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現代版畵 50년의 흐름 : 1950年代부터 1990年代까지

        최선주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599

        판화의 역사(歷史)를 되짚어보면 발생초기부터 15세기에 이르기까지 동·서를 막론하고 순수예술로서의 기능보다는 정보보급(情報普及)을 위한 복제(複製)를 위한 수단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인쇄술과 사진술의 발달로 인해 판화 또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여, 순수예술로서 회화 역사에 새로운 영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조선시대까지 인쇄로서의 의미가 강한 판화가 제작되어 왔으나 일제침략기로 인해 전통과 현대의 명맥 을 잇는 줄기가 희미해졌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판화는 도입과 수용에 의해 이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그 출발은 몇몇 작가들이 판화라는 새로운 표현매체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면서였다. 1958년 판화 협회로서는 최초인 「한국판화협회」가 창립되면서 한국의 현대판화는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다. 60년대에는 해외유학을 통해 정식으로 판화교육을 받고 돌아온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기법이 소개되고 그 기술의 엄격성이 강조되면서 판화가 각 대학에서 정식 실기강좌로 정해졌으며. 판화 초대전이나 개인전, 국제적인 교류전이 열렸다, 한편 작가들은 다양한 국제전에 판화작품을 출품하여 현저한 성과를 내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한다. 1968년 이러한 활발한 판화활동에 힘입어 현재까지도 한국 판화계의 주도(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현대판화가협회」가 발족(發足)되었고, 1970년대에는 「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같은 국내주도의 대규모 국제판화 공모전이 열리게되고 각지방이나 대학출신별로 판화그룹전이 등장하여 상당수의 판화가들이 급부상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각종 대규모 판화공모전이 신설되는데 1980년에는 「공간국제 판화공모전」 이. 1981년에는 「한국현대판화가혐회공모전」. 1986년에 「대한 민국미술대전」 에서 판화부가 신설되어 판화가 미술의 독립된 한 장르로 인정받는다. 그리고 대학에 판화과가 신설되어 판화전문인력 양성이 활발해지고 판화전문공방이 생기어 판화부흥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고, 당시에 목 판화운동이 벌어지는데 이것은 민중의 정서를 바탕으로 현실 비판적 성향을 띤 것이었다. 1990년대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각종 판화비엔날레에서 우리나라 작가들이 상위권을 휩쓸었고 판화 전문작가들이 양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벌였으며, 1993년 「한국현대판화 40년」 전이 열려 한국판화의 역사와 현실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판화미술진홍회가 결성되어 「서울판화미술제」 와 같은 대규모 판화전문아트페어가 열려 판화의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1996년에는 판화전문지가 발간되고 판화의 정체성을 정립시키고자 한국 현대판화가협회에서는 <오리지널 판화에 대한 규정)의 공표가 있었다. 2000년대에 접어든 이 시점에서 한국의 판화는 아직도 판화를 인쇄물로 보려는 시각, 판화보급에 따르는 위 작품(作品)의 범람, 대중들의 판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부족, 형식적인 전문교육 등의 문제들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의 취지는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의 현대판화역사의 흐름을 새롭게 고찰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Revaluating the history of printmaking from its origin to fifteenth century, printmaking through the world had developed just as a method for only reproduction to propagate information, not as a function of pure art. With the advance of printing and photography, however, printmaking took on a new aspect and became a newly realm as a sort of pure art through the annals of painting. Similarly, printmaking works which were strongly characterized as press had been produced in the Chosun Dynasty of Korea.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rintmaking got weaken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aggressive reign. Therefore, Korean contemporary printmaking is certain of being accomplish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printmaking into Korea, as accompanied by the interest of several Korean artists in a new expressional media, printmaking. As the Korean Printmaking Association, the first domestic society related to printmaking was founded in 1958, the real beginning of Korean contemporary printmaking was announced officially. In the age of 1960s, various printmaking techniques were introduced into Korea by the printmakers who had taken regular printmaking education and training abroad. Also, while the technical exactness and precision of printmaking were being emphasized, the formal printmaking classes were arranged in a few universities. Besides, a lot of invited, private, and international printmaking exhibitions were held in Korea.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Korean printmakers exhibited their works to a variety of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showed their progressive attitudes towards printmaking, so that they gained remarkable accomplishments on the international stages. Thanks to these lively activities from Korean printmakers, the Korean Contemporary Printmaker Association, which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field of Korean printmaking until now, was organized in 1968. In 1970s, nation-initiated, large-scale international printmaking public competitions were held: the Seoul International Printmaking Biennale.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of diverse printmaking group exhibitions associated in every countryside or university, a large number of printmakers manifested themselves speedily. New and representative, large-scale printmaking public competi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era of 1980s: Space International Minimal Printmaking Public Competition (1980), Korean Contemporary Print1naker Association Public Competition (1981), and Korean Fine Arts Great Exhibition (1986). Owing to the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printmaking in the above public exhibitions, printmaking was conclusively regarded as one independent genre in fine arts. Moreover, department of printmaking was opened up in a few universities or colleges, which was able to make well-educated printmakers be briskly brought up and professional printmaking manufacturers were ready to arrange the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printmaking. For one example, the movement for wood printing occurred at that time, which professed the disposition critique for reality based on the emotion of the public. In the age of 1990s, Korean artists won the high-ranked prizes in diverse authoritative international printmaking biennales and many printmaking experts were enough cultivated to take flourishing activities in the areas of printmaking. 「Korean Contemporary Printmaking 40 years」 in 1993 gave a chance to examine the Korean printmaking past and present. As a result, Printmaking and Fine Arts Rousing Society was established, which held large-scale art fair such as 「Seoul Printmaking and Fine Arts Festival」and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pularization of printmaking. In 1996, specialized magazine for printmaking was published and <the regulation for Originality of Printmaking> by the Korean Contemporary Printmaker Association was notified to settle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Korean printmaking. At this stage which new millennium has come around, the Korean printmaking community has several controversial points: the viewpoint of misunderstanding printmaking as printing, the inundation of counterfeit, the deficit of correct recognition by the public concerning printmaking, and the form-focused printing education. Therefore, we should make cease1ess efforts to realiz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concerning Korean printmaking.

      • 죽음본능의 표현 연구

        김진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27

        죽음에 대한 인식은 시대와 종교, 문화마다 다르다. 개인적인 성장환경 속에서의 교육과 경험에 의해서도 다르다. 그러한 죽음의 의미와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학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주장한, 인간의 근원적인 두 가지 본능인 에로스에 의한 삶의 본능과 대비되는 타나토스의 죽음본능의 관점에서 ‘탄생 이전의 무생물 상태로 돌아가려는 본능’에 대하여 죽음을 형상화한 본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우선 선행 작가 연구에서는, 성장과정에서 겪은 ‘가족의 죽음’으로 ‘고통과 고뇌’를 표현한 에드바르트 뭉크의 작품을 선정하여 그의 표현 특징과 함께 불행했던 내면의 고백을 예술로 승화한 작품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의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구스타프 클림트가 자신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표현의 이면에 숨어 있는 사랑, 죽음, 삶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알레고리’와 ‘상징’을 사용하여 우의(寓意)적이고 암시적으로 표현한 형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작품분석에서는 작품을 죽음본능의 한 가지 주제 아래에서 내용에 따라 ‘운명’, ‘절망과 불안’ 그리고 죽은 이들의 ‘초상’이라는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운명’으로서의 죽음은 죽음 앞에서 아무도 피해 갈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나타내었으며 ‘절망과 불안’은 현재의 삶 속에서 부딪치게 되는 위기와 두려움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초상에서는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숭고한 희생자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자살자를 형상화하였으며 그와 함께 자화상의 표현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형식적 특징으로써 쉽게 파악하기 힘든 어려운 주제라는 점을 감안하여 구도와 형태, 색채를 인간의 형상과 그를 둘러싼 공간의 조화에 중점을 두어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는 단순한 구도와 색채로 알아보기 힘든 거친 표현은 삼간 표현형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대 철학과 종교에 의한 죽음의 인식과 선행 작가 연구를 통해 공감한 ‘불안’의 근원적인 이유와 죽음을 주목하게 된 이유에 대하여 본 연구자의 개인적 생각을 함께 밝혔다. 본 연구자에게 죽음은 갑자기 찾아와 모든 것이 소멸되어 사라져 버리게 되는 허무와 절망의 관념이 될지라도 삶에 내재된 거슬릴 수 없는 생명체의 본능으로 그를 통해 삶의 의미를 깨우쳐주는 것이다. 아울러 인간의 능력으로는 항거할 수 없는 그 죽음으로 인해 현재의 삶을 가치 있게 하는 것이다. Awareness of death and age religion, and culture-dependent. In an environment of personal growth also by education and experience different. Suc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in this study, the psychoanalyst Sigmund Freud claimed, two kinds of fundamental instinct of human life by Eros Thanatos instinct and the death instinct as opposed t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animate state before the birth instinct to return’ to visualize death regarding the work of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present. First, the leading author study, the growth process has suffered from 'a death in the family' and 'pain and anguish' inspired selection of works by Edvard Munch expressed his unhappines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inner confession was a work of art as a means to sublimate analyzed. In addition, this researcher's 'form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nalyze the splendor of Gustav Klimt and his hiding in the back of the decorative expression of love, death, life, abstract concepts such as 'allegory' and 'symbol' to use the allegorism and implicit representation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alysis of the work of the work of one subject under the death instinct, depending on what 'fate', 'despair and anxiety' and the dead 'portrait' is examined by three categories. 'Fate' as no one can escape death is not the face of death and showed the limits of the human 'despair and anxiety' in the life of the current crisis hit, and fears were expressed that. Portrait of the sublime and the victims who lost their lives tragically broke his own life and that suicide was to visualize the expression was analyzed with a self-portrait. As well as formal features a difficult subject easy to understand considering the tough structure and form, shape and color of human space around him, focusing on the harmony that can be recognized at a glance as a simple composition and color indiscernible rough refrain expression was analyzed by expression format. Death by the ancient philosophy and religion, and the recognition and empathy through research by leading writers 'anxiety' of attention to the underlying reasons why the death of the present with the researcher's personal thoughts said. The researchers came to this sudden death is destroyed everything is emptiness and despair that has gone discard even if the notion of life that can not be denied the inherent instinct of life reminding him to give it the meaning of life. In addition, the ability of human beings can not protest that the death of the present life will be worthwhile.

      • 청각적 감성의 시각적 표현 연구

        서문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27

        사람들은 21세기를 흔히 감성의 시대라고들 한다. 그만큼 감성이라는 것이 중요한 의미가 되었다는 말이다. 사전적 의미에서 감성이란 감각을 받아들이는 성질, 즉, 감수성이라고 되어있으며, 이러한 감성은 어느새 우리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이유인 즉, 합리적이고 냉철한 이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기술과 과학이 발전함으로써 우리들의 삶은 부유하고 편안해 졌으나, 왠지 모를 마음 한구석에는 허전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술의 역할은 이 시대에 부족한 감성을 채우고, 양적팽창과 효율성만을 중시한 이성적 사고방식을 달래는 것이며, 이로써 온전한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시키는 데에 있다. 그리고 예술가는 이 감성의 연구와 생산적인 승화를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을 일깨워줄 의무가 있다. 시각예술은 인간의 시각적인 감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어떠한 모티브가 바탕이 되느냐와 어떻게 표현이 되느냐에 따라서 그 모습이 결정된다. 본 연구자의 모티브는 청각적인 감성이다. 이 '청각적 감성(Auditive Sensibility)'이란 말은 귀로 듣는 자극의 감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자극을 통해 생겨나는 새로운 질로서의 감수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인간의 공감각을 바탕으로 청각과 시각의 공통적인 감성을 발견하여 작품을 구성하는 것을 모티브로 삼되, 감정의 매개가 되는 '개(Dog)'라는 반려동물의 상징을 변용하여 연구자가 느끼는 현대인의 감정을 담아낸다. 그 방법적인 것에 있어서는 청각적인 음과 시각적인 색의 관계를 감각에 관한 것에서부터 접근하여 색과 음의 대응관계를 근거로 한 통합된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추상적인 선과 드로잉, 강렬한 색채의 중첩과 대비는'칸딘스키'나 '클레'와 같은 표현주의 작가들이 음악성을 회화에 담아내는 전략과 접점이 존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목판화의 표현적인 특징을 통해 판재에 가해지는 힘과 판재가 저항하는 힘을 느끼면서, 마치 악기를 연주하듯이 판화를 다루는 태도는 청각적인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려는 본 연구자의 독특한 작업방식이다. 또한 청각적인 감성을 통해 가시적인 세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려는 욕망을 '개'라는 상징의 도입과 변용으로 화면을 구성하였는데, 이 방식은 신표현주의 작가들이 개인적인 감정을 다른 사물로서 드러내려는 전략과 유사하다. 이는 형식적인 부분보다는 내용에 대한 비중을 두어 내용이 형식이 되려는 경향으로, 포스트모더니즘 회화의 특징을 일부 반영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연구자의 작업은 음악이라는 비가시적인 것을 시각적인 상징을 통하여 드러냄으로써, 단순히 보이는 것에만 집중이 된 사회적인 관념의 틀을 벗어나게 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현실원칙의 억압과 그에 반동하는 개인적인 욕망의 이중적 혼돈에 대한 생산적인 지표로 작용하여 관람자에게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하는 작업자의 의도가 담겨져 있다. People usually call 21st century the era of sensibility, which implies that the sensibility is of such a significant meaning. The sensibility is, by definition, a feature of receiving senses, in other words, sensitivity and this sensibility has come to naturally reveal itself to our everyday lives. It is because we feel somewhat lonesome in our hearts even though we now can enjoy abundance and comfort with technical and scientific development based on cool, reasonable and rational thinking. The role of art is to fill sensibility that this era lacks and to soothe the rational way of thinking which puts emphasis only on quantitative expansion and efficiency so that it can fully recover human's independence. And an artist is responsible for awakening people's awareness for introspection into human life through research on sensibility and productive sublimation. Visual art is about showing human's visual sensibility and its form is dependent upon what kind of motif is adopted for foundation and how it is expressed. My motif is auditive sensibility. This term 'auditive sensibility' means not only senses heard to ears but also sensitivity which is a new type of quality developed through auditive stimuli. My work uses a motif to compose them by discovering common sensibility between senses of hearing and vision based on human's synesthesia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to capture emotions of modern people in my eyes through transformation of a symbol of dog, a companion animal, which serves as a medium of emotions. In methodological aspects, I approach the relation between auditive sounds and visual colors from sense-related things and intend to express integrated sensibility based on corresponding relation of colors and sounds. Overlapping and contrast of abstract lines, drawings and loud colors is where strategies and nexus are located which were used by expressionists such as 'Kandinsky' and 'Klee' to put musicality into their paintings. With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woodcut, my attitude toward printmaking like playing an instrument is a unique way to express auditive sensibility in a visual manner while I feel both the force applied on a board and the counterforce from the board. In addition, I compose picture planes with a desire to look into visible world with a new viewpoint through auditive sensibility by adopting and transforming the symbol of 'dog,' which is a strategy similar to that of neo-expressionists who intended to express their personal feelings with other objects. This is a tendency to make contents be a form through attaching more importance on contents rather than focusing on formal aspects and it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some features of postmodern paintings. In conclusion, my works are an attempt to free the social, ideational frame which is only concentrated to superficial things by displaying the invisible music through a visual symbol. This implies my intention that museum visitors would be given an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as the works play as a productive indicator on double chaos of modern people's suppression on reality principles and individuals' rebounding desires against it.

      • 공간 감성의 시각화

        이보람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27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서로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공동체 속에서 서로가 원하는 목표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생활한다. 그로 인해 공동체 속 자신만의 공간과 재충전할 수 있는 공간, 자신을 되돌아보게 할 수 있는 사유의 공간이 필요하다.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은 거주의 개념이나 상업적 부가가치를 높이는 상업공간으로 분류된다. 연구자는 공동체 속에서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오히려 자아의식을 되찾아야 함을 깨달았고, 이 과정에서 일상 체험을 통한 공간의 이중성과 내적 공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것을 전제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자가 작품의 모티프로 가져온 공간은 개인의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해석된다. 이러한 공간은 연구자가 태어나면서 지금까지 경험했던 공간에 대한 특별한 경험과 관심의 표현수단이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감성은 개인의 경험이나 취향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주관적 감정이다. 연구자는 무의식에 침체 되어있는 감성을 표출하고, 일상공간이 한데 어우러진 이른바 감성적 공간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감성적 공간은 오늘날 현대인이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하고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내적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계기와 반복적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과거를 되돌아 볼 수 있는 틈과 현재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한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말하고자 하는 감성 공간의 시각화를 표현함에 있어 내용과 형식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작품 분석을 통해 체험한 일상공간을 토대로 한 자아의식 되찾기, 정체성 회복 등 독자적 조형의지를 판화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또한 내면의 상처를 보듬어주고 밝고 차분한 느낌을 내주는 파스텔 색조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연구자가 작품표현에 있어 유성실크스크린위에 사진이미지를 콜라주 하여 서로 다른 결합을 통해 우연성을 만들어내고자 함은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연구자는 공간에서의 감성의 시각화를 통해 일어나는 의식의 변화와 무의식에 침체 되어있던 감성을 표출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이 느낄 수 있는 공간 속 적막감을 해소하고, 사색을 통한 자아 성찰을 통해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마음의 안정을 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As we live in modern society, we form intimat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nd within community we are constantly making efforts for the sake of one another's goals. For this reason, within community there is a need for one's own space where one can recharge; a private space that can make one reflect on oneself. The space in which we live is classified differently from the idea of a residence or a commercial space that increases in value. Having realized the need for regaining self-consciousness in order to maintain the relationships within a community, the researcher began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in that process there is a need for internal space and duality of space through everyday experience. The space used for the motif of the work i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is kind of space is the means for expressing special experience and interest regarding the spaces experienced from birth until now. The sentiment that appears here is that of subjective emotion that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like personal experience and preference. The researcher expresses the sentiment that is hidden in the unconsciousness, and focuses on the so-called sentimental space where everyday spaces are mixed together in one place. Through this kind of sentimental space the researcher has intended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today's modern people to recharge the internal energy that is needed to live a better life after overcoming all kinds of problems, and the chance to reflect on the past and present in the midst of living repetitive lives. In this thesis that is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with a basis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expressing the visualization of this sentimental space the researcher considers the two aspects of content and form. With this kind of analysis, through print the researcher expresses a personal formative will such as reflection on self-consciousness based on everyday spac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and recovery of identity. The researcher also embraces internal wounds by using pastel colors that give a bright, calm feeling. In the artistic express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is study is the attempt to create fortuity through the different combinations made by the collage of photographic images on oil silk silkscreen.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entiment that has been hidden in the unconsciousness and the change that occurs in the consciousness through visualization of the sentimental space. Through that,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in contemporary times resolve the loneliness that is felt in space, listen to the inner voice of self-introspection through meditation, and gain stability of mind.

      • 빛에 의한 회화적 표현 연구

        김범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27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의 존재와 사고를 의식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는 정신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것으로 의식의 기저에 존재하며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과 소망의 저장소이기도 하다. 때문에 인간의 행동과 사고는 반드시 의식적인 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의 간접적인 지시를 수행하기도 한다. 특히 해결되지 않은 외상(外傷-trauma)은 무의식에 저장되며 꿈, 최면, 신경증, 실수, 환각 등을 통해 의식영역으로 표출된다. 프로이트는 신경증 환자들을 상담하면서 이러한 무의식의 표출방식 중 특수한 행동을 반복하는 이른바 반복강박을 발견한다. 이 반복은 무의식중에 억압된 것의 회귀성질을 가지며 고통스러운 순간의 경험을 반복하여 트라우마를 통제한다. 반복강박은 작가의 예술 활동에서도 종종 발견 될 수 있으며 반복을 통해 무의식과 대면하게 되고 작품 활동을 통한 승화, 즉 치유의 과정에 이르게 된다. 본인은 형식적 측면에서 대부분의 작품에 노동 집약적인 기법을 활용하는데 고된 반복 작업을 통해 완성되는 메조틴트와 검프린트는 작품의 형식이 고착되지 않았던 초기 활동의 불행한 개인경험을 치유하기 위한 반복강박행위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빛의 의미는 플라톤의「국가」중 동굴 우화에 잘 나타나 있다.「국가」에서 소크라테스는 빛이 상징하는 바를 진리, 좋음, 선, 이데아, 아름다움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서양미술에서도 빛은 진리, 신성(神性), 지혜를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져 왔다. 서양미술에서 렘브란트와 호퍼는 빛의 효과를 잘 적용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우선 렘브란트의 주된 테마는 빛의 환영이다. 그의 작품은 회화와 판화를 막론하고 정교하게 계산된 빛에 의해 희미한 형상들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빛의 표현은 세속의 번잡함에서 떠나 성스러운 기운을 느끼게 한다. 20세기 초의 에드워드 호퍼는 렘브란트의 방식을 따르지는 않았으나 그와 유사한 느낌을 전달한다. 호퍼의 빛은 렘브란트의 그것과 같이 어두움과 밝음의 계조가 풍성하지 않다. 사실적이지만 매우 건조하고 창백한 소재와 기법으로 우리를 침잠하게 한다. 호퍼는 창문과 빛, 사실적이지만 매력적이지 않은 인물들에 극적인 요소, 인격성을 배제하여 각자가 소외되는 장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감상자조차 화면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야기하고 정적의 순간을 느끼게 한다. 본인의 작품은 렘브란트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정적을 차용해 보려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호퍼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적막과 쓸쓸함을 표방하고자 하였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무한을 갈망하는 인간의 내면과 유한한 물질의 충돌에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인간은 어쩔 수 없는 모순의 존재이다. 본인의 작품에 관람자에게 잠시 위안이 되길 바란다. Sigmund Freud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 existence and thought only with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is including most of questions that are not in conscious. Moreover, It is like a storage of wish and un-figured questions, which is existing on the foundation of consciousness. Because of that, the behavior and the thought of human is not only activated in consciousness but also perform the indirect order of unconsciousness. Unsolved traumas, especially, are stored in unconsciousness and it is released into the territory of consciousness by dream, hypnosis, neurosis, mistake, and illusion. Freud found a unusual behavior of repeating, called "Repetition Compulsion", when he was counselling nerosis patients. The repetition has returning attribute of pressed things in unconsciousness and it controls the trauma by repeating the experience of painful moment. Repetition compulsion can be also found in the art of artists very often, and they get to the point of spiritualization through working on piece with facing to unconsciousness, which means thrapy. I could understand it by working on Mezzotint and Gum Bichromate print through hard repeating work, unlike the beginning period of art working that are not became permanent yet, as the repetition compultion behavior to cure personal unfortunate experience. The meaning of light is stated on 'cave fable'very well, on the part of 'Polis' written by Platon. Socrates expressed the symbolization of light is truth, goodness, idea, and beauty in "Polis" and it is also used as the meaning of truth, holy, and wisdom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Rembrandt Harmensz and Hopper are well-known as the artists who used the effect of light. Rembrandt's main theme is illusion of light. His work is expressed by exquisitely calculated lighting no matter if it was painting or engraving. This work led us to leave the messiness of our life and feel the holy spirit. Edward Hopper, the artist of early 20th century, didn't follow the technique of Rembrandt. However, he gave the similar atmosphere toward us. His lighting doesn't have diverse variation of dark and light just like Rembrandt . His technique and the materials that are realistic and also are dry and pale makes us to be calm. Hopper excluded the dramatic points and Personalitat from the windows and light, and realistic but unattractive people to make a place where everything and everyone is isolated. This work even gives audiences to feel being isolated and make them to feel the moment of silence. I was trying to bring the silence that we can catch from the work of Rembrandt. On the other hand, I also tried to bring the emptiness and loneliness from hopper's work. I guess the crash between human's eagerness toward infinite and the finite matters are the cause of conflict in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Human are contradictory creature. I hope my work become comfort to audiences.

      • 이상적 무의식의 구축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준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복잡하고 고도화 되가는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정신세계는 다양한 양상으로 변해가며, 점점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인간은 단면적으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적대시하며 때로는 공격적인 언행과 돌발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점차 고유한 인간성은 잃어가고, 마치 기계적인 사고와 비개성적인 행태들로 변해갈 때, 자신들의 인격과 풍부한 감성은 매몰되어 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한계를 모르고 치닫고 있는, 사막처럼 황폐한 사람들 사이의 의식구조들은 어떠한 원인에서 왔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원래부터 인간의 내면적인 특성인지, 아니면 후천적으로 변질 되가는 것인지, 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 정의를 내리고자 하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 것만은 사실이다. 이런 관점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그 원인을 사람의 무의식에 두고 그 것의 의미론적인 분석과, 어떻게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지, 원인을 이끌어 내기까지의 과정 속, 본인 작업 연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들 대부분이 평생을 자아의식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이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식으로든 현재의 삶에 대해 정확한 답을 내릴 수 없게 된다. 왜 자신은 항상 특정한 사실이나 이유에 대해 불안해했고, 반복되는 괴로움 속에서 방황해야만 하는지, 그리고 이 고통은 영원히 지속 되는 것이고 해결 방법은 없는 것인지, 등등 수시로 맞닥뜨리는 난제 들은 늘 뒤를 따르는 그림자처럼 돌아보면 없는 듯하다가, 어느 사이에 가장 가까이 한 몸이 되어 생활 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런 혼란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들이 무의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연유이며 그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고(苦)의 이탈을 실현코자 하였다. 본인은 작업과정을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내용적으로 어떻게 그 것을 구성하는지를 설명하면서, 트라우마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작업 속에서 구현하고자 했다. 즉 내면속 카오스적 상처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것을 새롭게 다시 재편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무의식으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의 고통은 전생의 원인에 의한 결과라는 불교의 논리처럼, 그 전생은 우리들의 무의식을 가리키며 현재는 의식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특별한 사람을 제외한 누구도 전생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으며 무의식 또한 정확히 정의 내릴 수없는 영역인데, 라캉을 비롯한 몇몇 철학자들과 일부 종교에서 그 것에 대해 설명 하고 있고, 이 부분에 대해 깨닫거나 극복 해야만 현재의 자유와 치유를 얻을 수 있다고 얘기 한다. 현재나 의식의 세계를 설명하면서, 무의식과 전생을 대입하는 것처럼, 본인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치유하는 방법으로, 내면의 상처를 작업에 표현한 후, 같은 고통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그것을 일정하게 다르게 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Living in a modern society that is complex and highly developed, our inner worlds are changing in various ways and being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People cannot fully understand each other and are hostile, sometimes with offensive words and unpredictable actions. The inherent sense of humanity is gradually being lost, and when it changes into mechanical thinking and non-individualized behavior, the reality is that one's own character and rich sensibilities are becoming buried. It makes one think about what has brought about this mindset between people who are as desolate as a desert, being extreme without limits. The fact is that we are being confronted with the serious issue of whether to define it as an innate characteristic of humans or as acquired degener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this thesis the cause is placed in the unconscious and with semantic analysis and the question of how people perceive,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cause I examine how it relates to my work. We spend most of our lifetime in self-consciousness, and other than that we are unable to give a precise answer regarding our current lives. Why we are always anxious about some truth or reason, why we can only wander in our repeated suffering, and in this pain that is forever continuing whether there is no resolution and so on, often these dilemmas are like shadows always following behind us, and if we look back it is as if they are not there. Before we know it, they become a part of us and we live with them. The question regarding the identity of this type of confusion is the reason that I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unconscious, and firmly grasping its nature, based on that I have tried to break free from repetitive hardship. I perceive the problem through the process of my work, and in explaining how to compose the content I wanted to materialize within my work the method for breaking free, starting with the pain of trauma. Namely, I confirm the true nature of chaotic internal wounds, rearrange them in a new way, and make them into what I believe the ideal unconscious to be. As in Buddhist reasoning, present pain is the result of causes from a previous life. That previous life indicates our unconscious and the present is our consciousness. Outside of those who are the exception, there is no one who remembers a previous life and the unconscious is a domain that one cannot accurately define. Several philosophers, including Lacan, and certain religions address this, saying that only by realization or overcoming this can liberty and healing be obtained. In describing the present or world of consciousness, as if substituting the unconscious or previous life, through the method of overcoming trauma and healing, after expressing internal wounds in my work I create work that regularly changes in composition in order that the pain would not be repeated.

      • 선으로 해석한 공간

        이정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공간은 그 존재 자체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공간을 특정하게 정의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우리는 공간을 감각으로 인지한다. 시각(視覺)으로 장소의 내ㆍ외부를 판단할 수 있다. 촉각(觸覺)으로, 그 곳이 정체된 공간인지 순환이 이루어지는 공간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청각(聽覺)으로 그 장소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모든 것들은 2차원이 아니라 3차원의&#985168;깊이&#985169;를 전제로 한 개념이다. 존재하는 모든 공간 중에서도 연구자에게 소재로써의&#985168;공간&#985169;은 무한한 광활함이 느껴지는 자연 속의 공간이다. 자연의 열린 공간은 어떠한 표현방식에도 제한 없이 모든 것이 가능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 공간 안에서 느껴지는 옅은 바람의 움직임은 희망과 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인간에게 자연은 가장 인위적이지 않고 순수하게 본성을 표현할 수 있는 곳이며, 특히 예술가로써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는 이들을 자연의 공간으로 이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근원적인 소재와 표현 방식을 다룬다. 회화의 원천적 조형요소인 점(點)과, 그것이 움직인 개념의 선(線)을 중점적으로 화면을 완성하고 있다. 선의 특징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집합을 이루었을 때의 의미와 조형적인 영향력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표현방식이나 소재에 있어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본인의 작업은 본 논문을 토대로 더욱 발전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다. Spaces are not like objects that can be easily defined, because they do not disclose their presence visibly; space is sensed, rather than seen. Sight enables us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outside or inside. Through touch, we recognize whether it is a ventilated or enclosed, stagnant space. We use our hearing to&#985170;listen&#985171;to the atmosphere of a space. Sensing, rather than seeing space makes it a three-dimensional experience, as opposed to a two-dimensional experience. Among the variety of existing spaces, I draw artistic inspiration from natural spaces of infinite proportions. Such natural, open spaces conjure up a sense of endless possibilities. Slight breezes in the space inspire hope and a sense of affirmation. In the complex world of human experience, nature affords us spaces in which we feel able to express ourselves, free from contrivance of artificiality. For the artist in particular, the pursuit of beauty leads us again and again to spaces bound only by nature. This study addresses the most fundamental subject matter, seeking to describe nature and the cosmos using the most basic painting elements, the&#985168;dot&#985169;and its moved concept the&#985168;line&#985169;throughout the entire canvas. At the same time, it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lementary characteristics of lines, their formative influences, and their meaning when joined together. I anticipate future works progressively developing from this theoretical basis, which has unlimited potential in terms of both subject matter and stylistic expression.

      • 도시에 투영된 현대인의 이중성 연구

        박준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Modern people today are living their lives in an urban framework that is complex, varied and stimulating. The reason is that while they religiously believe in the comforts they can enjoy in a large city, there is a sense of awe at the future that such high development will bring. A person's awe of the large city is projected and appears throughout the city space. A city space holds each person's facial expression and those expressions are connected with human life. The space bears many things like one's lifestyle, value of life, and fulfillment of desires. Here is the reason I believe the artist must reinterpret this. I, the researcher, a city dweller who is already a member of society, desire to represent the lives of the general public living alongside me by formally recreating their everyday life. In this sense, in expressing the reflection and inner side of daily life I realized the inevitability of having city space and the life of modern people as the subject. The more capitalism and materialism become rampant in modern society, the more a person is cynically inclined. Disillusionment comes with the city's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the young generation troubled by the state of society will only keep their emotions inside as cynicism. Art must be the representation of the public and the artist must have the role of being the medium that connects art with the public. The buildings, roads and pedestrians in a large city each display through human facial expressions not only confusion of identity and alienation but mental and psychological anxiety. As a result, in a capitalist society the desires caused by human selfishness come to have a social structure that can only bring anxiety and alienation to modern people. This kind of social structure is a contradiction that humans have made themselves and is the appearance of self-conflict. Through this kind of everyday scene I am seeking the reality of this era to discus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modern life. I understand the city scene to be the framework that regulates modern life, and through that I emphasize the appearance of the lives of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city. Through the medium of print I have tried to embody and express the projected urban landscape with a liberal mind. Also, in order to represent the modern city in the most suitable way, I have studied a method combining elements of print technique, painting and sculpture using silicone sealant A rubber substance (soft or hard) or liquid rubber composite used for connecting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window frames, in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utomobile, aircraft, ship, etc., for the function of concealing and making airtight and watertight as well as to absorb or lessen flexibility, vibration and deformation. There are reactant and non-reactant types., an industrial material used in architecture. Through this study I, as a researcher, intend to understand and enhance my work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modern print and evolution of original printmaking, namely as various concepts have expanded in printmaking. Also, rather than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xpression within one traditionally segmented genre, modern art combines various genres together to bring about application and expansion as broader meaning. As a researcher and modern artist who is producing experimental print works and various techniques, through this thesis I seek to analytically study their characteristics. I study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city images which hold my perspective as an artist and the reason for using the city as the subject. Further, by exami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work unfolds I establish a basis for more expansive work in the future. 오늘날 현대인들은 도시의 복잡하고 다양하고 자극적인 틀 안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해간다. 그 이유는 대도시에서 누릴 수 있는 편안함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고도의 발전이 가져다 줄 미래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결국 대도시에 대한 인간의 경외심은 도시 공간 곳곳에 투영되어 나타난다. 도시공간은 각자의 표정을 담고 있고 그 표정들은 결국 인간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생활 방식, 삶의 가치, 욕망에 이르기 까지 그 공간은 많은 것들을 품고 있다. 작가는 이를 재해석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도시공간에서 살아가는 연구자는 이미 그 자신이 한 사회의 구성원이므로,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일반대중들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조형적으로 재창조하여 그들의 삶을 대변하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구자는 일상적 삶에 대한 반영과 내면을 표현함에 있어서 도시공간과 현대인의 삶을 주제로 하는 것이 필연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현대사회에 자본주의와 물신주의가 팽배해 질수록 인간은 냉소적인 성향이 된다.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에 환멸을 느끼고 사회 현상에 대한 고민하는 청년들마저도 이러한 감정을 내면의 냉소로 간직할 뿐이다. 예술은 대중들의 대변인이 되어야하며 작가는 예술과 대중을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야 한다. 대도시의 건물, 도로, 행인들은 각자 표정을 통해 정체성의 혼란과 소외감은 물론 정신적, 심리적인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 결국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인간의 이기심에 의한 욕망이 현대인에게 불안감과 소외감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구조는 인간스스로 만들어낸 모순이며,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연구자는 이러한 도시의 일상적 장면을 통하여 이 시대의 리얼리티를 추구하고 현대의 삶에 관한 문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대인의 삶을 규정하는 틀로서 도시의 장면을 인식하고, 그것을 통하여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의 모습에 주목한다. 판화라는 매체를 통해 투영된 도시풍경을 자유로운 내적 사유로 형상화시키고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의 도시를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건축 재료인 실리콘 실란트를 통해 판화기법과 회화, 조각적 요소를 적절히 혼합한 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연구자의 작업을 오리지널 판화의 변화 즉 다양한 개념이 확장된 판화로서, 현대 판화사의 흐름 속에서 작업을 이해하고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현대미술은 전통적으로 세분화된 하나의 장르 속에서만 표현의 기반을 구축하기보다는 다양한 장르의 장점들을 서로 조합하여 넓은 의미로서의 응용과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연구자 또한 현대 미술가로서 다양한 기법과 실험적인 판화 작품들을 제작하고 있으며 본 논문을 통해 그 특성의 연구 분석을 모색하고 연구자의 작품에서 도시를 주제로 사용한 이유와 작가의 시각을 담아 표현하고자 했던 도시 이미지를 통하여 현대인의 일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작품이 전개되어온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더욱 발전적인 작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Visual Society : 시각문화와 미디어루키즘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선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연구에서는&#985168;Visual Society(V, Society)&#985169;연작의 형성 배경을 이론적으로 논하고, 또 작품을 내용과 형식적인 면을 통하여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의 작품 형성 배경으로 시각미디어의 기술혁신과 테크놀로지의 발달,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의 출현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 문제점들을 설명하고, 조작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와 매스미디어의 상호작용은 현대인들의 외모지상주의를 초래하였고 이것이 사회 전반에 허황된 욕망을 부추기고 있다고 본다. 또한 오늘날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소비와 정치 문화에 의한 악용의 부작용으로 더 심각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발생된 루키즘을&#985168;미디어루키즘&#985169;의 용어를 사용하여 매스미디어와 루키즘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또 여기서는 특히 루키즘에 대한 정의를 단순히 신체적인 부분으로 한정하지 않고 &#985168;겉으로 보여 지는 모든 것&#985169;으로 확대하여 허황되고 진실 되지 못하고 또 포장(包裝)이나 가식적인 일반적 사회현상으로 보고 있다. 다음에 작품분석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품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말하고자 하는 현 시대의 사회상을 표현함에 있어 내용과 형식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는 작품의 형식적인 면에서 항상 상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간이 태어나 처음 만나는 시각적인 매체인 모빌을 소재로 작품에 표현하여, 매스미디어가 우리들에게 획일적이고 허구적인 이미지만을 반복하여 수동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보이는 것만을 중요시 하여 포장되어지는 사회상을 파스텔 톤의 색감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또한, 본 연구자가 작품 표현에 있어 사용한 손으로 직접 프린트 한 실크스크린과 컴퓨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프린트의 두 가지의 대조적인 기법 또한 본인 연구에서 가장 주요한 특징이다. 디지털 프린트된 이미지들은 디지털 시대에 미디어가 낳은 조작되고 변형되는 허상의 이미지이고 실크 스크린 기법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들은 실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고 잘못되어가는 사회문화 현상들에 동감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으며, 대중매체가 왜곡되고 조작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무비판적이게 전파시켜 획일화된 미를 심어주고 있음을 꾸짖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이런 시각문화 속에서 올바른 주체의식을 가지고 자아실현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사실을 왜곡하는 객관성을 잃지 않는 바른 시각문화를 창출하는 바람을 서술하고 있다. This study takes a theoretical look into the formative background of the series &#985168;Visual Society (V, Society)&#985169;and analyzes and describes the work through its content and formal aspects. First, in chapter II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explain how the formative background of the piece comes from the emergence of digital images and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visual media, and point out the negative effects of misuse in the culture of consumer and politics today. In particular, I discuss how the interaction between mass media and digital images that can be manipulated leads to the appearance-oriented mentality in modern people, which is rousing empty desire in all of society. In this study, by using the term “media lookism” to refer to the lookism that has arisen through mass media I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lookism. Not limiting the definition of lookism to physical aspects but expanding it to refer to “all that is externally visible,&#985171;I address the general social phenomenon of empty, insincere“packaging&#985171;or pretenses. Next, in the analysis of chapter III,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985168;V, Society'&#985169;I consider the content and formal aspects in my, the researcher's, expression of present day society. One of the key formal features of my work is the use of symbolism. For the subject I use the mobile, the first visual medium that one sees after being born, as a metaphor to express how mass media repeatedly and passively shows us uniform and fictional images. Emphasizing that which is seen, I have used pastel tones to represent society which is becoming packaged. By using silkscreen print which is done by hand and a computer image, the use of two types of contrasting techniques in digital print is also the primary feature in the study. The images in digital print are manipulated, modified false images born out of digital age media, and the images made from silkscreen technique symbolize actual existence. Lastly, while through the series&#985168;V, Society&#985169;I want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share with those who agree with my view on the worsening of social-cultural phenomenons, in the conclusion, chapter VI , I rebuke the instilling of a standard of beauty by the uncritical propagation of distorted and manipulated images by mass media. Modern people must make efforts in order to have a right sense of independence and self-realization within visual culture and I hope for the creation of a proper visual culture that does not lose sight of objectivity that distorts truth.

      • The beauty of intellectual fusion

        Wolkowicz, Agnes Hongik University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내 작품을 동서양 미술의 역사적 혹은 관념적 전통이라는 맥락 속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논문의 의도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현대 미술을 특징지은 이론의 단점과 장점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성공적인) 예술적인 하이브리다이제이션(hybridization) 위하여 그것들의 본질을 추출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독작들은 내 작품의 시각적 분석에 대한 심층적인 관념에 대한 반문을 이 논문을 통해 하게될 것이다. 이것으로 나의 현재 학습 결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내 연습 과정 작업에 대한 결함을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미래의 발전을 위해 이러한 결함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글로벌 아트 시대에 작가들이 자기 시야를 관념적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넓혀야 한다. 차이를 제시하고 전후 사정을 관련시키지 못한다면 문화적 차이는 극복 할 수 없다. 글로벌 아티스트는 자기의 뿌리를 알아야 하고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한 편견 없는 마음이 필요하다. 문화 속 맥락에 기초한 예술의 이해는 예술 발전과 개발의 첫 단계이다. 첫 번째 챕터는 대학생활에서 만든 작업를 다루고 있으며 서양 예술의 이념적인 맥락에서 검토한다. 첫머리에 서양 사상의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두 번째 장에 개념의 본질을 내 작업에 적용한다. 두 번째 챕터에서 동양 이데올로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이론적인 프레임워크는 동양 미술 스타일의 포괄적인 분석을 위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내 현재 크리에이티브 실천에 적용된다. 이 논문은 동양의 사상이 내 작품에 얼마나 동화가 되며 이데올로기적 융화가 일어나는지를 보여준다.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of my artistic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art traditions of the West and East. It should not only highligh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heories informing contemporary art in Europe and Asia, but furthermore be seen as an attempt to extract their essence for a successful artistic hybridization. Therefore, the reader will be presented with an in-depth ideological cross-examination which informs the visual analysis of my current artwork. This enables me to critically evaluate my current learning outcome and identify deficiencies in my creative practice. Identifying these deficiencies is essential for future progress. In the age of Global art , an artist should not only broaden their horizons ideologically but also culturally.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is impossible if one cannot name and contextualize them in the first place. A global artist needs to know where she/he is coming from while at the same time needs to be open enough to embrace the differences of another culture. The acquired contextualization of one's artistic practice is the first stage of artistic evolution and development.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my artwork until graduating from university and examines it in the ideological context of Western art. In the beginning, I explain the general concept of Western ideology, whose essence is applied to my artwork in the second part of the chapter. The second chapter further elaborates on the Eastern ideology. It shall serve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yle of Eastern art. The findings are, in turn, applied to my current creative practice. This thesis shall show the extent to which the Eastern ideology has been assimilated into my artwork and whether ideological hybridization took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