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김영진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iv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math-science integration activit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math-science integration activity. Second,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plai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math-science activity according to variables. Subjects for this study are 2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ed three year colleges and university.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7 were finally collected with a return rate of 94.5%. 80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pre-survey for three weeks from March,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questionnaires were reviewed by early childhood profession with a major of mathematics and early childhood doctoral Main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wo weeks from April, 201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the researcher and finally colle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program.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nalyzed to examine general variabl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test was conducted to expla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math-science integration activity according the variables. Research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n math-science integration activ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urrent, past experience, and practical activity.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content and method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ast, current experience, Thir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environment and materials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ast, current experience and practical experience, Forth,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child’s achievement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ast, current experience, Finally,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ir preparation and effort show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past, current experienc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수·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둘쨰, 본 연구는 배경변인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 유아교육과2, 3,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240부 중 234부가 회수 되었으며 불성실하게 작성한 7부를 제외한 227부(94.5%)를 최종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 총 3주간 총 80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검사를 통해 문항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으며, 유아 수학영역의 전문가1, 유아교육 박사과정 1인과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문항의 타당도를 최종 보완하였다. 본조사는 2018년 4월 총 2주간 실시하였으며, 예비교사의 질문지는 부산, 경지역의 유아교육과에 사전 연락을 통해 양해를 직접 방문 배부하였으며 종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통하여 빈도수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수·과학 합 활동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지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계획 및 실행에 대한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은 과거의 수·과학 경험, 현재의 과학 경험, 수·과학의 실기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쨰, 예비유아교사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은 과거의 수·과학 경험, 현재의 과학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쨰, 예비유아교사의 교구 및 환경에 대한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은 과거의 수·과학 경험, 현재의 과학 경험, 교육실습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의 효과에 대한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은 현재의 교육실기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의 노력과 준비에 대한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은 현재의 교육실기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계획 및 실행, 내용 및 방법, 교구 및 환경, 유아의 효과, 교사의 노력 및 준비 등에 대한 항목을 중심으로 실행되었으나 향후 후속연구는 수·과학 통합 활동의 유형과 통합의 다양한 경로에 따라 내용을 재구성하여 통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과학 통합 활동에 대한 인식을 제한 된 항목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나, 후속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거 및 현재의 관련 경험, 실기경험의 질적 내용을 심층 기술하여 이들의 경험의 질적인 내용을 제시하므로 통합에 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요구된다.

      •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의 지역 사례분석

        박선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문화예술교육은 평생교육체제의 일종이다. 문화예술의 생활화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되어야 하며 문화예술의 생활화는 평생학습과 접목되어야 의미 있는 경험이 이루어지고 문화예술향유의 가치가 내재화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생교육과 접목된 문화예술교육 정책들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체제와 사회문화예술교육체제로 전개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두 개의 체제를 통합하여 조망하기 위해 문화예술 평생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사실상 문화예술교육은 전 국민이 문화예술을 지역사회단위에서 향유하기 위해 평생교육체제와 접목시키는 것은 보다 더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의 개념을 도입하여 지역사회단위문화기반시설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제도와 정책, 기관과 시설, 프로그램 및 담당자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Denzin(1970)이 제안한 바 있는 삼각법(triagulation)의 연구방법 중 방법 간 삼각법(between-method triagulation)을 적용하여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관점을 도입한 후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와의 비구조화 면담을 통해 담당자의 주요 업무 및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과 실태를 파악하였다. 문헌연구 및 비구조화 면담을 통해 탐색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토대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고 발전해야 하는지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수집법(Computer Assisted Data Collsction)을 활용하여 홈페이지의 기관 현황을 조사하였고, 현장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이 현대인의 일상생활공간인 지역사회에서 전개되는 평생교육 원리 및 체제와 연계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전제하에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에 대한 지역 사례분석을 통하여 몇 가지 의미 있는 특징들을 연구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김해시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는 일반 행정과 교육행정의 체제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 김해시 행정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와 정책은 김해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추진되며, 교육 행정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은 김해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이나 제도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므로 지금부터의 방향성 정립 및 전략적 목표 설정이 중요한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은 미흡하고 정착되지 못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평생교육 정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주도하는 정책위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문화에 접속되고 통합되면서 지역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겠다. 둘째, 김해시 문화예술 평생교육 기관 및 시설로는 김해시의 문화기반시설은 모두 19개로 경남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시설을 가지고 있었다. 6개의 도서관 및 박물관, 클레이아크 미술관, 김해문화의집을 비롯한 4개의 문화의집, 문화원, 김해문화의전당을 들 수 있다. 셋째, 김해시 문화예술 평생교육 프로그램 탐구 및 분류는 성인과 어린이로 나눈 대상별 분류 및 프로그램 분류체제에 따른 분류를 실시하였고 그결과 정책대상이 전 국민 평생 문화예술교육 환경 구축이라는 정책방향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김해시 문화예술 담당자의 현황과 주요업무 및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기반시설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기획, 운영은 주로 실무자가 담당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재교육이나 연수는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고, 담당 실무자의 경험적 수준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기획, 운영, 평가가 진행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적 행위 중심의 강사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인력과는 다른 전문성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기반시설에서는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과 지역으로 지원하는 체제가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체제의 일종인 문화예술교육을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의 도입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을 바라보았으며, 지역사회 단위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화예술평생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평생교육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문화예술 평생교육 체제의 특성 및 사례분석을 통한 전 국민 평생 문화예술교육 환경 구축을 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이론적인 측면에서 심도 깊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문화예술교육과 평생교육체제와의 관련성을 객관적으로 탐구하여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지자체만을 사례로 연구 하였으므로 다른 지역으로 확대된 사례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사례분석 뿐 아니라 거시적 단위의 여러 사례의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 평생교육 담당자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인력 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주제어 :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 평생교육, 문화예술 평생교육체제

      • 초등 방과후학교 운영 및 지원센터에 대한 외부강사의 인식조사

        양근숙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교육은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높은 경쟁력을 가지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적능력을 갖춘 학생을 육성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교과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으로 공교육의 불신과 사교육의 의존 현상을 초래하였고, 사교육비의 증가는 지역 간, 계층 간 교육양극화 현상을 낳았다. 이에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학부모들의 사교육 부담을 완화하며 교육복지를 구현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학교 실현을 목표로 방과후학교가 도입되었다. 2005년 도입된 이래 전국의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100% 실시’라는 양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서 본 논문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 뿐 아니라 바람직한 운영방향, 명강사 및 우수 프로그램 인증제에 대한 활용과 개선방향, 외부강사 대상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보다 발전된 방과후학교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학력별, 강좌유형별, 출강형태별로 나누어 외부강사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과후학교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외부강사의 방과후학교와 방과후학교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교육전문가, 외부강사, 평생교육사 등의 전문가들의 감수를 받아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부산광역시 5개 교육청별로 선정된 초등 방과후학교 외부강사와 2011년 부산방과후학교지원센터의 연수에 참석한 외부강사들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5일부터 5월 31일 사이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는데, 연구 대상자의 개인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에 따라 빈도 및 백분율, 또는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외부강사의 학력별, 강좌유형별, 출강형태별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검정,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강사들은 방과후학교의 운영목적을 ‘사교육비의 절감’에 있다고 하였고, ‘저렴한 수강료’를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수강료는 ‘3만원 이상~4만원 미만’으로 상승하고 있어 수강료 상승억제를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외부강사들은 가장 효율적인 홍보방법을 ‘가정통신문을 통한 안내문 발송’이라고 하였으며, 활성화방안으로 ‘학교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를 주문하였다. 가정통신문을 통한 안내문 발송은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사안으로 담당교사가 또 다른 잡무로 느끼지 않게 행정적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외부강사들의 특성별 차이분석을 한 결과 대행업체 및 비영리단체를 통한 채용은 대졸학력과 교과강좌, 그리고 방과후학교만 출강하는 외부강사의 비율이 높았다. 점점 더 교과강좌와 고학력여성의 방과후학교 진입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방과후학교지원센터를 통한 채용과 학교와 직접계약이 지켜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방과후학교지원센터의 명강사·우수프로그램의 운영목적을 외부강사의 전문성 향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인증방의 활용비율은 낮았다.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와 ‘인증 받기 위해 준비해야 할 서류가 많아서’라고 답하였다. 명강사·우수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인증절차의 간소화와 인증의 필요성 홍보, 강사채용 시 우선권 부여 등의 현실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명강사 인증배점은 교사·학부모·학생의 수업만족도는 72점을 63점으로 낮추고, 학생 관리 능력은 7점에서 11.5점으로 높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의 질과 평가는 수강생을 얼마나 확보하고 잘 관리 하느냐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학생 관리 능력의 배점을 늘릴 필요가 있다. 여섯째, 외부강사들의 특성별 차이분석을 한 결과 교과강사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우수한 외부강사를 선호하고 특기적성강사는 각 분야별 전문가를 연수의 지도강사로 원하고 있었다. 연수를 통해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노하우의 전수와 아울러 각 분야의 전문가를 통해 수업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지도강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연수지도강사 선정 시 분야별 전문가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외부강사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방과후학교의 운영과 방과후학교지원센터의 정책 추진에 있어 외부강사의 인식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원장에 대한 인식 연구

        박옥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하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원장에 대한 개념적 특징, 현황 및 개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는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원장에 대한 특징, 주제현황과 주제들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부모들에게 인식되고 있는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정책결정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원장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유치원 부모 105명과 어린이집 부모 5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지로 부모의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SNA)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부모의 인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가 보고한 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부모들은 교사, 유아에 대한 단어를 떠올렸다. 유치원을 인식하는 부분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표현하였을 때, 네트워크의 좌우에 위치한 ‘교사’와 ‘아이들’의 단어에 대부분의 단어들이 연결되어 연결의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인성교육은 놀이활동, 친구, 사회생활, 웃음, 아이들, 사랑 등의 단어들과 근접하여 연계되어 시각화됨에 따라 본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은 유치원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집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135개의 단어가 도출되었으며 교사, 보육, 또래친구, CCTV, 급식, 놀이터, 학대에 대한 단어로 어린이집을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CCTV와 학대 등의 단어들은 유치원이나 유아교사, 유치원 원장에 대한 앞선 분석 결과보다 더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네트워크 지도로 시각화한 결과, 보육, 교사, CCTV, 또래친구 등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여 아이들, 놀이, 교육, 재롱잔치 등의 단어들과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친절, 사랑, 미소, 인성, 힘듦, 교육관에 대한 단어를 유치원 교사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떠올렸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시각화하여 제시하면 친절함과 미소, 사랑, 인성 등의 단어들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여 다른 단어들과 밀접하게 연계된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친절함은 상냥함, 미소, 귀여움, 사랑, 인내심, 힘듦, 인성 등 유아교사의 내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와 상호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으로는 교사처우, 미소, 사랑, 친절함, 박봉, 앞치마, 엄마, 교육, 학대 등의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지도를 시각화하면 보육교사와 사랑의 두 개 단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보육’이 2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보육교사는 교사 자격, 박봉, 교사처우, 힘듦 등 어린이집 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어린이집 교사에 의한 학대를 표현한 ‘학대’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에 대한 부모의 인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유치원 원장에 대해서 부모들은 교육관, 사랑, 인품, 관리라, 지도자, 책임감, 친절함, 권위감 등의 단어를 떠올렸으며 유치원 원장에 대한 지도자는 권위적, 인자함, 사랑으로 표현되고 교육자는 교육관, 지도성, 인자함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교육전문가는 책임감, 친절함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원장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사랑, 경영, 상담, 친절, 교사관리, 미소, 능력, 인자함, 차량운행 등의 단어를 떠올렸으며, 부모들은 자녀가 다니는 어린이집의 원장이 어린이집을 경영하는 지도자로서 원내 교사들을 관리하고 부모들을 상담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여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집 원장에 대한 단어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여, 교사관리, 경영, 차량운행, 상담 등 어린이집 원장의 역할을 표현하는 단어들과 연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유아교육기관, 유아교사, 원장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부모들이 공유하고 있는 내재된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대상의 속성을 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인식의 보편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역성 및 대상을 보다 확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기관의 만족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키워드 간의 움직임과 속성을 달라질 수 있으므로 후속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미정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평생교육의 중요성은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보편화되고 있고,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 증진,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 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평생교육의 양적 확대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평생교육 교수자들은 교수역량에서 기획된 교수학습 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실행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자들이 교수역량 전체항목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수자의 최종학력에 따라 교수역량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수학습 목표의 수립 및 교육내용의 설계와 개발을 의미하는 기획역량에서도 활동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생교육 교수자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현재수준으로 가장 높은 역량은 실행역량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수자가 잘 실행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반면 학습자의 학습능력 제고를 위해 학습자를 지원하고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지원역량이 낮다는 것은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따른 요구로 교수자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으로 판단된다. Borich 요구도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 항목의 결과는 사회관계망 구축 및 관리 역량, 학습자원 및 정보수집 역량, 행·재정 이해 역량, 교수매체 개발 역량, 팀워크 구축역량, 프로그램 평가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위치 확인을 통해 도출된 교육요구도 최우선순위 항목은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개발, 운영된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수행결과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차순위 항목으로는 학습자원 및 정보수집역량, 교수매체개발 역량, 교수매체활용 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행·재정 이해역량, 집중력개발 역량, 공정한 학생 평가역량, 팀워크 구축역량, 학습상담 및 컨설팅 역량, CoP 구축 및 관리역량, 사회관계망 관리역량으로 총 11개 항목으로 도출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는 이와 같은 역량개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수역량 개발에 힘써야한다. 주요어 : 평생교육 교수자, 교수역량, 중요도, 현재수준, 우선순위

      • 대학 교양 IT 교과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안영이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컴퓨터 활용 능력을 함양시키고 시대적 변화에 창의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화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ㆍ중ㆍ고ㆍ대학까지 연계적으로 교육되어지고 있는 교양 IT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런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여 컴퓨터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997년에 교육부가 발표한 제7차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내용을 파악하고 자료조사를 통하여 대학교에서의 교양 컴퓨터 교육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그 연관성을 비교해 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교양 컴퓨터 교육에 대한 활성화 방안 및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초ㆍ중ㆍ고ㆍ대학에 이르기까지 컴퓨터 교육내용은 비슷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생들에게 반복되어 교육되어지고 있었고 초, 중, 고, 대학별 교육시기에 따라서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컴퓨터 교육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동일한 학습내용에 대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초급, 중급, 고급반으로 구분하여 과목을 개설하고 하나의 과목에 많은 내용을 담지 말고 학습내용을 세분화하여 교재를 개발하며 대학에서의 교양 컴퓨터 교육과정은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과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됨이 바람직하다. One is supposed to understand a computer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is informatization society. This is why schools are focusing on helping students to cultivate an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s of thi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s actually taught in articulated IT education among prim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hich was provided as one of optional courses, and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IT classes. It's basically meant to seek ways of offering mor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7th national curricula announced in 1997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cont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uter education, and relevant data were reviewed to see what optional computer courses in college dealt with. Then it's attempted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elementary, secondary and college educa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computer classes and suggest how optional computer courses could be more prevailing and successful.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mputer education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as planned to be similar, and students learned the same things repeatedly. And their understanding of cla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of grade. In order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lesson and provide mor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different level of classes should be prepared, including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ones. It should be avoided to insert a lot of materials into a single subject, and textbooks should be segmented. In addition, optional computer curriculum in college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uter curricula.

      • 노인의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연구

        권미진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현재 양산시 자원봉사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봉사단체로서 잊혀져가는 우리문화를 유아들에게 전달하고 있는 ‘노․아사랑 무릎학교’ 봉사단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노인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와 특성 및 경험 관련 이론을 탐색하고, ‘노․아(老․兒)사랑 무릎학교’ 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를 구명하였다. 연구자료 는 2008년부터 2011년 3월까지 참여 연구자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친밀한 라포(rapport)형성과 연구 대상자의 솔직한 인터뷰를 위해 직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인터뷰)자료를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의 단계에 따라 부호화하고 유형화 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택했다. 연구자는 인터뷰 종료 후 즉시 녹취된 자료를 필사하고 관계되는 주된 주제들이 나타날 때까지 반복해서 해석하면서 코드화와 재코드화 를 거쳐 평생교육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관한 요인으로 도출된 총 91개의 개념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다시 이 개념을 더욱 추상화 시킨 1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이 하위범주를 분류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아사랑 무릎학교’는 핵가족화 되면서 가족단위 어울림이 부족한 노인 자원봉사자에게 아이들과의 어울림의 경험, 지역사회의 공헌 경험, 전통문화 전수 경험, 자원봉사자로서의 경험이 전통문화놀이를 매개로 아이들과 어울릴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둘째, 노인자원봉사자의 학습 경험 조사결과 이들이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과 지식에 대한 반성 그리고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반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참가자는 전래동화를 들려줄 때 원고나 그림을 이용하지 않고 완전하게 숙지한 후 아이들을 둘러앉혀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하기에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아사랑 무릎학교’를 통한 노인 자원봉사자의 자기변화로 나타났다. 노인 자원봉사자들은 ‘노․아사랑 무릎학교’를 통해서 성격의 변화, 생활 태도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아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즐거움을 경험하면서 보다 성격이 밝아지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지속적인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 참여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는 평생교육활동으로서의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재조명하고, 지금까지 직업생활에서 쌓아온 능력과 경험을 다음 세대들을 위해 활용하게 하여 현대와 같은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이 보다 주체적으로 노후 삶의 보람과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본 노인자원봉사자들은 지금까지 자신의 직업분야에서 쌓아온 전문 능력과 지식, 경험 등을 다음 세대에게 전승함으로써 자신의 노후 생활을 스스로 관리하고, 현대사회에서의 새로운 인적자원으로 서 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크나 큰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 보다 자신들이 그동안 경험해온 것을 프로그램화 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노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노인들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의사를 갖고 있더라도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영역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여 참여가 쉽지 않았지만 본 연구의 ‘노․아사랑 무릎학교’에 참여한 노인자원봉사자들은 과거 경험을 재생산 하여 세대와 세대를 이어줌으로써 자원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었고 이를 큰 보람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3년 동안 이러한 활동에 참여한 노인 봉사자들은 이제 전문가 수준의 지도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들이 좀 더 노후생활을 보람되고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 횟수 증대,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프로그램 연구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 노인의 평생교육. 자원봉사활동 .경험.

      • 中學校 消費者敎育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硏究

        김하승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는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개인 소비자의 힘이 약화되어 소비자 주권이 침해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인 소비자 피해 및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므로 소비자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우리 경제는 IMF 관리체제를 경험하고 아직 경제 위기 상황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여 합리적인 소비 문화 정립을 위한 소비자교육이 그 어느 때 보다도 강조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경제 교육 차원에서 소비자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지도되고 있는지 실태를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소비자 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소비자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교수ㆍ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교육에 대한 개념이 분명하고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또한 소비자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서도 합의가 되어야 한다. 둘째, 소비자교육 내용이 여러 교과목에서 중복되기도 하고 일관성과 체계가 없다. 따라서 각 교과에 산재해 있는 소비자교육 내용을 사회, 문화적 현상의 이해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종합, 체계화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는 단순히 교과상의 통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으로 중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소비자교육의 내용적인 통합과 체계화가 필요하다. 한편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소비자교육 관련 과목으로 사회과를 들고 있는 바 사회과 경제 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체계화하여 학교 소비자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소비자교육 관련 내용을 보면 지식적 측면이 소비자 기능, 소비자 가치ㆍ태도 면에 비해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내용의 형평성이 없다. 따라서 소비자 능력을 함양시켜 소비 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기능, 가치, 태도 측면의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 및 보강이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소비자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피교육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사항들을 교육 내용으로 담아야 한다. 따라서 실용적 측면에서 실제 구매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은 단편적인 사실과 지식의 나열에 불과한 잡다한 형식이 아닌 구조화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소비 관련 내용은 학습자들에게 탐구 활동 과정을 유도할 수 있고, 보충ㆍ심화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종합적, 실제적, 구체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또한 소비자교육의 이념, 목표, 내용 구성에 있어서 의사 결정 기능, 소비자 정보 분석, 소비자의 참여, 소비자의 생태학적 책임 등을 비롯한 경제 사회적 요청이 반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소비자교육은 소비 생활이 중심이어야 하므로 강의식, 설명식, 주입식 교육 방법보다는 탐구식, 문제 해결식의 수업 형태가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교수ㆍ학습상의 변혁이 필요하다. 즉, 강의 학습법, 문답ㆍ토의법, 탐구 학습법, 주위 자원 활용법, 과제물 실습법, 매체 활용법, 조사 기법 활용 방법, 사회적 상호 작용 방법 등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체적인 소비자교육 학습 과제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적절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교사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보다 효율적인 소비자교육 관련 교수 방법과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며, 개발된 모든 자료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교육 관련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 소비자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학교 소비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재교육과 현장 연수가 교육인적자원부의 관심 속에서 제도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 사범계 대학의 교육과정 내에서 소비자교육을 강화하여 학교 현장에서 소비자교육을 담당할 인적 자원을 양성해야 한다. 또한 학교 소비자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사회 소비자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소비자교육자를 양성하기 위한 제도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하고, 고등 교육 차원에서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소비자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소비자 단체, 한국소비자보호원 및 정부의 소비자 보호 기관들은 서로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체계적인 사회 소비자교육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소비자교육 기관에 보급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 환경은 학생들의 소비자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토양이므로 사회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학교 소비자교육이 아무리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해도 가정과 사회에서 비합리적 소비 문화가 일반화되어 있다면 소비자교육은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우리의 가정은 학생들의 소비자교육에 긍정적이지 못하고, 계획성과 의도성이 결여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그 자체에 소비자교육 수행의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가정은 태어나면서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소비자교육의 장이며, 소비의 경제 단위로서 청소년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교육 활동의 장이므로 가정 소비자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 정책과 주무 관청의 관심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이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학교 소비자교육에 대한 행정 당국의 관심은 대단히 중요하며, 재정적 지원이 결여된 소비자교육의 활성화 방안이나 대안은 실효성이 없으므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supply basic materials on consumer education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s how the consumer education is composed and taught on the dimension of economic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o achieve this goal I analyz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middle school and contents of textbook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based on former studies on consumer educati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n consumer education are like these. First of all, these are no agreed opinion on the concepts, aims and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So consumer education at middle school is inclined and becomes an obstacle against development. That's why the consistent concept arrangement of consumer education has to be needed and the contents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m. The second, the contents on consumer education are not consistent and systematic and are taught by partly and sporadically theory-centered. As a result, it is needed to study and systemize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which are scattered at each subject to be managed integratedly in the dimension doesn't mean just unification of curriculums. Contextual integr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onsumer education are needed inside the macroscopic curriculum at middle school. Meanwhile, the department of consumer education consider social studies of a subject for consumer education. So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economic education of social studies has to be more emphasized and systematized. The third, if you investigate the contents related consumer education from the curriculum and textbook, you can find the part of the consumer knowledge is bigger than those of the function, attitude and value of consumers. So there's no equilibrium about contents. Then systematic arrangement of contents about function, value and attitude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suming lif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sumers ability. The forth, it is lacking in the practicality because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based on explanation related consumption terms and statements of contents are also extremely formal, simple and abstract. Moreover, socio-economical requests about consumer education aren't reflected. For those reasons, real purchase education in the side of practicability has to be reinforced. Contents and constructions of textbook should have the structural system. Contents related in expenditure ought to be stated in synthetic, actual and concrete ways. To consist of goals, targets and contents on consumer education, more socio-economic requests have to be reflected such as decision making function, consumer information analysis, consumers participation, ecological responsibility, etc. The fifth, problem solving or inquiry styles of class are more effective for consumer education. But current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is taught by cramming education style that is merely focused on memorizing the concepts through lecture and explanation style thar is merely focused on memorizing the concepts through lecture and explanation. So we need a reform on the sid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oncrete tasks on consumer education,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to be selected appropriately. Needless to say, a teacher should continue his study to develop and improve his teaching methods and styles. Moreover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which teachers can use effectively ought to be developed. The sixth, systems to reinforce consumer education have to be arranged. To strengthen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re-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is subject have to be expanded systematically. But more basically we have to reinforce the consum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t a teachers college. And then we can have manpower resources who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The next, some systems which can strengthen the social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Finally, socio-environmental side has to be considered because social environment is the foundation which can make the students consumer education possible. As a family is the first field for consumer education and the unit of consumption, it's the most important field of education activities to juveniles. That's why the consumer education at home should be reinforced. In addition to, the contents of school curriculum are seriously dependent on the interests of national policies and relative governmental departments. So governmental interests in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are very important. The effectiveness of schemes and plans to activate consumer education cannot be expected unless the financial support is lacked. That's why the financial support by government is needed absolutely. Meanwhile various spaces for leisure and developing programs are required for juveniles to enjoy their free times desirably and productively. The reinforcement of law execution is needed to thing over the effectiveness about protection law for juveniles.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김유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2.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방법과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과정은 주제어 검색을 실시하여 일차적으로 검색된 문헌은 총 2037편이었으며, 저자별로 정렬하여 동일한 연구인 경우 제외하였다. 논문 제목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여 2037편 중 68편을 선정하였다. 초록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여 32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논문 전문의 내용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여, 각 단계에서 선정 및 배제기준을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26편으로 정리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의 기준은 연구대상 무작위 배정, 검사도구의 적절성과 처리 원리를 제시하였는지를 보았으며, 처치과정과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자 집단 배정의 미인지와 측정자 집단배정의 미인지를 살펴보았다. 기준에 따라 4가지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여 최종 23편을 선정 자료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분석대상의 일반적 특성으로, 2006년 2010년도에 출판한 연구는 7편, 2011년 이후 출판한 연구는 16편으로 가장 많았다. 논문유형으로는 학술지 7편, 학위논문 16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설계는 모두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만 5세가 1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혼합,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인원수를 살펴보면, 21~30명의 집단이 11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0명 이하의 집단을 사용한 연구는 9편, 31~40명의 집단은 2편으로 나타났다. 중재기간은 11~15주가 8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6~10주와 16주 이상은 각 7편으로 나타났다. 중재자는 모두 담임교사였으며, 다음으로 23편의 연구물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산책활동이 16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텃밭가꾸기가 2편, 세시풍속 프로그램, 바깥놀이활동, 명상프로그램, 노인아동상호작용 프로그램, 몸짓놀이 프로그램이 각 1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는 23편의 논문은 모두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김경희(1998)의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한 연구는 총 13편으로 나타났다. 허윤정(2001)의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한 논문은 총 2편이였으며, 조인영(2007)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 이영자(2000)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한 논문은 각 1편씩 나타났다. 이병래(1997)의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는 총 3편, 이영석, 이정화, 김미경(2001)의 ‘감성지능 척도’와 H,J, Kim(2008)의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는 각 1편씩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옥(2009)의 연구에서는 성별 비교에서 남아에 비해 여아에게 정서지능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관숙(2008)의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정의 조절 및 충동 억제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하위요소에서는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은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성 부분에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직접 숲에서 체험하고 자연을 관찰하고 탐색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유아의 직접적인 경험과 체험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면, 먼저 교사들이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한 교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과 보육기관에서는 숲 전문 교사 배치와 함께 교수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게더타운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피지컬보드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 개발

        오창익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e trend of changing to a software-centered societ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technology is becoming essential as the basic knowledge of future talent,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nurture future IT talents worldwide. Due to the global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lso moving from offline-oriented classes to online. Most of the online education platforms used in non-face-to-face environments use real-time interactive platforms, but in the case of classes with many practical courses such as physical computing software classes, there are problems of learning gap and class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under the theme of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physical boards based on the GetTown Metaverse platform,' builds a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 to be applied to software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hysical boards using GetTown among the Metaverse platforms. It aims to improve the problems that appear in non-face-to-face online physical computing software classe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mand analysis for practical instructors, It was developed as a 2-hour (90-minute) course that can be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and after-school learning time so that there is no burden on the curriculum. In addition, using the DMM model,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s an eighth curriculum consisting of three stages of demonstration and imitation production, and a virtual classroom for execu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as built using the Gathertown platform. In the case of a virtual classroom,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 entrance space and a classroom space, and you can enter the classroom space through the entrance space. The lecture room is also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paces classified according to five purposes. It consists of the entrance to the classroom, which is created for the first time at the entrance to the classroom, the circuit practice room for electronic circuit practice, the programming practice room for program writing, the application lab for application task practice, and the question and consultation room for questions and consulta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 course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se lecture rooms consist of a total of 8 lecture rooms, with one space in the first session. Through expert formative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theory used in the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hysical board and the suitability of the virtual classroom space configuration were verified. It is expected that problems such as delay in learning due to interference caused by this will be improved, and problems that occur in the existing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will be improved,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of learners will be improv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GetTown platform and Arduino education program were presented, and significant result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were obtaine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ctual effect by applying the town classroom and to supplement qualitatively, and to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for various physical tools and the learning effect. In addition, since only the basic parts can be learned with the curriculum consisting of 8 lesson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methods applicable to in-depth courses or regular classes.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 변화하는 추세에서 미래 인재의 기본소양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이 필수역량이 되었다. 세계적으로 미 래 IT 인재 육성에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COVID-19(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적인 대유행 현상에 의해 교육환경 또한 오프라인 위주의 수업에서 온라인 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비대면 환경에서 사용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대부분이 실시간 쌍방향성 플랫폼이 활용되고 있으나 피지컬 컴퓨팅 소프트 웨어 수업과 같은 실습 과정이 많은 수업의 경우 학습 격차 및 수업환경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게더타운 메타버스 플랫폼 기 반 피지컬 보드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주제로 메타버스 플랫폼 중 게더타운을 활용하여 피지컬 보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프로 그램에 적용할 가상의 교육환경을 구축하여 비대면 온라인 피지컬 컴퓨팅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가진다. 이 론적 배경과 실무 강사 대상 요구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교과 과정에 무리가 없도록 중학교 자유학기제 및 방과 후 학습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2시간(90분) 과정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DMM모델을 활용하여 시연, 모 방 제작의 3단계로 구성된 8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가상의 강의실을 게터타운 플랫폼을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가상의 강의실의 경우 크게 두 분류로 입장 공간과 강의실 공간 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입장 공간을 통해서 강의실 공간으로 입장을 할 수 있 다. 강의실 또한 5가지의 목적에 따라 분류된 공간의 조합으로 구성이 되어있 다. 강의실 입장에 처음 생성되는 강의실 입구, 전자회로 실습을 위한 회로 실습실, 프로그램작성을 위한 프로그래밍 실습실, 응용과제 실습을 위한 응용 실습실,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질문과 상담을 위한 질문상담실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강의실이 교육프로그램의 과정에 맞게 1차시 1개의 공간으로 총 8개의 강의실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피지컬 보드를 활용한 소 프트웨어 교육프로그램에 사용된 이론에 대한 타당성과 가상강의실 공간 구성 의 적합성 등을 검증하였고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와 교 수자 간의 질의응답 및 학습자간의 학습격차로 인한 간섭으로 학습이 지연되는 현상 등의 문제점들과 기존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 선하고 학습자의 학습 성과를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게더타운 플랫폼과 아두이노 교육프로그램을 제시 하였고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실제 비대면 교육 상황에 서 본 교육프로그램과 게더타운 강의실을 적용하여 실제 효과를 탐색하고 질적으로 보완이 필요하고 다양한 피지컬 도구에 대한 적용방안과 학습효과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8차시로 구성된 교육과정으로는 기초적인 부분만 학습이 가능하므로 심화 과정이나 정규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