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성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류소형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a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scale that evaluates the success general college students achieve in their college courses. Universit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urrent trends requiring changes in the education process and the lack of freshmen due to demographic cliffs. Therefore, many universities are proposing and promoting new goals and strategies for their development. One such effort, student success, is an important goal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However, research on student success in Korea is lacking, and many universities are aiming for student success without a clear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lay the foundation for student success research by developing a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reflecting the current realities. In this study, student success is defined for the student as 'set the goals you want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actively learning, nurturing various experiences and compet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eparing to live a targeted life through efforts to develop yourself'. To develop a measure of success for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before this study. Based on this, five factors for college student success were short-listed: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xperiences', 'Career developmen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growth'. In Study 1,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success, literature search, and expert interviews based on the above five factors. However, during the expert interview process, 'citizenship' was mentioned as an important factor, so this factor was added, and the study finally comprised 6 factor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se questions were verified and revised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who were in charge of university innovation. Preliminary questions that went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ere finally reviewed by a psychology professor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in scale development research and guidance. Through this process, a questionnaire comprising the six factors namely ‘Academic achievement’ (26 questions), ‘Diverse experiences’ (27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25 questions), ‘Interpersonal competence’ (24 questions), ‘Self-growth’ (31 questions), and ‘Citizenship’ (12 questions), aggregating 145 questions was developed. In Study 2,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 factors for the preliminary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8 items underlying the 6 factors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items for each were as follows: ‘Academic achievement’ (10 items), ‘Various experiences’ (7 items), ‘Career development’ (8 items), ‘Interpersonal competence’ (8 items), ‘Self-development’ (9 items), and ‘Citizenship’ (6 items). In Study 3,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on 609 college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The data of 609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G1, N=305) perform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G2, N=304)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roup (G1) finally derived 26 items for the 6 factors. The derived factors and questions were ‘Setting a life goal (5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4 questions)’, ‘Initiative learning (5 questions)’,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5 questions)’, ‘Mature citizenship (3 questions)’ and ‘Self-growth (4 questions)’. To check the model fit of the derived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G2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fit criteria were satisfied. To verify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Thriving Quotient(TQ).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uccess Scale and TQ showed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the previous semester's grade point average, school adaptation, career deci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evaluat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criteria valid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college student success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success scale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 대학생이 대학과정에서 이루어 가야 할 대학생성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대 흐름과 인구절벽에 따른 신입생 부족으로 대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많은 대학들이 대학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추진하고 있다. 그러한 노력 중 하나로 학생성공은 대학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중요한 목표이다. 그러나 국내의 학생성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편이며, 많은 대학에서 학생성공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정의 없이 학생성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대학생성공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생성공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생성공이란 ‘대학 기간 동안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학습하며, 다양한 경험과 대인관계의 유능성을 기르고, 자신을 발전시키는 노력을 통해 목표한 삶을 살아가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성공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 이전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성공 요인을 ‘학업성취’, ‘다양한 경험’, ‘진로 발달’,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 성장’ 5가지로 가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5가지로 가정된 요인을 기반으로 대학생성공 인식조사 연구, 문헌탐색,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전문가 인터뷰 과정에서 ‘시민의식’이 중요하게 언급되어 요인이 추가되었으며 최종적으로 6가지 요인으로 문항이 구성되었다. 1차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혁신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내용을 검증받고 수정하였다.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거친 예비문항은 다년간 척도개발 연구와 지도 경험이 있는 심리학 교수에게 최종 검토를 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학업성취(26문항), 다양한 경험(27문항), 진로 발달(25문항), 대인관계 유능성(24문항), 자기 성장(31문항), 시민의식(12문항)의 6요인, 145문항이 완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예비문항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6개 요인의 48문항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문항은 학업성취(10문항), 다양한 경험(7문항), 진로 발달(8문항), 대인관계 유능성(8문항), 자기 성장(9문항), 시민의식(6문항)이다. 연구 3에서는 예비조사에서 추출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609명에게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609명의 자료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그룹(G1, N=305)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른 그룹(G2, N=304)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그룹(G1)의 결과 최종적으로 6개 요인에 대해 26문항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과 문항은 ‘삶의 목표 설정(5문항)’, ‘진로개발(4문항)’, ‘주도적 학습(5문항)’, ‘대인관계 증진(5문항)’, ‘성숙한 시민의식(3문항)’, ‘자기성장(4문항)’이다. 도출된 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G2그룹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모형 적합도 기준이 충족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대학생성공 척도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Thriving Quotient(성장 지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 척도와 TQ는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이전학기 평점평균, 학교적응, 진로결정, 주관적 행복감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준거타당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성공 척도의 의의와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학생성공 관련 척도와의 차이점에 관해 논의 하였으며,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ADO를 이용한 가상대학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성오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의 대학은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과 웹의 보편화로 인하여 원격교육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의 벽을 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과 더불어 열린교육,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수요자 중심의 가상대학이 활발히 운영, 발전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열린교육 환경에서 경제적이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웹 기반의 교육응용 프로그램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ADO를 이용하여 가상대학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특히 과거 시스템으로부터의 문제점을 분석, 보완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안정된 시스템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규모 가상대학시스템으로부터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원격교육학습에 이르기까지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운영·관리·확장 등을 고려하여 Windows NT 기반에서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중국 대학개혁 정책 변동요인과 발전에 관한 연구 : “211공정”과 “985공정”을 중심으로

        홍원일 광운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신중국 수립 이후 중국의 대표적인 대학개혁 정책인 "211공정"과 "985공정" 의 형성요인과 정책변동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 역사적 신제도주의 학파인 Kraser의 단절적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대학개혁 정책이 90년대 들어와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 배경에 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고 사상의 제약을 풀어, 경제발전을 본격적 으로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양성이 국가적 차원에서 절실했기 때문이다. 신중국 수립 이후에 안정적인 상태로 진행되어온 중점대학 정책은 1992년에 시 장경제체제의 도입으로 결정적인 전환점(critical juncture)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중국 대학개혁에 대한 시동은 덩샤오핑의 등장과 함께 1980년대부터 본격 화 되었다. 공산주의 사상에 경도된 정치적, 계급적 이념대립을 탈피하고, 인민 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라면 과감한 개방과 외자유치를 통해 국부를 축적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실용주의 노선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개혁을 통한 인재 양성의 길을 선택하였다. 1990년, 2000년대에도 정책의 경로의존성에 따라 중점대학 정책 기조를 유 지하면서도 대학개혁 있어 종전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는 정책 의 대변화가 있었다. 사회주의 체제라는 특정 틀 속에 가두어 사회 안정을 유 지하려는 끊임없는 국가의 개입과 국가의 국민에 대한 체제 순응 요구는 대외 개방을 통해 국부를 축적하여 국가 위상을 높이려는 조급함과는 정책상 배치되 며 정책수단 사이에 상반된 모순이 개혁의 흐름 속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흐름(political stream) 속에서 "211공정", "985공정" 대학개혁 정책 을 추진하면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중국 대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중국정부와 대학의 노력은 중단된 적이 없었다.“211공정”이라는 대학개혁 정책은 종래 중국정부가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중점대학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탈피하여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의 면에서 질적 으로 다른 제도의 변화 또는 정책의 변동이라 볼 수 있다. 제1기 "211공정"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중에 새로운 2000년, 21세기를 불과 2년 앞두고, 특히 세계경제체제로의 편입을 인정받게 되는 WTO 가입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중 국정부는 "211공정" 대학개혁 정책과는 차별화된 보다 집중된 투자를 통한 세계 일류대학 탄생을 21세기 초에 보기를 원했다. "211공정"에 참여하는 100여 개 대학도 많다고 하면서 각종 지원을 100여 개 대학에 분산시킬 것이 아니라 소 수 대학에만 집중 지원하여 이 중 몇 개 대학을 세계명문대학 대열에 조기에 진 입시키겠다는 인식을 정책문제(policy problem)로 간주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1998년 5월 4일 베이징대학 100주년 기념식에서 장쩌민 주석의 몇 개의 세 계 선진수준의 일류대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연설은 "985공정"과 연계되는 새로운 정책의 창을 열게 한 계기가 되었다. 중국의 세계일류대학 육성 정책은 연구경쟁력 세계 2위, 칭화대학의 세계 10위권대 진입이라는 성과에서 보듯이 중국 대학을 짧은 기간 내에 세계가 주 목하는 수준으로 어느 정도 상승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지만, 세계일류대학 계 획이 성공하기에는 좀 더 많은 노력이 있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의도하는 정책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을지는 몰라도 정책 수혜를 받지 못하는 대학들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을 보이지 않게 표출하였 고 대학개혁정책의 존폐 논쟁도 부각되었다. "211공정", "985공정" 대학 선정 과정의 불투명과 불공정, 경쟁시스템 부재, 대학 서열의 공고화와 영속화 이슈 는 수면 위로 서서히 올라오고 있다. 중국 대학의 교육개혁이 대학 자체의 필요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국가의 주 도하에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의 교육은 대학 고유의 특 성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대학 개혁은 대학 자체의 변화와 필요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국가의 일괄적인 주도하에 이루어졌 다. 따라서 각 대학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키기가 어려웠다. 중점대학 중심의 발전 정책에 따라 일각에서는 기존의 중점대학과 일반대학의 구분이 "211공정" 과 "985공정"을 통해 그 격차가 더 심화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 중국정부는 정치적인 위기와 사회적 갈등에 부 딪혔을 때 교육에 대한 관리와 통제 방식으로 사회를 안정화 시키는 등 교육을 직접 활용해 왔다.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WTO 시대 교육개혁은 "통제 가능 한 조화"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논조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의 과오를 인정한 바탕위에서 대학발전을 선도해 온 중국정부가 여전히 인간의 사 상과 학술의 자유를 통제하면서 대학발전을 모색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1990년대부터 2015년 두 공정이 "쌍일류" 정책으로 통합하기까지 약 25년 간 중국 역사상 정부 차원에서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된 두 공정의 추진은 개혁 개방 정책으로 급속한 경제발전을 통한 국력(state capacities)의 뒷받침이 있었 기에 가능했다. 공산당 지도사상을 통한 정치적 제약과 한정된 자원을 집중과 선택이라는 제한된 정책수단을 사용하여 국가 주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였다. 다수를 희생하여 일부 소수에게만 혜택을 부여하여 칭화대학 등 몇 개 대학은 미국 저명 대학 수준에 오를 정도가 되었다고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정책유산 (policy legacies)은 침묵한 다수가 정부 정책에 대해 불공정, 불투명, 신분의 고 착화, 학문의 자유 제한 등을 이유로 이의를 제기하면서 정책 불신을 낳고 있 는 것도 현실이 되었다. 21세기 중엽까지 세계일류대학 탄생을 통한 고등교육 강국이 되겠다는 외형적인 목표는 기회의 균등, 학문의 자유, 조화로운 사회라는 보편적 가치와 함께 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I have analyzed the policy formation and change on the Chines representative university reform policy, "211project" and "985proj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w China, by apply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and the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The reason why China's university reform policy began to change rapidly in the 1990s was because it was desperate at the national level to cultivate excellent talents who could fully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socialist market economy and resolving the constraints of though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which has been in a stable state, reached a critical junc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arket economy system in 1992. China's de facto start-up for university reform has been ignited since the 1980s with the advent of Deng Xiaoping. He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political and class ideological confrontations that were swayed by commu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he chose the path to nurture talent through university reform to support the pragmatist line that it is the priority to accumulate wealth through bold openness and foreign capital attraction. In the 1990s and 2000s, there was a major change in policy approaching from a fundamentally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e course of university reform while maintaining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policy's path dependence. The constant intervention of the state to confine the entire Chinese people within a certain framework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demand for conformity of the system to the people of the country is placed in a policy arrangement with the impatience to accumulate the wealth through the openness to increase the state of the nation. There have been conflicting contradictions between policy measures in the university reform process. In this political stream, the government aims to promote Chinese some universities to the world class through intensive investment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of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through two university reform policies, "211 project", "985 project". The university's hard work never stopped with government. The “211 projet” university reform policy can be viewed as a qualitatively different system or policy change in terms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breaking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d long maintained. In the midst of ambitious promotion of the first “211 project,”, when it was just two years ahead of the 21st century,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joining the WTO, which was recognized for its incorporation into the global economic system. The Chinse government wanted to see the birth of a world-class university in the early 21st century through a more focused investment differentiated from the "211project" policy. The Chinese government thought that more than 100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211project" are too many. Rather than distributing national financial support to those universities, it focused on only some universities, and recognized that they would enter some of the world's prestigious universities early as policy problems, and sought alternatives. On May 4, 1998, at the ceremony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Peking University, President Jiang Zemin's speech that our country should have several world-class universities in the world was reflected in “Education Promotion Action Plan for the 21st Century”(面向21 世纪教育振兴行动計劃), leading to the opportunity to open the window of the policy "985project". China's policy to foster world-class universiti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upgrade Chinese universities to a new level, as shown in the achievements of the world's second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Tsinghua University's top 10 range. However, it seems that it will still take more effort for the world-class university plan to succeed. Although the government's intended policy goal may be achieved to some extent, majority of universities that do not receive policy benefits have expressed disagreement with government policy, and the debate over the existence of university reform policy had also emerged. China's national status may increase every year in line with the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through the creation of world-class universities. However, the issues of opacity and injustice in the “211project” and “985project” university selection process, the lack of a competitive system, and the consolidation and permanence issues of the university are gradually rising above the surface. It is that the educational reform of Chinese universities is not undertaken by the university's own needs, but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tate. The education of a university must constantly change and develop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However, China's university reforms were made under the unilateral leadership of the state rather than by the changes and needs of the university itself.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each university. Some pointed out tha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olicy centered on major universities,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major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was widened through "211 Project" and "985Project".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managed and controlled education and has used education directly when it faced a political crisis and social conflict. The educational reform of the WTO era to strengthen university competitivenes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ontrollable harmony." However, it is a contradiction in itself that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has been leading university development on the grounds of acknowledging the mistakes of the Cultural Revolution, still seeks university development while still controlling human ideology and academic freedom. It has become a reality that these policy legacies are causing policy mistrust as the silent majority oppose government policies for reasons such as unfairness, opacity, fixation of status, and restrictions on academic freedom. From the 1990s to 2015, the promotion of the two projects, the largest university reform policy at the government level in the history of China from about 25 years, was possible because the university reform policy was supported by state capacities through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government-led policy was pursued using limited policy measures such as concentration and selection of political constraints and limited resources through communist leadership ideology. Some universities, such as Tsinghua Universit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reached the level of the prestigious U.S. universities by sacrificing the majority and offering benefits to only a few. It has become a reality that these policy legacies are causing policy mistrust as the silent majority opposes government policies for reasons such as unfairness, opacity, fixation of status, and restrictions on academic freedom. The external goal of becoming a higher education powerhouse through the birth of a world-class university until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will be meaningful when combined with the universal value of equal opportunity, academic freedom, and a harmonious society.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박수정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한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3. 그룹코칭의 효과는 그룹코칭 종료 후에도 지속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K대학교 대학생 중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을 선정하였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학년별 유사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4명과 3명씩 2그룹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7회차를 GROW모델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4주 후 Follow-up 1회 차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인관계능력은 War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주)PSI컨설팅이 번안하여 활용하고 정태영(2010)이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은 허경호(2003)가 Rubin(1991)의 의사소통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과 연구 문제의 검증은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독립표본 t-test, 일원피험자내 ANOVA,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용 Ver. 17.0k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됨에 따라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됨에 따라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룹코칭 종료 후 효과의 지속성은 사전과 추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와 추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후 점수가 사전, 사후 대비 상승함에 따라 그룹코칭 종료 후에도 효과가 지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은 표본 수와 한정된 대상 등의 한계가 있음에도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는 첫째, 코칭심리 이론을 바탕으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전, 사후, 추후까지의 효과성을 규명. 둘째, 청년 실업률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기업에서 대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대인관계역량 및 의사소통역량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규명. 셋째, 그룹코칭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사전, 실행, 사후 프로세스 중 사후 프로세스에서의 구체적인 실천 행동을 제시. 넷째, 사전, 사후, 추후 설문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그룹코칭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이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그룹코칭이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 둘째, 코칭을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 넷째,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교육기관 및 현장에서 가이드라인을 제공. 다섯째, 그룹코칭의 효과 성 검증을 위한 조사상의 범위 및 효과성 해석 기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conducted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 Does group coaching affect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2. Does group coaching affect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3. Do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last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roup coaching? For the research, this study organiz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seven undergraduates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or each group. For the group coaching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ur and three, in consideration of the similarities by grades and interaction. 7 sessions of group coaching were performed on them once a week and two hour per time, and afollow-up coaching was performed after 4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were executed and a follow-up test was performed after 4 weeks.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as below: for interpersonal skills, the one developed by Warner (2007) and then translated and utilized by PSI Consulting, Corp. was used, and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Jeong Tae Yeong (2010)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was used. Also, for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paper employed an inclus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GICC) devised by Heo Gyeong Ho (2003) based on Rubin (1991)’s advanced research on the components of communication.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pre-test, and follow-up test, and data analysis and answer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maple t-test, paired-sample t-test. one-way within-subjexts ANOVA, and mixed ANOVA. All these statistical analyses used SPSS for Windows Version 17.0k.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Because the average score increased, group coaching affected th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positively.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Since the average score increased, group coaching affected the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ly. Third, regarding the durability of effects after the completion of group coaching, pre- and follow-up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post- and follow-up tes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since the follow-up test score increased more tha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the effects continu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roup coaching.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like a small number of samples or limited subjects; however, it has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rom academic aspects, first, based on the psychology theory of coaching, this article developed a group coaching program and examined its pre-, post-, and follow-up effectiveness. Second, in the midst of the increase of youth unemployment, companies demand undergraduates to be equipped with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capacities. A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argeting undergraduates. Third, this article suggests the concrete practical behavior in the post-process among the pre-, post, and follow-up processes to conduct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ur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durability of a group coaching program’s effects on undergraduates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surveys. And from practical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provides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 of “Is group coaching effective?”. Second, it suggests the ground to the use of coaching in various ways. Third,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ly applicable program in order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ourth, it provides a guideline to be u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actual spots of education as presenting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Fif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aching, it provides the criteria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also the range of research.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giv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 大學과 地域社會 特性과의 關聯性에 관한 硏究

        이만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623

        오늘날 지방화, 민주화, 정보화, 국제화로 특징되는 사회환경의 변화가 대학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의 대학들도 급속한 변화에 휩싸여 있다. 대학은 고급인력에 대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충원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인구이동을 촉진하고 지역주민의 고용효과를 증대시키며, 대학구성원의 소비활동으로 지역소득증대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한다. 따라서 대학은 지역사회와 긴밀한 연관관계하에 지역실정과 여건에 맞는 대학의 특성화를 추구하며 열린 교육체제를 통하여 대학을 지역사회에 공개하고 지역사회발전에 적극 참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대학과 지역사회간 관계에 관한 관심은 주로 대학의 지방이전 및 분교설립정책에 주어져 왔다. 대학의 지방이전이나 분교의 설립은 국가적으로 교육부문의 중추관리기능인 대학의 균형적 배치를 통해 국토의 균형발전효과와 인구분산효과를 기대한 것이었으나, 기존의 몇몇 연구결과에 의하면 그러한 기대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간 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에 관한 논의들로서, 구체적이라기 보다는 추상적이었고 분석적이라기 보다는 개괄적이었으며 실증적이라기 보다는 당위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 특성간 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그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시전체인 70개시를 사례로 하여 지역사회의 여러 특성들과 대학간 관련성을 분석하되, 주로 대학이 지역사회의 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적 측면에서 원칙적으로 1998년도를 기준으로 횡단면적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내용적 측면에서는 분석단위인 70개 시의 대학(대학수, 대학생수 및 인구 1000명당 대학생수)과 지역사회의 특성(정치적․경제적․사회문화적)간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제분석에 있어서 양적인 통계적 분석은 주로 상관관계분석 및 분산분석(ANOVA)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SPSS 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진다. 첫째, 대학은 정치적으로 지역사회의 야당(무소속포함)성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현실비판적 성향이 강한 젊은 대학생들 및 지식인계층에 속하는 대학교직원들의 영향으로 집권당에 대한 비판적 성향을 조장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대학은 지역사회의 산업구조와 관련성이 입증되었는 바, 대학은 지역사회의 경제적 특성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은 특히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비율과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구 1000명당 대학생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4개 시집단간 산업종사자비율의 차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에서도 도소매소비자용품종사자비율, 숙박음식점업 종사자비율 및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중소도시의 발전에 있어서 그 지역에 소재한 대학이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그러한 예상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셋째, 대학이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학은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상당한 관련성이 입증되었다. 대학은 당해지역의 인구증가를 유발하고 또한 인구이동정도를 크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이 당해지역 고등학생들의 진학률에도 어느 정도의 양의 관계를 보였는 바, 이와 같은 사실은 교육기회의 균등이라는 문제와 결부되어 정책당국의 지대한 관심을 유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수준을 나타내는 공공도서관, 극장 및 도시공원 등의 시설수준과 대학변인 간에는 명확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가 제시하는 주요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지역간 교육기회의 형평성이 보장되도록 대학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국민 누구나가 국토의 어느 지역에 거주하든지 간에 다양하고도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받음으로서 자신의 삶을 개척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기회의 형평성 보장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지방대학의 입지 및 정원정책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둘째, 지역간의 균형발전이라는 시각에서 대학정책의 보다 적극적인 추진이 요구된다. 낙후된 지방대학에 대한 획기적 육성대책의 추진은 우수학생의 수도권진학 및 우수교원의 지방학교 근무회피, 고용기관의 지방대생 채용기피, 지방민의 離農向都 등으로 인한 지역발전의 장애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전략의 하나로 간주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지역균형발전의 또 다른 축인 수도권의 과밀화와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유용한 전략이 될 것이다. Today,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ocalization, democratization,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demand universitiy's changes, and Korean universities face turbulent environments. An university has a role of social recruitment satisfying social demands for high-quality manpower, increases population movement, employment effect of regional residents, and regional income directly or indirectly. So the university pursues its specification suitable for regional circumstances, keeps in close touch with a regional community, and participates in regional development. Up to date interests in a relationship between an university and a regional community have been given to a policy of university movement to province and establishment of branch schools in Korea. This policy intende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balanced dispersion of population by balanced dispersion of universities, but in some studies it is not proved fruitful.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regional community, there are few profound studies on that subject. Up to date the studies generally are focused on the role of university in regional development. These are abstract rather than concrete, synthetic rather than analytic, and normative rather than positive. There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al community characteristics by positive and concrete analyses. This study covers seventy cities. Principally it focuses on verifying of influences of the university on the regional community's characteristics statiscally. This study tries to do cross-sectional analysis principally under the standard time of 1998, and substantiall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number of universities, number of students, and number of students per thousand persons) and the regional community characteristics(political, economical, social-cultural). Statistical analyses use principally technique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and the program of SPSS 8.0 for Window.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One :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political disposition of the opposition party in the regional community. It is supposed that critical students and teaching staffs of the university further the politically critical disposition. Two :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industrial structures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refor the university seems to have influences on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ommunity. Three :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ommunity. It is analyzed that the university furthers the increase and movement of the population. Also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ate of entering university in the regional community. Suggestions for policy which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One : Above all, the university policy must be driven to guarantee the equ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is, the policies of location and capacity of local universities will be effective means. Two : The university policy should be driven actively in the perspectiv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policy of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s taken as a key strategy to remove the barriers to the regional development. It may be a useful strategy to resolve the overcrowding problem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various kinds of social problems.

      • 체육전공 대학생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실태 및 인식 조사

        윤원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특성상 일상생활, 생활체육, 학교수업, 운동실기, 미래의 지도자, 직업으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상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처가 부족하거나 부재하다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위기가 되거나 문제가 된다. 그래서 사전에 예방하거나 올바르게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배경요인으로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학년, 대학 소재지 이다. 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 응급처치법 내용, 응급처치법 교육과 필요성, 응급처치법 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을 알아보고, 본 연구에서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지식수준, 실태, 인식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응급처치법 능력 향상을 도모 하고자 한다. 체육교사, 중·고등학생, 생활체육인, 농총지역주민, 산업근로자,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에 한 하여 연구되어진 적이 없다. 본 연구대상자는 체육 관련학과 재학생들로 한정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부산 지역의 소재 대학 중 체육관련 학과가 있는 곳으로 선택적 표본 추출하여 665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요인별, 교육 유·무 요인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전체 점 수에 대하여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교육 유·무,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로 응급처치법 실시를 위한 지식과 실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Scheffe)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태 및 인식에 관한 빈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응급처치법 교육내용과 응급처치법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과 관련해 추가 또는 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전체 지식수준 평가 평균은 지식점수 100점 만점 환산점수 47.5점, 실기점수 45.4점, 총점수 46.4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지식점수가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4.6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실기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0.2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2.4점 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교육받은 학생도 평균점수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학년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3학년이 점수가 높고 1학년, 2학년은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대학소재지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서울, 경기, 인천지역이 점수가 높고 부산, 충청, 전라지역은 점수가 낮게 비교되었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를 보면 54.4%가 교육 을 받았고 45.6%가 교육을 받지 않았다. 조사대상 90.6% 응급처치법을 배울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이유는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다 44.2%, 나와 주변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 26.6%, 사고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13.1%, 상식이니까 필요하다 7.5%, 필요를 느껴 본 적이 없다 6.2%, 취업에 도움이 되니까 필요하다 1.6%, 기타 0.8% 순으로 나타났다.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과 배우고 싶은 분야는 호흡·심장정지, 기도폐쇄, 골절, 탈구, 염좌, 강직, 갑작스런 질병(당뇨, 천식, 실신, 발작)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와 학년별 그리고 대학소재지별 응급처치법 지식수준, 실기수준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와 응급처치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응급처치법에 대해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쉽게 접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라 응급처치법의 필요성에 대한 동기부여와 지식, 실기능력수준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급처치법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knowledge for the First Aid and to examin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for i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5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nd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They responded to knowledge test for Frist Aid and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dministered method. Collected data were comput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so, it carried out t-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 grade and college lo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1)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as very low.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course for it were more higher in the First Aid's knowledge scor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student grade. 3-grade-students was more higher socre than other grade student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college location.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ere more higher score than that of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In terms of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First Aid, 1)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54.4% of participants. 2)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part in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90.6% of participants. 3) Interesting field that participants like to learn among contents of the First Aid was shown to be in order of 27.6% for CPR and choking the action essentials in case of the urgent situation, 27.0% for fracture, dislocation and distortion, 5.5% for the injury caused by heat and cold, 20.7% for the frequently-occurring disease and 6.4% for poisoning.

      • 대학의 이러닝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

        이재용 광운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교육인적자원부가 정리한 이러닝(e-learning)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이러닝은 1970년대 컴퓨터 보급이 시작되고 1980년대에 이르러 컴퓨터의 보급이 교육계로 점차 확산이 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정리되어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정리에 따라 70년대부터 계수하면 국내 이러닝의 역사는 70년대 태동기를 포함하면 약 40년이 되었으며, 통상적으로 사람들이 인식하는 90년대 중반부터 계수해도 10년이 넘는 시간동안 이러닝은 발전되어 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활성화를 보인 이러닝은, 1998년 15개 기관이 사이버대학을 시범운영하면서 대중에게 일반화되었고,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는 각 사이버대학에 대한 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초․중․고등교육에서 상용화되었으며, 2003년에는 이러닝 지원센터가 권역별로 구축되도록 추진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활발하게 전개된 이러닝은 현재에도 꾸준히 발전되고 있으며, 교육제공자와 수급자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화되고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에게 시간 및 거리의 제약을 없앰으로서 교육의 가능성을 높여주었고, 필요한 교육을 선별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높여주기도 하였다. 특히 고등교육인 대학교육을 거리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해 주어 많은 사람들이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고급 고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원거리 교육방식인 이러닝은 그 교육콘텐츠 공급에 있어서 거리적 제약이 따르며, 실제 대인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상호이해라는 기본적 조건에서도 제약이 발생한다. 또한 고등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교육의 경우 교육 수혜자의 수혜정도 파악 및 교육자의 평가 등에 아직 제약이 있기 때문에 그 효율성 정도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 이로 인하여, 이러닝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담론과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하고 있는 이러닝의 현황을 조망해보고, 현 이러닝 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이러닝 교육 체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e-learning related materials arrang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learning in Korea commenced as computer supplies were expanded to education industry in 1980s, after inaugural supply of computer in the 1970s. If counted from 1970s pursuant to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arrangement, Korean e-learning has approximately 40 years’ history, including embryonic period in 1970s. Even if counted from mid 1990s as commonly acknowledged by people, Korean e-learning has been developing for more than 10 year’s time. E-learning, having shown invigoration in earnest from mid -1990s, became popularized in 1998 with 15 institutions operating model cyber colleges. Entering into early 2000s, each cyber college was evaluated smoothly and e-learning had been commercializ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s. In 2003, e-learning supporting centers were propelled to be organized in each national geographic area. Having developed in this active manner, e-learning is currently in continuing development process and evolving to satisfy education providers as well as receivers. Especially, e-learning enhanced education possibility by removing the constraints of time and distance, and also enhanced efficiency by providing chance to select required education for busy modern people. More than anything, e-learning enabled many people to receive high quality education via cyber space, by making college education which is high level to be availabl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distance and time. However, for e-learning as long distance education method, supply of education contents is constrained by distance and mutual understanding as basic pre-condition is constrained by lack of face-to-face contact. Also, in case of college course which is on high level education dimension, comprehension of student’s benefit level and evaluation of tutor is still constrained hence it is difficult to grasp degree of efficiency of e-learning. In this regard, numerous discussions and studies have been in progress. This study reviews current status of e-learning speedily evolving in response to rapid social changes and grasp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e-learning system,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which e-learning education system should aim for.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회덕 광운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의 상담적 효용성을 높이고, 대학생활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시내 및 근교에 소재하는 5개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총 42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것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무응답이 많은 것을 제외시킨 결과 최종 374부(남학생 152명, 여학생 222명)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살펴본다. 둘째,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다. 셋째,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수준,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다. 넷째, 종교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 수준,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해 활용된 측정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Jacobs와 Rogers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하여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s; SES)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Folkman & Lazarus(1984)가 개발한 대처 방식 척도(The Way of Coping Check-list)를 기초로 하여 김정희와 이장호(1985)에 의해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서 만든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Zurilla와 Nezu(1990)가 개발하고 김영미(1992)가 번안한 SPSI(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자기 보고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과 F-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p<.001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r=.28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수준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수준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p<.001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간에 r=.62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수준,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분석에서 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남학생(M=78.38)과 여학생(M=77.41)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여학생(M=203.61)이 남학생(M=197.17)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정서척도에서만 남학생(M=31.72)과 여학생(M=29.29)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척도를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교 유무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차이 분석에서 자기효능감은 종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사회적 지지추구에서 종교가 있는 경우(M=20.75)와 종교가 없는 경우(M=19.76), 소망적지지 대처에서 종교가 있는 경우(M=42.67)과 종교가 없는 경우(M=41.35)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해결책 실행과 확인 척도에서만 종교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교가 있는 경우(M=32.61)가 종교가 없는 경우(M=31.70)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수준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반에 걸쳐 모두 유의한 영향력이 있으며,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원활하고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분야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상담적 효용성을 높이고, 대학생활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는데 있어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첫째, 연구 대상이 서울시내 및 근교 소재의 대학교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좀더 다양한 지역의 대학생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대학생의 다양한 연령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교 상담실의 원활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을 위해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n the ways of coping stress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to apply the result as a basic data for increasing consulting usefulness of self-efficacy and for developing various consulting programs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 hypothesis was made for the study and to prove this, surveys were conducted for current college students in five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its environs. Total of 420 survey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74 copies(152 male, 222 femal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surveys with insincere response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coping stress based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Second, the differences i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level, the ways of coping stress,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gender. The measurement tools applied for this study were self-efficacy scales (SES) developed by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Jacobs and Roger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for measuring self-efficacy, a scale developed by Jung Hee Kim and Jang Ho Lee(1985) based on The Way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 (1984) for measuring the ways of coping stress, a self report type questionnaire, Social Problem Solving (SPSI),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 (1990) and translated by Young Mi Kim(1992) for measuring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elf-efficacy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y of coping stress. The self-efficacy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y of coping stress when p<.001, and also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r =.28 whi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way of coping stress. Second, the self-efficacy level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elf-efficacy level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hen p<.001, and also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r =.62 which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level and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for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self-efficacy level, the way of coping stress, and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y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for the self-efficacy with the result of the male students, M=78.38 and the female students, M=77.41, and for the way of coping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with the result of the higher value with the females students, M=203.61 and the males students, M=197.17. Moreover, fo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M=31.72 and the female students, M=29.29 with affect scale but for other se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for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self-efficacy level, the way of coping stress, and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y having reli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ving religion for the self-efficacy. However, for the way of coping stress, students having religion resulted M=20.75 whereas the students with no religion resulted M=19.76 for seeking social support and for coping wishful support, the students having religion resulted M=42.67 whereas the students with no religion resulted M=41.35 which indicates that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only practicing and confirming solution scale between having religion or not with the result of the students having religion, M=32.61 whereas the students with no religion, M=31.70.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s proved that there ar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n the ways of coping stress and the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ways of coping stress and for social problem-solving, it was a critical variable for smooth and effective settlement.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sulting usefulness of self-efficacy and to develop various consulting programs to increase self-efficacy during college life. Lastly,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to generalize this study are firstly,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college student in Seoul and its environs so more students from other regions are to be studied. Secondly, variations on the age of the college students are also recommended. Thirdly,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are required for developing keen consulting programs and for training.

      •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와 심리적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신연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청소년기는 발달적 변화와 환경적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시기이고, 사회적 성숙과 성인기의 준비단계인 청년기의 사회적 적응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함께 청년기에 수행해야할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로서 이 때 형성되는 적응양식은 일생동안 개인의 적응체계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사고하는 기회가 증가하므로 그 속에서 처음 겪게 되는 적응상이 문제에 대한 결정과 판단을 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끼게 된다. 특별히 집으로부터 떠나 생활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집으로부터 지각된 거리는 그들의 정서적 또는 환경적 적응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시기의 개인 내적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특히 부모와의 관계성, 더 깊이 말하여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또 집으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심리적 적응에 미칠 것으로 보고,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에 대하여 그들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에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그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서 부모와 비(非)동거하는 남녀 대학생 734명이었다. 부모와의 분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전연진(2002)이 개발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 측정은 부모가 있는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얼마나 멀게 느껴지는가를 묻는 9점 척도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Baker와 Siryk(1984)이 제작한 후 정은희(1993)가 번안하여 우영호(2008)가 사용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ACQ)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을 위해 먼저, 부모와의 분화수준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수준은 대학 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가 부모와의 분화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관분석에서는 지각된 심리적 거리와 대학 생활 적응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추가적으로 물리적 거리도 함께 조사되었는데, 물리적 거리가 대학 생활 전체 적응에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즉, 거리가 멀수록 대학 생활 적응을 잘한다고 조사되었다.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각거리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분리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대학생의 경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 두변인 모두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지만, 부모와 비동거하는 여자대학생의 경우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부모와의 분화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향후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효과적인 자원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며, 나아가 관련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dolescence is the period which shows both the developmental changes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youth, the preparatory phase for social maturity and adulthood,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at must be executed by the youth, and the adaptive style formed at this point in life can affect the individual adaptive system for life. Furthermore,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heir opportunities to think, away from their family,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solve and make a decision on conflicts in adaptation that they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Particularly for college students who live away from hom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seem to b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edict their emotional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Therefore,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s internal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their college years, assume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 specifically,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ill affect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ch a degree of the separation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ir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fe. The study targeted 73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our-year colleges, locate either in Seoul or the other regions, who do not live with their parent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the study used the distant family separation experience scale, developed by Jeon, Yeon Su (2002),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measured in a nine-scale question that asks about the felt distance from where they are to the house in which their parents live. Also to measure the students’ adaptation, the study used the 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 which was first creat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Jeong, Eun Hee (1993), and used by Woo, Yeong Ho (2008).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par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ffecte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verify the result, the study first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of their parents play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ived distance was in a negative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hysical distance, which showed a positive relation to the overall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is, the better they adapted to college life.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which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was evaluated showed that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changes by the sex of the students, the study divided the students into the male and female groups and conducte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ach of these group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ale group,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female students, however,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more than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did. In conclusion, the perceived distance, and separation from parent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based on which effective resources for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concern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 남녀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이 진로결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정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y and self identity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also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s mediated by self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easured family resilience, self identity,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40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metro politan areas, and local area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18.0, and Sobel-test was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as higher as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was higher. In terms of the sub-elements of family resilienc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as restrictedly significant.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that is, the level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ccording to university grades, family incomes, parents’ educational levels. Secondly, self identity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was higher. In terms of the sub-elements of family resilienc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showed a significant tendency. Moreover,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genders, university graders, family incomes. Third, the level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as higher as the self ident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was higher. In terms of the sub-elements of self identity, future certainty, goal-orientation, initiative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n order. Independence, self-receptiveness, intim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spect to genders, future certain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le students, while future certainty, goal-orientation, initiative, independ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female students, which leads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ders. Fourth, as a result from investigating whether self identity mediated the effects of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e full-mediating effects of self identity was confirm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family variables mainly utilized in career studies were centered on the variables by family structure (family member), family result (the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s’ way to raise children). In contrast,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that implicates family process on career development. The family process refers to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among family members, not as given conditions as the final outcome. Considering that continuous coping and treating is possibl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variables in family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to intervene in the family communication process to support effectiv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highlight the strength of family beyond the pathological perspective of family resilience. Its implication also includes the verification of the positive influences of the psychological effect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university student children.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e effects of the sub-elements of self identity that affects th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e analysis finding revealed that future certain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suggest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fully available for the career consulting and coaching scenes for clients who lack sufficient resources in career decisions, such as the third graders and the fourth graders in universities.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the sub-elements of self identity affecting commitment to career choice of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It was found that future certainty had huge influences in common.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goal-orientation, initiative, independence additionally ha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a theoretical ground to apply the differences of gender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o consulting scenes.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가족탄력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탄력성과 진로결정 몰입의 관계를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및 지방권 대학생 406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몰입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몰입 수준이 높았고,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별로는 의사소통 과정이 제한적으로 유의했다. 진로결정 몰입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진로결정 몰입 수준이 높았다. 학년과 가정의 월수입, 부모의 학력에 따라 진로결정 몰입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타났고, 가족탄력성 하위요인별로는 의사소통 과정이 유의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학년,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몰입 수준이 높았다. 자아정체감 하위요인별로는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순으로 진로결정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주체성과, 자기수용성, 친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 미래확신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여학생의 경우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주체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남녀대학생 간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이 진로결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정체감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진로 연구에 주로 활용되었던 가족변인들은 가족의 구조(가족구성원)나 가족의 결과(부모와 자녀의 애착, 부모의 양육 방식 등)에 의한 변인들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 과정(family process)을 의미하는 가족탄력성이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가족 과정은 결과적으로 주어진 조건이 아닌 가족원들 간의 통합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의미하며, 지속적인 대처와 처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가족연구 변인들과 차이를 지닌다. 따라서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발달을 지원하기 가족 상호작용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탄력성이 병리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가족의 강점에 주목하고, 대학생 자녀에게 미치는 심리적인 영향과 진로결정 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진로결정 몰입에 대한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래확신성이 진로결정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 3, 4학년과 같이 진로결정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내담자들에 대한 진로 상담 및 코칭 장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남녀 대학생의 진로결정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통적으로 미래확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목표지향성, 주도성, 주체성이 추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특성의 차이를 인식하여 상담 장면에서 응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