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인식 및 활용실태

        추윤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올바른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하며 교사의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실태는 어떠하며 교사의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의 활용도와 수업에 도움정도 및 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33명(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163명, 유치원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이지영(2015)의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김민선(2006)의 ‘유아음악 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3영역 총 25문항으로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관한 2문항,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 활용실태에 대한 11문항, 교사 인식에 대한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도, 만족도, 도움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치원 교사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음악활동에 대한 활용도가 높았으며 이에 대해 만족해하고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력별로 살펴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해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생활주제별‧연령별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참고하기 편리하다는 것과 DVD자료가 함께 개발‧수록되어있어 교수‧학습에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생활주제별‧연령별 구성의 편리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으며 교사 학력이 낮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DVD자료에 대한 효율성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가 더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대해 가장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음악교육의 활동의 양이 적음과 생활 주제별로 질적인 편차가 크다는 것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었다. 지도서의 수록된 활동의 양이 적음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불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 주제별 질적 편차가 크다는 것에 대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불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음악적 개념(음색, 리듬 등)이 어느 정도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음악적 개념 중 가락과 음색이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기관별로 살펴보면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음악적 개념 중 음색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학력별로 살펴보면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학원 이상의 학력이 음악적 개념 중 음색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에 많이 다루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활동을 음악활동 계획 시 활용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활용 자료와 활동 제목, 활동 목표에 대한 활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목, 활동 목표와 활동자료의 활용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확장활동의 경우 전문대졸 이하가 대학원 졸 이상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음악활동 계획 시 참고하는 교재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인터넷 자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활동 계획 시 참고하는 자료로 인터넷 자료 활용에 대해 유치원 교사보다 어린이집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참고하고 있었다. 또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참고하고 있으며 학력이 낮아질수록 더 많이 참고함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find the proper directionality of its utilization. Study problems in achieving such objective are set as follows. 1.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does it vary by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eacher’s level of education? 2. How is the utilization statu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does it vary by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eacher’s level of education?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class? This study targeted 33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163 daycare center teachers, 170 kindergarte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study objective with reference to Lee, Ji Young’s (2015)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guidebooks for teachers among teachers in the Nuri Curriculum designed for children aged from 3 to 5’ and Kim, Min Sun’s (2006) ‘Study on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for Kindergarten’.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 questions in 3 areas, which 2 of them are regarding teacher’s general background, 11 are regarding the utilization statu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and 12 are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s follows using SPSS Windows 18.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mor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y were satisfied and were perceiving that they were getting help from it. Also,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n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low. Second, as for the most satisfied part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responded that its composition by life themes and age was convenient to refer to and the accompanied DVD material was efficient in teaching-learning. Day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d higher satisfaction than kindergarten teachers in terms of the convenience of the guidebook’s composition by life theme and age,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hen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as lower.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about the efficiency of DVD material. Third, in terms of the most unsatisfied part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 insufficient amount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and the wide qualitative deviation by life them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insufficient amount of activities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lower as the teacher’s level of education was low.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dissatisfied about the wide qualitative deviation by life them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Fourth, in terms of teacher’s opinion on the musical concept (tone, rhythm, etc.) i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eachers considered that the music activities in guidebook dealt with melody and tone among the musical concepts.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 daycare center teachers considered that tone was handled in the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in terms of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or higher perceived that tone was handled more in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than teachers with junior college degree or less. Fifth,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music activities in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in planning music activities, the utilization of data, topic and objective was high.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the topic, activity objective and activity data better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 terms of extension activity, teachers with junior college degree or less were utilizing more than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 or higher. Sixth, in terms of the teaching material used as reference in planning music activities, internal material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utilizing internet material more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 were referring to internal material more. Also, kindergarten teachers were utilizing teacher’s guidebook for Nuri Curriculum mor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 were referring to the guidebook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