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서수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파악하여 4년제 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라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전문적이고 심화·확장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에 유아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교육대학원과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생, 앞으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할 계획이 있는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김향진(2008)과 조광명(2012)이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요구도는 재학생 , 졸업생, 예비 교육대학원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카이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일부 교과목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대부분의 교과목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교사 양성기관과 교사 재교육 기관 즉,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른 교과목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 째, 각 집단별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한 동기는 ‘영·유아 지도를 위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동기에서 졸업생과 재학생은 교육대학원을 선택할 때 ‘교수의 평판이나 학교의 인지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들은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이나 교원자격증 취득’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가장 보상받고 싶은 사항을 분석해본 결과 졸업생과 예비 교육대학원생은 ‘졸업 후 전문직으로의 진출을 가장 기대’하는 반면 재학생은 ‘졸업 후에 자기성취감이나 내적 만족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해서는 대체로 불만족 하고 있었으나 수업이 강의계획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재학생과 졸업생은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교수강의+발표수업+토론수업’이라고 한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은 ‘교수강의 형태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목표 대상연령은 대부분 ‘영아와 유아를 지도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학위논문 작성은 대부분 ‘4학기에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한 교육대학원이 ‘전임교수의 명성과 인지도 면’에서 타 교육대학원과 차별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는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보통이거나 별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졸업생은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반면 현재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재학생들은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학기에 수강하기에 적합한 과목수로 졸업생은 2과목(80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한 반면 재학생은 3과목(45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업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대부분 현직 교원임을 감안할 때 수업 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나 그 이후에 해야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졸업생과 재학생은 논문작성 과정 시 지도교수의 개별적이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rriculums for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suggest a more perfect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goal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ultimately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professional, enriched and extended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What is the awareness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3. What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4. What are the needs of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four-year universities that had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ere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grasp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 education students, graduat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prospective graduate education students who planned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Kim Hyang-jin(2008)'s questionnaire and Cho Kwang-myung(2012)'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look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in the way of loo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and 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abo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urriculums. Besides, x2(Chi-square) test and F-test were utiliz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graduate students,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in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the four-year universities and those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veral courses, but no great disparities were found in most of their course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s of the two according to their goals, namely whether to provide reeducation for existing teachers or foster new teachers. Second, the motivation of the students to enter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most common motivation was to acquire new knowledge necessary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guidance. Their motivation to cho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currently attended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took more considerations on the reputation of professors or the awareness of school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placed more importance on what courses were offered or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acquire a teacher certificate. What kind of rewards they expected to receive the most after graduating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sked,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o work in a more professional field, while the biggest number of th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hey woul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be contented with themselves after graduation. All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way of runn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on the whole, but they replied the curriculums were managed in a systematic manner according to the prepared syllabus. Concerning their favorite form of instructio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asked for a combination of professor lecture, presentation class and discussion clas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o atten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They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objects of the curriculums were mostly related to what it took to teach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they started to work on their theses mainly in the fourth term. They ch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attended primarily because of the reputation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outstanding awareness of the schools. Third,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with curriculum management, both of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replied, "So-so," or were little satisfied. Fourth, their nee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were analyzed. The graduates didn't expect much from the curriculums, whereas the graduate students were demanding. The graduates who numbered 80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wo courses per semester, while the graduate students who numbered 45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hree courses per semester.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for a time to start a class, the largest group replied it should be 18:30,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that aspect. As graduate student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mostly teachers, it will be advisable to start a class at or after 18:30. In regard to writing a thesis,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wanted advisers to give individual and detailed guidance, while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hat a wide variety of courses relate

      •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박수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meta-emotion philosophy of fathers an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emotion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 accordance with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age, academic background, matter of double-income family, monthly average income of household)? 2. How are the relationships of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motion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2-1. How are the relationships of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emotion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2-2. How are the relationships of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42 children in 4&5-year old of two daycare centers and thre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fathers and mothers. For the measurement of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PMES(Parental Meta-Emotion Scale) recomposed by Bae, Ji-Woo(2010) based on the scale by Gottman(1997), Fabes, Eisenberg, & Bernzweig(1990)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emotional competence testing tool produced by Woo, Soo-Kyeong(2002), and then modified for teachers in 2004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interview tool for young children translated/produced by Lee, Won-Yeong, Park, Chan-Ok, and No, Yeong-Hwa(1993) based on the「Skill Situation Measure」by McGinnis & Goldstein(1990)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parental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high in fathers with the graduation of graduate school than the graduation of university, and with double-income family.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high in mothers in their 30s and with the graduation of graduate school than the graduation of high school. Also,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high in mothers in double-income family and the family with monthly average income for 5million-7million won. Second, th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motion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relationships with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children of fathers with the correct belief in emotion showed the high emotional competence to properly express their emotions by clearly cognizing the emotions occurring in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social environment, to make expressions by using diverse vocabulary suitable for situations, and also to empathize with/understand others' emotions. On top of successfully adapting themselv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hey also showed the high prosocial behavior of flexible actions by controlling their emotions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paternal/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motion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revealed a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Especially, contrary to the patriarchal and strict fathers' role in the past, due to the decreased number of children, increase of mothers' entry to society, and changes in roles and functions of famil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has been increased, demanded, and practiced as the fathers' role as a co-parent is emphasized more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diverse social supports, to develop programs in which young children and their fathers could participate together, and also to provide the paternal education for the increase of their interest in parenting and also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rrect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it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s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is predicted to be influenced by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belief and social environment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it.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사회 인구학적 배경변인(연령, 학력, 맞벌이 여부, 가구의 월 평균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2.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 2곳과 유치원 3곳에 재원 중인 만 4, 5세반의 유아 142명과 그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이다. 부모 상위정서철학은 Gottman(1997), Fabes, Eisenberg, & Bernzweig(1990)의 척도에 근거해 배지우(2010)가 재구성한 PMES(Parental Meta-Emotion Scale)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 정서능력은 우수경(2002)이 제작하고 2004년에 교사용으로 수정한 정서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cGinnis & Goldstein(1990)의「Skill Situation Measure」를 기반으로 이원영, 박찬옥, 노영화(1993)가 번역, 제작한 유아 면접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적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은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경우, 대학교 졸업의 학력보다 대학원 졸업의 학력을 가진 아버지와 맞벌이 가정인 경우 아버지 상위철학이 높았다. 어머니의 경우, 연령이 30대인 어머니와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보다 대학원 졸업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높았다. 또한 맞벌이 가정인 경우와 월 평균소득이 500만원에서 700만원 사이인 가정의 어머니 상위정서철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버지 상위정서철학과 유아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은 일부분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반면, 어머니 상위정서철학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에 대해 바람직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의 자녀일수록 사회적 환경에 따라 자신에게 일어나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여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표현하고, 상황에 맞는 다양한 어휘를 활용하여 표현하며 타인의 정서를 공감하고 이해하는 정서능력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 잘 적응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서를 환경에 맞게 조절하여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친사회적 행동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아버지 상위정서철학이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과거 가부장적이고 엄격했던 아버지의 역할과는 반대로 자녀수의 감소와 어머니의 사회진출 증가, 가족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현대사회에서의 자녀양육은 더 이상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참여 기회가 증가하고, 요구되며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공동양육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졌음 시사한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자녀의 바람직한 정서발달 및 사회성 발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아버지 교육과 아버지와 유아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사회적 지원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의 정서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 신념뿐만 아니라 유아가 경험하는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인식 및 활용실태

        추윤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올바른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실태는 어떠하며 교사의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의 활용도와 수업에 도움정도 및 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33명(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63명, 유치원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이지영(2015)의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김민선(2006)의 ‘유아음악 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3영역 총 25문항으로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관한 2문항,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 활용실태에 대한 11문항, 교사 인식에 대한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도, 만족도, 도움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치원 교사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도가 높았으며 이에 대해 만족해하고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력별로 살펴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해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생활주제별‧연령별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참고하기 편리하다는 것과 DVD자료가 함께 개발‧수록되어있어 교수‧학습에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생활주제별‧연령별 구성의 편리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으며 교사 학력이 낮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DVD자료에 대한 효율성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해 가장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음악교육의 활동의 양이 적음과 생활 주제별로 질적인 편차가 크다는 것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었다. 지도서의 수록된 활동의 양이 적음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불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 주제별 질적 편차가 크다는 것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불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음악적 개념(음색, 리듬 등)이 어느 정도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음악적 개념 중 가락과 음색이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기관별로 살펴보면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음악적 개념 중 음색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학력별로 살펴보면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학원 이상의 학력이 음악적 개념 중 음색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을 음악활동 계획 시 활용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활용 자료와 활동 제목, 활동 목표에 대한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목, 활동 목표와 활동자료의 활용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확장활동의 경우 전문대졸 이하가 대학원 졸 이상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음악활동 계획 시 참고하는 교재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터넷 자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활동 계획 시 참고하는 자료로 인터넷 자료 활용에 대해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참고하고 있었다. 또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참고하고 있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참고함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find the proper directionality of its utilization. Study problems in achieving such objective are set as follows. 1.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does it vary by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eacher’s level of education? 2. How is the utilization statu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does it vary by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eacher’s level of education?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class? This study targeted 33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163 daycare center teachers, 170 kindergarte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study objective with reference to Lee, Ji Young’s (2015)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guidebooks for teachers among teachers in the Nuri Curriculum designed for children aged from 3 to 5’ and Kim, Min Sun’s (2006) ‘Study on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for Kindergarten’.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 questions in 3 areas, which 2 of them are regarding teacher’s general background, 11 are regarding the utilization statu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12 are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s follows using SPSS Windows 18.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mor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y were satisfied and were perceiving that they were getting help from it. Also,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n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low. Second, as for the most satisfied part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responded that its composition by life themes and age was convenient to refer to and the accompanied DVD material was efficient in teaching-learning. Day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d higher satisfaction than kindergarten teachers in terms of the convenience of the guidebook’s composition by life theme and age,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hen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as lower.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about the efficiency of DVD material. Third, in terms of the most unsatisfied part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 insufficient amount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and the wide qualitative deviation by life them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insufficient amount of activities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er as the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as low.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dissatisfied about the wide qualitative deviation by life them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Fourth, in terms of teacher’s opinion on the musical concept (tone, rhythm, etc.) i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music activities in guidebook dealt with melody and tone among the musical concepts.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considered that tone was handled i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in terms of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or higher perceived that tone was handled more in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han teachers with junior college degree or less. Fifth,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in planning music activities, the utilization of data, topic and objective was high.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the topic, activity objective and activity data better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 terms of extension activity, teachers with junior college degree or less were utilizing more than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 or higher. Sixth, in terms of the teaching material used as reference in planning music activities, internal material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utilizing internet material more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 were referring to internal material more.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mor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 were referring to the guidebook more.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

        최가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경력, 근무기관 유형, 학력)에 따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을 알아보고,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경력, 근무기관 유형,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 3∼5세 유아의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양유진(2018)이 개발한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김원준, 김은아, 오세경(2019)이 개발한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설문지’와 이민영(2017)이 개발한 ‘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산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르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공립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립유치원 교사보다 직장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르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대학원 재학 및 졸업한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요인에서 대학원 재학 및 졸업한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테크놀로지 유아교수내용 지식이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장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테크놀로지 지식과는 가장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학력,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함양을 위한 교육 및 코딩교육과 관련한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에 일관적으로 적용되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이경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 경 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간 긍정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라 직업적 웰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3, 4, 5세 및 혼합연령 학급의 유아교사 44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WOW(2014)가 개발한 직업적 웰빙 척도(Work Wellbeing Questions)를 번안하여 제작한 강현미(2016)의 척도를 본 연구자가 유아교사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ianta(1991)의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지각용 평가 도구인 교사-유아 관계 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최지희(2015)가 번안한 후 유아교육전공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 분석,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검증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은 기관 유형,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담당 연령과 휴게 시간, 급여 요인에 따라서 직업적 웰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는 기관 유형, 담당 연령, 근무 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 대 유아 비율, 휴게 시간, 급여 요인에 따라서 교사-유아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변인별로 자세히 살펴 보면, 친밀감은 기관 유형, 교사 대 유아 비율, 휴게 시간, 급여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갈등은 휴게 시간과 급여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의존에서는 교사 대 유아 비율과 휴게 시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는 직업적 웰빙 수준을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한 모든 집단 간 교사-유아 관계에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직업적 웰빙 수준이 높은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은 높게 나타났으며, 갈등과 의존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에서 직무환경 요인과 직업적 웰빙이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관계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 수준이 교사-유아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직업적 웰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교사 웰빙 지원 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교사가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유아교육현장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행복한 아이들로 함께 성장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 한다.

      • 남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 중산층 가정의 청소년을 중심으로

        장혜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의 영향력을 고찰하고, 청소년의 올바른 분노표현방식에 적합한 부모양육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분노감정이 청소년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임을 살펴보기 위해 사회 경제적 수준이 안정된 중산층 가정의 청소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산층 지역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양부모가정의 1학년 남녀 청소년 35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조사되었다. 측정도구는 허묘연(2000, 2004)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부모양육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서는 전겸구, 한덕응, 이장호(1997)가 개발한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XI-K)를 박진숙(2007)이 청소년용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 모두 부모양육태도에 있어서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을 높게 지각하였다. 남녀 청소년 모두 분노조절 수준이 분노표출이나 분노억제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t 검정을 통해 남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자청소년의 지각수준이 감독과 애정에 있어서 여자청소년보다 낮았고 과잉기대 학대 방임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과잉기대와 방임에서 남자청소년의 지각이 여자 청소년보다 높았고 감독과 애정에서는 낮았다. 그리고 남녀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서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하위요인인 분노조절, 분노표출, 분노억제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통적 요인으로는 분노표출에서 방임요인이, 분노억압에서 방임과 학대요인이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대적 요인으로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은 분노 조절에서 아버지의 학력과 어머니의 애정, 분노 표출에서는 어머니의 과잉간섭, 분노억제에서는 어머니의 합리적 설명에 영향을 받았다. 여자청소년은 분노표출에서는 아버지의 학력과 경제수준에, 분노억제에서는 아버지의 과잉간섭과 어머니의 과잉기대에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에서 중산층 가정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의 변별적인 영향력을 성차에 따라 살펴보았다. 특히 부모양육태도에서 청소년 분노조절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아버지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중산층 가정에서 나타나는 방임, 학대와 같은 역기능적 양육태도를 발견하여 그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자녀 간 관계개선이나 의사소통에 긍정적으로 도움을 주고,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는 청소년의 적절한 분노표현을 통한 건강한 정서발달을 고취하여 사회적으로 청소년 문제나 범죄를 일으키는 부적응적 행동을 예방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 on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 and to investigate the proper guidance in maternal/paternal parenting attitude depending on gender.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dolescent's anger as the general problem related to the whole adolescent than a minority, researching adolescent in middle class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data from the 1st year of 357 adolescents of 3 high schools in Seoul were used. All participants live with their parents in Seoul and they are from middle class famili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measure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 Version(STAXI-K) an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developed by Huh Myo-Yoon.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 perceived the affection, reasoning, monitoring higher in parenting attitude and showed the anger-control higher than anger-in and anger-out in their anger expression style. Second, in paternal parenting attitude, male adolescents perceived lower in affection and monitoring, higher in expectation, physical abuse and neglect than female adolescents. I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male adolescents perceived lower in monitoring and affection, higher in over expectation and neglect than female adolescents. In anger expression styl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ger-in, anger-out and anger-control by gender. Third, both male and male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both parenting neglect in anger-out and physical abuse in anger-in. Male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paternal education level and maternal affection in anger-control, maternal over expectation in anger-out, maternal reasoning in anger-in.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paternal education and socioeconomic level in anger-out, paternal intrusiveness and maternal over expectation in anger-in. Consequently,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t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anger expression by gender and significant influence of paternal role and education level on adolescent's anger-control. It showed th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monitoring, reasoning and affection had the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anger. The problems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in middle class families seemed to need solution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and implic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nger and relationship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Especially,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prevention of juvenile delinquency and treatment on social problems of adolescent.

      • 신입생의 교우관계를 통한 대학생활 적응 예측 : 정신건강, 학업성적, 학업유지를 중심으로

        이연주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해 이후의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우관계는 연결 상태와 연결의 강도를 반영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사용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의 세부항목은 객관적 적응 지표인 학업성적, 학업유지 및 일반적 적응 지표로 볼 수 있는 정신건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순서는 변인 수집 시기를 고려하여 학기 중에 수집 가능한 정신건강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1로 정하고, 학기 종료 후에 수집 가능한 성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2로 정하였으며, 여러 학기를 거쳐 수집한 학업유지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연구 3으로 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신입생 37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정신건강을 예측하였다. 친구관계의 연결 상태와 지지적인 측면인 친밀도를 반영하여 예측변인인 교우관계를 측정하였고, 우울, 사회불안, 걱정, 자살생각으로 정신건강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친밀도를 반영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정신건강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친밀도를 반영한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은 정신건강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친구들이 자신을 친밀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클수록 학기 말의 심리적 불편감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2는 신입생 87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학업성적을 예측하였다. 교우관계는 두 개의 잠재변인으로 측정하였다. 하나는 친밀도와 상의도를 반영한 지지적 교우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및 만남 횟수를 반영한 교류적 교우관계이다. 학업성적은 1학년 1학기 학업성적을 예측하였고,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지지적 교우관계는 학업성적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교류적 교우관계는 부적으로 학업성적을 예측하였다. 이는 전공 내의 친구들로부터 친밀감과 조언을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높은 성적을 받게 되고 친구들과 많이 교류할수록 낮은 성적을 취득한다는 의미이다. 연구 3은 신입생 116명의 교우관계를 통해 이후의 학업유지를 예측하였다. 교우관계는 친밀도와 상의도를 가중치로 한 내․외향 연결정도 중심성, 지지적 측면인 친밀 연결망과 상의 연결망, 교류적 측면인 대화 횟수, 만남 횟수로 측정하였다. 학업유지는 2018년 1학기부터 2020년 1학기까지 매 학기 측정하였고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친밀도를 가중치로 한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이후의 학업유지를 예측하였다. 이는 전공 내에서 친구들이 자신을 친밀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신입생일수록 이후에 학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는 신입생이 전공 내에서 형성하는 교우관계를 이름생성법(name generator)으로 수집한 후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다양하게 측정하였고, 이를 예측변인으로 하여 이후의 대학생활 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신입생의 교우관계에서 친구들이 참여자에게 친밀감을 느낄수록 심리적 불편감이 적었다. 또한 지지적인 교우관계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적이 높았고 친구들과 대화나 만남을 통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학업성적이 낮았다. 그리고 친구들에게 친밀감을 주는 참여자일수록 지속적으로 학업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신입생이 전공 내에서 맺는 교우관계는 정신건강, 학업성적, 학업유지를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우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연결 어미 비교 연구 : 의미를 중심으로

        김민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대학 기관에서 발간한 한국어 교재의 연결 어미 중 다의 연결 어미의 교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각 급수별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학교에 등록된 외국학생 수는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유학생들이 한국어 교육을 받는 대학교 부설기관 중 85개 기관은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서울대 한국어>를 수업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또 일부 대학은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학생의 연결 어미 사용 오류 및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가 연결 어미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대학 기관에서 개발된 한국어 교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또한 국립국어원에서 국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세종한국어>의 개정판을 연구 범위에 포함하여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와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교재에 제시된 연결 어미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의 의미와 대조하여 누락된 의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교재마다 연결 어미를 어떤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어떠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지 표를 통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국립국어원(2005)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어떤 의미의 연결 어미를 주로 교수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교재들에서 공통적으로 교수하지 않는 연결 어미의 의미를 정리한 후 통합 교재/문법 교재/세종한국어로 나누어 급수별 누락된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결 어미들을 의미별로 분류하여 기존의 교재들이 특정 연결 어미를 어떤 급수(단계)에서 제시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연결 어미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고 있으나 개별 연결 어미의 중요도나 사용 빈도를 정리하여 우선순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대학 기관에서 개발한 교재에서 제시된 연결 어미의 의미를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는 점, 대학교 교재들에 제시된 연결 어미 목록을 정리하여 제시 순서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