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나리아를 활용한 스택스매싱 버터 오버플로 방지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황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IoT 기술이 꾸준하게 발전되면서 의료 시스템, 스마트 TV 시계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66%가 C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되어 메모리에 취약하고 이는 IoT 기기에 위협적으로 작용한다. 버퍼 오버플로 취약점 중 스택스매싱 공격은 사용자가 정의한 버퍼 크기보다 큰 값을 삽입하여 프로그램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한다. 공격자는 이를 악용하여 프로그램의 반환 주소나 제어 정보를 탈취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스택 스매싱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기존에 알려진 ASLR, DSLR, Canary 메커니즘 연구를 진행했다. 그 중, DSLR과 Canary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탐지 메커니즘을 Rasberry Pi 4와 Ubuntu 16.04 LTS 환경에서 구현하여 테스트했다. 스택스매싱 공격이 발생하게 되면 공격받은 버퍼의 값은 문자열 A로 변형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반환 주소 앞에 카나리아 변수를 배치하여 공격이 발생했는지 알아낸다. 공격을 탐지하기 조건으로 무작위 카나리아 값, XOR 연산, 무작위 배열에 카나리아 값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공격을 탐지하고자 했다. 각각의 탐지 조건은 공격을 탐지한 후 사용자에게 공격이 발생했음을 알리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또한, 각 탐지 조건을 2가지, 3가지로 조합하여 더 나은 탐지율을 예상했으나 하나의 조건만으로 탐지하는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게 측정되었다.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탐지 대응 SW를 설계하여 이를 구현하여 스택스매싱 공격을 탐지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With the recent steady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it is widely used in medical systems and smart TV watches. 66% of software development is developed using language C, making it vulnerable to memory, which poses a threat to IoT devices. Among buffer overflow vulnerabilities, a stack-smashing attack inserts a value larger than the user-defined buffer size, preventing the program from functioning normally. The attacker may exploit this to arbitrarily change the return address or control informat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fend against stack smashing attacks, we conducted previously known ASLR, DSLR, and Canary mechanism studies. Among them, the detection mechanism was implemented and tested in the Rasberry Pi 4 and Ubuntu 16.04 LTS environments using DSLR and Canary mechanisms. When a stack smashing attack occurs, the value of the attacked buffer is transformed into a string A. Using this, a canary variable is placed in front of the return address to find out if the attack occurred. We tried to detect attacks using random canary values, XOR operations, and methods of placing canary values in random arrays as conditions for detecting attacks. Each detection condition detects an attack and then notifies the user that the attack has occurred and shuts down the program. In addition, a better detection rate was expected by combining each detection condition into two or three, but it was measured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esult of detecting only one condition.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we would like to propose a method of detecting stack smashing attack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ection response SW.

      • 현대도예에 나타난 내러티브 양상 연구 : ‘틈새’구조를 중심으로

        황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amines how and in what forms the narratives of modern ceramic arts have shaped and discusses how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s can be interpreted in concrete. Ultimately two factors set the direction for this paper involv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ceramic arts. First is that my work has taken the structure of narratives in its forms and contents through formative ceramics. Second is the realization that the structure of that narrative is heterogeneous from that of Western narratives. My narrative structure is based on a Korean thought system and narrative structure. It forms its base through the so-called 'rift' structure. Basically, narratives occur in between two opposing elements by their transitioning processes. From emptiness to fullness, sadness to happiness, from the inception of an object to the realization of it would be the examples and ultimately the transition between death and life is one of them too. 'Life -> death -> afterlife' makes the base of all religious narrative structures and I also have been delving into that narrative of life and death. The problem is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changes depending on how one se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in their fundamental narrative structure and it reflects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 opposing structure of life and death, I did not leave the life and death as binary oppositional elements. I sought to configure the rift structure originated from my Korean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in it. If the Western way is to separate life and death clearly and to dream of the eternal life after death, the Korean way is to have life and death all intricately interconnected. That is, it believes that life and death are not different. Especially the Korean ancient literature like SamgukYusa shows the world view of Silla people that is based on the shamanic world view combining spiritual things, ghosts, gods, humans, and the nature all in a wholistic world. Unlike the West, the separa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is not clear. Therefore, the narrative of 'rifts' aims at the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between two opposing elements especially by refraining from confrontation between opposing things i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by seeing the rifts between the opposing tensions. Overcoming the opposing structur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he above and below, and the surface and the hidden side, the form and the background, and the appearance and reality through rifts is to search the direction for humans in the opposing structure of the nature, humans, and civilization, and life and death. Viola Frey and Robert Arneson, the two sample artists for the comparison of narrative structure with mine, are artists who constructed their narrative structures in typically Western binary oppositions. Viola Frey is famous for her bricollage structural method that collages wasted items or antiques, the color expression on the unique Fauvistic surface, and the huge sculpture of the male and female bodies. She showed the attempt to recover the existence of the human that lost 'power and control' and degenerated as a waste of civilization through a feminine narrative structure. Arneson has worked on configuring the human body from the early Punk ceramic arts period. Regarding the problem of subjects, he has developed his narratives in line with the post-structural thoughts that recognized human subjects as cultural constructs. If Frey had pursued the original and ideal human type that is out of the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i.e. the human type that had power and control, Arneson pursued the subject type that is thoroughly constructed in the socia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Arneson resolved the binary oppositional structur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s in the narrative structure by conceiving the subject as one formed through others while Frey sought for the third, feminine way that transcended the binary structure of the subject and the others. Lastly, I expressed the origin that fundamentally gave birth to the two opposing elements as non other than 'rifts' forms and structures to allow coexistence of the binary opposing elements such as life and death, the subject and the others, and the nature and the human. All three artists recognized the opposition a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but how they deal with the opposition differs either in formative aspects or in its contents. 본고는 현대도예의 내러티브가 어떠한 방식과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피는 한편, 그 내러티브의 구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절차를 통해 분석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궁극적으로 본인의 작품이 형식이나 내용에서 형상도예를 통한 내러티브 구조를 띠고 있다는 점과 그 내러티브의 구조가 서구적인 내러티브의 방식과 다르다는 데서 본고의 문제의식이 시작되었다. 본인의 내러티브의 구조는 한국적인 사유체계와 내러티브의 구조에 기반해 있으면서 이른바 ‘틈새(rift)’구조를 통해 내러티브의 기본구조를 형성한다. 가장 기본적으로 말해, 내러티브는 두 대립하는 것들 사이에서 그것들 간의 이행구조를 통해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결여에서 채움으로, 불행에서 행복으로, 목표의 설정에서 그것의 달성으로 말해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죽음과 삶의 이행구조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삶 -> 죽음 ->죽음 이후의 삶’은 모든 종교의 내러티브 구조에 있어 근간을 이루고 있는데, 연구자의 경우에도 이러한 죽음과 삶의 내러티브를 오랜 동안 천착해 왔다. 문제는 이렇게 죽음과 삶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내러티브의 구조에서 그것들 간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에서 내러티브의 구조가 달라지며, 이는 조형적 특질에도 반영이 된다. 연구자는 죽음과 삶의 대립 구조에서 단순히 죽음과 삶을 이항대립적 요소로 두지 않고 이들 간의 한국적 이해에서 비롯된 틈새 구조를 작품에 성안하고자 했다. 서구적인 방식이 죽음과 삶을 확연히 분리하고, 죽음 이후의 영원한 삶을 꿈꾸는 방식이라면, 한국적 방식은 죽음과 삶이 한데 엉켜 있는 방식을 띤다. 즉 죽음과 삶이 다른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특히 한국의 고문학, 예컨대 삼국유사에서 전하는 신라인들의 세계관은 영적인 것, 귀신, 신, 인간, 자연이 하나의 전일적 세계에서 한데 어우러져 사는 샤머니즘적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다. 서구와 다르게 이계를 현계와 확연히 분리시키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틈새’의 내러티브라는 것은 대립하는 항들, 특히 조형적 특성의 대립적 요소들 간에 대립을 지양하고 그 대립들의 틈새를 봄으로써 둘 간의 공존과 화해를 지향한다. 안과 밖, 위와 아래, 표면과 이면, 형상과 배경, 현상(appearance)과 실재(reality)의 대립적 구조를 틈새를 통해 지양하고자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자연과 인간, 문명, 죽음과 삶의 대립구조에서 인간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자와의 내러티브의 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표본작가로 다루었던 비올라 프레이(Viola Frey)와 로버트 아네슨(Robert Arneson)은 전형적인 서구적인 이분법에 의해 내러티브의 구조를 만드는 작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비올라 프레이는 폐품이나 골동품들을 수집해 콜라주하는 브리콜라주(bricollage)라는 구성적 방식과 야수파적인 독특한 표면의 색채 표현,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거대한 인체 조각으로 유명한데, 그녀는 ‘힘과 통제력’을 갖지 못하고 문명의 쓰레기로 전락하는 인간의 실존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를 여성적 내러티브의 구조를 통해 보여주었고, 한편, 아네슨은 초기 펑크 도예에서부터 줄곧 인체 형상 작업을 해왔는데, 그는 주체성의 문제에 있어서 후기구조주의적인 사유체계를 따라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내러티브의 내용을 전개해 왔다. 프레이가 사회적인 문화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있는 근원적이고 이상적인 인간상, 즉 힘과 통제를 갖는 인간상을 추구했다면, 아네슨은 철저히 사회적인 구조 속에서 형성되는 주체성을 찾아 나섰던 것이다. 한편, 내러티브의 형식적 구조에 있어서 아네슨은 주체와 타자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조를 타자를 통한 주체성의 형성이라는 방식으로 해소하는가 하면, 프레이는 주체와 타자의 이분법의 구조를 초월해 있는 제 3의 여성적 길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그러한 대립 구조에서 대립하는 두 요소를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낳는다고 보는 근원을 바로 ‘틈새’의 형식과 구조를 통해 표현하였고, 이를 통해 두 대립 요소, 즉 죽음과 삶, 주체와 타자, 자연과 인간을 공존시키고자 하였다. 세 작가 모두 대립을 기본적인 내러티브의 구조로서 용인하나, 그 대립을 다루는 방식이 조형적이건 내용적인 면에서건 차별화가 이루어 진다.

      • Maupassant의 단편 소설, La Parure, La Ficelle, Le Parapluie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심리 분석 : MBTI이론을 중심으로

        황도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 드 모파상 Guy de Maupassant의 작품은 초기의 사실주의적 경향으로부터 자연주의적 경향으로 옮아갔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의 작품은 자연주의적 경향을 띠게 되면서 환경과 유전의 요인으로써 인간의 심리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페시미즘 사상 또한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특색과 함께 등장인물들의 심리가 현실적이고도 냉철하게 묘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 드 모파상의 작품이 전반적으로 염세적이고 현실적인 인물을 대상화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그의 단편 소설 중에서『목걸이』,『노끈』,『우산』의 등장인물 심리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세기 프랑스 문학에 대한 연구는 여러 방향에서 다양하게 계속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그의 작품 속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 분석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모파상 작품에 대한 심리 분석적 접근을 위해서 여러 심리 이론 가운데 상대적으로 새로운 이론을 방법적으로 원용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융의 심리유형론의 기반을 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이론을 그 도구로 사용하였다. 칼 구스타브 융 Carl Gustav Jung은 인간은 누구나 독특하고 고유한 심리 유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면서 그 유형들을 제시한 바 있다. 여기서 그가 말하는 심리유형이란 두 가지 에너지의 방향(외향성, 내향성)과 네 가지 정신과정(감각, 직관, 사고, 감정)의 결합을 의미하며, 이 결합으로 8가지 심리 유형을 만들게 된다. 그 후, 여기서 비롯되는 개인차와 보편적 심리 유형을 바탕을 두어 미국의 캐서린 쿡 브릭스 Katherine Cook Briggs와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Isabel Briggs Myers가 융의 심리유형론을 보다 심화 발전시켜 인간의 심리적 유형을 판단하는 검사인 MBTI 이론을 개발했다. 이 이론은 융의 심리유형론에 인식과 판단 기능을 추가하여 16가지로 인간의 심리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MBTI의 체계를 통해 모파상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심리 분석을 적용해 보았다. 현실적인 등장인물을 하나의 인격으로 보아 그들의 성격을 고찰하여 보았으며, MBTI 이론을 통한 등장인물의 심리 분석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그 결과 모파상의 등장인물의 심리 분석에 대한 MBTI 이론의 접근은 매우 만족할 만한 방법은 될 수 없겠으나, 모파상 작품 세계와 함께 작품 속에 나타난 페시미즘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작은 시도는 되지 않을까 사려 된다. 등장인물의 심리 분석은 '인간의 이해'의 차원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자기실현에 도달하기 위한 '심리 역동의 변화'의 중요성을 제시 해주고 있다. 또한 이것은 작가의 의도와 사상에 대한 이해의 기회가 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파상의 또 다른 작품들에서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보다 발전적이고 심층적인 심리 분석 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Dans ses œuvres, Guy de Maupassant introduit le naturalisme, dérivé du réalisme. Ce courant fait notamment relever la psychologie des personnages de l'environnement et de facteurs héréditaires ; un fonds de pessimisme marque aussi les écrits de Maupassant. Celui-ci décrit par ailleurs le caractère de ses personnages en adoptant un point de vue réel et lucide. Nous commençons par considérer que les œuvres de Maupassant traitent généralement de personnes qui existent dans la réalité et tendent au pessimisme. Nous analysons ensuite la psychologie des personnages dans trois de ses nouvelles : La Parure, La Ficelle, Le Parapluie. Celles-ci sont assez connues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du xix ͤ siècle et ces textes continuent d'être l'objet d'études, à travers diverses approches critiques. Mais les travaux portant sur l'analyse psychologique des personnages sont plutôt rares comparativement aux autres approches critiques. Nous avons donc emprunté une théorie relativement nouvelle parmi les théories psychologiques : il s'agit du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basé sur la typologie de Jung. D'après Carl Gustave Jung, chacun de nous a son style propre et spécifique, qualifié de « type psychologique ». Combinant deux orientations de l'énergie (extravertie et introvertie) à quatre processus mentaux (sensation, pensée ou réflexion, sentiment et intuition), il obtient un ensemble de huit combinaisons. Dans la mouvance jungienne, deux Américaines, Katherine Cook Briggs et Isabel Briggs Myers, ont élaboré une méthode destinée à estimer le type psychologique de la personne. Cette théorie MBTI est plus variée et nuancée que celle de Jung. Elle ajoute le jugement et la perception à la typologie jungienne, et aboutit à seize types. Nous avons appliqué aux personnages littéraires l'analyse psychologique du système MBTI. Nous avons ensuite considéré leurs caractères comme étant ceux de personnages réels, tout en examinant les limites et la signification de ce type d'analyse psychologique des personnages par le biais du MBTI. En conclusion, il nous faut avouer que l'approche analytique par le MBTI n'est pas des plus satisfaisantes. Il reste que cette méthode peut aider à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e l'univers littéraire de Maupassant, œuvre traversée par le pessimisme. Par ce biais, l'analyse psychologique du personnage littéraire devrait correspondre à « la compréhension des hommes ». Elle révèle l'importance du changement psychologique du personnage vers la réalisation de soi et elle aide à comprendre l'esprit et l'intention de l'auteur à travers ses œuvres. Nous souhaitons donc que cette recherche soit poursuivie, que l'analyse psychologique des personnages s'étende au reste de son œuvre.

      •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이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의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도영 남부대학교 문화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삶의 만족도의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복이란 정신과적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증상을 관리하여 지역사회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현병 환자가 회복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구체적 사항에 대해 알고 있고, 치료 제공자와 협력해서 질병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증상관리, 약물 교육, 회복전략,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개발, 삶의 질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는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회복지향질병관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정신 장애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문제 해결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주를 이루었으나 국내에서 조현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고, 특히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는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소재 개방 병동에 입원 중인 조현병 환자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참여자 60명을 대상(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총 8회기를 매주 실시하여 8주간 진행하였고 한국판 정신건강 회복 척도(K-MHRM), 정신질환 지식 척도(Mental Illness Knowledge Scale), 삶의 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Scale)를 활용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해당하는 종속 변수 중 정신건강 회복, 정신건강 회복의 하위 요인인 희망과 재정의, 영성, 지지와 옹호, 자기권한부여, 안녕감과 자기주도적 활동, 정신질환 지식, 정신질환 지식의 하위 요인인 재발,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가족 및 친척관계, 자아감 및 일반적 삶, 친구 및 대인관계, 의·식·경제 정도, 여가활동, 직업 및 하루일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정신건강 회복의 하위 요인인 기본 기능과 정신질환 지식의 하위 요인인 원인, 치료, 증상, 약물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주거환경, 신체 및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삶의 만족도의 총 점수에 있어서는 사전점수 대비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본 연구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국내 정신의료기관에서 병원기반 사례 관리를 시행할 때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의 요소가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회복지향 기반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이 검증되었는데, 이를 통해 강점 관점 및 회복 탄력성의 이론적 개념을 적용하고 그 중요성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셋째,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는 전무한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의 재입원율 감소와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충분한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 지역의 정신의료기관에서 모집되었으므로 조현병 환자군 전체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표집 지역을 확대하고 다양한 정신의료기관에서 많은 참여자들을 모집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진행한 퇴원을 앞둔 조현병 환자 대상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해당하는 종속 변수 중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정신건강 회복의 하위 요인인 기본 기능과 정신질환 지식의 하위 요인인 원인, 치료, 증상, 약물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주거환경, 신체 및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참여자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중복 수혜에 따른 효과를 통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의 단독 효과에 따른 영향력의 정도를 더욱 정교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중복 참여를 통제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볼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 입원한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회복지향질병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정신건강 회복, 정신질환 지식,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향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나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Deinococcus radiodurans의 deinoxanthin 고생산을 위한 배양 최적화

        황도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Deinococcus radiodurans, which is highly resistant to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radiation and desiccantion, oxidizing agents, and heavy metals, has been the subject of major research in fields for bioremediation since its discovery. Deinoxanthin is an unique carotenoid produced by D.radiodurans and known to have high antioxidant capacity. However, industrialization of deinoxanthin and D.radiodurans was limited, because of the low level of cultivation of D.radiodurans. To solve this proble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ptimization of culture, but most of them have optimized the culture in flask scale. In this study,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carbon source, pH, culture temperature, culture time, and light conditions for D.radiodurans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high production of deinoxanthin in culture using a 5 L fermenter.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D600 was 32.13 and the production of deinoxanthin was 182.89±0.42 mg/L in a modified TSY medium consisting of 5 g/L tryptone, 5 g/L yeast extract, 10 g/L sucrose, 0.5 g/L MgSO4·7H2O, and 1 mg/L MnCl2 with pH 7.0, 37 ℃, 250 rpm, 4 SLPM, and DO>30% conditions were incubated until the late exponential phase (about 29 hours). As a result of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cytotoxicity using deinoxanthin extracted from D.radiodurans cultured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s using a 5 L fermenter, IC50, the half max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deinoxanthin, was found to be 9.33 ± 0.07 mg/mL,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showed cytotoxicity from a concentration of 0.2%.

      • 광고의 대중문화적 기능에 관한 연구

        황도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마아케팅전공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how consumers think about Mass-Mediated Cultural Functiona1s of Advertising. And to investigate this, this study performed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research on actual stat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Advertising in aspec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both, and looked into the definition of Mass-Mediated Culture with studying Elite Culture, Mass-Media, Massculture, and National Culture. Also, this study has known that the advertising functioned cultural phenomenon. The Mass-Mediated Cultural Functiona1s of Advertising, indicated by the research of document, are ultimately as follows. (1) Functions 1) Manifest Functions (1)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2) Function of expanding consumption economy (3) Function of conveying value structure. (4) Data reduction function. (5) Choice-restricting function (6) Institutional function. 2) Latent Functions. (1) Function of providing fantastic world (2) Socializing function (3) Function of connecting industry and consciousness of mass (2) Dysfunctions (1) Dysfunction of uniforming cultural levels (2) Dysfunction of promoting one-time-usage products. (3) Dysfunction of promoting materialism (4) Dysfunction of providing instant gratification (5) Dysfunction of promoting class-consciousness (6) Dysfunction of degenerating moral and ethical level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ss-Mediated Cultural Functionals of Advertising are reflected on our life wit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V Advertising. In the research on actual state, this study observed consumers' response to advertising to know how consumers understand the mass-mediated cultural functionals of advertising with the questionaire involving five categories--the thiking-way of consumers, life style, emotional life, social effect, and cultural level about advertising. Then consumers critically and negatively responded to that as a rule specially to the aspects of contents, morality, spirituality, and quality.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re were following problems, (1) False and exaggerated advertisings are a lot. (2) Advertising weakens spiritual-value. (3) Advertising has a bad effect on the language life of children. (4) Advertising has a bad effect on the morality because of the disregardness of morality and value. (5) Advertising doesn't create a independent culture of advertising. And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1) The owner of company should communicate real-fact and should advertise with the duty of serving consumers to make good choice. (2) The owner of company should advertise in accordance with the morality and the value to improve the public welfare. (3) The owner of company should serve the advertising to function well in educational, spiritual reviews. (4) The owners of company, authorities, advertising medias, and consumers should make effects to establish the objectives and directions of advertising. (5) The authorities should eff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advertising by supporting the professional advertising institution. In view of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research on actual state so far performed, this study has known that advertising is Mass-Mediated Cultural Phenomenon created by mass media as a subsystem of social culture, and that consumers show negative and critical response to the effect of advertising. So, in order that the advertising may be positively accepted by consumers and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s a Mass-Culture, we should make effects as follows. (1) We raise the morality of advertising. (2) We make advertising truthful and creative. (3) We make a comprehensive study of advertising. Finally,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advertising fully display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leaves subjects as follows. (1) We should investigate macroscopic aspect of advertising. (2) We should minimize the inverse function of advertising.

      • 脂肪代替素材를 利用한 저지방·저칼로리 프랑크푸르트 소시지에 關한 硏究

        황도영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天然脂肪代替素材(Carrageeenan, ISP, TrimChoice, Celish)를 이용하여 제조한 저지방·저칼로리 프랑크푸르트 소시지의 物理·化學的, 物性學的 및 官能的 特性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방대체 소시지간의 pH 변화는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2. 모든 처리구에서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水分, 蛋白質 含量이 증가하였으며, 脂肪含量은 크게 감소하였다. 3. Carrageenan 대체소시지가 加熱減量이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감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4.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保水力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Carrageenan 대체소시지가 보수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회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粘度가 감소하였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카라기난 대체소시지가 높게 나타났다. 6. 硬度와 부서짐성은 Carrageenan 대체소시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웅집성, 탄력성, 부서짐성 등이 다소 감소하였다. 7. 모든 처리구에서 L-, a-, b- 값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지방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L-, b-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였다. 8. 지방대체 소시지간의 칼로리함량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지방함유 소시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9. 모든 처리구에서 肉色, 香味의 官能的 特性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組織感과 全體的인 느낌은 Carrageenan 대체소시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fat and low-calory frankfurter-type sausage with 0.5% fat-replacers(Carrageenan, ISP, TrimChoice, Celish).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hanges of pH in frankfurter-type sausage with fat-replac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were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2.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water and protein content in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but fat content was greatly decreased. 3. Cooking loss of carrageenan-treated sausage was lower than other sausages. Cooking loss of sausages was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in all treatments. 4. Changes of water-holding capacity in frankfurter-type sausage with fat-replacers were slightly decreased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and WHC of carrageenan-treated sausage showed highest value in all treatments. 5. Changes of viscosity in frankfurter-type sausage with fat-replace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hear rate and rotating time were decreased, and carrageenan-treated sausage was higher than other sausages. 6. Hardness and brittleness of carrageenan-treated sausage was higher than other sausages, and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and brittleness of sausages were slightly decreased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7. Changes of Hunter color value(L, a, b) in all treat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L- and b-value of sausages were decreased and a-value was increased according to reducing fat level. 8. Changes of calory in frankfurter-type sausage with fat-replac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8% fat sausage showed lowest value. 9. Chang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flavo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carrageenan-treated sausage showed highest value in all treatments.

      • D-Galactose-induced Aging Rats에서 구운마늘의 알츠하이머병 예방 효과

        황도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대사 질환으로,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그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마늘은 amyloid β 생성에 관여하는 BACE1을 저해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여태까지 마늘의 가공에 있어 휘발성이 강한 마늘의 유효성분을 고려하지 않고 가공되어지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유효성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굽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한편 최근 본 연구에서는 죽염이 일반소금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마늘과 죽염을 복합적으로 섭취할 경우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쥐(Sprague Dawley rat)에 갈락토스를 복강 투여하여 노화를 유도하면서 구운마늘과 죽염을 첨가한 사료를 12주 동안 섭취시켰다. 그 결과, 마늘식이군 및 마늘죽염식이군 모두 갈락토스에 의해 유발된 인지능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인 amyloid β 함량은 낮았으며, amyloid β의 생성에 관여하는 BACE1과 RAGE의 발현량을 억제하고, amyloid β 의 제거에 관여하는 IDE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p-tau Ser396, p-tau Ser404 및 p-GSK3β Try216등 과인산화 tau단백질의 발현량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을 줄여 주는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마늘을 단독으로 섭취하였을 때보다 마늘과 죽염을 복합적으로 섭취하였을 경우가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마늘 섭취 시 죽염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인지능력 개선 및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더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lzheimer’s disease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the most common form of dementia in the elderly worldwide. Recent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that diet and nutri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or developing AD. Garlic has been reported to show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In particular, organosulfur compounds in garlic are considered as biological active compounds because they are metabolized to hydrogen sulfide, a new gaseous neurotransmitter. Our previous study has found that bamboo salt (BS) are plenty of H2S-releasing inorganic compounds. Garlic and bamboo salt are expected to be potential H2S materials. Therefore, preventative effect of roasted garlic intake on the progression of AD induced by D-galactose (D-gal) in the rats was evaluated. In addition, we evaluated whether BS supplement in roasted garlic intake synergistically ameliorates the progression of AD induced by D-galactos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AIN-93G (CON), AIN-93G + D-gal (AC), 5% roasted garlic + D-gal (AG), and 5% roasted garlic + 1% bamboo salt + D-gal (AGP) and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D-gal (150 mg/kg) for 11 weeks. Object recognition test revealed that long-term memory abilities of the rats fed AG and AG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ats treated with only D-gal (AC). The AG and AGP rats showed lower Aβ 42 content than the AC rats. Comparing to the AC rats, lower expression level of beta-site APP cleaving enzyme-1 (BACE1) and higher expression levels of insulin degrading enzyme in the AG and AGP rats were observed. The AG and AGP groups reduced the expression of tau phosphorylation-related proteins (p-tau Ser404 and p-GSK3β Tyr216), which a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neurofibrillary tangl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and acetylcholine level among th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oasted garlic ameliorate the progression of AD induced by D-gal via the suppression of Aβ formation and tau hyperphosphorylation. In addition, bamboo salt supplement in roasted garlic intake is more effective in precaution of AD than only roasted garlic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