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이연숙 동의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비만아동의 체중감량을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부산시내 한 초등학교 4∼6학년(11∼13세)를 대상으로 가정통신문을 통해 튼튼이교실 프로그램을 안내한 후 참여 동의서를 받아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들 중 비만실험군(16명)과 비만대조군(13명)으로 나누어 비만실험군에서는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한 학기(3개월) 동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주 2회,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 실시 하여 두 그룹 모두 사전·사후 생화학적 분석치, 활동상태, 영양소 및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여 그룹 간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를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두 그룹 간 신체계측치 및 체력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혈액생화학치에서 실험군의 총콜레스테롤(TC: total-cholesterol)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식습관 24문항을 점수화(100점)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식습관점수가 84.31에서 93.0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영양지식 13문항을 점수화(15점)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영양지식점수도 10.54에서 13.6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4시간 활동량조사에서 신체활동구성면에서 실험군의 독서시간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05), 고강도 활동시간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1). 신체활동수준(PAL: Physical activity level)에서는 실험군의 고강도 활동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p<0.01), 실험군의 경우 고강도활동량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1일 평균 영영소 섭취량에서 실험군에서 에너지 섭취량(p<0.001) 및 단백질(p<0.01), 동물성단백질(p<0.05), 당질(p<0.001), 식이섬유(p<0.001), 인(p<0.05), 철분(p<0.001), 식물성철분(p<0.001), 동물성철분(p<0.05), 나트륨(p<0.001), 비타민 A(p<0.001), 티아민(p<0.01), 리보플라빈(p<0.001), 나이아신(p<0.001), 비타민 C(p<0.05))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에너지 적정비율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은 사전 58:15:27에서 사후 64: 14: 22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한 사람의 비율)는 실험군에서 오히려 인(p<0.05), 비타민 A(p<0.01), 리보플라빈(p<0.05)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된 아동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품섭취실태에서 두 그룹 간 식품군별 식품수와 빈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실험군에서 총 식품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총 빈도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여(p<0.001) 실험군의 경우 식품섭취 다양성은 증가하였으나 식품을 먹는 횟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par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sing weight of obese children at 4~6th grade(11~13 years old) in an elementary school in Pusan, explaining the healthy class program through home correspondence, receiving agreement for participation and selecting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a group of testing obesity(16 persons) and a group of comparing obesity(13 persons). For the obesity testing grou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were respectively practised twice and three times a week in a semester as an after-school program. The value of biochemical analysis, the stat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intakes of food and nutri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wo groups were surveyed. The effect of running program for two groups was compared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values of body measurement and physical strength of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serum TC(total cholesterol)level of tes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The grades of eating habit with score(100 marks)(p<0.001)(from 84.31 to 93.05) and nutrition knowledge with score(15 marks)(p<0.001)(from 10.54 to 13.63 )significantly increased respectively in the testing group. In the survey of 24 hour physical activity composition hours of reading(p<0.05) and high physical activity(p<0.01) of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In mea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PAL) high physical activity level of tes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p<0.01). It means that the amount of high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esting group overall increased. The intakes of energy(p<0.001), protein(p<0.01), animal protein(p<0.05), carbohydrate(p<0.001), dietary fiber(p<0.001), phosphorus(p<0.05), iron(p<0.001), vegetable iron(p<0.001), animal iron(p<0.05), sodium(p<0.001), vitamin A(p<0.001), thiamine(p<0.01), riboflavin(p<0.001), niacin(p<0.001), vitamin C(p<0.05) of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AMDR)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as 58:15:27 before the program and 64:14:22 after the program in test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MDR between two groups. In the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s the rates of children who were below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EAR) for phsphorus(p<0.05), vitamin A(p<0.01), and riboflavin(p<0.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testing group. In the assessment of food group intake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food items consumed(p<0.05) and the total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in test group.

      • 장애전문어린이집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분석 및 지원요구

        김아람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03

        이 연구는 장애 전문 어린이집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애 전문어린이집에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부산, 김해, 대구, 포항 지역 장애 전문 어린이집 19곳의 23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자료 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교직경력, 설립유형, IEP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응 답 분석과 x²-검증에 의한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분석에 있어 우선순위 문항은 1순위에는 3점, 2순위에는 2점, 3순위에는 1점이라는 점수를 부여하여 각 점수의 총합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검증 방법들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05, 0.01, 0.001에서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EP는 모든 장애 전문 어린이집에서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EP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나 연수가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개선이 요구되고, 교육목표 계획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우선순위 사항 중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려하여 계획한다는 응답이 낮게 나타난 원인을 살펴보아 비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표준보육과정을 장애영유아들에게 접목시킬 때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기에 장애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1. 전문적이고지속적인 IEP 교육 및 연수가 필수이다. IEP 교육 및 연수의 내용은 IEP작성요령을 알아볼 수 있는 서류 예시와 다양하고 구체적인 실제 IEP 사례예시를 통한 교육이 요구된다. 다양한 IEP 계획의 목표나 실행 등의 자료를교육과 연수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으면 이를 바탕으로 맡은 아동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하여 실행시킬 것인지에 대한 교사의 부담시간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고 아동들에게 즉시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있었다. 2.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제공을 필요로 한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교육정책에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교사에대한 배려·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수준을 가진 장애아동의 특성으로 교육과정과 접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본 논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설립유형별로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유형과 상관없이 개별화교육지원팀의 비슷한 구성, 구성원 간의 정보 공유 횟수, 장애유아 보호자와의 정보 공유 및 협의 여부와횟수, IEP 계획 시 보호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 IEP 작성시기, 장애아동의 현재 학습 수행수준 파악 방법, 교육목표 계획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 IEP 실행 시 평가 실시 여부 및 횟수, 평가 결과에 따른 IEP 수정 여부, IEP 평가 결과 보호자 통보 여부 등은 비슷한 통계 결과를 나타냈으나, IEP 계획 단계에서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여부 및 구성 시기, 교육목표를 세부적으로 계획하는 수준, IEP에 포함된 평가 방법 등에는 유형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각 어린이집마다 다른 IEP 운영 방식을 평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실질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도구, 표준화 되어있는 평가 방법 자료와 IEP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안을 필요로 하며 체계적이고 문서화 된 IEP 작성지침의 제시가 필요하다. 즉 적용기준이나 준거 기준 또는 내용이 통일된 IEP 운영 자료가 필요하다. 셋째, IEP를 실제 수업과 장애유아 지도에 실행하는 정도는 대체로 실행과 전부 실행이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나 실행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이유는 ‘어린이집의 일과를 수행하다 보면 시간이 부족해서’와 ‘어린이집 일과와 IEP지도의 병행이 힘듦’, ‘불필요한 서류가 많아 IEP 지도에 집중하기 어려움’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IEP 실행 시 자주 사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적·언어적 촉진, 직접교수법, 모델링 등으로 나타났고 IEP 실행 시 자주 사용하는 수업형태는 전체적으로 1:1 지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현장 상황을 보았을 때, 연구결과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1. 장애 전문 어린이집은 아동의 개별 치료시간이 있고, 치료시간 외에도 특별 활동이나 외부수업이 자주 있어서 하루 일과 중 IEP를 실행하기 위한 시간을 갖기가 사실상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조경미 2016) 장애 전문 어린이집 일과를 조정할필요성이 있다. 2. 개별적인 지도와 케어를 필요로 하는 장애 아동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교수-학습 방법과 수업형태를 고려하여 가능하다면 인력보충 또는 교사 대 아동 비율 감소를 필요로 한다. 3. IEP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운영이나 행정에 대해서도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서류나 문서로 인한 과중한 업무를 경감하고 불필요한 서류를 간소화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넷째, IEP 실행 시 자주 사용하는 교수 매체-자료는 전체적으로 실제 사물(구체물)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장애 전문 어린이집 교사가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매체 자료는 장애유아의 특성에 맞고 직접적이고구체적인 교재교구임을 알 수 있었고 개방형 질문에 장애 전문 어린이집에서 IEP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묻는 질문의 응답 중 장애유아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재교구를 지원해줬으면 한다는의견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더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이 된 만큼 개인마다 각 특성이 다양한 장애유아에게 맞는 다양한 교재교구 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장애 전문 어린이집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문제점과 지원방안은 향후 장애 전문 어린이집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개발과 운영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specializ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seek professional and effective education directions by identifying the oper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esenting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5 teachers at 19 daycare centers specializing in disabled children in Busan , Gimhae , Daegu , and Pohang , and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 were calculated , and multi-response analysis and -verification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aching experience , establishment type , and IEP-related training experience), and priority questions were three points for the first and two points for the second . Finally ,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all verification methods was verified at =0.05, 0.01, 0.001. The findings from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EP was found to be implemented in all specialized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 bu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urriculum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hildren as it is difficult to incorporate the planned standard child care process in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reasons why improvement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or training on IEP, and the low response to the plan among the prioritie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ducation goal plan . 1. Professional and continuous IEP education and training are essential as a way to improve these results . The content of IEP training and training is required through various and specific examples of actual IEP cases and document examples to learn how to prepare IEP. Some suggested that if data such as goals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IEP plans could be provid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 teachers could reduce the burden time on their children and immediately implement them . 2.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rriculum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Whenever there is a change in education policy for infants , there is a difficulty because there is no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for teachers who guide disabled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 Support is needed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urriculu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various levels. Second , when we look at differences by type of establishment that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is paper, regardless of type , the number of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 the number of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 the number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nsultation sessions with the caregiver in the IEP plan , fully reflecting the guardian's opinion in the IEP plan , how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learning for disabled children , whether or not to conduct an assessment in IEP execution , IEP, IEP, IEP.The level of doing , the evaluation methods included in the IEP, etc . differed by type. As a way to improve such research results , efforts are made to level the different IEP management methods for each day care center. Practical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data , and specific presentation of IEPs are required , and systematic and documented IEP preparation guidelines are required . That is , IEP operational data with uniform application or compliance criteria or content is required . Third , the reason why the implementation of IEP in actual classes and guidance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was that most of the execution and implementation were done , but the reasons for the response were that it was not possible to implement it were "because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do the daily work of the daycare center," "It was difficult to combine the daily work of the daycare center with the IEP map ," and "It wa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the IEP map because there were a lot of unnecessary documents ." In addition , frequently use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IEP execution were shown as physical and linguistic promotion , direct teaching methods , and modeling ,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types in IEP execution were 1 :1 maps overall. Given the situation at the site ,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is 1. Children's daycare centers with disabilities have individual treatment hours for children , and there are many special activities or outside classes besides treatment hours , making it difficult to have time to implement IEP during the day (Cho Kyung-mi 2016). 2. Consider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patterns that are mainly used for disabled children who need individual guidance and care ,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workforce or reduce the teacher-to-child ratio , if possible. 3. Not only IEPs but also the operation or administration of daycare centers require the need to reduce the heavy work caused by documents or documents that teachers are in charge of and to simplify unnecessary documents. Fourth ,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edia-data for IEP execution showed actual objects (subjects) overall, indicating that the teaching-media data mainly used by teachers at daycare centers with disabilities were direct and specific teaching aid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nd that in response to the open question asking teachers to plan and implement IEPs at daycare centers with disabilities , various teaching aids suitabl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supported at a high rate. In addition ,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o focus on play ,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teaching aids suitable for disabled infa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 problems ,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individualiza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fficient individualization education plan at the education sit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인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정신문화 교수학습모형 개발

        정하린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03

        한국어 습득에 관심을 가진 외국인들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한국어 교육에서 다양한 교수 방법이나 학습 소재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제2의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하고 정확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함이다. 의사소통능력이란 한국어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어 속에 내재된 한국문화 및 정신문화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으면 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국어 교육은 1980년대까지는 문법을 중심으로 한 전통식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한국 문화에 관한 교육을 통합하여 교수법에 적용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한국어 문화교육 및 정신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교수 활용 방법과 소재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문화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에 착안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모형 개발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이론적 탐구는 정신문화와 정신문화교육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정신문화교육이 지니는 위상과 필요성을 상관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정신문화교육을 위한 활용 방법으로 채택한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탐색하고 스토리텔링의 기법과 원리가 교수학습모형개발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에 관해서도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한국어 교육이 변화되어 온 과정과 문화교육의 현황 파악을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 분석을 토대로 앞선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교재 분석으로는 한국어 교육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2010년 이전과‘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교육 과정으로 개정이 이루어진 이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정 이후의 교육과정을 등급별 총괄 목표와 문화 영역 목표 기술로 제시하고 문화기술을 세부 내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나아가 정신문화교육의 당위성과 근거 마련을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하는 정신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함께 살펴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정신문화교육의 새로운 수업모형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 속의 문화 관련 내용 및 구성에 대한 기존의 현황 분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분석을 위해 연세대학교와 경희대학교 두 대학의 교재 24권을 중심으로 살핀 결과 개정 이전과 개정 이후의 교재 모두 초급 단계에서는 문화와 관련된 주제를 다루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중급 단계에서부터 문화 관련 내용이 제시되고 단계에 따라 주제 및 난이도의 차이를 두었다. 그러나 문화면의 구성이나 제시의 방법이 문화의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함에 있기보다는 설명 위주의 정보전달과 지문 이해를 위한 간단한 문제 풀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역사 중심의 인물을 주제로 한 문화면에서도 단계를 막론하고 단일한 인물에 치중되어 있으며, 교재의 전체 구성이 언어 문법이나 기능 위주로 구성되어 문화의 내용의 비중은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 교육과정 개정 이후에는 문화 영역의 내용 기술을 문화지식, 문화실행, 문화관점으로 세분화하여 등급에 차등 적용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문화를 학습의 단계에 따라 일상에 대한 문화와 행동 문화, 그리고 지식이나 실행 중심에서 더 나아가 문화를 상호·비교하는 관점으로 문화교육이 이행되어야 함을 권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표준모형에서는 가치관과 역사, 종교 등 정신문화의 영역을 한국어 5등급에 편성하였고, 화폐 속 인물을 한국의 역사 영역에서 5등급에 별도 편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절차에 따른 요구도 조사로는 한국어 교육‘국제통용 표준모형’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집계된 것으로 제시하였으며, 요구도 조사 대상의 범주를 외국인 학습자들과 좁게는 외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문화 학습에 대한 요구를 살폈다. 그 결과 두 조사 모두 정신문화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가 평균 60~80%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대학생들이 말한 정신문화교육에서 학습하고 싶은 역사 속의 인물로는 세종대왕이나 이순신이라 대답한 학생의 비중이 66%로 가장 높은 요구를 보였다. 위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원하는 정신문화에 대한 학습의 요구가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정신문화교육으로 가장 적합한 학습의 소재가 화폐 속의 역사적 인물에 있다고 보고, 인물이 지니는 정신적 가치와 상징성에 대하여 탐색하였으며, 언어와 정신문화를 통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스토리텔링의 기법과 원리를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절차의 단계를 도입, 어휘, 단계, 정리 단계로 체계화하여 수업모형을 중급과 고급 단계로 제시하였다. 중급에서는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꼽히는 10,000원 권의 세종대왕을, 고급에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겨레의 현모양처로 50,000원 권에 실려 있는 신사임당으로 선정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정신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이 언어 기능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왔음에 대하여 문제 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는 언어가 문화를 반영한다는 이유에서 언어가 사회, 문화적 관점 및 통시적 관계 속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져 있다는 데 있다. 이에 학습자들이 단순히 언어 기능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한국어가 내포하고 있는 정신 문화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고자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대안을 제시하자면‘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에서 제시한 표준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수업 시간을 최소 72시간에서 최대 200시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72시간의 최소 시간의 경우에는 언어기술에만 집중하도록 하여 한국어 학습의 기능면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편성 시 시간이 짧다고 하더라도 주어진 시간 안에서도 문화교육이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은 본 연구에서도 교수 학습지도안을 중급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시하였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정신문화 교육의 자료와 소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구비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들을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이 정신문화를 학습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과 풍부한 질적 소재 및 자료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교육의 초급 학습자들도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Researches of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ccording as more foreigners try to learn Korean language.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ant to get a fluent and accurate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In order to get the ability they need to underst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which is inherent in Korean. The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been a traditional method focused on just linguistic function, and it was not until the mid-1990s that Korean culture was brought to the language education. However, compared to the program based on the linguistic function, the materials and progra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ts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were less developed. This is wh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Korean spiritual culture for learners.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ts spiritual culture, and research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Also, the method of character storytelling and its educational effects were presented as a method of Korean language based on spiritual culture. Then it analyzed the history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ts spiritual culture, and pre-2010 textbooks and textbooks of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The standard model was again divided into general goals and specific goals related to culture, which were subdivided in more details. In addition, learners’ needs in the Korean spiritual culture were researched for the ground of the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t. Korean textbooks needs to be analyzed in terms of their content and composition. 24 Korean textbooks used in Yonsei and Kyunghee Univesity didn’t involve cultural content at beginners’ level. Some cultural contents appeared at intermediate level, but focused on just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tips rather than cultural situation and context. For example, there were a few historic figures at both levels, but they were mere materials of lingustic function and knowledge. After curriculum revision in 2010, however, cultural contents are categorized into its backgrounds, practices and viewpoints according to each level. It means that they are essential qualiti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Korean spiritual culture is organized in the 5th level, and historic figures in Korean banknotes are placed in the separate part of Korean history. Learners’ needs in the Korean spiritual culture were presented with the help of general foreigners and foreign undergraduates respectively. As a result, 60~80% foreigners of them neede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piritual culture. One of the proper materials in language education is considered historic figures in Korean banknote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figures was involved and applied in a storytelling method and principle in this study. The teaching-learning model was presented according to classroom activity procedures: introduction, lexicon, development and wrap up. Sejong the Great in intermediate level, who appears on 10,000-won banknote, and Sinsaimdang in advanced level, who appears on 50,000-won banknote respectively, were used as materials of character storytelling metho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function had some limitations and didn’t meet foreign learners’ needs. It was because the method failed to consider that language reflects culture. When foreigners learn Korean language with its spiritual culture, they are able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better. Here is a suggestion for the better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says that 72~200 hours could be proper to learn Korean. With the least 72 hours, students can just focus on linguistic function and skills. If students learn from the content based materials related culture, however, their language learning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 limited time. Teaching-learning model this study shows i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More language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ultural content should be developed for beginners. That way, it will be possible for beginners not only to learn easy expressions but also to be introduced to Korean culture. This meaningful topic is highly recommended for following researchers.

      • 대학 교양 IT 교과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안영이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303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컴퓨터 활용 능력을 함양시키고 시대적 변화에 창의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화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ㆍ중ㆍ고ㆍ대학까지 연계적으로 교육되어지고 있는 교양 IT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런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여 컴퓨터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997년에 교육부가 발표한 제7차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내용을 파악하고 자료조사를 통하여 대학교에서의 교양 컴퓨터 교육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그 연관성을 비교해 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교육내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교양 컴퓨터 교육에 대한 활성화 방안 및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초ㆍ중ㆍ고ㆍ대학에 이르기까지 컴퓨터 교육내용은 비슷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생들에게 반복되어 교육되어지고 있었고 초, 중, 고, 대학별 교육시기에 따라서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컴퓨터 교육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동일한 학습내용에 대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초급, 중급, 고급반으로 구분하여 과목을 개설하고 하나의 과목에 많은 내용을 담지 말고 학습내용을 세분화하여 교재를 개발하며 대학에서의 교양 컴퓨터 교육과정은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과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됨이 바람직하다. One is supposed to understand a computer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is informatization society. This is why schools are focusing on helping students to cultivate an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s of thi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s actually taught in articulated IT education among prim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hich was provided as one of optional courses, and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IT classes. It's basically meant to seek ways of offering mor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7th national curricula announced in 1997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cont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uter education, and relevant data were reviewed to see what optional computer courses in college dealt with. Then it's attempted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elementary, secondary and college educa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computer classes and suggest how optional computer courses could be more prevailing and successful.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mputer education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as planned to be similar, and students learned the same things repeatedly. And their understanding of cla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of grade. In order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lesson and provide mor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different level of classes should be prepared, including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ones. It should be avoided to insert a lot of materials into a single subject, and textbooks should be segmented. In addition, optional computer curriculum in college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uter curricula.

      •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미정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87

        평생교육의 중요성은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보편화되고 있고, 개인의 자아실현, 사회적 통합 증진,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 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평생교육의 양적 확대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평생교육 교수자들은 교수역량에서 기획된 교수학습 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실행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자들이 교수역량 전체항목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수자의 최종학력에 따라 교수역량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수학습 목표의 수립 및 교육내용의 설계와 개발을 의미하는 기획역량에서도 활동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생교육 교수자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현재수준으로 가장 높은 역량은 실행역량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수자가 잘 실행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반면 학습자의 학습능력 제고를 위해 학습자를 지원하고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지원역량이 낮다는 것은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따른 요구로 교수자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으로 판단된다. Borich 요구도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 항목의 결과는 사회관계망 구축 및 관리 역량, 학습자원 및 정보수집 역량, 행·재정 이해 역량, 교수매체 개발 역량, 팀워크 구축역량, 프로그램 평가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위치 확인을 통해 도출된 교육요구도 최우선순위 항목은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개발, 운영된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수행결과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차순위 항목으로는 학습자원 및 정보수집역량, 교수매체개발 역량, 교수매체활용 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행·재정 이해역량, 집중력개발 역량, 공정한 학생 평가역량, 팀워크 구축역량, 학습상담 및 컨설팅 역량, CoP 구축 및 관리역량, 사회관계망 관리역량으로 총 11개 항목으로 도출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는 이와 같은 역량개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수역량 개발에 힘써야한다. 주요어 : 평생교육 교수자, 교수역량, 중요도, 현재수준, 우선순위

      • XML에 기반한 기술교과에서의 ICT 활용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종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4287

        21세기 사회는 국가의 경쟁력이 사회 전반의 정보화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다. 따라서 교육의 실천 방안도 교수-학습 교육정보화 종합 계획을 통해 기존의 교육방식과는 차별화 된 연계ㆍ통합교육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런 교육 방식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ICT 활용을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 구현 및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또한, 교육정보화 종합 계획의 실천을 통해 기존의 개별 교과로만 다루어지던 기술 교과교육을 ICT 활용교육과 연계하여 기술교과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교육자료를 학습자에게 교수함에 있어 웹문서 표준인 XML을 활용하여 교육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저장을 높이고, 동일업무에 대한 교육자료의 재편집과정을 감소시킴으로써 교육자료의 가치를 높이는 XML 생성ㆍ저장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ICT 활용교육을 위한 기술교과의 XML 문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제7차 교육과정 기술 교과에서 지향하는 ICT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모델을 분석하고, 전통적인 기술교과 학습지도안을 바탕으로 기술교과 DTD를 정의한다. 다음 단계로서, 정의된 기술교과 DTD에 적합한 교수자 지도안 입력 인터페이스를 웹에 구축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XML 문서로 생성하고 저장시킨다. 최종적으로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교육능력에 맞는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도록 XSL을 작성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교수자는 XML에 관한 사전지식을 갖지 않고도 XML 문서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정보의 관리와 검색 작업을 용이하게 해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전통적인 기술교과 학습지도안을 통하여 지면을 표현매체로 한 평면적인 자료구조와 수업 활용도가 낮은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구현된 ICT 활용교육을 위한 기술교과의 XML 문서 시스템을 통하여 자료의 갱신이 용이하게 되며, 교수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므로 교육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21st century society is a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where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relies on the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industry. Recently, traditional individual subjects are integrated through a comprehensive teaching-learning informative plan. It provided a base to connect and integrate subject teaching process and computer utilization educa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as constructed where ICT utilization is embodied and appli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e construction of such an environment allowed qualitative enhancement in education and an individual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by utilizing it in ICT training, which shows remarkable growth with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is study, ICT education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because there were not sufficient discussions or studies on foresaid issues, even though concrete efforts for information orientation are made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nhance efficiency of technology and teaching-leaning by connecting technology education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an individual subject through the practice of a Comprehensive Plan for Information Orientation in Education. Accordingly, followings are the concrete purposes of this article. (1) Models of learning methods using ICT that were sought for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for technology subject were investigated and reviewed. (2) Teaching-learning plans for ICT where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CT education applied were developed to provide a useful learning method and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classes. It is to design and embody a system by applying XML-based technology subject by applying ICT utilization education

      •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본어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문경애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4287

        영어 이외의 외국어 교육이 강조되면서 초 · 중학교에서도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외국어를 공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본문화의 개방 이후 상당수의 학생들이 일본과 일본어에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특기적성교육' 시간에 일본어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일본어교육'이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문제점으로 일본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나 학생 · 학부모의 인식 부족과 프로그램의 운영, 지도강사,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열악한 교육여건 및 특기적성교육 업무담당 교사의 업무과중, 그리고 학생들이 발표할 수 있는 기회 및 평가에 대한 회의(壞疑) 등에서 비롯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기적성교육'과 '일본어교육'에 관한 관련 연구 문헌과 연구 기관, 시 · 도 교육청 및 교육부 지정 특기적성교육 과정 연구, 시범학교등의 관련 연구 보고서, 실천 사례집, 각종 지침 및 실적 자료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우선, 일본어교육이 가능한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Ⅱ장에서는 '재량활동'의 교육과정과 개념을 알아보았고, Ⅲ장에서는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개념과 운영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Ⅳ장에서는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통한 일본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특기적성교육' 및 '일본어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그 운영상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나.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다.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어교육'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라.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통한 일본어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학교관리자의 관심이 특기적성교육 활성화의 척도가 되므로 일본어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부모 및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등을 통해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여 특기적성교육 활동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소수의 인원이더라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계성,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의 보장성과 강제성이 요구된다. 현직교사보다 외부강사 활용이 높은 상황을 고려하여 지도강사에 대한 적절한 보수와 작업환경이 보장되어야겠다. 그리고 지도강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청 및 대학이 주체가 되어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주기적인 연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 또 학생들에게 교육청 또는 대학에서 주관하여 외국어 경시대회, 말하기 대회 등의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겠다. 외국어 관련 각종 경시대회 운영의 내실을 기하고 수준 높은 발표를 위한 충분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중학교에서 일본어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과 재량활동' 및 '특기적성교육'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며, 이를 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까지 연계될 수 있는 교육대책이 요구된다. A movement to study foreign language through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s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other than English is being emphasized on. Especially after opening of Japanese culture, many students are voluntarily selecting Japanese in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with interest toward Japan and Japanes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is not sufficient and unsystematic. The problems are lack of student/teacher/parent acknowledgement for the necessity of Japanese education, inferior education conditions such as operation of programs, diverse programs and guide teachers, excessive tasks for teachers in charge of a speciality aptitude test, and doubt for evaluation and chance to make announcement. This study collected, analyzed and studied all sorts of policies, performance data, and related study reports such as study organizations, city, province education offices, study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process st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xperimental schools, and study documents related to Japanese education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education process of discretional activity in chapter 2, and concepts and operation current situations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chapter 3 to study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at allows Japanese education. Moreover,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improve operation of the program through former studies related to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nd Japanese education was inquired to find solutions to activate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chapter 4. The contents selected in this study for the study goal are: A.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B. What are problems and solutions to improve operation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C. What are the problems and operation reality of Japanese education in middle school? D. What is the solution to improve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There is need to change acknowledgement for Japanese education since the criteria to activate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is attention from school managers. Also,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 activity needs to be connected to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o enlarge attention to induce constant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parents. Compulsion and security of the program by the school is demanded to maintain diversity, connection, and constancy of the program despite the small number of persons. An appropriate payment and working environment for guide teachers are to be guaranteed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using exterior teachers, not teachers in present post. Also, regular training and professional education about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s necessary by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ies to uplift the profession of guide teachers. Sufficient financial and administration support is necessary for a high level of announcement and setting of the substantiality of competitions related to foreign languages. Furthermore, more chances for foreign language and speech contests hosted by education offices or universities should be provided more. To activate Japanese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 education countermeasure that can be connected to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is demanded by activating the time for curriculum discretional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stated in education curriculum.

      •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Web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의 개발 및 분석

        장성진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287

        중학교 컴퓨터 교과의 ICT활용교육에 대한 연구는 각종 멀티미디어나 Web 기반 교수-학습매체들의 개발을 강조하였으나 실질적인 활용방안과 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교육에 필요한 Web 기반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ICT활용교육에 적절한 교수-학습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시행된 ICT활용교육에 대한 중학교 컴퓨터교과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컨텐츠들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에 필요한 문제해결학습과 Web 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교과에서 나모 웹에디터를 활용하여 홈페이지 제작 단원을 학습할 수 있도록 Web 기반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매체를 중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현재 교수-학습방식인 강의법·시범실습 방법의 비교집단과 ICT를 활용한 Web 기반 교수-학습방식의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4차시에 걸쳐 수업에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ICT활용교육을 위한 컴퓨터 환경조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펜티엄급 컴퓨터를 소지하고 있었으며, 컴퓨터 활용능력은 컴퓨터·인터넷에 익숙하고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Web 기반 교수-학습을 진행하기에 충분한 실력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를 Bloom의 교육목표별 분류학의 인지적 영역에 따라 비교해 보면 지식, 적용 영역에서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이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으며 이해 영역의 경우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영역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p-값이 0.001로 유의수준 0.05에서 기각되므로 강의법·시범실습방식의 교수-학습방식(비교집단)보다 Web 기반의 교수-학습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식(실험집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ICT활용 Web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의 학습효과 및 흥미도 조사에서 컴퓨터 교과의 흥미가 생겼으며 평소 수업에 비해 이해하기 쉬웠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의 방법 및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인도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 창의적 사고를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ICT활용수업을 실현해보려는 교사의 의지와 보다 전문적인 컴퓨터 교육과 기존의 교육컨텐츠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가 직접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의 촉진을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컴퓨터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ICT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use of ICT, including all sorts of multimedia and the Web, is increasingly being stressed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few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specific ways of utilizing it or its effect on student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practical and authentic Web-based instructional model and system suitable for ICT-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ICT-based computer education had been offered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1, to present models for problem-solving learning and Web-based instruction, to construct a Web-based instructional medium, and finally to determine its effect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8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latter group took four lessons of existing style, which relied on lecture method, demonstration and practice, and the former was exposed to four Web-based classes. And then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achievement were tes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computer-related environment, most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were in possession of pentium computers. They were familiar with computer and the Internet, and their computer literacy was above the average. This indicated that they were fully able to soak up Web-based instructions. Second, whe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in cognitive domain,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knowledge and application areas, and no gap existed between them in comprehension.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p=0.001), and this fact implied that the Web-based instruction gave a better impact on boosting th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existing one di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Web-based instructional system and its influence on learning interest, the experimental group came to have interest in computer class and found it easier to underst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play as role to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experience and enrich their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They are required to take advantage of ICT and existing online educational contents in person to offer more professional computer education. To facilitate various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t's most urgently necessary to enhance computer education setting, and ICT-in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on a long-term basis to remedy current problems with computer education and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 원격강의를 위한 교안 편집기 설계에 관한 연구

        정은영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4287

        원격강의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교육 컨텐츠를 활용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이며,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등 웹을 기반으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간에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원격강의는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인터넷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을 공유한다. 즉 원격강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하다. 특히 원격강의는 인터넷의 양방향성을 이용해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통한 양방향교육 등 다양한 교육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이 인쇄된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교육내용의 신속한 업데이트가 어려운 반면 저작도구를 활용한 원격강의로서 수정내용이나 최신 교육자료는 물론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교육내용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내용의 반복수강이 가능해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융통성이 높으며,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보조적 교육자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은 자기학습방식으로 학습자 개인에 맞게 진도관리가 가능하다.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진도관리를 위해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가 이루어지는데 비해 원격강의는 교육내용을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함으로써 개인의 수준과 필요성에 맞는 맞춤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오프라인의 교육에서 문제되고 있는 보조학습이나 단계학습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안 편집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On-Line Class means computer-base making use of variety kind of digital contents. It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on-line education system whic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web(lnternet, intranet, and extranet etc.) is possible either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among learners. Due to using internet ,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That is, it is available always, anywhere through internet without any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Specially, on-line class can organize the communities related to interesting theme using b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It can also utilize a lot of teaching techniques such a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motion video. While the off-line class is hard to update rapidly the lecture contents because of using the printed teaching materials, on-line class can timely reflect the corrected or the latest teaching materials to the lecture contents as wanted. In addition, because learners can learn repeatedly the same contents, the flexibility is higher than the off-line. It can also use easily the teaching supplements such as graphics and pictures. However, the off-line education can manage the studying process properly to the learner with self-studying style. While the off-line compel, one-way cramming lecture can to learners for the studying process management, the on-line can provide the education to satisfy the individuals, as customizing the contents to fit to the level and the needs of each learner.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design of new types of writing tools appropriate to web based system freely to use the Supplementary and the study by level study or which the off-line can't provide it. to be problematic in the off-line system.

      • 초등학생을 위한 태권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고상수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인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태권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첫 번째 단계인 목표수립을 위해 P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태권도 관장 8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태권도 관장 4명, 스포츠 심리학자 1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P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인 학생 60명이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 태권도 수련집단, 통제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태권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인성 검사지, 행복 검사지, 질적 자료(면담, 활동소감문)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과 태권도 수련집단에서 사회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시기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 태권도 수련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사회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덕성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과 태권도 수련집단에서 도덕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시기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도덕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과 태권도 수련집단에서 감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시기에서는 태권도 인성교육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감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복에서는 시기에서는 행복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에서는 행복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들(참여관찰, 활동 소감문)에서도, 양적 검증부분과 동일하게, 태권도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도덕성, 사회성, 감성 및 행복감 향상이 범주화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