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미술교육과정의 한국화 필요성과 개선 방향 연구

        김성희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83

        현대 미술의 새로운 재료와 조형 실험의 기법에 밀려 우리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이 거의 사라졌다.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 주어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미술 문화 창조에 기여토록 하는 데에 전통문화 교육은 그 의미를 두고 있다. 전통문화 교육은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그 중 한 방법인 한국화 수업에 대한 노력은 계속 이루어지긴 하나 실제로는 개선되지 않는 형편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으로부터 찾으려는 노력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조상들이 남긴 미술문화유산의 독창성과 우월성을 발견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전통미에 대한 이해와 긍지를 가지고 이를 발굴하며 애호, 보존하려는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 미술 교육에 대한 지도방법이나 관련 자료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현장에 보급되지 않음으로 인해 실제적인 전통 미술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적 할 수 있다. 우리는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미적 안목과 조형능력, 창의성 등을 육성시켜 주며 미적 인간을 길러 전인이나 자아 실현인이 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나아가 주체적인 문화의식을 폭넓게 심어 주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통미술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우리의 전통회화인 한국화를 초등교육현장에서 성실히 교육한다는 것은 적지 않은 가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로 교육현장에서는 교사의 지도 능력 부족, 지도 자료의 부족, 매체와 용구 사용의 불편 및 어려움 등으로 전통적 문화 교육이 소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교육목표에 적합한 한국화 교육하기위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흡하나마, 지도방향이나 필요성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도록 한다. Of the today the fine arts it was pushed in technique new material and moulding test and the interest regarding our traditional fine arts disappeared almost.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against our fine arts culture and and in generations and and me the self-conceit with our culture in letting new fine arts culture creation the route which will plant le to give with them in order to contribut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 meaning is letting the plac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appearing in multi form it is but middle-school that the effort with the Korean anger study which is one method continuously accomplishing Ji long one it is a condition which is not improved actually. From this point of view searches the effort is requested urgently from our specific tradition. Traditional fine arts education it discovers the creativity and a predominance characteristic of the fine arts cultural heritage which our ancestors leave and it will reach, develops there is the objective of the place where it succeeds and. The hazard which draws letting it will have a gain and loss and the pride against traditional America with the students who stand and it will reach and it excavates and loves and preserves in order to have an attitude, important. But the map methods against a traditional fine arts education or pertinent data are various and it is developed and it is not supplied in site to be caused by, the actual traditional fine arts education well cannot become accomplished it will be able to indicate a problem. We lead and the fine arts education we rear we give and and the place help where the whole man or self realization person becomes and the American human being route le to sleep we give we do the American good eye and a moulding ability and the originality back of the students and. Subject culture ceremony width to plant further and widely to emphasize the traditional fine arts education of periodic hazard our country. Hereupon educates the Korean anger which is our traditional conversation sincerely from secondary education site and the thing that there is a value which it does not write it sees. But actually map ability insufficiency of the teacher, insufficiency, medium and tool use of map data inconvenience and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s coming to be negligent with the difficult back from education site. The Korean anger which is suitable in the training objective which it considers seriously from the fine arts and curriculum it grasps the problem point from the hazard mail boat first line school which it educates and insufficiency it is and to sleep, to express the improvement program of map contents it does.

      • 初等美術敎育에서의 韓國畵指導를 위한 表現方法 硏究

        박경애 京畿大學校 造形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4383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가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민족 미술의 중심에 우리의 그림인 한국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화 교육을 통하여 한국 미술의 우수성을 감지하여 민족 미술에 대한 자긍심을 기르고 주체성을 확립시킴으로써 한국 미술 교육의 참다운 전통을 세워 나가야 한다. 초등미술에서 한국화 기도란 붓과 먹으로 화선지 위에 그리는 그림이다. 한국화는 우리 조상들의 가치관과 미의식이 그대로 배여 나오는 문화유산의 하나이며, 우리 고유의 정취와 서정성이 묻어 나오고 독특한 생활양식과 민족성이 그대로 존재한다. 문화의 힘이 곧 국력이며 민족 정체성을 뜻하는 원동력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 한국화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심어 주고, 다음 세대에게 우리 미술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도 한국화 지도는 필요하다. 오늘날의 한국화는 서구 현대 미술의 유입으로 기법적인 다양한 실험과 확대를 보여주고 있으나, 전통성의 올바른 회복과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 ·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과제는 미술교육을 처음 접하게 되는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부터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3, 4학년은 국민 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을 지닌 제 7차 교육과정에서 1단계로, 한국화의 기초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져야 할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용구의 사용법 및 기초기법을 토대로 한 체계적인 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한국화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일선 교육현장에서 한국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를 미술과 교수·학습과정에서 무엇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과 방법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교사나 아동의 한국화교육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술과 교육과정과 선행연구물, 인터넷 검색, 교과서 참고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미술의 한국화교육에 대한 필수 학습 요소를 재료와 용구의 사용, 조묵, 점, 선, 면과 색, 형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학년발달수준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교사들은 한국화교육을 쉽고 자신 있게 실시할 수 있고, 학생들은 한층 더 한국화의 표현활동에 흥미를 갖고 의욕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료와 용구의 활용에 있어서는 재료와 용구의 준비와 특성, 조묵방법을 익히기 위하여 '삼묵으로 표현하기' · 화선지의 성길을 익히기 위하여 '화선지에 먹물로 염색하기' 를 · 점을 중심으로 한 표현에서는 '먹물 떨어뜨리기' · '먹물 묻혀 뿌리기' · '종이 구겨서 찍기' · '점을 찍어 표현하기' · '손바닥과 손가락으로 찍어 표현하기' 를 이용하고, 선을 이용한 표현에서는 '자유롭게 선 긋기' · '굵기와 먹색이 다른 선' · '직선을 이용한 표현' · '곡선을 이용한 표현' 을, 면과 색을 중심으로 한 표현에서는 '먹물번지기' · '선을 이용한 표현에서 발생하는 면에 채색하기' · 형의 표현을 위한 '몰골법과 구륵법으로 표현하기' 를 필수 학습 요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와 같은 연구 유형은 교육과정을 분실하여 한국화교육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학년발달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한국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에게는 한국화 교육을 용이하게 접근하여 자신 있게 실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며, 학생들에게는 한층 더 한국화의 다양한 표현활동에 흥미를 갖고 의욕적으로 임해 개성적이고 새로운 한국화 기법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리라 기대해 본다. Through art we can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because it record and influence by the era of the time. For this reason, art can contribute to be creative and expansive. Now days we do not even have a chance to choose our superb art and uphold it for we are losing our identity by the western life-style and thought. The real state of affairs is that we accept the western beauty as ours and feel unfamiliar with our real beauty.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find the art that we could be emotionally one and let the world know about our art and try to take over our ancestor's spirit than just accepting and preferring other cultures. For young students to get interest to our culture and make them understand the spirit of our art is very valuable thing to do for our feature. Especially, the value of Korean drawing field is great which express our ideas and emotions through nature. The Korean drawing study in elementary school is generalizing the right value of our tradition, also a guide line is defiantly needed in elementary school as it could be the time to effect young students mind to be unique, and they can combine the traditional art and modern art. Elementary school is a place for young students to learn basic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to aware the good of our traditional drawing and extend it. I start this report as I saw the situation in the classroom with my experience and that the western materials and beauties are priority than ours', I think the inquiry of our art is important to raise our children as a person with genuine love for Korean culture and drawings. So many children feel Korean drawing is difficult to draw and have negative mind than western paintings so it was necessary to make them to feel comfortable with Korean art. To do so, I tried to do the followings. First, we looked back what are our basic symbols, using the right vocabulary, formatting ideas and what is Korean drawing through our history. Second, presenting the necessary of Korean drawing study by emphasizing the Korean drawing could influence, steadiness of sentiments, patient which can control themselves and etc. self-respect and spiritual from the steadiness and the right recognition of Korean beauty. Third, trying to connect and define the most creativeness and could not be followed by others in the art class by including the exercises of creating 'new' and 'express the creativeness'. Especially, in Korean drawing field has a premise of internal idea, the meaning of 'creativeness' can be recognized and was include in the drawing before the word 'creativeness' was even appeared. To cover all the education of Korean drawing in elementary school: firstly, regulating the character of the art class in elementary school system. Secondly, present the purpose and content of Korean drawing curriculum. Thirdly, discussing by how many Korean drawing has been shown in the art textbook and giving the same opportunity to show the art work with eastern paintings shown in it. Fourthly, by questioning the lower grade students about how they understand Korean drawing and analyze the education problems and giving the improvement programs. Lastly, giving the result through developing diverse program and enjoyment, and analyzing from the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drawing to young students. For these kind of acts, students can feel Korean drawings can be easy to enjoy as eastern paintings and present the chance of directly or indirectly by spreading out the various value of Korean drawing to the lower grade students. Also we need to find and develop our aesthetic stagnancy to let the eastern people know about our excellent and profundity of our art. To bring up our children with close feeling and aesthetic pride of our art, we need to educate the art class with Korean drawings star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all the theory of above.

      • 創意力 伸張을 위한 指導 方案 : 5학년 수묵 체험을 중심으로

        강순희 京畿大學校 造形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4351

        미술에 있어서 창조성은 독창성과 상상력을 형태화 하는 표현과 결집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도구로, 어떤 재료를 올바르게 탐색하고 구사하여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이입, 표현할 수 있어야 창조적 발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그들의 생활모습과 한국적인 생활 감정을 독창적인 솜씨로 그림에 담아 애호하였으며 먹과 붓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동양화 기법을 더욱 새롭게 발전시켜 왔다. 또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미술과의 교과 목표도 미술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미술문화 유산을 존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적인 미를 통한 조형 활동과 그에 따른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을 강조함과 동시에 우리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도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부응하여 전통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한국화의 재료인 화선지와 수묵을 사용하여, 가볍고 부담 없는 마음으로 화선지에 먹물의 농담과, 물감의 농담을 변화시켜 소재를 표현해 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그리고 고차원적인 표현 기법보다 교과서 중심의 단계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접근하여 표현 활동과정에서 표현미와 용구 및 재료활용을 통해 새로운 면을 탐색할 수 있도록 유도해 보았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한국화 표현력 신장을 위해 창의성의 개념과 창의성을 위한 미술 교육의 중요성을 초등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한국화 교육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단계적인 수묵체험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한국화 표현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서구 문화에 길들여진 아동들에게 한국의 미적 정서와 감수성 · 조형감각을 체득케 하며, 아동의 흥미와 경험 그리고 그들의 내면세계를 아름답게 표현하게 하기 위하여 1단계는 아동들이 저항감 없이 한국화와 친숙해지도록 쉽고 재미있는 수묵화의 다양한 기초표현활동으로 접근하여 자연스럽게 전통적 기법에 익숙해지도록 하여 먹과 친숙하게 하는 활동을 경험하게 하였다. 2단계는 표현단계로 기초단계에서 발전단계로 나누어 수묵화를 완성할 수 있도록 실천 프로그램 계획을 수립하고 개념화 탈피를 위한 지도방법을 구안 · 적용하여 수묵채색화의 표현 재료와 용구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3단계는 다양한 표현기법을 활용하며 수묵화 작품을 제작, 감상을 통해 전통화에 나타난 표현의 형태를 찾아보고 자신의 생각과 비교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그림의 특성 및 전통미의 가치를 체득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에서 연구 실천한 결과 수묵화의 다양한 기초표현활동으로의 접근활동은 의도하지 않고도 먹과 친숙해져 매번 반복해도 항상 새로운 구상이 일어나고 새로운 형상 표현이 나타나게 되어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의의 있는 활동이 되었으며 누구나 할 수 있는 재미있고 새로운 표현활동 방안이라 생각되었다. 실천프로그램 및 지도방법은 교사에게는 수업의 효율성을, 아동에게는 학습목표 달성도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아울러 붓과 먹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붓과 먹이라는 우리 고유의 재질을 통해 표현되는 우리 식의 사유 방법이며 우리 고유의 그림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릴 때부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우리 아동들이 외국 문화에 매몰되지 않도록 자신이 속한 미술 문화에 대한 올바른 미적 안목을 길러줌으로써 조화로운 인격 함양과 더불어 전통미의 가치를 알고 애호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주어야 하겠다. 또한 초등학교에서는 한국화의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지도방법의 연구가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적용되어야 하겠다. Creativity in art can be achieved when it is concentrated with the expression of giving shape to imagination and originality. Creative ideas can be thought up only by introducing and expressing one's own imagination and emotion, by searching and driving certain materials properly. Our ancestors preserved their lives and Korean emotions creatively in pictures, and have developed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using various materials, apart from black ink and brushes.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the art curriculu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judging the value of art work and respecting the art cultural assets. In this respect formative alt activities and education according to it is being emphasized. This emphasizes education that respects individuality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guidance on our native culture. Conforming to the objectiv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hinese drawing paper and Indian ink,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were used so that students could directly experience traditional beauty. Students were made to express the material by changing shading of the black ink and paints on the paper without any burden. It was approached in phased loaming-studying method focusing on the textbook, rather that higher-order expression method, and students were induced to search for a new aspect through material, expression and tools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oncept of creativity, for growth in creative Korean painting expression skills, in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Phased Indian ink experience teaching method was searched and a plan on learning-studying proces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classes was applied to search for the measure to develop the Korean painting expression skill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enable the students express their internal world beautifully and let the students, who are used to Western culture, develop interest and experience by gaining the sense of formation, emotion and sensitivity of Korean aesthetics, the following phases were applied. In phase 1, the class was approached with diverse basic expression activities of Indian ink paintings easily and enjoyably for the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Korean painting without resistance. Students were made to get 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techniques naturally and were able to experience using Indian ink. In phase 2, a practical program plan was established for students to complete Indian ink painting, by dividing phase 2, the expression phase, to development phase. Teaching method, escaping from the concept, was applied, and grafting of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of Indian ink painting was attempted. In phase 3, diverse expression methods were used. Students were induced to realize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compare and experience their thoughts and search for the form of expression shown in traditional paintings, by viewing and producing Indian ink art work.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bove study, approach activity to the diverse basic expression activities of Indian ink painting made students became familiar with Indian ink, and even when it was repeated, new figures and forms were expressed. The activities were significant in inducing interest in children, and it is an enjoyable new expression activity measure anyone can do. In addition, practical program and teaching method helped maximize the learning objective achievement rate for children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for teachers. The students got to recognize that painting with ink and brush is our method and speculation expressed through our native materials, and that the paintings were our native paintings, Children must be taught to know about and love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and their personality must be cultivated, by raising proper aesthetics discernment through training of continuous and phased diverse expression methods from the time they are you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 must be understood properly in elementary schools, and studies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painting must be attempted continuously, and applied in classes.

      • 도촌 신영복의 회화세계 연구

        박민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19

        도촌(稻村) 신영복(辛永卜, 1933~2013)은 다양하게 변모하는 한국화의 변화 속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회화세계를 꾸준히 추구하였던 작가이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태어난 도촌은 해방 후 귀국하여 14세 때(1947년) 목포에서 남농(南農) 허건(許楗, 1907~1987)에게 신남화(新南畵)를 배웠다. 그 이후 강렬한 색채와 사실적 표현으로 그만의 독자적인 사경산수화(寫景山水畵)를 이룩해내었다. 도촌은 20대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에서 3회 특선하면서 한국미술계에 등단하였다. 그리고 20대 후반부터 국전 추천작가·초대작가·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고, 40대부터는 전주 월담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등의 초대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면서 크게 화명을 높였다. 또한 박항환(朴亢換)·손기종(孫奇鐘)·하철경(河喆鏡) 등의 개성적 화가들을 양성하여 한국화 및 남도화단의 발전을 도왔다. 남도화단은 고려 말의 문신 신덕린(申德隣, 1330~1402)이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반대해 광주(光州)에 은거하며 서화를 즐기면서 시작되었다. 이어 조선 중기에 신덕린의 후손 신잠(申潛, 1491~1554)과 양팽손(梁彭孫, 1488~1545), 후기에 사실적인 자화상을 남긴 윤두서(尹斗緖, 1668~1715)와 그의 아들 윤덕희(尹德熙, 1685~1776) 및 손자 윤용(尹愹, 1708~1740), 말기에 윤덕희의 외손자인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제자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와 초의의 친구 김정희(金正喜, 1786~1856)에게 서화를 사사한 허련(許鍊, 1809~1892) 등이 남도미술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근대에는 허련의 아들 허형(許瀅, 1862~1938)이 부친의 남화를 계승하였고, 이를 허형의 아들 허건 및 방계 허백련(許百鍊, 1891~1977)이 계승하면서 뒷날 허건과 허백련의 제자들로 각각 구성된 남농계(南農系) ․ 의재계(毅齋系)를 통하여 폭 넓은 현대 남화로 이어지게 된다. 도촌 신영복은 아산 조방원과 청당 김명제와 같이 남농계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그의 작품세계는 작품의 전개양상에 따라 다음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국전을 통한 화단 등단을 전후한 모색기(1950~60년대), 둘째, 국전과 전라남도미술전람회(약칭 ‘전남도전’) 추천·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정착기(1970~80년대), 셋째, 빛고을 광주로 이주하기 전후의 완숙기(1990~2000년대) 등이 그것이다. 첫 번째의 모색기는 허건의 영향으로 관전풍의 실경산수화를 그린 시기이다. 이때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청신암>(1956), <산사>(1957년 국전 특선), <매화서옥>(1957), <전가>(1959년 국전 특선), <산수>(1960) 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허련의 스승인 초의선사가 수행했던 해남 대흥사, 일본 고대문화를 일으킨 왕인박사의 탄생지 영암, 호남의 금강이라는 월출산 등의 풍경을 직접 사생하여 그린 실경산수화로서 허건의 화풍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두 번째의 정착기는 종전의 실경산수화 경험을 살려 강한 농묵과 화려한 색채로써 독자적인 사경산수화를 추구한 시기이다. 도촌의 사경산수화는 사람이 산수자연 속에서 산수를 관조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데, 전통남화에서는 보기 힘든 강한 색채로써 연출한 몽환적 분위기가 엿보인다. 이때의 대표작으로는 <회상>(1971), <관폭>(1974), <관가정의 봄>(1976), <정관>(1981) 등이 있다. 세 번째의 완숙기는 도촌이 전남일보 초대작가전 등의 단체전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시기로서 종전의 사경산수화에 남화의 사의(寫意)와 북화의 사실(事實) 정신을 조화시킨 특징을 보인다. 대표작으로는 <만추>(1993), <적취>(1995), <하경>(2003), <월출산>(2004), <적취>(2008), <설중매>(2009), <적취>(2009) 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어지러운 시대 상황을 벗어나 평화롭고 고요한 세계로 떠나고 싶은 마음의 이상향을 강하고 화려한 색채로 구현하고 있다. 특히 <금강만이천봉일우>(2010), <춘경>(2011) 등의 최근작들은 이전의 강한 색채를 절제하면서 다양한 농담의 수묵과 엷은 담채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도촌 신영복은 정착기인 1970년대 말에 박항환 · 손기종 · 하철경 등에게 그림을 가르쳤다. 그러나 그는 스승 허건이 그랬던 것처럼 제자들이 자신의 화풍을 그대로 따르기보다 독창적인 작품을 하도록 독려했다. 그래서 제자들은 스승과는 다른 다양한 현대적 남화를 추구하면서 한국 현대미술의 다양성에 기여해 왔다. 본 연구는 그러나 일반적인 미술작품 연구와는 달리 미술사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최근(2013년 5월)에 작고한 작가를 다룬다는 점에서 부담이 컸다. 그렇지만 본 연구가 미술학계의 새로운 시도로서 자료 수집과 분석․연구를 하고 새로운 역사적․문화적 사실을 확인하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미흡하나마 본 논문을 통하여 남도의 중요한 미술사조인 남화가 도촌에 의해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었으며, 그것이 현대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Dochon Shin Young-Bok was an artist who stuck to his own unique art world in the waves of the changing aspects of Korean painting. Born in Japa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Dochon came over to Korea since the Liberation had taken place. When he was 14 years old (1947), he learned New Southern Painting Style under the apprenticeship of Heo Geon in Mokpo. Since then,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Representational Landscape(寫景山水畵) in brilliant colors and realistic expression. Dochon was getting known to the Korean art world, as he won Special Selection three times in his 20s at Korea National Art Exhibition. In his late 20s, he was nominated as a recommended artist, an invited artist, and a jury member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From his forties, his fame became broader to be invited from Woldam Art Museum in Jeonju or from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for solo or group exhibitions. He also raised many artists such as Park Hang-Hwan, Sohn Gi-Jong, Ha Cheol-Gyeong, etc., to develop Korean paintings and to contribute to the Sothern art world. The Southern art world started from Shin Deok-Lin(1330~1402), a vassal at the end of Koryo dynasty. Opposing Lee Sung-Gye's foundation of the Chosun dynasty, he retired to Gwangju to concentrate on painting and calligraphy. Since then, Shin Jam, a posterity of Shin Deok-Lin, and Yang Paeng-Son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Yoon Du-Seo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has left us realistic portraits, and Yoon Deok-Hee, his son, Yoon Yong, his grand-son, and Sun Buddhist Choi, who was mother-sided grand-son of Yoon Deok-Hee and a disciple of Jeong Yak-Yong and Heo Ryeon, who was taught by Kim Jeong-Hee, Sun Buddhist Choi's friend, in the last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he Southern Art. In the Modern era, Heo Hyung, a son of Heo Ryeon, succeeded to the Southern Style Painting of Heo Ryeon, then Heo Geon, a son of Heo Hyeong, and Heo Baek-Ryeon, a collateral family of Heo Hyeong, succeeded to it. Later on, their apprentices have established either the School of Namnong or the School of Eui Jae to build wide range of the Southern Painting. Dochon Shin Young-Bok is an artist who represents the Namnong School. His world of ar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according to its aspects of development: First, a period of inquiry around the time of entering the art world through National Exhibition. Second, a period of settlement around which he worked as a recommended, an invitational artist, and a jury member for National Exhibition and Jeolanamdo Provincial Art Exhibition. Third, the period of the ripening stage around the time of his movement to Gwangju. During his period of inquiry, he showed Real Landscape Painting in National Exhibition Style influenced by Heo Geon. His works at this time took Haenam Daeheung temple, where Buddhist Monk Choi disciplined himself, and Youngam, the birthplace of Expert Wang In who influenced Japanese ancient civilization, or Mt. Wolchul, as his picture objects, which he painted en plein air by himself. They all strongly reflect Heo Geon's painting style. His second stage, the period of settlement, is the time when he looked for his unique Ideal Landscape Style in thick ink and brilliant colors based on his previous experience of Real Landscape Style. His Ideal Landscape features a view of a man contemplating the mountains and waterfalls, which holds a dreamlike atmosphere in the strongness of colors – rare in traditional Southern paintings. His ripening stage is the period where he exerted himself to group exhibitions such as Jeonnamilbo invitational exhibitions. He showed a feature of harmonizing his previous Ideal Landscape with representational feature of the Southern paintings and the sprit of Reality of the Northen paintings. The paintings in this period exemplify an inner utopia yearning to escape into the peaceful and tranquil world out of the harsh reality of the time.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he reduces using his past brilliant colors and replaces it with various light and thin colors in his recent works such as "A view of Mt. Geumgang" Dochon taught painting to Park Hang-Whan, Sohn Gi-Jong, Ha Cheol-Gyeong, etc., at the late 1970s, a period of settlement. However, he encouraged them, as his teacher Heo Geon did, not to follow his painting style, but to develop their own style. Therefore, his deciples have shown their own variousnes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Unlike other general study on art history, this paper bears a rashness to study an artist who passed away recently(May 2013) and whose historical evaluation has not been fully arranged yet. However, the study as a new tryout is thought being justified for its collection of material, its analysis and research and finding new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Through the paper, it is intended to apprehend how the Southern Paintings, an important art stream in Namdo, had been understood and interpreted by Dochon and what influences had it given to the Contemporary Art.

      • 임인 허 림의 예술세계 연구

        고영석 호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03

        임인 허 림이 1917년 전남 강진 병영에서 태어난 후 부친 미산을 따라 목포로 이사 와서 그림 공부를 하여 선전에 입선한 때는 임인의 나이 19세 때인 1935년이었다. 일제강점기에 해당하는 1930년대 한국화단은 조선의 미술을 일본의 미술에 동화시키려는 의도로 진행된 문화적 압박으로 한국 전통의 남화정신이 흐려졌으며 관념 산수의 기술적 답습만 이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한국화의 문화적 혼란기에 일본화의 화풍은 자연스럽게 전파되어 새로운 감각의 그림 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일본화를 수용하는 작가들이 등장하였다. 허 림도 생전에 일본에서 미술학교를 다니고 일본 화가의 영향을 받은 그림을 그렸으며, 일본 문전풍이라고 말하는 새로운 화풍을 수용하며 토점법토점법(土店法) : 두텁게 배접한 화선지에 밑그림을 바탕으로 황토로 점을 찍어 그림을 그린 다음 그 위에 다 시 색을 칠하여 완성시키는 점묘기법. 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게 된다. 허 림은 선전이나 문전에 이런 독창적인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을 출품하여 그 실력을 인정을 받았으며, 부친 미산 허 형의 사망 이후 그림의 스승이나 다름없었던 형 남농 허 건에게도 미점법의 독자적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동조를 얻게 되었다. 남종화의 창의적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허 림의 예술 활동을 재조명한다면, 일본 유학 시절 한국의 진채화와는 다른 새로운 기법의 채색을 적용하는 그림공부를 하였으나, 수묵담채화 기법도 병용하여 남종화 계승의 독자적 화맥을 이루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허 림 작품의 배경이 된 목포의 지리적 특징을 들 수 있다. 목포는 전통 남종화의 예술 정신이 싹트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준 지역이면서, 동시에 서양화를 새로운 문화의 일부로 받아들여 지역의 젊은 화가들에게 일찍부터 개방적 예술관을 심어주었다. 그리하여 전통과 결합한 독자적 화풍을 이룰 수 있는 예술적 배경이 된 곳이기에 의미가 있다. 서구의 문화의 유입 속에서도 전통의 남도남종화가 꽃을 피울 수 있었던 목포와 진도의 향토적 자연과 풍물은 허 림 작품의 정신적 밑바탕으로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산 허 형은 목포와 진도에서 허 건, 허 림 두 아들에게 서예와 그림을 가르쳤으니, 이것은 운림산방의 신 남종화의 예술혼을 3대로 계승시킨 것이다. 임인이 26세로 요절하지 않았으면 남농 산수의 화맥과 쌍벽을 이루는 임인 화맥으로 많은 제자들을 길러 낼 수 있었을 것이다. 다만 임인의 아들 임전 허 문이 운림산방의 남종화 계보를 4대 째 이어받아 갈필법에 ‘운무산수화’라는 독자적 화풍을 정립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둘째, 허 림의 작품에 스며있는 남종화의 정신을 들 수 있다. 허 림은 남농과 함께 어린 시절부터 부친 허 형에게서 문인화 표현의 기초가 되는 서예와 사군자 학습을 통하여 운필법을 배워 기본 실력을 쌓고, 남종화의 환경 속에서 그림을 배운다. 그러나 초기 그림의 스승이나 다름없던 남농 허 건이나 부친의 지도 방식에 만족할 수 없었던 그는, 사실묘법에 충실한 창의성이 있는 작품 제작을 시도하게 된다. 남종화의 화법의 전통 계승자로 남종화의 화법을 모르고서는 근대화로의 변신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던 남농은 남종화법을 바탕으로 독자적 화풍을 이루려고 노력했으며, 허 림의 토점법도 자신의 화풍의 일부로 수용하는 폭 넓은 예술정신을 실천했다. 초기 허 림의 선전 출품작 등을 보면 갈필기법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표현한 점, 부드러운 채색의 일본화의 화풍을 수용한 점, 미점법의 사용 등이 청전 이상범이나 허건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일본식 남화화풍이나 다른 사람의 화풍을 무조건 수용하지 않고 어린 시절 몸에 익힌 남종 수묵산수화 기법을 바탕으로 근대화된 그림을 그려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허 림이 요절하지 않았다면 허 건과 마찬가지로 운림산방의 예술혼을 이어받아 독자적 화풍의 전 현대미술관 임영방 관장이 목포 남농기념관 견학 시 허림의 '닭장의 노인'등 작품을 보고 한 평가임. 남종화나 북종화 계열인 일본 채색화풍에 서양적 표현을 빌은 새로운 채색화 작가로 우뚝 설 수 있었을 것이다. 셋째, 허 림의 토점법에 스며있는 한국전통 표현 기법으로서의 우수성과 독자성에 대한 재조명이다. 허림 이 창안한 토점법은 전통의 남종화와는 거리가 멀지만 모든 사물을 점으로 표현한 점, 한국적 재료인 황토를 사용한 점, 질감의 입체적 표현을 통해 기운생동의 정신을 나타낸 점 등에서 또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허 림의 영향을 받아 작품 활동을 하던 허 건을 비롯한 몇몇 작가들조차도 폭 넓게 발전시키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토점기법의 독자성이 강하여 허 림을 능가하는 토점법의 표현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허 림 토점법의 우수성과 독자성을 체계적으로 밝히려면 허 림의 예술세계에 대한 편견과 선입관을 배제하여 연구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면 ‘사승관계에 의한 근현대 한국화단의 형성과정

      • 돌의 질감표현을 응용한 작품 연구 : 본인 작품세계와 창작과정을 중심으로

        백지회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03

        자신의 독창적인 시각과 기법으로 표현되지 않은 그림만큼 시시한 것은 없다. 특히 아무런 사고와 표현 없이 밋밋하고도 얇은 기교만이 선행한 작품은 말할 나위 없다. 본 고에서는 질감(質感)을 주제로, 한국적 질감을 찾아 그것을 구체화 하였다. 기법이 표현의 단순한 표피를 장식하는 손끝의 테크닉으로서가 아니라, 대상에 작용하는 본질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교량역(橋梁役)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것임을 명쾌하게 하여 가고자 한다. 그렇다면 한국적 질감은 과연 무엇이고, 그 이전에 한국적 미감(美感)이란 어떤 것인지에 관해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미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자연(自然)의 미(美)’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나무, 돌, 흙, 바람 등 어느 하나도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으며 또한 진한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자연관은 중국에서 전래된 유(儒)․불(佛)․선(仙) 사상의 영향에서 이루어 졌는데 그 중에서 특히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사상이 가장 큰 정신적 기조(基調)를 이루고 있다. 한국인들은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자연환경을 정복하려는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려는 삶의 자세로 여겨진다. 흔히 말하는 ‘무기교의 기교’ 라는 표현은 우리민족이 구태여 기교를 부리기보다는 자연이 주는 재료적인 특징을 최대한 살려 표현하려는 것으로, 이를 작품 창작으로 연결하면 인위(人爲)적인 꾸밈이 없는 자연과의 합일(合一), 그 자체의 것으로 두려는 한국미술의 특징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우리 민족과 친밀한 자연의 여러 소재 중에서도 ‘돌’의 질감을 선택하여 현대적 매체(媒體)로서의 조형적 가치 또는 그 기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적 미감, 정서로서의 ‘돌’이 갖는 의미와 조형적 언어, 그에 따른 ‘돌’문화와 현대적 매체로서의 ‘돌’, 그리고 그것을 응용한 본인의 작품세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담았다. 본인 작품에 있어서 조형미와 마티에르 표현기법은 선사시대 암각화, 삼국시대 이후 석탑 등의 ‘석조미술(石造美術)’에 근거하고 있으며, 작품의 주제 또한 석조미술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끊임없는 교류(交流)와 조화(調和) 및 순수(純粹)하고 본질(本質)적인 아름다움을 창출해 낸 우리의 민족성을 토대로 한다. 따라서 작품 내용에 있어서 암각화와 석탑 등에 나타난 염원과 소망을, 현 시대를 살아가는 생활환경속에서 행복을 추구하고 소망하는 본인의 기원적 사고와 결부시켜 보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돌가루를 바른 흔적이나 벽면 느낌의 시각적 효과를 위한 질감적 표현을 작품에 적극 응용하였다. 이는 쌓아올린 시간의 흔적들을 통해 고풍스럽고 질박한 미감을 창출해내고, 만물의 근원(根源)이자 생명의 시원(始原)인 돌을 재현함으로써 돌의 세계 즉, 자연의 세계에 귀의하고자 하는 의미로 작품화 하였다. 또한 전통미술에 나타난 상징적 ‘돌’문화를 현대적 요소로 재해석하며, 본인의 미의식과 결부시켜 제작해 봄으로써 한국적 감성에 바탕을 둔 우리의 현대적 조형의식(造形意識)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Paintings without creative vision and technique have little value to enjoy watching. Needless to say, sophisticated art on no consideration and expression is more than that. This study based on 'martiere', embodied Korean way of martiere that focused on my works before going back to essence of creation. It is intended to be clear that technique is not simple and decorative, but is necessary as a joint of essential communication applied to objects. So, we are needed to examine about Korean way of matiere and beauty thoroughly. Natural Beauty is a way of saying Korean Beauty. All the objects like trees, stones, soil and wind around us are beautiful and strongly impress people. The view of nature is from Chines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especially Taoism - leaving nature as it is - is the strongest mental basis. The Koreans try to have attitude to harmonize with nature, not to conquer it. So-called 'artless art' is that Korean people try to make use of material characteristic rather than to express with artificial techniques, and it means Korean fine arts seek unity with nature without artificial decoration. Among various materials of ar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formative value of 'stone' as a contemporary medium, and specifically contemplate the technique. Also this research includes Korean beauty, emotional meaning of stone as formative language, culture of using stone, and a process to reach at my creation applying stone as contemporary medium. In my works. formative and martiere expression technique is based on stone paintings in the prehistoric age, stone art such as mural paintings in tumulus or stone monuments. Also the theme of works is focused on ethnic nature to create endless communication and harmonization, and pure and essential beauty. Therefore, main contents are intended to make connection with wishes carved on stone monuments and our invocation to follow happiness in contemporary age. With this background, matiere is applied in paintings for marks of stone powder and visual effects of the surface of a wall. Accordingly, this creates antique and simple feeling of beauty and it means to return to nature through reproduction of stone as origin of all things in universe and ylem of life. Also, in this study, the culture of stone in traditional art is reinterpreted as contemporary factor, and I tries to find our contemporary formative consciousness and ways on Korean emotion by relation with my aesthetic sense.

      • 현대 한국화에서 화훼의 전치효과와 알레고리

        오정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34303

        Western modern techniques have been of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that Korean paintings became part of modern paintings and came to reveal its new aspects. Among others, one sees the influence in the renovation of the way that deals with subjects and themes, in which the artist expresses her or his own intention or concepts not just by depicting or describing things as one sees them but displacing them with the comparable things. This method is remarkably different in the way it represents from sa&#365;i (寫意: literally, picturing the meanings) or &#365;isang (意象: literally, shapes of meanings) in the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In Korean paintings, the methods of displacing the objects to express &#365;isang had appeared widely in many genres but in the ink-and-wash painting, especially the realistic landscape. The young generation of the 1960s and the 1970s had represented the trend by their Korean painting movement that focused on coloring. Among the older generation, the Korean painters led by Chun Kyungja had taken up this trend. Yet, this trend does not have a proper ideology or a method established. This study addresses the paucity. A method or style may have an apparent frame but one seeks to establish its horizon more securely in line with the effort to study one's art work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lves into the rationale and methods of paintings that utilize displacement. It contemplates how the displacement that appears widely both in Western and Eastern paintings came to develop in Korean paintings and what its possibilities are. The theory and method of `displacement' is to express artist's intention not by the immediate objects but by other borrowed things that may hide the objects and have arbitrary relations. The displacement objects vary but this paper only considers displacement by flowers. Flowers have shown diverse symbolic meanings by displacement by the time and region in the history of painting. The beginnings of displacement by flowers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intings were usually those of magical meaning or religious symbols. By the modern times, Korean paintings have shown displacement of flowers for individual desires or ideologies of Eastern philosophy. In the case of Western paintings, it has shown displacements that symbolize various meanings by the colors, forms, and properties of the flowers. For the seasonality and natures of flower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like forms and colors can be expressed as displacements for diverse symbolism. Yet in contemporary paintings, flowers are used as displacements to show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 rather than the above collective meanings. The symbolic meanings by displacement are not universally communicated but expressed limitedly to a personal history through flowers displaced. More precisely, this personal displacement is possible as it merges with the collective displacement. From the displacement functions of flowers, there are emotional intentions by various reasoning of the author in the revealed forms. Through that displacement of things, one wants to express one's emotional intention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nsiders the agonies of deprivation of the sample artist Chun Kyungja in her childhood or adolescence and interprets the trauma occurred by that. In the proces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way that a specific theme is elevated to an allegory as well as to the process that expresses symbols through displacement. This is the method that I interpret the sample artist's works. The result from this interpretative process by the above methods is the following. First, encompassing the sample artist and myself, the displacement can be classified into loss and suppression states. The variation occurred in the entrance of themes, the motives of displacement, and the items of metonymy. It showed that the processes of setting the metonymy were different. Secondly, the sample artist and myself shared a common aspect in the process that we allegorize the symbols of a work. I confirm that my displacement by flowers due to my trauma had the items of metonymy in the subjects and that the metonymy formed a metaphor by repetition and condensation through Lacan (Jaques Lacan, 1901~1981)'s interpretation on sub-consciousness and Freud (Sigmund Freud, 1856~1939)'s theory on pleasure. From this the symbols in the sample artist's and my works attempted to show abstract entities in artists' inner worlds and in the process the allegories that were impersonations of the artists themselves came into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metonymy and metaphor. Thirdly, what differs the sample artist and myself is that the contents of trauma that made the beginnings of works. The sample artist Chun Kyungja came to have a trauma of loss through the collective trauma of the socio-historical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zation in the childhood and the Korean War. I have a trauma of suppression by personal sub-consciousness that is expressed in feminin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Chun Kyungja had the trauma of the nihilistic loss by collective sub-consciousness was confirmed by the socio-historical interpretation based on concepts by Jeffrey (Jeffrey C. Alexander, 1947~) and Jung (Carl Gustav Jung, 1875~1961). That I have a trauma of suppression inherent in my sub-consciousness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theory by Nancy J. Chodorow (1944~) and narcissism theory of Freud. As shown above, it is confirmed that flowers can become allegories through the process of metonymy and metaphor by considering the painting methods relying on theories of displacement. It also showed that psychoanalytical interpretation can be a useful method to confirm it. 한국화가 현대회화에 포함되면서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기에 이른 데는 서구의 현대적 기법의 세례를 받은 바 크다. 그 가운데서도 소재나 주제를 다루는 방식에서 혁신을 가져온 바, 보이는 형상을 묘사하고 서술하는 대신, 이를 빌려 작가의 의도나 컨셉을 이와 비교될 수 있는 사물을 빌려 전치하여 표현하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방식은 전통적으로 중국화의 사의적(寫意的) 표현이나 의상(意象)을 빌리는 것과는 표상하는 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한국화의 경우, 의상의 표출을 위해 사물을 전치하여 나타내는 방법은 수묵화 계열, 특히 실경산수를 제외한 한국화의 여러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1960년대~70년대 젊은 세대의 한국화 운동을 시작으로 채색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 경향이 이를 대변해왔다. 원로세대로는 천경자를 시발점으로 하는 신 한국화 세대가 이 추세를 이어 받았다. 그러나 아직 이 경향은 그 이념과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점에 주목한다. 하나의 방법과 양식은 분명한 틀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것의 지평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확실히 하려는 시도는 연구자의 작품연구와 같은 맥락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방향에서 연구자는 전치의 방법을 사용하는 회화의 논리와 방법을 고찰한다. 동서회화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등장하는 전치의 방법이 우리의 한국화에서 어떻게 전개될 수 있었고 그 가능성이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전치(轉置, displacement)'의 원리와 방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은폐하고 이와 임의의 연관성을 갖는 타자적 사물을 차용해서 표현함으로써 작가의 의중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전치의 대상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본고에서는 화훼를 빌린 전치에 국한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회화사에 있어서 화훼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전치에 의한 여러 가지 상징적 의미를 띠고 나타난다. 동서양의 회화에 나타난 화훼의 전치의 시발점이 되는 예는 대체적으로 주술적 의미나 종교적 상징성의 의미로 등장하였다. 근대까지 우리나라의 경우는 개인의 욕망이나 동양철학적 이념 등의 대리물로 전치된 화훼가 나타나고, 서양의 경우는 각자의 화훼가 가지는 색이나 형태, 그리고 성질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상징하는 대리물로 나타나게 된다. 화훼가 갖는 계절적 특성과 자연의 본성, 그리고 형태와 색감 등의 여러 성질로 인해 다양한 상징성을 대리하는 대리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회화에 등장하는 화훼는 이러한 집합적인 전치가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드러내고자 전치를 사용한다. 전치에 의한 상징개념은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화훼를 전치대상으로 삼아 개인사에 한정하여 표현된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개인사적 전치가 집합적 전치와 병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화훼의 전치기능에서 시작하여 모티프의 드러나는 형상 속에는 작가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논리에서 심적 동기가 있고 이로 인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의 대상전이가 일어나게 된다는 데 중점을 두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표본작가 천경자의 경우 작가의 유년 시절이나 성장기에 상실(deprivation)을 체험한 고뇌를 고찰하고 이에서 발생하는 트라우마를 찾아 해석하려는 데 뜻이 있다. 이 과정에서 작품의 기표가 전치를 빌려 등장하는 과정은 물론 특정주제가 알레고리로 격상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표본작가의 작품세계를 해석하는 연구자의 방식이 이것이다. 이상의 방식을 통한 해석 절차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표본작가와 연구자의 경우를 망라해서 전치는 상실과 억압의 국면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소재의 등장, 전치의 동기, 환유의 품목들에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여기서 환유의 설정과정이 다르다는 데 주목할 수 있었다. 둘째, 표본작가와 연구자가 공유하고 있는 면은 작품의 기표를 알레고리화 하는 과정에서 일치점을 보였다. 작가의 트라우마에 의한 화훼의 전치는 그 소재 속에서 말하고자 하는 환유의 품목을 지니고, 환유는 서로 중복되고 응축되면서 은유를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을 라캉(Jaques Lacan, 1901~1981)의 무의식에 대한 해석과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쾌락의 원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본작가와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기표들은 전치를 통해서 작가내면의 추상적 실체를 보이고자 하였고, 여기서 환유와 은유의 과정을 거쳐 작가자신의 의인화된 알레고리가 등장했음을 보였다. 셋째, 표본작가와 연구자의 차별성은 작품의 출발점인 트라우마의 내용이 각기 다르다는 점이다. 표본작가 천경자는 역사-사회적으로 일제강점기의 유년 시절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집단 트라우마에 의한 상실의 트라우마를 지니게 되었고, 연구자는 개인 무의식에 의한 억압의 트라우마를 갖고 여성성의 심리적 특성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천경자는 역사-사회적 해석을 통한 집단 무의식에 의한 허무주의적 상실의 트라우마를 지니고 있었음을 제프리(Jeffrey C. Alexander, 1947~)와,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개념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자는 개인 무의식에 내재된 트라우마로서 억압의 내용을 담고 있음을 프로이트를 수용한 낸시 초도로우(Nancy J. chodorow, 1944~) 와 프로이트의 나르시시즘 이론에 근거하여 기의를 해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치의 논리를 빌려 회화적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화훼가 환유와 은유의 과정을 거쳐 알레고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정신분석적 해석은 이를 검증하는 유용한 방법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