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요스포츠데이 참여자들의 스포츠재미와 운동지속간의 관계

        황나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토요스포츠데이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스포츠재미와 운동지속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검증함으로써 토요스포츠데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4년 현재 K도에 소재한 중학교의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토요스포츠데이에 참여하는 중학생 300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최종 27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는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 참여기간, 참여종목을 묻는 질문 4문항, 스포츠재미에 관한 질문 16문항, 운동지속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 15문항으로 총 35문항을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논의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요스포츠데이 중학생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재미와 운동지속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느끼는 스포츠재미가 훨씬 많았고, 학년에 따른 스포츠재미 요인의 흥미, 인정, 사교는 2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건강은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지속의 경향성은 2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가능성과 강화성은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라 스포츠재미 요인은 흥미와 사교에서 3개월, 건강에서 6개월이 높게 나와 유의한 결과가 나왔지만 운동지속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요스포츠데이 참여자들의 참여종목에 따라 스포츠재미와 운동지속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요스포츠데이 중학생 참여자들의 스포츠재미 요인이 운동지속의 하위 변인인 경향성, 가능성 그리고 강화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스포츠재미 요인 중 흥미, 건강, 인정은 운동지속 요인인 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 인정은 운동지속 요인인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재미 요인 중 건강, 사교는 운동지속 요인인 강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자들의 스포츠재미에 따라서 각 요인마다 도출된 결과는 조금씩 다르지만 결국 스포츠재미가 높을수록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졌다.

      •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운동만족, 운동지속 관계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황나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mpirical ver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sports satisfaction that are the variables affecting continuous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mprehensively by integrating advanced studies beyond the domain of a single stud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depth using the method of meta analysi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derive a general conclusion of the results suggested by advanced studies and present directivity for contributing to continuous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s horseback riding participants in horseback riding by using the method of Meta-analytic Path Analysis. Study subjects included adults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horse riding, and this study selected study results targeting theses for master’s and Ph. D. degrees presented and pap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09 through December 2020 in accordance with theses selection criteria for Meta-analytic Path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and 22 study resul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finally-selected 22 study results, this study conducted coding after confirming moderating variabl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jor variables from the materials, and used CMA software 2.0(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for carrying out meta analysis of four concepts, carrying out calculation of average effect siz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and verification of publication bias of correlation coefficient. To verify a pathway model, this study first found a whole average effect size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meta analysis and conducted meta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procedure same as one presented for variables having the biggest effect size. Based on the derived correlation matrix,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results by conduct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targeting hypothe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using Amos 21.0 program. First,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all showed effect size which is above average. Accordingly, participation motivation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Second, effect size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moderating variable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year of publication and period of participation. In concrete, the lower the age, the nearer the year of publication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effect size was confirmed to be bigger. Third, as a result of subordinate group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relationship model targeting research groups, effect size between theses for degrees and academic journals was medium,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the two.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all pathways. Especially, intern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ere all the same size, exert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Lastly, sports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play a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The above study results imply that understanding of motivational types of leisure sports horse riding participants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horse riding, showing that high level of sports satisfaction in the course of learning horse riding can derive continuous horse riding. Especi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sport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of horse riding participants are strong factors to create continuos participation in horse riding, and this study made an academic contribution in the way that it proven that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of horse riding participan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port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equally. In the rapidly changing times, horse riding personnel and instructors can suggest a guideline for vitalization of horse riding for enabling activ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by understanding and corresponding to the factors that heighten satisfaction of horse riding participants quickly and exactly to deliver warm body temperature and special experience of horse riding.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참여동기(내적동기, 외적동기)와 운동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 만족, 운동지속의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메타경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결과물들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지속적인 승마참여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생활체육 성인 승마참여자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참여동기와 운동만족, 운동지속과 관련된 변인들을 메타경로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대상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연구물을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2편의 연구물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최종 선정된 22편의 연구물에 대해 주요 변인 간의 조절변수와 상관계수를 자료에서 확인하여 코딩하였으며 4가지 개념 간 메타분석 수행을 위해 CMA software 2.0(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을 사용하였으며, 상관계수의 평균 효과크기 산출, 동질성 검증, 출판편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경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메타분석을 통해서 변인 간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구하고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변인들에 대해 앞서 제시한 것과 동일한 절차로 각각의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상관행렬(correlation matrix)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설적 모형을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타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운동만족, 운동지속 변인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는 만족과 운동지속 모두에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절변수에 따른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변인 간 효과크기는 연령, 출판연도, 참여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출판연도가 최신일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효과크기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 관계모델의 연구 그룹 간 하위집단 분석에서 학위논문과 학술지 간의 효과크기는 중간크기로 나타났으며 이 둘의 효과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동일한 크기로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지속 변인 사이에서 운동만족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속적인 승마 참여를 위하여 생활체육 승마참여자의 동기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승마를 배우는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운동만족 역시 지속적인 승마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고 있다. 특히 운동만족은 승마참여자의 동기와 지속적인 승마참여를 이끌 수 있는 강력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승마참여자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동일하게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점이 있다. 또한 급변하는 시대에 승마가 가진 따뜻한 체온과 특별한 경험을 전수할 수 있도록 승마관계자 및 지도자는 승마참여자들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하여 앞으로도 적극적이고 꾸준한 참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승마활성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 과학기술계 성별임금격차와 성별직무분리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황나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과학기술계 성차별 현상을 성별임금격차와 성별직무분리 간 관계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기술계에서 여성인력이 적은 문제는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어떤 조건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약화되고 강화되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성별직무분리 정도에 따른 인적자본과 성별의 조절효과 관계를 살펴보고, 추가로 margins 한계효과를 활용해 과학기술계의 여성과밀 상황, 남성과밀 상황, 성별균형 상황을 가정하여 해당조건들 속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많을수록 전체 임금이 하락한다. 둘째, 여성이 많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의 임금이 더 많이 하락한다. 셋째, 여성이 많을수록 여성의 경력은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남성이 많으면 경력이 증가할수록 성별임금격차가 심화된다. 다섯째, 모든 상황에서 박사급 고학력의 경우 성별임금격차는 심화된다. 과학기술계의 성별임금격차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전문직에 남성이 많아질수록 초기 경력에 따른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여성인력을 유인한다. 하지만 과학기술 특유의 남성중심적 문화와 여성 가치절하로 인한 견고한 유리천장은 경력과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성별임금격차가 벌어지게 만든다. 남성이 많은 곳은 여성들을 주변화 시키고, 여성에게 더 많은 인적자본 투자를 할 가치를 사라지게 한다. 따라서 장기적인 성차별은 여성의 경력 중단과 이탈을 높이게 된다. 반면 여성이 많아질수록 여성 과밀현상으로 인해 평균임금이 낮아진다. 여성이 많은 곳에서 남성들은 쉽게 주목받고 더 많은 리더쉽을 요구받기 때문에 업무의 중추적 역할을 빠르게 점유하게 되는 유리에스컬레이터(glass escalator)에 탑승하여 고임금을 획득한다. 특히 경력 초기에 성별임금격차가 크게 벌어져 여성들의 이탈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경력과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여성의 임금은 가파르게 상승한다. 이는 여성들의 임금 협상력이 상승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과학기술계에 여성이 많아질 때 여성연대가 가능하게 되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적 요건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젠더불평등으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 영역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존재하며, 박사급 고학력에서 성별임금격차가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성별임금격차는 과학기술계의 왜곡되어있는 남성중심성이 만든 성차별의 결과이자, 여성노동자로써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저임금 문제가 중첩된 결과이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계에서 발생하는 성별임금격차에 대한 메커니즘을 성별직무분리와 연결하여 분석했다. 성별이 과밀한 상황에 따라 성별임금격차가 발생하는 방식이 달라지며, 그에 따라 인적자본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달라진다. 성별직무분리는 성별임금격차를 만들고 유지하는 중요한 틀이다. 따라서 우선 과학기술계에서 여성이 더 많이 유입되어야 한다. 동시에 가치절하된 여성임금에 대한 재평가와 성평등한 과학기술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는 과학기술계의 성별임금격차를 극복할 수 있는 주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wage gap and gender segreg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and the modifying effect of gend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gender separation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analysis and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more women are in the STEM, the overall wage will be lower than before. Second, if more women are in the STEM, the women's wages will fall more than men's wage. Third, if more women are in the STEM, it will be more possibilities for women to get more wage based on their careers. Fourth, if more men are in the STEM, gender wage gap will increase more. Fifth, in all situations, the gender wage gap is growing between women and men with high educational level, like doctoral degree. In STEM, the mechanism of forming and maintaining the gender wage gap is as follows: If more men are in the STEM, women face larger gender wage gap even though they are earning higher wages and stay longer in their careers. Besides, if more women are in STEM, the average wage tends to decrease because of overcrowding. It leads to lower wages and larger gender wage gap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s because of the glass escalator effect. However, as careers status and educational levels rise, women's wage rise more. If more women in the STEM, they will be able to voice out their needs. Gender segregation is the main mechanism of causing and consolidating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모형 검증 :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적극적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황나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지지, 적극적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설정하고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성 및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25명(남자 99명, 여자 126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대처방식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먼저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보통상 수준이었다.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보통상 수준이었으며, 중국인의 지지가 한국인의 지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적극적 대처방식은 보통상 수준으로 소극적 대처방식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소극적 대처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 대처는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학생활적응은 적극적 대처 및 사회적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모형을 설립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영향을,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한편 사회적지지는 적극적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정적영향을 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djustmen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acculturative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y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225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Korea (99 men and 126 women) completed Acculturative stress Scale, University adjustment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and Coping strategy Sca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 (1)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of Chinese students was in normal range, and the level of University adjustment was higher than average.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than average, and social support from Chine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rom Korean. The level of Active coping strategy was higher than average, and active coping was more used than passive coping. (2)Acculturative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ve coping, and negativ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Active coping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University adjustmen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ct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3)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was entirely supported.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Acculturative stres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Also, moder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adjustment was identifi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황나리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ords kept by central administrative offices show how the government’s policies have been establishment and implemented. They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underscore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academic research. They are also used for close cooperation between administrative offices in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 policies. How such records are used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m, the diversity of materials needed by users, or changes in recognitions about relevant media. This study intends to check the status of the use of records kept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suggest how to enhance the use. The significance and methods of the use of such records were checked through literature-based study. Questionnaire-based surveys were also carried out toward officials in charge of such records at thirty-five central administrative offices, fifty-three officials frequenting using such records kept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eighty-six external user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of central administrative offices has its own data room, along with ancillary facilities to provide service for users. Twelve of the administrative offices surveyed maintain relevant regulations, while the remaining twenty-three do not. They need to establish regulation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records and the relevant law concerning management of records. Concerning complaints made by outside users of government records, many of them pointed to the fact that a large number of records remain unopened. They said that definite and clear guidelines be set up for government records that remain closed. Second, internal users appear to use mostly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which does not cover old records. This way, they appear to have difficulty in retrieving information from old administrative records. Most of external users' retrieval of information from administrative records appear to be carried in the homepage of a relevant central government unit. However, the information list contained in such a homepage is not properly updated and the method of retrieving information based on key words appears to leave much room to be desired. Third, external users appear to lack knowledge as to how they use, or retrieve necessary information from, government records. The education of relevant specialist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Archives should be enhanced so that they can meet such realistic needs at data room of each administrative unit. It is also suggested that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records kept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should be solved as follows: First, no-nonsense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cluding those concerning reading, borrowing and limitations on the use of records. The administrative office should take a more positive attitude in providing the list of information to outside users. Second,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 list of records kept and the information on how use each data room amidst the increase in the use of computer or Internet-based records. Thu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trieval tools and improve the methods of listing records. Third, education for relevant specialists and officials in charge of opening government information to the public should be reinforced to help ordinary users get easier access to records.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은 국가의 행정 사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로서 정책을 입안하거나 집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국민의 알 권리 및 학술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 정책의 수립이나 집행에 있어 타 분야와의 유기적인 협조에 사용되는 중요한 기록물이다. 기록물은 통상적으로 이용자들에게 널리 이용됨으로써 그 특징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 때 제공되는 기록물 정보의 질과 더불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 기록 매체와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이용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에서의 기록물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록물 이용의 의의와 방법, 기록물 이용에 필요한 환경을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35개 중앙행정기관의 기록물 관련 담당자와 문화관광부에서 기록물을 이용하고 있는 기관내 이용자 53명과 기록물 이용 경험이 있는 외부 이용자 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행정기관은 각각의 자료관을 설립하고 기록물의 이용을 위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자료관 운영의 제반 요건으로는 자료관 규정이 중요한데 자료관 규정의 제정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자료관 규정을 두고 있는 곳은 법무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통일부, 문화관광부, 중소기업청, 행정자치부, 병무청, 국가보훈처, 문화재청, 국방부, 법제처였다. 아직 자료관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관들은 기록물 관리법 이외의 정보공개법과 문서관리규정 등을 기록물 이용시 적용하고 있었다. 기록물 이용 현황과 기록물 관리법에 기초한 자료관 규정의 수립이 시급하다. 외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선 요구사항을 조사한 결과로 공개된 기록물의 내용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개된 기록물 내용에 관한 불만 사항이 제일 많았으며, 비공개 대상기록물에 대한 명확한 지침 수립을 원하는 요구가 높았다. 둘째, 검색도구와 관련해서 내부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은 전자문서 시스템이었다. 전자문서 시스템에는 최근 생산된 기록물만이 정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기록물이 제외되어 있어 자료관으로 이관하지 않은 행정기록물의 검색에 문제가 있었다. 외부 이용자의 기록물 검색은 주로 전자정부 홈페이지와 중앙행정기관의 홈페이지에 있는 정보 목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전자정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목록의 검색 방법은 키워드 검색만으로 제한되어 있어 기록물 이용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었다. 셋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록물을 이용할 때 기록물의 이용 절차, 검색 방법 등의 문의가 많았다. 현재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전문요원의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데, 교육 내용에 개괄적인 부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문요원이 자료관에 배치된 것을 기점으로 하여 이용 현황과 이용 요구를 반영한 내용으로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여야 한다. 중앙행정기관의 기록물 이용 현황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행정기관에서의 기록물 이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자료관 이용 규정의 수립이 시급하다. 여기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는 이용자 규정, 기록물의 이용제한, 열람 및 대출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 이용자를 위하여 행정기관은 적극적인 목록 공개를 해야 한다. 둘째, 검색도구의 문제로 컴퓨터를 이용한 기록물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록물의 정보를 알려주는 기록물 목록이나 자료관 자체에 관한 안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록물 검색 방법은 기록물 철단위의 개략적인 공개가 중심이고 다양한 기록물의 종류를 반영하지 않은 검색 방법이었다. 검색 항목은 키워드, 생산기관, 기록물명, 생산연도 제한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검색 결과도 우리나라는 문서철이 파일로 연결되어 기록물건의 개략적인 정보만을 조회할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은 기록물명, 생산기관, 기록물의 종류, 보존연한, 보존장소, 생산기관의 대-중-소분류로 기록물의 연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검색되었다. 인터넷 에 의한 기록물 이용이 증가하는 것과 더불어 검색도구의 다양화가 요구되는데, 이의 개선 방안으로 기록물의 기술 방법을 설명하였다. 셋째, 정보 서비스에 있어서 전문요원은 기록물과 이용자를 이어주는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전문요원이 내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록물과 이용자 사이를 이어주는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지만, 정보공개업무를 수행하는 처리과의 담당자들 역시 정보공개라는 제도를 통하여 일반 이용자에게 기록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정보 서비스의 역할에 대한 인식전환 방법으로 교육과 홍보를 들 수 있는데, 그 방법으로 업무 매뉴얼을 제작하여 적극적으로 기록물 이용에 대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과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홍보를 제안하였다.

      • 최자실 목사와 대행 선사의 마음 성장론 비교연구 : 코르넬리스 페트루스 틸레 (Cornelis Petrus Tiele: 1830~1902)의 마음 종교학을 중심으로

        황나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Discussions about the human mind and its growth have been traditionally the means whereby it is possible for us, as human beings,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ourselves in a way that can possibly lead us toward making changes about how we should think and live. The importance of this type of study is, however, unfortunately overlooked with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although, admittedly, this type of study belongs to the scope of the human sciences and it is especially dependent on the science and analysis of psychology for all the answers that are needed. We all know how important it is to study the human mind as a venue (as a medium or intermediary) if we are to speak about the kind of phenomena that are generated by us as human beings when, here, we should refer to the content and form of our human experiences, our emotions, and our concepts. Hence, Tiele’s religious studies of the mind, as this refers to the human mind, elicits and points to a need that we should go back and re-appropriate the particulars of his study of the mind as this arose with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of religion. This dissertation seek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of the mind that is found in the lives of Pastor Jasil Choi and Seon Master Daehang, and its influence on their lives, based on Tiele’s concepts of mind and growth. It tries to recover a prototypical approach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in light of the fact or in spite of the fact that Tiele’s work was not well studied or much considered in Korea despite his great influence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 on Jasil Choi and Daehang has approached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aspects that belong to Buddhist studies or questions that derive from the reflections of Christian theology, lacking thus a perspective that is derived from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hence, we refer to a major limitation and another reason that helps to explain why these two persons (their life and work) was chosen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tudy the growth of mind, this dissertation chooses comparative morphology: a method that belongs to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as this was used by Cornelius Petrus Tiele. He had drawn on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religion that was based on inner elements (hence, on this basis: classifying,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manifestations of external phenomena) although, in general, modern religious study unfortunately deals with religious phenomena in a fragmentary way. In our work, the growth of mind will be defined and we will also attend to what enables, sustains, and expands it. Jasil Choi and Daehang were chosen and compared as cases which points to how, in their lives, we can see the growth of mind. We engage in a kind of application. Their autobiographies were used as major sources for this study because they reveal dialectic relations between history and individuals and their vivid religious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iele’s metaphor of a kernel that is used to speak about the growth of the mind, three categories are compared; motive as a kind of cause with respect to the growth of mind, asceticism as a discipline which sustains the growth of the mind, and expandability as a way of speaking about how the mind moves from one species of apprehension to another. The patterns that are found in the growth of both minds point to three converging points and also to three disparate points, which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rging point: both followed similar tracks in their lives vis-à-vis a sprouting of kernels which both experienced. Secondly, their minds kept growing through prayer and asceticism in conjunction with practices of healing that were joined to words of faith and belief. Finally, both experienced measures of infinity that, in some way, both assimilated. As women, both suffered from the pain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trials that were later imposed on them by the Korean War. Both had to cope with an emptiness in their minds with respect to both having absent fathers in childhood. This common experience led to a mutual craving for infinity: hence, the experience of a motive that led to a later growth of the mind. Both experienced a degree of assimilation with infinity and both developed their own ways of asceticism, fasting prayer and Juingong Gwanbeop, through which they could sustain the growth of their minds. They expanded the growth of their minds through altruistic practices of healing, employing words of belief. Hence, they gave themselves to the practice of comforting and healing devastated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poverty and sickness. By suggesting this new approach, they searched for a piety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existing Christianity and Buddhism of their day. They actively used music to cultivate their practices, and they emphasized the good of evangelization in the context of a global mission. With respect to the three disparate points, we can refer to them as follows. First, in the growth of the mind, different directionalities existed for their grow in terms which refer to that which is inward, and that which is outward. While Choi went outwards, Daehang went inwards. Secondly, different frequencies existed with respect to that which existed as the assimilation with infinity. Third, different ways existed in how they expressed their assimilation and how they spoke about the places or loci of learning. Choi, who had been educated in a regular theological seminary, struggled to be assimilated with the infinity by looking for the Absolute from outside, while Daehang, without any regular education, used all the possible places of learning (which, for instance, included mountains) where she went through and as a form of asceticism in order to find infinity and to assimilate with it internally. They also used different ways of expressions. While one directly cited words from the Bible, the other used metaphors that were drawn from her experience of the different things that surrounded her. In the middle of all these differences, both evinced and manifested expansions of their different directionalities; Choi from outward to inwards, Daehang from inward to outwards. In conclusion, this comparative study about the growth of mind in Choi and Daehang, as based on Tiele’s concepts, points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the growth of mind can be expanded within individual religions and so this study suggests and points to the basis of a universal point of view that can be used in the context of religious studies. We can use a universal language that is grounded in the dynamics of our common human mind and so we have something which transcends the particularity of specific spheres as these exist in Christian theology or in the conduct of Buddhist studies. 인간의 마음과 마음의 성장에 대한 논의는 고전적인 인간의 자기이해 방식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종교학 역시 인간학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간의 마음에 대한 연구는 종교학 안에서 소홀하게 취급되며 심리학이 모든 해결점이 된 것 같은 실정이다. 이에 새로운 종교학적 담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인간이 만들어낸 현상, 곧 인간의 경험, 감정, 개념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장소로서의 마음에 대한 연구가 다시금 필요하며, 이것을 초기 종교학자인 틸레의 마음 종교학이 바로 마음에 방점을 두기 때문에 종교연구에 있어 그의 연구가 다시 회복이 되어야하는 이유이다. 본 논문은 종교학 분야에서 틸레가 지니는 높은 위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 종교연구의 원형적 측면을 다시 고찰한다는 의미에서 마음과 성장을 주요 개념으로 한 틸레의 관점을 방법론으로 삼아, 최자실 목사와 대행 선사의 삶에서 마음의 성장 과정과 특징, 저들의 삶에 끼친 영향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위 두 사람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 또한 최자실과 대행에 대한 선행연구 대부분이 신학과 불교학적 측면에서만 주로 다루어졌기에 종교학적 시각이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최자실과 대행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지닌 가장 큰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사람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이다. 이 논문은 마음의 성장을 탐구하기 위해, 코르넬리스 페트루스 틸레의 형태(morphology)비교라는 종교현상학적 방법론을 선택하여 연구하고자 했다. 종교적 현상을 다룸에 있어 현대의 종교현상학이 파편적으로 다루는 것과 달리 틸레는 외적 현상의 다양한 표현들을 분류, 비교, 평가함과 동시에 종교의 본질을 내적 요소에 기반한 직관의 방법론으로 이해한다. 마음의 성장이란 어떤 것이며 마음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작인과 마음의 성장을 지속, 확장시키는 것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마음의 성장에 대한 현실적인 사례 적용 대상으로 최자실과 대행 두 사람을 선정해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한 주된 자료로 자서전을 택하였는데, 두사람의 자서전에는 역사와 개인이 가진 변증법적 관계가 잘 드러나고 두 사람의 종교적 경험을 생생하게 느낄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씨앗의 메타포로 표현한 틸레의 마음과 성장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마음의 성장 동력, 마음의 성장을 지속시키는 수행, 마음의 확장성이라는 3가지 형태로 나누고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최자실과 대행 두사람의 마음의 성장이 가지고 있는 양상이 서로 만날 수 있는 3가지 수렴점과 차이를 가지는 3가지 분리점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발견했다. 먼저 3가지 수렴점은 첫째로 씨앗 발아의 경험으로서 비슷한 삶의 궤적을 가진다는 것, 두번째로 기도와 수행을 통해 마음 성장을 지속시키고 믿음의 언어를 통한 치유(치병)행위를 했다는 것, 마지막으로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이다. 구체적으로, 두 사람 모두 여성으로서 일제강점기를 비롯한 한국전쟁이라는 시대적 아픔을 겪으며 동시대를 살아가면서 비슷한 삶의 궤적을 보이며 유년시절 친부의 부재가 가져온 채울 수 없는 마음을 가졌다는 유사점을 가진다. 두사람이 유년시절에 겪은 부성에 대한 갈망의 경험은 그녀들에게 있어 무한성을 향한 갈망으로 이어져 마음 성장의 동력이 되었다. 또한 두사람은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과 금식기도와 주인공 관법이라는 각각의 수행을 통해 성장을 지속시키고, 본인만을 위한 축복과 안위에만 머무르지 않고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며 믿음의 언어를 통해 치유(치병)을 위한 행동을 했다. 이것은 가난과 질병으로 인해 마음과 몸이 피폐해진 민중의 삶을 치유하고 위로하는 일에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며, 새로운 출구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기독교와 불교 체계에서 채워지지 않는 경건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두 사람 모두 음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전도 및 해외선교(포교)활동으로 마음의 성장을 확장했다는 공통적인 수렴점이 있다. 반면에 최자실과 대행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3가지 분리점도 존재한다. 첫째로 마음성장의 방향성이 외적, 내적 지향으로 서로 다르다. 무한성을 갈망하고 추구하는 방향성이 최자실 목사는 외부로 향했던 반면, 대행 선사는 자기 내부로 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마음성장의 방향성이 외적, 내적 양향성을 지녔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 횟수에서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동화됨의 표현방식이 다르고 배움터가 달랐다. 최자실은 신학교라는 정규교육을 받고, 외부의 절대자를 향한 방향성을 가지고 무한성과의 동화를 행했다면, 대행은 정규교육을 받은적은 없으나 산중수행을 비롯한 주변 모든 것을 배움터로 삼아 자신의 안에서 무한성을 찾고 동화하고자 한 방향성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험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최자실은 성경의 말씀을 직접적으로 인용한다면, 대행은 주변의 사물을 은유적으로 사용함으로서 표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 역시 방편적인 강조점이며 최자실이 외적지향에서 내적으로, 대행이 내적지향에서 외적으로 확장하며 둘 모두 결국 마음의 지향점이 확장됨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한 종교와 다른 종교가 만날 때, 마음 성장이라는 개념은 개별종교안에서 확장 가능하다는 것을 틸레를 통한 최자실과 대행의 마음 성장이라는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불교학, 혹은 신학과 같이 특정 학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닌, 인간의 마음을 바탕으로 보편적 언어를 사용하는 종교학 연구에 있어 보다 보편적인 시각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 이해식 작곡 <달 춤> 분석

        황나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작곡가 이해식은 전통음악의 요소와 서양음악의 기법을 넘나들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춤’이 모든 예술 중의 가장 근본이라고 생각했으며 작곡가로서 그의 정체성을 구현해내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모든 동작과 몸짓이 춤의 근원이라 보았는데 움직임, 심장박동, 맥박, 호흡 등이 한 박자가 되고 생명의 리듬이 된다고 말하였다. 그가 작곡한 다수의 ‘춤’에 관한 작품 중, 「달춤」은 이러한 춤의 의미를 리듬의 화려함으로 표현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달춤」은 헤미올라 리듬이 곡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세밀하고 구조적인 리듬분할이 중심을 이루며 선율의 흐름과 더불어 리듬의 구조를 통해 전개가 바뀐다. Balkan리듬, 의도적인 악센트의 파괴로 인한 리듬의 다양성과 당김음의 다채로운 변화의 형식을 통해 ‘춤’의 역동성이 표현되며, 이는 작품의 전체적인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달춤」은 시작음이 E음으로 시작하여 e음으로 종지하는 E phrysian 선법 중심의 작품이다. 따라서 조성이 중심이 되는 작품과는 독특하게, E phrysian 선법의 사용이 선율의 더욱 자유로운 진행을 돕는다. 음계에서 등장하는 반음의 반복적 사용을 통해 달이 가지고 있는 음의 속성을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클라리넷과 25현금의 두 성부가 매우 교차적인 진행을 보이는 동시에, 크게는 A-B-A′의 형식으로 구성이 뚜렷하게 나누어져 있다. [A]단락에서 [I]까지 9개의 단락 중 [A]는 곡의 제시부인 A부분, [B]단락에서 [H]까지는 발전부인 B부분이며 [I]단락은 재현부의 A′부분이다. 곡 진행의 의미적 구조는 달의 뜨고 지고, 차고 기우는 대립을 나타내며, A-B-A′의 전체 구성은 ‘달’의 원형적인 순환을 뜻한다. An Analysis of <Moon Dance> by Lee Hae-sik Lee Hae-sik is a composer who seeks to invent his own style by embracing elements of Korean music as well as techniques of Western music. He uses western technique, but has traditional korean sentiment inside his musical piece. He believes ‘Dance’ is basis thing in every work of art and also the most essential source to identify his composing life. He also thinks all motions and gestures form the basis for dance, elaborating that each move, heartbeat, pulse, and breath form one beat, and ultimately a turns into rhythm of life. Among his numerous compositions about dance, 「Moon Dance」 in particular expresses the meanings of dance through rhythmic splendor.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analysis: Hemiolas appear throughout the piece. Minutely structured rhythmic divisions prevail and the piece moves on as rhythmic structure varies along with melodic progression. The piece expresses the dynamism of dance through the use of Balkan rhythms and rhythmic variety stemming from the deliberate de-stressing of notes and various syncopations such as using different syncopation in every bar. The piece is in the mode of E-Phrygian as it begins on E and ends on e. The mode enables the piece to flow more freely than does tonal music; the repetition of semitones of the mode is meant to describe the yin-like nature of the moon. On the whole, the clarinet and the 25-stringed gayageum cross over each oth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piece has a clear form of A-B-A′, each of the three letters representing a section. From section [A] to [I], [A] is exposition part A, [B] through [H] is development part B, and [I] is recapitulation part A′. The semantic structure of progress signifies opposition between moon rise and set, wax and wane. And the whole A-B-A′ construction means the circulation of the ‘m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