality directly using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Secon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which has great visual effects,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improve the artistic sensibility perception that expresses tourist attractions attractively through vivid images and sounds, and that sensuous design and differentiate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hird, augmented reality is drawing attention with technologies that create new values because of the sense of reality. A sense of reality that feels like reality is a leading factor that induces various emotions, and in order to enhance users' sense of reality, they need to secure and build a lot of experience contents that can be enjoyed. Fourth, given that joy influences the intention of the visit, it suggests the need for an interesting and exciting content that can be felt with the whole body. A sampl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on a specific app called 'Jung-gu Tourist AR Postcard Book', which is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in a specific area. Subsequent research is expected to re-verify the research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us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and augmented reality apps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develop.

      •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브랜드 제고를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서윤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대에 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CSR 활동 수행과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위한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절감하고 있다. 또한 고객, 지역 단체, 언론 등의 외부의 이해 관계자들과의 관계 증진과 우수한 내부의 인력 확보와 유지는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CSR 활동은 기업의 기부, 자원 봉사, 공익사업 등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으로 정의되고, 또한 기업은 이윤 극대화라는 기본적인 기업의 목표 추구를 넘어서 적극적으로 사회에 대한 책임 활동을 해야 한다고 여겨졌다(Maignan & Ferrell, 2004). 사회 구성원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요즘 시점에서는 기업의 CSR 활동은 기업브랜드 제고에 중요한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기업의 전략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기업의 CSR 활동과 재무 성과 간의 인과관계 중 일치하지 않는 선행 연구 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즉, CSR 활동과 재무 성과라는 두 변수 사이의 연결 고리를 발견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CSR 활동, 기업브랜드 제고 및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에서는 기업의 CSR 활동을 경제적 책임, 사회적 책임, 환경적 책임 구분하고, 기업브랜드 제고는 기업 이미지, 기업 평판으로 구분하였다. 기업의 경영 성과는 재무 성과와 비재무 성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인 경영 성과에 대해 기업이 운영하는 CSR 활동, 기업브랜드 제고와의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기업브랜드 제고를 매개로 간접 영향에 따른 인과관계 분석을 위한 경로 모형을 수립하였다.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브랜드 제고를 매개로 경영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통제 변수로 기업의 운영 방식과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CSR 활동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기업의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을 확인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핵심적인 CSR 활동의 요인들을 결정하고, CSR 활동과 경영 성과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주요어】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활동, 기업브랜드제고, 경영 성과

      • 고전소설 '천상계'의 양면성과 그 소설교육적 의의

        김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전소설에서 천상계는 비현실적인 인물 형상과 서사 전개를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폄하되곤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천상계가 작중 인물 형상화와 서사 전개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살펴보면,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현실이 천상계를 매개로 하여 작품 내에 총체적으로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천상계는 당대에 통용되었던 이념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서사 전개의 거시적 방향을 설정하고 인물 간의 관계를 위계화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는 한편, 이념적 가치관에 대항하여 부상하고 있던 경험적 현실의 논리에 따라 세부적 서사 구성과 인물 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천상계의 양면성은 천상계가 고전소설의 ‘이념 재현 층위’와 ‘서사 실현 층위’에 모두 관여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마슈레에 따르면 소설은 작가가 표방하는 이념을 직접적으로 재현하는 층위와, 이념적 기획을 소설 고유의 서사 구성 및 인물 묘사로 구현하는 층위로 나뉜다. ‘이념 재현 층위’란 작가가 자신이 표방하는 이념에 따라 서사 전개의 거시적 방향을 설정하고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역할을 설계함으로써 구축하는 작품의 중추적 구조 층위를 의미한다. 이때 인물들의 삶에 절대적 운명을 부여하는 천상계의 존재는 작품의 거시적 서사구조를 보다 확고하게 만들어 주며, 주동인물에게만 특별한 지지를 보내는 천상계의 차별적 작용은 인물들의 상반된 역할 설정을 보다 명료하게 만드는 효과를 지닌다. 반면 ‘서사 실현 층위’란 이념 재현 층위에서 마련된 작품의 중추적 구조를 정교화하여 작품으로 실체화한 층위를 뜻한다. 서사 실현 층위에서는 이념 재현 층위에서 구축된 거시적 서사구조가 세부적인 사건 전개 과정으로 구현되며, 인물의 행위와 성격이 구체적으로 묘사된다. 이때, 지상계의 체제 질서를 초월하여 존재하는 천상계는 작품의 세부적 서사 구성이 이념적 틀에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인물 묘사 또한, 지상계의 집단적 체제 질서를 초월한 천상계를 배경으로 삼음으로써 개인의 특성이 보다 과감히 부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이념 재현 층위를 구축한 작가의 의도가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서사 실현 층위에서 오히려 전복됨을 의미하는바, 이러한 모순을 통해 작품은 추상적인 이념과 구체적인 경험 세계의 논리가 상충되었던 당대의 현실을 드러내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이념적 가치관과 경험적 현실 인식의 대립적 공존이 작품 내에 총체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천상계의 양면적 역할을 다양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유충렬전>, <소대성전>, <조웅전>에서는 천상계가 화이론적 가치관을 재현하는 한편 ‘화(華)’와 ‘이(夷)’를 초월한 실질적 능력 본위의 현실 인식을 표출하는 기반으로도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옥루몽>, <하진양문록>에서는 천상계가 남성 중심적 젠더 관념을 재현하는 한편 이분법적 젠더 경계의 불분명성을 드러내는 역할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숙향전>, <구운몽>에서는 천상계로 인해 사족(士族) 중심의 신분 관념이 절대화되는 동시에 신분 정체성보다는 인간의 보편적 감정과 욕망을 중시하는 현실 인식도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에서는 천상계로 인해 종법적(宗法的) 가부장제의 가치관이 절대화되는 한편 가문과는 별개로 개인의 고유한 존재 가치를 평가하려는 시각도 대두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 작품들이 생산되고 읽히기 시작하였던 17세기 이후의 조선사회에서는 전란 후 사회 혼란이 가중되면서 이를 수습하기 위해 이념적 가치관이 절대화되고 있었다. 국왕과 조정은 화이론을 내세워 흐트러진 내부 질서를 결속하는 한편 통치권의 정당성을 인정받으려 하였고, 정표(旌表) 정책을 확대함으로써 남성 중심의 젠더 위계질서를 강화하려 하였다. 또 사족 계층에서는 종법적 가부장제를 강화함으로써 일가(一家)를 조직화하고 사족으로서의 신분 정체성을 유지하려 하였다. 그러나 경험적 현실에서는 그러한 이념적 가치관의 영향력이 점차 감퇴하고 있었고, 소설의 작가와 독자들 또한 이러한 모순을 일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천상계의 양면성은 이처럼 이념적 가치관과 경험적 현실 인식이 서로 충돌하면서도 공존하였던 당대의 상황이 작품에 반영된 결과이자, 그에 대한 담당층의 문제의식이 소설의 두 서사층위 간의 대립을 통해 첨예화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중등학교에서의 고전소설 교육에서 이러한 천상계의 양면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전소설 작품에 반영된 당대의 상황과 담당층의 세계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목적에서, 학습자들이 천상계의 양면성과 그 현실 반영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소설 교육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먼저, 천상계의 양면적 역할과 이에 기반을 둔 작품의 중층적 구조를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천상계의 작중 역할에 대해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수정·확장해 나가면서 점진적으로 천상계 이해의 폭을 넓혀 가도록 하는 탐구형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천상계의 양면적 역할을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연관 지어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구조화된 배경지식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천상계의 양면성과 대응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고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전소설의 현실 반영 기제로서 천상계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대한 탐구가 심화된 교수·학습 주제로 다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전소설을 수용하는 데 필요한 특수한 방법적 지식과 함께 소설 일반의 현실 반영 양상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보편적 소설 수용 안목의 성장을 함께 도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 공공기관 감사직무실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despread interest in ESG has become the catalyst for change for public organization as well as private sector. Public institutions itself contribute to ESG investing by carrying out public business affairs and implement national projects commissioned by the government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ublic. However, given public corporations’ size and significant influence over national economy, the general public doubt whether they have delivered the goods and criticize them for sloppy management and moral hazards. Liabi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on the rise continuously, and controversial business ethics such as revolving door practice, excessively high salaries and employee benefits, and corruption in recruitment, has long been subject to criticism. In this context, the Organ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has provided guidelines on internal and external governance of public institutions, which can replace roles of market discipline for private companies, to ensure its responsibility for its performance. This guideline believes that the central problem of public corporations lies in the inefficient auditing system and flawed supervising mechanism, as opposed to private sector, and intends to establish sound internal and external governance to fix this problem. This paper analyzed on relation between institution’s auditing performance and general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on the assumption that more advanced internal audit system would lead to better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Both audi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public enterprises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ere referred to ensure objectivity, accuracy, and impartiality of the study.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set expertise, independence, and internal governance, which are qualitative indices of audit performance evalu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over the period of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Financial performanc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loppy management, performance of core business, and integrity survey of public institutions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which were indices of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public institutions, were adopted as depende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audit performance has been positively affecting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To improve study’s accuracy, variables such as debt ratio, size, and age of the companies and leadership of chef auditors were controlled. This study reveals that auditing performance has limited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dopted official audit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as a proxy for audit performance. However, the result implies that the evaluation has limits as a indicator for audi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further steps should be taken to evaluate actual internal audit performanc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solid establishment of internal governance should be highlightened to sort out structural difficulties of public institution. Therefore, efficient internal monitoring system, which can take place market’s monitoring mechanism, should b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itution’s effort on improving gener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내부통제는 기업에 있어 기업 내부의 부패요인을 차단하고 예방하여 기업의 경제적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 있어 그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민간기업 뿐 아니라 공공기관에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공적인 국가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가 위임한 권한과 책임하게 업무를 수행하며 그 규모와 역할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공기업의 규모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때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방만경영, 도덕적 해이 등 공기업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도 매우 비난적이다. 특히, 공공기관의 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재무건전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반면, 정권 교체시 반복되는 공공기관장 및 상임감사에 대한 낙하산 인사, 과도한 인건비 및 복리후생, 채용 비리 등 윤리경영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반복되고 있다. 이에 OECD에서는 민간기업에서 시장의 감시기능을 하는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도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내·외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공기관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민간기업과 같이 시장에 의한 견제 및 감시역할이 제한되는 것에 있다고 보는 것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시스템 역할의 부재 또는 기능부족 및 견제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공공기관의 청렴한 내·외부 지배구조 확립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감사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기관의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제로 감사직무실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공공기관의 성과관리체계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감사직무실적평가와 경영실적평가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연구의 공정성과 객관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6년 부터 2020년까지의 5개년 동안 기획재정부의 상임감사·감사위원 직무수행실적 평가를 받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감사직무실적 평가의 비계량 지표인 감사의 전문성, 감사의 독립성, 내부통제 수준을 독립변수로,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의 재무적성과(재무예산운영성과), 방만경영예방효과(보수및 복리후생), 주요사업운영성과의 비계량 지표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윤리경영성과(청렴도 조사 결과)를 조직성과로서 종속변수로 정의하였다. 또한,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관연령, 부채비율, 기관규모(총인원, 총자산), 상임감사리더십을 통제변수로 활용하여 감사직무실적 수준과 조직성과 간의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결과와는 달리 감사직무실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한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내부감사품질과 조직성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증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감사직무실적 평가는「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의해 상임감사·감사위원의 직무수행이 적정하고 책임성 있게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방법이다. 따라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내부감사품질의 대용치로 사용하였던 감사조직의 특성과 인구사회적 통계를 기반으로 감사역량을 일관된 기준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변수로서의 객관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나, 실제 분석결과는 내부감사품질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감사직무실적 평가체계의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내부지배감사의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도록 검토를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공기관의 구조적인 문제 개선을 위한 건전한 내부 지배구조 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내부지배구조의 혁신을 통해 민간 감시기구가 수행하는 시장감시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내부 관리감독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관의 노력 및 종합적인 평가체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

        김서윤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부산의 4개 고등학교와 서울지역 1개 고등학교, 경기지역 1개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590명(남자 730명, 여자 86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 검사지,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증상별 경험 사례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스트레스, 신체화,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남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신체화 총점과 통증 및 허약 증상, 전환 및 유사 신경학적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 신체화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이 신체화 총점과 통증 및 허약 증상, 전환 및 유사 신경학적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 신체화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인지 왜곡이 심할수록 신체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신체화 총점간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신체화 각 하위 요인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통증 및 허약 증상, 소화기 증상, 시각적 증상 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신체화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The subjects were 1,590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yonggi and Busan. They were assessed by The Examination Paper of Stress Level,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Using SPSS 12.0,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Lastly,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score of somatization,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pseudoneurological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It showed that the stress and somatizations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score of sometization,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pseudoneurological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It showed tha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had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zations. Finally,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total score of somatiza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pain and weakness, conversion o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visual symptom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omat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