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미를 응용한 조각작품 연구

        한오승 영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미를 응용한 조각작품 연구 한 오 승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소학과 조소학전공 (지도교수 황 태 갑) 작품의 제작은 그 사람만의 의식세계, 즉 성장하면서 접해온 환경에 따른 정서, 그리고 현재의 상황속에서 의식하지 않더라도 고스란히 작품으로 표현될 수 밖에 없는 톡특한 개성과 철학의 표현이다. 따라서 작품속에 많은 시간을 통해서 익숙해진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성을 표현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자연적 재료의 사용에 따른 특성과자연적 재료로 구성하여 표현되는 전통건축의 기법적 조형성과 구조적 조형성, 그리고 전통건축과 자연환경에 의한 공간적 조형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한국 고유의 조형성을 표현하고자 의도하는 본인의 작품에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성이 어떻게 조형되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 전통건축은 자연의 재료를 최소한의 가공으로 적용하였고, 간단한 하나의 구조로 출발해서 전체를 구성하면서 구조에 의한 개성있는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통건축은 주위의 자연과 조화되어 또 다른 확장된 공간에 의한 자연적 조형성를 드러내고 있었다. 전통건축이 이와같은 조형성를 내재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단기간에 걸친 건축물과는 비교할 수 없는 오랜 시간 동안 경험되고 습득되어 온 우리민족의 자연을 바탕으로 하는 미적 정서가 반영되어 표현되어진 행위로 해석된다.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미를 응용한 작품에 대한 본 논문은 한국 전통건축의 연결기법인 그렝이 법, 그리고 구조 자체에서 보여지는 정형과 비정형의 공유와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의 조화에 따른 조형의 묘미를 작품에 적용하여 분석해 보았고, 전통건축의 배경으로서 직접적인 구성 요소로 작용한 자연환경과 전통건축의 관계에서 유발되는 조형미를 응용해 보았다. 한국 전통건축은 자연과 하나로 어울려져 공유되어지는 조화속에서 전통건축의 공간은 자연을 전망하는 프레임이 되기도 하고, 자연에서 전통건축을 전망하는 프레임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공간들의 연결과정에 의한 환경과의 조화를 작품에 응용하여 적용하였다.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미는 자연의 재료를 최소한의 인공적 가공을 통하여 자연성이 살아있는 상태를 그대로 이용한다. 또한 환경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구성, 그리고 내부적으로 조율되는 공간구성으로 이루어졌다. 논문은 이러한 전통건축의 조형미를 작품속에 완숙하게 내재하는 연구로서 한국의 개성적 조형미를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M.A. Thesis Study of Sculptures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Formative Beauty Han, Oh-Seung Major of Sculpture Departmen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Yeo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wang, Tae-Gap Abstract Producing a work is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unique personality, philosophy, and his/her mental world which he/she have felt and developed emotions in surrounding environments. Therefore in my work I tried to express the formative beauty containe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amiliar to us in passing much time. I divide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eatures into 3 categories: First, the technical formative nature characterizing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Second, the structural formative nature characterizing the expression of such material. Third the spatial formative nature characterizing the traditional architect and natural environment. And I analyzed on how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ormative nature is formed in my work intended to express Korean unique formative natur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used natural materials in minimally processing them, and it started a simple structure and created unique spaces in the building's whole structure. Made in this way,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harmonized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revealed itself as a natural formative beauty by another expanded space. Essential reason for which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contained such a formative nature is interpreted as the action expressing our race's long-tome accumulated experiences reflecting our race's esthetic emotions based on the Nature, incomparable to any short-term completed building. Concerning some works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ormative beauty, this paper applied and analyzed the Greangyi technique, a connection technique using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and the formative subtle beauties according to the share between the typical and the atypical, the harmony of open space and closed space to the works. Also concerning the traditional architect's background, this paper utilized the formative beauty created from the relationship of natural environment and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which influenced on the traditional architect as a direct component. In the harmony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and the Nature, the spa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became not only a frame reviewing the Nature scenes, but also the frame reviewing the architect from the Nature scen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works utilized and applied the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through such a procedure connecting space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ormative beauty is created from its way emphasizing each material's na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minimal artificial process. Another feature can be found in the space organizati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structure is organized the space to shar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pace to be adjusted inside. As a study maturing such Korean traditional architect's formative beauties in works, this pepr became a chance to discover Korean unique formative beauties.

      • 가상현실적 이미지 재현에 관한 작품제작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양찬제 중앙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예술은 과거의 관념적인 시각에 의한 폐쇄적인 조형공간에서 탈피하여 개방과 의식의 확장을 통한 열린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의 재현과 가상현실감을 이용한 표현방식이 본인의 작업 과정을 거쳐 전개되는 양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가상의 공간을 실재의 공 간으로 표현하려는 노력은 근간에 들어 예술을 포함한 사회 전반의 각 분 야에서 활발히 전개되어지고 있으나 그 전개과정에서부터 새로운 대안으 로 자리하기도 전에 비인간화로 인한 문제점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계문명의 무분별한 추종은 가상현실감을 통한 다양한 분야의 발전 가능성을 디지털 코드에만 집중시키는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본 논 문은 이러한 가상현실감의 일방적인 오류를 피하고, 가상현실감이 포함하 는 전반적인 의미의 해석을 통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재현방식으로 새로 운 전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서 발표된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 을 인용하여 가상현실적 재현이 국내에서 전개되는 상황과 이를 표현하는 다른 작가들의 제작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에 등장하는 작업들은 ‘사람’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본인의 작품 을 중심으로 가상공간의 대안과 실재의 재현에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앞으로 전개되어질 가상현실감을 이용한 예술표현의 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art is changing from the closed plastic space which is mainly in the conceptual view of the past to the open space through an opening and expanding of the consciousness. My research analyzes the process that I have expressed by my work in the representation of real-life and the sense of virtual reality. The efforts in expressing the real world derived from the imaginative space are presented actively in our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art field. However, even before the new alternative proposal was settled down, the inhumanity had become an issue. The servile following of the machine civilization without any sense of knowledge can lead people to serious misunderstanding in digital code instead of the high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various art field. This study will show a new standard through several representative methods which are from the interpretation of whole meaning of the sense of virtual reality as well as will try to avoid the prejudice about the virtual reality. This study would make the comparison and analyzing the producing methods of the other artists and also make the comparison and analyzing the proceeding situations of virtual reality in our country through quoting from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This thesis propose the alternative plan and a representation of reality toward virtual reality by my pieces mainly titled "Human" I hope my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artistic expression in the sense of virtual reality.

      • 소통으로서 물고기의 상징 작업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연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예술은 현재의 사회적 요인과 함께 우리가 속하여 있는 사회 안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체험하면서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가치관을 바탕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오늘의 인간은 물질적인 풍요로움으로 인하여 정신적인 자유를 누리고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급속한 산업의 발달로 제도와 조직에 의하여 기능인의 모습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인간심리의 특성은 사회조건과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의 한 부속으로서의 자신과 인간 본질로서의 자신의 이중적 구조 속에서 갈등과 소외, 자아상실 등의 위기의식과 양식, 진리가 부재 된 일상 속에서 공허감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이것은 어떤 ‘이상성의 추구’라는 소박한 욕망을 떨쳐버리지 못하는 기대에서 오는 좌절감일 것이다.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는 진화의 과정을 겪고 당연히 더불어 환경변화, 가치, 주변의 변화를 겪는다. 그러나 문제는 그 과정 속에서 상호간의 변화의 폭과 속도는 불일치하고 그 안에서 문제는 비롯된다. 인간들에게 여유라는 말이 한낮 꿈으로만 여겨진다. 점점 한 부속으로서 자리 굳히기 위해 경계하고 촉각을 곤두세운다. 문명의 폭력성에 적응하는 인간을 포함한 개체들 생명의 수동적인 생명력에서 나는 존재 가치의 하락에 대한 위기 의식과 아픔을 느낀다. 본인은 이러한 주제 의식을 현실 비판의 메시지 표출이 아닌 물고기를 상징화하고 은유를 통해 의식적으로라도 필요한 무언가의 여유를 담아내고자 한다. 한국의 집에는 마당이라는 공유의 공간이 있었다. 담은 낮아서 안이 훤히 들여다 보이고 창문이나 대문은 자기 공유의 영역이 배타적 확인이라기 보다는 상호 융통과 호흡을 특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우리 음식문화의 다양한 용어들 가령 우려내고 고아내고 삭히는 문화는 이질적인 것의 상호 교섭과 그를 통한 맛의 창조로 특징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본인 작품의 기초로 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업이 많은 신의 창조물 중에서도 특히 본인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바로 ‘물고기’였다. 그들의 다양한 생김새와 색채의 독특함은 물론이거니와 그리스도교 신앙안에서의 물고기가 상징하는 신학적인 의미의 중요성과 불교에서 말하는 방생의 상징, 전통 한옥의 헛간에서 풍요와 치유, 기복의 상징으로서의 목어 등은 본인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우리들은 물고기란 단어가 물+고기의 합성어로서 물과 관련하여 그 뜻이 조건 되어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물고기와 그들의 삶의 공간인 ‘물’은 우리가 속한 ‘뭍' 의 세계처럼 또 하나의 축소된 우주를 보는 듯한 감흥을 안겨준다. ‘물’은 물고기가 숨을 쉴 수 있는 대기이고 우주이며 양식을 제공해 주는 <생명력이 내재된 공간>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모태의 양수 속에서 출발한 우리 인간에게도 물은 생명의 근원지요, 생명력의 경이로움을 제시하는 상징으로까지 여겨진다. 본 논문은 ‘물고기의 꿈’이라는 주제의 작품들의 이론적 정립을 위해 연구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현대사회의 구조적인 현상으로 인한 인간의 심리를 나눔과 헌신 등의 상징을 내포하는 물고기에 이입하고 사진의 프린트와 오브제를 통해 인간심리와 인간내면에 잠재된 이상으로의 회귀에 대해 재가해보고 의식을 고찰하여 상징적 조형언어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 사유할 수 있었으며 본인의 작품 성향에 폭넓은 표현양식과 창작영역의 확대를 체험하였다. Art is a kind of expressions based on the values, which are forme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while people think, feel and experience in the society they belong to. Though human beings of the present time seem to be enjoying spiritual freedom for material richness, they are degrading gradually to functional appurtenances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Human beings in the current social structure have been forced to have a dual self, namely, a self as belongings of social situation for adaptation to it and a self as a human nature itself. And they experience such the sense of crisis as conflict, alienation, loss of self and emptiness in the daily life in which the truth is absent. The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y be named frustration from guess that there are no much chance of accord between 'the pursuit of ideal' and 'the adaptation to realities'. All organisms including human beings naturally experience changes of environment, values and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evolution. However, problems come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width and pace of mutual changes. A word of 'mental relaxation or composure', for human beings, is but a dream. In order to make their position as a belonging stable they have to be on the alert continuously. For the passive vitality of individuals including human beings which are being adapted to the violent civilization, I feel a sense of crisis and pain for a downfall in existential values. With this subject, the present writer intends to represent consciously some kinds of composure people desire through symbolizing fish and using metaphors rather than expressing massage of the criticism toward the realities. There was a shared space of 'Madang' in Korean house. The wall was low enough to look into the inside with ease. Windows or gate can be understood as means for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inside and outside rather than exclusive re-affirmation of one's own shared domain. Additionally, the various food culture of Korea, for example 'soaking(우려내기)', 'boiling down(고아내기)' and 'causing to ferment(삭히기)', have characteristics that the different materials are blended together harmoniously and create a new taste as a result. The present writer makes this mechanism a foundation of my works. Among a number of creatures of God, it is fish that attracted the present writer's interest. It is enough to fascinate the present writer that fish has not only a variety of shapes and unique colors but importance of theological eanings in the Christianity, implication of setting free in Buddhism, and sandfish placed in a bar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as a symbol of the richness, cure and prayer for good fortunes. We can understand with ease that the Korean word of '물고기(moolgoki-fish)' is a compound word '물(mool-water)' and '고기 (goki-animal)' and the word of 'goki' has a meaning of fish only when it is spoken with the word of 'mool'. Fish and 'water' as their life space and another small universe give similar impressions with those from people and 'land' they belong to. 'Water', for fish, is an atmosphere and universe where they can breathe in and 'a space with vitality' offering food to them. Furthermore, for human beings whose life is originated in amniotic fluid within mother's womb, water is the origin of life and is considered as a symbol of vital marve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explanation theoretically for works with theme of 'the dream of fish'. In those works, the present writer imports the human mind comes from structural changes in modern society into fish symbolizing sharing and self-sacrifice. The present writer contemplates the latent desire of 'return to ideal' in the inside of human mind and then expresses it through symbolic formative arts, namely fish made of paper and then printed photo image on it and objet d'art. By this study, I was given good opportunities not only to speculate about human nature in modern times but also to develop new expressional styles in my idiom and to extend limits of my creativity.

      • 소통의 장(場)으로서 현상화 하는 물(物)에 대한 작품제작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나점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If we say Marcel Duchamp shows a possibility of an art as an manner from as a medium, Joseph Beuys has the art have a meaning of direct communication by broadening its meaning from a manner into a field of living. However, our civilization is recognized as a cause of bringing a chaos in life phenomena while modern society get our earth and world, fields of direct communication, to dash into narrow rationalistic project. The art of a communication seems to be in a situation agonizing why not how any more. Under the above recognition, I got to have interests in physical matters becoming phenomena of a field of communication. Then I realized that the things which is confined in the relationship of existence are connected with symbolism heading to creation from existence. As a way of looking over my interests regarding the value of physical matters becoming phenomena, I unfold the issues of existence and values based on nature view of an organized matter and our outlook on the world of oriental medicine Then I tried to interpret the value of physical matters becoming phenomena as a symbolism and breath of temperature. This is for observing the changes from the smallest cell to the whole body that are continuously connected with our world as an integrated breath. It means that the physical matters becoming phenomena are working as a symbolic passage. So physical matters of symbol as a passage are not a combination of simple matters but a cradle of manifesting a spirit that has its existing value as a field of poetic awakening. There this graduation thesis explaine the life as a code comnected with symbol of physical matters becoming phenona 뒤샹이 예술을 매체에서 태도로의 가능성을 열었다면, J 보이스는 태도에서 삶의 장으로 그 영역을 넓힘으로서 예술을 삶에 있어서 직접적 소통의 의미를 갖게 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직접적 소통의 장(場)인 세계와 대지를 협소한 합리주의적 프로젝트를 향해 질주시키는 동안 문명의 다른 한편은 그 균형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며, 소통으로서의 예술은 다시금 “어떻게” 에서 “왜”를 고민해야 할 상황에 놓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인의 관심은 “소통의 장으로서 현상화 하는 물(物)”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물(物)의 해석을 통해 존재 연관 속에서 유폐되어졌던 것들을 존재에서 생성의 의미의 토대성을 다시 읽어 나가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상화 하는 물(物)의 가치에 대한 본인의 관심을 조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의학(東醫學)적 세계관과 유기체적 자연관을 토대로 존재와 가치의 문제를 전개하였으며, 그러한 해석을 통해 현상화 하는 물(物)의 가치적 측면을 temperature의 상징성과 호흡으로 해석 하고자 하였다. 이는 가장 작은 단위의 세포로부터 몸에 이르는 변화현상이 끊임없이 세계와 관계하고 있는 통합적 호흡임을 조명하고자 함이며, 물(物)의 현상함이 생명현상의 상징적 통로로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통로로서의 상징인 물(物)은 단순물질의 집합이 아닌 정신을 발현시키는 모태(母胎)로서 시원(始原)의 기억을 담지한 시(詩)적 환기(喚起)의 장(場)임으로서 재인식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상화 하는 물(物)의 상징성을 통합적 생명현상의 연결고리로 해석하고자 한다.

      • 현대미술에 수용된 키치연구

        김종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복잡하고 다양화 된 산업 사회의 구조 속에서, 미술은 이제 어느 것이 미술이라 단정지어 말할 수 없는 그런 시대에 봉착한 것이며 대중적인 것이 하나의 힘으로 지배되는 오늘날의 사회에서 관객이나 대중의 힘은 날로 커져만 가고, 예술가는 예술의 주체에서 멀어져 가고 있으며, 기존의 미술이 배척하고 통속적인 것으로 치부했던 것들로부터 이제는 미술이 배척 당하고 있는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대중문화나 키치적 요소들은 대중들에게 가장 현실성 있게, 가장 빨리,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예술품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키치는 예술에 국한된 개념이기 보다 사물과 인간이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보여주는 인간 존재 방식의 유형이기도 하다. 특히 현대 소비 사회에서 타자에게 읽혀지기를 바라는 하나의 기호로서 작용하는 이러한 소비의 대상인 키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현대 미술에 수용되고 있으며, 그것이 가진 대중적 특징들로 인해 쉽게 이해되고 빠른 속도로 수용되고 있다. 또한 현대 미술에 있어서 키치는 조악하고 통속적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고급 미술과 저급 미술에 경계나 분리를 소멸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으며, 대중 매체 발달에 따른 시각문화 현실이 순수미술에 대해 우위를 점하는 조건 속에서 비롯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키치와 키치 세대의 출현은 문화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현대 미술 속에 내포된 키치의 특성과 대중예술과의 관계 속에서 키치 미술이 지역별로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어떤 작가들이 있고 어떻게 키치가 표현되는지 알아보고, 키치미술을 통한 앞으로의 미술을 조망하고 어떤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키치미술이 지향해야 할 바를 가늠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