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쟁해소와 평화구축을 위한 비 정부 기관들의 역할과 기여 : 캄보디아 내전을 중심으로

        박정은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59

        ‘국제분쟁’이라는 말은 정보망이 발달되어 있는 요즘 시대에 정보 매개체들을 통해 흔하게 접하게 되는 단어이다. 이 매개체들을 통해 각각의 나라들 사이에 일어나는 분쟁들이 최근 더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냉전시대 이후, 각 나라들은 자기 나라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서는 전쟁을 불사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빠른 경제성장과 급속도로 퍼지는 정보화의 영향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작은 지엽적인 분쟁으로 보였던 문제들도 국제적인 분쟁으로 커지는 일이 많고, 그 일례로 2003년에 시작되어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많은 나라들이 개입하게 되어 지금까지 종식되지 않은 이라크 전쟁이 그러하다. 국제적 분쟁들은 개 개의 나라들 사이의 문제들로 생기기도 하지만, 서로 다른 종교 관, 지역 패권, 윤리, 그리고 경제문제 등이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분쟁의 원인이 시발점이 되어 또 다른 문제 해결을 위한 계기가 되기도 했다. 즉, 환경 문제라든가 농업 발달, 인권문제, 여성문제, 구제활동과 같은 국제적 이슈들이 국경을 뛰어넘는 국제 기구가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비 정부기구는(NGOs)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제 우리는 이 비 정부 기구들의 늘어나는 숫자와 다양한 활동들을 세계적인 범위에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지난 20년 동안, 인권 주장, 여성 탄압 억제, 발달 기구 개발, 구호 활동, 토착민들의 주권 향상 등 정치적 분야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활동을 해 왔다. 비 정부 기구들 (NGOs)은 국제적인 문제들을 다루는 많은 국제활동가 중 하나로서, 자선활동을 하는 기관이나 자원봉사 단체일 뿐만 아니라 국제 정부 기구들과 평등한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분쟁이 있는 지역에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비 정부 기구 (NGOs)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 분석하고, 좋은 모범이 될 수 있는 비 정부 기구들을 분석하여 신생 기관이나 역사가 길지 않은 비 정부 기관들에게 효과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분쟁이 있는 지역으로는 내전으로 인한 고통과 후유증이 아직도 계속 되고 있는 캄보디아를 중점으로 연구했고,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비 정부 기관들로는, 지역 내에서 활동하는 국내 비 정부기관과, 국제적인 조직을 갖추고 특정지역을 후원하고 국내 비 정부기관과 협력하는 국제 비 정부 기구(International NGOs)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예로, 캄보디아에서 활동하는 WGWR(Working Group for Weapons Reduction)는 국내 비 정부 기관의 대표로, OXFAM은 국제 비 정부기관의 대표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물론, 비 정부 기구들(NGOs)이 정부의 개입을 받지 않는 독립된 기구이지만, 비 정부 기구들에게 큰 후원자 역할을 하는 UN이나 World Bank와 같은 국제기구를 간과하고 넘어갈 수 없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국제기구와 비 정부 기구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제분쟁과 평화구축을 위해 두 기구가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또한 비 정부 기구들이 어떻게 경제적인 지원과 다른 후원들을 얻기 위해 다른 국제 기구들과 협력해야 하는지를 논의했다. 비 정부 기구들이 독립된 기구로서 국적이나, 인종차별, 종교적인 구별 없이 도움이 필요한 곳에서는 구호(relief)와 개발(development)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지만, 이러한 활동을 하기에는 경제적인 면에서 한계점이 더러 있다. 그래서 그들은 UN이나 World Bank와 같은 국제기구나 각 국가들의 정부와 구체적이고 확실한 협력을 해야만 그들이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구와 조직들이 어떻게 서로 협력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관계와 활동들이 신생 비정부 기구들(New NGOs)에게 좋은 모범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앞으로의 활동에 귀감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해 준다. It is common for the term ‘international conflict’ to be often encountered because it is easy to get all kinds of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system. The cases of conflicts among nation-states have recently been raised. After the Cold War ended, each nation-state wanted to take advantages for its own sake, caring less about what it takes and even going to war. This has happened because of rapid economical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spreading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systemization, and it causes another problem nowadays. International conflicts not only happen among nation-states, but also are caused by different view of religions, struggling for regional hegemony, ethnic, and economy. Also, global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 grassroots developments, human rights, woman’s issues, and relief assistance have become global agendas that transcend nation-state boundaries. NGO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society. Now we can see their increasing numbers and various activities in the global scope. Especially during the last 20 years, human right advocates, gender activities, developmental aids, groups of indigenous people and representatives of other defined interests have become active in the political areas. As one of the global actors, which deal with global issues, the NGOs are not only charitable organizations or volunteer groups, but they are also an equal partner in global gover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activities of NGOs such as WGWR and OXFAM for conflict resolution, and to present how they have contributed towards peace-building in conflict-torn areas. Even though most NGOs are independent groups, we cannot ignor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 and the World Bank as a big support group of NGOs. Thu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NGOs and IOs in conflict resolutions and peace-building, and will also explain how NGOs and IOs cooperate to achieve peace-building. Then it will suggest new NGOs, which would have a dream to build, to get lessons about how and what things they have to develop from a role model NGO like OXFAM.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how NGOs should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funding and getting other forms of support. Although NGOs have helped the region which requires relief and development wherever help is needed regardless of nationality, race and religion, they have limitations in operating their works in conflict situation. Thus, they definitely need to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UN, the World Bank, and nation-state government. This paper presents how these organizations have cooperated with one another.

      • 强壓戰略 手段으로서 航空力의 有用性 評價

        李聖烈 淑明女子大學校 國際關係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1727

        국제정치무대의 主행위자인 주권국가들은 상호 양립 할 수 없는 목적과 이익을 추구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갈등의 상황에서, 자국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상대방의 行態에 영향을 미치려고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 국가들은 가장 바람직하고 평화적 수단인 외교적 교섭으로부터 폭력의 대표적 형태인 무력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단을 구사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군사력을 국가안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국가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個別國家들의 군사력 사용은 누가 정당한가를 판별하기에 앞서 번영과 위신, 안보 등을 위한 국가간의 경쟁속에서 누가 우위를 차지하는가가 더욱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어왔다. 나아가 군사력은 국가안보를 위한 최후의 결정력인 동시에 국제관계에 있어 非군사적 수단에 의한 영향력 행사의 잠재력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제사회에서 군사력이 허약한 나라가 외교협상에서 우위를 점유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앞으로 세계가 급진적으로 변화되어 主權國家體制가 아주 상이한 국제질서로 대체되지 않는 한, 군사력은 계속적으로 국제정치의 핵심적 부분으로 남게 될 것이다. 强壓戰略은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무정부주의적인 속성에서 오는 국가간의 갈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충돌을 평화적으로, 또는 폭력적으로 해결하는 중간단계에 속한다. 强壓理論의 선구자인 「토마스 쉘링」과 「알렉산더 죠지」는 “강압이란 표적국에 의해 진행중인 행동을 중지시키거나 이미 취한 행동을 원상회복토록 설득시키기 위해 전쟁과 평화의 회색지대의 범주내에서 응징의 위협 또는 제한된 군사력을 운용하는 전략”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강압전략에서는 군사력을 직접적이고 파괴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선별적이고 융통성있게 제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군사전략과 비교해 보았을때 적은 비용으로 자국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탈냉전이후 현대 국제관계에서도 종래의 無政府的인 국제질서는 변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더욱이 枝葉的인 국가이익을 놓고 벌이는 地域國家간 대결양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혼돈기의 국제정세에서 個別國家가 생존권을 유지하고 크고 작은 국익을 수호하기 위한 최후의 카드는 군사력 밖에 없으며, 국가간의 외교정책 수행을 위한 도구로서 군사력의 강압적 사용요구는 더욱 거세어 질 것이다. 걸프전과 코소보전은 탈냉전 이후 미국주도의 세계질서를 재편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국지적인 분쟁을 해결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과학기술의 발달에 영향을 받은 첨단 항공력의 비약적인 성장이 강압전략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두 전쟁에서 강압전략이 수행된 과정을 통해 항공력의 역할과 강압수단으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범위에 있어 이론적 배경으로는 토마스 쉘링과 알렉산더 죠지의 강압이론을, 전쟁사례중에는 걸프전과 코소보전을 선정하였으며 군사력은 항공력으로 국한하였다. 아울러 연구방법으로는 각종 문헌조사와 함께 선행연구자들과의 토론을 병행하였으며 본 논문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전쟁을 통해 확인된 현대의 첨단 항공력만이 갖고 있는 여러가지 장점들은 오늘날 다양한 군사전략 환경하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節制된 火力使用의 원칙을 지키고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타격능력을 제공해 준다. 둘째, 항공력은 원거리 작전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수단으로는 할 수 없는 표적들을 파괴하며, 지원시설이 충분하여 전투지원이 제한되지 않는 기지로부터 이러한 공격임무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셋째, 표적보다 높은 곳에서 빠른 속도로 작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敵 영토 깊숙한 곳에 위치한 표적들을 선별적으로 정밀공격 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이유로 인해 항공력은 국가가 강압전략을 수행해야 하는 위기상황에서 정치적 요구를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最適의 手段이 된다. 필자가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강압이론의 가장 큰 맹점은 강압전략 수행의 마지막 단계인 군사력 사용방식에 관한 의문이다. 本文에서도 여러차례 강조하고 있지만 강압의 행사는 위협의 행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위협 그 자체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때 비로소 제한적이고 점진적인 타격을 실시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견해로는 일단 군사력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정치적/군사적 목표는 한계를 설정하더라도 사용방식은 漸進的(gradually)인 타격보다는 신뢰할 만한 군사력을 決定的(decisive)으로 운용하여 짧은 시간에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걸프전, 코소보전의 군사력 운용방식을 상호 비교해 보면 이해가 보다 쉬워진다. 걸프전에서 다국적군은 대규모 군사력을 결정적으로 운용하여 단기간내에 승리를 거둔 반면, 코소보전에서는 공습의 강도를 점진적으로 높여가면서 상대를 압박한 결과 단기간내 강압효과 달성에 실패했다. 이렇게 볼 때 강압전략 수행을 위한 바람직한 군사력 운용은 단기간내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항공력을 이용하여 상대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가하는 동시에 순응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olicy Conflicts between china and International NGOs in the Process of the Three Gorges Dam Construction Project

        오은주 숙명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51727

        The tremendous growth in the size and number of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s a widely recognized and it is also the most visible phenomenon in the recent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With the emergence of global ecology, many environmental issues are seen as beyond the traditional scope of national governments. But, governments are still lagging behind in their responses, and this transnational political space has been occupied by corporations a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ereafter, INGOs) which can cross nation-state boundaries more readily. Despite the increasing political importance of the INGOs in the global politics, INGOs remain one of the most unstudied subjects. The reason for this is partly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INGOs itself. To conceptualize the INGOs as one word is far beyond the easy matter concerning the variety of their purposes, sizes, political characters, geopolitical origins, as like the variety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y involved. But with the same reason, INGOs are worthy to study as the most noticeable phenomenon in th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Actually, INGOs have involved with the various international and internal political factors, so they have many fields to watch over. Even from the ongoing study of conceptualizing the INGOs, to the structure of the INGOs itself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various internal and international actors must be overviewed. Also, the case studies of the INGOs field-works are needed. This paper basically purports to provide the case study of INGOs field-work on the issues of the Chinese Three Gorges Dam Project, which is the world biggest dam construction involving the environmental conflict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INGOs. Additionally, it concludes with the prospect of the role of the INGOs in th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through the case study. 국제 환경협력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국가간의 협력은 아직 별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한 반면, 유엔환경계획 (UNEP) 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국제 비정부 단체(INGOs) 들은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을 촉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국제기구는 1972년 리오회의 (Rio Conference) 이래, 꾸준히 국제 환경문제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 시켜왔다. 비정부환경단체의 교육 및 홍보를 통한 환경문제 참여 및 의제의 설정, 정책형성에의 참여는 특히 그 발전이 눈에 띄는데, 오늘날에는 그 영향력이 국가적 수준 및 국제적 수준의 정책결정에까지 이르고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정부는 한계성을 지닌다. 산업활동에 대한 잠재적 제한 및 환경보호활동에 드는 단기적 경제비용 등의 이유로 정부들이 환경보호에 적극적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비정부 환경단체들은 건전한 환경정책의 추진과 정부에 대한 효과적 로비활동을 위해 과학과 정보교환 등 정부 및 각 국가들이 소홀히 다뤄온 분야를 연구하고 이를 대중적 관심의 영역으로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비정부 단체에 대해 정부 및 국가들은 알 권리와 환경관련 정책결정에 참여와 자문의 권리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각 정부 및 국가, 국제적 정부간 조직과 국제비정부단체들이 상호관계를 가지고 지구환경문제의 행위자로 등장하자, 각각의 관계에 있어서의 법적인 지위 및 역할과 권한의 한계 등이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비정부 민간단체의 급속한 성장과 다양한 활동 및 국제사회의 영향력이 실제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문적 접근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급성장하고 있는 국제환경정치의 행위자로서의 국제비정부단체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그 활동과 역할을 되새겨 보며, 최근의 사례인 중국의 삼협댐 건설과 관련한 중국 정부와 국제비정부단체의 입장 및 그 갈등 양상을 살펴보면서 국제 환경정치에서의 국제비정부단체의 역할과 활동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 케냐 NGO와 여성 인권

        안진선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se days the majority of people in Africa are suffering from drought, poverty, starvation, diseases, and conflicts among tribes. Most of all, women especially undergo awful difficulties in African countries. Even though they contribute to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they are discriminated, and marginalized in their societies. In the 1980’s, the importance of women’s rights as human rights appeared in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the movement for women’s rights. The issues for women’ rights were discussed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on women from the Decade as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EDAW) to the 7^(th) African Regional conference on Women Africa (Beijing+10). Especially, the 3^(rd) world conference on women held in Nairobi, Kenya in 1985 has paved way for women’s rights in Kenya and other countries in Africa.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NGO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forms for women’s issues cooperated with governments, private sectors, reg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y are expanding their roles in women’s affairs in international society. As Dr. Wagari Maathai won the Nobel Peace Prize in 2004, the activities and roles of NGOs in Kenya were aroused in international society. It was the first prize awarded to a lady in Kenya and African countries as well as to NGOs making efforts to enhance women’s rights in Kenya. She has been leading environmental campaign “Green Belt Movement” to improve women’s rights in Kenya for 30 years. The movement has influenced the national development in Kenya and other African countries. Ultimately, in my thesis, I have studied characteristics of NGOs in Kenya doing their endeavors to increase women’s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 have achieved roles and limitations of NGOs, and put forward suggestions as how NGOs can enhance women’s rights in Kenya more and more in the future. 아프리카 대륙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뭄과 빈곤, 기근, 질병, 종족간의 분쟁으로 고통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아프리카 여성은 더욱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부장적 전통 사회와 식민지 시대를 지나, 국가의 독립을 이루기까지 아프리카 여성은 국가 발전에 기여하였으나, 정치와 경제, 교육, 문화 등 사회 전반적인 면에서 그 역할과 중요성은 평가절하되고 있다. 1980년대 여성 인권 운동을 통해 여성 권리의 중요성이 국제 사회에 대두되면서, 여성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은 CEDAW와 NGO 포럼등 국제 회의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특히, 1985년 여성 인권의 중요성이 최초로 언급된 제 3차 세계 여성 회의가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서 개최되었다. 나이로비 국제 회의를 통해 케냐 및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나라와 국제 사회에 여성 권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각종 국제회의에서 NGO는 빈곤 퇴치와 교육, 경제, 의료, 정치 등 사회 전반적인 면에서 정부와 민간 부문, 지역 기구 및 국제 기구와 협력을 바탕으로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국내 및 국제 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영향력은 점차 증대되었다. 끊임없는 NGO의 노력은 2004년 현 케냐 환경부 차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왕가리 마타이 여사가 아프리카 여성 최초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됨으로써 아프리카 여성의 인권과 NGO 활동은 주목 받게 되었다. 마타이 여사는 30년간 환경 단체인 그린 벨트 운동 (Green Belt Movement)을 통해 케냐 여성의 인권 증진과 국가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노벨 평화상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또한, 케냐의 NGO가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국제 사회에 인식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소외되고 차별 받는 케냐 여성의 권리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NGO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역할과 한계를 진단하고자 한다. 또한, 케냐 여성의 인권이 더욱 증진되기 위해서 NGO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통합 독서토론논술 프로그램 연구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711

        Este estudio fue comenzado desde las escenas donde se producia las ensen´anzas y por necesidad de lograr un mejor entendimiento de las sociedades internacionales. Como debemos de interpretar la sociedad internacional? Para responder a la pregunta "Que relacion de viceversa tiene con nuestra cultura?" tuvimos que aplicar un principio de ensen´anza internacional, y para este objetivo necesitamos un proceso de ensen´anza con la cual el programa este basado en una literatura conjunta. Para el logro del objetivo fue necesario hacer un estudio basado en la literatura. Primero: investigar que puntos son necesario para el entendimiento de una sociedad internacional, y en base a este entendimiento aproximarse y examinar en la forma de educacion que se aplica. Segundo: comparacion entre el entendimiento en Corea sobre la educacion internacional y el entendimiento en el exterior sobre la educacion internacional. Tercero: necesidad de una enfasis con un programa prolongada, con sucesividad y realista para el mejor entendimiento de la educacion internacional. Segun Asia-Pacifico Internacional Educacion constuyeron un programa en base a la lectura y dialogo con su correspondiente nivel de ensen´anza. Logros de acuerdo a estos estudios son las siguientes: Primero: el estudio del entendimiento de una educacion internacional fue comenzada desde una perspectiva mundial. Al establecerse la vision segun la cultura del pais correspondiente este programa de educacion fueron sucesivamente desarollandose. Segundo: el estado actual del entendimiento de la educacion internacional en Corea se a presentado en interelacion de material con una practica de esta misma a su ves. Tercero: para el entendimiento de una educacion internacional se requiere de una estrategia en la coal se base el programa en una educacion aplicable y a su ves divididos en pasos. Cuarto: para el entendimiento de la educacion internacional se aplica una forma conjunta de lectura y debate en la coal se sobre entiende que es un programa que incluye el entendimiento y los cambios de la conducta. Con los estudios mencionados anteriormente se ha llegado a una conclucion las cuales son las siguientes: Primero: la educacion de entendimiento internacional debe ser hecha en el lugar de la ensen´anza y tener una sucesividad. Segundo: para el entendimiento sucesivo y desarrollo de la enducacion internacional tiene que abarcar una aproximacion sucesiva de la cultura y a su ves tener encuenta los cabios de cada cultura. En base a esto se debera lograr un ego con su identidad propia. Tercero: el objectivo de esta investigacion es la unficacion del Programa Literatura y Debate, en base a esta y una lectura lograr el entendimiento de las culturas, obtener informacion y estar al tanto de los cambios de la sociedad. Y con los debates se pueden lograr una mejor relacion entre las personas y ampliar la socialibilidad de uno, por ultimo con la declacion se logra una solidificacion y un claro proposito en la cual se desarrolla en una actucion en el entendimiento de la educacion internacional. 본 연구는 국제 사회 이해를 위한 교육 현장의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국제 사회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우리에게 상호의존성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국제이해교육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을 단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으로서 통합독서논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첫째, 국제 사회를 이해하는 주요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의 국제이해교육 상황과 외국의 국제이해교육 상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국제이해교육에 있어서 실천적 전략을 위한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제시한 학교등급별 국제이해교육 체계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 통합 독서토론논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이해교육은 세계관을 바라보는 관점 설정에서 시작되었다. 교육에 대한 관점이 설정되면 각 국민국가의 특성에 따라 이를 조정하고 변화 하여 발달해 왔다. 한국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 국제이해교육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의 한국 현황은 학교 장면에서 재량 학습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셋째, 국제이해교육을 위해서는 실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통합 독서토론논술 프로그램은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이해교육은 교육 현장에서 단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단계적 접근은 다문화 차이를 인식하고 동질감을 얻는 형태로 발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화 속에서 건강한 자아 정체성이 함양 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의 목적인 통합 독서토론논술 프로그램을 통해, 독서 활동을 하여 보다 다양한 사회에 대한 정보를 얻고 사회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토론 활동을 하여 대인관계 향상과 사회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논술 활동을 하여 실천적 의지를 다짐하고 행동하는 국제이해교육이 실현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a few questions, upon the very grounds of which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societies took place. In what way must one comprehend the international society? What does the term interdependence mean to us? As means to respond,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ill be introduced which, will successively initiate a development of a Unified Reading and Writing Program, as a strategic, step-by-step program made to encour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research was done through literal text. First, major grounds on which international societies were generally understood were explored, and from its results, the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eties were also approached and evaluated. Second, th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Korea and that of foreign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the need of a long-term, step-by-step educative program, as a practical strategy, to enforce the Education forInternational Understanding, was emphasized. Moreover, a unified, subject-centered program of reading, writing and debate, was organized, based on the Systematic Chart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Schools of Different Levels, provided by the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point used to inspect that of the worlds'. When a viewpoint upon education is established,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made according to the specifics of individual countrie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 is such that it's rapidly becoming a part of individual or group study courses. Third, for obtain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strategy is necessary. Fourth, the Unified Reading and Writing Program, for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ill require change of perception and reaction. Conclusions drawn from abov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st be constructed at the actual site of education, strategically. Second, the strategic approach for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st be able to developing to a form that will perceive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but also able to obtain similarity. In reference to this, a healthy ego should possibly be cultivated in the current build up of International societies. Third, throug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 subsequent unified program,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hich, by perceiving the changes in society and receiving useful information through reading, improving one's social and communicational skills through debate, determining actual practice through writing, should be realized.

      • Challenges for the EU'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fter the '9/11 Incident'

        최윤미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 Sookmyung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It was a long wish for the Europeans to establish supranational institution through which the Europe can speak out and act as one in world stage. Being surrounded by unexpected and uncertain external environment, the voice that the EU should reinforce it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has been increasing, and discussions on the CFSP have regularly been put out on the table since 1950s.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able to achieve distinguishable development, largely due to the sensitive nature of this policy; the concept of foreign and security, which are the most salient issues for each of Member States. This thesis purports to examine the European Union’s promotion of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d consider new challenges now CFSP has been seriously confronting since the ‘9/11 Incident’. In the first chapter, this study will retrospect on the progress of the CFSP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FSP. The second chapter, then, examines practical evidences which evidently emerged after September 11th. This chapter will analyze aftermath of the ‘9/11 Incident’, broadly dealing with two consequences in terms both of external and internal relations of the EU; for external relations, this thesis focuses on the transatl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EU and the US, and for internal relations, this study will discuss the reality of the EU, which turned out to be oscillation and cleavages among the Member States on the CFSP. The third chapter presents new challenges which the EU is confronting and continues to discuss how will the EU cope with upcoming challenges of the CFSP for the future. Every issue discussed in all three chapters will be combined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EU, surrounded by various political cultures and different interests of each Member States, provides the prime example of how supposedly egoistic states can create a sense of common purpose and act as one. The EU has been increasingly expected to be a crucial global leader who can balance the world power and facilitate the global peace and security. In order to achieve more enforced and unified Europ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global peace and security, the EU has to further strive to develop CFSP. 유럽 각국의 의견을 대표하여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통일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초국가적인 기구의 설립은 유럽인들의 오랜 바람이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냉전의 종식, 여러 국제 분쟁들을 경험하면서 유럽 내에서는 공동외교안보정책(CFSP)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고, 이를 위한 논의가 오랜 기간 계속 되어왔다. 하지만 주권 국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외교와 안보의 민감한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정책의 특성상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지닌 채 여전히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두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9/11 사건’을 계기로 드러나게 된 유럽연합의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문제점들과, 효과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 EU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유럽의 공동외교안보정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첫 번째 장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CFSP의 발전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9/11 사건’이 유럽의 공동외교안보정책에 어떠한 중대한 영향과 변화를 주었는지를 분석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 협력과 경쟁 사이를 오가는 미국과의 대외관계 변화와, 유럽연합 내에서 일어나는 회원국들간의 긴장관계와 분열의 목소리를 대내관계의 시각에서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 장에서는, 앞서 지적한 ‘9/11 사건’을 계기로 붉어진 CFSP의 문제점들과 한계를 통해, 앞으로 EU가 해결해 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들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다. 지금까지 논의된 모든 내용들은 마지막 장에서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정리가 될 것이다. 국제사회의 안보와 평화를 유지하고, 미국의 독단적인 패권에 견줄만한 ‘힘의 균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럽연합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유럽연합이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하는 진정한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공동외교안보정책의 문제점과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주어진 과제를 현명하게 풀어나가야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A Study on Resource Nationalism by Regions

        정수연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Unlike 20th century when a nation?s power was determined by the nation?s capability of national defense, we are now living in the times in which economic power determines national power. While earth?s natural resources are limited, world population is still growing and more resources are in demand as economic activities of each country are increasing and growing. As competition among major consuming countries for limited resources is getting intense, countries with resources try to enhance their influence and power in the global market. Therefore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by consuming countries add more intensity to the competition due to their national strategic approach beyond mere commercial or economic capability. Natural resource supply/demand in the 20th century was closely linked not only to establishing military power but also to industry development. As supply/demand route to secure resources extended further overseas, powerful countr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ilitary power to secure points of strategic importance in the world. Powerful countries started to take resources from relatively weak countries, which started nationalism, followed by independence of the countries. The public resisted economic plundering and advocated permanent sovereignty and right for autonomous use for the nation?s natural resources. Resource nationalism in the 20th century was mainly for political purpose. Resource nationalism at that time took rather aggressive forms including seizure of foreign oil company properties, forced nationalization and discontinuation of oil export with emphasis on political ideology such as national independence and autonomy to cease colonization and imperialism of powerful countries , which resulted in a huge shrink of the world economy. Energy security is rising as one of the major propositions in the glob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Military superiority in chaotic period of the 20th century was the key to be the top of the world; however, energy is the powerful key in the 21st century since it requires constant supply for healthy economy. Resource nationalism of the 21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intermixture of economic and political purposes. In terms of economic purposes, oil-producing countries seek benefits to their own countries. This is obviously an opposition to major companies in the world that try to plunder their resources but more emphasis is on securing their revenue sources that are required for social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a country?s goal cannot be simplified as growth of national power and more values including political independence, national defense and economic prosperity were added to the goal; natural resource supply/demand issue is also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economic power and trade, rather than military power, to secure resources and enhance national power. Another aspect is extension of political influence of countries of resources in the global society. Russia is using resource nationalism for its political purposes. There are also cases when economic and political purposes are hardly distinguishabl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is unpredictable to take proper countermeasures, complex and fast-changing. There are still many questions unanswered on whether resource issue is considered on the level of national security in current situation of high oil price, raw material price rise and weakening national competitive power.

      • NGOs and Female Genital Mutilation in Africa

        손미영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According to a WHO report,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FGM)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138 million African women have undergone FGM worldwide and each year, a further 2 million girls are estimated to be at risk of the practice. FGM occurs in almost all African countries, Middle Eastern countries, Asian countries, and the practice is increasing in regularity in Europe, Australia, New Zea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anada. It is the kind of procedure which involves "the partial or complete removal of the external female genitalia or other injury to the female genital organs whether for cultural or any other non-therapeutic reason". The age at which the practice is carried out varies but, the most common age is between four and ten. I think this practice seriously violates women's human rights and scars women's entire lives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s. The recognition of women's rights as equal to basic human rights has been central to the transformation of many problems or needs. Over the past decade even though the term 'women's human rights' might sound like a revolutionary no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a fundamental concept of general human rights. There are a lot of ways to eliminate FGM around the world including global and many national efforts in Africa. However, I think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efforts to stop FGM is through NGOs(Non Government Organizations) because they recognize that in order for legislation to be effective skills for approaching people or problems. There are a number of organizations and programs dedicated to the eradication of FGM all over the world. It is very important to operate in the role of NGOs for human rights including, of course, women's rights. This would allow NGOs to be able to act against FGM very well. Even though various organizations try to eradiate FGM, we easily meet a number of challenges encountered by a country's traditions and cultures. NGOs are more flexible than the other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I know that, although there is a lot of effort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 various programs, we can't avoid the challenges presented in stopping FGM. However, I would like to focus on NGOs' roles to stop FGM by means of education. Also, I expect that NGOs' roles will become increasingly more important among various organizations.

      • 국내·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이은미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Cultural found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diverse purposes by companie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foundation corporations since 1990s. Regardless of founders, the main purpose of cultural foundations pertains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people's lives. It is time that the intents and current states of cultural foundations organized under the mission of advancement of culture and art were examined. So to speak, as cultural foundations increasingly play more roles in modern society, they should meet the demands for transparent and efficient organizational operation to grow further.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adopted,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a huge sum of contribution to build cultural foundations, and businesses have supported enormous investment in arts and culture for the benefits of company images and the principle of wealth distribution. By identifying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and determining their future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s, cultural foundations will be able to keep contributing to developing culture and art further. Local cultural foundations are characterized by their organization of a third sector, which system is viable for making up for policies and maximizing supports for creative and diversifie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is, local culture centers are capable of quenching the sense of cultural isolation prevalent in local areas, settling identification of local societies and putting the framework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s on a firm footing. Local cultural foundations need develop proper culture policies for local people and foster new cultural projects. Further, by making efforts not to rely on the stable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they need to find ways to fix independent financial ground to run up to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In the 21st century, starting from Kyeonggy cultural foundation, lots of local foundations for culture have been set up in such regions as Seongnam, Goyang, Euijeongbu and Incheon. They may well be different in terms of types and focal projects, but they are similar in that local autonomous entities have formed contributions and funds and influenced their operations. Local cultural foundations share a common need to carry out appropriate art and culture projects to promote local cities by considering their own lo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organizing board of directors as a basis for independent operational executions of cultural foundations, diversified means of obtaining budgets need be developed. Though cultural foundations are to be non-profit organizations, their management should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profit-oriented businesses. That is because profit-driven organizations are run when they yield high profits, but cultural foundations do not have any profit sources exist. These challenges may be met by finding solutions in overseas cases of cultural foundation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have had long history of performance and rich experience in their project operations, which may suggest quite a few alternatives that local culture foundations may take.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directions to develop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There is no denying that local entities cannot always adopt their overseas counterparts unconditionally, but they can add som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cording to their current conditions to take appropriate policies. Through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financial structures, policies regarding promoting donations and support committees can be sought, and their operations of board of directors may hint something to fill the part local foundations lack in. For financial self-reliance, for-profit projects run by cultural foundations owned by enterprises may be analyzed to help find ways to bring in several marketing measure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s, types and roles of cultural foundations and examined the facts and figures of overseas and domestic cultural foundations to seek for future developmental path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Also,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current states and status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Further, based on the findings from case studies on the intents of establishment, organization and projects of domestic and overseas cultural foundations, each foundation's main functions, project cont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me to a conclusion that cultural foundations suitable for local reality,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can develop. Cultural foundations have infinitive growth potential in the future. With non-governmental and not-for-profit roles and missions and continuous and fundamental studies on projects, cultural foundations are ultimately to realize cultural democracy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specialized art organizations. 문화재단은 다양한 목적으로 기업, 정부, 지방정부에서 재단법인으로 1990년대 이후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재단의 설립 주체와 상관없이 문화재단의 주된 목적은 문화예술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적인 향상을 위함이다.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사명아래, 설립된 문화재단의 취지와 현재의 상황에 대해 짚어봐야 할 시점이다. 즉, 현대사회에서 문화재단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이에 문화재단의 성장은 조직의 투명하고 효율적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지방정부에서는 지방자체 이후 막대한 출연금으로 문화재단을 설립하였고, 기업에서도 기업의 이미지 구축 및 부의 분배 원칙에 의해 예술과 문화에 많은 지원금을 투자하고 있다. 이렇게 설립된 문화재단이 그 존립의 이유를 보다 확고하게 하고 앞으로의 나가야할 방향을 각 문화재단의 성격에 맞추어 찾아갈 때 문화와 예술은 발전해나갈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제3섹터의 형태의 조직과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공공정책의 보완과 더불어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화예술 지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제라 볼 수 있다. 즉, 지역의 문화 소외감을 해소하며,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지역문화 활성화의 기틀을 확고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지역주민을 위해 지역에 맞는 문화정책을 개발하고 신규 문화사업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에서 의존하지 않고 각 지역문화재단의 고유한 성격을 살릴 수 있도록 재정 확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경기문화재단을 필두로 성남문화재단, 고양문화재단, 의정부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등 많은 지역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형태나 중점사업에서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지방자치단체가 기금 및 출연금을 조성하였고 재단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 이런 지역문화재단이 갖고 있는 공통점은 각기의 지방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또 이러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예술문화 사업과 프로젝트 수행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재단의 독립적인 집행을 위한 이사회 구성 조정과 더불어 다각전인 예산 확보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문화재단의 목적이 영리를 추구하지 않을 뿐, 경영에 있어서는 영리기업보다 더 효율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영리조직은 수익이 높으면 조직이 운영되지만, 문화재단은 수익원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제는 해외의 문화재단과 기업문화재단의 연구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외의 문화재단의 오랜 기관 동안의 사업수행과 관리 경험은 우리 문화재단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의 문화재단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화재단을 비교분석하였다. 비록 해외의 사례를 무조건 반영할 수는 없지만 각 처해진 재단에 상황에 맞추어 변형 보완하여 여러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문화재단의 재정 구조를 통해, 기부와 후원회의 활성화 정책을 모색할 수 있고, 이사회 구조와 운영방식에서 우리 재단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을 것이다. 재정 자립을 위해 기업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익사업을 분석하고 여러 마케팅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재단의 개념과 역할, 유형을 비롯하여 국내·외의 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한국의 문화재단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내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국내외 문화재단의 설립목적, 조직, 운영하는 사업에 대한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재단별 주요 기능과 사업내용, 조직구성과 운영방 등을 비교 분석을 통해 지역현실과 특성 그리고 환경에 맞는 문화재단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문화재단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관이다. 비정부, 비영리 단체로서의 역할과 사명을 갖고 재단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한다면 궁극적으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전문화된 예술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 Rethinking of Japan's ODA

        이상옥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695

        Starting over at the end of the last world war, Japan followed a development path that would eventually earn it status as an economic superpower. Until the early 1960s, Japan was a recipient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day, and since 1989, Japan is the largest donor of ODA in the world. ODA is a form of aid, which is provided by develop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ir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In terms of quality, Japan's ODA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high ratio of conditional assistance and its concentration in Asia for Japan's own economic gains. Consequently, Japan is a leading ODA nation in terms of quantity, but has many areas for improvements in terms of quality. Due to the end of Cold War, Japan like all great powers, had to seek a new role.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ODA had changed from the strategy to restrain in the Cold War Era to the pure assistance considering the North-South problem. In 1992, Japan established its ODA Charter through a Cabinet resolution reflecting this trend of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harter contains provisions and guidelines concerning official ODA principles, policies, and priorities, and as such, it has served a vital role in clarifying the country's basic philosophy and guidelines for ODA. Even so, it will be necessary to subject the Charter to regular reviews reflective of a consideration for changing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n understanding of Japanese foreign policy especially its role toward the Post-Cold War Era, by examining Japan's ODA policy.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경제발전 위주로 한 정책을 펼침으로 냉전시대를 지나오면서 경제대국의 위치를 확보하였다. 1960년 초반 당시까지도 공적개발원조의 한 수혜자였던 일본은 1989년 이후로 현재까지 양적으로 최대 공여국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냉전시기 동안 꾸준히 ODA정책을 경제적 전략의 일부로 추구해오던 일본은 냉전이 끝난 시점과 맞물려 대외원조의 방향을 전환시켜야 했다. 동서관계의 구도 속에서 전략적 고려에 의하여 이루어졌던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는 냉전구도 속에 전략적 고려에서 행해지던 원조의 의의가 없어지고 순수한 남북관계관점(North-South), 즉 개발도상국의 빈곤 해소, 경제사회 개발의 촉진이라는 관점에서 대외원조의 실시로의 경향을 띄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대외원조를 필요로 하고 있는 나라의 증가, 수혜국의 경기후퇴, 대외원조 증가의 어려움등에 대한 고려와 개발도상국의 안정과 발전이 세계전체의 평화와 번영에 불가결하다는 의미에서의 국제사회의 상호의존 관계의 인식을 배경으로 한 세계로부터의 일본의 역할 증대에 대한 기대는 세계사회에서의 주도적인 역할을 추구하고자 하는 일본의 각성과 부합되었다. 일본정부는 국제사회로부터의 이와 같은 기대에 따라 원조에 대한 명확한 이념과 원칙을 1992년 6월에 발표하였다.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에 대한 장기적 관점에서 그 이념과 원칙을 각의에서 결정하여 '정부개발원조 대강'을 마련하였던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일본의 ODA정책을 냉전 전후로 그 변화상을 파악함을 통하여 냉전 이후 세계사회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추구하는 일본의 ODA정책의 이행 상황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