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내용 연구

        홍혜련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comparing the findings of several case studies and survey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olicy of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even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a of foreig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rom various countries. Third, the study work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ir university’s Korean department. This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n ideal model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n chapter 1, the study proposed its purpose and necessit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and disclosed its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 In chapter 2, for the basis of the discussion, the study reviewed the policy on education in Thailand, the history of foreign language in Thailand, and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To discuss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from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chapter 3, in order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scrutinized another foreig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mainly focusing on Japanese and Chinese. This is because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s Korean, are considered Oriental studies, and classified as second languages in Thailand. It is also to be noted that such countries receive governmental support through the dispatch of native speakers, which enables their language programs to be more successful. In additi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Japan and China have been analyzed and reviewed.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a, research methods and materials of Prof. Dr. Kim Jae-Uk’s research paper have been used. This research has been used as a guide to improve up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4,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aim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eedback from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ai universities were evaluate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reform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5, with proposed revisions to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s foreign language policy, the new and improved curricular model for specialized Korean language was created. With proposed revisions from associated professors, the validity of the updated curricular model has been examined. Based off of the revisions and examination, this specialized curriculum is advocated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apter 6, the conclusion summarized the discussion and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uture projects. Format of language curricula are continually changing due to a variety of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e to the dynamic nature of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are affected by education policies and the relevance of international societies, course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need to be continuously adapted. In addition to curricular studying objectives, diverse methods of learning must be developed to fit each students’ needs. Referring to various language majors and Korean majors abroad, the optimal form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to efficiently master Korean, they must be thoroughly educated in literature, linguistics, and general knowledge of Korea. In light of this, proposed subjects for this curriculum include Korean History, Culture, Social Studies, Politics, and Economics. This results in a program reflecting the concept of “Koreanology” rather than Korean language. This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was the preferred method of education by Thais. Foreign experts in Korean language are expected to not only be fluent in Korean, but also a “Korea expert” ? someone who is familiar with Korean history, culture, and etiquette. Nevertheless, the main inten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master fluency in Korean language.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ose studying Korean language to be educated in methods of teaching Korean to others. In general, language instruction and practicums are needed components of education in Thai universities. Although educating students in the area of Korean teaching is not the main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majo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such curricula since occupa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re in high demand. Third, based on factors of tourism, technology, and relevant executive subjects, Korean language majors are expected to not only speak fluently, but also be capable of conducting business-level interactions in Korean.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ourism, technology, and various business subjects, incorporating them into Korean language curricula.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ai middle and high schools, the expectations of Korean linguistic skills for university freshmen are increasing. Thai universities need to adapt to this by placing more importance on business-oriented Korean, as opposed to simply linguistic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roved forma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re as follow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two required subjects shall be placed in every semester: basic Korean and lexis, morphology, syntax, and pragmatics. Such classes are intend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Korean knowledge. The selected subjects are based on the requests of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fter inquiry and evaluation. The proposed track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eneral Track>, <Korean Language Expert Track>, <Tourism and Service Related Track>, <Business Track>, and for the executive work, <Liberal Arts and General Administration Track>. These tracks are arranged in a way to help students choose what they want to study according to their desired career. Furthermore, as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are hired by Thai universities, it is an opportune time to implement higher-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oday’s society,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need to be educated on future career opportunities as well as general knowledge of Korea, since the ultimate goal is to gain employment. This improved proposal to Korean university curricula in Thailand is distinctive in the way that it seeks to specify subjects of learning. Therefore, this proposal will be the model for development of specific course studies in Korean departments of Thai universities, reflecting the current educational dem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s of assisting Thai univers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By combining aspects of societal relevancy and structure, this analysis seeks to positively impact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고려인 이주 노동자들의 한국사회 적응 : 재이주자들의 사회-문화적 문제를 중심으로

        박옥사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re are roughly 580,000 Koryoins (Koryo Saram – 고려 사람) living in the world today. About 30,000 of them live in Korea in various ways. In this thesis, I used the term “Koryoin”(고려인), as in South Korea this term is used most often when it comes to Koreans from Russia and the CIS countries. But in fact, most of the Koryoins who came from the CIS countries call themselves none other than Koryo Saram. In this case, the exceptions are the Koreans who come from Sakhalin. They call themselves the “Joseon Saram” (조선 사람). Despite being a Korean with the same roots, it has not been easy for the Koryoins to maintain their native language and native culture because they have lived with various ethnic groups in Russia and CIS region for 80 years. Koryoins have returned to their historical homeland, but nevertheless they are experiencing cultural and language barriers and difficulties with regards to adaptation. For Koryoin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most of their lives in Russia and the CIS countries, Korean culture may not seem familiar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one which they are accustomed to since childhood. The culture shock and adaptation problems experienced by Koreans are the result of their living in other regions for 80 years and fully or mostly assimilating to the cultures of these regions. That’s why Koryoins have difficulty assimilating further in Korean society. Despite the fact that Koryoins are also Koreans, they sometimes experience more problems with regards to Korean society than non-Korean foreigners. The phenomenon of re-migration greatly complicates this process because Koryoins go to Korea with pre-existing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and mentality. However, after arriving to their historic homeland, most Koryoins come to realize that the Korean culture of their childhood is very different from the culture of South Koreans. These cultural differences may make one think that Koryoins are not descendants of South Koreans due to their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the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not correct to regard Koryoins and South Koreans as being culturally unrelated to one another. Despite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men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are a number of cultural similariti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Koryoins and South Koreans are mentally similar and what those cultural differences are, the researcher examined various Korean customs and traditions in my thesis. Upon examination of the survey that the researcher conducted amongst the Koryoin labor migrants, it became clear what problems and difficulties arise for Koryoins in the process of socio-cultural adaptation into Korean society. The object of the research for the thesis is Koryoin labor migrants because I consider this group of migrants to be the most vulnerable as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in assimilating to modern Korean society. Moreover, many of my relatives and close people are also Koryoin labor migrants in Korea and seeing the adaptation problems that they face every day, I decided to consider the reasons for their difficult adaptation in more depth. The reason being that before we can start looking for ways to solve the problem, we must carefully study the causes of the problem. 러시아・CIS 동포들은 일명 고려인이라 불리며, 한국인과 동일한 성씨와 비슷한 외모를 지녔다. 하지만 많은 고려인들은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하고 한국인의 풍습과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로 귀환한 사람들도 한국인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가 이른바 3D 업종이라 불리는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면서 바쁘고 고된 삶을 이어가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돈과 시간과 노력을 들여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쉽지 않다. 최근 들어 러시아 및 CIS국가에 고려인들이 많이 모여서 살던 지역을 보면 고려인 수가 줄어들었다. 예전에는 많은 고려인들이 살았던 고려인 집단농장 («корейский колхоз»)이라는 곳들이 많았다. 하지만 도시화와 해외 이주로 인해 고려인 집단농장이라는 곳은 현재 거의 소멸된 상태이다. 일부 노인 층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많은 고려인들은 한국으로 재이주하여 한국 내 곳곳에 고려인 마을을 생성하고 있다. 고려인 노동자들은 더 나은 삶을 찾기 위해서 한국 땅을 밟아 의 적응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적응하기는 쉽지가 않다. 고려인들은 본국에서도 현지 민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타자로서 살고 있다. 이들은 조금 더 나은 삶과 본국이라는 환상을 가지고 한국으로 재이주하였지만 한국에서도 역시 타자로서 살고 있어 이들의 삶은 아직도 매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고려인들도 한민족이다. 그렇지만 고려인 재이주자들은 한국에서의 적응과 생활 측면에서 다른 외국인들과 같은 배려와 이해가 필요하다. 다른 CIS외국인들처럼 고려인들은 태어났을 때부터 러시아어만 사용해 왔고 러시아 문화 속에 자라왔다.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 사회하고 접할 일도 없다가 막상 와보니 한국이 낯설게 느낀다. 한국에 오자마자 그전에 몰랐던 한국과 고려인 문화 사이의 차이를 느끼면서 출신국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한민족이나 한국어가 서툴러 한국인과 갈등 사례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인은 외국인이 아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문화와 고려인 문화는 차이점도 있지만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다. 고려인들은 잃어버린 80년으로 인해 한국인과는 다른 문화-사회적 발전을 해 왔다. 이로 인해 서로 낯설고 이국적인 느낌이 있지만 결국 한민족이라는 의식은 뿌리 깊게 박혀 있는 것이다.

      • 아랍어 교육을 위한 번역의 활용 방안 연구

        곽순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63

        번역은 전통적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외국어 교수법 중 하나이다. 세계화ㆍ정보화ㆍ다문화 시대에서 신속ㆍ정확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번역 그 자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외국어 교육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과 외국어 교육 기관들은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학습번역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번역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번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번역 교육의 실태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며, 학습자들이 번역실습에서 일으키는 오류사례를 수집ㆍ분석한다. 또한 학습번역과 전문번역 교육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 전문번역의 기반인 등가번역의 실례 제시를 통해 효율적인 아랍어 교육을 위한 전문번역 교육방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번역의 정의와 번역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외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 번역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 양성을 위한 전문번역의 목표 및 교육방법 등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아랍어 번역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선대학교 아랍어과의 교과과정 및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 4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입시반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과 통번역대학원 한아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번역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와 번역실습을 실시하였고, 번역 관련 교과목에서 채택되어 통ㆍ번역 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선정하여 텍스트를 내용면에서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 아랍어 교과과정에 번역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나, 번역수업이 아랍어 교육을 위한 학습번역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전문번역 교육 수준에는 이르고 있지 않음을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아랍어 번역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텍스트 주제가 분야별로 균형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들이 번역연습에서 선호하는 주제를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정보 습득측면에서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과 무관한 주제로 일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이 있지만 오래되어 최신 정보 습득이 어려웠다. 셋째, 일부 텍스트는 실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부는 실제 텍스트가 아닌 아랍어 학습을 위한 정형화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 조사를 통해 아랍어과 학생들의 아랍어-한국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가 주로 아랍어 텍스트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와 한국어 어휘 및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임이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아랍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는 아랍어의 철자, 문법 오류, 한국어 텍스트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 그리고 아랍어 어휘 및 표현능력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양방향의 번역에서 나타난 내면적 오류 사례의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이용한 교수법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조사인 설문조사, 번역실습 조사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설문조사와 번역실습 조사에 참가한 학생들이 국내 4개 대학에 고르게 분포되어 전체 아랍어 학습자를 대변할 만하다. 하지만 참여 학생수가 전체 아랍어 학습자 수에 비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아서 아랍어 번역 교육의 현황을 완전히 규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수준별 번역실습을 통해 아랍어 번역에 관한 보다 더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활용한 교수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 연구

        도티녹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와 주변 나라의 한국어/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베트남 내 한국어/학 교육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문헌 및 교수, 재학생, 졸업생의 인터뷰를 분석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 교육의 실제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어/학과와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연도, 학과 특징, 지역 3가지의 요소를 감안하여 5개의 대학교를 선정하고 한국어/학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HN USSH),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대학 (ULIS),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 (HCM USSH), 호찌민 외국어 정보대학교 (HUFLIT), 하노이 대학교 (HANU)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선 5개의 대학 교육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의 한국학 교육과정은 기업의 요구에 충족하는 다양한 전공 선택을 제공하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교육과정이다.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 한국학과는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목표에 충실하고 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학과가 동방학부에 속하고 있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이 제한적이지만 학생과 기업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한국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육과정은 한국어학 및 한국문화를 기초로 통번역, 한국학, 관광, 한국어 교육 전공의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어학 중심의 학문적 특징이 보인다. 하노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통번역 지향 한국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있고 실제학습활동을 중요시한다. 둘째, 베트남 한국어/학 교육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대학은 30여년 간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의 양적 및 질적 확정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학으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취업 등과 같은 학생의 실질적인 필요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학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기 보다는, 한국학과 동등한 지위로 함께 발전하는 특징이 보인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한국 기업에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필요성이 약하고 논문의 필요성이 적다. 교원들의 낮은 급여 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한국학 교육으로 확장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교육과 동등한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모순되어 보이지만 베트남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학과는 이러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현황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주는 개념어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kehold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in Vietnam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examin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and interviewing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w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concer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curriculum. In this study, five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the year of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the region. It includ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noi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e five university curricula were identified.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a Korean language-centered curriculum that offers a variety of major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compan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anoi Univers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perates an academic curriculum that is faithful to the goal of nurturing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o Chi Min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nformation is part of the Faculty of Eastern Studies, so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limited, but it is operating a flexible and practical Korean studies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and Korean companies.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majors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studies, touris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University is faithful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riented toward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values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confirm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30 year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Korean studie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into an equal status wi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simply being composed of a subcategory of Korean studies due to the social needs and practical needs of students such as employment.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focused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Korean companies, the necessity of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weak and the need for dissertations is small. Due to the low salaries of teachers, it is not easy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equivalent to Korean studies education without expanding into Korean studies education. Although contradictory,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ies/Korean Studies department is a conceptual word that symbolic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 비수도권 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황성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내 체류 외국인 유학생이 13만 명이 돌파함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 유치 경쟁이 본격화 되었다.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에 따라 국내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 경쟁을 하게 되었고, 이는 외국인 유학생의 양적인 증대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대학들이 무분별하게 외국인 유학생들을 받아들이며, 학업부적응, 불법체류, 중도탈락, 문화충돌 등으로 인한 대학생활의 부적응도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수도권 대학보다 비수도권 대학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수도권지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경험과 요구에 대해 분석하고 비수도권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유학배경, 유학생활 적응, 대학 학습 경험 평가에 대한 질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대전인근 지역 외국인 유학생 7명과 수도권 대학과의 비교분석을 위해 수도권 대학 유학생 2명을 선별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동기는 ‘전공과목에 대한 심도 깊은 공부’, ‘다양한 문화체험에 대한 경험’, ‘보다 경쟁력 있는 해외학위 취득’이 주된 이유로 분석되었다. 한국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다른 나라에서의 경험’,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저렴한 학비’, ‘지리적 근접성’으로 나타났고, 비수도권 대학을 선택한 요인은 ‘수도권에 비해 저렴한 학비’, ‘낮은 입학 기준’ 이 있었다. 본 연구 참여자인 비수도권 대학 아시아 지역 학생들의 경우 재정적인 요인이 한국으로의 유학을 선택하는 데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대부분 수도권 대학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학비 때문에 비수도권 대학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이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갖기 위해서 규모나 양적인 확대에 치우쳐서 만족하지 말고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에서 대학교육을 받았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감을 통해 우호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여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한국어 능력과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의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전공을 심도 깊게 공부하기 위해 대학을 선택한 유학생들의 적응수준이 높았다. 언어도 유학생들의 적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졸업 후 가능하면 한국에서 취업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부족한 한국어 실력과 외국인 취업의 어려움으로 현실적으로는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한국어에 서툰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고 한국어 강의를 확대와 외국인 유학생들의 가치관과 전공 간의 연결과 함께 전공을 활용할 직장에 대한 정보와 기회를 제공해 줌과 동시에, 양질의 교육과정과 학생들이 겪고 있는 학업생활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대학 내 멘토, 맞춤형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대학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고 상담을 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의 전반적인 취업, 강의 시스템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였는데 이는 비수도권 대학 유학생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대학 유학생의 경우 한국어 강의의 불만족, 졸업 후 진로에 대한 도움 시스템 부족, 학습 분위기 등의 개선의 문제가 거론되었다. 비수도권 대학의 유학생은 대학생활의 만족도에 있어서 전공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유학을 선택한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시설과 우수한 교육환경을 구현하여 유학생에게 수준 높은 교육과 학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업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교육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호칭어 교육 방안 연구 : 한·중 대학생 간의 호칭어 사용 양상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장가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usage of address terms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help Chinese students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ecause the language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are different, this study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judge each other's gender, age, academic number, affiliation, and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 other person before using the appropriate term. However, due to the cultural background and usage habits of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are also different. In each teaching methods, the introduction and the last class activities are detailed. Addresses are not just words, but are constantly practiced in practice. This paper summarizes the habits of Korean students using addressing language, and introduces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Chinese students in Korea understand and use Korean addressing language. Based on TOPIK's classification criteria,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terms of address change over time and society, and this field of study requires more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ers will be abl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field of addressing.

      • 한국어 연결어미 '고'의 용법 및 교재 분석 연구

        오효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고’의 의미적, 통사적 용법을 정리하면서 재분류 하고 연결어미 ‘-고’가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제시 양상을 분석해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가능한 교재 모형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장은 서론 부분이다.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선행연구, 연구방법 3가지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연결어미 ‘-고’를 연결어미 전반적인 체계에 어느 부분 속하는 것을 밝히도록 한국어 연결어미의 개년 및 분류 체계를 밝힌다. 다음 선행연구 중에 언급한 ‘-고’ 용법을 의미적 용법과 통사적 용법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의미적 용법을 기술하기에 있어서 연결어미 ‘-고’가 각 용법에 따라 의미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또 각 용법은 어떤 언어 환경에서 쓰이는지, 또한 각 용법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용례로 분석한다. 다음 ‘-고’ 통사적 용법에 대한 분석과 정리이다. 각 용법 간에 통사적 용법에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나열해 오고 서로 비교·분석하여 제시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2장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한국대학교에서 출판된 교재 중에 연결어미 ‘-고’의 각 용법은 어떤 등급으로 분포하고 제시하는지 살펴보고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지적하고 교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앞에 1부터 3장까지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고 본그러나 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점이 존재하며 연결어미 ‘-고’의 의미적 용법에서는 어떤 학자와 사전이 ‘포함·선택’의 의미를 제시했는데 본 고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못하고 교재 분석 부분은 문법 제시 부분만 선택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연결어미 ‘-고’의 ‘포함·선택’의 의미와 교재 연습 부분에 대해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이 완벽해 주기를 바라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대학기록관 사진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 : 한국외대 역사기록관 중심으로

        김소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writing, an event is described in words while stopping time in place. On the other hand, in the photographic record , an object is described objectively for how it looks and what it does. No intervention in the description makes the time of the photographic record more real than the time in writing. That is to say, the photographic record shows the past in a direct, detailed way, which makes it persuasive.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camera prototype, Camera Obscura, during the Renaissance in the 16th century, cameras have undergone technology development and become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They are being used more than any other recording media. People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do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 management when they take, develop, and upload photos to the Internet. They often do so without knowing. For individual photos, a lack of systematic the photographic record management is not a big issue. However, it could be an issue of disappearance and damage for the photos of the government or public offices. Photos are created with light and chemical reaction by a camera and are subject to damage and alter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ameras as a mechanic device. Also, photos are records that are valuable at the time of production but become significantly valuable over time as well. For this reason, it is urgently needed to take additional measures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 instead of just managing them along with other paper records or treating them as one of many records. This thesis looks into the photographic record management and its research area is limited to university archives. A growing number of universities try to emphasize their mottos and find their place in society through exhibitions of their history. In the process, they feel the need to collect and store various records that show their history. For this purpose, they build university archives. Unfortunately, most university archives do not have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for photos. Like other archiving places, they manage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s just as apart of paper records. Against this backdrop, this thesis looks into the current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 management situations at university archives and searches for efficient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as well as a system to put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s into the public use. This thesis took a close look at the case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rchive(HUFS Archive) for the following reason. Due to its poor management, HUFS Archive had a risk of losing its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its history. After establishing an archive, however, HUFS Archive implemented a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which not only solved the issue in the past but also led to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photographic record records that HUFS Archive has collected since.

      • 대학기록관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록물을 중심으로

        문지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A Study on Role and Activation of University Archives : Focused on the Cas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rchives The traditional role and identity of the university, the prime representative of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is currently in a state of being challenged by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o-called “economic reasons”. However, such situations call for the expansion of the university’s traditional social-cultural role. Also, the university must operate based on decisions of its traditional constituents and under self-directed discretions. The students, professors and staff compose the operating organization for autonomous operation of the university. The decisions made by such operating bodies appear in various forms of records produced at the university. Conveying the decisions made in public and private domains, these records will reveal the self-identity of the university. Thus, memories are reproduced and its significance materialized through the medium of records, assisting in understanding the identities of its constituents. In this thesis, to derive measures to invigorate the archives of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rough evaluation of its current status and shortcomings, first, general theoretical evaluation of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University’s archives were carried out. Also, based on Samuels’ documentation strategies, partial analyses of the University’s functions were attempted.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examined for this case study, was established as a life-long education system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opportunities to anyone wanting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growth, currently there are 13 regional campuses, 32 learning centers nation-wide and graduated over five hundred sixty thousand student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t can be stated that, rather than through physical and official activities, records have been actively generated through unofficial small assemblies connected through the nationwide network. Therefore, records exhibiting official accomplishments were relatively lacking. Thus, the university sought various ventures, and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archive was attempted as it was deemed appropriate tool to showcase its unique history, tradition and culture. However, the active support in its early stages and internal motivation were met with constant challenges. Slacks in control systems for administrative records and self-produced records, incomplete historical record collection systems resulting from lack of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awareness, perception differences and gaps in the awareness of communal purpose of specialized recor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examples of these obstructions. The following three compensatory measure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present status of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First, a systematically segmented codification applicable to all records within the University must be established, regulated and managed. Second, collection effort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internal departments, regional campuses and learning centers are needed for historical record collections. Finally, granting access to broadcast records that exist within the university as specialty records is needed. In this information age driven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ment, a virtuous circle of granting access, use and utilization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s educational contents will bring forth the result of increasing the value of its unique knowledge transfer, promotion of socialization, research training and community service. University archives must operate under a stable yet flexible system capable of handling a wide variety of records. Through this process, the archive can reveal its university’s uniqueness by securing a wealth of records. Furthermore, an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where discussions on uniqueness and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y’s archive can take place is needed. Continued research on this case study of the archive operations at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in related fields are encour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