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여 비교 : 진주시지역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양남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국문초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여 비교 - 진주시지역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 본 연구는 진주시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과 남성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와 자원봉사활동 업무관련요인 그리고 보상요인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비교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ㆍ조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주시 지역에서 사회봉사단체,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의료기관 등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 중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성의하게 답한 9부를 제외한 241부(여성141명, 남성100명)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과 남성 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인식도, 이타적 동기, 일 적절성, 비공식적 보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전체 만족도에 업무인식도, 비공식보상, 이타적동기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남성의 전체 만족도에 어떠한 요인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하위만족도 차원에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참여동기를 이타적동기와 이기적동기로 구분하여 이타적동기의 여성은 경험욕구, 사회적 책임욕구,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만족도 차원 중에서 이타적동기 중 경험욕구가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만족도 차원에 미치는 영향은 이기적동기가 유일하게 여성의 경험욕구 차원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만족도의 업무인식도에서는 여성은 사회적 접촉 욕구 차원과 성취욕구 차원,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 사회적 교환 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접촉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그러나 남성의 업무인식도를 유일하게 사회적 교환 욕구 차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위만족도의 업무적절성을 일 적절성과 업무환경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일 적절성은 여성의 경우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과 사회적 접촉 욕구 차원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적절성은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남성은 타인의 기대부응 차원에서 유일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하위 만족도에서 보상요인을 비공식보상과 공식보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여성의 비공식보상은 사회적 인정욕구차원,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 사회적 접촉욕구 차원, 경험욕구 차원에 영향을 미치며 비공식보상을 가진 자원봉사자들이 보상에 대한 욕구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공식 보상은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에서 가장 높은 베타 값을 보였다. 그러나 남성의 비공식보상은 경험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베타 값을 보였다. 그리고 공식적보상의 여성은 유일하게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보였으며, 남성은 공식적보상은 유일하게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참여동기, 업무관련요인, 보상요인에 따라 전체 만족도는 물론이고 하위차원 만족도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많으므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고 효과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개별적인 관심과 적절한 관리방법들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진주지역과 특정기관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일반화에 한계를 갖는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전국적 단위에서 또 장애인, 노인, 병원, 학교 등의 광범위한 자원봉사활동 분야로 넓혀서 봉사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활동보조서비스 만족도가 장애인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인영 백석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50735

        국문초록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0년 12월 국회를 통과하여 2011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는 2007년 보건복지부에서 전국사업으로 활동보조서비스 제도가 도입된 후, 독립적인 법적 근거를 가진 제도로 발전하여 장애인활동지원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제도가 확대 시행된 것이다. 궁극적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 확대이다. 본 연구의 분석은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가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를 통한 사회참여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활동보조서비스이용에 있어 만족도와 그 효과를 조사함은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와 이용을 위한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들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종류와 자립생활이론을 검토해보고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와 장애인 사회참여는 선행연구로 살펴본 뒤에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통한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을 확장시키기 위한 개입방안과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권에 거주하는 장애인중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250명 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모두 200명의 장애인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중에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18부를 제외한 182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12.0사용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활동보조서비스를 통한 사회참여 현황과 환경적 제약수준, 이용 현황과 만족도, 그리고 활동보조서비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장애인 사회참여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보조서비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심리적 측면의 분석 결과 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심리적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 후 자신감 회복, 잠재능력 발견, 도전의식 고취와 같은 심리적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p<.05). 둘째,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활동보조서비스의 이용 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더 잘 관리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활동보조인의 자질과 역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 후 건강을 더 잘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사회참여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에 대한 만족도, 서비스 질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참여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즉 활동보조인의 자질과 역량이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 후 사회참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후 사회참여가증가하는 것으로 활동보조인의 자질과 역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 후 사회참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마지막으로 위의 요약을 통하여 다음 같은 결론에 도달 할 수 있다.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한 후 개인의 심리적, 건강관리적, 사회참여 변화의 정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결과,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자신감을 많게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잠재능력을 발견하지는 못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활동보조 서비스를 통해서 자신이 처한 상황을 스스로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경우가 많으며, 활동보조서비스를 통해서 자립생활에 필요한 기술이 많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를 결정할 때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사회복지 정책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이용인과 활동보조인의 연계에 있어서 표준화된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현재 각 제공기관별로 나름의 기준을 갖고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은 제공기관별 특성을 반영하여 정해지는 경우도 있으나 제공기관들이 시장경쟁에 놓여있는 상황에서 충분히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연계를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비스항목이나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여 서비스가 전달되는 최종현장에서의 서비스 제공과 수급에 대한 명확하고 표준화된 양식들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장애인복지 인프라 개선을 위한 장애서비스센터가 만들어져야한다. 장애인서비스 정책을 비롯한 이용인과 활동보조인의 정보, 여러 사례들에 대한 경험 교환 등을 통해 지역의 활동보조서비스 질이 상향 평준화 되는 긍정적인 측면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장기적으로 장애서비스센터 지사와 지역별 제공기관 협의체 간의 소통은 활동보조서비스를 비롯한 장애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함에 있어 기본적인 사회자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장애인 활동지원제도는 활동보조서비스를 확대 개편한 제도이다.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가 한국 최초로 소득에 관계없이 제공되는 보편적 서비스였고, 비록 직접 지불제도가 아니라 전자 바우처 형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었지만 장애를 가진 개인에 대한 개별 서비스(PAS)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면, 장애인 활동지원제도는 예산사정 및 정치적 기조 등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에 있었던 활동보조서비스를 일종의 프로그램 수준에서 벗어나 법적으로 제도화, 안정화시켰다는데 큰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하지만 그런 의의를 더 가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법과 제도 안에서 실질적으로 장애인 개개인의 삶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제 막 출발 단계에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거론하고, 보다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재차 확인해주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활동보조서비스 만족도, 심리적효과, 건강상태, 사회참여,

      • 公共部門 地域社會 精神保健 事業에 關한 硏究

        김영신 경희대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19

        As the psychos are mainly locked up or hospitalized in Korea, their psychosis are not cured properly and they are restricted in ordinary social activity losing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It is needed the long-term and continuous treatment and reanimation and the social concern, and guaranteed mental and emotional service as well as the medical service. In many countries, they have demanded the ethical and legal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refrained from the long-term hospitalization, and implemented the mental health measure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do treatment and reanim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community. In this research, it is observ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ental health measure in the community and suggested the problem and the improvement pla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nding a way to the Korean-style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community. The service has the operational limitation as the following reasons. : The public health service is operated by the guideline because the concrete goal and the character of the service are not clear. : The request system between the megalopolis governments is insufficient. : The mental health measure in the community didn't reveal the character of the main operational body and has difficulty in the budget security. : There are restricted policy measures and political and social indifference. It is not settled the long-term and short-term plan for the mental health service and the stability of the service, and not active the volunteering and volunteer activity. The important thing is the circumstance which the family members are in the center keeping joining and attending the activity continuously. When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show the lasting concerns about the service, establish the policies to put away a prejudice and understand it properly, we can succeed in the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community.

      •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관계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정희 예명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19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 Emotional labor strategies and self-efficacy of caregiver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Park, Jeong Hui Major in Social Welfare Yemyung Graduat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perceived by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propose social welfare practical ways through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strategy and self - efficacy . In addition,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n mediated by emotional labor strategy and self -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estionnaire response data of 354 caregivers working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wever, in term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 closed next day after 24 hours, three 8 hour shift, 12 hour two shifts, A good group that was perceived as having good health was analyzed to ha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in the elderly care group home workers than the elderly nursing home workers. In the working type, 24 hours work was followed by the next business day, 8 -hours 3 shifts and 12 hour two shifts. A good group showed a positive emotional labor strategy. Self-efficacy was in the order of 50s, 40s and 60s, followed by other (occupancy), 8 hours 3 shifts, 24 hour shifts followed by next business day and self-efficacy was relatively stro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a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Third, In the organizational cultural factors,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al labor strategy. Fourth, as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stronger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ve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Fifth,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tronger as the self - 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stronger. Sixth, stronger self - regulatory efficacy has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 strategy. Seventh,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of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workers is more effective than the in - depth and sincere behavior strategies. Eighth,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self - efficacy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lf -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motional labor strategy.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rectly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motional labor strategy. Therefore, the perceive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workers has a direct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and indirectly influenc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Based on these results, a proposal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y was conducted.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관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요양보호사들이 지각하는 조직문화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정노동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사회복지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조직문화가 감정노동전략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였을 때,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 남서부지역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35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에 의한 설문응답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수준에서는 유의한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유효성에서는 근무형태에서 24시간 근무 후 익일휴무, 8시간 3교대, 12시간 맞교대 순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이 조직유효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정노동전략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종사자가 노인요양원의 종사자에 비해 감정노동전략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에서는 24시간 근무 후 익일휴무, 8시간 3교대, 12시간 맞교대 순이었으며,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이 긍정적인 감정노동전략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에서는 50대, 40대, 60대 순이었고, 근무형태에서는 기타(입주), 8시간 3교대, 24시간근무 후 익일휴무 순이었으며,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이 자기효능감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발문화와 합리문화가 강할수록 조직유효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가 감정노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발문화와 위계문화가 강할수록 감정노동전략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직문화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발문화와 위계문화가 강할수록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가 강할수록 조직유효성은 강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이 감정노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 효능감이 강할수록 감정노동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감정노동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층행위와 진심행위의 전략을 사용할수록 조직유효성은 강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째, 조직문화는 자기효능감과 감정노동전략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성에 직접효과를, 감정노동전략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이르는 정의 영향력을, 감정노동전략에서 조직유효성에 직접효과 수준에 유의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문화가 긍정적일수록 조직유효성은 높아지며, 자기효능감 및 감정노동전략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조직유효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현선 상지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The effects of the teenagers performing community services on the teenagers' self esteem Hyun-son Y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Policies Sang-ji University The current community service system that the most of Korean teenagers are involved in possess many problems as the students are merely performing the service because it is compulsory; the society should instead find a way to help the teens do the service out of their true feelings and emotions, which would in turn build their self esteem. In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tuations of the students who are doing the services were closely observed, and the ways of improvements were proposed after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s community service involvement and the one's self esteem. In order to do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dwelling on Won-Ju were each asked to fill out the survey for the research, and 303 out of 320 results were finally used in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ed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17.0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Socio-demographics, one's self esteem varied depending on the categories of sex, age, and grades. Religion and household income were not the outstanding factors, whereas one's area and the length of community service involvement mattered with respect to the one's self esteem. Based on the research, it is safe to assume that there first needs to b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ime stu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s, to improve the students' self esteem. On top of that, there shall be a system that makes students to get involved in the program constantly, rather than suddenly or inconsistently doing the service, such as only doing the service during one's vacation. Second,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different community service areas, in which students could get involved,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local society development programs or social programs scored higher on the self esteem than the ones that simply wanted to comfort or help others desperately in need of help. Therefore, the society as a whole should find a way to develop the nation-wide community service programs, in which the teenagers can participate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as well as establish their self-esteems. Getting involved in community services would serve as a positive experience to the teenagers without a doubt, as they can experience many new things that they cannot learn by simply finishing the school works, establish constructive self- compassion, and also contribute to the local society's developments by using some of their infinite "potential" skills.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enagers getting involved in the community services and the teenagers self esteem, and by doing that, it was found that the one's involvement in the service is crucial to the one developing his or her self-esteem. 국문초록 현재 제도적으로 정착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들에게 단순히 해야하는 의무적인 활동으로 그치기 보다는 자신의 자아형성에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변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봉사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하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주 지역 중․고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담당교사의 협조를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20부 중 303부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도는 성별, 학년, 성적 등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고, 종교와 가정형편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도는 활동시간과 희망하는 자원봉사활동 영역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고 그 외의 특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첫째, 현재 각급 학교별로 년간 봉사시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봉사활동이 방학기간이나 휴일을 이용해 장시간 하기보다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도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희망하는 봉사활동영역 가운데 지역사회개발운동과 캠페인활동과 같은 영역에 참여하고 싶다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일손돕기나 위문활동과 같은 영역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즉,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으로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지역사회 나아가 우리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바람직한 자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청소년의 무한한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 자신과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우리나라 노동시장 분절 구조에 대한 분석

        이태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segmental structure of the Korean labor market that experiences stratified disparities, an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gmented labor market types. The segmental structure was demonstrated by combining employment status, firm size, wage level, and social insurance, which are major segmental factors in the labor market. Therefore,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complexities of various inequality in the Korean segmented labor market. For analysis,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the 14th, 18th, and 22nd waves data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It was targeted at wage workers. At this time, the latent class analysis (LCA) method was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examined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structure using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bor market segments in Korea are "insider type of large firm" and "middle type of SMEs". Furthermore, it is divided into 'external type of small fir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women, the elderly, and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in the segmented labor market are in relatively unstable pos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link intergroup resolution policies and intragroup disparity policies. Second, an integrated support policy is needed to consider the complex inequality of small busi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ocial dialogue mechanism. 본 연구는 중층적 격차를 경험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분절구조를 확인하고, 분절된 노동시장 유형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노동시장 분절로 인해 나타나는 불평등은 사회적 불평등으로 연결되며, 단지 노동시장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고용, 기업 규모 등 단편적인 요인으로 구조를 분석했던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기 위해 분절 요인의 결합을 통해 구조를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결과로 인지할 수 있는 사회보장과 임금수준의 요인들을 분절의 원인으로 포함하여 분석에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분절 노동시장이 가진 다양한 불평등의 패턴과 복잡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절 구조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14차(2011), 18차(2015), 22차(2019년) 횡단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노동시장의 수를 미리 가정하지 않고, 통계적 수치를 기준으로 노동시장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잠재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시장의 유형은 3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대기업 내부자형’으로 1차/내부노동시장의 성격을 가진다. 이들은 정규직이며, 300인 이상 대기업에 속해 있다. 중위임금 이상의 임금을 절대적으로 보장받고, 안정적 인 사회보장 혜택을 기대할 수 있다. ② ‘중소기업 중간형’으로 새로운 형태의 노동시장 발견을 확인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고용안정성과 사회보장제도에 포함된다. 그러나 중위임금 미만의 임금수준으로 높은 임금을 보장받기 어렵고, 비교적 규모가 작은 10~50인 미만 중소기업에 속해있다. ③ ‘영세기업 외부자형’으로 전형적인 2차/외부노동시장 성격을 가진다. 이들은 비정규직이며, 10인 미만의 영세한 기업에 근무하고 있다. 저임금에 노출되어 있고 사회보장 제도의 배제를 경험해 불안정에 노출되어 있다. 둘째, 도출된 유형별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성, 고령층, 고학력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외부자 지위의 노출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세 개의 다중으로 분절된 노동시장이며, 인적특성이 더해져 불평등이 온존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해소정책과 더불어 다양한 범주의 집단 내 격차 해소정책과 연계가 필요하다. 둘째, 영세기업의 복합적인 불평등을 고려해 통합적인 지원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노동시장 정책의 정합성 제고를 위한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면 정책 거버넌스 구상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노동시장 구조 분석의 외연적 확장과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